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이스카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이스카인은 콜롬비아의 안데스 산맥에 거주했던 농경 사회로, 기원전 1000년경부터 16세기 스페인 정복 이전까지 쿤디보야카 고원을 중심으로 무이스카 연맹을 형성했다. 그들은 농업, 금속 공예, 직조 기술이 발달했으며, 에메랄드, 소금, 금 등을 교역하며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무이스카는 태양신 수에와 달의 여신 치아를 숭배하며 독자적인 종교 의식을 행했고, 미라 제작, 금세공 등의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16세기 스페인 정복으로 연맹은 멸망했지만, 그들의 문화는 콜롬비아의 정체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메리카의 원주민 - 차루아족
    차루아족은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지역에 거주하며 스페인 정복에 저항하다가 살시푸에데스 학살로 멸망했지만, 후손들은 민족적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 남아메리카의 원주민 - 와라오족
    베네수엘라 오리노코 삼각주에 거주하는 와라오족은 독특한 수상 생활 방식으로 카누를 이용하며 어업과 원예로 생계를 유지하지만, 외부 세계와의 제한적 교류와 베네수엘라 위기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선콜럼버스 시대의 문화 - 톨텍
    톨텍은 멕시코 중부에서 번성했던 문화로, 툴라를 중심으로 흑요석 산업과 믹스텍-푸에블라 양식 등을 발전시켰으며, 아즈텍은 톨텍을 문명의 창시자로 숭배했다.
  • 선콜럼버스 시대의 문화 - 클로비스 문화
    클로비스 문화는 약 13,000년 전 북아메리카에 존재했으며 홈이 파인 첨두기 석기 도구를 사용하고 매머드와 같은 대형 동물 사냥에 능숙했던 고고학 문화로, 한때 북미 최초 거주민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아메리카 대륙 초기 인류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콜롬비아의 역사 - 그란콜롬비아
    그란 콜롬비아는 시몬 볼리바르가 베네수엘라, 누에바그라나다, 키토를 통합하려 했던 공화국으로, 쿠쿠타 헌법을 통해 공식 출범했으나 내부 갈등으로 인해 1830년 해체되었다.
  • 콜롬비아의 역사 - 바나나 학살
    바나나 학살은 1928년 콜롬비아에서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 노동자들의 파업 진압 과정에서 콜롬비아 군대가 발포하여 다수의 사상자를 낸 사건으로, 불공정한 노동 조건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되었으며 콜롬비아 정치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무이스카인
기본 정보
황금 박물관, 보고타 (36145671394).jpg
무이스카 뗏목(기원후 1200–1500년)
과타비타 호에서 새로운 zipa의 즉위식을 묘사함
현지어 이름 (언어)cba
위치Altiplano Cundiboyacense,
인구14,051명 (2005년 센서스)
추정 인구 (치브차 메스티소)약 10,000,000명
언어치브차어, 콜롬비아 스페인어
종교무이스카 종교, 가톨릭교
관련 민족Guane
Lache
U'wa
Tegua
Guayupe
Sutagao
Panche
Muzo
면적

2. 역사

무이스카의 역사는 크게 선사 시대, 무이스카 연맹 시대,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독립 이후 시대로 나눌 수 있다.

1450년 이전의 역사는 주로 신화적인 기록에 의존하지만, '서인도 제도 연대기' 덕분에 스페인 도착 이전 마지막 시기의 역사를 알 수 있다. 무이스카 신화는 서인도 제도의 연대기에 기여한 많은 작가들이 보고타를 기반으로 활동하면서 잘 기록되었다. 무이스카 영토는 누에바 그라나다 식민 행정부의 중심지가 되었다.

무이스카 도자기 조각상

2. 1. 선사 시대 및 에레라 시대

쿤디나마르카-보야카 고원(쿤디나마르카 주와 보야카 주)의 발굴 조사는 홀로세 시대 초기의 고고 시대부터 인간 활동의 증거를 보여준다. 콜롬비아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고고학 유적지 중 하나인 엘 아브라를 가지고 있으며, 그 연대는 약 13,000년 전으로 추정된다. 쿤디나마르카-보야카 고원 지역의 다른 고고학적 흔적들은 학자들이 엘 아브라 문화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이끌었다.

