맨위로가기

도요타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요타조는 시기다초목(Tinamiformes)을 구성하는 조류로, 고악류에 속한다. 남아메리카, 멕시코, 중앙아메리카에 분포하며,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살아간다. 대부분 땅에서 생활하며, 곤충, 씨앗, 과일 등을 먹는다. 일부다처제와 일부일처제 등 다양한 번식 형태를 보이며, 수컷이 알을 품고 새끼를 돌보는 종도 있다. 서식지 파괴, 사냥 등으로 위협받는 종이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 로버트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피오르드랜드펭귄
    피오르드랜드펭귄은 뉴질랜드 남섬 서해안에 서식하며 노란색 볏이 특징인 중간 크기의 펭귄으로, 오징어, 크릴, 물고기를 먹고, IUCN 적색 목록에 위기근접종으로 분류되어 외래 포식자와 인간의 간섭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조지 로버트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바우어새
    바우어새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에 서식하며 수컷이 짝짓기를 위해 보금자리를 짓고 화려한 장식으로 암컷을 유혹하는 독특한 행동을 보이는 참새목 조류의 한 과이다.
  • 남아메리카의 새 -
    매는 전 세계에 분포하며 뛰어난 비행 능력으로 조류를 사냥하는 맹금류로, 과거 살충제 사용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복원 노력으로 회복되었고 매사냥과 속도 및 권력의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남아메리카의 새 - 아메리카레아
    아메리카레아는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대형 비행불능 조류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취약종으로 분류되며 독일에는 야생 개체군이 존재하고, 식물 외 곤충류와 소형 척추동물도 섭취하며 수컷이 알을 품고 새끼를 돌보는 특징을 가진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도요타조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우아한볏도요타조 (Eudromia elegans)
우아한볏도요타조 (Eudromia elegans)
학명Tinamidae
명명자G. R. Gray, 1840
Tinamus
명명자 (속)Gmelin, 1789
다양성2 아과, 9 속, 47 종, 127 아종
동의어Crypturidae (Bonaparte, 1831)
Tinamotidae (Bonaparte, 1854)
Eudromiidae (Bonaparte, 1854)
Rhynchotidae (von Boetticher, 1934)
도요타조과 분포
도요타조과 분포
생물학적 분류
상위 분류고악류
시조새목 (Tinamiformes) 또는
타조목 (Struthioniformes)
하위 분류
아과Tinaminae
Nothocercus
Crypturellus
Tinamus
아과Nothurinae
Tinamotis
Eudromia
Rhynchotus
Nothoprocta
Nothura
Taoniscus
어원
영어 발음/ˈtɪnəmuːz/
/ˌtɪnəməˈfɔrmiːz/
/təˈnæmədiː/
시간 척도
화석 범위초기 마이오세 - 현재

2. 분류

타조목(Tinamiformes)은 9개 에 속하는 46종의 현존하는 으로 구성된다. 크게 노추르아과 (Nothurinae)(Rhyncotinae라고도 함) (초원 타조목)와 티나무아과 (Tinaminae)(숲 타조목)의 두 아과로 나뉜다.[4]

메추라기나 메가포드류와 같이 땅에서 사는 다른 새들과의 유사성은 수렴과 동조상동의 결과이지, 공유된 진화적 혁신에 의한 것이 아니다.

곤드와나에서 기원한 타조목은 날지 못하는 레아류와 함께 구악류("오래된 턱")를 구성한다. 반면 다른 모든 살아있는 새들은 신악류("새로운 턱")에 속한다. 다른 구악류와 달리 타조목은 용골이 있는 흉골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구악류와 마찬가지로 독특한 구개를 가지고 있다.[6] 과거에는 용골이 있는 흉골 때문에 타조목이 레아류에서 일찍 분리되었다고 생각했다.[7] 타조목이 가지고 있는 분말 깃털과 미지선(다른 레아류에는 없음)은 그들의 분류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계통유전체학 연구에 따르면 타조목은 현존하는 오스트랄라시아 및 오세아니아의 레아류(캐서워리, 에뮤, 키위)와 자매군 관계이며, 남아메리카의 레아와 아프리카의 타조는 연속적인 외부군이 된다.[8][9] 2010년부터의 연구에 따르면 타조목은 뉴질랜드의 멸종된 모아와 가장 가깝다고 한다. 모아는 이전에 추정되었던 것보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키위, 에뮤, 캐서워리와는 더 멀리 관련되어 있다.[10][11][12][13] 이러한 결과는 비행 능력이 레아류의 진화 과정에서 여러 번 독립적으로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레아가 조상 타조목이 도착하기 전에 남아메리카에 정착했기 때문에, 타조목은 비행 능력을 유지했을 수 있다. 따라서 크고 날지 못하는 초식 동물의 생태적 지위는 이미 차지되어 있었고, 타조목은 더 작고 잡식성이며 나는 생활 방식을 유지하게 되었다.

