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매슬로의 욕구단계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슬로의 욕구단계이론은 인간의 욕구를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사랑과 소속 욕구, 존중 욕구, 자아실현 욕구의 5단계로 구분하여, 하위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어야 상위 단계의 욕구를 추구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피라미드 형태로 표현되며, 가장 기본적인 욕구가 아래, 자아실현 욕구가 꼭대기에 위치한다. 각 단계는 결핍 욕구와 성장 욕구로 나뉘며, 결핍 욕구는 충족되면 동기 부여가 사라지고, 성장 욕구는 충족될수록 더욱 증대된다. 이 이론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욕구의 위계가 엄격하지 않다는 비판과 함께 문화적 차이, 개인적 특성, 상황에 따라 욕구의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대안으로는 클레이튼 앨더퍼의 ERG 이론이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도입 - 시카고 피자
    시카고 피자는 딥디시, 스터프드, 씬크러스트 등 다양한 스타일로, 두꺼운 크러스트에 치즈와 토핑을 층층이 쌓거나 얇고 바삭한 크러스트를 사용하며, 이탈리안 소시지가 인기 토핑이다.
  • 1943년 도입 - 뱀과 사다리
    뱀과 사다리는 인도에서 시작된 주사위 보드 게임으로, 선행과 악행을 상징하는 뱀과 사다리를 통해 도덕적 가르침을 전달하며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어 왔다.
  • 긍정심리학 - 웰빙
    웰빙은 삶의 질을 포괄하는 척도로서,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의 균형 또는 긍정적인 정도를 나타내며, 개인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목표로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웰빙 증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긍정심리학 - 감정 지능
    감정 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여 사고와 행동을 이끌어내는 능력으로, 대니얼 골먼의 저서를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능력, 혼합, 특성 모델로 나뉘고 사회적 현상과 상호작용한다.
  • 동기 이론 - 목표설정이론
    목표설정이론은 에드윈 A. 로크가 체계화한 이론으로, 인간의 행동이 의식적인 목표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 구체적이고 어려운 목표 설정이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밝혀 경영,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동기 이론 - 인지부조화
    인지 부조화는 상반된 믿음이나 정보 간의 충돌로 발생하는 정신적 불편함이며, 사람들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지를 변화시켜 조화를 추구한다는 이론이다.
매슬로의 욕구단계이론
매슬로의 욕구단계이론
매슬로의 욕구 단계
매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
이름매슬로의 욕구단계이론
로마자 표기Maeseullo-ui yokgu dangye iron
영어 이름Maslow's hierarchy of needs
분야심리학
제안자에이브러햄 매슬로
발표 년도1943년
내용인간의 욕구를 계층적으로 분류하고 설명하는 이론
단계
1단계생리적 욕구 (Physiological needs)
2단계안전 욕구 (Safety needs)
3단계사회적 욕구 (Love and belonging needs)
4단계존경 욕구 (Esteem needs)
5단계자아실현 욕구 (Self-actualization needs)
비판
비판 내용경험적 증거 부족, 문화적 편향 가능성, 계층의 경직성 문제 등
참고 문헌
참고 문헌McLeod, S. A. (2021). Maslow's Hierarchy of Needs. Simply Psychology.
Maslow, A. H. (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4), 370–396.
Kaufman, S. B., Bridgman, T., Cummings, S., & Ballard, J. (2019). Who Created Maslow's Iconic Pyramid? Scientific American Blog Network.
Bridgman, T., Cummings, S., & Ballard, J. (2019). Who Built Maslow's Pyramid? A History of the Creation of Management Studies' Most Famous Symbol and Its Implications for Management Education.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18(1), 81–98.
Poston, B. (2009). An Exercise in Personal Exploration: Maslow's Hierarchy of Needs. The Surgical Technologist, 308, 348.
Kremer, W., & Hammond, C. (2013). Abraham Maslow and the pyramid that beguiled business. BBC News Magazine.
Lester, D. (2013). Measuring Maslow's Hierarchy of Needs. Psychological Reports, 113(1), 15–17.
Fallatah, R. H. M., & Syed, J. (2017). A Critical Review of Maslow's Hierarchy of Needs. Employee Motivation in Saudi Arabia, 19–59.
Deckers, L. (2018). Motivation: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Routledge Press.

2. 욕구의 단계

매슬로의 욕구 단계 다이어그램. 아래로 갈수록 원초적인 욕구를 나타내는 피라미드로 나타낸다.


