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퓌앙블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퓌앙블레는 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 레지옹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시대부터 중요한 교구였으며, 현재는 오트루아르주의 중심지이다. 이 도시는 성모 마리아 숭배와 레이스 생산으로 유명하며, 르퓌 녹색 렌즈콩과 레몬 버베나를 사용한 리큐어 베르벤으로도 알려져 있다. 르퓌앙블레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주요 출발지 중 하나이며, 르퓌 대성당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매년 9월에는 르네상스 시대를 재현하는 축제인 Fête du Roi de l'Oiseau가 열리며, 투르 드 프랑스 경기를 여러 차례 개최한 스포츠 역사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트루아르주의 코뮌 - 샤바니악-라파예트
샤바니악-라파예트는 프랑스 리브라도와-포레 지역권 자연공원 남서쪽 끝에 위치한 코뮌으로, 라파예트 후작을 기리기 위해 이름이 추가되었으며, 1962년부터 2020년까지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 오트루아르주의 코뮌 - 샤말리에르쉬르루아르
샤말리에르쉬르루아르는 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스 지역의 코뮌으로, 루아르 강이 흐르는 평평한 지형에 위치하며 주요 도로망을 통해 접근 가능하고, 수도원 설립과 다양한 지명 유래 가설,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와 수도원, 샤토 등의 사적지가 있으며, 인구 변화를 겪었다. - 프랑스의 주도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주도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 프랑스의 도시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도시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르퓌앙블레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르퓌앙블레 |
현지어 명칭 | Lo Puèi de Velai (오크어) |
로마자 표기 | Reu Pyui Ang Beullae |
별칭 | Lo Puèi de Velai (오크어) |
칭호 | 현 |
지리 | |
고도 | 630m |
최소 고도 | 600m |
최대 고도 | 888m |
면적 | 16.79km2 |
행정 | |
국가 | 프랑스 |
레지옹 | 오베르뉴론알프 |
데파르트망 | 오트루아르주 |
아롱디스망 | 르퓌앙블레 아롱디스망 |
캉통 | 르퓌앙블레-1 캉통 르퓌앙블레-2 캉통 르퓌앙블레-3 캉통 르퓌앙블레-4 캉통 |
코뮌 지위 | 현 및 코뮌 |
시장 | 미셸 샤피ュ이 |
소속 정당 | 여러 정당 |
임기 | 2020–2026 |
INSEE 코드 | 43157 |
우편 번호 | 43000 |
Intercommunality | CA du Puy-en-Velay |
인구 | |
전체 인구 | 18,629명 (2021년 기준) |
인구 밀도 | 1,108명/km2 |
거주민 | Ponot, Ponote 또는 Aniciens/Aniciennes |
기타 | |
웹사이트 | 르퓌앙블레 공식 웹사이트 |
좌표 | 45°02′40″N 3°53′05″E |
이미지 깃발 | Flag of Le Puy-en-Velay.svg |
2. 역사
르퓌앙블레는 중세 프랑스 초기 교구로, 그 기원은 전설에 기반한다. 비엔의 아도의 순교록에 따르면[4], 사제 조지가 페리고 주교 프롱과 함께 갈리아 선교를 위해 파견되었다. 루이 뒤셴에 따르면, 11세기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는 성 조지 전설은 그를 루카 복음서의 70인의 제자 중 한 명으로 묘사하며, ''벨라비족의 페이에 있는 베툴라''에 교회를 세웠다고 한다.[5] 이는 4세기 동안 루에시움 정착지가 불린 이름이며, '늙은 여인'을 뜻한다. 성 엘리지우스 ''생애''에 따르면 6세기 후반까지 이교도들은 플랑드르에서 그녀의 작은 조각상을 만들었다.
중세 지역 전통은 르 벨레이 ''페이''의 주요 도시에서 숭배받던 전설적인 주교 목록을 제시한다. 파울리아누스 주교는 루에시움/벨라보룸 정착지에 생-폴리엔이라는 기독교식 이름을 부여했고, 에보디우스 주교는 374년 발렌스 공의회에 참석했다.