팔레오세와 에오세 지층에서 발견된 비행 능력이 있었던 리토르니티드류는 구조적으로 타조목과 가장 유사한 조상으로 보이며, 타조목과 날지 못하는 타조류의 조상일 가능성도 있지만, 정확한 관계는 불분명하다.[10][14] 명확하게 타조목으로 분류되는 가장 오래된 화석 기록은 마이오세 지층에서 발견되었다.[17] 하지만 팔레오세 지층에서 발견된 날지 못하는 타조류와 유사한 분류군도 이 그룹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15]

1600만 년 전에서 1700만 년 전 초기-중기 마이오세 지층인 산타 크루스 지층과 같은 시대 또는 약간 더 오래된 핀투라스 지층(산타크루스주,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에서 여러 타조목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티나미과인 ''Crypturellus reai''도 포함된다.[16] 함께 발견된 화석들은 이 시기 초반의 지역 고환경이 습한 아열대 기후에 숲이 우거진 환경이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조하고 개방된 환경으로 변화했음을 나타낸다. 일부 타조목 화석은 두 아과의 중간 형태를 보이는데, 이는 이 시기가 방산으로 확장된 개방된 서식지로 노투르아과가 진출한 시기와 일치함을 시사한다.[17][18]

중부-남부 아르헨티나 팜파 지역의 후기 마이오세 세로 아술 지층에서 ''Eudromia''와 ''Nothura''에 속하는 노투르아과 화석이 발견되었다.[18]

2. 1. 계통 분류

다음은 2014년 미첼(Mitchell)과 2013년 유리 등(Yuri ''et. al'')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38][39]

50 px
타조목

50 px
레아목

도요타조목

50 px
모아목 (멸종)

50 px
키위목

50 px
코끼리새목 (멸종)

50 px
화식조과

50 px
에뮤과

뉴질랜드산 멸종된 레아류 조류인 모아 ''Dinornis robustus''와 ''Pachyornis elephantopus''


타조목(Tinamiformes)은 9개 에 속하는 46종의 현존하는 으로 구성된다. 두 개의 아과는 노추르아과 (Nothurinae)(Rhyncotinae라고도 함) (초원 타조목)과 티나무아과 (Tinaminae)(숲 타조목)이다.[4]

타조목은 곤드와나 기원으로, 날지 못하는 레아류와 연합하여 구악류("오래된 턱")를 구성하는 반면, 다른 모든 살아있는 조류는 신악류("새로운 턱")의 구성원이다. 다른 구악류와 달리, 타조목은 용골이 있는 흉골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구악류와 마찬가지로 독특한 구개를 가지고 있다.[6]

계통유전체학 연구는 이를 현존하는 오스트랄라시아 및 오세아니아 레아류(즉, 캐서워리, 에뮤, 키위)의 자매군으로 놓았으며, 따라서 남아메리카 레아와 아프리카 타조를 연속적인 외부군으로 하여 레아류 계통 발생 나무에 잘 위치시켰다.[8][9] 2010년부터 시작된 연구에 따르면 타조목은 뉴질랜드의 멸종된 모아와 가장 가깝다고 한다. 모아는 이전에 추정되었던 것보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키위, 에뮤, 캐서워리와 더 멀리 관련되어 있다.[10][11][12][13] 이러한 결과는 비행 능력이 레아류 진화에서 여러 번 독립적으로 진화했음을 시사한다.

큰티나무


후드티나무


회색티나무


붉은날개티나무


덤불티나무


흰배노추라


파타고니아티나무


'''보전 상태 키''':[21]

  • VU – 취약
  • NT – 준위협
  • LC – 관심대상종


'''티나무목'''

'''티나무과'''[22][23][24]

  • '''아과 티나무아과'''


