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함 (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함은 해상, 항공, 우주 분야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운송 수단을 지칭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유보트에 보급품을 공급하는 잠수함, 소형 잠수정 및 잠수함을 운반하는 선박으로 사용되었다. 항공 분야에서는 공중 항공모함, 공중 발사, 기생 항공기 운반 등의 역할을 했으며, 우주 분야에서는 달 착륙선 발사 및 궤도선 수송에 활용되었다. 대중문화에서는 UFO 및 과학 소설에서 함대의 기함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군 함정 - 중순양함
    중순양함은 해군 군축 조약에 의해 정의된 군함으로, 특정 구경의 함포를 탑재하고 배수량 제한을 가지며, 각국 해군이 조약 제한 내에서 화력과 성능을 추구하며 건조 경쟁을 벌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함대함 미사일의 등장으로 점차 퇴역하여 현재는 일부 함선만 박물관으로 보존되고 있다.
  • 해군 함정 - 숙박함
    숙박함은 선원, 군인, 노동자 등을 위한 거주 시설로 전쟁이나 육상 숙박 시설 부족 시 활용되었으며, APL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고 항해 능력이 필수는 아니다.
  • 교통 체계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 교통 체계 - 주간고속도로
    주간고속도로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주도로 1956년 도입된 미국의 고속도로 체계로, 교통 수요 대처와 국가 방위 강화 목적을 가지며 미국 전역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고속도로 체계이다.
  • 우주선 - 상업용 궤도 운송 서비스
    상업용 궤도 운송 서비스(COTS)는 NASA가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상업적인 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민간 기업의 우주 개발 참여를 장려하며, 우주 산업 경쟁력 강화 및 NASA의 우주 탐사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술 개발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추진한 프로그램이다.
  • 우주선 - 우주 캡슐
    우주 캡슐은 유인 우주 탐사를 위해 우주 비행사를 지구 궤도 또는 다른 천체로 수송하고 안전하게 귀환시키도록 개발된 탑승 공간으로, 초기에는 단일 비행사 수용을 위해 설계되었으나 현재는 다중 승무원 및 무인 화물 수송용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모함 (배)
모함
모함의 예시. 미 해군의 홀랜드 잠수함.
모함의 예시. 미 해군의 홀랜드 잠수함.
유형군함
역할항공기 지원
잠수함 지원
소형 선박 지원
개요
정의다른 항공기, 선박 또는 차량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는 대형 선박, 항공기 또는 차량
기능수리 및 유지 보수
연료 및 무기 보급
통신 및 조정
기지 역할
해군에서의 모함
항공모함항공기를 운반, 무장, 배치 및 회수하는 데 사용되는 군함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모함
잠수함 모함잠수함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는 선박
잠수함에 대한 수리, 연료 보급 및 무기 보급 제공
어뢰정 모함어뢰정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는 선박
어뢰정에 대한 수리, 연료 보급 및 무기 보급 제공
항공에서의 모함
항공모함 (항공기)다른 항공기를 운반할 수 있는 대형 항공기
일반적으로 실험적
모선 (풍선)비행선과 같은 더 작은 항공기를 발사하고 회수할 수 있는 항공기
이 용어는 또한 더 무거운 항공기에서 발사되는 항공기, 특히 실험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항공기를 나타낼 수 있음
기타 유형의 모함
육상 차량다른 차량이나 장비를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차량
예: 탱크 수송차량
해상 차량다른 해상 차량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선박
예: 요트 운반선 또는 부유식 도크
우주다른 우주선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우주선
예: 버진 궤도의 코스믹 걸

2. 해상 모함

해상 모함은 다른 선박이나 잠수정을 지원하거나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선박을 의미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잠수함에 대한 보급 지원이나 현대의 해양 탐사 지원, 심지어 소말리아 해적의 활동 범위 확장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2. 1. 잠수함 지원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XIV형 잠수함 또는 Milchkuh|밀크쿠de(젖소)는 유보트에 보급품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 대형 잠수함 유형이었다.

모선은 탐사할 해역으로 소형 잠수정잠수함을 운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틀란티스 II는 DSV ''Alvin''을 탑재하여 운용한다.

소말리아 해적은 인도양에서의 활동 범위를 넓히기 위해 모선을 사용하기도 한다.