1180년대 초, 르퓌 농민들은 목수 듀란두스를 중심으로 ''카푸시아티''라는 결사를 조직해 영주 지배에 도전했다.[6]
''Mons Anicius''의 기독교화 전설은 리모주]의 마르티알 주교] 요청으로 에보디우스 주교가 몽 아니스 정상에 성모 마리아 제단을 세웠다고 전한다. 이 성소는 이교도 부지를 기독교화했고, 르퓌 대성당 제단 부지가 되었다. 이곳은
2. 1. 선사 시대와 고대
청동기 시대 르퓌앙블레는 지중해 지역으로 광물을 운송하는 주요 경로 상에 있었다. 아르모리카나 콘월에서 생산된 주석은 루아르 강 하구를 거쳐 론 강으로 운송되었는데,[18]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이 항해는 론 강 하구에 도달하기까지 약 30일이 걸렸다고 한다.[19] 르 퓌에서 루 고개를 넘어 로안을 통과하는 경로도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18][20] 하지만 이 경로는 안전하지 않았는데, 로엑스 분묘에서 발견된 30명분의 유해는 주석 수송과 관련된 지역 주민과의 분쟁을 시사한다.[21]로마 제국 시대에 르퓌앙블레는 '아니시움(Anicium)'이라 불렸다. 갈리아인들이 신앙의 중심지로 사용했던 장소를 로마인들이 계승하여, 현재 르퓌앙블레 대성당이 있는 자리에 신전을 세웠다. 대성당 문 뒷면에는 "아디돈과 아우구스투스에게. 이 기념비는 음악가 섹스투스 탈로니우스의 희생에 의한 것"이라는 라틴어 비문이 새겨져 있다.[22] 2005년에는 코스트-데페르느 주택 단지 건설 중 서기 1세기 후반의 갈로로만 빌라 유구가 발굴되었는데, 이 빌라는 3세기부터 4세기까지 사용되었다.[22]
2. 2. 중세
5세기경, 주교좌가 루에시움(현재의 생 폴리앙)에서 르퓌로 이전하면서 르퓌는 종교적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이는 외부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쉽고 적합한 르퓌의 지리적 이점 때문이었다.[7]9세기, 성모 마리아 숭배가 마을에서 중요해지면서, 마을의 이름은 아니시움에서 르퓌앙블레가 되었다.[4] 924년, 주교 아다라르는 서프랑크 왕 라울로부터 르퓌앙블레와 그 안에 포함된 오베르뉴 백작의 도메인 전부를 기증받았다. 이로써 주교는 르퓌앙블레의 영주가 되었고, 시장을 여는 권리, 통화 발행권 등을 부여받았다.
955년, 주교 고도스칼크는 랭스로 가서 로테르에게 기증을 재확인받았다. 961년에는 생 미셸 데귀유 예배당을 성별했다.[4] 10세기부터 벨레는 주교 백작의 영지가 되었고, 르퓌는 벨레 지방과 주교좌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무렵 '열병의 돌'(Pierre aux fièvres)에 의한 치유 기적이 널리 알려져, 스페인의 이슬람교도들까지 찾아올 정도였다. 성 루이 9세가 검은 성모상을 마을에 기증하면서 르퓌는 더욱 유명해졌고, 수천 명의 순례자들이 방문하는 큰 번영을 누렸다. 르퓌 순례는 중세 프랑스에서 가장 유명한 순례 중 하나였으며,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 이어지는 주요 순례길 중 하나였다.[7]
1095년, 로마 교황우르바노 2세는 제1차 십자군 사절로 르퓌 주교 아데마르 드 몽테유를 지명했다. 1148년, 루이 7세는 궁정을 이끌고 르퓌를 방문하여 성모 승천일을 축하했다.
1162년, 기옌 공작과 르퓌 주교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 루이 7세는 주교의 편을 들어 기욤 2세로부터 벨레 백작령을 빼앗아 주교에게 주었다. 1307년, 벨레는 왕령에 통합되었고, 필리프 4세는 지배권을 교황과 공유하게 되었다. 이는 폴리냑 가문의 지위를 확고하게 만들었다.
