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나라의 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나라의 황제는 1368년 주원장이 원나라를 멸망시키고 명나라를 건국하면서 시작되었다. 황제는 국가의 최고 수반으로서 모든 관리와 군대에 대한 최고의 권한을 가졌지만, 홍무제의 잦은 숙청으로 인해 권력 행사에 제약이 따랐다. 황위는 장자 상속 원칙에 따라 계승되었으며, 황제는 시호, 묘호, 연호를 사용했다. 명나라는 1368년부터 1644년까지 존속했고, 이자성의 난으로 멸망한 후 남명 정권이 수립되어 1662년까지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군주 목록 - 당나라의 황제
    당나라 황제는 618년부터 907년까지 중국을 통치한 당나라의 군주들로, 전성기를 거치며 동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안사의 난 이후 쇠퇴하여 총 20명의 황제가 통치하였다.
  • 중국의 군주 목록 - 원나라의 황제
    원나라 황제는 1271년부터 1368년까지 중국을 지배한 원나라의 통치자이며, 몽골의 칸과 중국 황제의 전통을 결합하여 통치했으나 정치적 혼란과 홍건적의 난으로 멸망하고 북원으로 물러났다.
  • 명나라의 황제 - 건문제
    건문제는 명나라의 제2대 황제로, 유교적 이상 정치를 추구하며 개혁을 시도했으나 숙부들의 반란으로 실종되었고 사후 복권되었다.
  • 명나라의 황제 - 태창제
    만력제의 장남인 태창제는 황태자 책봉 과정의 정쟁과 암살 미수 사건을 겪고 즉위 29일 만에 급서하여,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관련된 미스터리는 명나라 말기 정치적 혼란의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는다.
명나라의 황제
기본 정보
12마리 용으로 장식된 예복을 입은 [[가정제]]([[1521년]]~[[1567년]])의 초상화. 어깨에 그려진 해와 달은 명나라의 이름인 '명(밝음)'자를 형성한다. [[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
가정제(1521년~1567년)의 초상화
왕조명나라
국호대명
통치자 칭호황제
스타일폐하, 황상, 만세
거주지명고궁, 난징
자금성, 베이징
남명 정권에 따라 다름
임명 방식세습 군주제
시작1368년
종료1644년 (명나라)
1662년 (남명)
역대 군주
초대 군주홍무제
마지막 군주숭정제 (명나라)
영력제 (남명)

2. 명나라의 역사

홍무제 주원장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명나라를 건국했으며, 황위는 장자 상속 원칙에 따라 계승되었다. 영락제는 조카 건문제와의 정난의 변에서 승리하여 황제가 된 예외적인 경우였다.

황제는 국가 최고 수반으로, 모든 관리와 장군에 대한 최고 권한을 가졌고, 온 나라가 칙령에 복종해야 했다. 그러나 왕조가 진행되면서 황제들은 전통적인 제약을 받았고, 인사부 또는 병부의 권고에 따라 관리와 장군을 임명했다. 주요 문제는 궁중 고위 관리들의 광범위한 합의를 통해 결정되었다.[4]

만력제가 궁궐배에 탄 모습을 묘사한 그림 '청정귀환도'


홍무제와 그 후계자들의 통치 기간 동안 명나라는 경제 성장과 정치적 안정을 누렸다. 그러나 17세기에는 기후 변화와 부실한 경제 정책으로 기근과 전염병이 발생했다. 1644년 반란군이 베이징을 점령하면서 숭정제가 자살했고, 반란 지도자 이자성순나라를 건국했다. 이후 청나라중원을 점령했다.

북부 통제권을 상실한 후에도 명나라 황실은 중국 남부를 통치했으며, 이들을 남명이라 칭한다.

2. 1. 건국 배경

홍건적의 난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던 홍무제 주원장은 미천한 출신에도 불구하고, 원나라의 마지막 황제 토곤 테무르를 중국 본토에서 몰아내고 명나라를 건국하였다. 1368년 설날, 주원장은 "대명"(大明)이라는 새로운 황조를 선포하고 자신을 초대 황제로 선포했다.

