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장 (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장은 도교 경전을 모아놓은 것으로, 중국 남북조 시대에 그 기원이 있으며,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편찬되었다. 5세기경 루슈징이 최초의 도장을 편찬했고, 당나라 현종은 도교 경전을 확장했다. 송나라 진종 때 두 종류의 도장이 편찬되었으며, 금나라와 원나라를 거쳐 명나라 시대인 1444년에 최종본인 《정통도장》이 제작되었다. 도교 경전은 삼동(동진, 동현, 동신)과 사보(태현부, 태평부, 태청부, 정일부)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경 - 도덕경
    《도덕경》은 노자가 지은 도가 사상의 핵심 경전으로, 도(道)와 덕(德)을 중심으로 무위자연(無爲自然)을 강조하며 유가 사상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시하고 후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판본과 해석을 통해 동서양에서 현대 사회의 지혜를 담은 문헌으로 평가받는다.
  • 도경 - 장자 (책)
    《장자》는 장자의 저작으로 알려진 도가 철학의 핵심 경전으로, 사회적 규범과 인위적인 지식을 거부하고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사상을 담아 동아시아 사상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도장 (책)
도장
언어중국어
다른 이름Daozang (로마자 표기)
경전 (經藏)
도경 (道經)
유형도교 문헌 모음
편집여러 시대에 걸쳐 편집됨
범위도교 경전, 주석, 의례, 기술, 철학 텍스트
조직삼동사보 (三洞四輔) 체계
역사적 중요성도교 연구의 핵심 자료
언어주로 한문
보관다양한 도교 사원
대학 도서관
국립 도서관
접근성학자, 연구자, 도교 신자
디지털화여러 프로젝트 진행 중
내용도교 신학, 의례, 명상, 연금술, 약초학
문화적 중요성도교 사상과 실천의 보존
영향도교 연구, 도교 실천, 중국 문화
역사
기원당나라 (618-907)
첫 번째 판본당 현종의 칙명으로 편찬
명나라 시대정통도장 (正統道藏)
만력제 시대만력속도장 (萬曆續道藏)
구성
삼동 (三洞)동진부 (洞眞部): 상청경 (上清經)
동현부 (洞玄部): 영보경 (靈寶經)
동신부 (洞神部): 삼황경 (三皇經)
사보 (四輔)태현부 (太玄部)
태평부 (太平部)
태청부 (太淸部)
정일부 (正一部)
주요 텍스트
경전도덕경
장자
황정경
주석다양한 주석가들의 해설 포함
의례도교 의례 절차 상세 기록
기술연금술, 의학, 점성술 관련 텍스트
철학도교 철학적 개념 설명
참고 문헌
연구 자료도교 연구의 기본 자료
디지털화 프로젝트도장 텍스트 디지털화 노력
관련 학자도교 연구 학자들의 연구
관련 용어
도교도교 종교 및 철학 체계
경전종교적 텍스트
삼동사보도장 분류 체계
언어별 명칭
중국어 간체道藏
중국어 정체道藏
병음Dàozàng
웨이드-자일스Tao⁴-tsang⁴
한국어도장
로마자 표기Dojang
일본어道蔵 (どうぞう, Dōzō)
베트남어Đạo Tạng

2. 역사

도장은 여러 시대를 거치며 편찬되고 개정되었다. 최초의 도장은 남북조 시대 루슈징에 의해 중국 전역의 경전과 문헌을 수집하고 분류하는 노력을 통해 471년경 약 1,228권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당나라 현종 때인 748년에는 성직자들이 더 많은 경전을 수집하여 도장이 확장되었다. 송나라 시대인 1016년경에는 기존 도장이 개정되었고 일부 당나라 시대 문헌이 제외되었으며, 이 세 번째 도장은 약 4,500권 이상으로 구성되었고 『운급칠서』로도 알려져 있다. 마지막으로 명나라 시대인 1444년에는 약 5,300권으로 구성된 최종본이 편찬되었다.

2. 1. 남북조 시대 (5세기)

남북조 시대 5세기 전반에는 강남 지방에서 삼동설이 등장하여 도교 경전이 체계화되기 시작했는데, 이를 도장(道藏) 성립의 기점으로 보기도 한다. 삼동설에 따른 경전 분류는 다음과 같다.

분류중심 경전
동진부상청경
동현부영보경
동신부삼황문



또한 이 시대에 루슈징은 중국 전역의 경전과 문헌을 수집하고 분류하는 첫 시도를 하였다. 이를 통해 471년경 약 1,228권 분량의 경전 모음이 편찬되었다.

2. 2. 당나라 (7세기 ~ 8세기)

측천무후 시대에 편찬된 『일체도경음의』는 도장의 초기 형태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후 도교를 숭상했던 현종은 개원 연간(713년~741년)에 『삼동경강』이라는 이름의 도장을 편찬하도록 명했다. 스스로 노자의 후손이라 주장했던 현종은 748년에도 성직자들을 보내 경전과 문헌을 추가로 수집하게 하여 도장의 내용을 더욱 확장시켰다.

