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열 아프리칸 컴퍼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는 1672년 설립된 영국의 특허 회사로, 서아프리카와의 교역을 독점하며 노예 무역에 깊이 관여했다. 1660년 왕립 아프리카 모험 상인 회사에서 시작되어, 금, 상아 등을 거래하다가, 1672년 재설립 이후 노예 무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1698년 독점 폐지 전까지 10만 명 이상의 노예를 공급했다. 영국-아프리카-아메리카 대륙을 잇는 삼각 무역을 통해 무기, 공산품을 아프리카에 수출하고, 노예를 아메리카로, 설탕, 면화 등을 영국으로 가져왔다. 1708년 지급 불능 상태가 되었고, 1750년 해산되어 자산은 아프리카 상인 회사로 이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없어진 기업 - 머스코비 회사
머스코비 회사는 1555년 메리 1세에 의해 재인가된 영국의 무역 회사로, 러시아와의 무역로 개척, 고래잡이 독점 면허 획득, 잉글랜드-러시아 무역 독점권 유지 등의 활동을 했으며, 러시아 혁명 이후에는 자선 단체로 운영되었다. - 잉글랜드의 없어진 기업 - 영국 동인도 회사
영국 동인도 회사는 1600년 설립된 무역 회사로, 초기에는 동인도 지역과의 향신료 무역을 독점했으나 인도에 집중하며 무굴 제국의 허가 하에 인도 내륙에 거점을 마련하고, 플라시 전투와 벅사르 전투 승리 후 벵골 지역 지배권을 장악하며 식민 통치 기구로 변모했으나 세포이 항쟁 이후 영국 정부에 의해 통치권이 회수되어 1874년 해산되었다. - 세네갈의 역사 - 말리 연방
말리 연방은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프랑스 수단과 세네갈이 결합하여 1959년에 형성되었으나, 정치적, 경제적 불균형과 이념적 차이로 인해 1960년에 해체되어 말리 공화국과 세네갈 공화국으로 분리된 단명한 연방 국가였다. - 세네갈의 역사 - 세네감비아
세네감비아는 1982년 세네갈과 감비아가 군대, 치안 부대, 경제 및 통화 시스템 통합을 목표로 결성했으나, 경제 정책 차이 등으로 1989년 해체된 연합이다.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회사명 | 왕립 아프리카 회사 |
![]() | |
이전 회사명 | 아프리카 무역 왕립 모험 회사 |
설립일 | 1660년 |
설립 장소 | 런던, 잉글랜드 |
설립자 | 스튜어트 왕가 런던 시 상인 |
해산일 | 1752년 |
회사 종류 | 사기업 |
산업 분야 | 상업 무역 |
주요 인물 | 제임스 2세 찰스 2세 |
사업 영역 | |
주요 생산품 | 금 은 상아 노예 |
서비스 | 무역 |
기타 | |
본사 위치 | 런던 |
국적 | 잉글랜드 |
![]() |
2. 역사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는 공식적으로 1672년에 설립되었지만, 영국과 서아프리카 간의 교역은 이미 16세기 후반부터 이루어지고 있었다. 초기 교역품은 노예 외에도 상아나 금 등이었다. 회사의 전신은 1660년 설립된 '왕립 아프리카 모험 상인 회사'(Company of Royal Adventurers Trading to Africaeng)로, 찰스 2세의 동생인 요크 공작이 대표를 맡았으나 1667년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중 도산했다.
1672년,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Royal African Company|RACeng)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특허 회사가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특히 대서양 노예 무역에 깊이 관여했으며, 1672년부터 1698년까지 독점권을 바탕으로 10만 명이 넘는 아프리카인을 노예로 수송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항해법에 따라 영국 상인의 아프리카 무역은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가 독점했다. 회사의 주요 주주는 런던 상인들이었지만, 브리스톨의 에드워드 콜스턴이나 철학자 존 로크 같은 인물들도 투자에 참여했다.
회사가 주도한 무역은 전형적인 삼각 무역의 형태를 띠었다. 영국에서 무기, 공산품 등을 아프리카로 수출하고, 아프리카에서는 강제로 노예가 된 사람들을 아메리카 대륙으로 수송했으며, 아메리카에서는 설탕, 생면, 담배 등의 원료를 영국으로 가져왔다. 이 과정에서 회사는 소유한 노예들에게 회사 대표였던 요크 공작의 머리글자 'DY' 또는 회사 약칭 'RAC'가 새겨진 낙인을 찍는 비인간적인 행위를 자행했다.
