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원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원군은 동해와 접하며, 북쪽으로 단천시, 서쪽으로 덕성군, 남쪽으로 북청군과 경계를 이루는 지역이다. 과거 옥저, 고구려, 신라, 발해, 고려의 지배를 받았으며, 1895년 리원군으로 개칭되었다. 주산업은 기계 공업이며, 철, 황철석, 활석 등의 광물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평라선, 리원선, 차호선 철도가 지나며, 리원 비행장이 위치해 있다. 현재 1읍, 3노동자구, 21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원군 -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는 진흥왕이 568년 8월 마운령 순행을 기념하여 세운 화강암 비석으로, 비문에는 진흥왕의 업적과 순행 목적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현재 북한 함흥본궁에 보관되어 있다. - 함경남도의 군 - 정평군
정평군은 함경남도에 위치하며 함흥평야로 이어지는 정평평야를 중심으로 벼농사가 활발하고 평라선 철도와 선덕비행장이 위치한 교통의 요충지이며, 역사적으로 국방의 요충지였다. - 함경남도의 군 - 북청군
함경남도에 위치한 북청군은 동해와 함경산맥을 끼고 있는 군사적 요충지이자 농업이 활발한 지역이었으나, 해방 후 북한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북청사자놀음이라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리원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리원군 |
원어 이름 | 리원군 (朝鮮語) |
로마자 표기 | Riwon kun |
영어 표기 | Riwon County |
일본어 표기 | 리겐군 (利原郡) |
한자 표기 (한국) | 이원군 (利原郡) |
행정 구역 분류 | 군 |
위치 | 함경남도 |
![]() | |
통계 정보 | |
면적 | 474.8 km² |
인구 (2008년) | 117,320명 |
인구 밀도 | 249 명/km² (645 명/mi²)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1읍, 3 노동자구, 21리 |
읍 | 리원읍 |
노동자구 | 3개 |
리 | 21개 |
기타 정보 | |
소문 | "함경남도 리원군이 가장 살기 좋은 고장"으로 소문 |
2. 지리
남동쪽으로 동해와 접하고 북쪽은 마운령을 넘어 단천시, 서쪽은 덕성군, 남쪽으로 북청군과 접한다. 대부분 산지이며 남동쪽 해안가를 따라 소규모 평야 지대가 있다. 서쪽으로는 대덕산맥이 지나가며, 군에서 가장 높은 곳은 북청군과의 경계에 있는 대덕산(해발 1,442m)이다. 주요 하천으로는 동해로 흘러드는 남대천이 있으며, 해안선은 만과 섬이 발달해 있다. 전체 군 면적의 약 73%가 숲이며, 이 중 70% 이상이 침엽수림이다. 해안에 위치하여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온화한 편이다.
옛날에는 옥저와 고구려의 영역이었다. 신라의 진흥왕은 이 지역을 점령한 뒤 마운령비를 세워 영토 확장을 기념했다. 이후 발해와 여진의 지배를 받았다. 고려 시대에 이르러 다시 우리 영토가 되었으나, 1258년부터 약 100년간 원나라의 쌍성총관부 관할 아래 놓였다. 당시 시리(時利)라고 불리던 이곳은 1356년 공민왕의 쌍성총관부 수복 이후 단천에 편입되었다.
3. 역사
조선 세종 때 마운령 이남 지역이 분리되어 이성현(利城縣)이 처음 설치되었다. 이후 18세기 말 정조 때, 임금의 이름 '산(祘)'과 현 이름의 '성(城)' 발음이 유사하다는 이유로 피휘하여 리원현(利原縣)으로 고쳐졌다. 《대동여지도》에도 이 지역이 그려져 있다.
1895년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리원군이 되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의 행정구역 통폐합을 통해 현재와 비슷한 군의 범위가 정해졌으며, 1941년에는 남면 일부가 차호읍으로 승격되기도 했다.[9]
광복 당시 리원군은 3면 78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한국 전쟁을 거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치 하에 들어갔으며, 1952년 12월 북한 정권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현재의 리원군이 형성되었다. 이후 몇 차례의 행정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다.
3. 1. 연표
:
조선총독부령 제85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남면 유성리, 유진리, 하차호리, 상차호리, 룡항리, 포항리, 포진리, 창흥리 | 차호읍 일원 |
- 1943년: 남면이 차호읍에 편입 (2읍 1면).
