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머스코비 회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머스코비 회사는 1555년 잉글랜드에서 설립된 최초의 특허 회사로,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무역 독점을 목표로 했다. 리처드 챈슬러의 백해를 통한 모스크바 방문을 계기로 설립되었으며, 북동 항로 개척, 러시아를 통한 무역 확대, 북극해 포경 사업 등을 수행했다. 17세기에는 잉글랜드 내전과 러시아의 정책 변화로 쇠퇴하였고,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에는 자선 단체로 운영되었다. 모스크바의 영국인 커뮤니티와 관련이 깊었으며, 현재는 모스크바의 성 안드레 성공회 교회와 연관된 자선 단체로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극 탐험 - USS 노틸러스 (SSN-571)
    세계 최초의 핵추진 잠수함인 USS 노틸러스는 핵동력 최초 항해 성공과 잠항 상태로 북극점 통과 등의 역사적 기록을 세웠으며 현재는 박물관으로 공개되어 핵잠수함 기술 발전에 대한 유산으로 평가받는다.
  • 북극 탐험 - 북서항로
    북서항로는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북아메리카 북쪽의 해상 통로로, 유럽-아시아 간 최단 항로 탐험의 역사와 관련 있으며 지구 온난화로 상업적 이용 가능성이 커졌으나 환경 문제와 영유권 분쟁 과제가 남아있다.
  • 잉글랜드의 없어진 기업 - 영국 동인도 회사
    영국 동인도 회사는 1600년 설립된 무역 회사로, 초기에는 동인도 지역과의 향신료 무역을 독점했으나 인도에 집중하며 무굴 제국의 허가 하에 인도 내륙에 거점을 마련하고, 플라시 전투와 벅사르 전투 승리 후 벵골 지역 지배권을 장악하며 식민 통치 기구로 변모했으나 세포이 항쟁 이후 영국 정부에 의해 통치권이 회수되어 1874년 해산되었다.
  • 잉글랜드의 없어진 기업 -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
    로열 아프리칸 컴퍼니는 1660년 영국에서 설립되어 서아프리카 무역 독점권을 가지고 금 탐사에서 시작하여 노예 무역을 주요 사업으로 삼았으며, 이후 아메리카 대륙으로 노예를 수송하며 노예 무역과 설탕 플랜테이션 발전에 기여했으나 1698년 독점권 폐지 후 1750년 해산되었다.
  • 러시아의 경제사 - 러시아 루블
    러시아 루블은 14세기부터 사용된 러시아의 공식 통화로, 100코페크로 구성된 십진법 화폐이며, 소련 루블을 거쳐 현재의 루블로 개혁되었고, 국제 정세와 경제 상황에 따라 가치 변동을 겪고 있다.
  • 러시아의 경제사 - 행상
    행상은 고정된 장소 없이 이동하며 물품 판매, 금융, 정보 전달, 문화 교류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상인이다.
머스코비 회사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머스코비 회사
1555년 머스코비 회사 문장. 방패 위에
머스코비 회사 문장, 1555년
유형무역 회사; 현재는 자선 단체
산업무역 회사; 현재는 자선 단체로 운영
설립1555년 2월 6일, 잉글랜드
설립자리처드 챈슬러, 세바스찬 캐벗, 휴 윌로비 경
전신신규 지역 무역 상인 회사
해산1917년 무역 회사로 해산. 현재는 주로 자선 단체로 운영
슬로건Refugium Nostrum in Deo Est (우리의 피난처는 하나님 안에 있다)
기타 정보
자선 단체 번호 (영국)210842
러시아어 명칭(Moskovskaya kompaniya)

2. 역사적 배경

1553년 리처드 챈슬러가 북동 항로 탐사 중 백해 연안에 도착하여 모스크바를 방문하면서 잉글랜드모스크바 대공국 간의 교류가 시작되었다. 챈슬러는 이반 뇌제를 알현하고 잉글랜드로 돌아와 세바스찬 캐벗, 휴 윌러비 등과 함께 머스코비 회사를 설립하는 계기를 마련했다.[1]