1698년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의 노예 무역 독점권은 폐지되었다. 이후 브리스톨이나 리버풀 등 다른 지역의 상인들도 노예 무역에 뛰어들면서 오히려 노예 무역의 규모는 급격히 확대되었고, 18세기 중반에는 연간 2만 명에 달하는 아프리카인이 노예로 팔려나가는 비극적인 상황이 전개되었다. 회사는 독점 폐지 이후에도 무역 활동을 계속했지만,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2. 1. 설립 배경
17세기 아프리카 서해안에는 소수의 유럽인들이 요새화된 팩토리(무역 기지)에 거주하고 있었다. 이들은 아프리카 땅이나 원주민에 대한 주권을 갖고 있지 않았으며, 열대 질병에 대한 면역력도 거의 없었다. 해안 지역의 부족들은 유럽인과 내륙의 노예 사냥꾼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유럽인들은 아프리카의 강을 탐험할 동기가 부족했고 실제로 탐험하는 경우도 드물었다. 유럽 열강, 특히 네덜란드는 원주민과의 동맹을 활용하여 경쟁국을 견제했으며, 이러한 경쟁이 없었다면 상인들의 활동은 비교적 평온했을 것이다. 왕정 복고 이전에는 네덜란드가 영국령 서인도 식민지에 노예를 공급하는 주요 국가였으나, 영국은 항해법 제정을 통해 네덜란드를 이 수익성 높은 무역에서 배제하고자 했다.[4]로열 아프리칸 컴퍼니의 직접적인 전신은 찰스 2세의 왕정 복고 직후인 1660년에 설립된 '왕립 아프리카 모험 상인 회사'(Company of Royal Adventurers Trading to Africaeng)이다. 이 회사는 찰스 2세의 동생이자 훗날 제임스 2세가 되는 요크 공작이 대표를 맡았다. 초기에는 상아나 금 등을 주로 교역했으나, 회사는 한번 실패를 겪고 1663년에 재결성되었다. 이때 노예 무역이 회사의 독점적인 권한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확해지면서 다른 무역상들 사이에서 불만이 제기되기도 했다.
왕립 아프리카 모험 상인 회사는 1667년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중에 결국 도산했다. 이후 1672년에 새로운 특허를 받은 회사가 설립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Royal African Company|RACeng)이다.
2. 2. 왕립 아프리카 모험 상인 회사 (1660-1672)

1660년 찰스 2세의 왕정 복고 직후, '아프리카 무역 왕립 모험가 회사'(Company of Royal Adventurers Trading into Africaeng)가 설립되었다.[6] 이 회사는 1660년 12월 18일 발급된 특허장을 통해 서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영국 무역에 대한 독점 권한을 부여받았으며, 초기 주요 목적은 금 탐사였다. 대표는 찰스 2세의 동생이자 훗날 제임스 2세가 되는 요크 공작 제임스였으며, 펨브로크 백작, 크레이븐 경, 조지 카버렛, 엘리스 레이턴, 코넬리우스 버뮤이든 등 6명의 위원이 운영했다.
1663년에 회사는 새로운 특허장을 받아 재결성되었는데, 이때 노예 무역이 독점 대상에 포함됨이 명시되었다.[6] 이 특허장은 다른 상인들이 "레드우드, 상아, 흑인, 노예, 가죽, 왁스, 기니 곡물 또는 그 나라의 기타 상품"을 거래하는 것을 금지했다.[7] 이는 영국에서 세 번째로 설립된 아프리카 관련 회사였지만, 노예 무역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은 이 회사가 처음이었다. 이로 인해 다른 무역상들 사이에 불만이 생기기도 했다. 회사는 희망봉을 돌아가는 항로의 기착지로 사용하던 동인도 회사로부터 가나의 코만틴 요새를 인수했다. 이 요새는 네덜란드의 케이프 코스트 성에서 동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했다.
