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로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로나는 로마 신화의 전쟁 여신으로, 원래는 사비니족의 전쟁 여신이었다가 그리스 신화의 에니오와 동일시되었다. 벨로나의 이름은 "전쟁"을 의미하는 라틴어 "bellum"에서 유래되었으며, 전쟁, 갈등, 파괴적인 측면을 상징한다. 벨로나 신전은 로마에 세워졌으며, 그녀는 종종 용감함의 화신인 비르투스와 연관되어 숭배되었다. 벨로나는 예술 작품에서 헬멧, 갑옷, 무기를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되며, 전쟁의 승리를 상징하는 조각상으로도 표현된다.

2. 어원

여신 벨로나(Bellōna)의 이름은 초기 형태인 "두엘로나"(Duellona)에서 유래했다.[2] "두엘로나"는 고대 라틴어 단어인 "duellum"("전쟁, 전투")에서 파생되었는데, 이 단어는 이후 고전 라틴어에서 "bellum"으로 변화했다.

"duellum"의 정확한 어원은 아직 불분명하다. 언어학자 조르주-장 피노는 이 단어가 언어 재구축된 지소사 형태인 "*duenelo-"("아주 훌륭한, 아주 용감한")에서 나왔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duenelo-"는 "duenos"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이며, "duenos"는 동명의 비문에 기록된 고대 라틴어 단어로, "bonus"("좋은")의 초기 형태이다. 한편, 언어학자 미히엘 데 반은 "*duenelo-"가 "전쟁과 관련된 상황(bella acta, bella gesta)"에서 완곡하게 사용되면서, 점차 명사 "bellum"에 "용맹한 행동" 또는 "전쟁"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게 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3. 신앙, 신념 및 신전

벨로나는 본래 고대 사비니족의 전쟁 여신이었다. 처음에는 전쟁의 신 마르스의 배우자인 네리오와 동일시되었고, 이후 그리스의 전쟁 여신 에니오와도 동일시되었다.[2] 로마에 있는 벨로나 신전은 기원전 296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가 삼니움 전쟁에트루리아인 및 삼니움인과 싸우면서 플라미니우스 경기장 근처에 봉헌했다.[2] 이 신전은 신성한 장소에 인간이 장식용 방패를 헌정하여 걸어둔 최초의 사례로 알려져 있으며,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는 방패를 걸어 자신의 가문에 헌정했다.[3]

벨로나의 축제는 매년 6월 3일에 열렸다. 그녀를 섬기는 사제들은 '벨로나리우스'(Bellonarii)라 불렸는데, 이들은 자신의 팔이나 다리에 상처를 내어 흘린 피를 여신에게 바치는 의식을 행했다.[4] 이 피의 의식은 특히 3월 24일, '피의 날'(''dies sanguinis'')에 거행되었다. 이러한 자해 의식은 소아시아의 여신 키벨레 숭배 의식과 유사했기 때문에, 에니오와 벨로나 모두 키벨레의 카파도키아 지역 화신인 마(Ma)와 동일시되기도 했다.[5]

로마의 마르스 광장에 위치한 벨로나 신전 구역은 치외법권 지역으로 간주되었다. 로마 시내(포메리움)로 들어갈 수 없는 외국 사절단은 이 구역에 머물렀다. 신전이 포메리움 외부에 있었기 때문에, 원로원은 이곳에서 외국 사절단을 만나거나, 개선식을 앞둔 장군들을 접견했다. 신전 옆에는 '전쟁 기둥'(''columna bellica'')이 서 있었는데, 이는 로마 영토 밖을 상징했다. 먼 나라에 전쟁을 선포할 때는 외교 의례를 담당하는 사제단(페티알) 중 한 명이 고대 관습을 따라, 로마 영토에서 적국 방향으로 이 기둥 너머로 창을 던졌다. 이 상징적인 행위는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 여겨졌다.[6] 이 방식으로 전쟁이 선포된 첫 사례는 기원전 280년 에페이로스피로스를 상대로 한 것이었다.[7]