앤서니 젠킨슨과 헤라르뒤스 데 요데가 제작한 모스크바 대공국 지도 (1593)


이반 4세가 제롬 호세이에게 보물을 보여주는 모습 (알렉산드르 리토프첸코, 1875)


1555년 잉글랜드의 메리 1세 시대, 모스크바 대공국의 이반 뇌제 시대에 영국 최초의 특허 회사로 설립되어 당시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무역을 독점했다. 챈슬러의 방문은 잉글랜드와 러시아 간의 무역로를 개척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챈슬러는 잉글랜드의 모직물 시장을 개척하고, 러시아의 모피 등을 수입하는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1]

2. 1. 신대륙 상인 모험가 회사

머스코비 회사는 1551년 리처드 챈슬러, 세바스찬 캐벗, 휴 윌러비가 설립한 ''신대륙 상인 모험가 회사''(전체 명칭: "미지의 지역, 영토, 섬 및 장소 발견을 위한 상인 모험가 신비 회사")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은 중국으로 가는 북동 항로를 찾기로 결정했다.

챈슬러는 백해로 진입하여 현지 어부들을 놀라게 했다. 그는 북 드비나 강에 있는 니콜로-코렐스키 수도원 항구(오늘날 아르한겔스크 근처)에 도착했다. 이 지역은 막 모스크바 대공국에 병합되었고, 이반 4세는 챈슬러를 모스크바로 초청하여 왕실 궁정에서 알현하게 했다.

챈슬러는 약 965.60km가 넘는 거리를 여행하여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그는 모스크바가 런던보다 크지만 원시적이며, 차르의 궁전은 호화롭다는 것을 알았다. 러시아 차르는 영국과의 해상 무역로 개설을 기뻐했다. 당시 러시아는 발트 해로 안전하게 연결되지 않았고, 한자 동맹이 러시아와 중앙 유럽 및 서유럽 간의 무역을 독점하고 있었다. 챈슬러는 영국산 모직물 시장을 발견하고, 모피 등 러시아 상품을 수입할 수 있다고 보았다. 1554년 그는 차르의 편지를 가지고 영국으로 돌아왔는데, 여기에는 영국 상인들을 초대하고 무역 특혜를 약속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메리 1세 시대인 1555년, 영국 최초의 특허 회사로 설립되어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무역을 독점했다.

제롬 호세이도 이 회사에 깊이 관여했다. 이후 영국의 동인도 회사, 허드슨 만 회사 등의 선구 역할을 했다. 모스크바 대공국이 러시아로 발전하면서 '''러시아 회사'''라고도 불렸다.

1590년대 빌럼 바렌츠가 북동 항로 개척 중 스피츠베르겐 섬을 발견하고 고래 어장임을 확인하면서, 네덜란드와 영국 선단 간의 북극해 포경 경쟁이 벌어졌다. 영국 선단의 주요 운영자는 모스크바 회사였으며, 포경선과 사략선 등을 보내 네덜란드 배에서 어획물을 빼앗았다. 1618년 스피츠베르겐 분할과 연안 해역 포경 독점권 상호 인정으로 경쟁이 일단락되었고, 1630년대 후반에는 고래가 고갈되었다.

러시아 측 사무소는 트베르스카야 거리에 설치되었고, 성 안드레 성공회 교회도 건설되어 영국인 커뮤니티의 중심이 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회사는 사실상 기능을 잃었고, 현재는 성 안드레 성공회 교회와 관련된 자선 단체로만 남아 있다.