암각화 엘 아브라 (~기원전 11,000년)


티비토에서는 도구 및 기타 석기 유물이 기원전 974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보고타 사바나, 특히 테켄다마 폭포에서는 수천 년 후에 발견된 전문 사냥꾼에 속하는 다른 석기 도구들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5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인간 골격이 발견되었고, 분석 결과 그들이 엘 아브라 문화의 구성원이었음이 밝혀졌다.

선사 시대 및 에레라 시대 유적
유적지연대
엘 아브라기원전 10,560년 ~ 기원전 10,140년
티비토기원전 9,850년 ~ 기원전 9,650년
수에바기원전 9,180년 ~ 기원전 9,000년
P. 델 툰호기원전 9,000년 ~ 기원전 8,900년
테켄다마기원전 9,100년 ~ 기원후 1537년
체쿠아기원전 6,500년 ~ 기원전 1,000년
갈린도기원전 6,800년 ~ 기원전 6,700년
아구아수케기원전 3,000년 ~ 기원전 700년
시파키라기원전 3,140년 ~ 기원후 2016년
치아기원전 3,140년 ~ 기원후 2016년
엘 인피에르니토기원전 500년 ~ 기원전 400년
에레라 호수기원전 1,400년 ~ 기원전 1,300년
BD 바카타기원후 2016년 ~ 기원후 2025년



선사 시대부터 엘레라기 유적인 엘 아브라 유적이 발견되었다. 이 유적은 사암으로 만들어진 수렵 채집 문화의 유적으로, 암각화가 발견되었다.

2. 2. 무이스카 연맹 시대

무이스카족은 각 주가 주권을 유지하는 느슨한 연합인 연맹으로 조직되었다. 이 연맹은 절대 군주가 없었기에 왕국이 아니었고, 다른 민족이나 종족을 지배하지 않았기에 제국도 아니었다. 아즈텍이나 잉카 제국과 같은 다른 아메리카 문명과 비교하기는 어렵고, 아카이아 동맹과 같은 국가 연맹과 더 유사했다. 무이스카 연맹은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크고 잘 조직된 부족 연맹 중 하나였다.[5]

연맹 내의 모든 부족은 족장 또는 ''카시케''가 통치했다. 대부분의 부족은 같은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고, 무역을 통해 관계를 형성하는 무이스카 민족에 속했다. 그들은 공통의 적에 맞서 연합했다. 군대는 ''zipa'' 또는 ''zaque''의 책임이었으며, 무이스카의 전통적인 고대 전사들인 ''궤체스''로 구성되었다.

무이스카 연맹은 ''zipa''가 이끄는 남부 연맹(수도는 바카타, 현재 보고타)과 '자케'가 통치하는 북부 영토(수도는 오늘날 툰하로 알려진 훈자)의 연합으로 존재했다. 두 지역은 공통적인 정치적 관계와 친밀성을 가지고 있었고 같은 부족 국가에 속했지만, 여전히 그들 사이에 경쟁이 있었다. 영토 중에는 바카타, 훈자, 두이타마, 소가모소의 4개의 족장 국가가 있었고, 족장 국가는 지역으로 구성되었다.[6] 부족은 ''카피타니아''(카피탄이 통치)로 나뉘었는데, ''대 카피타니아''(sybyn)와 ''소 카피타니아''(uta')의 두 종류가 있었다. ''카피탄''의 지위는 모계 혈통에 의해 상속되었다.[6]

:연맹(''zipa'' 또는 ''zaque'')

::→ 사제 (이라카)

:::→ 족장 국가 (카시케)

::::→ ''카피타니아'' (카피탄)

:::::→ 시빈

::::::→ 우타

  • '''zipa의 영토'''

바카타 통치푸사수사가 구역우바테 구역과타비타 구역


  • '''zaque의 영토'''

훈자 통치툰다마의 영토수가묵시의 영토


  • '''자치 족장 국가'''



무이스카의 법률은 관습법이었는데, 즉, 그들의 법치는 ''zipa'' 또는 ''zaque''의 승인을 받은 오랜 관습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법률은 연맹 시스템에 적합했으며, 잘 조직되어 있었다. 천연 자원은 사유화될 수 없었고, 숲, 호수, 고원, 강 및 기타 천연 자원은 공유 재산이었다.