많은 사람들이 벨로나 여신의 신전과 성소를 유지하고 개선하는 데 기꺼이 기여했으며[7], 종종 자비로 비용을 부담하기도 했다.[7] 그러나 벨로나는 변덕스러운 여신으로 널리 인식되었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숭배되는 경우는 드물었고 대부분의 신자들은 조용히 그녀를 달래는 방식을 선호했다.[1] 이러한 은밀함에도 불구하고 벨로나 숭배의 증거는 로마 전역에서 발견된다. 벨로나 숭배와 관련된 비문이 최소 7개 발견되었는데[7], 아우구스투스 포룸에서 발견된 초기 비문은 피로스와의 전쟁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7] 비문 중 5개는 '벨로나의 성소'(''Aedem Bellonae'') 주변에서 발견되었으며, 나머지 두 개는 손상된 상태이다.[7] 벨로나 숭배는 로마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잉글랜드 요크에도 벨로나 신전이 있었으며, 현재 그 자리에는 성 베드로 교회가 서 있다.[8]

벨로나에 대한 신앙과 믿음은 종종 공포스럽고 잔혹한 면모를 보였다. 그녀가 전쟁에 나설 때는 불화, 갈등, 그리고 복수의 여신들인 푸리에스가 함께하여 적들에게 공포를 심어준다고 믿었다.[1] 전투에서 보이는 그녀의 유혈 낭자함과 광기는 널리 알려진 믿음 중 하나였다.[1] 역사가 아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에 따르면, 스코르디시 부족은 벨로나를 폭력적으로 숭배했다고 한다. 그들은 잔인했으며 마르스와 벨로나를 야만적인 방식으로 섬겼는데[9], 인신 제사를 지내고 희생자의 두개골에 담긴 피를 마셨다고 전해진다.[9]

군사적인 측면에서 벨로나는 용기의 화신인 비르투스와 연관되기도 했다. 이러한 연관성 속에서 벨로나 숭배는 로마 제국의 군단을 따라 로마 밖으로 퍼져나갔으며, 프랑스, 독일, 영국, 북아프리카 등지에서도 그녀의 신전이 세워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10]

4. 예술에서의 표현

로마 신화전쟁 여신 벨로나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영감의 원천이 되어 왔다. 시, 음악, 미술 등 여러 장르에서 벨로나는 전쟁의 파괴적인 힘, 호전성, 또는 영웅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인물로 그려졌다.

에서는 종종 전쟁 그 자체를 의미하는 은유로 사용되거나, 전쟁의 격렬하고 무자비한 속성을 구체화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칸타타오페라와 같은 음악 작품에서도 벨로나는 때로는 이야기의 중심 갈등 요소로, 때로는 특정 인물의 용맹함이나 시대적 배경을 상징하는 역할로 나타난다.

회화조각에서는 일반적으로 투구나 갑옷을 착용하고 창이나 방패 등 무기를 든 모습으로 묘사되며, 이는 전쟁의 여신으로서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때로는 고전적인 묘사를 따르기도 하고, 시대나 작가의 해석에 따라 새로운 상징이나 모습이 추가되기도 한다.

4. 1. 시

시에서 벨로나라는 이름은 종종 전쟁 자체를 의미하는 말로 쓰이지만, 스타티우스의 ''테바이스''에서는 전쟁의 파괴적이고 호전적인 면모를 나타내는 인물로 등장한다. 그녀는 창과 불타는 횃불을 들고 있거나, 전차를 타고 피 묻은 칼을 휘두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11] 벨로나에 대한 이러한 고전적 언급은 이후 셰익스피어의 희곡에서 전사 캐릭터와 관련하여 나타난다. 예를 들어, 핫스퍼는 여신을 "연기 자욱한 전쟁의 불타는 눈을 가진 처녀"라고 묘사했으며,[12] 맥베스는 "벨로나의 신랑", 즉 마르스와 동등한 존재로 언급된다.[13]