2. 1. 1. 휴 윌러비의 탐험과 죽음

1553년 5월 10일, 휴 윌러비 경이 이끄는 첫 탐험대가 런던을 출발했다. 윌러비는 잉글랜드 북부의 성을 지키며 스코틀랜드인에 대항하여 뛰어난 공을 세워 군사적 리더십 능력을 인정받아 탐험대장으로 선택되었다. 그는 해상 또는 항해 경험이 전혀 없었지만, 육지에서 보여준 기량과 마찬가지로 해군 생활에도 적응하리라 기대되었다.[4] 리처드 챈슬러가 지휘하는 ''에드워드 보나벤처'', 윌러비가 지휘하는 ''보나 에스페란자'', 그리고 ''보나 컨피덴시아''로 구성된 함대는 로포텐 제도 근처에서 폭풍을 만나 챈슬러의 배와 헤어졌다.

윌러비는 결국 바렌츠 해를 건너 노바야 제믈랴에 도달했다. 그는 해안을 따라 항해하다가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스칸디나비아로 향했다. 그러나 현재 무르만스크 동쪽 해안에 위치한 바르지나 강 어귀에서 배가 얼음에 갇혔다. 몇 년 후, 러시아 어부들이 배를 발견했을 때 윌러비와 그의 선원들은 얼어붙은 채로 발견되었다. 사람들은 선원들이 추운 러시아 겨울을 배 안에서 보내다 얼어 죽었다고 추정했지만, 윌러비와 그의 선원들은 배 안에서 겨울을 날 충분한 보급품을 갖추고 있었다. 그들은 아시아로의 여정에 충분한 식량을 가지고 있었고, 도착할 모든 목적지에서 거래할 수 있는 많은 양의 모직 의류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역사가들은 윌러비와 그의 선원들이 추위에 노출되어 죽은 것이 아니라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주변 만에는 충분한 양의 석탄이 있었고, 선원들이 따뜻하게 지내기 위해 재료를 모으러 나갔을 가능성이 높으며, 좁은 배 안에서 석탄을 태우면 쉽게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어쨌든 윌러비는 연락을 찾지 못하면 3일 후에 돌아오라는 지시와 함께 여러 방향으로 정찰대를 보냈지만, 이 모든 탐사 시도는 실패했다.[4]

2. 1. 2. 리처드 챈슬러의 모스크바 방문

1553년 리처드 챈슬러는 북동 항로 탐사 중 백해 연안에 도착하여 모스크바를 방문했다. 그는 이반 뇌제를 알현하고 잉글랜드로 돌아와 세바스찬 캐벗, 휴 윌러비 등 항해자와 상인들과 함께 머스코비 회사를 설립했다. 챈슬러의 모스크바 방문은 잉글랜드와 러시아 간의 무역로를 개척하는 계기가 되었다.[1] 챈슬러는 잉글랜드의 모직물 시장을 개척하고, 러시아의 모피 등을 수입하는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1]

2. 2. 모스크바 회사 설립과 특권

메리 1세 시대인 1555년, 신대륙 상인 모험가 회사는 머스코비 회사(Muscovy Company)로 재인가를 받았다.[5] 같은 해, 리처드 챈슬러는 다시 러시아를 방문하여 이반 4세로부터 회사에 러시아 내 무상 통행, 영국 정착지 통제, 체포 면제 등 여러 특권을 확보했다.[6] 머스코비 회사는 모스코비와 잉글랜드 사이의 중요한 외교적 연결 고리가 되었으며, 특히 고립된 모스코비에 의해 높이 평가되었다.

1556년, 챈슬러는 잉글랜드로 돌아오던 중 잉글랜드 주재 최초의 러시아 대사인 오시프 네페야와 동행했다. 그러나 스코틀랜드 해안에서 배가 난파되어 챈슬러는 사망했다. 네페야는 해안에 도착하여 몇 달 동안 스코틀랜드인들에게 인질로 잡혀 있다가 런던으로 올 수 있었다.

이 회사는 1553년 리처드 챈슬러가 백해 연안을 거쳐 모스크바에 도착하여 이반 뇌제를 알현한 것을 계기로, 세바스찬 캐벗, 휴 윌러비 등 항해자와 상인들이 설립하였다. 이 회사는 영국 최초의 특허 회사였으며, 당시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무역을 독점했다.

