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르탈라 모하메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나이지리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75년 쿠데타를 통해 국가 원수가 되었으나 1976년 암살당했다. 그는 나이지리아 육군에서 경력을 쌓아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960년대 나이지리아 내전에도 참전했다. 1974년 야쿠부 고원 정권에서 연방 통신 위원으로 임명되었으며, 1975년 쿠데타로 집권하여 부패 척결, 공무원 숙청, 국영 신문 통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외교적으로 나이지리아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앙골라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1976년 쿠데타 미수 사건으로 암살되었으며, 그의 이름은 라고스 국제공항 등에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살인 사건 - 아요 번콜
아요 번콜은 런던 출신의 음악가, 교육자, 프로듀서로, 다양한 분야에서 학업을 마치고 나이지리아에서 음악 수석 프로듀서와 강사로 활동하며 요루바어 기독교 전례 음악 작곡과 전통 및 서양 음악 융합에 힘썼으나 1976년 라고스에서 살해당했다. - 나이지리아의 암살된 정치인 - 존슨 아그이이론시
존슨 아그이이론시는 나이지리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66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으나 같은 해 쿠데타로 암살당했으며, 나이지리아 육군 최초의 원주민 출신 사령관으로서 중앙 집권적인 통치를 시도했지만 민족 갈등을 심화시켜 비판을 받았고 그의 죽음은 비아프라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나이지리아의 암살된 정치인 - 아부바카르 타파와 발레와
아부바카르 타파와 발레와는 나이지리아의 정치인이자 교육자로서, 1957년 나이지리아 총리로 임명되어 독립 후에도 총리직을 수행하며 아프리카의 자주 통치와 외교 정책에 기여했으며, 쿠데타로 사망한 인물이다. - 나이지리아의 장군 - 사니 아바차
사니 아바차는 1993년부터 1998년까지 나이지리아의 국가 원수이자 군 최고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군사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인권 침해, 부패 혐의 등 많은 문제에 직면하다 1998년 사망했다. - 나이지리아의 장군 - 이브라힘 바방기다
이브라힘 바방기다는 1941년 나이지리아에서 태어나 1985년부터 1993년까지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쿠데타로 정권을 잡고 구조 조정 프로그램을 시행했으며 제3 본토 다리를 건설했으나, 1993년 대통령 선거 무효화로 논란을 일으키고 퇴임 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했다.
무르탈라 모하메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장군 |
별명 | 중서부의 몬티 |
직위 | |
직위명 | 나이지리아의 제4대 국가 원수 |
임기 시작 | 1975년 7월 29일 |
임기 종료 | 1976년 2월 13일 |
부통령 | 올루세군 오바산조 |
이전 | 야쿠부 고원 |
이후 | 올루세군 오바산조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38년 11월 8일 |
출생지 | 카노, 북부 지역, 영국령 나이지리아 (현재의 카노 주, 나이지리아) |
사망일 | 1976년 2월 13일 |
사망지 | 라고스, 나이지리아 |
학력 | 바레와 칼리지 샌드허스트 왕립 군사학교 |
배우자 | 아조케 무함마드 (1963년 결혼) |
자녀 | 6명 (아이샤 포함) |
친척 | 이레티 킨기베 (처제) |
군사 경력 | |
계급 | 장군 |
복무 기간 | 1958년 – 1976년 |
참전 | 콩고 위기 나이지리아 내전 1967년 중서부 침공 제1차 오니차 전투 제2차 오니차 전투 아바가나 매복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없음) 군인 |
직업 | 군인 |
사망 원인 | |
사망 원인 | 암살 |
2. 초기 생애 및 교육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1938년 11월 8일 나이지리아 카노에서 풀라니족의 유력 가문에서 태어났다.[7] 그의 가문은 이슬람 율법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아버지는 카노 토후국의 수석 판사를 지냈다.[8][9] 그는 여러 학교를 거쳐 자리아의 바레와 칼리지를 1957년에 졸업했으며,[14] 이후 나이지리아 육군에 입대했다.[15]
2. 1. 가문 배경
아버지 무하메드 리스쿠와는 풀라니족의 게나와 씨족 출신이었다.[7] 이 씨족은 이슬람 율법에 대한 지식이 깊은 집안으로, 그의 부계 조부인 술레만과 증조부 모두 판사를 지냈다.무하메드 리스쿠와는 카노 토후국의 수석 판사로 재직하며 수석 알칼리라는 직함을 가졌다.[8][9] 그는 카노 토착 당국에서도 일했으며, 아미누 카노, 이누와 와다, 아미누 왈리와 친척 관계였다. 그는 1953년에 사망했다.[10]
어머니 우와니 라하마투는 카누리족과 풀라니족의 조바와 씨족 출신이었다. 조바와 씨족에는 카노의 마카마와 압둘라히 알리유 수마일라 같은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었다.[11] 그의 외할아버지 야쿠부 소자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였으며 다와킨 토파 출신이었고, 외할머니 하지야 하우아우(아야)는 게자와 출신이었다.
