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오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콘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트로이의 사제였다. 그는 트로이 목마가 그리스군의 계략임을 간파하고 이를 경고했으나, 아테나 또는 포세이돈의 분노를 사 두 아들과 함께 뱀에게 죽임을 당한다. 라오콘의 죽음은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특히 바티칸 박물관의 '라오콘 군상'으로 유명하다. 라오콘은 "선물을 가져오는 그리스인들을 조심하라"는 경고의 상징이 되었으며, 레싱의 "라오콘"을 통해 미학 논쟁을 촉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 - 아이깁토스
    아이깁토스는 이집트 왕 벨루스의 아들이자 리비아의 왕 다나오스의 형제이며, 50명의 아들을 두었으나 아들들이 다나오스의 딸들과 결혼한 후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였다.
  • 그리스 신화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라오콘
라오콘
라오콘 군상
라오콘 군상
그리스어Λαοκόων (라오코온)
라틴어Laocoōn (라오콘)
역할트로이아의 아폴론 신전 사제
신화적 배경
가족 관계아버지: 아코에테스
아내: 안티오페 또는 리산드라
자녀: 멜란타스와 안티판테스
라오콘 서사
주요 사건트로이아 목마를 경고함.
포세이돈 또는 아테나가 보낸 바다뱀에 의해 두 아들과 함께 살해당함.
예술 작품
조각상라오콘 군상 (현재 바티칸 미술관 소장)
회화엘 그레코의 《라오콘》
기타
관련 인물아이네이아스: 라오콘의 죽음을 보고 이탈리아로 탈출함.
카산드라: 트로이아의 공주, 라오콘과 함께 트로이아 목마를 경고함.

2. 신화 속 라오콘

라오콘은 아코에테스의 아들,[3] 안테노르[4] 또는 포세이돈의 아들로 다양하게 불렸으며, 프리아모스헤카베의 아들이라고도 한다.[5] 그는 두 아들을 두었다.

라오콘은 트로이 전쟁과 관련된 이야기로, 소포클레스의 비극을 비롯한 여러 그리스 작가들의 작품에서 다루어졌지만, 호메로스의 작품에는 언급되지 않았다. 퀸투스 스미르나이우스는 일리아스 이후의 사건들을 다룬 ''포스토메리카''에서 라오콘의 죽음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에서 라오콘이 트로이 목마를 파괴하려다 두 아들과 함께 바다뱀에게 죽임을 당하는 장면을 묘사하여 유명해졌다.

2. 1. 트로이 목마와 경고

트로이 전쟁 막바지에 그리스군은 거대한 목마를 남기고 철수하는 척했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따르면, 넵투누스의 사제였던 라오콘은 이것이 그리스군의 계략임을 간파하고 트로이 시민들에게 목마를 성 안에 들이지 말라고 경고했다.[10] 그는 창으로 목마를 찔러 속임수를 폭로하려다 두 아들과 함께 살해당했다. 이때 라오콘은 "선물을 가져오는 그리스인들을 조심하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10]

Equō nē crēdite, Teucrī / Quidquid id est, timeō Danaōs et dōna ferentēs|트로이인들이여, 말(목마)을 믿지 마시오 / 그것이 무엇이든, 나는 선물을 가져오는 그리스인들을 두려워하오.la

2. 2. 죽음

바티칸 베르길리우스에 묘사된 라오콘의 죽음


라오콘의 죽음에 대한 가장 상세한 기록은 퀸투스 스미르나이우스가 일리아스 이후의 사건들을 다룬 ''포스토메리카''에 나온다. 퀸투스에 따르면 라오콘은 트로이의 목마가 함정일 수 있으니 불을 질러 확인해야 한다고 트로이인들에게 간청했다.

이에 아테나는 분노하여 라오콘의 발 주변 땅을 흔들고 그를 눈멀게 했다. 트로이인들은 이를 시논을 벌준 것이라 생각했다. 시논은 그리스 군인이 보낸 잠입자로, 트로이인들을 속여 목마를 성 안으로 들이게 했다. 라오콘은 계속해서 목마를 불태우라고 설득했다.

아테나는 라오콘을 더 벌하기 위해 두 마리의 거대한 바다뱀을 보내 그와 두 아들을 졸라 죽였다.[6]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뱀을 보낸 것은 포세이돈이었다. 아폴로도로스는 라오콘이 자신의 숭배상 앞에서 아내와 성관계를 가진 것에 대해 아폴로가 벌을 내린 것이라고 한다.[7]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에서 이 이야기를 차용했다. 베르길리우스에 따르면 라오콘은 트로이인들에게 그리스인들의 목마를 받지 말라고 조언했지만, 시논의 거짓말에 속은 트로이인들은 라오콘의 조언을 무시했다. 분노한 라오콘은 창을 목마에 던졌다.