2. 2. 명나라 (1368년 ~ 1644년)

1368년 설날에 주원장은 "대명"(大明, Da Ming)이라는 새로운 황조를 건국하고 자신을 초대 황제인 홍무제로 선포했다.[4] 명나라 황제들은 장자 상속 원칙에 따라 황위를 계승했다. 홍무제의 『황명조훈』에 따르면, 태자는 항상 황제와 황후의 장남이거나 그의 상속자였고, 그다음이 황후의 차남이었다. 그러나 측실의 아들들은 계승권에서 제외되었다.

보수적인 관료들이 강력하게 주장했던 엄격한 규칙이었지만, 이 규칙을 성공적으로 위반한 유일한 인물은 명나라의 세 번째 황제인 영락제였다. 그는 조카인 건문제에 맞서 정난이라 불리는 3년간의 내전에서 권력을 잡았다. 만력제조차도 20년 동안 세 번째 아들인 주창훈을 황태자로 임명하려고 시도했지만, 결국 물러나 장남인 미래의 태창제를 임명해야 했다.

황제는 진나라(기원전 221~206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적인 최고 수반이었다. 이론적으로 그는 모든 관리와 장군에 대한 최고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고, 온 나라가 그의 칙령에 복종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홍무제가 수많은 숙청을 통해 자신의 권력을 엄격하게 통제했기 때문에 이 권력은 대가가 따랐다. 왕조가 진행됨에 따라 홍무제의 후계자들은 그의 결단력이 부족했고 전통적인 제약을 받았다. 황제는 국가의 방향에 대해 독자적인 결정을 내릴 것으로 기대되지 않았다. 대신, 각서와 요구 사항이 제안된 해결책과 함께 제출되었다. 황제의 역할은 제출된 제안을 확인하거나 제출자와 대안을 협상하는 것이었다. 마찬가지로 황제는 인사부 또는 병부의 권고에 따라 관리와 장군을 임명했다. 고위 관리의 경우 통치자는 2~3명의 후보 중에서 선택할 수 있었다. 주요 문제는 일반적으로 공식적인 접견이나 비공식적인 회의에서 논의되었으며,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궁중 고위 관리들 사이에서 광범위한 합의에 도달하는 것이 필요했다.

홍무제와 그의 후계자들의 통치 기간 동안 중국은 일반적으로 경제 성장과 정치적 안정을 경험했다. 그러나 17세기에는 기후 변화와 부실한 경제 정책이 결합되어 광범위한 기근과 전염병이 발생했다. 결과적으로 정부의 권위는 약화되었고 수많은 반란이 일어났다. 1644년 반란군이 베이징을 성공적으로 점령하면서 마지막 명나라 황제인 숭정제가 자살했다. 반란의 지도자인 이자성은 새로운 순나라의 황제로 자처했다. 반란군을 물리치기 위해 북동부의 마지막 명나라 장군인 오삼계청나라의 여진족이 이끄는 팔기군이 중원에 진입하도록 초청했다. 그러자 여진족은 같은 해 중국 북부를 점령했다.