2. 2. 학업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에미르 궁 안에 있던 시킨 기다 초등학교에서 처음 교육을 받았다.[12] 이후 궁 밖에 있는 기단 마카마 초등학교로 옮겨 공부했다.[13] 1949년에는 카노 중학교(현재 룸파 칼리지, 카노)에 입학했으며, 그 후 자리아에 위치한 명문 정부 칼리지(현재 바레와 칼리지)로 진학했다.[14] 바레와 칼리지 재학 중에는 생도단의 일원으로 활동했고, 마지막 학년에는 사격 부대장을 맡았다.[15] 1957년에 정부 칼리지에서 학교 졸업 증서를 받았으며,[14] 같은 해 말 나이지리아 육군에 입대 지원했다.[15]3. 군 경력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1958년 나이지리아 육군에 입대하여 가나와 영국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사관학교 등에서 군사 훈련을 받았다.[16] 1961년 소위로 임관하여 나이지리아 육군 통신대에 배속되었으며, 이후 콩고 파병 등 초기 경력을 쌓았다.[15] 그는 나이지리아 내에서 여러 통신 부대 지휘관을 역임하고 1966년 중령으로 진급하며 군 내에서 입지를 다졌다.[16]
모하메드는 1966년 1월 쿠데타 이후 집권한 존슨 아구이이-이론시 정권에 반대했으며, 같은 해 7월 발생한 반(反)쿠데타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나이지리아 내전 시기에는 제2보병사단의 사령관으로 참전했다.[15]
1970년부터 1971년까지 영국의 합동 참모대학에서 연수했으며,[20] 귀국 후 1971년 10월 준장으로 진급했다. 1974년 8월, 당시 국가 원수였던 야쿠부 고원에 의해 연방 통신 위원으로 임명되어 군 통신 감찰관 임무와 겸직했다.[21][22] 이후 국가 원수가 된 뒤에는 25만 명에 달했던 군 병력을 15만 명으로 감축하는 등 군 개편을 시도하기도 했다.[23]
3. 1. 초기 경력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1958년 나이지리아 육군에 입대했다. 그는 나이지리아와 가나에서 짧은 훈련을 받았으며, 이후 영국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사관학교에서 장교 사관후보생으로 훈련을 받았다.[16] 훈련을 마친 후, 1961년 소위로 임관하여 같은 해 나이지리아 육군 통신대에 배속되었고, 이후 콩고의 제3여단 통신대에서 잠시 근무했다.[15] 1962년, 모하메드는 서부 지역의 연방 정부에서 임명한 행정관 M. A. 마제코두미의 부관으로 임명되었다.1963년에는 나이지리아 카두나에 있는 제1여단 통신대의 지휘관이 되었다. 같은 해 고급 통신 기술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 영국 캐터릭 병영의 왕립 통신대로 파견되었다. 1964년 나이지리아로 돌아온 그는 소령으로 진급하여 라고스 아파파의 제1통신대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1965년 11월, 그의 삼촌인 이누와 와다가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된 직후, 그는 육군 통신 참모대행이 되었다.
