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큐 신요코하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큐 신요코하마선은 2023년 3월 18일 신요코하마-히요시 구간이 개통된 노선이다. 신요코하마역에서 소테츠 신요코하마선을 통해 소테츠 본선 및 이즈미노선과 상호 직통 운행하며, 히요시역에서는 도큐 메구로선, 도큐 도요코선을 통해 도영 지하철 미타선,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토부 토조 본선과 직통 운행한다. 노선 거리는 5.8km이며, 신요코하마역과 히요시역을 연결하며, 도큐 5050계 4000번대, 소테츠 20000계, 도큐 3000계, 도큐 3020계, 도쿄 메트로 9000계, 도에이 6300계, 도에이 6500계, 사이타마 고속철도 2000계 등 다양한 차량이 투입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서해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은 고양시 일산역에서 안산시 원시역을 잇는 노선으로, 2018년 소사~원시 구간 개통 후 2023년 일산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향후 화성시까지 연장될 예정이나 여러 논란이 있다. - 202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스카이라인 (호놀룰루)
스카이라인은 호놀룰루의 교통 체증 완화를 위해 건설 중인 고가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지연 및 비용 초과 논란이 있다. - 도큐 전철의 철도 노선 -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덴엔토시선은 도쿄 시부야에서 가나가와 주오린칸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여러 확장을 거쳐 현재 모습이 되었으며, 도쿄 메트로 및 도부 철도 노선과 직결 운행하고, 출퇴근 시간대 혼잡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도큐 전철의 철도 노선 - 도큐 도요코선
도큐 도요코선은 도쿄 시부야역에서 요코하마역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다른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수도권 서부 교통망의 역할을 하며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고 전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 원맨 운전으로 전환되었다. - 요코하마시의 철도 - 요코하마 고속 철도
요코하마 고속철도는 미나토미라이21선 운영을 목적으로 설립된 철도 사업자로, 미나토미라이선과 고도모노쿠니선을 운영하며 여러 노선과의 직통 운전을 통해 요코하마와 도쿄 도심을 연결하고, 자체 차량기지 없이 Y000계와 Y500계 전동차를 운영하고 있지만 부채 부담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요코하마시의 철도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를 운행하는 지하철 시스템으로, 블루 라인과 그린 라인의 두 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큐 신요코하마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이름 | 도큐 신요코하마선 |
원어 이름 | 東急新横浜線 (도큐 신요코하마센) |
노선 색상 | (보라색) |
노선 기호 | SH |
상태 | 운행 중 |
위치 | 요코하마시, 가나가와현 |
기점 | 신요코하마역 |
종점 | 히요시역 |
역 수 | 3 |
개통일 | 2023년 3월 18일 |
소유자 |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 |
운영자 | 도큐 전철 |
노선 길이 | 5.8 km |
선로 수 | 2 |
궤간 | 1,067 mm |
전철화 방식 | 가공 전차선 1,500 V DC |
지도 색상 | }} 보라색 () |
기술 정보 | |
신호 장치 | ATC-P |
폐색 방식 | 차내 신호 폐색식 |
최고 속도 | 100 km/h |
차량 정보 | |
차량 기지 | 모토스미요시 검차구 가시와다이 차량 센터(소테쓰 차량) 오지 검차구(도쿄 메트로 차량) 시무라 차량 검수장(도에이 차량) 우라와미소노 차량 기지(사이타마 고속 철도 차량) |
사용 차량 | 사용 차량 섹션 참조 |
2. 역사
도큐 신요코하마선은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철도・운수기구)가 정비하는 가나가와 동부 방면선의 제2기 정비 구간인 '''소테츠・도큐 직통선'''을 구성하는 노선이다.[22][23] 도큐 다마가와선처럼 '도큐'를 포함한 '''도큐 신요코하마선'''이 정식 노선명이며, 직통 상대인 소테츠 신요코하마선도 마찬가지이다.
이 노선과 소테츠 신요코하마선은 도쿄 메트로를 제외한 대형 사철끼리 다른 회사의 노선을 지하철을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하는 노선으로, 간토에서는 처음 있는 사례이다.
신요코하마역 - 신쓰나시마역 구간에는 가산 운임이 설정되어 있다. 신쓰나시마역 - 히요시역 구간에서는 시부야역・메구로역 방면에서의 운임을 츠나시마역과 동일하게 하기 위해 가산 운임이 적용되지 않는다.[24]
영업 운전되는 열차는 20m 차량 10량 편성(토요코선 직통)과 6량 편성 및 8량 편성(메구로선 직통)이다. 2023년 3월 18일 개통 첫날부터 전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사가 열차 운전과 열차 문, 스크린도어 개폐를 하는 원맨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다.[25]
2. 1. 연혁
- 2022년(레이와 4년)
- * 1월 27일: 개통일을 2023년 3월로 정하고, 소테츠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소테츠 본선, 소테츠 이즈미노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 도큐 메구로선을 경유하여 도영 지하철 미타선 또는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사이타마 고속철도선, 및 도큐 도요코선을 경유하여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토부 토조 본선과의 직통 운전을 실시한다고 공식 발표했다.[22][23][26]
- * 7월 22일: 신요코하마역 구내에서 레일 체결식을 개최했다.[27][28]
- * 9월 16일: 역 넘버링, 정식 역명이 결정되어, 히요시역부터 순서대로 신쓰나시마역, 신요코하마역이 되었다. 도큐 신요코하마선의 노선 기호는 "SH"이다.[21]
- * 11월 3일: 2023년 3월까지 선내 시운전을 실시했다.[29]
- * 12월 16일: 개통일이 2023년 3월 18일로 공식 발표되었다.[30][31][32][33][34]
- 2023년(레이와 5년)
- * 3월 5일: 사가미 철도와 도큐 전철 사장 등이 참석하여 완성 기념식을 신요코하마역에서 개최했다.[35]
- * 3월 18일: 도큐 신요코하마선 신요코하마 - 히요시 구간이 개통되었다.[32] 신요코하마역에서 소테츠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소테츠 본선, 소테츠 이즈미노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33], 히요시역에서 도큐 메구로선을 경유하여 도영 지하철 미타선 또는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사이타마 고속철도선, 및 도큐 도요코선을 경유하여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토부 토조 본선과의 사이에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다.[22][30] 원맨 운전을 시작했다.[25]
- 2024년(레이와 6년)
- * 1월 20일: 메구로선을 포함한 히요시역에서의 열차 정지 위치를 신요코하마역 측으로 변경했다.[36]
- * 3월 16일: 개통 이후 첫 번째 다이어 개정을 실시. 평일 이른 아침 시간대의 메구로선 직통 열차의 각역 정차 운행 횟수를 1회 증발 및 낮 시간대의 운행 횟수를 6회에서 8회로 증발했다.[37]
3. 노선 정보
요코하마선(JH16)
도큐 도요코선(기쿠나, 요코하마 및 미나토미라이선 방면)(TY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