1663년에는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의 서막으로 네덜란드와의 충돌이 있었다. 로버트 홈스 선장이 이끄는 원정대가 서아프리카 해안의 네덜란드 정착지들을 공격하여 점령하거나 파괴했다. 1664년에는 감비아 강 하구에서 약 약 32.19km 떨어진 섬에 포트 제임스를 건설하여 영국 무역과 세력 확장의 새로운 거점으로 삼았다. 하지만 같은 해 네덜란드의 미치엘 데 르위터 제독이 반격하여 코만틴을 포함한 대부분의 네덜란드 요새를 되찾았다. 영국은 케이프 코스트 성만을 유지할 수 있었다. 1667년 브레다 조약을 통해 케이프 코스트 성이 영국의 소유임이 최종 확인되었다.[4][8]
회사가 확보한 요새들은 무역 기지이자 중간 기착지로 활용되었다. 또한 회사는 독점권을 침해하는 영국 선박(소위 '불법 침입자')을 나포할 권한을 가졌다. 나포된 선박과 상품은 "전리품 법정"에서 처리되었고, 수익금은 국왕과 회사가 절반씩 나누어 가졌다.[9]
그러나 회사는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중인 1667년에 막대한 부채를 지고 사실상 도산 상태에 빠졌다.[4] 이후 몇 년간 회사는 개인 무역업자에게 면허를 발급하는 방식으로 간헐적인 무역 활동을 유지했다. 이 시기의 주요 활동 중 하나는 1668년 '감비아 모험가'(Gambia Adventurerseng)의 설립이었다.[10] 이 새로운 회사는 별도의 자본으로 운영되었으며, 1669년 1월 1일부터 베냉 만 북쪽 지역의 아프리카 무역에 대해 10년간의 면허를 받았다.[11] 감비아 모험가의 면허는 1678년 말 만료되었고, 감비아 지역 무역은 다시 회사에 통합되었다.[12]
왕립 아프리카 모험 상인 회사는 1672년에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로 재편되기 전까지 존속했으며,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의 직접적인 전신이 되었다.
2. 3. 로열 아프리카 회사 (1672-1750)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Royal African Company of England)는 손실로 인해 파산하여 1672년에 특허장을 반납한 아프리칸 컴퍼니의 뒤를 이어 설립되었다. 이 회사의 직접적인 전신은 찰스 2세의 왕정 복고 직후인 1660년에 설립된 '왕립 아프리카 모험 상인 회사'이다. 찰스 2세의 동생이자 후에 제임스 2세가 되는 요크 공작이 대표를 맡았으며, 이 회사는 한 차례 실패 후 1663년에 재결성되었으나 1667년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중에 도산했다.1672년에 새롭게 설립된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RAC)는 이전 회사보다 훨씬 광범위한 내용의 특허장을 받았다. 이 특허장은 "금, 은, 흑인, 노예, 상품, 제품 및 모든 종류의 상품" 거래를 위해 서아프리카에 요새와 공장을 설립하고, 군대를 유지하며 계엄령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까지 부여했다.[13][14]
회사는 설립 초기인 1687년까지 매우 번창했다. 금 해안에 6개의 요새를 건설했으며, 노예 해안의 위다에도 기지를 세워 주요 무역 중심지로 삼았다. 케이프 코스트 성은 강화되어 엘미나의 네덜란드 공장에 이어 두 번째로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이 시기 제3차 잉글랜드-네덜란드 전쟁이 있었지만, 네덜란드의 세력이 약화되어 양국 간 경쟁은 이전만큼 치열하지 않았다.[4]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의 핵심 사업은 대서양 노예 무역이었다. 회사는 1680년부터 1686년 사이에 249번의 항해를 통해 연평균 5천 명의 아프리카인을 노예로 카리브해와 북미 식민지로 보냈다. 독점권을 인정받았던 1672년부터 1698년까지의 기간 동안에는 총 10만 명이 넘는 노예를 공급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영국 상인의 무역은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가 독점했고, 다른 나라의 무역은 항해법에 의해 제한되었기 때문에 노예 무역의 막대한 이익은 회사 구성원들에게 집중되었다. 회사의 주요 출자자는 런던 상인들이었지만, 브리스톨의 상인 에드워드 콜스턴이나, 『인간 오성론』과 『시민 정부론』의 저자인 존 로크 역시 출자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회사가 주도한 교역은 소위 '삼각 무역'의 형태를 띠었다. 영국에서 총기, 화약, 칼과 같은 무기나 의복, 신발, 식기 등의 공산품을 아프리카로 수출하고, 아프리카에서는 전쟁 포로, 빚 때문에 팔려온 사람, 납치된 사람 등을 노예로 사들여 북아메리카와 서인도 제도로 실어 날랐다. 그리고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플랜테이션 농장에서 생산된 설탕, 생면, 담배 등을 영국으로 가져왔다. 이 과정에서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 소속 노예들은 다른 경로로 온 노예들과 구별하기 위해, 회사 대표였던 요크 공작(Duke of York)의 머리글자인 'DY' 또는 회사 약칭 'RAC'가 새겨진 낙인이 찍히는 비인간적인 처우를 받았다.