매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은 흔히 피라미드 형태로 묘사된다. 이 피라미드는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욕구를 맨 아래에 두고, 자아실현과 같은 더 높은 차원의 욕구를 꼭대기에 배치한다. 이는 기본적인 욕구가 먼저 충족되어야 상위 단계의 욕구를 추구할 동기가 생긴다는 핵심 개념을 시각적으로 나타낸다.[11] 그러나 이러한 피라미드 도식 자체는 매슬로가 직접 제시한 것은 아니다.[12]

피라미드의 하위 네 단계(생리적, 안전, 사회적, 존중 욕구)는 결핍 욕구(Deficiency needs|디피션시 니즈eng, D-needs)로, 충족되지 않으면 불안이나 긴장 등을 유발하여[13] 해당 욕구를 채우려는 동기가 생긴다. 매슬로는 이러한 기본 욕구가 충족되어야 더 높은 단계의 욕구를 추구하며, 이를 넘어선 지속적 성장 동기를 메타동기(Metamotivation|메타모티베이션eng)라고 명명했다.[14] (자세한 내용은 #결핍과 성장 욕구 참조)

사람의 뇌는 복잡하여 여러 욕구가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 매슬로 역시 이를 인식하고, 특정 욕구가 다른 욕구보다 우세하게 작용하는 경향('인간의 유기체를 지배'한다고 표현함[15])을 설명하면서도, 각 단계의 만족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 "일반적", "주로" 그렇다고 표현했다. 즉, 여러 수준의 동기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인정하면서, 기본적인 동기의 유형과 그것들이 충족되는 일반적인 순서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16]

2. 1. 결핍과 성장 욕구

매슬로는 인간의 욕구를 크게 두 가지 범주, 즉 결핍 욕구(Deficiency needs|디피션시 니즈eng, D-needs)와 성장 욕구(Growth needs|그로스 니즈eng)로 나누어 설명했다.[13]
결핍 욕구는 무언가 부족하거나 결핍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욕구로, 일단 충족되면 더 이상 강력한 동기로 작용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매슬로는 피라미드의 가장 아래 네 단계를 결핍 욕구로 보았는데, 여기에는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사회적 욕구(우정, 사랑), 그리고 존중 욕구가 포함된다.[13] 이 중 가장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를 제외한 다른 결핍 욕구들이 충족되지 않으면, 직접적인 신체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개인은 불안이나 긴장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결핍 상태는 해당 욕구를 채우려는 강한 동기를 유발한다.[13] 매슬로는 이러한 기본적인 결핍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어야만 개인이 더 높은 단계의 욕구, 즉 성장 욕구를 추구하게 된다고 보았다.[14]

반면, 성장 욕구는 결핍 상태를 채우는 것을 넘어 개인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계속 성장하려는 욕구이다. 대표적인 성장 욕구는 자아실현 욕구이다. 성장 욕구는 결핍 욕구와 달리, 충족될수록 그 욕구가 사라지거나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욱 증대되는 경향을 보인다. 즉, 자아실현을 경험할수록 더 높은 수준의 자아실현을 추구하게 된다는 것이다. 매슬로는 이러한 성장 욕구를 일반적인 욕구를 넘어선다는 의미에서 메타 욕구(Metaneeds|메타니즈eng)라고 부르기도 했다. 또한 기본적인 욕구를 넘어 지속적인 자기 개선을 추구하는 동기를 메타동기(Metamotivation|메타모티베이션eng)라고 명명하였다.[14]

사람의 뇌는 복잡하게 작동하며 여러 과정을 동시에 처리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다양한 단계의 욕구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매슬로 역시 이를 인지하고 각 욕구 단계의 충족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 "일반적", "주로" 그렇다고 설명했다.[15] 즉, 특정 순간에는 특정 욕구가 다른 욕구들보다 더 우세하게 작용할 수 있지만("인간의 유기체를 지배"한다고 표현), 여러 동기가 함께 존재할 수 있음을 인정한 것이다.[15][16]

2. 2. 생리적 욕구 (Physiology)

생리적 욕구는 매슬로 욕구 단계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로, 인간 생존에 필수적인 생물학적 요구를 의미한다. 매슬로에 따르면, 이는 가장 기본적인 내적 동기로 작용하며, 사람은 이 욕구를 먼저 충족시킨 후에야 더 높은 수준의 만족(안전, 소속감, 존중, 자아실현 등)을 추구하게 된다. 따라서 상위 단계 욕구 충족의 전제 조건이 된다. 만약 생리적 욕구가 해결되지 않으면, 다른 고차원적인 욕구를 추구하기 어렵다.

