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규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26년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군기감 녹사, 진주 판관, 사헌부 감찰 등을 거쳐 황해도 관찰사, 형조 참의, 호조 참의 등을 역임했다. 경주 부윤으로 재직 시 뇌물을 받은 자를 처벌한 일로 파직되었으나, 후에 복권되어 자헌대부 지중추부사로 승진했다. 1473년 남원에서 사망했으며, 사후 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광 류씨 - 류락진
류락진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남로당, 통일혁명당, 구국전위 사건 등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으며, 서예가로 활동하다 2005년에 사망했다. - 영광 류씨 - 류자광
류자광은 조선 시대 무신이자 문신으로, 이시애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나, 남이의 옥사 조작과 사화 연루로 비판받고 유배된 인물이다. - 1473년 사망 - 알레산드로 스포르차
알레산드로 스포르차는 콘도티에로 무치오 아텐돌로 스포르차의 사생아로 태어나 페사로와 파르마의 영주가 되었으며, 형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와 함께 군사 활동에 참여하여 피오르디몬테 전투에서 승리했고, 르네상스 양식의 궁전을 건설하고 로디 조약을 통해 파르마 영주 지위를 인정받았으며, 교황 비오 2세로부터 그라다라의 영주권을 얻어 말라테스타 가문의 침략을 막았다. - 1473년 사망 - 콘테시나 데 바르디
코시모 데 메디치의 아내인 콘테시나 데 바르디는 메디치 가문과 귀족 가문의 연결고리였으며, 뛰어난 재정 관리와 가사 운영 능력으로 명성을 얻었고, 코시모 사후에는 손자들의 조언자 역할을 했으며, 드라마에서 묘사되기도 했다. - 1400년 출생 - 한확
한확은 조선 초 문신으로, 명나라 외교에서 활약하며 세종 대에 사신으로 공물 면제를 주청하고,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에 책록되어 우의정에 올랐으며, 세조의 명나라 책봉을 성사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명나라로 가는 길에 사망했다. - 1400년 출생 - 도메니코 베네치아노
도메니코 베네치아노는 15세기 이탈리아 화가로, 베네치아 출신으로 추정되며 피렌체와 페루자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밝고 화려한 색채와 건축 요소를 화사하게 표현하는 화풍으로 후대 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류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자(字) | 경정(景正) |
시호 | 정숙 |
생애 | 1400년 - 1473년 2월 10일 |
태어난 곳 | 조선 전라남도 영광군 |
죽은 곳 | 조선 전라북도 남원부 |
군사 경력 | |
복무 | 조선 육군 |
복무 기간 | 1426년 - 1457년 |
최종 계급 | 가선대부(종2품) |
부대 | 조선 육군 |
지휘 | 조선 육군 |
서훈 | |
서훈 내역 | 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에 추증(1498년) |
기타 이력 | |
기타 이력 | 가정대부 행첨지중추부사, 자헌대부 지중추부사, 사헌부대사헌 |
2. 생애
류규는 전라남도 영광 출신으로, 대언(代言) 류두명(柳斗明)의 아들로 태어났다. 음서로 관직에 나가 계성전직(啓聖殿直)이 되었다.
1426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권지 훈련원 녹사(權知訓鍊院錄事)에 임명되었다. 이후 군기감 녹사, 선공감 직장, 진주 판관, 사헌부 감찰, 황해도 경력(黃海道經歷), 원평 부사, 평양부 소윤, 한성부 소윤 등을 지냈다.
1453년 사헌부 장령으로 있을 때 권신에게 미움을 받아 군기 부정으로 좌천되었다. 1454년(단종 2년) 사헌부 집의에 오르고, 같은 해 사복시윤으로 옮겼다가 군기감정, 판사복시사를 지냈다. 여러 벼슬을 거쳐 당상관으로 승진, 절충장군으로 첨지중추원사를 거쳐 형조 참의로 승진했다가 황해도 관찰사로 나갔다. 1455년 형조 참의, 1456년(세조 2년) 호조참의가 되었다.