1698년,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의 독점권은 폐지되었다. 이로 인해 브리스톨이나 리버풀의 다른 상인들도 노예 무역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오히려 노예 무역의 규모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18세기 중반에는 연간 2만 명에 달하는 아프리카인들이 노예로 팔려나갔다. 독점권은 사라졌지만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는 이후에도 무역 활동을 계속 이어갔다.
2. 4. 노예 무역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의 직접적인 전신은 1660년 찰스 2세의 왕정 복고 직후 설립된 '왕립 아프리카 모험 상인 회사'이다. 이 회사는 찰스 2세의 동생이자 훗날 제임스 2세가 되는 요크 공작이 대표를 맡았다. 1663년 재결성되면서 노예 무역 독점권이 명확해졌고, 이는 다른 상인들의 불만을 샀다. 이 회사는 1667년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중에 도산했다.1672년, 새로운 특허 회사인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RAC)가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서아프리카와의 교역에서 상아나 금 외에도 노예 무역에 집중했다. 1680년대에는 연간 약 5,000명의 노예화된 아프리카인을 대서양 건너 주로 카리브해 시장으로 수송했다. 많은 노예들은 당시 회사 총재였던 요크 공작(제임스 2세)의 이니셜 'DoY'(Duke of York)나 회사 약자인 'RAC'로 낙인이 찍혔다.[15] 역사가 윌리엄 페티그루는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가 "대서양 노예 무역 기간 동안 다른 어떤 단일 기관보다 더 많은 노예 아프리카 여성, 남성 및 어린이를 아메리카 대륙으로 수송했다"고 지적하며, 회사 투자자들은 이러한 착취 행위를 완전히 인지하고 이를 통해 이익을 얻으려 했다고 밝혔다.[16][17]
1672년부터 1731년까지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는 회사 소유 선박을 이용한 653번의 항해를 통해 187,697명의 노예화된 사람들을 아메리카 대륙의 영국 식민지로 수송했다. 이 과정에서 38,497명이 항해 중 사망했다.[18] 전신인 왕립 아프리카 모험 상인 회사(1662–1672) 역시 104번의 항해로 26,925명을 수송했으며, 그중 6,620명이 사망했다.[18] 회사가 노예 무역 독점권을 가졌던 1672년부터 1698년까지의 기간 동안에는 총 10만 명이 넘는 노예를 공급한 것으로 추정된다.
회사의 교역은 이른바 제1차 삼각 무역의 형태를 띠었다. 영국에서는 총기, 화약, 칼과 같은 무기나 의복, 신발, 식기 등의 공산품을 아프리카로 수출했다. 아프리카에서는 전쟁 포로, 채무자, 납치 피해자 등을 노예로 삼아 북아메리카와 서인도 제도로 보냈다. 아메리카에서는 설탕, 생면, 담배 등의 원료를 영국으로 가져왔다. 즉, 영국은 가공품을, 아프리카는 노동력을, 아메리카는 원료를 수출하는 구조였다.
