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다이마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다이마에역은 게이오 전철의 게이오 선과 이노카시라 선이 만나는 역으로, 2층에 게이오 선, 1층에 개찰구, 지하 1층에 이노카시라 선 승강장이 있는 3층 구조이다. 이노카시라 선에는 출구 전용 개찰구(프렌테 출구)가 있으며, 2007년 역과 연결된 쇼핑 건물인 프렌테 메이다이마에가 개업했다. 2022년 기준 게이오 전철의 1일 평균 승강 인원은 86,228명이며, 메이지 대학 이즈미 캠퍼스가 역 북쪽에 위치해 있다. 1913년 화약고앞역으로 개업하여, 1935년에 현재의 메이다이마에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이오 이노카시라선 - 시부야역
시부야역은 도쿄 시부야의 주요 철도 터미널역으로, JR 동일본, 게이오 전철, 도큐 전철, 도쿄 메트로 4개 회사의 노선이 운행하며, 복잡한 구조와 주변 상업 시설, 최근 재개발을 통한 시설 개선이 특징이다. - 게이오 이노카시라선 - 미타카다이역
미타카다이역은 1933년 개업한 도쿄 급행 전철 이노카시라선의 지상역으로,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추고 있으며, 역 주변에는 상점과 주택가가 혼재하고 릿쿄 여학원 등이 위치해 있다. - 게이오선 - 신주쿠역
신주쿠역은 1885년 개업하여 JR 동일본, 게이오 전철 등 5개 회사의 노선이 운행되는 도쿄도 신주쿠구의 주요 철도역으로, 하루 평균 347만 명이 이용하는 세계적인 터미널역이다. - 게이오선 - 미나미다이라역
미나미다이라역은 1926년에 개업하여 여러 변화를 거쳐 게이오 전철 게이오 선의 역으로 운영되며, 상대식 승강장과 교상 역사를 갖추고 있으며, 주변에 공원 등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세타가야구의 철도역 - 사쿠라신마치역
사쿠라신마치역은 도쿄도 세타가야구에 있는 도쿄 급행 전철 덴엔토시선의 역으로, 1907년 개업 후 폐지되었다가 1977년 재개업했으며, 역명은 벚꽃 가로수에서 유래되었고, 급행 대피가 이루어지는 지하역이다. - 세타가야구의 철도역 - 고마자와다이가쿠역
고마자와다이가쿠역은 도쿄도 세타가야구에 위치한 도쿄 급행 전철 덴엔토시선의 역으로, 인근 고마자와 대학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마자와 올림픽 공원과 인접해 있고, 1977년 도큐 다마가와선 폐지 후 신설, 역 위치 선정 과정에서 갈등과 행정 소송을 겪었으며,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7만 명 이상이 이용하고 현재 리뉴얼 공사 중이다.
메이다이마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메이다이마에역 |
원래 역 이름 | 明大前駅 |
로마자 역 이름 | Meidaimae-eki |
위치 | 일본 도쿄도 세타가야구 마쓰바라 2-45-1 |
![]() | |
운영사 | 게이오 전철 |
역 구조 | 고가역 (지상역) |
승강장 | 각 2면 2선 |
개업일 | 1913년 4월 15일 |
이전 역 이름 | 가야쿠코마에, 마쓰바라 (1935년까지) |
역 번호 | KO06 (게이오 선) IN08 (이노카시라 선) |
일일 승하차 인원 | 86,228명 (2022년)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1 | 게이오 선 |
이전 역 1 | 다이타바시 KO05 |
역간 거리 1 | 0.8km |
다음 역 1 | 시모타카이도 KO07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1 | 신주쿠 기점 5.2km |
역 번호 1 | KO06 |
소속 노선 2 | 이노카시라 선 |