이후 미네르바는 라오콘과 그의 두 아들 안티판테스와 딤브라에우스를 죽이기 위해 바다뱀을 보냈다. S.V. 트레이시는 라오콘의 죽음이 도시 전체의 운명을 상징한다고 보았다.[8]

헬레니즘 시인 칼키스의 에우포리온은 라오콘이 포세이돈에게 신성한 땅에서 생식을 한 죄로 처벌받았다고 보았다. 트로이인들은 라오콘의 죽음을 목마에 창을 던진 것에 대한 벌로 오해하여 목마를 성 안으로 들이는 파멸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이 사건은 소포클레스의 비극 ''라오콘''의 주제이기도 하다.

아테나가 보낸 뱀에게 공격받는 라오콘과 그의 아들들, 폼페이 프레스코화


라오콘 이야기는 호메로스에게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소포클레스의 비극에서 다뤄졌고 다른 그리스 작가들도 언급했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따르면 라오콘은 포세이돈의 사제였으며, 트로이의 목마를 창으로 찔러 속임수를 밝히려다 두 아들과 함께 살해당했다. 뱀들은 그리스인들이 잠시 머물렀던 테네도스 섬에서 보내졌다.[10]

베르길리우스는 라오콘에게 "선물을 가져오는 그리스인들을 조심하라"는 유명한 경구를 남겼다.

소포클레스는 라오콘이 아폴론의 사제였지만 결혼하여 두 아들만 죽고 자신은 살아남아 고통받았다고 묘사했다.[11] 다른 버전에서는 라오콘이 신상 앞에서 아내와 사랑을 나누거나,[12] 신전에서 제물을 바치는 불경을 저질러 살해당했다고 한다.[13] 뱀을 보낸 것은 포세이돈,[14] 또는 포세이돈과 아테나, 아폴론이었다. 트로이인들은 라오콘의 죽음을 목마가 신성하다는 증거로 해석했다. 라오콘은 잘못을 저질러 처벌받았거나, 옳았기 때문에 처벌받았다는 두 가지 도덕성이 존재한다.[15]

3. 예술 작품 속 라오콘

라오콘의 이야기는 고대부터 수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대 플리니우스는 로도스의 조각가 아게산드로스, 아테노도로스, 폴리도로스의 작품으로 라오콘 군상을 언급했는데, 이는 바티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바초 반디넬리를 비롯한 여러 예술가들이 이 조각상을 모사했으며, 로도스, 로도스 기사단 대장 궁전, 로마, 피렌체우피치 미술관, 우크라이나 오데사 고고학 박물관 앞에 복제품이 있다. 알렉산더 칼더는 1947년에 라오콘이라는 이름의 스테빌(stabile)을 디자인하기도 했다.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은 1766년 작품 ''라오콘''에서 라오콘 군상을 핵심 이미지로 사용하며 요한 요아킴 빙켈만과의 미학적 논쟁을 벌였다. 다니엘 올브라이트는 ''뱀을 풀다: 문학, 음악, 그리고 다른 예술에서의 모더니즘''에서 라오콘의 인물이 미학적 사고에서 갖는 역할을 재조명한다.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1863년 오페라 ''트로이 사람들''에서 라오콘의 죽음은 1막의 중요한 순간으로 묘사된다.

3. 1. 라오콘 군상

바티칸 미술관에 소장된 조각상 ''라오콘 군상''은 이 장면을 소재로 한 미술 작품 중에서 가장 유명하다. 1506년 트라야누스 욕장 부근 땅속에서 발견되었는데, 발굴 현장을 보러 온 미켈란젤로에게 큰 감명을 주었다. 당시 교황 율리우스 2세는 이 조각상을 바티칸 궁전으로 옮겼다. (트라야누스 욕장은 황제 네로의 황금 궁전(도무스 아우레아) 유적이다.)

고대 로마의 박물학자 플리니우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로마 황제 티투스 (재위 79-81년)의 궁전에 있던 라오콘 상에 대해 기술하며, 로도스 출신의 조각가 아게산드로스, 아테노도로스, 폴리도로스 3명의 이름을 언급했다. 이 조각상은 1506년에 발굴된 조각상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조각상을 칭찬한 빈켈만에 대해 레싱은 『라오콘』을 저술하여 반박했다. 이는 "라오콘 논쟁"으로 불리며, 장르론을 낳은 계기로 유명하다.