생리적 욕구에는 다음 요소들이 포함된다.

생리적 욕구의 예시[17]
항목
공기
음식
수면
체온 유지 (온기)
의복
주거 (보호소)
생식



이러한 생리적 욕구들은 신체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충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공기는 다른 생리적 욕구보다 생존에 즉각적으로 필요하다. 생리적 욕구는 "삶의 기본적인 필수 요소" 충족에 핵심적이며,[18] 이 욕구가 충족되어야 배고픔이나 갈증 같은 불편함이 해소되고 신체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2. 3. 안전의 욕구 (Safety)

개인의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면, 다음으로 안전의 욕구가 우선하여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신체적 안전이 결여된 상황(전쟁, 자연재해, 가정 폭력, 아동 학대 등)이나 경제적 안전이 결여된 상황(경제 위기와 일자리 부족 등)에서, 안전의 욕구는 직업 안정성에 대한 선호, 개인을 일방적 권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불만 처리 절차, 저축 계좌, 보험 정책, 장애 지원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안전의 욕구는 특히 아동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특히 장애를 가진 아동의 경우 안전에 대한 욕구가 더 크다.[19] 성인도 경제적 측면에서 영향을 받으며, "성인도 안전의 욕구에서 면제될 수 없다"고 한다.[20]

안전의 욕구는 주거지, 직업 안정성, 건강, 안전한 환경을 포함한다. 한 사람이 환경에서 안전함을 느끼지 못하면, 생존을 위한 더 높은 욕구를 추구하기 전에 안전을 먼저 확보하려 한다. 따라서 "안전 욕구에 대한 지속적인 만족이 바로 삶의 안정성"인 것이며,[20] 안정성은 인간이 필요로 하는 항상성 개념을 다시 불러온다.

안전의 욕구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건강
  • 개인적 안전
  • 정서적 안전
  • 재정적 안전

2. 4. 사랑과 사회적 욕구 (Love/Social)

생리적 및 안전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면 인간의 세 번째 욕구인 대인 관계와 소속감에 대한 갈망이 나타난다. 매슬로에 따르면, 인간은 크고 작은 사회적 집단 안에서 소속감과 수용을 느끼고자 하는 정서적 욕구를 지닌다. 따라서 직장, 스포츠팀, 친구 모임, 가족 등 어떤 형태로든 집단의 일원이 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진다.[21] 매슬로는 이러한 사회적 집단의 예로 클럽, 직장 동료, 종교 단체, 전문가 조직, 스포츠 팀, 폭력 조직, 온라인 커뮤니티 등 비교적 큰 규모의 집단부터 가족, 연인, 멘토, 동료, 절친한 친구 등 작은 규모의 사회적 관계까지 포함될 수 있다고 보았다. 여기서 소속감이란 "다른 사람에게 받아들여지고, 존중받고, 사랑받음으로써 느끼는 편안함과 연결된 느낌"을 의미한다.[22] 매슬로는 인간이 성적인 사랑뿐만 아니라 비성적인 형태의 사랑을 포함하여 사랑을 주고받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사랑이나 소속감이 부족할 경우, 많은 사람들이 외로움, 불안, 우울증 등을 경험하기 쉬워진다. 이 욕구는 특히 어린 시절에 강하게 나타나며, 때로는 안전에 대한 욕구보다 우선시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학대하는 부모에게 애착을 보이는 아이들의 모습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병원에서의 방치, 사회적 고립, 추방과 같은 경험은 개인이 정서적으로 중요한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신 건강은 이러한 사회적 욕구 충족 및 개인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개인의 소속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면, 특히 청소년기에 우울증을 겪을 가능성이 커진다.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 수준의 가정에서 자란 경우 우울증 발병률이 낮은 경향이 있는데, 이는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가정이 장기간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면 기본적인 욕구 충족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이러한 스트레스가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를 약화시켜 우울증 발병률을 높일 수 있다. 부모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스트레스를 받고 더 많은 시간을 일터에서 보내면서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이 줄어드는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23]

사회적 소속에 대한 욕구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 가족 관계
  • 우정
  • 친밀감
  • 신뢰
  • 수용
  • 사랑과 애정을 주고받는 행위