이전 역 2 | 히가시마쓰바라 IN07 |
역간 거리 2 | 0.9km |
다음 역 2 | 에이후쿠초 IN09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2 | 시부야 기점 4.9km |
역 번호 2 | IN08 |
2. 역 구조
게이오 선과 이노카시라 선 모두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지고 있으며, 2층이 게이오 선 승강장, 1층이 개찰구, 지하 1층이 이노카시라 선 승강장의 3층 구조이다.[2]
에스컬레이터는 이노카시라 선 하행 승강장 - 개찰구 내 콘코스 간과 이노카시라 선 상행 승강장 - 게이오 선 상행 승강장 간을 각각 연결하며, 전자는 상행 전용, 후자는 시부야 방면이 상행 전용, 기치조지 방면이 하행 전용이다. 엘리베이터는 이노카시라 선 하행 승강장 - 개찰구 내 콘코스 간, 개찰구 내 콘코스 - 게이오 선 하행 승강장 간, 이노카시라 선 상행 승강장 - 개찰구 내 콘코스 - 게이오 선 상행 승강장 간을 각각 연결한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이노카시라 선 하행 승강장에는 출구 전용 개찰구(프렌테 출구)가 있으며, 상행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여 역 빌딩 "프렌테 메이다이마에" 내를 경유하여 지상(역사 밖)으로 나갈 수 있다. 2007년 3월 31일, 이노카시라 선 기치조지 방면 승강장 중간 부분에 후렌테 구치/フレンテ口일본어라는 새로운 개찰구가 개설되었다.[2] 이 출구는 출구 전용이며, 같은 해 5월 24일에 개장한 역과 연결된 쇼핑 건물 후렌테 메이다이마에/フレンテ明大前일본어로 직접 연결된다.[2] 이 건물은 게이오 그룹에서 운영한다. 기치조지 방면 승강장을 덮고 있는 지붕은 이 건물의 1층에 부착되어 있다.[2] 또한, Frente Meidaimae 상점 중 일부는 기치조지 방면 승강장에 면해 있다.[2]
개찰구 내 콘코스와 이노카시라 선 하행 승강장에 점포가 입점해 있으며, 후자는 "프렌테 메이다이마에" 개업 후에는 해당 빌딩의 역 안 점포로 취급된다.
화장실은 1층 개찰구 내에 있으며, 2013년 3월에 개수되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일환인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도 설치되어 있다.
2001년 2월에는 승강장 지붕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도입되어 발전된 전력을 역의 전기 시설에 공급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와의 공동 연구[14][15]에 의해 설치된 것으로, 최대 발전 용량은 30킬로와트이다.
2. 1. 게이오 선 승강장 (2층)
신주쿠행 열차는 게이오선 신주쿠역(1 - 3번선)과 게이오 신선의 신주쿠역(4・5번선)을 구분하기 위해 "''' 신주쿠행'''"이라고 안내된다. 요다바시・사사즈카역에서도 유사한 안내가 이루어지고 있다.
「게이오 라이너」및 「Mt.TAKAO호」는 2021년 10월 30일부터 토요일・공휴일 다이어에서 정차역에 추가되었고[9], 2022년 3월 12일부터는 평일 다이어를 포함하여 모든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다.[10][11] 이전에는 당역 전후의 건널목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운전 정차를 하는 것 뿐이며, 승하차는 할 수 없었다.[16][17] 단, 모두 하행은 승차 전용, 상행은 하차 전용이므로, 신주쿠역 - 당역 간만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9]
2. 2. 이노카시라 선 승강장 (지하 1층)
게이오 이노카시라선 승강장이 지하 1층에 있다.