항해법에 따라 영국 상인의 무역은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가 독점했고, 타국 선박은 배제되었기 때문에 노예 무역으로 발생한 막대한 이익은 회사 구성원에게 집중되었다. 주요 투자자는 런던 상인들이었지만, 브리스톨의 에드워드 콜스턴 같은 상인이나, 『인간 오성론』과 『시민 정부론』의 저자인 철학자 존 로크도 투자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러한 노예 무역은 북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의 플랜테이션 경영에 필요한 노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특히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가 노예 무역을 독점했던 17세기 후반은 설탕 소비가 급증하던 시기로, 당시 영국의 설탕 소비량은 프랑스의 9배에 달했다고 한다. 면화나 담배 플랜테이션에서도 노예 노동력이 필요했지만, 설탕 플랜테이션은 사탕수수 재배로 인해 토지가 쉽게 황폐해져 계속 새로운 경작지로 이동해야 했고, 수확한 사탕수수를 즙을 내고 끓여 원당으로 만드는 작업에도 많은 노동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특히 노예 수요가 컸다.
원래 카리브해 식민지에서는 원주민을 노동력으로 이용했으나, 유럽인들이 옮긴 질병과 가혹한 노동 조건으로 인해 인구가 격감하여 거의 전멸 상태에 이르렀다. 이후 영국에서 온 연기 계약 봉공인이나 강제로 이주된 아일랜드 청년, 정치범 등 백인 노동력이 투입되었지만,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노동력 부족은 계속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아프리카에서 흑인 노예를 대규모로 데려오게 된 것이다.
1698년,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의 노예 무역 독점권은 폐지되었다. 이후 브리스톨이나 리버풀 등 다른 도시의 상인들도 노예 무역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회사는 독점 폐지 후에도 무역 활동을 계속했지만, 노예 무역의 규모는 독점 폐지를 기점으로 극적으로 확대되어 18세기 중반에는 연간 수송되는 노예 수가 2만 명에 달할 정도였다.
2. 5. 활동 중단 및 해산
1694년부터 1700년까지 회사는 오늘날 가나의 코멘다에서 벌어진 코멘다 전쟁에 주요 당사자로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존 카베스와 같은 상인 및 인근 아프리카 왕국들과 협력하기도 했으나, 프랑스와의 경쟁 및 전쟁으로 인해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19][4]1689년 명예 혁명으로 왕권이 약화되자, 회사는 사실상 독점권을 잃었음을 인정하고 사략 면허 발급을 중단했다.[20] 이후 영국 의회는 회사의 유지와 기반 시설 관리를 명목으로 1697년 아프리카 무역법(9 Will. 3 c. 26)을 통과시켰다.[23] 이 법은 아프리카에서 수출되는 모든 상품에 대해 회사에 10%의 부과금을 지불하는 조건으로, 모든 영국 상인에게 아프리카 무역을 개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24] 이로써 1698년 회사의 노예 무역 독점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고, 브리스톨이나 리버풀 등 다른 지역 상인들이 노예 무역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노예 무역 규모의 급격한 확대로 이어졌다.
회사는 새롭게 형성된 경쟁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1708년 지급 불능 상태에 빠졌다. 이후 활동이 크게 축소된 채 1750년까지 명맥을 유지했다.[4] 1709년 찰스 데이븐트는 ''아프리카 무역의 헌법과 관리에 대한 고찰''이라는 소책자에서 네덜란드와의 경쟁을 이유로 들며 회사의 노예 무역 독점권 부활을 주장하기도 했다.[25]
회사는 1731년까지 노예를 계속 운송했지만, 이후에는 상아와 금 가루 거래를 선호하며 노예 무역에서 점차 손을 떼었다.[26]
3. 주요 취급 품목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가 노예 외에 취급한 주요 품목으로는 상아와 금이 있었다.[1][2] 특히 금은 양질의 상태로 영국에 공급되어 금화 주조에 사용되었다.[1][2] 당시 주조된 기니 금화(1파운드 1실링 상당)의 명칭은 금의 주요 산지였던 서아프리카의 기니 지역 이름에서 유래했다.[1][2]
4. 주요 인물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에는 설립 초기부터 왕정복고 이후 영국의 주요 인물들이 다수 참여했다. 여기에는 미래의 국왕인 제임스 2세와 같은 왕족뿐만 아니라, 브리스톨의 유명 상인 에드워드 콜스턴, 그리고 계몽주의 철학자로 잘 알려진 존 로크까지 포함되어 있었다.[31][32][46] 이들은 회사의 총재, 부총재, 이사(보좌관), 주주 등 다양한 역할로 회사 운영 및 대서양 노예 무역에 관여했다.[28][29][30]
4. 1. 경영진 및 주주
회사는 설립 당시 정관에 따라 총재, 부총재, 24명의 보좌관으로 구성되었다.[28] 보좌관은 오늘날의 이사회와 유사한 역할을 했다.[29][30] 회사의 주요 경영진 및 주주들은 다음과 같다.- 요크 공작 제임스 스튜어트, 미래의 제임스 2세 국왕: 1660년부터 1688년까지 회사의 총재였으며, 국왕이 된 후에도 주요 주주로 남아 있었다.[31] 그는 회사 설립 초기부터 깊숙이 관여했다.