특정한 상황, 예를 들어 동료 집단의 압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경우, 소속되고자 하는 욕구가 생리적 욕구나 안전 욕구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질 수도 있다. 그러나 개인에 따라서는 소속감보다 자아 존중의 욕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기도 하며, 또 다른 이들에게는 창의적인 성취에 대한 욕구가 가장 기본적인 욕구들마저 뛰어넘는 최우선 순위가 될 수도 있다.[24]

2. 5. 존중의 욕구 (Esteem)

존중은 한 개인에 대한 존경과 감탄을 의미하며, 동시에 "자존감과 타인의 존중"도 포함한다.[25]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실제 능력이나 성취에 기반한 안정적인 자존감을 필요로 한다. 매슬로는 존중 욕구를 두 가지 버전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는 낮은 단계의 존중 욕구로, 타인으로부터 받는 존중으로서 지위, 인정, 명성, 위신, 주목 등에 대한 욕구 등이다. 두 번째는 높은 단계의 존중 욕구로, 스스로를 존중하는 자존감을 의미하며 힘, 능력,[26] 숙달, 자신감, 독립, 자유에 대한 욕구를 포함한다. 존중의 욕구와 그 이상의 단계들은 "욕구 단계가 상호 관련되어 있어 엄격히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27] 즉, 존중 욕구와 그 이후의 단계는 엄격히 분리된 것이 아니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존중은 일상적인 경험에서 비롯되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것은 특히 아동에게 매우 중요한데, 아이들이 "유능하고 학습 능력이 뛰어난 존재라는 것을 발견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25] 이를 위해 성인은 아이들이 성공적이고 긍정적인 경험을 쌓아 보다 높은 "자아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25] 성인, 특히 부모와 교육자는 아이들에게 지지적 환경을 제공하고, 그들이 "존경받고 유능한 개인"으로 자신을 바라볼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매슬로는 존중과 명성에 대한 욕구가 아동에게 가장 중요하며, 진정한 자존감이나 존엄성보다 우선한다"고 언급했는데,[28] 이는 자존감의 두 가지 측면, 즉 자기 자신과 타인에 대한 존중을 반영한다.

2. 6. 자아실현 (Self-actualization)

"사람은, 될 수 있는 것은 반드시 되어야 한다"는 에이브러햄 매슬로의 말[29]자아실현 욕구를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 이 수준의 욕구는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완전히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매슬로는 이를 모든 것을 이루고, 자신이 될 수 있는 최고의 모습이 되고자 하는 열망으로 설명한다.[29] 사람들은 이상적인 부모가 되고자 하거나, 운동에서 성공을 이루거나, 그림, 사진, 발명품 등을 창조하고자 하는 강한 욕망을 가질 수 있다.[29] 이 단계의 욕구를 이해하려면, 이전 단계의 욕구를 성공적으로 충족하고 나아가 이를 완전히 숙달해야 한다. 자아실현은 동기 부여에서 가치 기반 시스템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매슬로의 이전 단계들이 자아실현을 이루기 위한 단계별 과정으로 작용한다.[30]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 관계, 자아 감각이 행동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는지 이해하려고 한다. 자기를 계속 발전하게 하고자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려는 욕구로, 다른 욕구와 달리 욕구가 충족될수록 더욱 증대되는 경향을 보여 ‘성장 욕구’라고 하기도 한다. 알고 이해하려는 인지 욕구나 심미 욕구 등을 여기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자아실현 욕구에 포함되는 요소[30]
요소
파트너 찾기
부모 역할 수행
재능과 능력의 활용 및 발전
목표 추구


3. 비판



매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은 학계 외에서도 널리 영향력을 끼치고 있지만,[31] 학문적으로는 여러 비판과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 연구들은 보편적인 인간 욕구의 존재와 욕구 충족 순서의 일반적인 경향성은 인정하지만, 매슬로가 제안한 엄격한 위계 구조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한다.[32][33] 가장 흔한 비판 중 하나는, 같은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동일한 상황에서 항상 같은 방식으로 행동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인간은 각자 독특한 동기에 따라 움직이므로, 매슬로의 이론만으로는 개인의 행동을 신뢰성 있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매슬로의 연구 방법론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그는 알버트 아인슈타인, 제인 애덤스, 엘리너 루스벨트, 바루흐 스피노자와 같이 정신적으로 건강하다고 여겨지는 소수의 인물들을 주로 연구했다.[34][35] 매슬로는 "불완전하고 미성숙하며 건강하지 않은 표본을 연구하는 것은 불완전한 심리학과 철학만을 산출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34][35] 이러한 표본 선정 방식이 일반적인 사람들에게 이론을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3. 1. 상황에 따른 위계 변화