1966년 4월, 모하메드는 중령으로 진급하여 라고스의 군 본부로 파견되어 통신 감찰관이 되었다.[16] 이는 1966년 1월 쿠데타 이후 들어선 새로운 군사 정권에 대해 불만을 가진 북부 출신들을 달래기 위한 조치 중 하나였다.[16]
3. 2. 1966년 쿠데타와 반쿠데타
1966년 1월 쿠데타는 주로 북부와 서부 지역의 주요 정치인 및 군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쿠데타 이후 존슨 아구이이-이론시가 정권을 장악했다. 이 쿠데타는 북부 출신 군인들 사이에서 상당한 불만을 야기했다.[15] 1966년 4월,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중령으로 진급하여 라고스 군 본부의 통신 감찰관으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새로운 군사 정권에 대한 북부의 불만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16] 모하메드는 이론시 정권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이론시 정권은 쿠데타 주동자 처리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고, 군대 내에서 쿠데타 가담자들에게 특혜를 준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북부 출신 군인들의 불신은 더욱 깊어졌다. 특히 나이지리아를 연방제에서 단일 국가 체제로 바꾸려는 법령 제34호는 북부 장교들의 의심을 증폭시켰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모하메드를 포함한 일부 북부 장교들은 북부 지역의 분리 독립까지 고려하게 되었다.[15] 결국 북부 정치인과 공무원들은 모하메드와 같은 북부 장교들에게 쿠데타에 대한 보복을 압박했다.
1966년 7월 29일 밤, 아베오쿠타 병영의 북부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키며 반(反)쿠데타가 시작되었다. 이 반쿠데타는 모하메드 등이 참여하여 계획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초기에는 분리 독립을 목표로 Araba|아 라바ha(하우사어로 '분리 독립'을 의미)라는 암호명을 사용하기도 했다.[15] 그러나 반쿠데타가 성공한 후, 대법원장 아데토쿤보 아데몰라, 연방 공무원 수장 술레 카타굼 등 민간 지도자들은 모하메드를 포함한 주동자들에게 국가 통합의 중요성을 설득했다.[15]
반쿠데타 이후 권력 공백 상태에서 모하메드는 최고 사령관 자리를 원했으나, 군 서열상 선임이었던 야쿠부 고원 중령이 나이지리아군 최고 사령관으로 추대되었다. 모하메드는 영국과 미국의 지지를 얻지 못해 결국 고원의 지휘권을 인정해야 했다. 고원은 모하메드를 중령 계급으로 확정하고 통신 감찰관 직책을 부여하며 그를 달랬다.[17] 하지만 고원의 집권은 모든 군 지도자들의 지지를 받지는 못했으며, 특히 동부 지역 군정관인 C. 오두메그우 오주쿠는 이에 반발했다.
3. 3. 나이지리아 내전
나이지리아 내전이 발발했을 때, 무하메드는 새로 창설된 제2보병사단의 사령관을 맡았다.[15] 제2사단은 나이지리아 중서부 지역에서 비아프라군을 몰아내고, 나이저강을 건너 Nsukka와 Enugu에서 진격해 오던 제1사단과 합류하는 임무를 받았다. 하지만 이 목표는 나이저강 도하 작전에서 여러 차례 실패하며 수천 명의 병사가 익사하거나 적의 총에 맞아 사망한 후에야 겨우 달성할 수 있었다.무하메드는 사령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여러 부적절한 행위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는다. 당시 그의 밑에서 복무했던 이숄라 윌리엄스 중위는 무하메드가 비아프라 전쟁 포로에 대한 즉결 처형을 명령했다고 주장했다.[18] 이 시기 무하메드가 이끌던 제2사단의 행적, 특히 아사바에서의 행동은 많은 논란을 낳았다. 2017년에 출판된 S. 엘리자베스 버드와 프레이저 오타넬리의 책에서는 무하메드 지휘 아래 있던 제2사단 병사들이 1967년 아사바에서 민간인을 대량 학살했다고 기록했다. 이 책은 학살로 이어진 사건들, 이것이 아사바와 전쟁 전반에 미친 영향, 그리고 제2사단 병사들이 오니차와 이셰구 등 다른 지역에서 저지른 민간인 학살 사건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19]
1968년 4월 대령으로 진급했으며,[15] 같은 해 6월에는 지휘관직에서 물러나 라고스로 전출되어 통신감찰관으로 임명되었다.