- 에드워드 콜스턴(1636–1721): 상인이자 박애주의자, 국회의원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1680년부터 1692년까지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의 주주였으며, 1689년부터 1690년까지 부총재를 역임했다. 그의 이러한 경력은 그가 노예 상인이었다는 비판의 근거가 되며[32], 실제로 노예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인물 중 하나였다.
- 찰스 헤이스(1678–1760): 수학자이자 연대기 학자로, 회사가 해체된 1752년 당시 부총재였다.[33]
- 말라키 포스틀스웨이트: 이사이자[34] 회사의 선전가로 활동했다.[35]
- 존 로크: 『인간 오성론』과 『시민 정부론』으로 유명한 계몽주의 철학자이지만,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의 출자자(주주) 중 한 명이었다.[46]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주주 또는 관련자로 참여했다:
- 잉글랜드의 찰스 2세[49]
- 에드먼드 앤드로스 경[36]
- 존 뱅크스 준남작[37]
- 벤자민 배서스트, 리워드 제도 부총독[38]
- 헨리 베넷, 아링턴 백작[36]
- 조지 빌리어스, 2대 버킹엄 공작[36]
- 존 버크워스 경, 1622/3-1687[39]
- 조시아 차일드 경[37]
- 로버트 클레이튼 경[40]
- 조지 카터렛 경[36]
- 존 카스[41]
- 피터 콜레턴 경[36]
- 앤서니 애슐리 쿠퍼, 샤프츠베리 백작[42]
- 크레이븐 백작[36]
- 로렌스 듀 퓌[36]
- 새뮤얼 대시우드 경[49]
- 퍼디난드 고지스[36] (퍼디난도 고지스의 손자)
- 프랜시스 호울리, 호울리 남작[36]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43]
- 제프리 제프리스 경, 잉글랜드 리워드 제도 담당 사령관 1690 – c. 1696,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 보좌관 1684–1686, 1692–1698[44]
- 존 로렌스 경[45]
- 존 무어 경[49]
- 새뮤얼 페피스[47]
- 케이프 코스트 성의 제임스 핍스[48]
- 토머스 포비[36]
- 윌리엄 프리처드 경[49]
- 가브리엘 로버츠 경[49]
- 라인강의 루퍼트 공[36]
- 토비아스 루스타트[36]
- 로버트 아스크[36]
- 존 쇼 준남작[50]
- 로버트 비너 준남작[51]
- 매튜 렌[36]
회사의 주주들은 주로 런던 상인들이었지만, 브리스톨 상인인 에드워드 콜스턴처럼 다른 지역 상인들도 일부 참여했다. 이들은 노예 무역을 포함한 회사의 활동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추구했다.
5. 유산과 영향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는 1672년 설립 이후 약 30년간 대서양 노예 무역을 독점하며 영국 경제와 아프리카, 아메리카 식민지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회사는 찰스 2세의 동생이자 훗날 제임스 2세가 되는 요크 공작이 대표를 맡았던 왕립 아프리카 모험 상인 회사를 계승하여 설립되었다.
회사는 독점권을 가졌던 1672년부터 1698년까지 10만 명이 넘는 아프리카인을 노예로 카리브해와 북미 식민지로 강제 이주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1680년부터 1686년 사이에는 연평균 5천 명의 노예를 운송했으며, 이 노예들은 회사 소유임을 나타내는 'DY'(Duke of York) 또는 'RAC'(Royal African Company)라는 낙인이 찍혔다. 이는 노예를 인간이 아닌 재산으로 취급했던 당시의 비인간적인 현실을 보여준다.
