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모키타자와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모키타자와역은 일본 도쿄도 세타가야구에 있는 철도역으로,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선과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선이 지나간다. 1927년 오다큐선, 1933년 게이오선이 개업했으며, 여러 차례 노선 통합 및 분할 과정을 거쳤다. 2013년 오다큐선이 지하화되었고, 2019년 오다큐선과 이노카시라선의 개찰구가 분리되었다. 역 주변에는 상업 시설과 세타가야구의 관공서 등이 위치해 있으며, 오다큐선은 급행, 게이오선은 급행 열차가 정차한다. 2023년 오다큐선의 1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약 11만 8천 명, 게이오선은 약 10만 7천 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이오 이노카시라선 - 시부야역
    시부야역은 도쿄 시부야의 주요 철도 터미널역으로, JR 동일본, 게이오 전철, 도큐 전철, 도쿄 메트로 4개 회사의 노선이 운행하며, 복잡한 구조와 주변 상업 시설, 최근 재개발을 통한 시설 개선이 특징이다.
  • 게이오 이노카시라선 - 미타카다이역
    미타카다이역은 1933년 개업한 도쿄 급행 전철 이노카시라선의 지상역으로,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추고 있으며, 역 주변에는 상점과 주택가가 혼재하고 릿쿄 여학원 등이 위치해 있다.
  • 세타가야구의 철도역 - 사쿠라신마치역
    사쿠라신마치역은 도쿄도 세타가야구에 있는 도쿄 급행 전철 덴엔토시선의 역으로, 1907년 개업 후 폐지되었다가 1977년 재개업했으며, 역명은 벚꽃 가로수에서 유래되었고, 급행 대피가 이루어지는 지하역이다.
  • 세타가야구의 철도역 - 고마자와다이가쿠역
    고마자와다이가쿠역은 도쿄도 세타가야구에 위치한 도쿄 급행 전철 덴엔토시선의 역으로, 인근 고마자와 대학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마자와 올림픽 공원과 인접해 있고, 1977년 도큐 다마가와선 폐지 후 신설, 역 위치 선정 과정에서 갈등과 행정 소송을 겪었으며,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7만 명 이상이 이용하고 현재 리뉴얼 공사 중이다.
시모키타자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2019년 5월 시모키타자와역
2019년 5월 시모키타자와역
역 이름시모키타자와역
로마자 표기Shimo-Kitazawa-eki
위치세타가야구 도쿄도
개업일1927년 4월 1일
사용 노선오다큐 오다와라 선
게이오 이노카시라 선
역 번호OH07
IN05
운영 주체
운영 회사오다큐 전철
게이오 전철
인접 역
오다큐 오다와라 선line:
Rapid Express (쾌속 급행)
Commuter Express (통근 급행)
Express (급행, 일부 운행)
Commuter Semi Express (통근 준급)
Semi Express (준급)
Local (각역정차)
left:
Noborito (노보리토)
Seijogakuen-Mae (세이조가쿠엔마에)
Kyodo (교도)
Kyodo (교도)
Kyodo (교도)
Setagaya-Daita (세타가야다이타)
right:
Yoyogi-Uehara (요요기우에하라)
Yoyogi-Uehara (요요기우에하라)
Yoyogi-Uehara (요요기우에하라)
Yoyogi-Uehara (요요기우에하라)
Yoyogi-Uehara (요요기우에하라)
Higashi-Kitazawa (히가시키타자와)
게이오 이노카시라 선line:
Express (급행)
Local (각역정차)
left:
Meidaimae (메이다이마에)
Shindaita (신다이타)
right:
Shibuya (시부야)
Ikenoue (이케노우에)

2. 역사

오다큐 오다와라선 구간은 1927년 4월 1일에, 게이오 이노카시라선(당시 데이토 전철) 구간은 1933년 8월 1일에 각각 개통되었다.[1] 두 노선은 이후 여러 차례 운영 주체가 변경되었으며, 1948년 6월 1일 다이토큐 해체 이후 현재의 오다큐 전철게이오 전철 체제가 되었다.[14]

2013년 2월 22일부터 게이오는 역 번호 시스템을 도입하여 시모키타자와역에 '''IN05'''를 부여했다.[3] 2014년에는 오다큐도 역 번호를 도입하여 '''OH07'''을 부여했다.[5][6]

오다큐선은 연속 입체교차화 사업 및 복복선화 공사로 인해 2013년 3월 23일부터 지하 3층(B3F)의 새로운 승강장 사용을 시작했으며, 기존 지상 승강장은 폐쇄되었다. 이후 2018년 3월 3일 복복선화 공사가 완료되면서 지하 2층(B2F) 승강장을 각역정차 열차가, 지하 3층(B3F) 승강장을 급행 계열 열차가 사용하게 되었다.[4][21] 이 공사로 인해 역 구조가 크게 변경되었으며, 2019년 3월 16일에는 오다큐선과 게이오 이노카시라선의 개찰구가 분리되었다.[23][24] 이후 각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었다.[26][28][29]

2. 1. 오다큐 전철

오다큐 전철오다큐 오다와라선이 운행하며, 역 번호는 '''OH 07'''이다. 신주쿠역에서 4.9km 떨어져 있다. 소재지는 도쿄도 세타가야구 기타자와 2초메 24번 2호이다.

동쪽 출구 (2019년 5월 5일 촬영)


복복선 구간 위에 있는 2층 구조의 지하역이다. 지하 1층은 완행선 홈, 지하 2층은 급행선 홈으로, 각각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지고 있다. 각 홈 및 지상의 개찰구 층과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계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완행선은 개착 공법, 급행선은 안경형 실드 공법 구조로 건설되었다. 승객의 혼란을 막기 위해 지하 1층(완행선)에는 파란색, 지하 2층(급행선)에는 주황색 안내 색상을 사용하여 역내 안내 사인과 스크린도어의 띠 색상으로 구분하고 있다.

거리의 회유성을 높이기 위해 2017년 10월 28일에 세타가야다이타역 방면에 남서쪽 출구를 신설했다[34]. 남쪽 출구는 2018년 3월 24일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으며[35][36], 다음 날 25일부터 기존 게이오 전철 관할이었던 북쪽 출구가 오다큐 전철 관할이 되었다. 2018년 12월 22일에는 동쪽 출구를 신설했다.

화장실은 지상 중앙 출구 개찰구 내 엘리베이터 홀 부근, 지하 2층 1, 2번 홈 오다와라 방면, 지상 동쪽 출구 개찰구 외부 뒤편, 2층 역 구내 상업 시설 "시모키타 에키우에" 내(개찰구 외부, 0:30 - 6:00 폐쇄)의 개찰구 내외 각 2곳, 총 4곳에 설치되어 있다. 모든 화장실에는 다목적 화장실이 함께 설치된 남녀별 수세식이다. 중앙 출구 엘리베이터 홀의 화장실에는 일반 화장실 및 다목적 화장실 외에 남녀 공용 어린이용 화장실도 마련되어 있다.