2. 2. 탐사 지원

모선은 탐사할 해역으로 소형 잠수정잠수함을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틀란티스 II는 심해 잠수정인 DSV Alvin을 탑재하여 운용한다.

2. 3. 해적 활동

소말리아 해적은 인도양에서의 활동 범위를 넓히기 위해 모선을 사용한다.

3. 항공 모함

항공 분야에서 모함은 공중 항공모함, 공중 발사, 포획 운송(캡티브 캐리) 역할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일부 대형 장거리 항공기는 작은 기생 항공기를 운반하는 모함 역할을 하거나, 복합 항공기의 일부를 구성하기도 한다.[1][7][8][13]

3. 1. 공중 항공모함

항공 분야에서 모함은 공중 항공모함, 공중 발사, 포획 운송 역할로 사용되어 왔다. 일부 대형 장거리 항공기는 기생 항공기의 모함 역할을 한다. 모함은 또한 복합 항공기의 더 큰 구성 요소를 형성할 수도 있다.

1933년, ''메이컨''의 "사다리꼴" 장치에 부착된 스패로우호크 전투기


거대한 비행선 시대에 미국은 기내 격납고가 있어 여러 대의 커티스 F9C 스패로우호크 복엽 전투기를 수용할 수 있는 USS 애크런(ZRS-4)과 USS 메이컨(ZRS-5) 두 척의 경식 비행선을 건조했다. 이 공중 항공모함들은 수년간 성공적으로 운용되었다.[1] 이 비행선들은 항공기를 보관하기 위해 "사다리꼴"을 사용하는 내부 격납고를 활용했다.[2]

3. 2. 공중 발사

일본의 미쓰비시 G4M2e ''베티''가 ''오카''를 발사하는 모습


공중 발사 역할에서, 대형 항공기 또는 모선은 더 작은 탑재 항공기를 발사 지점까지 운반한 후 이를 해제한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일본의 미쓰비시 G4M 폭격기는 로켓 추진 방식의 요코스카 MXY7 ''오카'' 항공기를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표적 함선에 대한 ''가미카제'' 공격에 사용되었다. 독일도 다임러-벤츠 프로젝트 C라고 불리는 제트기 탑재 폭격기를 계획했다.

미국에서는 NASA가 실험 항공기의 발사 플랫폼으로 개조된 폭격기를 사용했다. 이 중 주목할 만한 사례는 1960년대에 개조된 보잉 B-52 스트래토포트리스를 사용하여 노스아메리칸 X-15를 반복적으로 발사한 것이다.

3. 3. 캡티브 캐리 (Captive carry)

항공 분야에서 모함은 공중 항공모함, 공중 발사, 포획 운송 역할 등으로 사용된다.[1] 캡티브 캐리(Captive carryeng)는 이러한 포획 운송 방식 중 하나로, 로켓, 미사일, 비행기 또는 우주 비행기와 같은 탑재체를 수송기에서 분리하지 않고 운반하는 것을 의미한다.[1]

캡티브 캐리는 주로 새로운 기체나 시스템이 실제 자유 비행을 하기 전에 초기 테스트를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1] 또한, 페리 비행처럼 항공기나 우주선을 단순히 수송하는 목적으로도 활용된다.[1]

우주왕복선을 공중에서 발사하려는 실험은 시험용 기체인 ''엔터프라이즈''를 통해 수행된 바 있으나, 실제 우주왕복선 계획에서는 이 방식이 사용되지 않았다.[1]

캡티브 캐리의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NASA는 우주왕복선 궤도선을 수송하고 비행 시험을 위해 궤도선을 공중 발사하는 데 우주왕복선 수송기로 알려진 개조된 보잉 747 항공기 두 대를 운용했다.[1]

아틀란티스 우주왕복선이 보잉 747 우주왕복선 수송기에 의해 수송되고 있는 모습.

안토노프 An-225 므리야가 ''부란'' 우주왕복선을 운반하고 있는 모습.

3. 4. 기생 항공기 운반

항공 분야에서 모함은 공중 항공모함, 공중 발사 및 회수, 운송 등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일부 대형 장거리 항공기는 작은 기생 항공기를 운반하는 모함 역할을 하기도 한다. 모함은 또한 복합 항공기의 더 큰 구성 요소가 될 수도 있다.

