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자유민주당 (동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자유민주당(LDPD)은 동독에서 활동한 정당으로, 1945년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독일 민주당 재건 시도로 시작되었다. 사유 재산을 지지하고 반공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나, 소련의 영향력 아래에서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의 위성 정당으로 전락했다. 1967년부터 만프레트 게를라흐가 당수를 맡아 1980년대에 SED와 거리를 두는 움직임을 보였으며, 1990년 동독 자유 선거에서 자유민주동맹을 결성하여 21석을 얻었다. 이후 서독의 자유민주당(FDP)에 흡수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독의 정당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동독)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동독)은 2차 대전 후 소련 점령 지역에서 결성되어 초기 서독 기민련과 유사했으나 사회주의통일당의 영향으로 위성 정당화, 이후 민주화 운동 참여와 노선 전환, 자유 선거 압승을 거쳐 독일 통일에 기여했으며 통일 후 서독 기민련에 흡수 통합되었다. - 동독의 정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은 1946년 독일 소련 점령 지역에서 독일 공산당과 독일 사회민주당의 강제 합병으로 창당되어 동독을 통치하며 소련식 사회주의 노선을 고수했으나 1980년대 후반 권력을 상실하고 민주사회당으로 전환되었다. - 1990년 해산된 정당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은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에 의해 창당되어 김영삼이 총재를 맡았으며,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하고 1988년 총선에서 59석을 얻었으며, 1990년 민주자유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했다. - 1990년 해산된 정당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은 전두환을 총재로 추대하여 창당, 1980년대 집권 여당으로 군림하다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에 흡수된 정당이다. - 1946년 설립된 정당 - 남조선로동당
남조선로동당은 1946년 결성된 남한의 좌익 정당으로, 이승만 정부 수립에 반대하며 테러와 게릴라전을 전개하다가 대한민국에서 소멸했다. - 1946년 설립된 정당 - 천도교청우당
천도교청우당은 1919년 김기전에 의해 창당되어 해방 후 소련군정의 인가를 받아 재조직되었으나, 한국 전쟁 이후 조선로동당의 지배 아래 놓여 현재는 위성정당으로서 대남 선전 및 최고인민회의 대표 파견 역할을 수행하며 당원들은 국가 안전 기관의 감시 대상이 된다.
독일 자유민주당 (동독)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당 이름 | 독일 자유민주당 |
로마자 표기 | Liber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 |
약칭 | LDPD |
역사 | |
창당 | 1945년 7월 5일 |
해산 | 1990년 3월 27일 |
합병 대상 | 자유민주당 |
이전 정당 연합 | 민주 블록 (1945–1950) 국민 전선 (1950–1990) 자유민주당 협회 (1990) |
주요 인물 | |
초대 당 대표 | 발데마르 코흐 |
마지막 당 대표 | 라이너 오르틀레프 |
조직 | |
본부 | 동베를린, 동독 |
당원 수 | 106,000명 (1987년) |
청년 조직 | (정보 없음) |
신문 | 데어 모르겐 |
이념 및 정치적 위치 | |
이념 | 자유주의 (1945–1949, 1989–1990) 자유 사회주의 (1950–1988) |
정치적 위치 | 중도 (1945–1949, 1989–1990) 중도좌파 (1950–1988) |
기타 정보 | |
국제 | (정보 없음) |
유럽 의회 | (정보 없음) |
유럽 정당 | (정보 없음) |
상징색 | 검은색, 빨간색, 노란색 (국기 색) |
![]() |
2. 창당 배경 및 초기 역사 (1945-1948)
1945년 6월 16일, 발데마르 코흐와 그의 장인 오이겐 쉬퍼가 이끄는 베를린 기반 단체가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독일 민주당을 재창당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당의 역사가 시작되었다.[2][3] 초기에는 기독교 민주 연합(CDU)과 함께 중도 우파 성향의 민주 정당 창당을 논의했으나, 이는 곧 폐기되었고 1946년 7월 5일 공식 창당 전에 당명을 자유민주당(Liberal-Demokratische Partei|리베랄-데모크라티셰 파르타이de, LDP)으로 정했다.[3]
자유민주당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의 독일 민주당, 독일 인민당, 독일 국가인민당 출신 인사들을 통합하고자 했다. 사유 재산을 옹호하고 주요 사기업의 국유화에 반대했으며, 반파시즘 노선을 견지하면서도 당시 동독의 신생 정당들 중 가장 강한 반공주의 성향을 보였다.