3. 4. 합동 참모대학
1970년부터 1971년까지 영국에서 합동 참모대학에 다녔다.[20] 당시 그의 지도교수는 보고서에서 그를 '빠르고 민첩한 사고, 상당한 능력 및 상식을 갖춘 인물'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20] 그러나 동시에 지도교수는 그가 강한 견해를 솔직하게 제시하는 반면, 자신의 의견을 조절하거나 다른 견해를 가진 사람들과 토론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는다고 지적하기도 했다.[15] 참모대학 과정을 마친 후, 1971년 10월 준장으로 진급했다.4. 정치 경력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군 복무 중이던 1974년, 야쿠부 고원 정권 하에서 연방 통신 위원으로 임명되며 처음으로 정치적 역할을 맡았다.[21][22] 당시 나이지리아는 석유 붐을 맞고 있었고, 그는 통신 인프라 개발을 감독하는 임무를 수행했다.[22]
그러나 야쿠부 고원 정권의 부패와 비아프라 전쟁 이후 군 내부의 불만이 커지면서[24], 모하메드는 동료 장교들과 함께 1975년 7월 29일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야쿠부 고원을 축출하고 새로운 국가 원수로 취임했다.[24] 그는 올루세군 오바산조, 테오필루스 단주마 등과 함께 최고 군사 평의회를 구성하여 국가를 통치했다.
국가 원수로서 모하메드는 짧은 기간 동안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국가 운영 전반에 걸쳐 변화를 시도했다. 그는 이전 정권과의 단절을 선언하며 대대적인 공직 사회 숙청을 단행했고[15][28], 행정 구역 개편 및 수도 이전 계획[29] 등 국가 구조 개혁을 추진했다. 경제적으로는 인플레이션 억제와 민간 부문 활성화에 중점을 둔 정책을 펼쳤으며[38], 외교적으로는 '나이지리아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비동맹 운동 노선에서 벗어나 보다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특히 앙골라 내전 개입은 이러한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다.[38] 그의 결단력 있는 정책 추진은 대중적인 지지를 얻기도 했으나[26], 동시에 정책의 즉흥성과 숙청 과정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했다.[27][15]
4. 1. 연방 통신 위원 (1974-1975)
1974년 8월 7일, 당시 국가 원수였던 야쿠부 고원은 무르탈라 모하메드를 새로운 연방 통신 위원으로 임명했다.[21][22] 이 직책은 라고스 아파파에 위치한 육군 통신 본부에서 통신 감찰관으로서의 군사 임무와 함께 수행하는 것이었다.[21] 당시 나이지리아는 석유 붐을 겪고 있었으며, 모하메드는 이 시기에 국가의 통신 인프라를 비용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다.[22]4. 2. 1975년 쿠데타와 국가 원수 취임
1975년 7월 29일, 야쿠부 고원 장군이 우간다 캄팔라에서 열린 제12차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 정상 회담에 참석하던 중 쿠데타가 발생하여 실각했다. 이 쿠데타는 준장 무르탈라 모하메드가 주도했으며, 그는 새로운 군사 국가 원수로 권력을 잡았다.[24] 모하메드는 올루세군 오바산조 준장을 최고 군사 본부 참모총장으로, 테오필루스 단주마 준장을 나이지리아 육군 참모총장으로 각각 임명했다. (두 사람은 나중에 중장으로 진급했다.)무르탈라 모하메드는 이전 고원 정권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존슨 아구이이-이론시 정권에도 비판적이었다. 1966년 7월 29일, 아베오쿠타 병영의 북부 출신 병사들이 이보족 출신 이론시 정권에 반발하여 쿠데타를 모의했는데, 이때 모하메드도 관여했다. 당시 북부 분리 독립안도 고려되었으나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채택되지 않았고, 결국 고원 중령을 최고 사령관으로 추대하는 형태로 쿠데타가 실행되었다. 모하메드는 자신이 지도자가 되기를 원했지만, 고원이 상급자였고 미국과 영국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그는 쿠데타 후 중령으로 승진하여 통신 감찰관(Inspector of Signals)에 임명되었다.