2019년 3월 16일에는 오다큐 중앙 출구가 신설(북쪽 출구는 폐지)되면서, 게이오 이노카시라선과의 공용 개찰구는 3월 15일 종착 열차 운행을 끝으로 종료되었고, 별도의 개찰구로 분리되었다[23]. 이로 인해 게이오 이노카시라선의 서쪽 출구에서는 오다큐선을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역장 소재역이며, "세이조가쿠엔마에 관할 시모키타자와 관내"로서 도호쿠자와역부터 교도역까지의 각 역을 관리하고 있다[37].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은 118,852명이다.[50]

'''오다큐 전철 승강장'''
지하 1층 (완행선)
홈 번호노선행선지
1
오다와라선
오다큐 오다와라선
오다와라 · 가타세에노시마 · 가라키다 방면 (각역정차)
2 오다큐 오다와라선신주쿠 방면 (각역정차)
지하 2층 (급행선)
홈 번호노선행선지
3 오다큐 오다와라선오다와라 · 가타세에노시마 · 가라키다 방면 (쾌속급행, 통근급행, 급행, 통근준급)
4 오다큐 오다와라선신주쿠 · 지요다선 방면 (쾌속급행, 통근급행, 급행, 통근준급)



'''연혁'''


  • 1927년 4월 1일: 오다와라 급행철도 오다와라선의 시모키타자와역으로 개업[11].
  • 1937년 9월 1일: 오다와라선의 "직통" 열차 정차역이 됨.
  • 1940년 5월 1일: 테이토 전철이 오다와라 급행철도에 합병됨[13].
  • 1941년 3월 1일: 키누가와 수력 전기와 오다와라 급행철도가 합병하여 오다큐 전철이 됨[13].
  • 1942년 5월 1일: 도쿄 요코하마 전철에 합병되어 도쿄 급행 전철(다이토큐, 현 도큐 전철)의 역이 됨.
  • 1945년 6월: 오다와라선에서 "직통" 열차가 폐지되고, 각역정차가 전 노선에서 운행됨.
  • 1946년 10월 1일: 오다와라선에 준급이 신설되어 정차역이 됨.
  • 1948년
  • * 6월 1일: 도쿄 급행 전철 해체에 따라 오다와라선이 오다큐 전철 소유 노선이 됨[14].
  • * 9월: 오다큐선에 벚꽃준급이 신설되어 정차역이 됨.
  • 1949년 10월 1일: 오다큐선에 급행이 부활하여 정차역이 됨.
  • 1955년 3월 25일: 오다큐선에 통근급행이 신설되어 정차역이 됨.
  • 1957년
  • * 이 해: 오다큐선에 하계 한정 임시 열차인 쾌속급행이 운행되어 정차역이 됨 (현재의 쾌속급행과는 다름).
  • * 5월 1일: 플랫폼 유효장이 6량 편성 대응으로 확장됨[15].
  • 1960년 3월 25일: 오다큐선에 통근준급이 신설되어 정차역이 됨.
  • 1964년 11월 5일: 오다큐선에 쾌속준급이 신설되어 정차역이 됨.
  • 2002년 3월 23일: 오다큐선에 쇼난 급행 및 타마 급행이 신설되어 정차역이 됨[16].
  • 2004년
  • * 9월: 오다큐선의 연속 입체화 및 복복선화 공사 착수[17].
  • * 12월 11일: 오다큐선에 쾌속급행 및 구간준급이 신설되어 정차역이 됨[18]. 쇼난 급행은 쾌속급행 신설로 폐지됨[18].
  • 2013년 3월 23일: 연속 입체 교차 사업으로 오다큐선 역이 지하화됨[19].
  • 2016년 3월 26일: 오다큐선의 구간준급이 폐지됨[20].
  • 2018년
  • * 3월 3일: 당역을 포함한 요요기우에하라역 - 우메가오카역 구간의 오다큐선이 복복선화되고, 완행선 홈 사용 개시[21].
  • * 3월 17일: 복복선화에 따른 오다큐선 다이어 개정으로 통근급행 및 통근준급 정차역이 됨[22]. 타마 급행은 폐지됨[22].
  • 2019년
  • * 3월 16일: 오다큐선 중앙 개찰구가 개설되어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선과의 개찰구가 분리됨[23][24].
  • * 3월 29일: 오다큐 로맨스카 디자이너 미야나가 타케히코의 원화를 바탕으로 한 대형 도판 릴리프 "만남 그리고 출발"이 오다큐선 개찰구 내 콘코스 벽면에 설치됨[25].
  • * 3월 30일: 오다큐선 완행선 홈에 스크린도어 사용 시작[26].
  • * 11월 1일: 오다큐 역 구내에 상업 시설 "시모키타에키우에" 개업[27].
  • 2020년 12월 중순: 오다큐선 급행선 홈에 스크린도어 사용 시작[28].

2. 2. 게이오 전철

게이오 전철이노카시라선이 운행하며, 역 번호는 '''IN05'''이다[10]. 이노카시라선은 도쿄 시부야역에서 키치조지역까지 12.7km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시모키타자와역은 이케노우에역(IN04)과 신다이타역(IN06) 사이에 위치하며 시부야 기점 3km 지점에 있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춘 고가역이다. 다만, 기치조지 방면 승강장은 지표면과 같은 높이에 있으며 승강장 바로 옆에는 건널목이 있다. 인접한 이케노우에역까지의 거리는 0.6km, 신다이타역까지는 0.5km로 매우 가까우며 선로가 거의 직선이기 때문에 승강장 양 끝에서 인접 역을 볼 수 있다.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은 107,115명이다[51].

개찰구는 시부야 방면의 중앙 출구와 기치조지 방면의 서쪽 출구 두 곳이 있다. 중앙 출구는 오다큐 전철 개찰구와 인접해 있으며, 지상층에 개찰구가 있고 승강장과는 계단, 엘리베이터 1대, 에스컬레이터 3대(상행 1대, 상하행 병렬 2대)로 연결된다. 서쪽 출구는 지하에 개찰구가 있으며, 역무원이 상주하지 않고 인터폰으로 대응한다. 승강장 및 외부와는 계단으로만 연결되어 있다. 화장실은 중앙 출구 개찰구 내에 있으며, 남녀별 시설과 배리어 프리 대응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41].

과거에는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가 없었으나, 오다큐 전철의 승강장 개량 공사와 함께 콘코스 확장 공사가 진행되면서 2015년에 엘리베이터가 신설되었다. 2018년에는 에스컬레이터 3대가 순차적으로 가동을 시작했다. 기존에 게이오 전철이 관리하던 북쪽 출구는 2018년 3월 25일부터 오다큐 전철 관할로 변경되었고, 2019년 3월 16일 오다큐 전철과의 개찰구가 분리되면서 북쪽 출구는 폐지되고 현재의 게이오 중앙 출구가 신설되었다[24].

'''연혁'''

2. 3. 역명 유래

1927년 역이 처음 문을 열었을 때, 역이 위치한 곳이 당시 세타가야정 시모키타자와였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 '시모키타자와'라는 지명은 전근대 시대에 이 지역이 '시모키타자와 촌'이라는 아자(마을의 작은 구역 단위)였던 것에서 유래했다. 이는 상류 지역에 있던 '가미키타자와 촌'(현재의 세타가야구 가미키타자와 및 사쿠라조스이 일대)과 대비되는 이름이다. 현재 행정 구역상 '시모키타자와'라는 지명은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이 지역은 세타가야구 기타자와에 속한다.