회사의 노예 무역으로 얻은 이익은 주로 런던 상인들에게 집중되었으나, 브리스톨의 상인 에드워드 콜스턴이나 『인간 오성론』, 『시민 정부론』의 저자로 유명한 존 로크와 같은 인물들도 출자자로 참여했다. 이는 당시 영국의 사회 지도층 인사들까지 노예 무역의 경제적 이익에 연관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가 주도한 무역은 영국-아프리카-아메리카를 잇는 삼각 무역의 전형적인 형태였다. 영국에서는 총기, 화약, 칼과 같은 무기류와 의복, 신발 등 공산품을 아프리카로 수출하고, 아프리카에서는 전쟁 포로, 채무자, 납치된 사람들을 노예로 사들여 아메리카 대륙으로 보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노예 노동으로 생산된 설탕, 생면, 담배 등의 원료를 영국으로 수입했다. 이 구조는 아프리카의 인적 자원을 착취하고 아메리카 식민지의 자원을 수탈하여 영국의 부를 축적하는 기반이 되었다.
1698년 왕립 아프리카 회사의 노예 무역 독점권은 폐지되었고, 이후 브리스톨이나 리버풀 등 다른 도시의 상인들도 자유롭게 노예 무역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러나 회사는 독점 폐지 이후에도 무역 활동을 계속했으며, 영국의 노예 무역 규모는 독점 폐지를 기점으로 더욱 극적으로 확대되어 18세기 중반에는 연간 2만 명에 달하는 노예가 거래되기도 했다.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는 영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지만, 그 과정에서 대서양 노예 무역이라는 비극적인 역사를 주도하며 아프리카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5. 1. 해산 이후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는 1750년 아프리카 회사 법에 의해 해산되었으며, 그 자산은 아프리카 상인 회사로 이전되었다. 이전된 자산은 주로 골드 코스트에 위치한 9개의 무역 기지, 즉 공장으로 구성되었다. 이 기지들은 포트 윌리엄, 포트 제임스, 세콘디 요새, 위네바 요새, 아폴로니아 요새, 탄툼쿼리 요새, 메탈 크로스 요새, 코멘다 요새였으며,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던 케이프 코스트 성도 포함되었다.[52]참조
[1]
웹사이트
The King Grants the Right to Trade in Africa
https://www.national[...]
National Archives
2020-08-18
[2]
서적
The British Overseas: Exploits of a Nation of Shopkeeper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Jesus College Legacy of Slavery Working Party Interim Report (July-October 2019)
https://www.jesus.ca[...]
2019-11-25
[4]
서적
The Later Stuarts, 1660–1714
Oxford University Press
1956
[5]
학술지
A Note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Slaves and Gold in West African Exports
https://www.jstor.or[...]
1974
[6]
서적
The Royal African Company
Routledge/Thoemmes Press
1999
[7]
서적
America and West Indies: September 1672 - "Sept. 27. Westminster."
https://www.british-[...]
Calendar of State Papers Colonial, America and West Indies; Originally published by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8]
서적
The Royal African Company
Routledge/Thoemmes Press
[9]
서적
The Royal African Company
Routledge/Thoemmes Press
[10]
문서
Sometimes known as '''The Gambian Merchants' Company'''.
[11]
문서
Zook
[12]
문서
Davies
[13]
서적
Prince Rupert : admiral and general-at-sea
https://www.worldcat[...]
Constable
1999
[14]
서적
America and West Indies: September 1672 - "Sept. 27. Westminster."
https://www.british-[...]
Calendar of State Papers Colonial, America and West Indies; Originally published by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5]
문서
Micklethwait, John
[16]
서적
Freedom's Debt: The Royal African Company and the Politics of the Atlantic Slave Trade, 1672–1752
https://books.google[...]
UNC Press Books
2013
[17]
웹사이트
Legacy of Slavery Working Party recommendations
https://www.jesus.ca[...]
Jesus College, Cambridge
2020-07-05
[18]
웹사이트
Voyages Database
https://www.slavevoy[...]
2022-03-05
[19]
학술지
The Komenda Wars, 1694–1700: a Revised Narrative
https://www.cambridg[...]
