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천 마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천 마씨는 백제 개국공신 마려(馬黎)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평장사를 지낸 마경수가 신정군에 봉해졌으며, 고려 문종 때 마현이 목천 마씨로 분파되었다. 본관은 현재의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일대인 목천이며, 조선 시대에는 33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마경수, 마희경, 마사종, 마상원, 마해송 등이 있으며, 전라남도 고흥군, 장흥군, 강진군, 경상북도 의성군, 함경북도 길주군, 김책시 등에 집성촌이 있다. 2015년에는 2,586명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천 마씨 - 마해송
    마해송은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이자 언론인으로, 방정환 등과 색동회를 조직하여 아동문학 운동을 전개했으며, 광복 후에는 작품을 통해 사회상을 비판하는 등 대한민국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목천 마씨 - 마광수
    마광수는 대한민국의 국문학자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시인과 소설가로 활동하며 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문학관으로 기성 문단과 갈등을 빚었고, 소설 《즐거운 사라》로 외설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목천 마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한국의 씨족
국가한국
지역천안시
시조마려(馬黎)
본관목천읍
인물
연결된 인물마종기
마광수
기타
참고마려(馬黎)

2. 역사

목천 마씨(木川 馬氏)의 시조는 백제 개국공신 마려이며, 중시조는 고려 시대 평장사 마경수이다. 고려 문종 때 마점중의 장남 마현이 목천 마씨, 차남 마혁인이 장흥 마씨로 분파되었다. 목천은 현재의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일대로, 백제 때 대목악군, 신라 경덕왕 때 대록군, 고려 태조 때 목주, 고려 현종 때 청주의 속현, 고려 명종 때 감무가 설치되었고, 조선 태종 때 목천현이 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목천군으로 개편되었으나 1914년 목천면으로 축소되어 천안군에 편입되었다. 2002년 1월 1일 목천읍으로 승격했다.

목천 마씨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여러 인물을 배출하였다. 고려시대 인물로는 마경수, 마희원, 마희상 등이 있고, 조선시대 인물로는 마희경, 마사종, 마상원, 마현겸, 마격, 마성하, 마맹하, 마지휘, 마사인, 마유, 마한량 등이 있다. 근현대 인물로는 아동문학가 마해송, 녹십자의료공업 회장 마웅호, 시인 마종기, 인하대학교 부총장 마석일, 연세대학교 교수 마광수 등이 있다.

목천 마씨는 조선시대에 과거 급제자 33명을 배출하였다.[11]

종류성명
문과마격, 마계변(馬繼卞), 마맹하, 마사인, 마지휘, 마한량, 마현겸
무과마성하(馬聖河), 마지진(馬之晉)
생원시마격, 마계변(馬繼卞), 마지경(馬之烱), 마지광(馬之光), 마지락(馬之洛), 마행규(馬行逵), 마희경
진사시마경하(馬慶河), 마맹하, 마사의(馬思義), 마상원, 마속(馬涑), 마여룡(馬汝龍), 마연(馬沇), 마용하(馬龍河), 마유, 마윤하(馬潤河), 마준근(馬駿根), 마지량(馬之良), 마지선(馬之善), 마지임(馬之任), 마징하(馬徵河), 마태하(馬泰河)
음관마한량


2. 1. 시조

시조 '''마려'''는 백제 개국공신이다.[6]삼국사기》 제23권 백제본기에 따르면 기원전 18년 마려(馬藜), 오간(烏干) 등 10인이 고구려 동명왕(동명왕)의 셋째 아들 온조를 인도하여 졸본부여(卒本扶餘)를 피해 남하해서 위례성을 도읍으로 백제를 건국하고 온조를 왕으로 받들었다.[7] 온조왕이 개국원훈 마려에게 좌보(左輔)의 벼슬을 내렸다.[8]

중시조 '''마경수'''는 고려조에 평장사에 오르고 신정군(新定君)에 봉해졌다.

2. 2. 분파

고려 문종 때의 마점중(馬占中)의 장남 마현(馬鉉)이 목천 마씨(木川 馬氏), 차남 마혁인(馬爀仁)이 장흥 마씨로 분파되었다. 목천 마씨 과거 급제자들의 거주지는 대부분 개성(開城)으로 기록되어 있다.

3. 본관

목천은 현재의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일대이다. 본래 백제의 대목악군(大木岳郡)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대록군(大麓郡)으로 고치고 금지현(金池縣)과 순치현(馴雉縣)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목주(木州)로 개칭했으며, 1018년(현종 9)에 청주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하여 연기현(燕岐縣) 감무를 겸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목천현(木川縣)이 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별호(別號)는 신정(新定)이다. 1895년(고종 32) 목천군으로 개편되었으나, 1914년 목천면으로 축소되어 천안군에 편입되었다. 2002년 1월 1일 목천면이 목천읍으로 승격했다.