3. 역 구조

오다큐 전철오다와라선게이오 전철이노카시라선 두 노선이 운행하며, 이 역에서 입체 교차한다. 게이오선은 고가역, 오다큐선은 지하역 구조이다. 각 노선별 역 번호는 다음과 같다.



대규모 역 재건축 공사를 통해 오다큐선은 2013년 3월 23일 기존 지상에서 지하 승강장으로 이전했으며,[19] 2018년 복복선화 공사가 완료되어 급행선과 완행선 승강장이 분리되었다.[21] 오다큐선의 지하화로 생긴 역 주변 부지는 "시모키타 선로 거리"라는 이름으로 상업 시설 개발이 진행 중이다.[33]

과거 이노카시라선이 오다큐 계열사였던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2019년 3월 15일까지는 두 노선 사이에 별도의 개찰구가 없이 환승이 가능했다. 그러나 역 리모델링 공사를 통해 2019년 3월 16일부터 오다큐선과 게이오선의 개찰구가 완전히 분리되었다. 이로 인해 현재는 각 노선이 별도의 출입구와 개찰구를 가지며, 노선 간 환승 시에는 개찰구를 통과해야 한다.[23][24]

현재 남서 출구, 오다큐 중앙 출구, 동쪽 출구는 오다큐 전철이 관리하며, 게이오 중앙 출구와 서쪽 출구는 게이오 전철이 관리한다.

3. 1. 오다큐 전철

오다큐 전철오다큐 오다와라선이 운행하며, 역 번호는 '''OH 07'''이다. 게이오 전철게이오 이노카시라선과는 이 역에서 입체 교차하며, 게이오선은 고가, 오다큐선은 지하로 운행한다.

오다큐 시모키타자와역은 1927년 4월 1일 오다와라 급행철도 오다와라선의 역으로 개업했다.[11] 이후 운영 주체가 여러 차례 변경되었는데, 1940년 테이토 전철(현 게이오 이노카시라선 운영사의 전신)을 합병하고,[13] 1941년 오다큐 전철이 발족했으며,[13] 1942년에는 도큐 전철(당시 다이토큐)에 합병되었다가 1948년 6월 1일 도큐 그룹 해체 후 다시 오다큐 전철 소속이 되었다.[14] 이 과정에서 이노카시라선은 게이오 테이토 전철(현 게이오 전철) 소유가 되었다.[14]

개업 이후 준급, 급행, 쾌속급행 등 오다큐 오다와라선의 여러 등급의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다.

원래 지상역이었으나, 연속 입체화 및 복복선화 공사를 통해 2013년 3월 23일 지하역으로 전환되었고,[19] 2018년 3월 3일 복복선 공사가 완료되어 지하 2층 구조(지하 1층 완행선, 지하 2층 급행선)를 갖추게 되었다.[21] 지하화 공사로 생긴 역 주변 부지는 "시모키타 선로 거리"라는 이름으로 상업 개발이 진행 중이다.[33]

과거 이노카시라선이 오다큐 계열이었던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2019년 3월 15일까지 오다큐선과 게이오 이노카시라선 사이의 환승 통로에는 개찰구가 없었다. 그러나 역 리모델링 공사를 통해 2019년 3월 16일부터는 양 노선 간에 별도의 개찰구가 설치되어 환승 시 개찰구를 통과해야 한다.[23][24] 현재 남서 출구, 오다큐 중앙 출구, 동쪽 출구는 오다큐 전철이 관리한다.

역장 소재역이며, "세이조가쿠엔마에 관할 시모키타자와 관내"로서 도호쿠자와역부터 교도역까지의 오다큐 오다와라선 역들을 관리한다.[37] 역 구내에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화장실 등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은 개찰구 내외 총 4곳에 있으며, 모두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다목적 화장실을 포함하고 있다.

3. 1. 1. 오다큐 전철 승강장

역 번호는 '''OH 07'''이다.

오다큐 오다와라선 승강장은 지하 1층(완행선)과 지하 2층(급행선)에 각각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구조를 갖춘 지하역이다.[38]

승강장노선방향종별행선[38]
지하 2층 (급행선) 승강장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c6000"|1--|]]|]] 오다와라선하행급행
쾌속급행
통근급행
오다와라・카타세에노시마 방면
2상행신주쿠 방면
지하 1층 (완행선) 승강장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0000ff"|3-- 오다와라선하행각역정차
준급
통근준급
급행 (일부 열차)[39]
오다와라・카타세에노시마 방면
4상행]] 지요다선 방면



오다큐선 지하 승강장


원래 지상역이었으나, 대규모 역 재건축 공사를 통해 오다큐 오다와라선 승강장은 2013년 3월 23일부터 지하화되었다.[19] 지하화 초기에는 복복선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현재의 지하 2층 급행선 승강장만 사용되었고, 지하 1층 완행선 승강장 공간은 임시 통로로 활용되었다.

이후 오다큐 오다와라선의 복복선화를 위한 완행선 승강장 건설 공사가 계속 진행되어 2018년 3월 3일에 완공되었다.[21] 이로써 시모키타자와역은 상하 2층 구조의 승강장을 갖추게 되었다. 완공 직후인 3월 16일까지는 각역정차 열차만 완행선(지하 1층)을 사용하고 나머지 열차는 급행선(지하 2층)을 이용했으나, 같은 해 3월 17일 시간표 개정 이후 현재와 같이 열차 등급에 따라 사용하는 승강장이 나뉘게 되었다.

지하화 초기에는 현재의 급행선 승강장 층은 "지하 3층", 완행선 승강장 층은 "지하 2층"으로 불렀으나, 복복선 완공 시점에 안내 표시가 변경되어 현재와 같이 급행선 승강장은 "지하 2층", 완행선 승강장은 "지하 1층"으로 바뀌었다.[40]

3. 2. 게이오 전철

게이오 전철의 이노카시라 선이 운행하는 역으로, 역 번호는 '''IN 05'''이다.[10] 오다큐 오다와라선 위에 고가역으로 건설되어 입체 교차한다.

원래 이노카시라 선은 1933년 8월 1일 테이토 전철(帝都電鉄)에 의해 개업하였으나,[12] 1940년 오다큐 전철의 전신인 오다와라 급행철도에 합병되었고,[1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도쿄 급행 전철(다이토큐) 소속이었다. 1948년 6월 1일 다이토큐 해체 후, 이노카시라 선은 게이오 테이토 전철(현 게이오 전철) 소유가 되었다.[14] 1971년 12월 15일부터는 이노카시라 선 급행 열차의 정차역이 되었다.

과거 이노카시라 선이 오다큐 계열이었던 역사적 배경 때문에 2019년 3월 15일까지 오다큐선과의 환승 통로에 개찰구가 없었으나, 2019년 3월 16일부로 양사 간 개찰구가 분리되어 환승 시에는 개찰구를 통과해야 한다.[23][24] 현재 게이오 중앙 출구와 서쪽 출구 등 게이오 전철 관련 시설은 게이오 전철이 관리한다.