즉위 전 칭호
이름
생애칭호
재위 기간
시호묘호연호연도
주유송朱由崧1607년 9월 5일
– 1646년 5월 23일
황제
1644년 6월 19일
– 1645년 6월 15일
숭천승도성경영철전문비무선인독효간황제崇天承道誠敬英哲纘文備武宣仁度孝簡皇帝안종(安宗)安宗홍광(弘光)弘光1645년 1월 28일
– 1645년 8월 17일
주창방朱常淓1608년
– 1646년 5월 23일
섭정
1645년 7월 1일
– 1645년 7월 6일
섭정 노왕(로)潞王監國1645년 7월 1일
– 1645년 7월 6일
주욱견朱聿鍵1602년 5월 25일
– 1646년 10월 6일
황제
1645년 8월 18일
– 1646년 10월 6일
배천지도홍의숙무사문렬무민인광효상황제配天至道弘毅肅穆思文烈武敏仁廣孝襄皇帝소종(紹宗)紹宗숭무(隆武)隆武1645년 8월 18일
– 1647년 2월 4일
주이해朱以海1618년 7월 6일
– 1662년 12월 23일
섭정
1645년 9월 7일
– 1653년
섭정 노왕(로)魯監國1646년 2월 16일
– 1653년
주욱월朱聿鐭1605년
– 1647년 1월 20일
황제
1646년 12월 11일
– 1647년 1월 20일
소무(紹武)紹武
주유랑朱由榔1623년 11월 1일
– 1662년 6월 1일
황제
1646년 12월 24일
– 1662년 6월 1일
영천추도민의공검경문위무례인극효광황제應天推道敏毅恭儉經文緯武禮仁克孝匡皇帝조종(昭宗)昭宗영력(永曆)永曆1647년 2월 5일
– 1662년 6월 1일


2. 3. 남명 (1644년 ~ 1662년)

1644년부터 1662년까지 존속한 남명은 명나라가 멸망한 후 명나라 황족과 관료들이 남쪽으로 내려가 세운 정권이다.

시호(본명)생애시호묘호추존 연도비고
朱常洵|주창순중국어1586년 2월 22일 – 1641년 3월 2일묵천부도정순숙철수문현무성경인의효황제(慕天敷道貞純肅哲修文顯武聖敬仁毅孝皇帝)공종(恭宗)1644년홍광제의 아버지이자 만력제의 아들[1]
朱宇溫|주우온중국어1490–1560혜황제(惠皇帝)1645롱우제와 샤오우제의 증조부[2]
朱宙栐|주주용중국어1538–1564순황제(順皇帝)롱우제와 샤오우제의 증조부[3]
朱碩熿|주석황중국어– 1630년 1월 24일단황제(端皇帝)롱우제와 샤오우제의 조부[4]
朱器墭|주기성중국어– 1629년선황제(宣皇帝)롱우제와 샤오우제의 부친[5]
주자랑(朱慈烺)1629년 2월 26일 – 1644년 6월도황제(悼皇帝)1646충정제의 아들[6]
주창영(朱常瀛)1597년 4월 25일 – 1645년 12월 21일체천창도장의온홍흥문선무인지성효단황제(體天昌道莊毅溫弘興文宣武仁智誠孝端皇帝)예종(禮宗)옹리제의 아버지이자 만력제의 아들[7]


2. 4. 농민 봉기 정권

대수성명연호재위기간
1진검호(陳鑑胡)태정(泰定)(陳鑑胡)1448년 - 1449년
2류통(劉通)덕승(徳勝)1465년
3채백관(蔡伯貫)대보(大宝)(蔡伯貫)1565년
4이자성영창1644년 - 1645년
5장헌충대순1644년 - 1646년
6손가망1646년 - 1647년


3. 역대 황제

명나라 황제는 즉위 후 이름이 금기어가 되었고, 폐하, 황상, 상 등으로 불렸다.[5] 사후에는 시호와 묘호를 받았는데, 시호는 보통 19자의 한자로 구성되었지만 홍무제는 23자를 받았다. 묘호는 시호와 함께 태묘 제사에 사용되었다. 다른 왕조 황제들이 같은 묘호와 시호를 반복했기 때문에 왕조 이름을 구분자로 사용하며, 예를 들어 홍무제는 "명 태조"로 불린다.[5]

명 영종을 제외한 명나라 황제들은 재위 기간 동안 단 하나의 연호만 사용했다.[5] 연호는 황제 즉위 초기에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여 선택되었다.