4. 인물

목천 마씨는 고려, 조선, 현대에 걸쳐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다.

시대이름주요 내용
현대마해송(馬海松, 1905년 ~ 1966년)아동문학가, 수필가
마웅호(馬雄豪, 1920년 ~ ?)녹십자의료공업 회장
마종기(馬鍾基, 1939년 ~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시인
마석일(馬錫一, 1939년 ~ )인하대학교 섬유공학과 교수, 인하대학교 부총장
마광수(馬光洙, 1951년 ~ 2017년)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마상준(馬相準, 1964년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마경섭(馬京燮, 1965년 ~ )(주) 한국항공우주산업 前 운영그룹장 (COO), 前 경영전략부문장


4. 1. 고려


  • 마경수(馬坰秀) : 고려 평장사(平章事) 신정군(新定君)이다.
  • 마희원(馬希遠) : 마경수의 아들. 고려 때 목사(牧使)를 지냈다. 안동 김씨(安東金氏) 안렴사(按廉使) 김사렴(金士廉)의 사위이다.
  • 마희상(馬羲祥) : 마경수의 8대손. 호는 괴당(槐堂). 효심이 지극하고 성격이 결백하여 조정에서 후릉참봉(厚陵參奉)에 임명했으나 사퇴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이이(李珥)가 가전효우학관천(家傳孝友學貫天)이라는 시를 지어 그를 칭찬했다.
  • 마희경(馬羲慶, 1525년 ~ 1589년) : 자(字)는 중적(仲積), 호는 죽계(竹溪). 서경덕(徐花潭)의 문하(門下)에서 수학하였고, 1567년(선조 즉위년) 생원시에 급제하였다. 1581년(선조 14년) 이이(李珥)가 효렴(孝廉)으로 천거하여 북부 참봉(北部參奉)에 임명되었으나, 사은(謝恩)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평양 유후(平壤留後)로 있던 윤근수(尹根壽)가 마희경의 명성을 듣고 찾아가 “그윽한 난(蘭)이 골짜기에 있으니 향기는 절로 사람에게 다가든다.”라고 하여 그의 학문을 높이 칭송하였고, 이후 서로 교류하며 매우 친하게 지냈다. 이로부터 이곳에 부임하는 여러 관원 및 동서로 가는 사대부는 너나없이 마희경의 집을 찾아 예(禮)를 갖추었다. 박세채(朴世采)가 그의 묘갈명을 작성하였다.[9]
  • 마사종(馬嗣宗) : 호는 낙포(樂圃). 조부는 마희경(馬羲慶)이고, 아버지는 마덕룡(馬德龍)이다. 윤두수(尹斗壽)에게 글을 배웠는데, 문장과 학문이 뛰어나서 윤근수(尹根壽)가 “문학으로는 세상에 마사종이 있다. 이는 서경(西京)의 아유(雅儒)다.”라고 칭찬했다고 전한다. 또 주자(朱子)의 가례(家禮)가 현실에 맞지 않다 하여 당시의 실정에 맞게 조선 고유의 예법(禮法)을 정립하였다. 저서로 『오륜통의(五倫通義)』, 『사례비요(四禮備要)』가 있다.
  • 마상원(馬尙遠, 1573년 ~ ?) : 자는 이중(而重). 호는 팔해(八垓). 조부는 마희상(馬羲祥)이고, 아버지는 성균진사(成均進士) 마여룡(馬汝龍)이다. 1606년(선조 39) 증광시 진사(進士) 2등 1위로 합격하였다. 당시 문장이 뛰어나 동방문사(東方文士)로 일컬어진 차천로(車天輅) 형제와 함께 ‘양차일마(兩車一馬)’로 불렸다.
  • 마현겸(馬玄謙, 1631년 ~ ?) : 마상원의 손자. 자는 천휘(天撝). 1654년(효종 5)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658년(효종 9) 교서관정자(校書館正字)를 지냈고, 이후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역임했다.
  • 마격(馬格, 1647년 ~ ?) : 1690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696년(숙종 22년) 문과에 급제하여 교서박사(校書博士), 장수찰방(長水察訪), 성균관 전적(典籍), 개성교수(開城敎授)를 역임하였다.
  • 마성하(馬聖河, 1686년 ~ ?) : 1714년(숙종 40년)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판관(訓鍊判官), 도총도사(都摠都事), 산산 첨사(蒜山僉使)를 지냈다.
  • 마맹하(馬孟河, 1701년 ~ ?) : 자는 군범(君範). 증조부는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굶주린 백성들을 구휼(救恤)하여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오른 마인호(馬仁浩)이고, 조부는 마상달(馬尙達)이며, 아버지는 마황(馬榥)이다. 외조부는 이덕형(李德馨)이고, 처부는 임전(林㙉)과 김리복(金履復)이다. 1727년(영조 3) 증광시 진사(進士) 3등으로 합격하여 성균관권지(成均館權知)가 되고, 1747년(영조 23) 식년시 문과에 을과 3위로 급제하여 학유(學諭)를 지냈다.[10]
  • 마지휘(馬之徽, 1725년 ~ ?) : 마맹하의 아들. 1756년(영조 32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직강(直講)을 지냈다.
  • 마사인(馬思仁, 1755년 ~ ?) : 아버지는 생원 마지락(馬之洛)이고, 어머니는 전주 이씨로 생원 이호겸(李好謙)의 딸이다. 1780년(정조 4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학록, 사변가주서(事變假注書), 함경도사(咸鏡都事)를 거쳐 1790년 동지중추부사에 오르고, 1796년 예조좌랑(禮曹佐郞), 1797년 황해도사(黃海都事)를 역임하였다.
  • 마유(馬游, 1759년 ~ ?) : 1798년(정조 22년)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에 합격하여 분교관을 거쳐 중부령을 지냈다.
  • 마한량(馬翰良, 1793년 ~ ?) : 마지휘의 증손. 1836년(헌종 2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掌令)을 역임하였다.