- 1945년: 해방 후 행정구역 개편 (4면).
- * 이원읍이 서면으로 강등.
- * 동면이 이원면으로 개칭.
- * 차호읍이 분할되어 차호면, 남송면 발족.
- 1952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면리 통폐합으로 함경남도 이원군 이원면, 서면, 남송면, 차호면을 합쳐 '''이원군''' 설치. (1읍 2노동자구 20리)[6]
- 1954년: 행정구역 조정 (1읍 2노동자구 19리).
- * 오일리 일부를 분리하여 라흥노동자구 발족.
- * 오일리 잔여 지역과 차호노동자구 일부를 중평리에 편입.
- * 경포노동자구를 차호노동자구에 편입.
- 1974년 5월: 단천군의 기암리, 룡흥리, 원산리를 편입 (1읍 2노동자구 22리).
- 1981년 2월: 룡흥리, 원산리를 다시 단천군으로 이관 (1읍 2노동자구 20리).
- 1991년: 행정구역 조정 (1읍 3노동자구 21리).
- * 곡창리 일부를 분리하여 률지리 발족.
- * 라흥노동자구 일부를 분리하여 활석로동자구 발족.
4. 명칭
군의 이름은 이원읍에서 유래했다. 북한에서는 공식적으로 '''리원군'''(利原郡)으로 표기하며,[2]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라 로마자로 표기할 때는 "Riwŏn-gun"으로 쓴다. 이때 브레베는 종종 생략된다.[2]
대한민국에서는 '''이원군'''으로 표기하며,[4] 현재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공식적으로 '''Iwon-gun'''으로 로마자 표기한다.[5] 2000년 이전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른 로마자 표기는 '''Iwŏn-gun'''이었다.
1950년대 남대천 하구의 토사 퇴적으로 인해 리원읍의 위치가 내륙으로 약간 이동했으며, 당시 더 큰 항구였던 쿤선을 포함하게 되었다.[3] 이후 두 지역은 리원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5. 산업
리원군의 주산업은 기계 공업으로 연간 공업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군 내에는 철, 황철석, 활석, 석회암, 흑연, 규암 및 규산염 등의 지하자원이 매장되어 있으며, 리원 광산에서는 활석을 생산한다.
평야와 강을 따라 농업도 이루어지며, 주요 작물로는 쌀, 콩 및 옥수수가 있다.
군 남부의 차호 노동자구에는 동양 유수의 적철광 광산인 리원 광산이 위치하여 광업과 제철업이 발달하였다.
6. 교통
리원군의 주요 교통수단은 도로와 철도이다. 주요 철도 노선으로는 평라선, 리원선, 차호선이 있다.
리원 비행장은 군 전용으로 이용된다.
7. 행정 구역
리원군은 1개의 읍과 3개의 로동자구, 21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리원읍(利原邑) | 라흥로동자구(羅興勞動者區) |
활석로동자구(滑石勞動者區) | 차호로동자구(遮湖勞動者區) |
장축리(場築里) | 청산리(淸山里) |
대덕리(大德里) | 성곡리(城谷里) |
풍암리(豊岩里) | 학사대리(學士臺里) |
곡구리(谷口里) | 구읍리(舊邑里) |
룡북리(龍北里) | 하전리(荷田里) |
송동리(松洞里) | 문앙리(文仰里) |
원사리(院四里) | 곡창리(穀倉里) |
률지리(栗枝里) | 송정리(松亭里) |
염성리(鹽城里) | 다보리(多寶里) |
중평리(中坪里) | 유성리(楡城里) |
기암리(奇巖里) |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지도
"Map of Korea"
http://www.maps-of-t[...]
Map Publishing Hous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986
[3]
지도
"AMS Series L552"
http://www.lib.utexa[...]
Army Map Service
1954
[4]
이미지
http://cfile26.uf.t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09
[5]
웹사이트
"Korea and Vicinity"
http://www.freemapv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0
[6]
웹사이트
함경남도 이원군 역사
http://www.cybernk.n[...]
[7]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8]
뉴스
북 "함경남도 리원군이 가장 살기 좋은 고장"으로 소문
연합뉴스
2006-12-08
[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5호
1941-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