더 현대적인 시기에는 애덤 린지 고든이 1867년 호주에서 출판한 그의 시 "벨로나"에서 사람들을 잘못된 길로 이끄는 "거짓 여신"에 대한 정열적인 스윈번풍의 묘사를 바쳤다.[14] 그녀는 또한 아서 그레이엄 웨스트의 제1차 세계 대전 시 "여행자"에도 등장한다. 이 시에서 시인은 예술, 신 판, 그리고 월터 페이더의 작품들과 함께 최전선으로 행진하는 자신을 그린다. 싸움에 가까워지면서 벨로나를 만나자, 즐거웠던 동료들은 전쟁의 폭력 앞에서 차례로 도망쳐야 했고, 마침내 여신은 시인을 혼자 차지하게 된 것을 기뻐한다.[15]

4. 2. 칸타타와 오페라

벨로나는 여러 칸타타와 오페라 작품에 등장한다.

바흐의 1733년 Drama per musica|드라마 페르 무지카it인 ''Tönet, ihr Pauken! Erschallet, Trompeten!de'' BWV 214에서는 작센 선제후비이자 폴란드 왕비인 마리아 요제파 폰 외스터라이히의 생일(12월 8일)을 축하하기 위해 벨로나가 평소의 맹렬한 모습을 잠시 접어둔 것으로 묘사된다.[17]

2년 뒤인 1735년, 라모의 오페라 ''Les Indes Galantes프랑스어''의 서곡에도 벨로나가 등장한다. 이 작품에서는 사랑의 부름이 결국 전쟁(벨로나)의 부름을 이기는 것으로 그려진다.[16]

조반니 암브로조 밀리아바카 (1718–1795)가 대본을 쓴 칸타타 "해방된 프로메테우스"에서는 벨로나가 다시 엄격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1762년 이사벨라 클라라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녀의 탄생을 기념하여 만들어진 이 작품에서 신들이 프로메테우스를 심판할 때, 일부 신들은 관대함을 주장하지만 벨로나를 포함한 다른 신들은 엄격한 처벌을 요구한다.[18]

또한, 작곡가 프란체스코 비안키와 대본 작가 로렌초 다 폰테가 함께 만든 '영웅적인 칸타타' ''Le nozze del Tamigi e Bellona|템즈 강과 벨로나의 결혼it''에서도 벨로나가 등장한다. 이 작품은 생 빈센트 곶 해전에서 영국 해군이 스페인에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런던에서 공연되었다.[19]

4. 3. 회화와 조각

"튀르크에 맞선 제국군을 이끄는 벨로나", 1600년 바르톨로메우스 슈프랑거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판화


벨로나(Bellona)는 일반적으로 깃털 장식 헬멧을 쓰고 갑옷, 혹은 최소한 스커트 위에 흉갑을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손에는 창, 방패 또는 다른 무기를 들고 있으며, 때로는 공격 신호를 알리는 트럼펫을 불기도 한다. 고대에는 날개 달린 승리 여신과 연관되어 손에 월계관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했으며, 때때로 벨로나는 승리 여신상을 직접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전쟁 기념물에 등장할 때는 이러한 상징물들을 지니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갑옷 차림의 대표적인 예로는 렘브란트가 1633년에 그린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그림[20]과 요한 밥티스트 슈트라우브(Johann Baptist Straub, 1770), 요한 빌헬름 바이어(Johann Wilhelm Beyer, 1773–80)의 조각상이 있다. 바이어의 조각상에서는 로마의 전쟁 선포 의식과 관련된 신 야누스와 함께 묘사되는데, 야누스 신전의 문은 전쟁 기간 동안 항상 열려 있었다.