4. 2. 조선


  • 마희경(馬羲慶, 1525년 ~ 1589년) : 자는 중적(仲積), 호는 죽계(竹溪). 서경덕(徐花潭)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567년(선조 즉위년) 생원시에 급제하였다. 1581년(선조 14년) 이이(李珥)가 효렴(孝廉)으로 천거하여 북부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사은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윤근수(尹根壽)가 마희경의 명성을 듣고 찾아가 그의 학문을 높이 칭송하였고, 이후 그와 매우 친하게 지냈다. 이로부터 이곳에 부임하는 여러 관원 및 동서로 가는 사대부는 너나없이 마희경의 집을 찾아 예를 표하였다. 박세채(朴世采)가 그의 묘갈명을 작성하였다.[9]
  • 마사종(馬嗣宗) : 호는 낙포(樂圃). 마희경(馬羲慶)의 손자, 아버지는 마덕룡(馬德龍). 윤두수(尹斗壽)에게 글을 배웠는데, 문장과 학문이 뛰어나 윤근수(尹根壽)가 “문학으로는 세상에 마사종이 있다. 이는 서경(西京)의 아유(雅儒)다.”라고 칭찬했다고 전한다. 또 주자(朱子)의 가례(家禮)가 현실에 맞지 않다 하여 당시의 실정에 맞게 조선 고유의 예법(禮法)을 정립하였다. 저서로 『오륜통의(五倫通義)』, 『사례비요(四禮備要)』가 있다.
  • 마상원(馬尙遠, 1573년 ~ ?) : 자는 이중(而重), 호는 팔해(八垓). 마희상(馬羲祥)의 손자, 아버지는 성균진사(成均進士) 마여룡(馬汝龍). 1606년(선조 39) 증광시 진사(進士) 2등 1위로 합격하였다. 당시 문장이 뛰어나 동방문사(東方文士)로 일컬어진 차천로(車天輅) 형제와 함께 ‘양차일마(兩車一馬)’로 불렸다.
  • 마현겸(馬玄謙, 1631년 ~ ?) : 마상원(馬尙遠)의 손자. 자는 천휘(天撝). 1654년(효종 5)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658년(효종 9) 교서관정자(校書館正字)를 지냈고, 이후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역임했다.
  • 마격(馬格, 1647년 ~ ?) : 1690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696년(숙종 22년) 문과에 급제하여 교서박사(校書博士), 장수찰방(長水察訪), 성균관 전적(典籍), 개성교수(開城敎授)를 역임하였다.
  • 마성하(馬聖河, 1686년 ~ ?) : 1714년(숙종 40년)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판관(訓鍊判官), 도총도사(都摠都事), 산산 첨사(蒜山僉使)를 지냈다.
  • 마맹하(馬孟河, 1701년 ~ ?) : 자는 군범(君範). 증조부는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굶주린 백성들을 구휼(救恤)하여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오른 마인호(馬仁浩), 조부는 마상달(馬尙達), 아버지는 학생(學生) 마황(馬榥). 외조부는 이덕형(李德馨), 처부는 임전(林㙉)과 김리복(金履復). 1727년(영조 3) 증광시 진사(進士) 3등으로 합격하여 성균관권지(成均館權知)가 되고, 1747년(영조 23) 식년시 문과에 을과 3위로 급제하여 학유(學諭)를 지냈다.[10]
  • 마지휘(馬之徽, 1725년 ~ ?) : 마맹하(馬孟河)의 아들. 1756년(영조 32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직강(直講)을 지냈다.
  • 마사인(馬思仁, 1755년 ~ ?) : 아버지는 생원 마지락(馬之洛), 어머니는 전주 이씨로 생원 이호겸(李好謙)의 딸. 1780년(정조 4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학록, 사변가주서(事變假注書), 함경도사(咸鏡都事)를 거쳐 1790년 동지중추부사에 오르고, 1796년 예조좌랑(禮曹佐郞), 1797년 황해도사(黃海都事)를 역임하였다.
  • 마유(馬游, 1759년 ~ ?) : 1798년(정조 22년)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에 합격하여 분교관을 거쳐 중부령을 지냈다.
  • 마한량(馬翰良, 1793년 ~ ?) : 마지휘(馬之徽)의 증손. 1836년(헌종 2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掌令)을 역임하였다.