2. 1. 창당 주도 세력 및 이념
1945년 6월 16일, 발데마르 코흐와 그의 장인 오이겐 쉬퍼가 이끄는 베를린을 기반으로 한 단체가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독일 민주당을 재건하기 위해 활동을 시작하면서 당의 역사가 시작되었다.[2][3] 코흐가 창립 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빌헬름 튈츠가 부의장을 맡았으며, 작가 프란츠 자베르 카푸스도 이사진에 참여했다.[2][3] 초기에는 기독교 민주 연합(CDU)과 함께 중도 우파 성향의 민주 정당을 공동으로 창당하는 방안도 논의되었으나, 이 구상은 곧 폐기되었다. 당명은 1946년 7월 5일 공식 창당 이전에 자유민주당(Liberal-Demokratische Parteide, LDP)으로 확정되었다.[3]자유민주당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의 독일 민주당, 독일 인민당, 독일 국가인민당 출신 인사들을 폭넓게 아우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동독의 기독교 민주 연합(CDU)과 마찬가지로 사유 재산 제도를 옹호하고 주요 사기업의 국유화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한 반파시즘(반나치즘) 노선을 견지하면서도, 당시 동독에서 활동하던 신생 정당들 중에서는 반공주의 성향이 가장 뚜렷한 편이었다.
그러나 창당 초기 내부 갈등과 소련 당국의 압력으로 인해, 1945년 11월 코흐는 의장직에서 물러나고 상대적으로 소련에 유화적인 빌헬름 튈츠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1946년 소련 점령 지역에서 마지막으로 자유롭게 치러진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독일 사회주의통일당(SED)과 기독교 민주 연합(CDU)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1948년 말, 사회주의통일당(SED)의 권력 장악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던 시기에 자유민주당의 당원 수는 20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 중 23%가 25세 미만의 젊은 층이었다.
2. 2. 소련 점령 지역 내 활동 및 한계
소련 군정 하에서 자유민주당의 활동은 제약을 받았다. 내부 갈등과 소련 당국의 압력이 겹치면서, 1945년 11월에는 당수였던 발데마르 코흐가 물러나고 상대적으로 소련에 유화적인 빌헬름 튈츠로 교체되었다.1946년에 치러진 마지막 자유 선거에서는 SED와 CDU에 이어 3위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1948년 말, SED의 권력 장악 시도가 노골화되면서 이에 대한 반발이 커지자 자유민주당의 당세는 오히려 확장되었다. 이 시기 당원 수는 20만 명을 넘어섰으며, 특히 25세 미만 청년 당원이 전체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젊은 층의 지지를 받았다.
2. 3. 범독일 자유주의 정당 결성 시도 (1946-1948)

1946년 7월, 자유민주당(LDP)은 서부 지역의 자유주의 정당들과 함께 범독일 자유주의 정당인 독일 민주당(DPD) 결성을 목표로 공동 조정위원회를 설립했다. DPD 창당은 1947년 3월 17일 로텐부르크 옵 데어 타우버에서 열린 회의로 시작되었다. 이 회의에서 동독 LDP의 빌헬름 횔츠와 서부 자유주의자들을 대표한 테오도어 호이스가 공동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 시도는 빌헬름 횔츠가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의 후원을 받는 독일 인민 회의에 참여하면서 빠르게 어려움에 직면했다.
1948년 1월 18일에 열린 DPD 통합 지도부 회의에서 통합 논의는 최종적으로 결렬되었다. 테오도어 호이스는 회의에 불참한 횔츠와, LDP가 횔츠의 친SED 행보에 대해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호이스는 이를 LDP가 사실상 '독일 통일에 대한 소련의 구상'을 따르고 있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이에 LDP 대변인 아르투어 리우테넌트는 이러한 상황과 동독 자유주의자들에게 가해지는 비난 속에서 더 이상 서부 정당과의 협력이 불가능하다고 선언했다. 이로써 범독일 자유주의 정당 결성 시도는 완전히 무산되었다.