2023년 기준 게이오 전철 시모키타자와역의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은 107,115명이다.[51]

3. 2. 1. 게이오 전철 승강장

역 번호는 '''IN 05'''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2] 오다큐선 위에 고가 선로로 운행된다. 단, 기치조지 방면 승강장은 지표면과 거의 같은 높이에 있으며, 승강장 바로 옆에 건널목이 있다. 옆 역인 이케노우에역과는 0.6km, 신다이타역과는 0.5km밖에 떨어져 있지 않고 선로도 거의 직선이어서, 승강장 끝에서 옆 역 승강장이 보인다.

개찰구는 시부야 방면 승강장 계단 아래에 있는 중앙 출구와 기치조지 방면 승강장 끝 지하에 있는 서쪽 출구 두 곳이 있다. 중앙 출구는 오다큐 전철의 개찰구와 인접해 있으며, 지상층에 개찰구가 있고 승강장과의 사이에는 계단 외에 엘리베이터 1대와 에스컬레이터 3대(상행 1대, 상하행 병렬 2대)가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은 중앙 출구 개찰구 내에 있으며, 남녀별 구분 외에 다목적 화장실도 설치되어 있다.[41] 서쪽 출구는 역무원이 없는 무인 개찰구로 운영되며(인터폰 대응), 지하 개찰구에서 승강장 및 외부 도로와는 계단으로만 연결된다.

과거에는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가 없었으나, 오다큐선의 승강장 개량 공사와 함께 역 연결 통로 확장 공사가 진행되어 2015년에 엘리베이터가 신설되었다. 이후 2018년 1월 31일에 계단 옆 상행 에스컬레이터가, 같은 해 7월 8일에 상하행 병렬 에스컬레이터가 추가로 설치되어 운행을 시작했다. 또한, 기존에 게이오 전철이 관리하던 북쪽 출구는 2018년 3월 25일부터 오다큐 전철 관할로 변경되었다. 이후 2019년 3월 16일, 오다큐선과의 개찰구가 완전히 분리되면서 기존 북쪽 출구는 폐지되고, 오다큐선 동쪽 출구 방향으로 게이오 전철 중앙 출구가 새로 만들어졌다.[24]

'''게이오 전철 승강장'''
승강장 번호노선방향행선
1-- 이노카시라 선하행메이다이마에 · 에이후쿠초 · 쿠가야마 · 기치조지 방면
2상행시부야 방면



오다큐로 이관되기 전의 북쪽 출구 (2015년 9월)

4. 이용 현황



일본 국토교통성이 제공한 2015년 자료에 따르면, 시모키타자와역에서 다카다노바바역으로 향하는 구간은 출근 시간대에 도쿄에서 가장 혼잡한 열차 노선 중 하나였다.[8]

4. 1. 오다큐 전철

역 번호는 '''OH 07'''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하역이다.

승강장노선방향행선
1-- 오다와라 선하행오다와라 · 하코네유모토 · 후지사와 · 가타세에노시마 방면
2상행요요기우에하라 · 신주쿠 ·
C
지요다 선 ·
조반 완행선 방면



=== 이용 현황 ===

2023년도 기준 오다큐 전철의 1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118,852명'''이다.[50] 이는 오다큐 전철 전체 70개 역 중 혼아츠기역 다음으로 8위에 해당한다.

각 연도의 1일 평균 '''승하차 인원'''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연도별 1일 평균 승하차 인원[42][43]
연도오다큐 전철게이오 전철
1일 평균
승하차 인원
증가율1일 평균
승하차 인원
증가율
1928년 (쇼와 3년)2,568
1930년 (쇼와 5년)5,020
1935년 (쇼와 10년)7,386
1940년 (쇼와 15년)15,190
1946년 (쇼와 21년)24,051
1950년 (쇼와 25년)36,094
1955년 (쇼와 30년)46,70067,517
1960년 (쇼와 35년)62,83460,930
1961년 (쇼와 36년)69,33710.3%66,8959.8%
1962년 (쇼와 37년)75,4058.8%72,1327.8%
1963년 (쇼와 38년)75,8920.6%72,6610.7%
1964년 (쇼와 39년)80,7436.4%77,1566.2%
1965년 (쇼와 40년)84,0884.1%80,5564.4%
1966년 (쇼와 41년)89,1186.0%83,7884.0%
1967년 (쇼와 42년)94,9296.5%87,1604.0%
1968년 (쇼와 43년)100,6036.0%93,5947.4%
1969년 (쇼와 44년)112,12711.5%102,5839.6%
1970년 (쇼와 45년)121,5678.4%104,7522.1%
1971년 (쇼와 46년)122,8401.0%212,760
1972년 (쇼와 47년)127,6613.9%109,891
1973년 (쇼와 48년)129,8641.7%115,0564.7%
1974년 (쇼와 49년)129,9560.1%118,1322.7%
1975년 (쇼와 50년)129,170−0.6%118,5410.3%
1976년 (쇼와 51년)129,4500.2%122,3803.2%
1977년 (쇼와 52년)133,6653.3%125,1432.3%
1978년 (쇼와 53년)131,582−1.6%122,255−2.3%
1979년 (쇼와 54년)132,7890.9%121,455−0.7%
1980년 (쇼와 55년)135,7682.2%121,334−0.1%
1981년 (쇼와 56년)133,990−1.3%128,4815.9%
1982년 (쇼와 57년)135,0320.8%129,5970.9%
1983년 (쇼와 58년)138,5082.6%131,9021.8%
1984년 (쇼와 59년)136,956−1.1%134,0592.0%
1985년 (쇼와 60년)139,2001.6%136,3711.7%
1986년 (쇼와 61년)142,5112.4%139,1322.0%
1987년 (쇼와 62년)143,1740.5%140,1640.7%
1988년 (쇼와 63년)144,5701.0%146,0354.2%
1989년 (헤이세이 원년)143,082−1.0%148,1801.5%
1990년 (헤이세이 2년)144,6891.1%148,1310.0%
1991년 (헤이세이 3년)[44]145,7620.7%[45]150,9071.9%
1992년 (헤이세이 4년)142,556−2.2%146,365−3.0%
1993년 (헤이세이 5년)139,235−2.3%143,387−2.0%
1994년 (헤이세이 6년)137,401−1.3%141,243−1.5%
1995년 (헤이세이 7년)135,014−1.7%139,724−1.1%
1996년 (헤이세이 8년)132,145−2.1%135,373−3.1%
1997년 (헤이세이 9년)130,790−1.0%132,215−2.3%
1998년 (헤이세이 10년)131,8840.8%133,0630.6%
1999년 (헤이세이 11년)132,3830.4%132,343−0.5%
2000년 (헤이세이 12년)132,4040.0%131,925−0.3%
2001년 (헤이세이 13년)132,6440.2%130,586−1.0%
2002년 (헤이세이 14년)129,835−2.1%127,653−2.2%
2003년 (헤이세이 15년)128,777−0.8%127,7870.1%
2004년 (헤이세이 16년)126,365−1.9%126,487−1.0%
2005년 (헤이세이 17년)127,0480.5%126,9610.4%
2006년 (헤이세이 18년)129,4321.9%127,8320.7%
2007년 (헤이세이 19년)135,3394.6%132,4603.6%
2008년 (헤이세이 20년)135,225−0.1%132,5000.0%
2009년 (헤이세이 21년)134,163−0.8%131,441−0.8%
2010년 (헤이세이 22년)131,992−1.6%128,860−2.0%
2011년 (헤이세이 23년)130,794−0.9%127,124−1.3%
2012년 (헤이세이 24년)132,3501.2%129,5581.9%
2013년 (헤이세이 25년)121,009−8.6%118,883−8.2%
2014년 (헤이세이 26년)114,669−5.2%114,056−4.1%
2015년 (헤이세이 27년)114,118−0.5%114,2690.2%
2016년 (헤이세이 28년)114,9220.7%114,4520.2%
2017년 (헤이세이 29년)115,6580.6%114,367−0.1%
2018년 (헤이세이 30년)118,8692.8%114,175−0.2%
2019년 (레이와 원년)121,7392.4%115,5801.2%
2020년 (레이와 2년)82,821−32.0%75,522−34.7%
2021년 (레이와 3년)[46]96,53916.6%[47]89,09118.0%
2022년 (레이와 4년)[48]112,11616.1%[49]102,13714.6%
2023년 (레이와 5년)[50]118,8526.0%[51]107,1154.9%