요한 밥티스트 슈트라우브 작, ''벨로나'', 1770


슈트라우브의 조각상은 렘브란트의 그림처럼 방패에 고르곤의 머리를 새겨 넣어 적에게 공포심을 유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후대에 추가된 요소로, 아마도 이러한 새로운 도상학적 변화를 보여주는 다른 사례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21] 버트람 매케널의 흉상에서는 헬멧에 고르곤을 착용하고 있으며, 다른 묘사에서는 흉갑에 나타나기도 한다. 장레옹 제롬은 유약을 바른 여신 흉상(1892)에서 전쟁의 공포를 더욱 극적으로 표현했다. 목에 머리를 걸고 있을 뿐 아니라, 각진 날개 달린 헬멧을 쓴 채 비명을 지르는 듯한 사나운 표정은 벨로나를 고르곤과 유사하게 보이게 한다.[22]

벨로나를 대포와 연관 짓는 것 또한 흔한 표현 방식 중 하나이다. 이는 한스 크리크(Hans Krieg, 1590–1645)의 그림[23]과 아삼 형제가 함머슐로스 슈미드뮬렌(Hammerschloss Schmidmühlen)에 그린 천장 프레스코(1700)에서 찾아볼 수 있다.[24] 산업 및 전문 직업을 의인화하여 묘사한 네덜란드의 초기 판화 시리즈에서는 벨로나가 전쟁 물자의 발명에 영감을 주는 존재로 암시되는데, 공장 작업장에 앉아 발치에 온갖 무기를 두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콘스탄티노 브루미디가 브루미디 복도에 그린 프레스코(1855–60)에서 벨로나의 이미지는 업데이트되었다. 여기서는 포병 옆에 서 있으며, 방패에는 성조기가 그려져 있다.

모든 벨로나 묘사가 갑옷을 입은 것은 아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알비제 탈리아피에트라의 조각상(c.1710)과 J. 폴 게티 미술관 소장의 오귀스탱 파주 조각상(1775/85)[25]은 다른 상징물들을 착용하거나 지니고 있지만, 옷은 거의 입지 않은 상태로 묘사된다. 이러한 묘사 방식에도 고전 문학적인 근거가 있다. 예를 들어,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의 '아르고나우티카'에는 "벨로나는 맨살을 드러내고, 그녀가 움직일 때 청동 무기가 덜거덕거렸다"(3. 60)라는 구절이 나온다.[26] 화가들이 차용한 또 다른 시적인 언급은 루이 장 프랑수아 라그르네의 "벨로나가 말의 고삐를 마르스에게 바치다"(1766)에서 나타난다. 이 작품은 클라우디아누스의 '인 루피눔'에 나오는 연설 장면을 묘사하는데, 여기서 마르스는 "Fer galleam Bellona mihi, nexusque rotarum tende Pavor|벨로나여, 내 헬멧을 가져오고 공포가 고삐를 잡게 하라lat"고 외친다.[27] 얀 판 미에리스의 알레고리 그림 "지혜가 벨로나를 제지하다"(1685) 역시 시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림 속에서 앉아 있는 지혜의 형상은 떠나려는 듯 망토를 휘날리며 왼손에 방패를 높이 든, 헬멧 쓴 벨로나의 오른손을 붙잡고 있다.[28]

5. 공적 성명

벨로나 여신의 묘사는 장식적인 기능을 넘어 공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바르톨로메우스 스프랭거의 "튀르크를 상대로 제국 군대를 이끄는 벨로나"는 오스트리아의 반튀르크 선전의 일부로 활용되었다. 이 시기 오스트리아와 오스만 제국 간의 지속적인 갈등은 1697년 젠타 전투에서의 승리로 정점에 달했는데, 이 무렵 브뤼셀에는 현재 메종 드 벨로나로 알려진 얀 코사인의 기념비적인 문이 세워졌다. 이 문의 중심에는 군사 깃발과 대포로 둘러싸인 벨로나 여신의 투구 쓴 흉상이 자리 잡고 있다.[29]