2. 3. 송나라 (10세기 ~ 13세기)

북송 시대에는 도교 신자였던 진종 황제의 명으로 도장 편찬 사업이 진행되었다. 1016년경에는 『대송천궁보장』(『운급칠서』라고도 알려짐)과 『보문통록』이라는 두 종류의 도장이 편찬되었다. 이 중 『대송천궁보장』은 총 4,566권(다른 자료에서는 약 4,500권 이상)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이었으며, 편찬 과정에서 당나라 시대에 수집된 일부 경전이 제외되기도 했다. 『대송천궁보장』의 편찬자 장군방은 이 도장의 내용을 요약하고 발췌하여 『운급칠첨』 122권을 저술했는데, 이를 통해 당시 도장의 내용을 엿볼 수 있다.

2. 4. 금나라 (12세기 ~ 13세기)

금나라 시대에는 『대금현도보장』 6,445권이 편찬되었다.

2. 5. 원나라 (13세기 ~ 14세기)

원나라 시대에는 금나라 시대에 편찬된 『대금현도보장』 6,445권에 전진교의 주요 서적들을 추가하여 다시 편집하였다. 이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도장이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도장의 기본적인 형태가 되었다.

하지만 원나라 시대까지 편찬되었던 도장들은 대부분 전해지지 않는다. 현재 남아있는 것은 몽골 제국 시기인 1244년에 완성된 "현도보장"의 일부 몇 편뿐이며, 그 외의 도장은 오늘날 찾아보기 어렵다.

2. 6. 명나라 (15세기)

명나라 시대인 1444년, 약 5,300권으로 구성된 네 번째 도장이자 최종본이 제작되었다.

현재 통용되는 《도장》은 명나라 정통제 시대(정통 연간)에 편찬된 《정통도장》과 그 속편으로 만력제 시대에 편찬된 《만력속도장》을 합한 것이다. 현행본은 1923년부터 1926년까지 상하이 상무인서관에서 영인(影印, 원본을 사진으로 찍어 인쇄)한 함분루본(상해본) 계통을 따르고 있으며, 그 원본은 베이징시 백운관에 소장되어 있던 판본이다. 이 백운관 소장본은 청나라 도광제 25년인 1845년에 중수(重修, 낡은 것을 고침)된 것이다.

한편, 일본 궁내청 서릉부에는 정통 10년(1445년)에 간행된 《정통도장》 총 5,305권 중 1,190권이 빠진 4,115권이 소장되어 있다.[1]

3. 구성

도장의 내용은 전통적으로 삼동사보(三洞四輔)라는 체계로 분류된다. 이는 도교 경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인 분류 방식으로, 크게 삼동(三洞)과 사보(四輔)로 나뉜다. 각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설명한다.

3. 1. 삼동(三洞)

도장의 내용을 분류하는 전통적인 방식 중 하나는 삼동사보(三洞四輔) 체계이다. 여기서 삼동(三洞)은 도교 경전 분류의 핵심적인 세 부분을 가리키며, 동진부(洞眞部), 동현부(洞玄部), 동신부(洞神部)로 나뉜다. 각 부는 서로 다른 도교 경전 계통과 수행 단계를 나타낸다.

명나라 시대에 편찬된 《정통도장》은 이 삼동사보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내용을 총 12가지 종류로 더욱 세분화하였다. 이는 도장의 방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정통도장》의 12가지 분류는 다음과 같다.

분류 명칭주요 내용
본문 (本文類)삼동 경전의 핵심 텍스트
신부 (神符類)부적과 관련된 도법 및 상징
옥결 (玉訣類)경전에 대한 주석이나 해설
영도 (靈圖類)수행이나 우주론 관련 그림 및 도해
보록 (譜錄類)도교 종파의 역사와 신선 및 도사의 계보
계율 (戒律類)도교 신자들이 지켜야 할 규율 및 생활 지침
위의 (威儀類)각종 의례와 종교적 의식 절차
방법 (方法類)법술, 점술, 양생술 등 구체적인 술법
중술 (衆術類)다양한 종류의 비술 및 수행 기법
기전 (記傳類)신선이나 유명 도사의 전기 및 일화
찬송 (讚頌類)신이나 성현을 찬미하는 노래나 시
표주 (表奏類)에게 올리는 소원이나 보고 형식의 글


3. 2. 사보(四輔)


  • 태현부(太玄部): 도덕경에 기반한다.
  • 태평부(太平部): 태평경에 기반한다.
  • 태청부(太清部): 태청경 및 기타 중국 연금술 텍스트에 기반한다.
  • 정일부(正一(正乙)部): 천사도 전통에 기반한다.

4. 목록 및 색인


  • 사토 타다즈미 편 『도장경목록』(1894년)
  • 『도장경목록』, 『속도장경목록』 (『정통도장』 정일부, 제1057책)
  • 『도장자목인득』 (『하버드-옌칭 학사 인득』 25, 1942년)
  • 『도장목록상주』, 『대명속도장경목록』 (광문서국, 1975년)
  • 『정통도장목록 색인』 (예문인서관, 1977년)
  • 『도장목록상주』 (대만상무인서관, 1985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