매슬로가 제시한 욕구 위계는 절대적이지 않으며, 여러 요인에 따라 그 순서나 중요도가 달라질 수 있다. 매슬로 자신도 초기 이론을 수정하여, 욕구 피라미드가 개인마다 다를 수 있고 고정된 순서대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단계의 욕구를 동시에 느끼거나 단계 사이를 오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욕구 위계는 개인의 차이, 이용 가능한 자원, 그리고 특정 지역이나 국가가 처한 지정학적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32][33] 예를 들어, 고차원적 욕구(자아 존중, 자아실현)와 저차원적 욕구(생리적, 안전, 사랑)의 구분은 보편적이지 않을 수 있다.

문화적 배경과 시대 상황 또한 욕구 위계에 영향을 미친다. 1997년 연구는 이러한 차이를 보여준다.[42] 평상시 미국인들은 주로 생존 욕구(생리적, 안전)와 심리적 욕구(사랑, 자아 존중, 자아실현)라는 두 가지 수준으로 욕구를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걸프 전쟁과 같은 전시 상황에서는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심리적 욕구라는 세 가지 수준으로 욕구를 더 명확히 구분했다. 반면 중동(이집트와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평시에도 세 가지 수준의 욕구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전쟁이라는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오히려 욕구 만족도가 세 가지 수준에서 두 가지 수준으로 변화하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43][44] 이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욕구의 중요성과 만족도가 변화하는 방식이 문화권마다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서구 중심의 위계와는 다른 패턴이 관찰되기도 한다. 일부 아시아 연구에서는 공동체와의 소속감이나 관계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 매슬로의 위계에서 비교적 낮은 단계에 속하는 소속감(공동체) 욕구가 가장 중요한 최상위 욕구로 여겨지기도 했다.[45]

연령 역시 욕구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1981년의 한 연구는 연령대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욕구가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46] 이 연구에 따르면, 어린이는 신체적(생리적) 욕구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청소년기에는 자아 존중 욕구가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고, 성인기로 가면서 사랑의 욕구가 더 중요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매슬로가 제시한 욕구 단계 순서가 모든 연령대에 일관되게 적용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특히 사랑의 욕구와 자아 존중 욕구의 순서는 발달 과정에서 뒤바뀔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4. 대안

1976년에 발표된 한 리뷰 논문은 매슬로가 제안한 욕구 단계의 구체적인 순서나 명확한 위계 구조를 뒷받침하는 실증적 증거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36] 이러한 비판은 여러 종단 연구와 횡단 연구 데이터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매슬로 이론을 일부 지지하는 연구들조차 측정 기준이 부적절하고 대조군 선택이 불충분하다는 비판을 받았다.[36]

1984년에는 지르트 호프스테데가 매슬로의 이론이 자민족중심적이라고 비판했다.[37] 그는 개인주의 사회에서는 자아실현 욕구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집단주의 사회에서는 수용과 공동체에 대한 욕구가 개인의 자유나 개성 추구보다 우선시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38][39]

이처럼 매슬로의 욕구 위계 이론은 여러 한계를 지적받았으며, 이를 보완하고 다양한 인간의 욕구를 설명하기 위해 여러 대안적인 이론들이 제시되었다. 이들 이론은 매슬로의 기본 틀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관점에서 인간의 욕구를 정의하려는 시도들이다.

4. 1. ERG 이론

클레이튼 앨더퍼는 매슬로의 다섯 단계 욕구 위계를 생존(Existence), 관계(Relatedness), 성장(Growth)의 세 가지 범주로 단순화한 ERG 이론을 제시했다. 이 이론의 핵심은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욕구 단계를 유동적으로 오갈 수 있다고 보는 점이다. 이는 욕구가 반드시 하위 단계에서 상위 단계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매슬로의 위계적 접근법을 확장한 것으로 이해된다.