Zveno-SPB 구성: FAB-250 폭탄을 장착한 폴리카르포프 I-16 전투기를 탑재한 TB-3-4AM-34FRN


프로젝트 팁-토우: 보잉 B-29와 리퍼블릭 F-84 썬더제트


일부 대형 장거리 항공기는 정찰 범위 확장이나 전투기 호위와 같은 지원 임무를 위해 기생 항공기를 탑재하는 모함으로 개조되었다.[7][8]

전투기를 발진시키고 회수하는 경성 비행선에 대한 첫 실험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이루어졌다. 영국은 23급 비행선으로 실험을 시작했고, 1920년대에는 "비행선 개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R33을 사용했다. 갈고리가 달린 드 하빌랜드 허밍 버드 경비행기를 비행선 아래에 매달아 실험했는데,[9] 1925년 10월에는 롤로 헤이그 비행대장이 R33에서 비행기를 분리했다가 다시 부착하는 데 성공했다.[10] 같은 해 말, 다시 시도하여 허밍 버드는 비행선이 착륙할 때까지 부착된 상태를 유지했다. 1926년에는 두 대의 글로스터 그리브 전투기를 탑재하여 Pulham 및 Cardington 비행선 기지에서 발진시키는 실험도 진행했다.[11]

미국에서는 USS ''로스앤젤레스'' (ZR-3)를 이용해 애크론급 및 메이컨급 공중 항공모함 개발을 위한 시제품 테스트를 수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의 투폴레프-바크미스트로프 Zveno 프로젝트는 투폴레프 TB-1 및 TB-3 항공기를 개조하여 최대 5대의 소형 항공기(주로 전투기 또는 전투폭격기)를 탑재하고 발진시키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제트 시대 초기에는 전투기들이 장거리 비행 능력이 부족하여, 먼 거리를 비행하는 폭격기를 호위하거나 특정 지점을 방어하는 요격 임무를 수행하기 어려웠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장거리 폭격기가 호위 전투기를 직접 탑재하거나 견인하는 방식이 연구되었다. B-29 슈퍼포트리스와 B-36 피스메이커 폭격기는 RF-84K 썬더플래시 정찰기(FICON 프로젝트)나 XF-85 고블린 기생 전투기를 탑재하는 모선으로 시험 운용되었다.[7]

2014년 11월, 미국 국방부 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B-52 스트래토포트리스 및 B-1 랜서 폭격기, C-130 허큘리스 및 C-17 글로브마스터 III 수송기와 같은 기존 대형 항공기에서 소형 무인 항공기(UAV)를 발진시키고 회수하는 시스템 개발을 위한 산업계 제안 요청을 발표했다.[12]

3. 5. 복합 항공기

모함은 복합 항공기의 더 큰 구성 요소를 형성하기도 한다. 복합 항공기는 두 개 이상의 구성 항공기가 하나의 유닛으로 이륙한 뒤 분리되는 방식이다. 영국의 쇼트 S.21 ''마이아'' 실험용 비행정은 1930년대 쇼트 마요 복합 2기 항공기 해상 대서양 횡단 프로젝트 설계에서 모선 구성 요소 역할을 했다.[7][13]

4. 우주선 모함

스케일드 컴포지츠 화이트 나이트 시리즈의 항공기는 그 아래에 탑재된 우주선을 발사하도록 설계되었다.

4. 1. 달 착륙

모선 개념은 1960년대에 수행된 달 착륙에 사용되었다. 1962년 미국의 레인저 계획과 1966년 소련의 루나 계획 무인 착륙선은 모두 모선에서 마지막 순간에 분리되도록 설계된 구형 캡슐이었다. 이 모선들은 착륙선을 달까지 운반한 후 달 표면에 추락했다. 유인 아폴로 계획에서는 아폴로 달 착륙선에 탑승한 우주 비행사들이 달 궤도에서 아폴로 사령/서비스 모듈 모선을 떠나 달 표면으로 하강했다. 임무를 마친 후, 이들은 다시 모선과 달 궤도 랑데부를 통해 도킹하여 지구로 귀환했다.[14]