각 연도의 1일 평균 '''승차 인원'''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right; font-size:85%;"

|+ 연도별 1일 평균 승차 인원[43]

! 연도

! 오다큐 전철

! 게이오 전철

! 출처

|-

| 1956년 (쇼와 31년)

| 24,941

| 22,751

|[63]

|-

| 1957년 (쇼와 32년)

| 27,380

| 25,989

|[64]

|-

| 1958년 (쇼와 33년)

| 29,619

| 10,170

|[65]

|-

| 1959년 (쇼와 34년)

| 29,176

| 27,278

|[66]

|-

| 1960년 (쇼와 35년)

| 30,842

| 29,247

|[67]

|-

| 1961년 (쇼와 36년)

| 33,625

| 32,335

|[68]

|-

| 1962년 (쇼와 37년)

| 36,933

| 35,188

|[69]

|-

| 1963년 (쇼와 38년)

| 37,434

| 35,929

|[70]

|-

| 1964년 (쇼와 39년)

| 39,783

| 38,246

|[71]

|-

| 1965년 (쇼와 40년)

| 41,213

| 39,867

|[72]

|-

| 1966년 (쇼와 41년)

| 43,546

| 41,727

|[73]

|-

| 1967년 (쇼와 42년)

| 46,458

| 43,146

|[74]

|-

| 1968년 (쇼와 43년)

| 49,441

| 46,784

|[75]

|-

| 1969년 (쇼와 44년)

| 54,439

| 51,075

|[76]

|-

| 1970년 (쇼와 45년)

| 57,301

| 53,359

|[77]

|-

| 1971년 (쇼와 46년)

| 57,978

| 53,443

|[78]

|-

| 1972년 (쇼와 47년)

| 60,353

| 53,948

|[79]

|-

| 1973년 (쇼와 48년)

| 62,616

| 56,578

|[80]

|-

| 1974년 (쇼와 49년)

| 64,855

| 57,438

|[81]

|-

| 1975년 (쇼와 50년)

| 64,374

| 58,328

|[82]

|-

| 1976년 (쇼와 51년)

| 64,077

| 59,299

|[83]

|-

| 1977년 (쇼와 52년)

| 66,025

| 60,704

|[84]

|-

| 1978년 (쇼와 53년)

| 64,468

| 59,096

|[85]

|-

| 1979년 (쇼와 54년)

| 64,519

| 60,339

|[86]

|-

| 1980년 (쇼와 55년)

| 65,151

| 57,630

|[87]

|-

| 1981년 (쇼와 56년)

| 66,326

| 58,003

|[88]

|-

| 1982년 (쇼와 57년)

| 66,759

| 58,156

|[89]

|-

| 1983년 (쇼와 58년)

| 68,388

| 59,003

|[90]

|-

| 1984년 (쇼와 59년)

| 68,099

| 60,258

|[91]

|-

| 1985년 (쇼와 60년)

| 69,485

| 61,334

|[92]

|-

| 1986년 (쇼와 61년)

| 71,203

| 62,833

|[93]

|-

| 1987년 (쇼와 62년)

| 71,539

| 55,500

|[94]

|-

| 1988년 (쇼와 63년)

| 71,712

| 65,600

|[95]

|-

| 1989년 (헤이세이 원년)

| 71,119

| 66,225

|[96]

|-

| 1990년 (헤이세이 2년)

| 71,885

| 66,929

|[97]

|-

| 1991년 (헤이세이 3년)

| 72,322

| 68,183

|[98]

|-

| 1992년 (헤이세이 4년)

| 71,148

| 66,337

|[99]

|-

| 1993년 (헤이세이 5년)

| 69,570

| 64,964

|[100]

|-

| 1994년 (헤이세이 6년)

| 68,652

| 64,085

|[101]

|-

| 1995년 (헤이세이 7년)

| 67,437

| 63,306

|[102]

|-

| 1996년 (헤이세이 8년)

| 65,904

| 61,638

|[103]

|-

| 1997년 (헤이세이 9년)

| 63,879

| 60,047

|[104]

|-

| 1998년 (헤이세이 10년)

| 64,200

| 60,499

|[105]

|-

| 1999년 (헤이세이 11년)

| 64,249

| 59,713

|[106]

|-

| 2000년 (헤이세이 12년)

| 64,455

| 60,068

|[107]

|-

| 2001년 (헤이세이 13년)

| 64,344

| 59,614

|[108]

|-

| 2002년 (헤이세이 14년)

| 62,950

| 58,400

|[109]

|-

| 2003년 (헤이세이 15년)

| 62,527

| 59,396

|[110]

|-

| 2004년 (헤이세이 16년)

| 61,866

| 59,244

|[111]

|-

| 2005년 (헤이세이 17년)

| 62,195

| 59,866

|[112]

|-

| 2006년 (헤이세이 18년)

| 63,285

| 60,734

|[113]

|-

| 2007년 (헤이세이 19년)

| 66,208

| 63,951

|[114]

|-

| 2008년 (헤이세이 20년)

| 66,622

| 64,742

|[115]

|-

| 2009년 (헤이세이 21년)

| 66,293

| 64,334

|[116]

|-

| 2010년 (헤이세이 22년)

| 65,263

| 63,255

|[117]

|-

| 2011년 (헤이세이 23년)

| 64,708

| 62,287

|[118]

|-

| 2012년 (헤이세이 24년)

| 65,468

| 63,685

|[119]

|-

| 2013년 (헤이세이 25년)

| 59,915

| 58,249

|[120]

|-

| 2014년 (헤이세이 26년)

| 56,909

|

4. 2. 게이오 전철

게이오 전철 로고
게이오 전철의 이노카시라 선이 운행하는 역이다. 역 번호는 '''IN 05'''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승강장 ===

승강장 번호노선방향행선지
1-- 이노카시라 선하행메이다이마에 · 에이후쿠초 · 구가야마 · 기치조지 방면
2상행시부야 방면



=== 이용 현황 ===

2023년도 기준 게이오 전철의 1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107,115명'''이다.[51] 이는 게이오 전철 전체 역 중에서 신주쿠역, 시부야역, 기치조지역, 조후역 다음으로 5위에 해당한다.