3. 위성정당화와 동독 시기 (1949-1989)
1949년 동독 수립 이후, 자유민주당(LDP)은 다른 합법 정당들과 마찬가지로 국민전선의 블록 정당( Blockparteide )으로 편입되었다. 이는 소련의 영향력 아래 집권당인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이 주도하는 정치 체제에 동화되는 과정이었다. 당은 본래의 자유주의 이념을 사실상 포기하고 SED의 정책을 지지하는 위성 정당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반공 성향 당원들이 서방으로 추방되고 친소련 성향의 인물들이 당 지도부를 장악하면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당명 또한 SED의 정책에 따라 1951년 '''독일 자유민주당'''(LDPD)으로 변경되는 등, 당의 운영 전반이 SED의 통제 하에 놓였다. 비록 인민의회 의장을 배출하고 당 기관지 ''데어 모르겐''을 발행하는 등 형식적인 활동은 유지했으나, 실질적으로는 SED의 헤게모니를 벗어나지 못하는 위성정당의 지위에 머물렀다.
3. 1. SED의 영향력 확대와 이념 변화
소련 점령 지역에서 소련의 지원 아래 독일 공산당(KPD)과 독일 사회민주당(SPD)이 통합되어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이 결성되면서 그 영향력이 점차 커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유민주당 내 반공주의 성향의 지도부와 당원들은 서방으로 추방되었고, 친소련 및 용공 성향으로 평가받는 빌헬름 퀠츠( Wilhelm Külzde )가 새로운 당수로 자리 잡았다.
1949년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이 수립되고 인민 민주주의 체제가 공고화되면서, 자유민주당은 다른 합법 정당들과 마찬가지로 SED가 주도하는 국민전선의 블록 정당(Blockpartei)으로 편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당은 본래의 자유주의 이념을 포기하고 사실상 SED의 위성 정당으로서 "조력자"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는 서독의 자유민주당(테오도어 호이스가 이끌던)과의 합당 시도가 무산된 이후 더욱 뚜렷해졌다.
한편, 소련군과 사회주의통일당은 자유민주당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구 나치당 출신 인사들을 기반으로 독일 국가민주당(NDPD)을 창설하기도 했다. LDP와 NDPD는 결과적으로 유사한 사회 계층을 지지 기반으로 삼게 되었다.
SED의 정책적 요구에 따라, 1951년 10월에는 당시 SED가 추진하던 범독일 통일 선전의 일환으로 기존의 당명인 '''자유민주당'''(Liberal-Demokratische Partei, LDP)에 '독일'(Deutschlands)을 의미하는 'D'를 추가하여 '''독일 자유민주당'''(Liber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 LDPD)으로 변경해야 했다.
3. 2. 인민의회 내 활동
1949년 이후, 독일 자유민주당(LDPD)은 다른 동독의 정당들과 마찬가지로 국민전선의 블록 정당(Blockpartei)으로 편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당은 본래 추구했던 자유주의 이념을 사실상 포기하고, 동독의 집권당인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의 정책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LDPD는 인민의회에서 의석을 할당받아 형식적인 세력을 유지했으나, 당국이나 SED의 정책에 실질적인 반대 목소리를 내지는 않았다.LDPD 당원이었던 요하네스 디크만은 1949년부터 1969년까지 인민의회 의장을 역임했으며, 이 기간 동안 당연직으로 동독 부통령직을 겸했다.
당의 중앙 기관지로는 일간 신문 ''데어 모르겐''("아침")을 발행했다.
3. 3. 만프레트 게를라흐 당수 시기 (1967-1990)

만프레트 게를라흐는 1967년부터 1990년 사임할 때까지 자유민주당의 의장이었다. 게를라흐는 처음에는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의 충실한 파트너였지만, 1980년대에 들어 독립적인 노선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자유민주당(동독)은 공산권의 다른 (명목상) 자유주의 정당들과 접촉했다: 폴란드 민주당 (Stronnictwo Demokratyczne|스트론니츠트보 데모크라티치네pol, SD), 체코슬로바키아 사회당 (Československá strana socialistická|체스코슬로벤스카 스트라나 소치알리스티츠카ces, CSS),[4] 베트남 민주당, 그리고 조선사회민주당.[5] 서독의 자유민주당(FDP)과도 접촉을 유지했으며,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제한적인 소통이 있었지만, 1980년대에 관계가 개선되었다.[6]
1990년 2월 9일부터 10일까지 드레스덴에서 열린 임시 당대회에서 진정한 자유주의 정책으로 돌아갔고 당명에서 "독일(D)"을 삭제했다. 1990년 2월 12일, 이 당은 자유민주주의자 연합에 가입했으며, 이는 1990년 8월 11일에 자유민주당(FDP)으로 최종적으로 합병되었다.