5. 대중문화 속 모함

'모함'이라는 개념은 대중문화, 특히 미확인 비행 물체(UFO) 이야기와 과학 소설 장르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다. UFO 목격담에서는 작은 비행체들을 거느린 거대한 비행 물체를 '모함' 또는 '모선'(mother shipeng)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있으며,[15][16] 과학 소설에서는 함대의 기함 역할을 하는 대형 우주선을 '모선'(mothershipeng)으로 표현하기도 한다.[17]

5. 1. UFO

수많은 미확인 비행 물체 (UFO) 목격담 중에는 이를 '모함'(mother shipeng)이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1947년 여름 미국에서 이러한 보고가 집중되었다. 캘리포니아주 팜데일의 한 여성은 언론 인터뷰에서 '어미 접시'(mother saucereng) 주위에 작은 접시들이 많이 있었다고 묘사하기도 했다.[15] '모선'이라는 용어는 1950년대 콘택티였던 조지 아담스키에 의해 UFO 이야기 속에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 그는 작은 플라잉 소서 형태의 정찰기들을 거느린, 시가 모양의 거대한 금성인 모선을 목격했다고 주장했다. 아담스키는 이 정찰기 조종사들과 친구가 되었으며, 그중에는 '오톤'(Orthoneng)이라는 이름의 금성인도 있었다고 주장했다.[16]

5. 2. 과학 소설 (Science fiction)

모선이라는 개념은 또한 과학 소설에서도 등장하며, 그 아이디어를 우주선으로 확장하여 함대 내의 기함 역할을 수행하는 우주선을 의미한다. 이 맥락에서 '모선(mother ship)'은 종종 'mothership'과 같이 한 단어로 표기되기도 한다.

모선은 그 크기가 충분히 커서 함대의 나머지를 위한 기지를 포함할 수 있다.[17] 예시로는 ''미지와의 조우''와 ''배틀스타 갈락티카''에 등장하는 대형 우주선이 있다.

6. 기타 언어

많은 아시아 언어에서, 예를 들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인도네시아어에서는 "모함"(母舰중국어, 母艦일본어, 모함한국어, Kapal indukid, 글자 그대로 "어머니" + "(군)함")은 일반적으로 항공모함을 가리키며, 이는 "항공 모함"(航空母舰중국어, 航空母艦일본어, 항공모함한국어, Kapal induk pesawat udarams)으로 번역된다.

참조

[1] 서적 US Naval Fighters Aero Publishers 1977
[2] 간행물 Plane Hitched To Dirigible by Hook in Flight https://books.google[...] Popular Mechanics 1930-08
[3] 뉴스 Lockheed LRASM completes captive carry tests http://www.flightglo[...] Flightglobal 2014-09-29
[4] 간행물 Captive carry testing as a means for rapid evaluation of handling qualities http://www.icas.org/[...] International Council of the Aeronautical Sciences|ICAS 2002
[5] 웹사이트 X-34 Rocket Plane Takes to the Sky as Part of Safety Check http://www.hq.nasa.g[...] NASA 2014-09-29
[6] 웹사이트 NASA Armstrong Fact Sheet: Space Shuttles – Space Shuttles and the Dryden Flight Research Center http://www.nasa.gov/[...] NASA 2014-09-29
[7] 서적 Concept Aircraft Grange 2005
[8] 서적 US Fighters Aero Publishers 1975
[9] 웹사이트 RSS GFAAG: 1921–1928: "The Breakaway" http://www.aht.ndire[...] 2017-08-11
[10] 간행물 R.33 as Aircraft Carrier http://www.flightglo[...] 1926-10-22
[11] 간행물 R.33 as Aircraft Carrier http://www.flightglo[...] 1926-10-28
[12] 웹사이트 Unmanned And Manned Aircraft Will Have To Learn To Rely On Each Other http://aviationweek.[...] 2014-11-25
[13] 서적 The Short Empire Boats Profile Publications 1966
[14] 서적 Manned Spacecraft Macmillan 1976
[15] 웹사이트 Alfred Loedding & the Great Flying Saucer Wave of 1947 http://www.nicap.org[...] Palmdale South Antelope Valley Press 1947-07-10
[16] 뉴스 Palomar campground expanding its universe http://www.signonsan[...] 2016-01-03
[17]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Mothership, or Why Tom Cruise Blows Up Wombs to Save the World http://motherboard.v[...] Vice Media LLC 2016-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