서자 류자광이 익대공신이 되자, 예종이 특별히 가정대부 행 중추부첨지사를 제수하였다.[1] 한성부에서 사은한 지 한 달 남짓 만에 늙었다는 이유로 돌아가기를 청하였다.[1] 예종은 특별히 다시 승진시켜 자헌대부 지중추부사를 제수하여 전리로 돌아가게 하고, 사는 고을에 명하여 녹봉을 주게 하였다.[1]
그 뒤 특별히 사헌부대사헌에 제수되었다.[1] 1473년 2월 10일 남원에서 사망했으며, 당시 나이 73세였다.[1] 유언대로 상사를 《주자가례》에 따라 장례하게 하였다.[1]
2. 1. 출생과 가계
전라남도 영광 출신으로 대언(代言) 류두명(柳斗明)의 아들로 태어났다. 음서로 관직에 나가 음관(蔭官)으로서 계성전직(啓聖殿直)이 되었다.관계 | 이름 | 비고 |
---|---|---|
할아버지 | 류면(柳漹) | |
아버지 | 류두명(柳斗明) | |
누이 | 여산인 송인산(宋仁山) | 대언(代言) |
매부 | 고령인 신제(申梯) | 감사 역임, 자식은 신자교(申子僑) |
누이 | 연안인 이보민(李補民) | 이조정랑 |
누이 | 안동인 권채(權採) | 승지 역임 |
누이 | 홍이(洪離) | |
부인 | 여산 송씨 | |
아들 | 류자환(柳子煥) | 처음 이름은 류자황(柳子晃)[1], ? - 1467년 2월 25일, 오성군(筽城君), 시호는 문양(文襄) |
며느리 | 윤형(尹炯)의 딸 | |
손자 | 류방(柳房) | |
아들 | 류자석(柳子晳) | |
손자 | 류숭원(柳崇元) | |
첩 | 나주 최씨(羅州崔氏) | |
서자 | 류자광(柳子光) | 1439년? ~ 1512년 6월 |
서자 | 류자형(柳子炯) |
2. 2. 초기 관직 생활
음서로 관직에 나가 음관(蔭官)으로서 계성전직(啓聖殿直)이 되었다.1426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관례에 따라 바로 권지 훈련원 녹사(權知訓鍊院錄事)에 임명되었다. 이후 군기감 녹사(軍器監錄事), 선공감 직장(繕工監直長), 진주 판관(晉州判官),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황해도 경력(黃海道經歷), 원평 부사(原平府使), 평양부 소윤(平壤府少尹), 한성부 소윤(漢城府少尹) 등을 지냈다.
2. 3. 중앙 관료 생활
1453년 사헌부 장령으로 있을 때 언사로 권신에게 미움을 받아 군기 부정으로 좌천되었다. 1454년(단종 2년) 사헌부 집의에 오르고, 같은 해 사복시윤으로 옮겼다가 군기감정, 판사복시사를 지냈다. 여러 벼슬을 거쳐 당상관으로 승진, 절충장군으로 첨지중추원사를 거쳐 형조 참의로 승진했다가 외직인 황해도 관찰사로 나갔다. 그 뒤 1455년 형조 참의, 1456년(세조 2년) 호조참의가 되었다.2. 4. 은퇴와 죽음
서자 유자광이 익대공신이 되자, 예종이 그에게 특별히 가정대부 행 중추부첨지사를 제수하였다.[1] 한성부에 와서 사은한 지 한 달 남짓 만에 늙었다는 이유로 돌아가기를 청하였다.[1] 그가 사직을 청하자 예종은 특별히 다시 승진시켜 자헌대부 지중추부사를 제수하여 전리로 돌아가게 하여 그 뜻을 이루어 주고 이어서 사는 고을에 명하여 녹봉을 주게 하였다.[1]그 뒤 특별히 사헌부대사헌에 제수되었다.[1] 1473년 2월 10일에 남원에서 사망하니, 당시 나이 73세였다.[1] 유언을 내려, 그의 유언대로 상사를 한결같이 《주자가례》대로 장례하게 하였다.[1]
3. 사후
그가 죽자 예종은 조회를 금지하고 부의와 조제(弔祭)를 내렸다.[1] 1498년(연산군 3년) 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에 책록되고,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 홍문관 춘추관 성균관 관상감사에 추증되었다.[1]
4. 평가
조선왕조실록의 졸기에 따르면 류규는 평소 검소하고 겸손하게 처신하였으며 청렴하고 엄숙하여 칭찬을 받았다. 아들 류자환과 측실에서 낳은 아들 류자광이 출세하였지만, 류규는 말이나 표정으로 그러한 기색을 드러낸 적이 없었다.[1] 그는 집에서 엄숙하여 자제들을 대할 때에도 반드시 관대를 갖추고 만났다고 한다.[1]
5. 가족 관계
구 분 | 내용 |
---|---|
할아버지 | 류면 |
아버지 | 류두명 |
부인 | 여산 송씨 |
아들 | 류자환(1467년 2월 25일 사망)[1] |
며느리 | 윤형(尹炯)의 딸 |
손자 | 류방 |
아들 | 류자석 |
손자 | 류숭원 |
첩 | 나주 최씨 |
서자 | 류자광 (1439년? ~ 1512년 6월) |
서자 | 류자형 |
누이 | 여산인 송인산에게 출가 |
매부 | 고령인 신제에게 출가, 자식은 신자교 등 |
누이 | 연안인 이보민에게 출가 |
누이 | 안동인 권채에게 출가 |
누이 | 홍이에게 출가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