페테르 파울 루벤스는 마리 드 메디치를 모델로 한 "벨로나로서의 마리 드 메디치"(1622-1625)를 통해 왕조의 정치적 선언을 표현했다. 이 작품은 뤽상부르 궁전의 공적 공간을 위해 디자인되었으며, 당시 실제로는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던 마리 드 메디치를 권력자로 묘사했다.[30] 그림 속 마리 드 메디치는 갑옷을 입고 발치에는 대포와 소총을 둔 채 서 있으며, 승리의 상징들이 그녀의 위상을 강조한다. 오른손에는 날개 달린 여신(승리의 여신 니케)의 작은 조각상을 들고 있고, 투구 깃털 아래에는 작은 날개 달린 형상이 붙어 있으며, 큐피드가 그녀 위에서 월계관을 들고 있다. 이는 렘브란트가 평범한 네덜란드 여성의 모습으로 벨로나를 그린 것과 대조된다. 렘브란트의 벨로나는 특히 30년 전쟁 동안 새로운 네덜란드 공화국스페인에 맞서 스스로를 방어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반제국주의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21]

파리 로댕 미술관의 오귀스트 로댕의 1879년 벨로나 청동 흉상


오귀스트 로댕의 벨로나 머리 조각(1879)은 원래 프랑스 제3 공화국 기념비를 위해 제작되었으며, 더욱 호전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로댕은 기분이 좋지 않을 때의 연인 로즈 브레를 모델로 삼았다고 전해지는데, 이 조각상은 자부심 넘치는 분노로 머리를 뒤로 젖히고 오른쪽 어깨선을 따라 시선을 돌리는 역동적인 움직임을 표현한다.[31] 전쟁에서의 방어라는 주제는 게오르크 콜베가 부퍼탈에 세운 벨로나 분수에서도 나타난다. 원래 1915년에 의뢰받아 1922년에 완성된 이 분수는 투구를 쓴 여신이 왼손에 칼을 들고 무릎 꿇은 젊은 남자를 격려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제1차 세계 대전 기념비의 역할을 했다.[32]

벨로나를 공공 구조물에 활용하는 역사는 더 거슬러 올라간다. 1760년 큐 가든을 위해 윌리엄 챔버스가 설계한 벨로나 신전은 7년 전쟁 당시 영국-하노버 연합군의 전쟁 노력을 기념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이후 전쟁에 참전한 연대들을 기리는 명판이 설치되었다.[33] 이는 전사자 추모보다는 승리를 기억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었다. 약 1세기 후인 1862년, 퀘벡에는 7년 전쟁의 프랑스-캐나다 측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전장을 내려다보는 높은 기둥 꼭대기에 세워진 벨로나는 오른손에 방패와 월계관을 들고 있다.[34] 이 조각상은 제롬-나폴레옹이 화해의 의미로 헌정한 것이다.[35]

갈리폴리 전역에서 전사한 호주 군인들을 기리기 위해 로댕의 제자였던 버트람 매케널은 벨로나의 청동 흉상을 제작하여 1916년 캔버라의 호주 정부에 헌정했다.[36] 로댕의 흉상처럼 투구를 쓴 머리가 오른쪽으로 향해 있지만, 가슴 부분이 더 드러나 있다. 전사자들은 벨로나를 포함한 기념물에 종종 함께 등장한다.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 당시 더글라스 틸든이 캘리포니아 의용군에게 헌정한 기념물에서는 칼을 휘두르는 벨로나 여신과 함께 병사들이 묘사되었고,[37] 1920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전사자를 기리는 비아위스토크 기념물에서는 병사 뒤에 서서 월계관을 높이 든 벨로나의 모습을 볼 수 있다.[38]

런던 워털루역제1차 세계 대전 승리 기념 아치길에 있는 벨로나는 특히 전쟁의 비극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칼을 휘두르는 악마적인 모습의 벨로나 아래에는 전사자가 아닌, 전쟁에서 살아남았지만 간과되기 쉬운 생존자들이 웅크린 채 슬퍼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39]