2. 2. 1. 주요 통치자

바카타의 지파훈자의 자케


2. 2. 2. 스페인의 침략과 멸망

1450년까지의 사건에 대한 지식은 주로 신화에서 나오지만, 다행히도 ''서인도 제도 연대기'' 덕분에 스페인 도착 이전 무이스카 역사의 마지막 시기에 대한 묘사를 얻을 수 있다.

사구아만치카(1470년부터 1490년까지 통치)는 수타가오와 같은 공격적인 부족, 특히 판체와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는데, 이들은 그의 후계자인 네메케네와 티스케수사에게도 어려움을 안겨주었다. 카리브족 역시 훈자의 ''자케''의 경쟁자로서, 특히 지파키라, 네모콘 및 타우사의 소금 광산 소유권을 놓고 영구적인 위협이 되었다.

16세기 초 "황금의 땅"을 뜻하는 스페인어 ''El Dorado'' 전설의 기원은 무이스카 연맹에서 시작되었을 수 있다. ''치파''는 과타비타 여신에게 금과 다른 보물을 바쳤다. 이를 위해 ''치파''는 온몸에 금가루를 뒤덮고 호수에서 씻어내면서 금 장신구를 물속에 던졌다. 이 전통은 카리브해까지 연맹 밖에서도 잘 알려져 있었다. 스페인 사람들은 존재하지 않는 "황금 도시"에 대한 이야기에 매료되었다. 원주민들은 종종 탐욕스러운 스페인 사람들을 다른 사람들을 가리키면서 그들을 쫓아냈다. 과타비타 호수는 정복자들에 의해 탐사되었는데, 그들은 ''치파''가 여신에게 바치는 금 공물을 찾고 있었다. 이 전설은 점점 커져서 이 용어는 막대한 부를 찾거나 만들 수 있는 모든 장소를 비유하는 용어가 되었다.

스페인인들은 콜롬비아의 중심부를 정복하면서 사케와 치파 사이의 경쟁 관계를 이용했다. 세바스티안 데 벨라르카사르, 곤잘로 히메네스 데 케사다, 니콜라스 데 페데르만과 같은 이들은 엘도라도를 찾는데 관심을 갖고 쿤디나마르카주보야카주의 비옥한 평원을 발견했다. 스페인인들의 등장은 두 군주에게, 만약 연합을 한다면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었다. 그러나 스페인인들이 승리했다.

지도자들과 백성들의 반발은 연합의 운명을 바꾸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못했다. 스페인인들은 마지막 무이스카 군주인 사기파와 아키민자케를 각각 1539년과 1540년에 처형했다. 1542년 곤잘로 수아레스 렌돈은 마침내 마지막 저항을 진압했고 연합의 영토는 벨라르카사르, 페데르만, 그리고 데 케사다에 의해 분할되었다. 이후 스페인 왕실은 데 케사다를 "산타페와 툰하의 의회의 아델란타도"라는 직함으로 임명했다.