명나라와 남명의 황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3. 1. 명나라 황제 목록 (1368년 ~ 1644년)

명나라의 황제는 즉위 후 이름이 금기어가 되었다. 황제는 폐하, 황상, 또는 상 등으로 불렸다.[5] 사후에는 명예로운 시호를 받았는데, 보통 19자의 한자로 구성되었지만, 명나라 창업자인 홍무제는 23자의 시호를 받았다. 또 다른 사후 칭호는 묘호였으며, 시호와 함께 태묘에서 제사에 사용되었다. 다른 왕조의 황제들이 같은 묘호와 시호를 반복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필요할 때는 왕조 이름을 구분자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홍무제는 종종 "명 태조"로 불린다.[5]

황제의 치세 초기에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여 연호가 선택되었다.[5] 명나라에서는 명 영종을 제외하고는 황제들이 재위 기간 동안 단 하나의 연호만 선포했는데, 이는 이전 왕조의 황제들이 여러 개의 연호를 사용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그 결과 명나라 황제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유일한 연호로 불렸다.

개인 이름초상화수명재위 기간시호묘호연호연도
주원장朱元璋--1328년 10월 21일
– 1398년 6월 24일
1368년 1월 23일
– 1398년 6월 24일
개천행도조기입극대성지신인문의무준덕성공고황제開天行道肇紀立極大聖至神仁文義武俊德成功高皇帝태조太祖홍무洪武1368년 1월 23일
– 1399년 2월 5일
주윤문朱允炆
건문제 초상화
1377년 12월 5일
– 1402년 7월 13일
1398년 6월 30일
– 1402년 7월 13일
공민혜황제恭閔惠皇帝혜종惠宗건문建文1399년 2월 6일
– 1402년 7월 13일
주체朱棣--1360년 5월 2일
– 1424년 8월 12일
1402년 7월 17일
– 1424년 8월 12일
개천홍도고명조운성무성공순인지효문황제啓天弘道高明肇運聖武神功純仁至孝文皇帝성조成祖영락永樂1403년 1월 23일
– 1425년 1월 19일
주고치朱高熾--1378년 8월 16일
– 1425년 5월 29일
1424년 8월 12일
– 1425년 5월 29일
경천체도순정지덕홍문흠무장성대효조황제敬天體道純誠至德弘文欽武章聖達孝昭皇帝인종仁宗홍희洪熙1425년 1월 20일
– 1426년 2월 7일
주첨기朱瞻基--1399년 3월 16일
– 1435년 1월 31일
1425년 5월 29일
– 1435년 1월 31일
헌천숭도영명성신흠문조무관인순효장황제憲天崇道英明神聖欽文昭武寬仁純孝章皇帝선종宣宗선덕宣德1426년 2월 8일
– 1436년 1월 17일
주기전朱祁鎮--1427년 11월 29일
– 1464년 2월 23일
1435년 1월 31일
– 1449년 9월 22일
법천립도인명성경조문헌무지덕광효예황제法天立道仁明誠敬昭文憲武至德廣孝睿皇帝영종英宗정통正統1436년 1월 18일
– 1450년 1월 13일
1457년 2월 11일
– 1464년 2월 23일
천순天順1457년 2월 11일
– 1465년 1월 26일
주기유朱祁鈺
경태제 초상화
1428년 9월 21일
– 1457년 3월 14일
1449년 9월 22일
– 1457년 2월 11일
공인강정경황제恭仁康定景皇帝대종代宗경태景泰1450년 1월 14일
– 1457년 2월 11일
주견침朱見深--1447년 12월 9일
– 1487년 9월 9일
1464년 2월 23일
– 1487년 9월 9일
계천녕도성명인경숭문숙무홍덕성효순황제繼天凝道誠明仁敬崇文肅武宏德聖孝純皇帝헌종憲宗성화成化1465년 1월 27일
– 1488년 1월 13일
주우당朱祐樘--1470년 7월 30일
– 1505년 6월 8일
1487년 9월 9일
– 1505년 6월 8일
달천명도순정중정성문신무지인대덕경황제達天明道純誠中正聖文神武至仁大德敬皇帝효종孝宗홍지弘治1488년 1월 14일
– 1506년 1월 23일
주후조朱厚照--1491년 10월 26일
– 1521년 4월 20일
1505년 6월 8일
– 1521년 4월 20일
승천달도영숙예철조덕현공홍문사효의황제承天達道英肅睿哲昭德顯功弘文思孝毅皇帝무종武宗정덕正德1506년 1월 24일
– 1522년 1월 27일
주후총朱厚熜--1507년 9월 16일
– 1567년 1월 23일
1521년 5월 27일
– 1567년 1월 23일
흠천려도영의성신선문광무홍인대효숙황제欽天履道英毅聖神宣文廣武洪仁大孝肅皇帝세종世宗가정嘉靖1522년 1월 28일
– 1567년 2월 8일
주재혁朱載坖--1537년 3월 4일
– 1572년 7월 5일
1567년 1월 23일
– 1572년 7월 5일
계천롱도원의관인현문광무순덕홍효장황제契天隆道淵懿寬仁顯文光武純德弘孝莊皇帝목종穆宗융경隆慶1567년 2월 9일
– 1573년 2월 1일
주익균朱翊鈞--1563년 9월 4일
– 1620년 8월 18일
1572년 7월 5일
– 1620년 8월 18일
범천합도철숙둔간광문장무안인지효현황제範天合道哲肅敦簡光文章武安仁止孝顯皇帝신종神宗만력萬曆1573년 2월 2일
– 1620년 8월 27일
주창락朱常洛--1582년 8월 28일
– 1620년 9월 26일
1620년 8월 28일
– 1620년 9월 26일
숭천계도영예공순헌문경무연인의효정황제崇天契道英睿恭純憲文景武淵仁懿孝貞皇帝광종光宗태창泰昌1620년 8월 28일
– 1621년 1월 21일
주유교朱由校--1605년 12월 23일
– 1627년 9월 30일
1620년 9월 26일
– 1627년 9월 30일
달천찬도돈효독우장문양무경목장근혜황제達天闡道敦孝篤友章文襄武靖穆莊勤悊皇帝희종熹宗천계天啟1621년 1월 22일
– 1628년 2월 4일
주유검朱由檢--1611년 2월 6일
– 1644년 4월 25일
1627년 10월 2일
– 1644년 4월 25일
장렬민황제莊烈愍皇帝사종思宗숭정崇禎1628년 2월 5일
– 1644년 4월 25일