2022년 기준 게이오 전철의 1일 평균 승강 인원은 86,228명이다.[21] 이 중 게이오 선의 1일 평균 승강 인원은 48,752명으로, 게이오 선 역 중 하츠다이역 다음으로 13위를 기록했다.[21] 이노카시라 선의 1일 평균 승강 인원은 37,476명으로, 이노카시라 선 역 중 시모키타자와역 다음으로 4위이다.[21] 게이오 선과 이노카시라 선 간의 1일 평균 환승 인원은 145,276명이다.[21]
메이지 대학 이즈미 캠퍼스는 역 북쪽에 위치하며, 역명의 유래가 되었다.[91] 문과 계열 학부의 교양 과정이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역 주변에는 카페, 문구점, 패스트푸드점, 저렴한 식당 등이 있지만, 역전 상점가로서는 큰 규모는 아니다. 국도 제20호선(고슈 가도)이 근처에 있다. 게이오 전철 분실물 취급소, 프렌테 메이다이마에 (역 건물), 세타가야 구청 마쓰바라 마치즈쿠리 출장소도 역 주변에 위치한다. 쓰키지 혼간지 와다보리 묘소는 관동 대지진 이후 이 지역으로 이전해 왔다.[91] 니혼 대학 쓰루가오카 고등학교, 니혼 여자 체육 대학 부속 니카이도 고등학교 등 다수의 학교가 위치해 있다.
메이다이마에역은 1913년 4월 15일 카야쿠코마에역/火薬庫前駅일본어으로 처음 개업했다.[1] 1917년에 마쓰바라역/松原駅일본어으로,[1] 1935년 2월 8일에 다시 메이다이마에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1] 이노카시라선 플랫폼은 1933년 8월 1일에 개통되었다.[2]
이노카시라선 기치조지 방면에 건넘선을 설치하는 공사가 2016년 12월경부터 시작되어, 2017년 11월부터 사용을 시작했다. 2018년 2월 22일 실시된 다이어 개정으로, 심야에 기치조지 발 당역 종착이 1개 설정되었지만, 당역 시발은 설정되지 않았다.
3. 이용 현황
1955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도별 1일 평균 승하차 및 환승 인원 변화 추이는 아래 표와 같다.연도별 1일 평균 하차 및 승차 인원 연도 1일 평균
하차 인원게이오 선 ·
이노카시라 선
환승 인원1일 평균
승차 인원게이오 선 이노카시라 선 게이오 선 이노카시라 선 1955년 16,630 12,394 40,112 rowspan="8"| rowspan="8"| 1960년 21,274 16,990 61,446 1965년 29,748 22,359 86,047 1970년 31,247 20,822 102,865 1975년 34,495 23,171 121,160 1980년 31,807 34,261 141,026 1983년 38,209 1985년 37,738 28,528 158,916 1990년 41,704 28,500 167,044 20,795 14,293 1991년 42,461 rowspan="4"| rowspan="4"| 21,172 14,309 1992년 rowspan="3"| 20,967 14,058 1993년 20,896 13,608 1994년 20,726 13,534 1995년 40,231 26,308 164,950 20,068 13,142 1996년 rowspan="4"| rowspan="4"| rowspan="4"| 19,967 13,129 1997년 19,778 12,408 1998년 19,723 12,090 1999년 19,525 11,910 2000년 39,559 24,457 162,660 19,721 12,121 2001년 rowspan="2"| rowspan="2"| rowspan="2'| 20,225 12,351 2002년 20,041 12,093 2003년 40,201 24,473 168,559 20,085 12,475 2004년 40,250 24,468 168,215 20,197 12,532 2005년 40,966 25,052 168,929 20,529 12,978 2006년 41,572 25,300 171,785 20,770 13,197 2007년 47,667 30,671 171,785 23,628 15,557 2008년 49,607 32,943 172,530 24,627 16,682 2009년 50,293 33,406 171,646 25,003 16,888 2010년 50,800 33,716 169,727 25,255 17,063 2011년 49,433 33,684 169,104 24,549 17,022 2012년 49,647 34,865 172,727 24,699 17,605 2013년 49,487 34,558 172,881 24,665 17,394 2014년 52,885 38,141 171,224 26,345 19,101 2015년 60,135 44,473 176,100 29,958 22,232 2016년 61,476 45,918 178,289
4. 역 주변
5. 역사
2013년 2월 22일부터 게이오선에 역 번호가 도입되어, 메이다이마에역은 게이오선에서 "KO06", 이노카시라선에서 "IN08"이 되었다.[3]
원래는 도쿄 야마노테 급행 전철(미완성선) 제2 야마노테선 구상 안에서 야마노테 급행과의 접속역이 될 예정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역 기치조지 쪽에 있는 타마가와 상하수도의 수도교 부분에는, 게이오 전철(=이노카시라선)과 야마노테 급행의 4선분의 복복선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4] 또한, 이노카시라선 승강장의 시부야 쪽에 있는 게이오선과의 입체 교차 부분에도 4선분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설치 공간이나 자재 보관소, 작업장 설치 공간으로 전용되었다.