보전 상태
크립투렐루스가로줄티나무, Crypturellus casiquiareLC
바틀렛티나무, Crypturellus bartlettiLC
베를레프슈티나무, Crypturellus berlepschiLC
검정머리티나무, Crypturellus atrocapillusNT
브라질티나무, Crypturellus strigulosusLC
갈색티나무, Crypturellus obsoletusLC
초코티나무, Crypturellus kerriaeVU
회색티나무, Crypturellus cinereusLC
회색다리티나무, Crypturellus duidaeNT
작은티나무, Crypturellus souiLC
연한눈썹티나무, Crypturellus transfasciatusNT
붉은다리티나무, Crypturellus erythropusLC
콜롬비아티나무, C. (e.) columbianus (현재 분류학적 지위 불명확)
마그달레나티나무, C. (e.) saltuarius (분류학적 지위 현재 불명확)
산타마르타티나무, C. (e.) idoneus (현재 분류학적 지위 불명확)
붉은티나무, Crypturellus brevirostris (짧은부리티나무)LC
슬레이트가슴티나무, Crypturellus boucardi (부카르티나무)LC
작은부리티나무, Crypturellus parvirostrisLC
타타우파티나무, Crypturellus tataupaLC
테푸이티나무, Crypturellus ptaritepuiLC
덤불티나무, Crypturellus cinnamomeusLC
물결무늬티나무, Crypturellus undulatusLC
얼룩티나무, Crypturellus variegatusLC
노란다리티나무, Crypturellus noctivagusNT
노토케르쿠스고산티나무, Nothocercus bonaparteiLC
후드티나무, Nothocercus nigrocapillusVU
갈색가슴티나무, Nothocercus juliusLC
티나무스검정티나무, Tinamus osgoodiVU
큰티나무, Tinamus majorNT
회색티나무, Tinamus taoVU
고독한티나무, Tinamus solitariusNT
흰목티나무, Tinamus guttatusNT


  • '''아과 노추라아과'''


보전 상태
우드로미아우아한볏티나무, Eudromia elegansLC
케브라초볏티나무, Eudromia formosaLC
노토프로크타안데스티나무, Nothoprocta pentlandiiLC
덤불티나무, Nothoprocta cinerascensLC
칠레티나무, Nothoprocta perdicariaLC
굽은부리티나무, Nothoprocta curvirostrisLC
화려한티나무, Nothoprocta ornataLC
타자노프스키티나무, Nothoprocta taczanowskiiVU
노추라차코노추라, Nothura chacoensisLC
다윈노추라, Nothura darwiniiLC
작은노추라, Nothura minorVU
얼룩노추라, Nothura maculosaLC
흰배노추라, Nothura boraquiraLC
린코투스와이코티나무, Rhynchotus maculicollisLC
붉은날개티나무, Rhynchotus rufescensLC
타오니스쿠스왜소티나무, Taoniscus nanus (가장 작은 티나무)EN
티나모티스파타고니아티나무, Tinamotis ingoufi (잉구프티나무)LC
푸나티나무, Tinamotis pentlandii (펜틀랜드티나무)LC


2. 2. 하위 속

도요타조목은 9개의 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과종 수
티나무아과크립투렐루스21종
노토케르쿠스3종
티나무스5종
노추르아과린코투스2종
타오니스쿠스1종
티나모티스2종
우드로미아2종
노토프로크타6종
노추라5종 (왜소티나무 포함)

[4]

3. 형태

티나무류는 통통하고 몸집이 작은 새로, 목이 가늘고 머리가 작으며, 대개 짧고 아래로 굽은 부리를 가지고 있지만, 긴 부리를 가진 종도 몇몇 있다. 암컷이 수컷보다 일반적으로 크다.[26] 가장 작은 종인 쇠꼬리딱새는 몸길이 15cm이다.[35] 가장 큰 종인 회색티나무 암컷은 무게가 최대 2kg이고 길이는 최대 49cm이다.[2] 발에는 앞을 향한 세 개의 발가락이 있으며, 뒤쪽 발가락은 더 높고 뒤로 향하거나 없다. 종아리뼈 뒷면은 비늘로 덮여 있으며, 비늘의 색깔은 종 식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27]

티나무류는 기낭화된 골격, 흉골 용골돌기, 16~18개의 목뼈, 그리고 융합된 등뼈를 가지고 있다.[14] 피부가 녹색을 띠는 것으로 보아 순환계가 좋지 않다. 또한 모든 조류 중에서 비교적 가장 작은 심장과 폐를 가지고 있으며, 체중의 1.6~3.1%만 차지하는 반면, 닭의 경우에는 12%를 차지한다.[7] 비행 능력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체중 중 근육이 차지하는 비율은 28.6~40%로, 벌새와 비슷하다.[27] 수컷은 다른 타조류와 마찬가지로 나사 모양의 음경을 가지고 있다. 암컷은 항문에 작은 음핵 기관이 있다.[7]

멋진 볏이 있는 티나무


티나무과 조류의 깃털은 보호색을 띠고 있으며, 어두운 갈색, 적갈색, 황갈색, 노란색, 회색 등의 전형적인 색상을 갖는다. 일부 종에서는 암컷이 더 화려하다.[6] 숲에 서식하는 종들은 더 어둡고 균일한 경향이 있는 반면, 초원에 서식하는 종들은 더 밝은 색을 띠고 가로무늬, 반점 또는 줄무늬가 더 많다.[7] 티나무는 잘 발달된 솜털을 가지고 있다. 꼬리는 짧고 때로는 덮깃 뒤에 가려져 있다.[7] 일부 티나무는 볏을 가지고 있다. ''Eudromia''속에 속하는 종들은 가장 발달된 볏을 가지고 있으며, 흥분하면 앞으로 향하게 한다.[7]

부리는 가늘고 길며 아래쪽으로 굽어 있다.[34] 첫 번째 발가락은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발가락보다 위쪽에 있으며, 작고 종에 따라 퇴화한 경우도 있다.[34] 원시 조류 중 유일하게 용골돌기가 있고 흉근이 발달하여, 짧은 거리라면 날 수 있다.