2. 3. 식민지 시대와 독립 이후

스페인인들은 콜롬비아의 중심부를 정복하면서 사케와 치파 사이의 경쟁 관계를 이용했다. 세바스티안 데 벨라르카사르, 곤잘로 히메네스 데 케사다, 니콜라스 데 페데르만과 같은 이들은 엘도라도를 찾는 데 관심을 갖고 쿤디나마르카주보야카주의 비옥한 평원을 발견했다. 스페인인들의 등장은 두 군주에게 연합하여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었으나, 결국 스페인인들이 승리했다.[14]

지도자들과 백성들의 반발은 연합의 운명을 바꾸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못했다. 스페인인들은 마지막 무이스카 군주인 사기파와 아키민자케를 각각 1539년과 1540년에 처형했다. 1542년 곤잘로 수아레스 렌돈은 마지막 저항을 진압했고 연합의 영토는 벨라르카사르, 페데르만, 데 케사다에 의해 분할되었다. 이후 스페인 왕실은 데 케사다를 "산타페와 툰하의 의회의 아델란타도"라는 직함으로 임명했다.

누에보 레노 데 그라나다 지도 (1625)


무이스카 구조가 스페인 정복으로 사라지면서, '자케'와 '지파' 연맹의 영토는 아메리카 스페인 식민지 내 새로운 정치적 구획에 포함되었다. 콜롬비아 안데스 산맥의 비옥한 평원에 위치하여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발전된 문명 중 하나를 이루는 데 기여한 무이스카의 영토는 누에보 레노 데 그라나다라는 식민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페드로 데 아과도와 루카스 페르난데스 데 피에드라히타와 같은 스페인 저술가들은 무이스카 문화에 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했다. 부왕 시대는 보고타의 중요성에 기여했으며, 이 지역 사람들은 독립과 공화국 통합을 위한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무이스카족 (1882년)


1810년 독립 이후, 새로운 국가는 많은 원주민 보호 구역을 해체했다. Tocancipá의 보호 구역은 1940년에 해체되었고,[14] Sesquilé의 보호 구역은 원래 크기의 10%로 축소되었다. Tenjo는 1934년 이후 원래 크기의 54%로 축소되었으며, 오늘날 보고타 북부 지역인 Suba의 원주민 토지는 왕실에서 인정하고 보호했지만, 공화 정부에 의해 몰수되었다. 이는 국가 최대 도시 중심지에서 원주민 문화와 민족의 존재를 억압하는 전략의 일환이었다. Cota의 보호 구역은 1916년 지역 사회가 매입한 토지에 재설립되었고, 1991년 헌법에 의해 인정받았지만, 1998년 국가에 의해 인정이 철회되었다가 2006년에 복원되었다.

1948년, 국가는 옥수수를 기반으로 한 알코올 음료인 chicha의 생산을 금지했다.[15] 이것은 무이스카 문화와 경제에 큰 타격이었다. 이 금지령은 1991년까지 유지되었다. 그 이후, "치차, 옥수수, 삶, 그리고 기쁨의 축제"가 매년 보고타의 Barrio La Perseverancia에서 열리고 있는데, 이곳은 치차가 가장 많이 생산되는 지역이다.

1989년 이후 무이스카 문화의 생존 구성원들에 의한 원주민 의회의 재건 과정이 진행되었다. 현재 활동 중인 무이스카 의회는 수바, 보사, 코타, 치아, 세스키레이다. 이 의회는 2002년 9월 20일부터 22일까지 보사에서 "무이스카 민족 제1차 총회"라는 회의를 열었다. 그 회의에서 그들은 콜롬비아 전국 원주민 기구(ONIC)에 가입된 무이스카 민족 대의회를 설립했다.[16] 그들은 언어 및 문화 회복, 타인에 의해 현재 점유된 영토 방어, 도시 및 관광 계획 제안을 제안했다. 그들은 우바테, 토칸시파, 소아차, 라키라, 텐호 지역 사회가 조직 및 인권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지원한다.

수바의 무이스카 민족은 티바부예스 습지의 고갈에 반대했고, 후안 아마릴로 습지를 회복하고자 했다. 그들은 피난처 의회가 공동 토지로 간주하는 수바 언덕의 일부인 '라 코네헤라'와 같은 자연 보호 구역을 옹호했다. '수아티' 잡지('태양의 노래')는 무이스카 문화에 대한 시, 문학, 에세이를 싣는 출판물이다.