각 연도의 1일 평균 '''승하차 인원'''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연도별 1일 평균 승하차 인원[42][43]
연도게이오 전철
1일 평균
승하차 인원
증가율
1955년 (쇼와 30년)67,517
1960년 (쇼와 35년)60,930
1961년 (쇼와 36년)66,8959.8%
1962년 (쇼와 37년)72,1327.8%
1963년 (쇼와 38년)72,6610.7%
1964년 (쇼와 39년)77,1566.2%
1965년 (쇼와 40년)80,5564.4%
1966년 (쇼와 41년)83,7884.0%
1967년 (쇼와 42년)87,1604.0%
1968년 (쇼와 43년)93,5947.4%
1969년 (쇼와 44년)102,5839.6%
1970년 (쇼와 45년)104,7522.1%
1971년 (쇼와 46년)212,760
1972년 (쇼와 47년)109,891
1973년 (쇼와 48년)115,0564.7%
1974년 (쇼와 49년)118,1322.7%
1975년 (쇼와 50년)118,5410.3%
1976년 (쇼와 51년)122,3803.2%
1977년 (쇼와 52년)125,1432.3%
1978년 (쇼와 53년)122,255−2.3%
1979년 (쇼와 54년)121,455−0.7%
1980년 (쇼와 55년)121,334−0.1%
1981년 (쇼와 56년)128,4815.9%
1982년 (쇼와 57년)129,5970.9%
1983년 (쇼와 58년)131,9021.8%
1984년 (쇼와 59년)134,0592.0%
1985년 (쇼와 60년)136,3711.7%
1986년 (쇼와 61년)139,1322.0%
1987년 (쇼와 62년)140,1640.7%
1988년 (쇼와 63년)146,0354.2%
1989년 (헤이세이 원년)148,1801.5%
1990년 (헤이세이 2년)148,1310.0%
1991년 (헤이세이 3년)[45]150,9071.9%
1992년 (헤이세이 4년)146,365−3.0%
1993년 (헤이세이 5년)143,387−2.0%
1994년 (헤이세이 6년)141,243−1.5%
1995년 (헤이세이 7년)139,724−1.1%
1996년 (헤이세이 8년)135,373−3.1%
1997년 (헤이세이 9년)132,215−2.3%
1998년 (헤이세이 10년)133,0630.6%
1999년 (헤이세이 11년)132,343−0.5%
2000년 (헤이세이 12년)131,925−0.3%
2001년 (헤이세이 13년)130,586−1.0%
2002년 (헤이세이 14년)127,653−2.2%
2003년 (헤이세이 15년)128,7770.1%
2004년 (헤이세이 16년)126,487−1.0%
2005년 (헤이세이 17년)126,9610.4%
2006년 (헤이세이 18년)127,8320.7%
2007년 (헤이세이 19년)132,4603.6%
2008년 (헤이세이 20년)132,5000.0%
2009년 (헤이세이 21년)131,441−0.8%
2010년 (헤이세이 22년)128,860−2.0%
2011년 (헤이세이 23년)127,124−1.3%
2012년 (헤이세이 24년)129,5581.9%
2013년 (헤이세이 25년)118,883−8.2%
2014년 (헤이세이 26년)114,056−4.1%
2015년 (헤이세이 27년)114,2690.2%
2016년 (헤이세이 28년)114,4520.2%
2017년 (헤이세이 29년)114,367−0.1%
2018년 (헤이세이 30년)114,175−0.2%
2019년 (레이와 원년)115,5801.2%
2020년 (레이와 2년)75,522−34.7%
2021년 (레이와 3년)[47]89,09118.0%
2022년 (레이와 4년)[49]102,13714.6%
2023년 (레이와 5년)[51]107,1154.9%



=== 역사 ===

5. 역 주변


  • 세타가야구청 기타자와 종합지소
  • 기타자와 천만궁
  • 키타자와 타운 홀
  • 의료법인사단 분쥬회 후쿠하라 병원
  • 도쿄 소방청 세타가야 소방서 키타자와 출장소
  • 세타가야 키타자와 우체국
  • 세타가야 다이자와 우체국
  • 시모키타자와 세이토쿠 고등학교
  • 키타자와 하치만 신사
  • 가톨릭 세타가야 교회
  • 일본 나사렛 교단 시모키타자와 교회
  • 일본 기독교단 쇼에이 교회
  • 혼다 극장 그룹
  • Recipe SHIMOKITA
  • 다이에 시모키타자와점
  • 오제키 시모키타자와점
  • 쇼와 신용금고 본점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장은 역에서 동쪽으로 직선 거리 약 150m 떨어진 차자와 거리에 있는 '시모키타자와역 앞'이다. 오다큐 버스가 운행하는 다음 노선이 이곳에서 출발하고 도착한다.

  • 시모61 - 기타자와 타운 홀 행 / 산겐자야 경유 코마자와 륙교 행[128]

역과 버스 정류장 사이는 이노카시라선 고가 아래의 상업 시설 '미캉 시모키타'를 따라 조성된 보행자 전용 도로를 통해 오갈 수 있다.

시모키타자와역은 역 앞 공간이 좁아 역전 광장이 제대로 정비되어 있지 않다. 또한 역 근처로 자동차가 진입하기 어려운 구조여서 노선 버스 정류장이 역에서 떨어진 곳에 설치될 수밖에 없는 등, 버스나 택시 같은 다른 대중 교통과의 환승 거점으로서의 기능이 취약하다.

이에 따라 세타가야구오다큐 오다와라선의 지하화 및 게이오 이노카시라선의 고가교 개축 공사와 연계하여 역전 광장을 정비할 계획이다. 이 계획은 오다큐선 지하화로 확보된 부지를 활용하여 역 남쪽과 북쪽을 잇는 통합적인 보행자 거점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상업 지구 내 귀중한 공간을 확보하고, 역 주변 지구의 상업 및 주거 환경을 개선하며 시모키타자와 고유의 매력을 더욱 높이고자 한다.

역전 광장 정비는 2025년도[129], 전체 사업 완공은 2028년도를 목표로 하고 있다[130]. 한편, 역에서 다소 떨어진 곳에 연결될 예정인 보조 54호선 도로 계획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보조 54호선' 문서를, 이 계획에 대한 반대 운동에 대해서는 '시모키타자와#시모키타자와역 주변 지구 거리 조성'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6. 인접 역

(시부야 방면)시모키타자와역메이다이마에 (IN08)
(기치조지 방면)각역정차이케노우에 (IN04)
(시부야 방면)신다이타 (IN06)
(기치조지 방면)오다큐 전철 -- 오다와라 선 (OH 07)쾌속급행요요기우에하라 (OH 05)
(신주쿠 방면)노보리토 (OH 18)
(오다와라 방면)통근급행
(평일 아침 상행)세이조가쿠엔마에 (OH 14)
(오다와라 방면)요요기우에하라 (OH 05)
(신주쿠 방면)급행・통근준급・준급요요기우에하라 (OH 05)
(신주쿠 방면)교도 (OH 11)
(오다와라 방면)각역정차히가시키타자와 (OH 06)
(신주쿠 방면)세타가야다이타 (OH 08)
(오다와라 방면)

6. 1. 오다큐 전철

오다큐 전철오다와라선이 운행하며, 역 번호는 '''OH 07'''이다.[10]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하역이다.