4. 생태

다윈의 노추라(Nothura darwinii)는 고산 초원에 서식한다


검은가슴티나무는 열대 저지대 숲에서 서식한다

  • -|]]|thumb|큰티나무(Great tinamou)와 같이 많은 대형 티나무들은 밤에 나무에서 잠을 잔다.]]

푸나 티나무 무리


타이라가 열대 우림의 티나무를 사냥한다.


도요타조는 신열대구 지역에만 서식하며, 남아메리카, 멕시코, 중앙아메리카에 분포한다.[28] 이나 삼림 지역, 초원, 푸나 초원, 산악림, 사바나 등 다양한 서식지에 서식한다.[7] 파나마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생태적 분리가 나타나기도 한다.[7]

대부분의 시간을 땅에서 보내며, 위협을 느끼면 웅크리거나 목을 위로 뻗은 자세로 얼어붙는다.[7] 빽빽한 초목이나 굴 속에 숨기도 한다.[7] 비행은 가능하지만, 잘 날지 못하고 짧은 거리만 고속으로 날아간다.[6]

주로 낮에 활동하며, 밤에는 나무나 땅에서 휴식을 취한다.[7] 종에 따라 독립적으로 생활하거나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무리의 크기는 계절에 따라 변한다.[7] 숲에 사는 종들은 대개 독립적이며, 번식기에만 다른 새들과 가까워진다.[7] 스텝이나 초원에 서식하는 종들은 무리 생활을 하는 경향이 있다.[7]

서식 범위 내에서 보기 드물지만, 다양한 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이 소리는 종종 플루트나 휘슬 소리와 비슷하며, 종 식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7]

대부분의 도요타조 종은 수컷이 동시 일부다처제를, 암컷은 순차적 일부일처제를 보인다.[6] 수컷만이 포란·육추를 한다.[35][36]

고양이, 여우, 너구리 등 다양한 포식자에게 위협을 받으며, 흡혈박쥐가 도요타조의 피를 빠는 것도 확인되었다.[7][27]

4. 1. 먹이

도요타조는 기회주의적 섭식자이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지만, 각 종의 식단 구성 비율은 다르다. 타조목 속은 식단에서 채소 성분을 기준으로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Tinamus'', ''Nothocercus'' 및 ''크립투렐루스속(Crypturellus)'' 속은 다육질 과일을 중심으로 먹는다. 개활지에 서식하는 ''Nothura'', ''Nothoprocta'' 및 ''Eudromia'' 속은 주로 씨앗 및 기타 부드러운 식물성 물질을 먹는다. ''Tinamotis''와 같이 혹독한 환경의 고지대에 서식하는 속은 다육질 부분뿐만 아니라 식물의 대부분을 먹는다.[7]

대부분의 종은 식물과 동물성 먹이를 섞어 먹지만, 일부는 주로 초식성이고, 다른 일부는 주로 곤충식성 또는 육식성이다. 식단은 계절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붉은날개타조는 여름에는 주로 동물성 먹이를, 겨울에는 식물성 먹이를 먹는다. 새끼는 성체보다 곤충을 더 많이 먹는데, 아마도 성장에 필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섭취하는 식물성 먹이에는 과일(떨어진 과일 또는 나무에 달린 과일), 씨앗, 어린 싹, 부드러운 잎, 싹, 꽃, 부드러운 줄기, 뿌리 및 덩이줄기가 포함된다. 동물성 먹이는 개미, 흰개미, 딱정벌레, 메뚜기, 매미목, 나비목 유충을 비롯한 많은 곤충과 복족류, 연체동물, 지렁이, 양서류와 파충류와 같은 작은 척추동물로 구성된다. 큰 종은 작은 포유류를 먹기도 한다.[7]

먹이는 주로 땅에서 먹지만, 덩굴에서도 먹는다. 새들은 과일을 따 먹거나, 크립투렐루스속(Crypturellus) 종처럼 곤충을 잡기 위해 최대 1미터 높이까지 뛰어오른다. 주된 먹이 탐색 방법은 머리를 숙이고 천천히 걸어 다니면서 땅을 쪼아 먹고 가끔씩 위를 쳐다보는 것이다.[7] 작은 동물은 통째로 먹고, 큰 동물은 땅에 내리쳐서 먹거나 쪼아 먹는다. 발이 아니라 부리가 낙엽을 탐색[7]하고 깊이 2to(-) 정도의 토양을 걸러내는 데 사용된다.[3][6]