비아프라 전쟁 당시 제2사단장이었던 모하메드는 아사바에서의 민간인 학살 의혹과 나이저강 도하 작전 실패 등으로 논란을 겪었으며, 이후 사령관직에서 해임되기도 했다. 전쟁 후 통신 감찰관으로 복귀했지만, 고원 정권의 부패가 심화되고 군 내부에서 비아프라 전쟁 승리에 기여한 장교들에 대한 처우 불만이 커지자, 오바산조, 단주마 등 동료 장교들과 함께 쿠데타를 계획하게 되었다. 그들은 자신들이 고원 정권보다 더 잘 통치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24]
국가 원수가 된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대중적인 정책을 펼쳐 인기를 얻었으며, 그의 결단력은 높이 평가받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그가 위선적이었고 부패는 여전히 계속되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24] 취임 직후 그는 북부 편향적이라는 비판을 받은 1973년 인구 조사 결과를 폐기하고 1963년 수치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고원 정권과의 연계를 끊고 정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연방 및 주 정부의 고위직을 대거 교체했다. 이 과정에서 1만 명이 넘는 공무원과 군 장교들이 해고되었으며, 일부는 재판에 회부되기도 했다. 해고된 이들은 연금 등도 받지 못했다. 이러한 숙청은 행정, 사법, 군, 경찰, 외교, 공기업, 대학교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이루어졌다.
새로운 연방 집행 평의회(내각)에는 25개 장관직 중 12개가 민간인에게 할당되었으나, 실질적인 권한은 군 장성들로 구성된 최고 군사 평의회에 있었다. 모하메드는 연방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 주 정부의 독자적인 권한 행사를 제한했다. 새롭게 임명된 군정 주지사들은 최고 군사 평의회에는 참여하지 못했지만, 모하메드의 정책을 충실히 이행했다. 연방 정부는 두 개의 주요 신문을 접수하여 어용 신문으로 만들고 대학교들도 연방 정부의 통제하에 두었다.
경제적으로는 제3차 국가 개발 계획을 수립했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통화 공급량을 줄이고, 비효율적인 공기업 운영을 개선하는 대신 사기업 활동을 장려하고자 했다. 외교적으로는 '나이지리아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이전의 비동맹 외교 노선에서 벗어났다. 특히 앙골라 내전 문제에서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졌다. 미국이 쿠바와 소련의 앙골라 해방 인민 운동(MPLA) 지원을 비판하는 상황에서, 모하메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앙골라 완전 독립 민족 동맹(UNITA) 지원을 문제 삼으며 1975년 말 MPLA에 대한 지지를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이는 미국과의 관계 변화를 가져왔다.[38]

4. 3. 개혁 정책
1975년 7월 29일 쿠데타로 집권한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국민 여러분"과 "즉시"라는 구호를 내세워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25] 그의 단호한 정책 추진 방식은 그를 민중 영웅으로 만들었지만[26], 준비나 재원 부족 없이 즉흥적으로 정책을 발표하는 방식은 고위 공무원들 사이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27]그의 주요 개혁 정책은 다음과 같다.