'''승강장'''

승강장노선방향행선
1 오다와라 선하행오다와라 · 하코네유모토 · 후지사와 · 가타세에노시마 방면
2상행요요기우에하라 · 신주쿠 · 지요다 선 · 조반 완행선 방면



'''연혁'''



'''운행 계통'''

오다와라선

'''승하차 인원 추이 (오다큐 전철)'''

연도1일 평균 승하차 인원
1956년24,941
1957년27,380
1958년29,619
1959년29,176
1960년30,842
1961년33,625
1962년36,933
1963년37,434
1964년39,783
1965년41,213
1966년43,546
1967년46,458
1968년49,441
1969년54,439
1970년57,301
1971년57,978
1972년60,353
1973년62,616
1974년64,855
1975년64,374
1976년64,077
1977년66,025
1978년64,468
1979년64,519
1980년65,151
1981년66,326
1982년66,759
1983년68,388
1984년68,099
1985년69,485
1986년71,203
1987년71,539
1988년71,712
1989년71,119
1990년71,885
1991년72,322
1992년71,148
1993년69,570
1994년68,652
1995년67,437
1996년65,904
1997년63,879
1998년64,200
1999년64,249
2000년64,455
2001년64,344
2002년62,950
2003년62,527
2004년61,866
2005년62,195
2006년63,285
2007년66,208
2008년66,622
2009년66,293
2010년65,263
2011년64,708
2012년65,468
2013년59,915
2014년56,909
2015년56,742