4. 동독 민주화와 서독 FDP로의 통합 (1989-1990)
1989년 동유럽 혁명과 베를린 장벽 붕괴는 동독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독일 자유민주당은 이 시기 민주화 요구에 동참하며 변화의 흐름에 합류했다. 당시 당수였던 만프레트 게를라흐는 과도기 동독의 국가평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어 잠시 국가 원수직을 수행하기도 했다.
1990년 3월 18일 실시된 동독 최초의 자유 선거인 인민의회 선거를 앞두고, 당명을 LDP로 되돌린 후 다른 자유주의 성향 정당들과 함께 자유민주동맹(Bund Freier Demokraten, BFD)을 결성하여 선거에 참여했다. 선거 이후 독일 재통일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BFD는 1990년 8월 11일 서독의 자유민주당(FDP)에 흡수 통합되었다.
4. 1. 베를린 장벽 붕괴와 민주화 운동

동독 시절 독일 자유민주당은 인민의회 500석 중 52석을 할당받아 형식적인 정치 참여를 보장받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집권당인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의 정책에 반대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1967년 만프레트 게를라흐가 당수가 된 이후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당 지도부와 미묘한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동유럽 혁명과 베를린 장벽 붕괴라는 격변의 시기에 더욱 뚜렷해졌다. 독일 자유민주당은 다른 정치 세력에 비해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에리히 호네커의 독재 체제에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하며 민주화 요구에 힘을 보탰다. 이러한 활동의 결과로 당수였던 만프레트 게를라흐는 과도기 동독의 국가평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어 국가 원수직을 수행하기도 했다.
4. 2. 1990년 자유 선거와 자유민주연합
동독 최초이자 마지막 자유 선거가 된 1990년 3월 18일의 인민의회 선거에서는 당명을 LDP(Liberal-Demokratische Partei)로 되돌린 후, 별개의 정당인 '동독 자유민주당'(Freie Demokratische Partei der DDR), 독일 포럼당(시민 운동 단체인 신 포럼의 반공 보수파가 조직한 정당)과 함께 '자유민주연합'(Bund Freier Demokraten, BFD)을 결성하여 선거에 참여했다. 이 선거에서 BFD는 5.3%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21석을 획득했다.선거 이후, BFD를 결성했던 다른 정당 및 동독의 독일 국가민주당과 함께, 1990년 8월 11일에 서독의 자유민주당에 독일 재통일을 앞두고 흡수 합병되었다.
4. 3. 서독 FDP로의 흡수 통합
1990년 3월 18일 인민의회 선거 이후, LDP가 참여했던 선거 연합인 자유민주동맹(Bund Freier Demokraten, BFD)은 독일 국가민주당과 함께 1990년 8월 11일, 독일 재통일에 앞서 서독의 자유민주당(FDP)에 흡수 합병되었다.5. 역대 당수
재임 기간 | 이름 | 원문 표기 | ||||||||||||||||||||||||||||||||||||||||||||
---|---|---|---|---|---|---|---|---|---|---|---|---|---|---|---|---|---|---|---|---|---|---|---|---|---|---|---|---|---|---|---|---|---|---|---|---|---|---|---|---|---|---|---|---|---|---|
1945년 | 발데마르 코흐 | {{lang|deu|Waldemar Koch|} | }
선거 | 득표 | % | 의석 | ± |
---|---|---|---|---|
1949년 | 민주 블록의 일환 | 45 / 330 | – | |
1950년 | 국가 전선의 일환 | 60 / 400 | ▲ 15 | |
1954년 | 45 / 400 | ▼ 15 | ||
1958년 | 45 / 400 | – | ||
1963년 | 45 / 434 | – | ||
1967년 | 45 / 434 | – | ||
1971년 | 45 / 434 | – | ||
1976년 | 45 / 434 | – | ||
1981년 | 52 / 500 | ▲ 7 | ||
1986년 | 52 / 500 | – | ||
1990년 | 자유 민주 연합과 함께 | 5.3% | 10 / 400 | ▼ 42 |
참조
[1]
서적
Staatssozialismus und gesellschaftliche Differenzierung: eine empirische Studie
LIT Verlag Münster
2006
[2]
서적
Die FDP: Geschichte, Personen, Organisation, Perspektiven. Eine Einführung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12-12-06
[3]
서적
Sowjetische Militärtribunale
https://books.google[...]
Böhlau Verlag Köln Weimar
2001
[4]
문서
[5]
서적
Die "befreundeten Parteien" der SED
1988
[6]
서적
Die "befreundeten Parteien" der SED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