3. 2. 남명 황제 목록 (1644년 ~ 1662년)

순서묘호시호성명연호재위 기간
1안종(安宗)봉천존도관화정목수문포무온공인효간황제(奉天遵道寛和静穆修文布武温恭仁孝簡皇帝)주유송(朱由崧)홍광(弘光)1644년 6월 19일 - 1645년 6월
2소종(紹宗)배천지도홍의숙목사문렬무민인광효양황제(配天至道弘毅粛穆思文烈武敏仁広孝襄皇帝)[13]주율건(朱聿鍵)융무(隆武)1645년 8월 6일 - 1646년 10월
3주율괄(朱聿𨮁)소무(紹武)1646년 12월 12일 - 1647년 1월 20일
4소종(昭宗)[14]응천추도민의공검경문위무체인극효광황제(応天推道敏毅恭倹経文緯武体仁克孝匡皇帝)[14]주유랑(朱由榔)영력(永暦)1646년 12월 24일 - 1661년 8월 13일


4. 명나라 황제 가계도

이름생애칭호
재위 기간시호묘호연호연도복왕
주유송1607년 9월 5일
– 1646년 5월 23일황제
1644년 6월 19일
– 1645년 6월 15일숭천승도성경영철전문비무선인독효간황제안종(安宗)홍광(弘光)1645년 1월 28일
– 1645년 8월 17일노왕
주창방1608년
– 1646년 5월 23일섭정
1645년 7월 1일
– 1645년 7월 6일——섭정 노왕1645년 7월 1일
– 1645년 7월 6일당왕(탕)
주욱견1602년 5월 25일
– 1646년 10월 6일황제
1645년 8월 18일
– 1646년 10월 6일배천지도홍의숙무사문렬무민인광효상황제소종(紹宗)융무(隆武)1645년 8월 18일
– 1647년 2월 4일노왕
주이해1618년 7월 6일
– 1662년 12월 23일섭정
1645년 9월 7일
– 1653년——섭정 노왕1646년 2월 16일
– 1653년당왕(탕)
주욱월1605년
– 1647년 1월 20일황제
1646년 12월 11일
– 1647년 1월 20일——소무(紹武)—귀왕
주유랑1623년 11월 1일
– 1662년 6월 1일황제
1646년 12월 24일
– 1662년 6월 1일영천추도민의공검경문위무례인극효광황제조종(昭宗)영력(永曆)1647년 2월 5일
– 1662년 6월 1일