- 행정 및 인사 개혁: 이전 야쿠부 고원 정권과의 연결 고리를 끊고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연방 및 주의 주요 관료들을 교체했다. 또한, 북부 지역에 편중되었다는 비판을 받은 1973년 인구 조사 결과를 폐기하고 1963년 수치를 공식 통계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 공직 사회 숙청: 규율 해이와 목적의식 부족을 이유로 공직 사회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을 단행했다.[15] 1만 명이 넘는 공무원 및 정부 직원이 연금 등의 혜택 없이 해고되었는데, 해고 사유는 주로 연령, 건강, 무능, 부정부패 등이었다.[28] 이 숙청은 행정, 사법, 군, 경찰, 외교, 공기업, 대학교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쳤으며[28], 일부는 부패 혐의로 재판에 넘겨지거나 처형되기도 했다.[28] 그러나 숙청 과정에서 개인적인 악감정이나 복수심이 작용했다는 의혹과 함께, 해고 사유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부족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5]
- 군 개혁: 나이지리아 내전 이후 25만 명까지 비대해진 군 병력을 15만 명 수준으로 감축하고, 군 장교들에 대한 재편성 및 무장 해제를 추진했다.[23]
- 언론 및 교육 통제: 나이지리아의 주요 신문인 데일리 타임스와 뉴 나이지리안(New Nigerian)을 연방 정부 소유로 국유화했으며, 이를 통해 사실상 모든 언론을 정부 통제하에 두었다.[29] 또한, 각 주에서 운영하던 주립 대학들도 연방 정부의 관리하에 편입시켰다.[29]
- 행정 구역 개편: 1976년 2월 3일, 바우치(Bauchi), 베누에(Benue), 보르노(Borno), 이모(Imo), 니제르(Niger), 오군(Ogun), 온도(Ondo) 등 새로운 주를 창설하여 나이지리아의 총 주 개수를 19개로 늘렸다.[30]
- 수도 이전 계획: 기존 수도인 라고스의 과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연방 수도 건설을 추진했다. 아키놀라 아구다(Akinola Aguda) 판사를 위원장으로 하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후보지를 물색했고, 최종적으로 국가 중앙부에 위치한 약 8000km2 면적의 아부자 지역을 새로운 수도로 선정하여 1976년 2월 3일에 이를 공식 발표했다.[29]
- 경제 정책: 제3차 국토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통화 공급량을 줄이는 한편, 공기업의 활동을 억제하고 사기업 부문의 활성화를 장려하는 정책을 펼쳤다.
연방 집행 평의회의 25개 장관직 중 12개는 민간인에게 할당되었으나, 실질적인 권한은 군 장성들로 구성된 최고 군사 평의회에 있었다. 무하마드는 연방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는 동시에, 이전에 주에 위임되었던 일부 권한을 회수하기도 했다.
4. 4. 경제 정책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국가 원수로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천연가스 자원을 물려받았으나, 1975년에는 세계적인 수요 감소, 높은 부품 비용 및 인건비로 인해 석유 생산량이 줄어드는 문제에 직면했다. 이는 군사 정부가 계획했던 1975년 나이지리아 개발 계획을 위한 예상 자금 부족을 의미했다.이러한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모하메드는 제3차 국토 개발 계획을 수립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을 심각하게 우려하여 이를 억제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했다. 주요 방안으로는 통화 공급량을 줄이고, 공기업의 지출을 억제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동시에 민간 부문의 활성화를 주장하며 사기업 육성에도 관심을 보였다.
외교 경제 정책 측면에서는 '나이지리아 우선'을 내걸었으며, 이는 석유 수출국 기구(OPEC)와의 협조 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때로는 긴장을 유발하기도 했다[38].