보사 지역 사회는 바오로 6세 병원 및 보고타 지구 보건부와 연계하여 천연 의약품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코타 지역 사회는 퀴노아 재배를 재도입했고, 시장에서 정기적으로 그들의 제품을 교환한다.

2006년 말 무이스카 인구에 대한 보고서는 다음과 같다.

지역인구
코타, 치아, 세스키레2,318명
수도 지구5,186명
수바와 보사 지역1,573명



이 보고서는 고대 무이스카 연맹 전체 영토 내 또는 그 영토 밖의 무이스카 민족 인구수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무이스카 크리올, 즉 무이스카 혼혈 인물은 포함하지 않는다.

3. 정치 및 사회 조직

무이스카족은 각 주가 주권을 유지하는 느슨한 연맹으로 조직되었다. 이 연맹은 절대 군주가 없었기에 왕국이 아니었고, 다른 민족이나 종족을 지배하지 않았기에 제국도 아니었다. 무이스카 연맹은 아즈텍이나 잉카 제국과 같은 다른 아메리카 문명과 비교하기는 어렵고, 아카이아 동맹과 같은 국가 연맹과 더 유사했다. 무이스카 연맹은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크고 잘 조직된 부족 연맹 중 하나였다.[5]

연맹 내의 모든 부족은 족장 또는 ''카시케''가 통치했다. 대부분의 부족은 같은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고, 무역을 통해 관계를 형성하는 무이스카 민족에 속했다. 그들은 공통의 적에 맞서 연합했다. 군대는 ''zipa'' 또는 ''zaque''의 책임이었고, 무이스카의 전통적인 고대 전사들인 ''궤체스''로 구성되었다.

무이스카 연맹은 두 개의 소규모 연맹의 연합으로 존재했다. ''zipa''가 이끄는 남부 연맹은 바카타(현재 보고타)에 수도를 두었다. 이 남부 정체는 무이스카 인구의 대다수를 포함하고 있었고 더 큰 경제력을 가지고 있었다. 북부 영토는 ''자케''가 통치했으며, 오늘날 툰하로 알려진 훈자에 수도를 두었다. 두 지역은 공통적인 정치적 관계와 친밀성을 가지고 있었고 같은 부족 국가에 속했지만, 여전히 그들 사이에 경쟁이 있었다. 영토 중에는 바카타, 훈자, 두이타마, 소가모소의 4개의 족장 국가가 있었으며, 족장 국가는 지역으로 구성되었다.[6] 부족은 ''카피타니아'' (카피탄이 통치)로 나뉘었다. 두 종류가 있었는데, ''대 카피타니아''(sybyn)와 ''소 카피타니아''(uta)였다. ''카피탄''의 지위는 모계 혈통에 의해 상속되었다.[6]

무이스카 사회의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

:연맹(''zipa'' 또는 ''zaque'')

::→ 사제 (이라카)

:::→ 족장 국가 (카시케)

::::→ ''카피타니아'' (카피탄)

:::::→ 시빈

::::::→ 우타

무이스카 연맹 영토; Zipa, Zaque, 그리고 독립 영토 표시


각 통치자의 영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통치자구역구성
zipa바카타 통치테우사키요, 텐호, 수바초케, 파카타티바, 타비오, 코타, 치아, 엔가티바, 우스메, 시파키라, 네모콘, 시파콘
푸사수사가 구역푸사수사가, 파스카, 티바쿠이
우바테 구역우바테, 쿠쿠누바, 시미하카, 수사
과타비타 구역가체타, 과타비타, 수에스카, 초콘타, 테우사카, 세스키레, 과스카, 소포, 우사켕, 투나, 수바
zaque훈자 통치소라카, 라미리퀴, 사마카, 마체타, 텐자, 티비리타, 렝구아사케, 투르메케
툰다마의 영토세린자, 오이카타, 온사가, 사티바노르테, 사티바수르, 소아타, 파이파, 토바시아
수가묵시의 영토부스반사, 토카, 페스카, 피스바, 토파가
자치 족장 국가: 차랄라, 치파타, 틴하카, 사보야, 타카스키라



무이스카의 법률은 관습법이었는데, 즉, 그들의 법치는 ''zipa'' 또는 ''zaque''의 승인을 받은 오랜 관습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법률은 연맹 시스템에 적합했으며, 잘 조직되어 있었다. 천연 자원은 사유화될 수 없었다. 숲, 호수, 고원, 강 및 기타 천연 자원은 공유 재산이었다.