1220년부터 1240년 사이에는 마을을 둘러싼 벽이 건설되었고, 18세기까지 마을의 경계 역할을 했다. 파누사크 탑은 이 성벽의 일부이다. 중세의 르퓌는 종교 도시일 뿐만 아니라 권위 있는 문학의 마을이기도 했다. 생 마요르 아카데미는 옥시타니아 전역에서 온 학생들을 받아들였으며, 옥어 시 작으로도 유명했다.
14세기 말, 벨레 지방은 몽펠리에에 본거지를 둔 랑그도크 왕국 정부에 속하게 되었고, 1789년까지 르퓌는 독립적인 대관구로서 번영을 누렸다. 르퓌는 파리와 생 질을 잇는 레고르단느 가도와 가까웠다.
2. 3. 근세

르퓌는 순례와 레이스 생산으로 번영을 누렸다. 르퓌의 레이스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408년에 나타난다. 1640년, 툴루즈 고등 법원은 귀족이나 부르주아들이 고용할 하인조차 없을 지경이라는 항의를 받아들였다. 당시 지역에서 7만 명이나 되는 여성들이 레이스 생산에 종사하고 있었는데, 레이스가 달린 의복 착용 금지로 인해 레이스 산업은 황폐해지고 실업자가 넘쳐났다. 예수회 신부 프랑수아 레지스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여 고등 법원의 결정을 무효화시켰다.
르퓌는 세벤 산맥의 위그노에게 공격받아 도시에 피해를 입으면서도 항상 저항했다. 주교 세넥테르 사제는 성모의 적을 피하고자 갑옷을 입고 칼을 뽑았다. 앙리 4세가 가톨릭으로 개종했음에도 불구하고, 르퓌는 수개월 동안 그를 프랑스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2. 4. 현대
1886년, 르퓌앙블레역이 개업했다. 1896년에는 시가지를 순환하는 트램 노선이 개업하여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운행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르퓌앙블레 도시권에는 두 곳의 형무소가 있었다. 하나는 로슈 아르노 고아원(현재 폐쇄)으로 독일군 장교가 수용되어 있었고[23], 다른 하나는 브리브-샤랑사에 있던 옛 샤르트뢰즈 수도원으로, 600명의 민간인 포로(독일인, 오스트리아-헝가리인, 알자스인, 로렌인)를 수용했다. 이러한 민간인 포로는 대부분 여행객이었으며, 1914년 8월부터 프랑스가 전시 체제를 취했기 때문에 적국인으로 간주되어 포로가 되었다.[24]
제2차 세계 대전 중, 점령되었던 르퓌앙블레는 1944년 8월 프랑스군 제1기갑사단(en)에 의해 해방되었다.[25]
3. 지리
르퓌앙블레는 오베르뉴론알프 레지옹 남동부, 오트루아르주 중심부에 위치하며, 발랑스에서 110km, 생테티엔에서 75km 떨어져 있다. 오베르뉴의 일원이지만, 르퓌앙블레는 론알프 지역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처럼 여겨지며, 특히 생테티엔이나 클레르몽페랑에서 그렇다. 이 도시는 포레 지방과는 국도 88호선으로, 지역권의 수도와는 국도 102호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의 남서쪽과 북동쪽으로 드레종 강이 흐르고, 북부 및 서쪽에서 동쪽으로 볼른 강이 흘러 북동부에서 드레종 강과 합류한다.
몇 개의 대규모 산지에 둘러싸여 있어 겨울은 춥고, 특히 뷔르라(Burle)라는 북풍이 거세게 분다.