가장 자주 땅을 파는 종은 개활지에 사는 린코투스속(Rhynchotus), 노투라속(Nothura) 및 노토프로크타속(Nothoprocta) 종이다. 이 종들은 부리 기저부에 콧구멍이 위치해 있는데, 이것은 땅을 파는 행동에 대한 적응으로 여겨진다. 대부분의 조류와 마찬가지로 소화를 돕기 위해 모래알을 삼킨다. 어떤 종은 군대개미를 따라다니며 개미들이 만들어낸 소란 속에서 먹이를 찾는다. 다른 종들은 개미잡이새류, 개미잡이과 조류, 오븐새과 조류와 함께 먹이를 먹는다. 특히 노투라속(Nothura) 종은 가축을 따라다니며 떨어지는 진드기와 가축이 지나가면서 부딪히는 관목의 곤충을 먹는다.[7]

소화 기관 내용물 조사 결과, 식물의 싹, 뿌리, 과일, 씨앗, 곤충 등을 먹는다고 생각된다.[34]

4. 2. 번식

대부분의 도요타조 종에서 수컷은 동시 일부다처제를, 암컷은 순차적 일부일처제를 보인다.[6] 하지만 이는 항상 일정하지 않다. 화려한 티나무는 안정적인 짝을 이루고, 얼룩무늬 노투라는 어릴 때는 일부일처제이고 나이가 들면 일부다처제가 된다.[7] 암컷의 수가 수컷보다 더 많은데, 예를 들어 얼룩긴꼬리티나무는 암컷 대 수컷의 비율이 4:1이다.[7]

번식기는 종에 따라 다르다. 계절 변화가 거의 없는 열대 우림에 사는 종들은 언제든지 번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시기가 있다. 계절적 변동이 뚜렷한 지역에서는 도요타조가 일반적으로 먹이가 가장 풍부한 여름에 번식한다.[7] 연구에 따르면 번식 시작을 결정하는 것은 낮의 길이가 아니라 구름 덮개를 통한 빛의 양이라고 한다.[27]

구애 과정은 수컷이 끊임없는 울음소리로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는 것으로 시작되며, 수컷은 여러 암컷을 유인하려고 한다. '''티나무스'''속(屬)의 경우, 수컷은 가슴을 땅으로 낮추고, 목을 앞으로 뻗고, 등의 깃털을 부풀려 평소보다 크게 보이게 한다. 정면에서 보면 새의 등 전체가 보이고 꼬리 밑 덮깃이 드러나는데, 이 자세는 레아가 사용하는 자세와 유사하다.[7] 암컷은 의식의 일환으로 발로 땅을 긁는다.[27]

타조목 조류는 항상 땅에 둥지를 틀며, 개활지, 관목 근처, 관목 덤불, 빽빽한 풀숲, 숲에서는 나무 기둥 뿌리 부분의 버팀뿌리 사이에 둥지를 튼다. 고지대 타조목 조류는 가파른 경사면의 움푹 들어간 곳이나 바위 아래에 둥지를 튼다는 점에서 독특하다.[7] 많은 종은 둥지를 짓지 않고 얇은 잎 깔개 위에 알을 낳는다. 다른 종들은 둥지를 짓고 정성스럽게 만든다. 화려한 타조목 조류의 둥지는 잔디 위에 둥글게 잔디로 만들어진다. 수컷 덤불 타조목 조류는 교미가 일어나면 둥지를 파기 시작하며, 여러 개의 둥지를 만들 수 있지만 하나만 사용한다.[7]

도요타조 암컷은 여러 개의 을 낳는데, 암컷은 다른 짝을 찾으러 떠나고 수컷이 알을 품는다. 대형 종은 3~4일마다 한 개의 알을 낳는 반면, 소형 종은 매일 알을 낳는다. 암컷은 번식기 동안 여러 개의 둥지에 알을 낳는다.[7] 한 알 덩어리에는 최대 16개의 알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여러 암컷이 같은 둥지에 알을 낳기 때문이다. 더 성숙한 수컷은 더 많은 암컷을 유인하며 최대 4마리 암컷의 알을 품을 수 있다. 잡색티나무와 장식티나무는 암컷 한 마리만 둥지를 짓고 따라서 둥지당 한두 개의 알만 낳는다. 이것은 서식지의 먹이 부족과 그에 따른 한두 마리의 새끼만 돌볼 수 있는 능력 때문일 수 있다.