4. 언어

'''치브차어'''는 '무이스카어', '모스카어', 또는 '무이스카 쿠분'이라고도 불리며, 치브차어족에 속한다. 이 언어는 중앙 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북부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타이로나 문화와 무이스카 문화와 관련된 우와는 유사한 언어를 사용하여 교역을 장려했다. 무이스카는 숫자를 표기하기 위해 상형 문자 형태를 사용했다.[7]

260px


많은 치브차어 단어들이 콜롬비아 스페인어로 흡수되거나 "차용"되었다.

  • 지리: 많은 지역 및 지역의 이름이 유지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스페인어가 산타페데보고타 (치브차어: "바카타")와 같이 치브차어와 스페인어를 조합하여 도시 이름을 지었다. 보야카 및 쿤디나마르카 주의 대부분의 자치체는 초콘타, 소가모소, 시파키라 등과 같이 치브차어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 쿠루바와 우추바와 같은 과일.
  • 관계: 막내는 ''쿠바''라고 불리며, 여자아이의 경우 ''치나''라고 불린다; ''무이스카''는 사람을 의미한다.


현재는 스페인어를 사용하지만, 과거에는 치브차어를 사용했다.[24] 그러나 18세기에는 사어가 되었다. 현재는 지명 등에 그 영향이 남아있다.

5. 경제

무이스카는 후기 고전 시대 아메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 및 사회를 가진 국가 중 하나였는데, 이는 주로 금과 에메랄드와 같은 지역의 귀중한 자원 덕분이었다. 스페인인들이 무이스카 영토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풍요로운 국가를 발견했으며, 무이스카 연맹은 다음 제품의 채굴을 통제하고 있었다.


  • 에메랄드: 콜롬비아는 세계 최대의 에메랄드 생산국이다.
  • 구리
  • 석탄: 석탄 광산은 오늘날에도 시파키라와 다른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다. 콜롬비아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석탄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8]
  • 소금: 네모콘, 시파키라, 타우사에서 광산이 가동되었다.
  • : 금은 다른 지역에서 수입되었지만, 무이스카 수공예품에 선호되는 재료가 될 정도로 풍부했다. 금으로 만든 많은 수공예품과 여신 과타비타에게 금을 바치는 ''zipa'' 전통은 ''엘도라도'' 전설에 기여했다.


무이스카는 지역 및 지역 시장에서 물물 교환 시스템을 통해 상품을 거래했다. 거래 품목은 기본적인 필수품에서 사치품까지 다양했다. 소금, 에메랄드, 석탄의 풍부함은 이러한 상품을 사실상의 통화 지위로 만들었다.

농업 사회를 발전시킨 무이스카인들은 고지대에서 계단식 농업과 관개 시설을 사용했다. 주요 생산물은 과일, 코카, 퀴노아, 유카, 감자였다.

또 다른 주요 경제 활동은 직조였다. 사람들은 매우 다양한 복잡한 섬유 제품을 만들었다. 학자 폴 반은 "안데스 문화는 현재 알려진 거의 모든 직물 직조 또는 장식 방법을 마스터했으며, 그들의 제품은 오늘날보다 더 훌륭한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9]

6. 문화



무이스카는 남아메리카 북부 안데스 산맥에 살았던 농경 및 도기 문명 사회였다. 스페인어로는 '문화 무이스카'(cultura muisca)라고 불린다. 그들의 정치적, 행정적 조직은 훌륭한 규율을 가진 굳건한 문화적 통일체를 형성할 수 있게 했다.