2007
[20]
문서
Davies
[21]
서적
The History Today Who's Who In British History
Collins & Brown Limited and Cima Books
2000
[22]
웹사이트
The Colston connection: how Prince William's Kensington Palace home is linked to slavery
https://www.theguard[...]
2023-04-06
[23]
웹사이트
William III, 1697-8: An Act to settle the Trade to Africa. [Chapter XXVI. Rot. Parl. 9 Gul. III. p. 5. n. 2.] | British History Online
https://www.british-[...]
[24]
문서
P. E. H. Hair & Robin Law, 'The English in West Africa to 1700', in ''The Oxford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Volume 1, The Origins of Empire: British Overseas Enterprise to the close of the Seventeenth Century'', ed. Nicholas Canny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p. 259
[25]
문서
Waddell, p. 286.
[26]
웹사이트
Royal African Company of England
https://archiveshub.[...]
Archives Hub
2020-07-06
[27]
문서
Davies
[28]
서적
The Royal African Company
Octagon Books
1975
[29]
서적
Slave Wales : the Welsh and Atlantic slavery, 1660-1850
University of Wales Press
2010
[30]
학술지
Set in Stone? Statues and Slavery in London
https://academic.oup[...]
2007-10-01
[31]
서적
Sugar and Slaves: The Rise of the Planter Class in the English West Indies, 1624-1713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32]
문서
Statue of Edward Colston A Grade II Listed Building in Bristol
[33]
문서
Hayes, Charles
[34]
문서
The Changing Terrain of Race and Ethnicity
[35]
웹사이트
Postlethwayt, Malachy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36]
harvnb
[37]
서적
The Making of New World Slavery: From the Baroque to the Modern, 1492–1800
https://books.google[...]
Verso
1998
[38]
웹사이트
Estates within 10 miles of Bristol {{!}} Profits {{!}} From America to Bristol {{!}} Slavery Routes {{!}} Bristol and Transatlantic Slavery {{!}} PortCities Bristol
http://discoveringbr[...]
2020-06-09
[39]
웹사이트
'The City of London & the Slave Trade'
https://reclaimec1.w[...]
2020-12-08
[40]
서적
The Final Crisis of the Stuart Monarchy: The Revolutions of 1688–91 in Their British, Atlantic and European Contexts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015-10-15
[41]
웹사이트
City of London statues removed over 'slavery link'
https://www.bbc.com/[...]
2021-01-21
[42]
서적
Anthony Ashley Cooper, First Earl of Shaftesbury 1621–1683
https://books.google[...]
Ashgate
[43]
간행물
"In Search of the Black Mozart: A Revealing Look at Handel's Investment in the Slave Trade"
https://www.newstate[...]
New Statesman
2015-06-04
[44]
서적
English Heritage Properties 1600–1830 and Slavery Connections: A Report Undertaken to Mark the Bicentenary of the Abolition of the British Atlantic Slave Trade
https://historicengl[...]
English Heritage
[45]
웹사이트
The Rulers of London 1660-1689 A Biographical Record of the Aldermen and Common Councilment of the City of London
https://www.british-[...]
British History Online
2022-03-03
[46]
웹사이트
John Locke
https://www.npg.org.[...]
2020-06-09
[47]
웹사이트
Samuel Pepys - National Portrait Gallery
https://www.npg.org.[...]
[48]
학술지
"Companies Are Always Ungrateful": James Phipps of Cape Coast, a Victim of the African Trade
https://www.jstor.or[...]
1980
[49]
서적
Dynamics of International Business: Comparative Perspectives of Firms, Markets and Entrepreneurship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2-22
[50]
웹사이트
SHAW, Sir John (c.1615-80), of Broad Street, London and Eltham Lodge, Kent.
http://www.historyof[...]
History of Parliament
2021-03-11
[51]
서적
The Royal African Company
https://www.worldcat[...]
Routledge/Thoemmes Press
1999
[52]
서적
The Narrative of Robert Adams, A Barbary Captive: A Critical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53]
웹인용
The King Grants the Right to Trade in Africa
https://www.national[...]
National Archives
2020-08-18
[54]
서적
The British Overseas: Exploits of a Nation of Shopkeeper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보고서
Jesus College Legacy of Slavery Working Party Interim Report (July-October 2019)
https://www.jesus.ca[...]
2019-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