3. 1. 기후
르퓌앙블레는 높은 고도로 인해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온난 습윤 기후(Dfb)에 가깝지만,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약간 영상으로 유지되어 해양성 기후(Cfb)로 분류된다.[33][34] 겨울에는 산악 지역 특유의 추위를 겪으며, 눈이 자주 내린다. 여름은 쾌적하게 따뜻하며, 꽤 더운 낮과 서늘한 밤을 보인다. 1983년 7월 22일에는 최고 기온 37.5°C를 기록했고, 1956년 2월 15일에는 최저 기온 -23.3°C를 기록했다. 연평균 기온은 8.9°C이다.[26] 2005년 3월 5일에는 기온이 -22°C까지 떨어졌다.[33][34]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4.9°C | 6.1°C | 9.7°C | 12.7°C | 16.8°C | 21.3°C | 24.6°C | 23.9°C | 19.8°C | 14.8°C | 8.8°C | 5.7°C | 14.1°C |
평균 최저 기온 (°C) | -3°C | -2.8°C | -0.5°C | 1.8°C | 5.5°C | 8.8°C | 11°C | 10.6°C | 7.7°C | 5.2°C | 0.7°C | -1.9°C | 3.6°C |
강수량 (mm) | 40.3mm | 31.6mm | 37.8mm | 61.4mm | 84.6mm | 68.4mm | 58.8mm | 64.3mm | 75mm | 72.1mm | 54.6mm | 43.1mm | 692mm |
평균 강수일수 | 7.3 | 6.7 | 7.2 | 9.9 | 10.7 | 8.3 | 6.7 | 7.8 | 7.7 | 9.2 | 8.3 | 7.1 | 96.9 |
평균 적설일수 | 8 | 7 | 4 | 1 | 0 | 0 | 0 | 0 | 0 | 1 | 4.5 | 6.5 | 32 |
평균 일조 시간 | 93.7 | 111.1 | 166.9 | 163.8 | 191.0 | 221.4 | 261.2 | 234.6 | 179.7 | 126.7 | 84.0 | 75.5 | 1909.6 |
4. 인구
르퓌앙블레의 인구는 역사적으로 변동을 거듭해 왔다. 19세기부터 꾸준히 증가하다가 20세기 후반부터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연도 | 인구 |
---|---|
1793 | 11,060 |
1806 | 12,318 |
1821 | 14,844 |
1831 | 14,930 |
1841 | 14,674 |
1851 | 15,723 |
1861 | 17,015 |
1872 | 19,233 |
1881 | 18,825 |
1891 | 20,308 |
1901 | 20,570 |
1911 | 20,944 |
1921 | 18,488 |
1931 | 20,288 |
1946 | 22,705 |
1954 | 23,453 |
1962 | 25,125 |
1968 | 26,389 |
1975 | 26,594 |
1982 | 24,064 |
1990 | 21,743 |
1999 | 20,490 |
2011 | 18,537 |
2017 | 18,995 |
연도 | 인구 |
---|---|
1962 | 25,125 |
1968 | 26,389 |
1975 | 26,594 |
1982 | 24,064 |
1990 | 21,743 |
1999 | 20,490 |
2006 | 19,321 |
2012 | 18,599 |
5. 문화
르퓌앙블레는 종교, 예술, 미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특한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한 도시이다.
노트르담 뒤 퓌 대성당은 12세기 전반에 걸쳐 지어졌으며, 흰색 사암과 검은 화산 쇄설암으로 만들어진 줄무늬가 있는 정면을 가지고 있다. 60개의 계단을 올라가면 나오는 이 정면은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낮은 층은 현관으로 이어지는 세 개의 아케이드로 구성되어 있고, 현관은 네이브의 첫 번째 만 아래로 뻗어 있다. 그 위에는 네이브를 비추는 세 개의 중앙 창문이 있으며, 가장 위층에는 두 개의 스크린 박공으로 측면을 이루는 네이브의 박공 끝에 세 개의 박공이 있다. 남쪽 트랜셉트 출입구는 로마네스크 양식의 현관으로 보호되어 있으며, 합창단 뒤에는 7층으로 된 로마네스크 양식 종탑이 솟아 있다. 네이브의 만은 팔각형 돔으로 덮여 있고, 교차점의 돔은 랜턴 구실을 한다. 합창단과 트랜셉트는 아치형 천장으로 되어 있다. 대성당 근처에는 로마 시대의 기초 위에 세워진 11세기 세례당인 생 장이 있다.