5. 1. 게이오 선
메이다이마에역은 1913년 4월 15일 게이오 전기궤도의 화약고앞역(카야쿠코마에역/火薬庫前駅일본어)으로 처음 개업했다.[1] 1917년에 마쓰바라역(마쓰바라에키/松原駅일본어)으로,[1] 1935년 2월 8일에 다시 메이다이마에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1] 역 이름은 1934년에 메이지 대학 예과가 역 근처로 이전한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고슈 가도(국도 20호)를 사이에 두고 북쪽에 메이지 대학 이즈미 교사가 있다.
개업 당시 역명 "화약고 앞"은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막부의 연초장(조총, 화약 등의 저장 시설)이 고슈 가도를 따라 있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메이지 시대에는 육군 관할이 되었으나, 관동 대지진을 계기로 쓰키지 혼간지의 묘지가 이전하여 현재의 쓰키지 혼간지 와다보리 묘소가 되었다. 이후 "마쓰바라"는 이 지역의 옛 마을 이름이다.[13]
1944년 5월 31일, 게이오 전기궤도가 도쿄 급행 전철(다이토큐)에 흡수 합병되어 같은 회사 게이오선의 역이 되었다.[1] 1948년 6월 1일, 도큐에서 게이오제이토 전철이 분리되어 같은 회사의 역이 되었다.[1] 2001년 3월 27일, 다이아 개정에 따라 준특급이 신설되어 정차역이 되었다.[5] 2013년 2월 22일, 역 번호 KO06이 도입되었다.[3] 2014년 2월 28일, 연속 입체 교차 사업 착수.[6] 2017년 3월 25일, 열차 접근 멜로디를 "메이지 대학 교가"로 변경했다.[7] 2022년 3월 12일, 준특급이 특급에 흡수되는 형태로 폐지되고, 종일 게이오 라이너 정차역이 되었다.[10][11]
5. 2. 이노카시라 선
1933년 8월 1일, 제국 전철의 니시마쓰바라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2] 1935년 2월 8일, 메이다이마에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1] 1940년 5월 1일, 오다와라 급행 철도에 합병되었고, 1942년 5월 1일에는 도쿄 급행 전철에 병합되었다. 1948년 6월 1일, 게이오 데이토 전철이 분리되면서 이노카시라선의 역이 되었다.[12] 2007년 5월 24일, 역 건물 "프렌테 메이다이마에"가 개업했다.[8] 2013년 2월 22일, 역 번호 IN08이 도입되었다.[3] 2017년에는 기치조지 방면에 건넘선이 설치되었다.
6. 인접역
6. 1. 게이오 전철 게이오 선
게이오 전철 게이오 선 열차는 등급에 따라 정차역이 다르다.- 특급: 사사즈카 (KO04) - 메이다이마에 (KO06) - 지토세카라스야마 (KO12) / 조후 (KO18)
- 게이오 라이너: 사사즈카 (KO04) - 메이다이마에 (KO06) - 지토세카라스야마 (KO12) / 조후 (KO18)
- 급행, 구간 급행: 사사즈카 (KO04) - 메이다이마에 (KO06) - 사쿠라조스이 (KO08)
- 쾌속: 사사즈카 (KO04) - 메이다이마에 (KO06) - 시모타카이도 (KO07)
- 각역정차: 다이타바시 (KO05) - 메이다이마에 (KO06) - 시모타카이도 (KO07)
6. 2.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 선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 선 급행은 시모키타자와 (IN05)에서 에이후쿠초 (IN09)로 운행하며, 각역정차는 히가시마쓰바라 (IN07)에서 에이후쿠초 (IN09)로 운행한다.참조
[1]
서적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Neko Publishing
2002-07
[2]
서적
日本の鉄道 中部ライン 全線・全駅・全配線 第1巻 東京駅―三鷹エリア
Kodansha
2010-04
[3]
웹사이트
http://www.keio.co.j[...]