알은 상당히 진한 색을 띠며, 보통 단색이고 도자기처럼 단단하고 광택이 있다. 색깔은 종에 따라 다르며 녹색, 보라색, 남색, 청록색, 강철 회색, 초콜릿색, 레몬색 등이 있다. 흰색은 드물지만 존재한다. 알은 낳았을 때는 밝고 화려한 색깔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래고 탁해진다. 예를 들어 붉은날개티나무의 알은 보라색에서 납빛으로 바랜다. 대부분의 도요타조 알은 반점이나 얼룩이 없는 단색이지만, ''Tinamotis'' 종의 알에는 작은 흰색 반점이 있을 수 있다.

알은 암컷의 몸무게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만, 가장 큰 새의 알조차도 가장 작은 종의 알과 크기가 매우 유사하다. 알의 모양은 구형 또는 타원형이며, 양 끝의 모양이 비슷하여 구분하기 어렵다. 알껍데기는 얇아서 그 안의 배아를 볼 수 있다.

알락달꿩속(Crypturellus)의 경우 가장 작은 종의 알은 약 16일 동안, 큰알꿩속(Tinamus)과 꼬마알락달꿩속(Eudromia)의 경우 19~20일 동안 포란한다.[7] 이 기간 동안 수컷은 일반적으로 조용하며, 울더라도 둥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운다. 수컷은 포란하는 동안 먹이를 먹으러 둥지를 떠나며, 45분에서 5시간까지 자리를 비울 수 있는데, 떠나기 전에 알을 덮어 놓는다.[7] 포란하는 동안 수컷은 주로 움직이지 않고, 잠재적인 위험으로부터도 움직이려 하지 않는다. 사람 관찰자가 다가가서 포란 중인 수컷을 만져도 명백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일부 종은 몸을 땅에 바짝 붙이고 목을 뻗고 등을 공중으로 들어 올린다. 이 자세는 마치 식물처럼 보이게 하지만, 과하면 알이 뒤에서 보이게 된다.[7]

만약 수컷이 둥지를 떠날 만큼 충분히 놀라면, 유인 행동을 시도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킬디어와 유사한 위장 부상 행동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수컷은 한쪽 다리로 깡충깡충 뛰며 날아오르려고 하지만 항상 넘어진다. 알이 부화하지 않았거나 새끼가 날아다닐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자라지 않았을 때 이 행동을 한다. 일반적으로 알락달꿩류는 다른 조류만큼 유인 행동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여겨진다.[7]

사육 중인 어린 파랑날개티나무


병아리는 빽빽한 솜털 깃털을 가지고 동시에 부화하며, 위장을 돕기 위해 흰색, 회색 또는 노란색에 어두운 반점이 있다.[7] 새끼들은 조숙한 새끼이며, 부화하자마자 거의 달릴 수 있다. 알이 부화한 직후 수컷은 둥지를 떠나 부드러운 접촉 소리로 새끼들을 부른다. 위협을 받으면 얼어붙어 날개나 배 아래에 새끼들을 숨기려고 한다. 암컷이 새끼를 돌보는 경우가 기록되어 있는데, 수컷이 죽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7] 어린 병아리는 처음 며칠 안에는 스스로 먹이를 먹을 수 있지만, 수컷은 먹이를 가져와 그 앞에 땅에 떨어뜨린다. 병아리는 초기 사망률이 높다. 그러나 며칠 안에 스스로 곤충을 잡고, 1~3주 후에는 지면에서 1m 떨어진 나뭇가지까지 날아갈 수 있다.[7] 20일 이내에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다.[6]

20일이 지나면 어린 회색가슴티나무는 성체 크기에는 이르지만, 성체 무게에는 이르지 못한다. 점무늬노추라는 성체 무게의 10%에서 85일 이내에 90%로 성장하며, 붉은날개티나무는 108일 만에 그렇게 된다. 성적 성숙은 1년령에 이루어지지만, 어떤 종은 생리학적으로 57일 만에 성숙할 수 있다. 그러나 새가 성공적으로 번식하기 전에 어떤 행동을 배워야 할 수도 있다.[7]

한배의 새끼를 돌보는 것이 끝나면, 수컷은 번식기가 지속될 경우 다른 암컷을 찾아 다시 번식 과정을 시작한다. 연구에 따르면 번식하는 암컷 점무늬노추라의 54~62%가 1년생 새이다.

번식 방식은 난생이다.[34] 혼인 방식은 주로 일부다처제이다.[34] 땅의 움푹 들어간 곳에 직접 산란하거나, 움푹 들어간 곳에 풀이나 나뭇가지를 깐 둥지에 알을 낳는다.[34] 1~12개의 알을 낳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여러 개체가 산란한 수라고 생각된다.[34] 하나의 둥지에 여러 마리의 암컷이 산란하는 경우도 있으며, 한 마리의 암컷이 여러 개의 둥지에 산란하는 경우도 있다.[34] 수컷만이 포란·육추를 한다.[35][36]

5. 인간과의 관계

티나무는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민속과 역사에 깊이 자리 잡고 있다. 브라질콜롬비아의 열대 우림 부족들은 재규어가 큰티나무의 울음소리를 모방하여 사냥한다고 믿는다. 과히보족의 이야기에는 티나무 울음소리를 찾아 카누 여행을 떠난 젊은이가 재규어의 공격을 받을 뻔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파나마에는 대홍수 이후 큰티나무가 무지개에 놀라 숲 속으로 도망쳤다는 전설이, 브라질에는 붉은날개티나무와 물결무늬티나무가 다툰 후 헤어졌다는 전설이 있다.

