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음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적은 고기를 꼬챙이에 꿰어 굽거나 지진 한국 전통 음식으로, 맥적에서 유래되었다. 산적, 누름적, 통구이, 지짐 등으로 나뉘며, 재료와 조리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산적은 쇠고기, 채소, 해산물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며, 누름적은 달걀물을 입혀 지진 음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석 음식 - 송편
송편은 쌀가루 반죽에 소를 넣어 솔잎과 함께 찐 떡으로, 추석 차례상에 오르는 대표 음식이며, 솔잎은 떡이 붙는 것을 막고 향과 살균 효과를 더하고, 백제 설화와 관련되어 반달 모양으로 빚으며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와 소를 사용한다. - 추석 음식 - 밴새
밴새는 주로 북한과 중국 옌볜에서 먹는 음식으로, 북한에서는 추석에 잎 가루 반죽에 소를 넣어 쪄 먹고, 옌볜에서는 춘절에 나물 만두 형태로 먹으며, 찹쌀가루 등으로 만들어 다양한 방식으로 섭취하는 한편, 대중문화에서 기괴한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 설날 음식 - 떡국
떡국은 얇게 썬 흰 떡을 장국에 넣어 끓인 한국의 전통 음식이며, 새해 첫날에 먹고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설날에 조상에게 올리는 음식이다. - 설날 음식 - 만두국
만두국은 고려 시대 중앙아시아에서 유래하여 조선 시대에 상화나 교자 등으로 불렸으며, 특히 평안도와 함경도에서 발달하여 현재는 다양한 육수와 만두를 넣어 일상과 명절에 즐겨 먹는 한국의 대중적인 국 요리이다. - 한국의 고기 요리 - 고기구이
고기구이는 고기를 불이나 불판에 익혀 먹는 조리법 또는 음식으로, 한국에서는 고구려 시대부터 맥적, 너비아니 등의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야키니쿠의 기원이 되었고, 현재는 삼겹살, 갈비 등으로 외식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건강, 환경, 동물 복지 논란도 있다. - 한국의 고기 요리 - 산적
산적은 고기, 생선, 채소 등을 양념하여 꼬챙이에 꿰어 구운 한국 요리로, 주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꼬치에 꿰지 않는 유사한 음식도 있다.
적 (음식)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적 |
국가 | 한국 |
나라별 요리 | 한국 요리 |
종류 | 꼬치 구이/지짐 |
표준국어대사전 링크 (적) | 적 |
표준국어대사전 링크 (오적) | 오적 |
2. 어원
'적'은 '맥적(貊炙)에서 유래했다. 이 음식은 중국 진나라 시대에 쓰여진 수신기(搜神記)에 언급되어 있다. 여기서 '맥'(貊)은 현대 한국인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예맥족을 지칭한다. 수신기에서는 "강(羌)나라 삶은 음식과 맥적은 오랑캐의 음식이다. 태초 이래 중국에서도 귀족과 부자들이 이를 귀하게 여겼다"라고 언급하며, 여기서 맥적은 '예맥 구이'를 의미한다.[2] 또 다른 기록인 석명(釋名)에 따르면 "맥적은 돼지를 통째로 구운 것으로, 식사에 참여하는 각자가 칼로 고기를 잘라 먹는 방식이다. 이는 예맥에서 유래했다."라고 한다.[3]
적은 사용되는 재료와 조리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크게 꼬치에 꿰어 굽는 방식, 통째로 굽는 방식, 지져서 만드는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대 시대의 '맥적'에 대한 묘사는 현재의 불고기와는 다르지만, 일부에서는 '맥적'이 궁극적으로 현대의 '불고기'로 발전했다고 추정한다.[4]
3. 종류
꼬치에 꿰어 굽는 방식에는 산적, 누름적 외에도 굴적, 낙지적, 마늘적, 묵적, 소적, 어적, 육적, 간적, 설적 등이 있다. 통째로 굽는 방식에는 닭적, 생선적, 북어적 등이 있으며, 지져서 만드는 방식에는 두부적, 미나리적, 사슬산적, 생이적, 섭산적, 소하적, 장산적, 족적, 합산적 등이 있다.
3. 1. 산적
쇠고기 등 고기와 다른 재료를 길쭉길쭉하게 썰어 양념한 뒤 대꼬챙이에 꿰어 구운 음식이다.[8] 재료와 조리법에 따라 산적, 누름적 및 기타 변형으로 나뉜다. 산적의 세 가지 주요 범주는 생선, 채소, 고기이다.
산적에 들어가는 채소에는 파, 당근, 도라지, 특히 버섯이 있다.[5] 산적은 채소부터 고기까지 여러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영양의 균형이 뛰어나며, 많은 한국 요리와 달리 밥을 포함하지 않는다.
3. 2. 누름적
고기나 도라지 등을 꼬챙이에 꿴 후 달걀물을 씌워 번철이나 프라이팬 등에 지져서 만든 적은 '''누름적'''이라고 부른다.[8]
3. 3. 통구이
3. 4. 기타
참조
[1]
서적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Culture - 233 traditional key words
https://archive.org/[...]
Hakgojae Publishing Co
[2]
서적
搜神記
https://books.google[...]
朔雪寒
[3]
서적
胡馬渡陰山: 活躍於漢人歷史的異族
https://books.google[...]
知書房出版集團
[4]
웹사이트
Bulgogi or Neobiani (broiled beef)
http://english.tript[...]
2010-06-08
[5]
웹사이트
Making Sanjeok
https://www.koreatim[...]
[6]
웹인용
적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08-11
[7]
웹인용
오적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8-08-30
[8]
뉴스
(38) 고려와 이슬람의 만남
http://www.hani.co.k[...]
한겨레
2005-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