모스크바 회사는 헨리 허드슨 등을 고용하여 북동 항로 탐사를 계속했지만 실패했다. 1590년대 네덜란드의 빌럼 바렌츠가 스피츠베르겐 섬을 발견한 후에는, 모스크바 회사가 중심이 되어 네덜란드와 영국 간의 북극해 포경 경쟁이 벌어졌다. 이 경쟁은 1618년 스피츠베르겐 분할과 연안 해역 포경 독점권을 상호 인정하면서 일단락되었고, 1630년대 후반에는 스피츠베르겐의 고래가 고갈되었다.

이 회사는 제롬 호세이도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이후 영국의 동인도 회사, 허드슨 만 회사 등의 선구 역할을 했다. 모스크바 대공국이 러시아로 발전하면서, '''러시아 회사''' (영어: Russia Company)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이 회사는 사실상 기능을 잃었고, 현재는 러시아 측에 성 안드레 성공회 교회와 관련된 자선 단체로서만 남아 있다.

2. 3. 러시아를 통한 무역 확대

앤서니 젠킨슨은 리처드 챈슬러의 뒤를 이어 머스코비 회사의 주요 상인으로 활동했다. 젠킨슨은 카타이로 가는 육로를 찾기 위해 모스크바에서 부하라까지 여행했고, 1562년부터 1579년까지는 러시아를 거쳐 페르시아로 가는 육로 무역로를 개척하고자 했다. 젠킨슨은 페르시아 육로가 가능함을 확인했지만, 지역 문제로 1573년 중단되었다. 이 경로는 1741년 의회가 회사의 권리를 회복할 때까지 재개되지 않았다.

1567년, 리보니아 전쟁 (1558–1583)에서 어려움을 겪던 이반 4세는 젠킨슨을 통해 엘리자베스 1세에게 망명처를 제공받기 위해 결혼을 제안했다. 그러나 협상은 성과 없이 끝났고, 이반 4세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1570년 휴전 조약을 맺었다.

1571년, 이반 4세는 회사의 자유 무역과 볼가 강 항해 권한을 철회했다. 이는 영국이 러시아의 무역을 다른 유럽 국가에 제한하려는 요구에 대한 불만 때문이었다. 젠킨슨은 1572년 모스크바로 돌아와 회사의 특권을 회복하는 데 성공했지만, 영국-러시아 관계는 냉각되었다.[7] 이러한 불안정한 관계는 표도르 이바노비치보리스 고두노프의 반(反)영국 세력이 지배하던 16세기 말까지 지속되었다.[8]

16세기 말, 리처드 해클루이트는 젠킨슨의 박트리아 여행과 머스코비 회사의 드비나 강, 볼가 강, 카스피 해를 거쳐 페르시아까지 이르는 무역로 개척 노력을 칭송하며, 머스코비 회사가 다른 어떤 국가보다 많은 업적을 달성했다고 기록했다.[9]

2. 4. 북극해 포경 경쟁과 확장

1577년,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은 머스코비 회사에 고래잡이에 대한 독점 면허를 부여했다. 17세기 초, 이 회사의 주요하고 가장 수익성이 높은 고래잡이 지역은 스피츠베르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1613년 회사의 왕실 헌장은 휴 윌러비가 1553년에 그 땅을 발견했다는 (잘못된) 주장을 근거로 스피츠베르겐에서의 고래잡이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했다.[10][11] 처음에 영국인들은 경쟁자들을 몰아내려 했지만, 몇 년 후 이 북극 섬들 남쪽의 해역에 대해서만 권리를 주장했다.[12]

1590년대네덜란드의 빌럼 바렌츠가 북동 항로 개척 도중에 스피츠베르겐 섬을 발견하고 고래의 이상적인 어장임을 확인했기 때문에, 이후에는 네덜란드와 영국의 선단에 의한 북극해 포경 경쟁이 벌어졌다. 영국 선단의 주요 운영자는 모스크바 회사였으며, 포경선과 사략선 등을 대량으로 북극해로 보내어 네덜란드 배에서 어획물을 빼앗는 활동을 벌였다. 전쟁 직전의 격렬한 포경 경쟁은 1618년에 스피츠베르겐의 분할과 연안 해역에서의 포경 독점권을 상호 인정함으로써 일단락되었고, 1630년대 후반에는 스피츠베르겐의 고래가 고갈되었다.