헬레니즘 예술의 하나로 여겨지지만, 라오콘 군상이 원래 그리스에서 제작된 조각을 로마 시대(1세기)에 모각한 것인지, 아니면 로마 고유의 작품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15]

3. 2. 라오콘 논쟁

18세기 독일에서는 '라오콘 군상'을 둘러싸고 미학 논쟁이 벌어졌다. 요한 요아킴 빙켈만은 조각상의 고귀한 단순함과 정적인 위대함을 칭송한 반면,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은 '라오콘'이라는 저서를 통해 조각과 문학의 표현 방식 차이를 논하며 빙켈만을 비판했다.[17]

3. 3. 기타 작품

엘 그레코는 1610년에서 1614년 사이에 〈라오콘〉을 그렸다.[16] 프란체스코 아이에츠도 1812년에 〈라오콘테〉라는 제목의 그림을 그렸다. 이 외에도 많은 화가들이 라오콘을 주제로 그림을 그렸다.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1863년 오페라 《트로이 사람들》에서 라오콘의 죽음은 아이네아스가 등장한 후 1막의 중요한 순간으로, 8명의 성악가와 2중 합창단("오테토와 2중 합창")에 의해 불린다. 이 장면은 "끔찍한 처벌"이라는 구절로 시작한다.

현대 문학 작품에서도 라오콘은 종종 언급된다.

  • 존 바스는 그의 소설 《길의 끝》에서 라오콘 흉상을 사용한다.
  • R.E.M.은 데뷔 앨범 《Murmur》(1983)에 수록된 "Laughing"이라는 곡에서 라오콘을 여성으로 묘사하며("라오콘과 그녀의 두 아들"),[16] "Harborcoat"라는 곡에서도 라오콘을 언급한다.
  • 만화책 《아스테릭스, 월계관을 받다》는 이 조각상의 포즈를 패러디한다.
  • 미국의 작가 조이스 캐럴 오츠는 1989년 소설 《아메리칸 아페타이트》에서도 라오콘을 언급한다.
  • 찰스 디킨스의 1843년 작품 《크리스마스 캐럴》의 다섯 번째 스탠자에서 스크루지는 크리스마스 아침에 깨어나 "양말로 스스로를 완벽한 라오콘으로 만들었다"라고 묘사했다.
  • 바바라 터크먼의 《어리석음의 행진》은 라오콘 이야기를 광범위하게 분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 미국의 페미니스트 시인이자 작가인 마지 피어시는 그녀의 시집 《돌, 종이, 칼》(1983)에 "라오콘은 그 형상의 이름이다"라는 제목의 시를 수록했는데, 이 시는 상실된 사랑과 시작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존 스타인벡은 미국의 고전 문학 작품인 《에덴의 동쪽》에서 샐리나스 학교의 교실에 걸려 있는 미술 작품을 묘사하면서 "뱀에 완전히 감겨있는 라오콘"의 그림을 언급한다.
  • 싱클레어 루이스는 그의 소설 《애로우 스미스》에서 가족 싸움에 대해 "전반적인 구성은 라오콘과 매우 유사했다"고 언급하며 라오콘을 언급한다.[17]
  • 포스트 미니멀리즘 예술가 에바 헤세는 그녀의 첫 번째 주요 독립 조각품인, 엉킨 끈이 달린 높은 구조물을 라오콘 (1966)이라고 명명했다.[18]
  • 러시아계 미국 작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그의 전체주의에 관한 소설 《굽어진 불길》에서 라오콘을 잠깐 언급한다.
  • 마틴 에이미스는 그의 소설 정보에서 라오콘을 잠깐 언급한다.


참조

[1] 사전 Laocoön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 MerriamWebsterDictionary Laocoön 2016-01-21
[3] 서적 Fabula
[4] 웹사이트 347 https://topostext.or[...] 2024-02-26
[5] 사전 Laocoön https://www.perseus.[...] 2022-10-08
[6] 서적 The Trojan Epic Posthomerica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 서적 Epitome https://www.perseus.[...] 2021-02-20
[8] 간행물 Laocoon's guilt 1987-09
[9] 서적 Aeneid
[10] 서적 Aeneid
[11] 문서 Smith, p 109; according to Hyginus, for one
[12] 문서 according to Servius
[13] 문서 Stewart, 85; this last in the commentary on Virgil of Maurus Servius Honoratus, citing Euphorion of Chalcis
[14]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Taylor and Walton
[15] 문서 Boardman (1993) p 199
[16]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the Music of R.E.M. Omnibus Press
[17] 서적 Arrowsmith https://gutenberg.ne[...] Project Gutenberg Australia 2023-02-05
[18] 서적 Eva Hesse Da Cap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