4. 5. 외교 정책
외교 정책에서는 '나이지리아 우선주의'를 내세웠으며, 석유 수출국 기구(OPEC)의 협조에 위협을 가했다. 비동맹 외교 노선을 포기하고, 특히 앙골라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쿠바와 소련의 지원을 받는 세력을 비난하던 미국과의 관계 변화를 가져왔다. 당시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는 앙골라 내전의 여러 세력 간 평화 협상을 중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권 하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앙골라 완전 독립 민족 동맹(UNITA)을 지원하는 것을 문제 삼아, 1975년 말 소련과 쿠바의 지원을 받던 앙골라 해방 인민 운동(MPLA)에 대한 지지를 공식적으로 표명했다.[38]5. 암살과 유산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1976년 2월 13일 라고스에서 발생한 쿠데타 시도 중에 암살되었다. 이 사건 이후 올루세군 오바산조가 국가 원수직을 승계했다. 비록 짧은 통치 기간이었지만, 그의 이름은 나이지리아의 20 나이라 지폐와 라고스의 무르탈라 모하메드 국제공항 등에 남아 오늘날까지 기억되고 있다.
5. 1. 암살 (1976년 2월 13일)


1976년 2월 13일, 모하메드는 평소처럼 라고스의 조지 스트리트를 따라 출근하고 있었다. 오전 8시 직후, 그의 메르세데스-벤츠 차량이 라고스 이코이에 있는 연방 사무국 근처에서 교통 체증으로 천천히 이동하던 중, 부카 수카 딤카 중령이 이끈 군인들이 인근 주유소에서 나와 차량을 매복 공격하여 모하메드를 암살했다.[32]
당시 37세였던 모하메드는 그의 부관인 아킨툰데 아킨세힌와 중위와 함께 검은색 메르세데스 벤츠 세단 안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일한 경호 수단은 부관이 소지한 권총뿐이었기 때문에 암살은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졌다.[33][34] 이 암살은 딤카가 주도한 쿠데타 시도의 일부였다.
쿠데타 시도는 올루세군 오바산조 등에 의해 곧 진압되었고, 딤카 중령을 포함한 주모자들은 반역죄로 기소되어 1976년 5월 15일에 처형되었다.[33][34] 당시 영국 워릭 대학교에 유학 중이던 전 국가원수 야쿠부 고원 역시 쿠데타 연루 혐의를 받았다. 모하메드의 뒤를 이어 오바산조가 정권을 인계받았다.
모하메드가 암살당했을 때 탔던 차량은 라고스의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유리에 남은 총탄 자국도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5. 2. 유산
오늘날 무르탈라 모하메드의 초상은 20 나이라 지폐에 사용되고 있으며, 라고스의 무르탈라 모하메드 국제공항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5] 그가 1976년 2월 13일 암살 당시 탔던 메르세데스-벤츠 리무진은 라고스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차량 유리에는 당시의 총탄 자국이 그대로 남아 있다.6. 가족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아조케와 결혼하여 여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9] 자녀는 아이샤, 자카리 (사망), 파티마, 아바 (리스콰로도 알려짐), 젤리하, 그리고 줌마이이다.[36] 자녀 중 아바 모하메드는 올루세군 오바산조 대통령 시절 민영화 특별 보좌관을 지냈다.[37]
7. 서훈
무르탈라 모하메드는 여러 상과 훈장을 받았다. 알파벳 순으로 다음과 같다.
- 포스 서비스 스타(Forces Service Star, FSS)
포스 서비스 스타(나이지리아) - 일반 봉사 메달(General Service Medal, GSM)
일반 봉사 메달(나이지리아) - 공로 봉사 스타(Meritorious Service Star, MSS)
- 국가 봉사 메달(National Service Medal, NSM)
국가 봉사 메달(나이지리아) - 공화국 메달(Republic Medal, RM)
참조
[1]
웹사이트
MRS. Ajoke Muhammed- Vice Chairman
http://mmfnigeria.or[...]
[2]
웹사이트
Nicknames, Slogans, Local and Operational Names Associated with the Nigerian Civil War
https://www.dawodu.c[...]
2021-09-06
[3]
웹사이트
Collections Online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4]
웹사이트
Nigeria: General Murtala Ramat Muhammad - 44 Years After
https://allafrica.co[...]
2020-02-20
[5]
웹사이트
Olusegun Obasanjo {{!}} president of Nigeria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3-25
[6]
웹사이트
Dailytrust News, Sports and Business, Politics {{!}} Dailytrust
https://dailytrust.c[...]