도시를 내려다보는 ''노트르담 드 프랑스''(성모 마리아) 철제 조각상은 프랑스 조각가 장마리 보나시에가 디자인했으며, 세바스토폴 공방전 (1854–1855)에서 노획한 213개의 러시아 대포로 만들어졌다.[11] 1860년 9월 12일, 12만 명의 사람들 앞에서 도시에 헌정되었다. 르퓌에서 약 4.8km 떨어진 곳에는 중요한 봉건 요새 중 하나인 폴리냐크 성의 유적이 있다.
매일 아침, 순례자들은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의 여정을 시작하기 전에 축복을 받기 위해 르퓌 대성당에 모인다. 대성당은 "프랑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일부로 1998년부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품목 | 설명 |
---|---|
르퓌의 레이스 | 레이스 제조는 프랑스 무형 문화 유산(fr)으로 지정되어 있다. 15세기에 그 역사가 시작되어 중개상과 행상인을 끌어들여 레이스 산업이 발전해 갔다. |
르퓌 녹색 렌즈콩 | 렌즈콩의 한 종류로, 2008년부터 AOC 인증을 받았다. |
베르벤 뒤 벨레(Verveine du Velay) | 1859년부터 제조되고 있는 리큐어의 상표로, 레몬 버베나를 사용한다. |
5. 1. 종교
르퓌 대성당은 12세기 전반에 걸쳐 지어진 로마네스크 양식 건축물로, 흰색 사암과 검은 화산 쇄설암으로 된 줄무늬 외관이 특징이다.[11] 노트르담 드 프랑스 상은 세바스토폴 공방전에서 노획한 러시아 대포로 만들어진 철제 조각상으로,[11] 1860년 도시 헌정 이후 르퓌앙블레의 상징이 되었다. 생 미셸 데귀유 예배당은 중세 초기에 기독교 신앙의 중심지였으며, 10세기에 성 미셸에게 봉헌된 예배당이 건립되었다.
주님 탄생 예고 축일이 성금요일과 겹치는 해에 열리는 르퓌앙블레 희년은 2005년과 2016년에 개최되었고, 다음 희년은 2157년에 열릴 예정이다.
5. 2.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
르퓌앙블레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주요 경로 중 하나인 포디엔시스 가도(Via Podiensis)의 출발점이다. 중세 시대부터 수많은 순례자들이 르퓌를 방문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순례길 관련 유적들이 남아있다.[7]
노트르담 뒤 퓌 대성당은 1998년부터 유네스코 세계 유산인 "프랑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일부로 지정되었다. 매일 아침, 순례자들은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의 여정을 시작하기 전에 축복을 받기 위해 모인다.
샤를마뉴는 772년과 800년에 두 번 르퓌를 방문했다. 전설에 따르면 772년에 그는 가난한 성직자 10명을 위한 대성당 재단을 설립했고, 아헨, 생질과 함께 르퓌를 교황령 수집의 중심지로 선택했다. 877년 대머리 카롤루스, 892년 파리의 오도 백작, 1029년 프랑스의 로베르 2세, 1183년 필리프 2세도 르퓌를 방문했다.
루이 9세는 1245년 이곳에서 아라곤의 하이메 1세를 만났고, 1254년 성지에서 돌아와 르퓌를 통과할 때 대성당에 금색 브로케이드로 장식된 흑단으로 만든 복된 성모의 모습을 하사했다. 이 성모상은 프랑스에서 존경받는 "검은 성모" 중 하나이다. 이 조각상은 혁명 기간에 파괴되었지만 복원기에 복제품으로 대체되어 현재까지 존경받고 있다. 이후 1282년 필리프 3세, 1285년 필리프 4세, 1394년 샤를 6세, 1420년 샤를 7세, 1429년 잔 다르크의 어머니인 이자벨 로메가 르퓌를 방문했다. 루이 11세는 1436년과 1475년에 순례했고, 1476년에는 도시에서 세 리그 떨어진 곳에 멈춰 서서 맨발로 대성당까지 걸어갔다. 샤를 8세는 1495년, 프랑수아 1세는 1533년에 방문했다.