시호(본명)생애시호묘호추존 연도비고
주백육미상현황제(玄皇帝)덕조(德祖)1368홍무제의 증조부[1]
주사구미상항황제(恆皇帝)의조(懿祖)홍무제의 증조부[2]
주초일미상유황제(裕皇帝)희조(熙祖)홍무제의 조부[3]
주세진(朱世珍)1281–1344순황제(淳皇帝)인조(仁祖)홍무제의 부친[4]
주표(朱標)1355년 10월 10일 – 1392년 5월 17일효강황제(孝康皇帝)흥종(興宗)1399년
1644년
홍무제의 아들이자 건문제의 아버지로 건문제가 사후 황제로 추존함.1402년 건문제를 폐위시킨 영락제가 주표의 황제 지위를 폐지함. 1644년 주표는 다시 황제로 추존됨.[6]
주유원(朱祐杬)1476년 7월 22일 – 1519년 7월 13일지천수도홍덕원인관목순성공간금문헌황제(知天守道洪德淵仁寬穆純聖恭簡敬文獻皇帝)뢰종(睿宗)1538년가정제의 아버지[7]
주창순(朱常洵)1586년 2월 22일 – 1641년 3월 2일묵천부도정순숙철수문현무성경인의효황제(慕天敷道貞純肅哲修文顯武聖敬仁毅孝皇帝)공종(恭宗)1644년홍광제의 아버지이자 만력제의 아들[8]
주우온1490–1560혜황제(惠皇帝)1645융무제와 소무제의 증조부[9]
주주용1538–1564순황제(順皇帝)융무제와 소무제의 증조부[10]
주석황미상 – 1630년 1월 24일단황제(端皇帝)융무제와 소무제의 조부[11]
주기성미상 – 1629년선황제(宣皇帝)융무제와 소무제의 부친[12]
주자랑(朱慈烺)1629년 2월 26일 – 1644년 6월도황제(悼皇帝)1646숭정제의 아들[13]
주창영(朱常瀛)1597년 4월 25일 – 1645년 12월 21일체천창도장의온홍흥문선무인지성효단황제(體天昌道莊毅溫弘興文宣武仁智誠孝端皇帝)예종(禮宗)영력제의 아버지이자 만력제의 아들[14]


참조

[1] 웹사이트 The Emperor in the Cosmic Order https://afe.easia.co[...]
[2] 웹사이트 Life inside the Forbidden City. Chapter 3 https://multimedia.s[...] 2018-08-08
[3] 백과사전 Forbidden City https://www.britanni[...]
[4] 뉴스 China's Reluctant Emperor https://www.nytimes.[...] 2011-09-07
[5]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Names of Persons and Titles of Rulers http://www.chinaknow[...] 2011-09-23
[6] 문서 弘光帝による追尊
[7] 문서 清の乾隆帝による追尊
[8] 문서 嘉靖帝による追尊
[9] 문서 成化帝による追尊
[10] 문서 正統帝の重祚
[11] 문서 隆武帝による追尊
[12] 문서 清の順治帝による追尊
[13] 문서 永暦帝による追尊
[14] 문서 鄭成功による追尊
[15] 문서 洪武帝による追尊
[16] 문서 朱興隆、朱興盛、朱興の祖。李文忠の義祖父
[17] 문서 建文帝による追尊
[18] 문서 朱以海による追尊
[19] 문서 隆武帝による追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