참조

[1] 저널 Maslow's Hierarchy of Needs https://www.simplyps[...] 2021-12-29
[2] 서적 마이어스의 심리학개론 (제13판) 시그마프레스 2022
[3] 저널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http://psychclassics[...] 2007-03-13
[4] 웹인용 Who Created Maslow's Iconic Pyramid? https://blogs.scient[...] Springer Nature America 2019-04-19
[5] 저널 Who Built Maslow's Pyramid? A History of the Creation of Management Studies' Most Famous Symbol and Its Implications for Management Education https://journals.aom[...] 2019-03
[6] 저널 An Exercise in Personal Exploration: Maslow's Hierarchy of Needs https://www.ast.org/[...] Association of Surgical Technologists 2009-08
[7] 뉴스 Abraham Maslow and the pyramid that beguiled business https://www.bbc.co.u[...] 2013-08-31
[8] 저널 Measuring Maslow's Hierarchy of Needs http://dx.doi.org/10[...] 2013-08
[9] 간행물 A Critical Review of Maslow's Hierarchy of Needs http://dx.doi.org/10[...]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11-30
[10] 서적 Motivation: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https://archive.org/[...] Routledge Press
[11] 서적 Becoming an effective classroom manager: A resource for teacher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20-11-06
[12] 웹인용 Maslow's Hierarchy of Needs: Is the Pyramid a Hoax? https://drsaraheaton[...] 2020-05-22
[13] 저널 Maslow's Hierarchy of Needs https://www.simplyps[...] 2021-12-29
[14] 서적 The third force: the psychology of Abraham Maslow Maurice Bassett Publishing 1971
[15] 서적 Motivation and personality https://archive.org/[...] Harper
[16] 웹인용 Maslow's Hierarchy of Needs in Education https://educationlib[...] 2020-02-06
[17] 저널 Maslow's Hierarchy of Needs https://www.simplyps[...] 2021-12-29
[18] 저널 An Exercise in Personal Exploration: Maslow's Hierarchy of Needs https://www.ast.org/[...] Association of Surgical Technologists 2009-08
[19] 서적 The Creative Curriculum for Preschool http://fanconij.facu[...] Teaching Strategies 2002
[20] 저널 An Exercise in Personal Exploration: Maslow's Hierarchy of Needs https://www.ast.org/[...] Association of Surgical Technologists 2009-08
[21] 저널 Maslow's Hierarchy of Needs https://www.simplyps[...] 2021-12-29
[22] 서적 The Creative Curriculum for Preschool http://fanconij.facu[...] Teaching Strategies 2002
[23] 저널 Maslow's Hierarchy of Needs a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over Time
[24] 저널 Renovating the pyramid of needs: Contemporary extensions built upon ancient foundations
[25] 서적 The Creative Curriculum for Preschool http://fanconij.facu[...] Teaching Strategies 2002
[26] 서적 Motivation: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https://archive.org/[...] Routledge Press
[27] 서적 Motivation and personality https://archive.org/[...] Harper
[28] 저널 Maslow's Hierarchy of Needs https://www.simplyps[...] 2021-12-29
[29] 서적 Motivation and personality https://archive.org/[...] Harper
[30] 서적 Motivation: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https://archive.org/[...] Routledge Press
[31] 저널 Introduction: Why We Need Maslow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17-12-01
[32] 웹인용 Maslow 2.0: A new and improved recipe for happiness https://www.theatlan[...] 2017-03-09
[33] 저널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around the world
[34] 저널 Maslow's Study of Self-Actualization: A Reinterpretation https://archive.org/[...] 1991
[35] 서적 Motivation and personality https://archive.org/[...] Harper
[36] 논문 Maslow reconsidered: A review of research on the need hierarchy theory
[37] 논문 The cultural relativity of the quality of life concept http://myweb.usf.edu[...]
[38] 논문 Maslow's hierarchy of needs: Does it apply in a collectivist culture
[39] 논문 Maslow's hierarchy of needs: An Islamic critique 2016
[40] 웹인용 Rebuilding Maslow's pyramid on an evolutionary foundation http://www.psycholog[...] 2010-05-19
[41] 논문 Renovating the pyramid of needs: Contemporary extensions built upon ancient foundations
[42] 논문 The importance of human needs during peacetime, retrospective peacetime, and the Persian Gulf War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n behalf of the International Stress Management Association
[43] 논문 Importance of human needs during retrospective peacetime and the Persian Gulf War: Mid-eastern employees https://link.spring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n behalf of the International Stress Management Association
[44] 논문 Effects of war-related stress on the satisfaction of human needs: The United States and the Middle East
[45] 논문 The Good Life Versus the "Goods Life": An Investigation of Goal Contents Theory and Employee Subjective Well-Being Across Asian Countries
[46] 논문 Age differences in motivation related to Maslow's need hierarchy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