제1차 십자군의 핵심 인물인 아데마르 드 몽테유 주교와 교황 클레멘스 4세도 르퓌의 주교였다.
최초의 구호소는 대성당 맞은편에 세워진 오텔-듀로, 1140년대부터 존재했다. 르퓌는 중요한 순례 중심지였으므로 원래 목적은 성모를 숭배하는 순례자들을 수용하는 것이었다. 많은 기증이 오텔-듀의 수입으로 사용되었다. 카탈루냐의 리포이에는 '프랑스, 르퓌의 성모'(Nostra Senyora del Puig de França)라고 적힌 기증함이 보존되어 있다.
주교 베르트랑 드 샤랑콩은 생 클레르 교회에서 순례자용 메달을 제조 및 판매하는 것을 허가했다. 생 클레르 교회는 16세기에 창설된 생 자크 형제회의 본부였다.
르퓌에는 생 자크 구호원도 있었으며, 1253년 유언장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구호원은 마을 성벽 밖, 생 자크 거리와 생 자크 문 옆에 있었다.
5. 3. 지역 특산물
르퓌는 특별한 종류의 녹색 렌즈콩과 버베나 향이 나는 녹색 리큐어 "베르베인"으로 유명하다.이 지역의 얇은 토양에서 재배되는 렌즈콩은 매우 작고 거의 검은색을 띤다. 독특한 품질과 풍미는 높은 단백질 함량과 비교적 낮은 탄수화물 함량에서 비롯된다. 수프에 널리 사용되며 거위, 오리, 소시지 요리에 곁들여 먹기도 한다. 르퓌 녹색 렌즈콩(Lentille Verte du Puy)은 유럽 연합 (원산지 보호 명칭) 전역에서 인정받는 원산지 명칭이다.
품목 | 설명 |
---|---|
르퓌의 레이스 | 레이스 제조는 프랑스 무형 문화 유산(fr)으로 지정되어 있다. 15세기에 그 역사가 시작되어 중개상과 행상인을 끌어들여 레이스 산업이 발전해 갔다. |
르퓌 녹색 렌즈콩 | 2008년부터 AOC 인증을 받았다. |
베르벤 뒤 벨레(Verveine du Velay) | 1859년부터 제조되고 있는 리큐어의 상표로, 레몬 버베나를 사용한다. |
5. 4. 레이스
르퓌의 번영에 기여한 주요 산업 중 하나는 레이스 생산이었다. 르퓌의 레이스에 대해 기록된 가장 오래된 문서는 1408년의 것이다. 1640년, 툴루즈 고등 법원은 귀족이나 부르주아 계층이 하인을 고용하기 어려울 정도라는 항의를 받아들였다. 당시 르퓌 지역에서 7만 명이나 되는 여성들이 레이스 생산에 종사하고 있었는데, 레이스 의복 착용 금지령으로 인해 레이스 산업은 침체되고 실업자가 급증했다.[1] 예수회 소속 신부였던 프랑수아 레지스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여 고등 법원의 결정을 무효화시켰다.[1]르퓌의 레이스 제조 기술은 프랑스 무형 문화유산(fr)으로 지정되어 있다.[1] 15세기에 시작된 레이스 제조는 중개상과 행상인들을 끌어들이며 발전했다.[1]
6. 축제
매년 9월 말 5일 동안 열리는 행사로, 참석자들은 16세기에 영감을 받은 의상, 요리 전통, 볼거리를 선보이며 르네상스 시대의 삶을 재현한다.[13]
7. 스포츠
투르 드 프랑스 경기가 르퓌앙블레를 여러 차례 경유했다. 1954년 밀로에서 출발하는 15구간의 종착지였으며, 도미니크 포를리니가 우승했다. 다음 날, 장 포레스티에가 르퓌앙블레에서 리옹까지의 경주에서 승리했다. 1990년까지 경주는 다시 열리지 않았는데, 당시 선수들은 이전 선수들의 경로를 따라 밀로로 향했다. 마리노 레하레타가 그날 우승했다. 1996년에는 발랑스에서 출발한 12구간(파스칼 리샤르 우승)과 수페르 베스까지의 13구간(롤프 쇠렌센 우승) 등 두 구간을 개최했다. 2005년 이수아르에서 출발하는 경주에서는 주세페 게리니가 우승했다. 2017년 투르 드 프랑스의 15구간은 르퓌앙블레에서 끝났으며, 트렉-세가프레도의 바우케 몰레마가 우승했다.[1]
8. 자매 도시
르퓌앙블레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35][12]
국가 | 도시 |
---|---|
이탈리아 | 브루게리오 (Brugherio|브루게리오it) |
포르투갈 | 망구알드 (Mangualde|망구알드pt) |
독일 | 메셰데 (Meschede|메셰데de) |
영국 | 톤브리지 몰링 (Tonbridge and Malling|톤브리지 몰링영어) |
스페인 | 토르토자 (Tortosa|토르토자es) |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3-06-06
[2]