4. 3. 현대


  • 마해송(1905년 ~ 1966년) : 아동문학가이자 수필가였다.
  • 마웅호(1920년 ~ ?) : 녹십자의료공업 회장을 역임하였다.
  • 마종기(1939년 ~ ) :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이자 시인이다.
  • 마석일(1939년 ~ ) : 인하대학교 섬유공학과 교수를 거쳐 인하대학교 부총장을 역임하였다.
  • 마광수(1951년 ~ 2017년) :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 마상준(1964년 ~ )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이다.
  • 마경섭(1965년 ~ ) : (주) 한국항공우주산업 前 운영그룹장 (COO) 및 前 경영전략부문장을 역임하였다.

5. 과거 급제자

목천 마씨는 조선시대에 과거 급제자 33명을 배출하였다.[11]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
구분명단
문과마격(馬格), 마계변(馬繼卞), 마맹하(馬孟河), 마사인(馬思仁), 마지휘(馬之徽), 마한량(馬翰良), 마현겸(馬玄謙)
무과마성하(馬聖河), 마지진(馬之晉)
생원시마격(馬格), 마계변(馬繼卞), 마지경(馬之烱), 마지광(馬之光), 마지락(馬之洛), 마행규(馬行逵), 마희경(馬羲慶)
진사시마경하(馬慶河), 마맹하(馬孟河), 마사의(馬思義), 마상원(馬尙遠), 마속(馬涑), 마여룡(馬汝龍), 마연(馬沇), 마용하(馬龍河), 마유(馬游), 마윤하(馬潤河), 마준근(馬駿根), 마지량(馬之良), 마지선(馬之善), 마지임(馬之任), 마징하(馬徵河), 마태하(馬泰河)
음관마한량(馬翰良)


5. 1. 문과

마격(馬格)[11], 마계변(馬繼卞)[11], 마맹하(馬孟河)[11], 마사인(馬思仁)[11], 마지휘(馬之徽)[11], 마한량(馬翰良)[11], 마현겸(馬玄謙)[11]

5. 2. 무과


  • 마성하(馬聖河)
  • 마지진(馬之晉)
[11]

5. 3. 생원시

마격(馬格), 마계변(馬繼卞), 마지경(馬之烱), 마지광(馬之光), 마지락(馬之洛), 마행규(馬行逵), 마희경(馬羲慶)[11]

5. 4. 진사시

마경하, 마맹하, 마사의, 마상원, 마속, 마여룡, 마연, 마용하, 마유, 마윤하, 마준근, 마지량, 마지선, 마지임, 마징하, 마태하[11]

5. 5. 음관

마한량(馬翰良)

6. 집성촌


7.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1,225가구5,234명
2000년941가구2,982명
2015년2,586명


참조

[1] 논문 韓国人の起源に関する中高生の意識と『国史』教科書との関係 http://www2.lib.yama[...] Yamagata University 2012
[2]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목천마씨 木川馬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9
[4] 간행물 韓国人の起源に関する中高生の意識と『国史』教科書との関係 https://yamagata.rep[...] 山形大学歴史・地理・人類学研究会
[5] 웹사이트 마씨(馬氏) 본관(本貫) 목천(木川), 장흥(長興)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6] 문서 《삼국사기(三國史記)》 제23권 백제본기 https://terms.naver.[...]
[7] 문서
[8] 뉴스 “목천 마씨·천안 전씨는 백제 위례성이 직산이라는 흔적” http://ilyo.co.kr/?a[...] 일요신문 2018-03-28
[9] 문서 국조인물고 권49 마희경 https://terms.naver.[...]
[10] 한국학중앙연구원
[11]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