참조

[1] 서적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Neko Publishing 2002-07
[2] 서적 日本の鉄道 中部ライン 全線・全駅・全配線 第1巻 東京駅―三鷹エリア Kodansha 2010-04
[3] 웹사이트 http://www.keio.co.j[...] Keio Corporation 2013-01-18
[4] 웹사이트 http://www.sankei.co[...] Sankei Shinbun 2018-03-03
[5] 웹사이트 2014年1月から駅ナンバリングを順次導入します! http://www.odakyu.jp[...] 2013-12-24
[6] 웹사이트 小田急グループ、鉄道から海賊船まで通しの駅番号…2014年1月から順次導入 https://response.jp/[...] 2013-12-28
[7] 웹사이트 http://www.keio.co.j[...] Keio Corporation
[8] 웹사이트 Most Crowded Rush Hour Train Lines in Tokyo https://resources.re[...] 2017-05-04
[9] NAVITIME 【2021下北沢】“世界で最もクールな街”に選ばれた下北で絶対するべき25のこと|最新スポットもご紹介 https://travel.navit[...] NAVITIME 2021-06-26
[10] 간행물 駅管区・乗務区のあらまし 電気車研究会 2014-08-10
[11] 서적 小田急五十年史 https://dl.ndl.go.jp[...] 小田急電鉄 1980-12
[12] 서적 小田急五十年史 https://dl.ndl.go.jp[...] 小田急電鉄 1980-12
[13] 서적 小田急五十年史 https://dl.ndl.go.jp[...] 小田急電鉄 1980-12
[14] 서적 小田急五十年史 https://dl.ndl.go.jp[...] 小田急電鉄 1980-12
[15] 뉴스 六両通勤急行を運転 交通協力会 1957-04-25
[16] 간행물 平成14年3月23日(土)に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江ノ島線沿線から新宿への「湘南急行」、多摩線沿線から千代田線直通の「多摩急行」が登場 http://www.d-cue.com[...] 小田急電鉄 2002-02-14
[17] 간행물 小田急電鉄連続立体化・複々線化事業を振り返る 電気車研究会 2018-06-01
[18] 간행물 12月11日(土)、小田急線のダイヤ改正を実施 -複々線化区間の延伸、新種別の導入で所要時間が短縮します- http://www.d-cue.com[...] 小田急電鉄 2004-10-06
[19] 간행물 2013年3月23日初電から東北沢、下北沢、世田谷代田3駅を地下化します -代々木上原〜梅ヶ丘駅間上下線を地下化、9箇所の踏切を廃止-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13-01-31
[20] 간행물 2016年3月26日(土)小田急線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ロマンスカー停車駅の新設および東京メトロ千代田線直通列車の増発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15-12-18
[21] 간행물 2018年3月3日初電から、代々木上原駅〜梅ヶ丘駅間において複々線での運転を開始します -東北沢・下北沢・世田谷代田3駅において新たなホームを使用開始します-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17-12-15
[22] 간행물 代々木上原〜登戸間の「複々線化」により小田急の通勤が変わる! 2018年3月、新ダイヤでの運行開始 〜ラッシュピーク混雑率150%、町田〜新宿間の最大12分短縮を実現〜 〜快速急行の登戸停車や列車種別の新設で、都心へのアクセス向上〜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2017-11-01
[23] 간행물 2019年3月16日(土)始発から下北沢駅 小田急中央口の使用を開始します 〜街へのアクセスが向上し、わかりやすく使いやすい駅になります〜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18-12-25
[24] 간행물 2019年3月16日(土)始発から井の頭線下北沢駅に改札口(京王中央口)を新設します 〜小田急線への乗り換えや街へのアクセスがわかりやすくなります〜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18-12-25
[25] 간행물 小田急小田原線 複々線化完成を記念したパブリックアート 大型陶板レリーフ『出会いそして旅立ち』を公開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19-03-29
[26] 간행물 〜安全・安心な鉄道を目指して、ホーム上の安全に対する取り組みを強化〜 2019年3月30日、下北沢駅地下1階でホームドアを使用開始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19-03-08
[27] 간행물 気持ちが “アガル!” 個性豊かな駅商業施設が誕生! 11月1日、下北沢駅に「シモキタエキウエ」開業 〜長場雄氏のイラストを共用部の多くにあしらい、シモキタらしさを表現〜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19-10-11
[28] 학술 小田急のCSR活動 持続可能な社会の実現を目指して https://www.odakyu-v[...] 小田急電鉄 2020-12
[29] 웹사이트 下北沢駅2番線 ホームドア使用開始のお知らせ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21-12-06
[30] 간행물 京王井の頭線下北沢駅の新高架下施設「ミカン下北」2022年3月30日(水)開業!! “未完の街”下北沢を進化させる個性豊かな19店舗の出店テナントを発表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22-01-21
[31] 간행물 2022年3月、下北沢駅高架下に新施設「ミカン下北」が開業 〜ようこそ。遊ぶと働くの未完地帯へ。〜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21-11-10
[32] 간행물 下北沢駅の高架下施設「ミカン下北」 B街区が2022年7月28日(木)にオープン!!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22-05-27
[33] 웹사이트 下北線路街 https://senrogai.com[...]
[34] 웹사이트 ODAKYUシモチカナビⅡvol.19 http://www.shimochik[...] 小田急電鉄 2017-10-02
[35] 웹사이트 ODAKYUシモチカナビⅡvol.20 http://www.shimochik[...] 小田急電鉄 2018-01-05
[36] 간행물 小田急複々線区間 各駅停車 電気車研究会 2018-06-01
[37] 간행물 総説:小田急電鉄 電気車研究会 2020-08-10
[38] 웹사이트 下北沢駅のご案内 駅立体図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23-06-03
[39] 문서 千代田線に直通する全ての上り列車と、24時~終電の上り・下り列車。
[40] 웹사이트 駅・ホームが変わります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20-05-10
[41] 웹사이트 駅構内マップ 下北沢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19-08-16
[42] 웹사이트 レポート https://www.train-me[...] 関東交通広告協議会
[43] 웹사이트 世田谷区統計書 https://www.city.set[...] 世田谷区
[44] 문서 당역의 승강인원 최고치 연도(小田急電鉄)。
[45] 문서 당역의 승강인원 최고치 연도(京王電鉄)。
[46] 웹사이트 鉄道部門:駅別乗降人員・輸送人員ほか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23-08-26
[47] 웹사이트 鉄道事業概要:1日の駅別乗降人員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23-08-26
[48] 웹사이트 鉄道部門:駅別乗降人員・輸送人員ほか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23-08-26
[49] 웹사이트 鉄道事業概要:1日の駅別乗降人員 https://www.keio.co.[...] 京王電鉄 2023-08-26
[50] 웹사이트 鉄道部門:駅別乗降人員・輸送人員ほか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24-07-03
[51] 웹사이트 駅別乗降人数 https://www.keio.co.[...] 2024-06-27
[52] 문서 1927年4月1日開業。
[53] 웹사이트 昭和2年 https://dl.ndl.go.jp[...]
[54] 웹사이트 昭和3年 https://dl.ndl.go.jp[...]
[55] 웹사이트 昭和4年 https://dl.ndl.go.jp[...]
[56] 웹사이트 昭和5年 https://dl.ndl.go.jp[...]
[57] 웹사이트 昭和6年 https://dl.ndl.go.jp[...]
[58] 웹사이트 昭和7年 https://dl.ndl.go.jp[...]
[59] 문서 1933年8月11日開業。
[60] 웹사이트 昭和8年 https://dl.ndl.go.jp[...]
[61] 웹사이트 昭和9年 https://dl.ndl.go.jp[...]
[62] 웹사이트 昭和10年 https://dl.ndl.go.jp[...]
[63] 웹사이트 昭和31年 https://www.toukei.m[...]
[64] 웹사이트 昭和32年 https://www.toukei.m[...]
[65] 웹사이트 昭和33年 https://www.toukei.m[...]
[66] 웹사이트 昭和34年 https://www.toukei.m[...]
[67] 웹사이트 昭和35年 https://www.toukei.m[...]
[68] 웹사이트 昭和36年 https://www.toukei.m[...]
[69] 웹사이트 昭和37年 https://www.toukei.m[...]
[70] 웹사이트 昭和38年 https://www.toukei.m[...]
[71] 웹사이트 昭和39年 https://www.toukei.m[...]
[72] 웹사이트 昭和40年 https://www.toukei.m[...]
[73] 웹사이트 昭和41年 https://www.toukei.m[...]
[74] 웹사이트 昭和42年 https://www.toukei.m[...]
[75] 웹사이트 昭和43年 https://www.toukei.m[...]
[76] 웹사이트 昭和44年 https://www.toukei.m[...]
[77] 웹사이트 昭和45年 https://www.toukei.m[...]
[78] 웹사이트 昭和46年 https://www.toukei.m[...]
[79] 웹사이트 昭和47年 https://www.toukei.m[...]
[80] 웹사이트 昭和48年 https://www.toukei.m[...]
[81] 웹사이트 昭和49年 https://www.toukei.m[...]
[82] 웹사이트 昭和50年 https://www.toukei.m[...]
[83] 웹사이트 昭和51年 https://www.toukei.m[...]
[84] 웹사이트 昭和52年 https://www.toukei.m[...]
[85] 웹사이트 昭和53年 https://www.toukei.m[...]
[86] 웹사이트 昭和54年 https://www.toukei.m[...]
[87] 웹사이트 昭和55年 https://www.toukei.m[...]
[88] 웹사이트 昭和56年 https://www.toukei.m[...]
[89] 웹사이트 昭和57年 https://www.toukei.m[...]
[90] 웹사이트 昭和58年 https://www.toukei.m[...]
[91] 웹사이트 昭和59年 https://www.toukei.m[...]
[92] 웹사이트 昭和60年 https://www.toukei.m[...]
[93] 웹사이트 昭和61年 https://www.toukei.m[...]
[94] 웹사이트 昭和62年 https://www.toukei.m[...]
[95] 웹사이트 昭和63年 https://www.toukei.m[...]
[96] 웹사이트 平成元年 https://www.toukei.m[...]
[97] 웹사이트 平成2年 https://www.toukei.m[...]
[98] 웹사이트 平成3年 https://www.toukei.m[...]
[99] 웹사이트 平成4年 https://www.toukei.m[...]
[100] 웹사이트 平成5年 https://www.toukei.m[...]
[101] 웹사이트 平成6年 https://www.toukei.m[...]
[102] 웹사이트 平成7年 https://www.toukei.m[...]
[103] 웹사이트 平成8年 https://www.toukei.m[...]
[104] 웹사이트 平成9年 https://www.toukei.m[...]
[105] PDFlink 平成10年 https://www.toukei.m[...]
[106] PDF 平成11年 https://www.toukei.m[...]
[107] 웹사이트 平成12年 https://www.toukei.m[...]
[108] 웹사이트 平成13年 https://www.toukei.m[...]
[109] 웹사이트 平成14年 https://www.toukei.m[...]
[110] 웹사이트 平成15年 https://www.toukei.m[...]
[111] 웹사이트 平成16年 https://www.toukei.m[...]
[112] 웹사이트 平成17年 https://www.toukei.m[...]
[113] 웹사이트 平成18年 https://www.toukei.m[...]
[114] 웹사이트 平成19年 https://www.toukei.m[...]
[115] 웹사이트 平成20年 https://www.toukei.m[...]
[116] 웹사이트 平成21年 https://www.toukei.m[...]
[117] 웹사이트 平成22年 https://www.toukei.m[...]
[118] 웹사이트 平成23年 https://www.toukei.m[...]
[119] 웹사이트 平成24年 https://www.toukei.m[...]
[120] 웹사이트 平成25年 https://www.toukei.m[...]
[121] 웹사이트 平成26年 https://www.toukei.m[...]
[122] 웹사이트 平成27年 https://www.toukei.m[...]
[123] 웹사이트 平成28年 https://www.toukei.m[...]
[124] 웹사이트 平成29年 https://www.toukei.m[...]
[125] 웹사이트 平成30年 https://www.toukei.m[...]
[126] 웹사이트 平成31年・令和元年 https://www.toukei.m[...]
[127] 웹사이트 令和2年 https://www.toukei.m[...]
[128] 문서
[129] 뉴스 下北沢駅前広場プロジェクト 寄附金を募集します (ふるさと納税) https://www.city.set[...] 世田谷区 2022-12-05
[130] 뉴스 都市計画道路補助第54号線(下北沢1期)及び下北沢駅駅前広場(世田谷区画街路第10号線) https://www.city.set[...] 世田谷区 2022-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