1556년, 스티븐 버로우는 북동 항로를 발견하기 위한 항해를 떠나 카라 해협을 통과하는 데 성공했다. 1607년과 1608년에 회사는 헨리 허드슨을 북동 항로를 찾기 위한 두 번의 항해에 보냈으나, 두 항해 모두 실패했다.[13]

2. 5. 쇠퇴와 변화

1646년, 알렉세이 1세는 머스코비 회사가 잉글랜드 내전에서 의회파를 지지했다는 의혹에 대응하여 회사의 러시아 관세 면제를 철회했다. 1648년 찰스 1세가 처형된 후, 아르한겔스크를 제외한 러시아에서 잉글랜드 상인들은 완전히 추방되었다.[14][15]

1660년 영국 왕정복고로 찰스 2세와 러시아 간의 관계가 일시적으로 개선되었지만, 1664년 앤드루 마블이 이끈 외교 사절단은 머스코비 회사의 이전 특혜를 회복하는 데 실패했다. 그동안 네덜란드 공화국 상인들이 러시아에서 잉글랜드 상인들을 대신하여 지배적인 무역상으로 부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는 1698년까지 잉글랜드-러시아 무역에 대한 독점권을 유지했으나, 정치적 반대로 인해 특권을 잃었다.[16]

2. 6. 18세기 이후

머스코비 회사는 아르한겔스크,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크론시타트 등에서 다양한 시기에 교회와 성공회 사제를 지원했다. 모스크바 성 안드레 성공회 교회가 그 예이다.[2] 회사는 1917년 러시아 혁명까지 존속했으며, 그 이후에는 주로 자선 단체로 운영되었다.[2]

3. 모스크바의 영국인 커뮤니티와 유산

성 안드레 교회와 회사 본부(‘올드 잉글리시 야드’라고 불림)는 이반 4세 통치 기간에 지어졌으며,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었다. 이곳은 모스크바의 영국인 커뮤니티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1994년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2]

4. 대중문화

리처드 챈슬러의 1555년 모스크바 항해와 스코틀랜드 및 런던으로의 귀환은 도로시 더넷의 1971년 소설 ''반지 성''에 묘사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Fox-Davies, The Book of Public Arms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Guildhall Library Manuscripts http://www.history.a[...] 2011-01-26
[3] 간행물 CHARITABLE FUND ADMINISTERED BY THE RUSSIA COMPANY EW charity
[4] 서적 Merchant Adventurers Orion Publishing co 2014
[5] 서적 The Principal Navigations, Voyages, Traffiques and Discoveries of the English Nation, collected by [[Richard Hakluyt]], Preacher https://archive.org/[...] E. & G. Goldsmid, Edinburgh 1886
[6] 문서 Olson, p. 769
[7] 문서 Gerson, p. 84
[8] 문서 Dmitrieva, p. 21
[9] 서적 The Principal Navigations, Voyages, Traffiques and Discoveries of the English Nation http://www.gutenberg[...] 1598
[10] 서적 Henry Hudson the Navigator: The Original Documents in which His Career is Recorded, Collected, Partly Translated, and Annotated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1860
[11] 웹사이트 Trying-out: An anatomy of Dutch Whaling and Sealing in the Nineteenth Century, 1815-1885. http://de.scientific[...] 2008
[12] 문서 Schokkenbroek, p. 28.
[13] 문서 Olson, p. 770
[14] 문서 Coates, p. 123
[15] 문서 Dmitrieva, p. 28
[16] 문서 Eddy, p. 67
[17] 웹사이트 Guildhall Library Manuscripts http://www.history.a[...] 2011-01-26
[18] 간행물 CHARITABLE FUND ADMINISTERED BY THE RUSSIA COMPANY EW char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