참조

[1] 논문 The business of butchery: Bellona and war, society and religion from republic to empire https://escholarship[...] 2018
[2]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Ancient Mediterranean Religions Routledge 2015
[3] 서적 The Natural History (English)
[4] 서적 Smaller Classical Dictionary London 1862
[5] 웹사이트 Cults of Enyo and Ma http://www.theoi.com[...] 2016-05-17
[6] 웹사이트 Fetiales http://www.britannic[...] 2016-08-01
[7] 서적 The Concept of the Goddess Routledge 2002
[8] 서적 Ephesians The Pulpit Commentary
[9] 서적 Rerum Gestarum (English)
[10] 서적 Nemesis and Bellona https://books.google[...] London 1996
[11] 웹사이트 Enyo http://www.theoi.com[...] 2016-05-17
[12] 연극 Henry IV part 1
[13] 연극 Macbeth
[14] 시 Sea Spray and Smoke Drift https://web.archive.[...]
[15] 시 The Traveller https://www.poemist.[...]
[16] 서적 Jean-Philippe Rameau: His Life and Work https://web.archive.[...] Dover Publications 1969
[17] 음악 BWV 214 http://www.emmanuelm[...] Emmanuel Music 1733
[18] 서적 Prometeo assoluto serenata cantata in Vienna per comando degli augustissimi regnanti in occasione del felicissimo parto di s.a. reale l'arciduchessa Isabella https://archive.org/[...] 1762-01-01
[19] 서적 Lorenzo Da Ponte: The Life and Times of Mozart's Librettist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Wisconsin 2002
[20] 서적 A Corpus of Rembrandt Paintings VI: Rembrandt's Paintings Revisited https://web.archive.[...] Dordrecht NL 2014
[21] 웹사이트 Rembrandt (Rembrandt van Rijn) - Bellona - The Met http://www.metmuseum[...]
[22] 경매 https://www.sothebys[...]
[23] 웹사이트 Bellona. https://commons.wiki[...] Wikimedia Commons 1620-01-01
[24] 웹사이트 Deutsch: Bellona von Hans Georg Asam, Hammerschloss Schmidmühlen https://commons.wiki[...] Wikimedia Commons 1899-11-30
[25] 웹사이트 Getty Museum site https://web.archive.[...]
[26] 웹사이트 Bellona http://www.theoi.com[...] 2016-05-17
[27] 서적 The great art of artillery https://books.google[...] London 1729
[28] 웹사이트 WI-ID PDF http://warburg.sas.a[...]
[2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30] 서적 The Art of Frenzy: Public Madness in the Visual Culture of Europe https://books.google[...] London and New York 2003
[31] 서적 Bellona https://web.archive.[...] OUP USA 2003
[32] 웹사이트 Georg Kolbes Brunnen und Skulptur "Bellona" - Denkmal-Wuppertal.de http://www.denkmal-w[...]
[33] 서적 The Princess's Garden: Royal Intrigue and the Untold Story of Kew https://web.archive.[...] Stroud (Glos.) 2015
[34] 웹사이트 Français : Statue représentant Bellone, au sommet du monument des Braves, à l'entrée du parc des Braves, à Québec (Québec, Canada). La statue a été offerte par le prince Jérôme-Napoléon en 1862. Elle est haute d'environ trois mètres et forme le sommet du monument haut de 22 mètres. Elle a été installée, et le monument inauguré, le 19 octobre 1863. Elle est peut-être inspirée d'un croquis d'Eugène-Étienne Taché [1]. https://commons.wiki[...] Wikimedia Commons 2010-08-20
[35] 웹사이트 Une espace consacrée aux braves https://web.archive.[...]
[36] 웹사이트 BELLONA GODDESS OF WAR http://www.davesact.[...] 2016-10-24
[37] 웹사이트 bellona – Public Art and Architecture from Around the World https://www.artandar[...] 2016-02-20
[38] 웹사이트 File:Pomnik ku czci poległym w wojnie Polsko - sowieckiej w 1920 r.jpg - Wikimedia Commons https://commons.wiki[...] 2015-10-24
[39] 웹사이트 WW1 100: London's Memorials... The London & South Western Railway Victory Arch (Waterloo Station, Part 5) https://blackcablond[...] 2014-05-11
[40]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岩波書店 196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