2022-06-11
[7]
웹사이트
Interview:Why Fulani leaders dominate in Northern Nigeria and why they speak Hausa Language by Murtala Muhammed's cousin
https://www.premiumt[...]
2017-12-16
[8]
서적
History and Genealogy of the Genawa
Kurawa Holdings
[9]
웹사이트
General Murtala Muhammed Biography: Former Military Head of State
https://nigerianinfo[...]
2022-03-27
[10]
웹사이트
The true Origin of General Murtala Mohammed by Adnan Bawa Bello
https://stalliontime[...]
2020-11-11
[11]
서적
The Hurricane:General Murtala Muhammed
Topseal Communications
[12]
웹사이트
Remembering murtala ramat muhammed: A Fulani Nigerian
https://dailytrust.c[...]
2020-02-16
[13]
웹사이트
late General Murtala Muhammed, 44 years after (Full biography), by Bernice Eke
https://neptuneprime[...]
2020-05-29
[14]
서적
Makers of Modern Africa: Profiles in History
Africa Journal Limited
[15]
서적
Nigerian heroes.
Federal Dept. of Information
1982
[16]
웹사이트
MURTALA RAMAT MUHAMMED
https://dawodu.com/m[...]
2019-03-02
[17]
웹사이트
allAfrica.com: myAfrica
http://myafrica.alla[...]
2020-05-29
[18]
서적
Oil, Politics and Violence: Nigeria's Military Coup Culture (1966 - 1976)
Algora
[19]
문서
The Asaba Massacre: Trauma, Memory and the Nigerian Civil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Which military regimes in Nigeria played a prominent role In the liberation of colonized African...
https://myschool.ng/[...]
2020-05-29
[21]
웹사이트
General Muritala Rufai Ramat Mohammed
https://steemit.com/[...]
2020-05-29
[22]
웹사이트
General Murtala Mohammed – 4TH HEAD OF STATE OF NIGERIA (1975 – 1976)
https://www.glimpse.[...]
2020-05-29
[23]
서적
Concord Weekly Issues 22-44
Concord Press of Nigeria
[24]
서적
The Inaugural Addresses and Ascension Speeches of Nigerian Elected and Non-elected presidents and prime ministers from 1960-2010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5]
문서
Romancing the Gun: The Press as a Promoter of Military Rule
Africa Research & Publications
[26]
서적
Third World Politics: An Introduction
Routledge
[27]
웹사이트
Nigeria: The story of Murtala Muhammed who ruled 'with immediate effect'
https://www.theafric[...]
2022-01-22
[28]
웹사이트
Nigeria - The Regime of Murtala Muhammad
http://countrystudie[...]
2022-01-22
[29]
뉴스
Murtala Muhammed's 198 days of action
https://www.vanguard[...]
Vanguard News
2019-01-21
[30]
웹사이트
How Nigeria got to 36 States[Timeline of State creation in Nigeria]
https://oldnaija.wor[...]
2018-08-02
[31]
웹사이트
The mining industry of Nigeria
http://images.librar[...]
[32]
서적
Oil, Politics and Violence: Nigeria's Military Coup Culture (1966-1976 )
[33]
웹사이트
How Dimka, co-plotters were tried, executed for treason
http://nationalmirro[...]
2015-01-05
[34]
웹사이트
Murtala would have transformed Nigeria if he hadn't been killed – Ibrahim, brother
https://punchng.com/[...]
2022-08-26
[35]
웹사이트
The Assassination of Murtala Mohammed February 13 1976
http://www.newnigeri[...]
2020-05-29
[36]
웹사이트
12 interesting facts about murtala mohammed you should know
http://www.informati[...]
2015-02-13
[37]
웹사이트
RISQUA: My Father Was Selfless, He Never Owned A House
https://guardian.ng/[...]
2016-02-14
[38]
간행물
MOHAMMED Murtala (1938-1976)
Biographical Legacy and Research Foundation
2017-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