Keio Corporation
2013-01-18
[4]
서적
日本の私鉄109
山と溪谷社
[5]
간행물
京王電鉄のダイヤ改正は高速志向
鉄道ジャーナル社
[6]
간행물
京王線の連続立体交差事業に着手します ―笹塚駅から仙川駅間の「開かずの踏切※」25箇所を除却します―
https://www.metro.to[...]
東京都建設局
2014-02-28
[7]
간행물
―3月25日(土)始発から― 京王線明大前駅の列車接近メロディーが明治大学校歌に! 〜京王沿線で校歌の導入は初!〜
https://www.keio.co.[...]
京王電鉄/明治大学
2017-03-17
[8]
간행물
一部駅の定期券発売窓口閉鎖について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20-02-10
[9]
간행물
10月30日(土)から、土・休日の「京王ライナー」および「Mt.TAKAO号」の停車駅に明大前を新たに追加します! 井の頭線のお乗り換えとあわせたご利用が可能に!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21-09-24
[10]
간행물
2022年3月12日(土)始発から京王線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平日も京王ライナーの停車駅に明大前が加わります。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22-01-27
[11]
간행물
2022年春 「さらに便利で快適な移動」が実現 京王線 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21-12-10
[12]
간행물
明大前駅に新しいランドマークが誕生 複合商業施設「フレンテ明大前」が5月24日(木)にオープンします
http://www.keio.co.j[...]
京王電鉄
2007-04-27
[13]
문서
今尾恵介『消えた駅名』(東京堂出版)、p.90。
東京堂出版
[14]
웹사이트
NEDO 産業等用太陽光発電フィールドテスト事業 平成12年度
http://www.nedo.go.j[...]
2007-10-18
[15]
웹사이트
環境保全への取り組み 京王グループ
http://www.keio.co.j[...]
2012-11-03
[16]
웹사이트
浜松発車の「サンライズ瀬戸・出雲」次の駅は400km先の姫路? 時刻表に出ない運転停車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17]
뉴스
京王電鉄の座席指定列車「京王ライナー」が2月22日にデビュー 調布駅の通過に賛否も
https://news.livedoo[...]
2016-02-25
[18]
웹사이트
レポート
https://www.train-me[...]
関東交通広告協議会
[19]
웹사이트
世田谷区統計書
https://www.city.set[...]
世田谷区
[20]
웹사이트
1日の駅別乗降人員
https://www.keio.co.[...]
[21]
웹사이트
1日の駅別乗降人員
https://www.keio.co.[...]
[22]
문서
1933年8月1日開業。
[23]
웹사이트
昭和8年
https://dl.ndl.go.jp[...]
[24]
웹사이트
昭和9年
https://dl.ndl.go.jp[...]
[25]
웹사이트
昭和10年
https://dl.ndl.go.jp[...]
[26]
PDF
昭和31年
https://www.toukei.m[...]
[27]
PDF
昭和32年
https://www.toukei.m[...]
[28]
PDF
昭和33年
https://www.toukei.m[...]
[29]
웹사이트
昭和34年
https://www.toukei.m[...]
[30]
웹사이트
昭和35年
https://www.toukei.m[...]
[31]
웹사이트
昭和36年
https://www.toukei.m[...]
[32]
웹사이트
昭和37年
https://www.toukei.m[...]
[33]
웹사이트
昭和38年
https://www.toukei.m[...]
[34]
웹사이트
昭和39年
https://www.toukei.m[...]
[35]
웹사이트
昭和40年
https://www.toukei.m[...]
[36]
웹사이트
昭和41年
https://www.toukei.m[...]