간행물
Décret du 10 mars 1988 portant changement de nom de communes
https://www.legifran[...]
Journal officiel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1988-03-17
[3]
웹사이트
Le Puy en Velay: Historic French pilgrimage city
http://about-france.[...]
2022-03-15
[4]
문서
Catholic Encyclopedia
[5]
문서
[6]
서적
Social France at the time of Philip Augustus
Ungar Publishing Co.
[7]
문서
[8]
간행물
Modifications aux circonscriptions territoriales de communes
https://www.legifran[...]
Journal officiel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1965-02-21
[9]
웹사이트
Le Puy-en-Velay
[10]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11]
웹사이트
Le Puy
https://www.maristpl[...]
[12]
웹사이트
Comité de jumelage
https://www.lepuyenv[...]
Le Puy-en-Velay
2023-11-15
[13]
웹사이트
Fêtes Renaissance du Roi de l'Oiseau
https://www.roideloi[...]
Association du Roi de l'oiseau
2022-03-15
[14]
웹사이트
Gentilé sur le site habitants.fr
http://www.habitants[...]
2008-07-23
[15]
문서
Changement de nom par décret du 10 mars 1988
[16]
서적
Étymologie 'Podium' et 'Puy'
https://books.google[...]
[17]
문서
[18]
웹사이트
La route de l'étain
http://membres.multi[...]
[19]
웹사이트
Les chemins du Roux
http://volcans-ardec[...]
[20]
문서
[21]
서적
Préhistoire du Verdon : Alpes de Haute-Provence et Var, des origines à la conquête romaine
Édisud et Parc naturel du Verdon
[22]
웹사이트
Inrap rapport d'activité 2006 p. 20
http://www.inrap.fr/[...]
[23]
서적
Mon été 1914 au Puy, Prisonnière cent jours en France
Éditions Jeanne-d'Arc
[24]
서적
Mon été 1914 au Puy, Prisonnière cent jours en France
Éditions Jeanne-d'Arc
[25]
서적
Atlas de la Libération de la France
Autrement
[26]
웹사이트
http://meteostats-bz[...]
[27]
웹사이트
http://cassini.ehess[...]
[28]
웹사이트
http://www.statistiq[...]
[29]
웹사이트
http://www.insee.fr
[30]
웹사이트
http://www.lamontagn[...]
[31]
서적
NHK 夢の美術館 世界の名建築100選
新建築社
[32]
서적
世界遺産サンティアゴ巡礼路の歩き方
世界文化社
[33]
웹인용
Données climatiques de la station de Le Puy
https://web.archive.[...]
Meteo France
2015-12-30
[34]
웹인용
Climat Auvergne
https://web.archive.[...]
Meteo France
2015-12-30
[35]
웹인용
Comité de jumelage
https://www.lepuyenv[...]
Le Puy-en-Velay
2023-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