20세기 동안 티나무를 전 세계 여러 지역에 도입하려는 시도가 많았으나 대부분 실패했다. 붉은날개티나무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주에 재도입되었고, 프랑스, 독일, 헝가리 등에서도 도입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미국에서도 여러 차례 도입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이스터섬에 도입된 칠레티나무는 성공했지만, 1928년 칠망고카라카라가 도입된 이후 개체 수가 번성하지 못했다.[27]

몇몇 티나무 종은 사육 환경에서 잘 번식하지만, 성공적으로 가축화된 적은 없다. 붉은날개티나무는 프랑스, 영국, 벨기에, 덴마크 등에서 사육되었고, 일부 ''Crypturellus'' 종은 리우그란데두술에서 사냥을 위해 사육되고 있다. 미나스제라이스의 작은부리티나무는 가축화에 유망한 것으로 보인다.[27]

몇몇 종은 농업에 적응하여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Nothoprocta'' 속의 일부 종은 해충을 잡아먹기도 한다.[7] 티나무목은 가장 연구가 부족한 조류 목 중 하나이며, 2003년에 최초의 티나무 관련 학술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26] 서식지에서는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산림 벌채나 농지 개발, 화전 경작, 사냥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도 있다.[36]

5. 1. 보존 상태

티나무과의 보존 상태를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 많은 종이 아마존 분지나 안데스 산맥의 외딴 지역에 서식하며, 조류학자들조차 거의 주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들의 보호색과 행동 때문에 종종 그 존재가 눈에 띄지 않는다. 상당수의 종이 아마존에 서식하며, 이들 중 대부분의 서식 범위는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종은 현재로서는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될 정도로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지는 않다.[7]

주요 위협 요인은 서식지 파편화와 파괴이다.[6] 이들은 서식 범위 전역에서 사냥되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흔한 종의 개체군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거나 국지적인 영향만 미친다.[6] 농약은 초원과 농경지 전역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27]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7종의 티나무를 취약종으로, 7종을 준위협종으로 분류한다.[30] 솔리테어 티나무는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다.[26]

난쟁이 찌르레기는 목축 관리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숲 찌르레기류에게 가장 큰 위협은 삼림 벌채이다. 신열대 지역 숲은 농작물 재배, 목초지 조성 또는 목재 농장을 위한 대규모 벌채로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 이렇게 개간된 토지의 상당 부분은 영양분이 부족하여 몇 년 후에는 새로 개간된 토지로 옮겨가 버려진다. 그 결과 숲 서식종들은 적응하거나, 서식지를 옮기거나, 멸종될 수밖에 없다.[7] 숲뿐만 아니라 안데스 산맥 고지대와 파타고니아를 제외한 중남미의 대부분의 서식지는 위협받고 있다. 안데스 산맥의 고산 초원이 과거에는 엘핀 숲이었을 것이라는 추측과 함께 식생 역사에 대한 논란이 있다.[7]

난쟁이 찌르레기는 브라질 동부의 개방된 평원에 서식하지만, 남은 개체 수는 1만 마리 미만이다. 아르헨티나파라과이의 초원에서 이전 서식 범위에서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의 세라도 초원에서는 농업 및 경제 개발로 인해 작은 노투라의 개체 수도 1만 마리 미만으로 감소했다. 특히 들판을 태우는 관행은 초원 찌르레기류에 매우 해롭다. 예를 들어, 난쟁이 찌르레기는 연기에 취해 포식자에게 취약해진다.[7] 더욱이, 번식기 동안 불이 나면 알이나 새끼가 타 죽는다.[27]

브라질, 파라과이, 아르헨티나의 대서양 숲에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고독한 찌르레기는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위협받고 있다.[7] 남아메리카 북부의 운무림에는 검은 찌르레기가 1만 마리 미만 남아 있다. 테푸이 찌르레기의 서식지는 베네수엘라 운무림의 소수의 고원 정상으로 제한되어 있어 어떤 위협에도 매우 취약하다.[7]

점무늬꼬마타조는 여전히 광범위하게 사냥되고 있다.