[37]
웹사이트
昭和42年
https://www.toukei.m[...]
[38]
웹사이트
昭和43年
https://www.toukei.m[...]
[39]
웹사이트
昭和44年
https://www.toukei.m[...]
[40]
웹사이트
昭和45年
https://www.toukei.m[...]
[41]
웹사이트
昭和46年
https://www.toukei.m[...]
[42]
웹사이트
昭和47年
https://www.toukei.m[...]
[43]
웹사이트
昭和48年
https://www.toukei.m[...]
[44]
웹사이트
昭和49年
https://www.toukei.m[...]
[45]
웹사이트
昭和50年
https://www.toukei.m[...]
[46]
웹사이트
昭和51年
https://www.toukei.m[...]
[47]
웹사이트
昭和52年
https://www.toukei.m[...]
[48]
웹사이트
昭和53年
https://www.toukei.m[...]
[49]
웹사이트
昭和54年
https://www.toukei.m[...]
[50]
웹사이트
昭和55年
https://www.toukei.m[...]
[51]
웹사이트
昭和56年
https://www.toukei.m[...]
[52]
웹사이트
昭和57年
https://www.toukei.m[...]
[53]
웹사이트
昭和58年
https://www.toukei.m[...]
[54]
웹사이트
昭和59年
https://www.toukei.m[...]
[55]
웹사이트
昭和60年
https://www.toukei.m[...]
[56]
웹사이트
昭和61年
https://www.toukei.m[...]
[57]
웹사이트
昭和62年
https://www.toukei.m[...]
[58]
웹사이트
昭和63年
https://www.toukei.m[...]
[59]
웹사이트
平成元年
https://www.toukei.m[...]
[60]
웹사이트
平成2年
https://www.toukei.m[...]
[61]
웹사이트
平成3年
https://www.toukei.m[...]
[62]
웹사이트
平成4年
https://www.toukei.m[...]
[63]
웹사이트
平成5年
https://www.toukei.m[...]
[64]
웹사이트
平成6年
https://www.toukei.m[...]
[65]
웹사이트
平成7年
https://www.toukei.m[...]
[66]
웹사이트
平成8年
https://www.toukei.m[...]
[67]
웹사이트
平成9年
https://www.toukei.m[...]
[68]
PDFlink
平成10年
https://www.toukei.m[...]
[69]
PDFlink
平成11年
https://www.toukei.m[...]
[70]
웹사이트
平成12年
https://www.toukei.m[...]
[71]
웹사이트
平成13年
https://www.toukei.m[...]
[72]
웹사이트
平成14年
https://www.toukei.m[...]
[73]
웹사이트
平成15年
https://www.toukei.m[...]
[74]
웹사이트
平成16年
https://www.toukei.m[...]
[75]
웹사이트
平成17年
https://www.toukei.m[...]
[76]
웹사이트
平成18年
https://www.toukei.m[...]
[77]
웹사이트
平成19年
https://www.toukei.m[...]
[78]
웹사이트
平成20年
https://www.toukei.m[...]
[79]
웹사이트
平成21年
https://www.toukei.m[...]
[80]
웹사이트
平成22年
https://www.toukei.m[...]
[81]
웹사이트
平成23年
https://www.toukei.m[...]
[82]
웹사이트
平成24年
https://www.toukei.m[...]
[83]
웹사이트
平成25年
https://www.toukei.m[...]
[84]
웹사이트
平成26年
https://www.toukei.m[...]
[85]
웹사이트
平成27年
https://www.toukei.m[...]
[86]
웹사이트
平成28年
https://www.toukei.m[...]
[87]
웹사이트
平成29年
https://www.toukei.m[...]
[88]
웹사이트
平成30年
https://www.toukei.m[...]
[89]
웹사이트
平成31年・令和元年
https://www.toukei.m[...]
[90]
웹사이트
令和2年
https://www.toukei.m[...]
[91]
간행물
明治大学広報│第571号
https://www.meiji.ac[...]
明治大学
2006-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