도요타조는 오랫동안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에서 인기 있는 사냥감 조류였으며, 일부 종의 개체 수가 감소할 정도였다. 초원 조류는 숲속 조류처럼 숨어 달아나지 않고 날아오르기 때문에 사냥하기에 더 인기가 있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는 사냥으로 인해 도요타조 전체 개체 수가 대량으로 감소했으며, 우아한 볏타조와 점무늬꼬마타조(Spotted Nothura)가 인기 사냥감이었다. 1921년 아르헨티나는 도요타조를 포함한 여러 조류 종의 상업적 사냥 규제를 촉구했다.

1890년부터 1899년까지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만 1800만 마리의 도요타조가 식육 시장에서 판매되었다.[7] 북아메리카에서는 "남아메리카 산토끼"로도 판매되었다. 단 한 번의 수송에 36만 마리의 조류가 포함된 적도 있었다.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프랭크 채프먼(Frank Chapman)은 이러한 착취의 속도와 종 개체 수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7] 결국 미국은 이 조류의 수입을 금지했다.

사냥의 압력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그 수준은 감소했다. 예를 들어, 불법 사냥을 제외하고 매년 2만 5천~4만 마리의 점무늬꼬마타조가 합법적인 사냥으로 사살된다. 일부 초원 종의 서식 범위와 개체 수는 증가했지만, 개를 이용한 사냥으로 인해 여전히 취약한 상태다. 원주민들 또한 고기를 얻기 위해 도요타조를 사냥하며, 그들의 울음소리를 흉내내어 올가미나 덫으로 잡는다. 세아라의 7인 가족은 1년에 60마리의 점무늬꼬마타조를 소비한다.[27] 도요타조 종은 아메리카에서 생계형 사냥으로 가장 흔하게 사냥되는 조류 중 하나이다.[26]

일부 종은 불법 사냥 또는 밀렵에 매우 취약하다. 브라질에서는 밤에 횃불을 이용한 불법 사냥이 이루어진다. 번식기 동안 울음소리를 흉내내는 피리를 사용하여 조류를 유인하면 지역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반적으로 지속 가능한 사냥을 보장하기 위한 적절한 통제가 부족하며, 기존 규정을 시행할 자원과 의지도 부족하다.[7]

서식지에서는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산림 벌채나 농지 개발, 화전(火田) 경작에 의한 서식지 파괴, 사냥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도 있다.[36]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Unexpected diversity of ratites (Aves, Palaeognathae) in the early Cenozoic of South America: palaeobiogeographical implications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Whole-genome phylogenomics of the tinamous (Aves: Tinamidae): comparing gene tree estimation error between BUSCOs and UCEs illuminates rapid divergence with introgression 2024-01-23
[21] 논문
[22] 웹사이트 Taxonomic lists- Aves http://www.paleofile[...] 2015-12-30
[23] 웹사이트 01 → Pᴀʟᴇᴏɢɴᴀᴛʜᴀᴇ : Sᴛʀᴜᴛʜɪᴏɴɪfᴏʀᴍᴇs, Rʜᴇɪfᴏʀᴍᴇs, Cᴀsᴜᴀʀɪɪfᴏʀᴍᴇs, Aᴘᴛᴇʀʏɢɪfᴏʀᴍᴇs, Aᴇᴘʏᴏʀɴɪᴛʜɪfᴏʀᴍᴇs, Dɪɴᴏʀɴɪᴛʜɪfᴏʀᴍᴇs, Lɪᴛʜᴏʀɴɪᴛʜɪfᴏʀᴍᴇs, Tɪɴᴀᴍɪfᴏʀᴍᴇs & Rᴇfᴇʀᴇɴᴄᴇs http://kmoksy.com/zo[...] 2015-11-30
[24] 논문 Catalogue of fossil birds 1- Archaeopterygiformes through Ardeiformes http://ufdc.ufl.edu/[...] 2015-12-30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간행물
[31] 서적 シギダチョウ目 大学書林
[32] 웹사이트 Ratites: Ostriches to Tinamous https://www.worldbir[...] 2021-05-25
[33] 웹사이트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and BirdLife International digital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https://datazone.bir[...]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and BirdLife International 2021-05-25
[34] 서적 シギダチョウ類 平凡社
[35] 서적 メジロシギダチョウ、ヒメウズラシギダチョウ、マメシギダチョウ 講談社
[36] 서적 コシジマシギダチョウ、マグダレナシギダチョウ、ペルーシギダチョウ、ハシナガシギダチョウ 講談社
[37] 저널 Phylogenomic evidence for multiple losses of flight in ratite birds http://www.pubmedcen[...]
[38] 저널 Ancient DNA reveals elephant birds and kiwi are sister taxa and clarifies ratite bird evolution 2014-05-23
[39] 저널 Parsimony and model-based analyses of indels in avian nuclear genes reveal congruent and incongruent phylogenetic signa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