무이스카 문화는 콜롬비아 국가 정체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1450년까지의 사건에 대한 지식은 주로 신화적 맥락에서 파생되지만, 다행히도 ''서인도 제도 연대기'' 덕분에 스페인 도착 이전 무이스카 역사의 마지막 시기에 대한 묘사를 얻을 수 있다.

6. 1. 예술

무이스카인은 고도의 기술로 만들어진 금세공 예술로 유명하다. 수많은 황금 제품들은 보고타의 황금 박물관 등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황금 제품들은 아마존 오지에 황금향이 존재한다는 엘도라도 전설의 기원이 되었다.

선 콜롬비아 시대의 무이스카 문양은 쿤디보야센세 고원에 위치한 소포, 과타비타 등 현대 자치체의 다양한 문장에서 나타난다.[10][11] 쿤디나마르카에 남아있는 무이스카인 역시 자체 문장을 가지고 있다.[12]

6. 2. 스포츠

무이스카인은 의식의 일부로 특정 스포츠를 가지고 있었다. 투르메케(Turmeque) 게임은 테호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콜롬비아의 인기 스포츠로 남아있다.[10][11][12] 레슬링 경기 또한 중요했는데, 승자는 족장으로부터 정교하게 짠 면 담요를 받았으며 게차 전사 자격을 얻었다.

6. 3. 요리

무이스카 요리는 기니피그, 퀴노아, 옥수수와 같은 식재료를 사용했으며, 특히 옥수수는 중요한 식재료로 옥수수를 나타내는 단어가 많이 존재한다. 땅에 앉아 잎 위에 놓인 요리를 손으로 먹었다. 알코올 음료로는 치차가 있다.

6. 4. 건축

무이스카인들은 거대한 석조 구조물을 건설하지 않았다. 다른 아메리카 문화와 달리 풍부한 암석을 사용했음에도 기념비적인 유적을 남기지 않았다. 그들의 집은 점토, 갈대, 나무와 같은 재료로 지어졌으며, 원뿔형이었다. 보고타의 창립자인 곤살로 히메네스 데 케사다는 이 지역을 "궁전 계곡"이라고 부를 정도였다. 집에는 작은 문과 창문이 있었고, 상류층 시민들의 거주지는 달랐다. 무이스카인들은 바닥에 앉는 것이 일반적이었기에 가구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잉카 제국이나 마야 문명과 달리, 무이스카인들은 집과 사원을 석조가 아닌 점토나 목재로 건설했다.

6. 5. 미라

무이스카인은 미라를 만드는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불과 연기로 건조하고 가공한 후, 에메랄드를 입에 넣고 천으로 감쌌다. 무이스카인들은 의식 동안 노래를 부르고 치차를 마셨다. 내세를 믿는 그들은 , 옥수수, 황금 제품을 함께 매장했다.

6. 6. 음악

무이스카인들은 무이스카 음악을 종교적인 의미로 연주했으며, 오카리나을 사용했다. 스페인인들은 그들의 음악을 슬프고 단조로운 음악으로 기록했다.[10][11] 무이스카인들은 남녀 혼성으로 춤을 추었다.

7. 종교

무이스카의 사제들은 어릴 때부터 교육을 받았으며 주요 종교 의식을 이끌었다. 사제만이 신전에 들어갈 수 있었다. 종교 활동 외에도 농사나 전쟁 문제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며 사람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종교는 원래 인신 제사를 포함했지만, 스페인 정복 당시에는 이러한 관행이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는데, 스페인인들의 직접적인 기록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구전 설화에 따르면 모든 가문이 희생을 위해 아이를 내놓았으며, 그 아이들은 신성하게 여겨져 15세가 될 때까지 보살핌을 받다가 태양신 수에에게 바쳐졌다고 한다.

무이스카인은 가톨릭과 무이스카인의 전통 종교를 믿었다. 무이스카의 지배자는 정치적 지배자이면서 종교 지도자이기도 했다. 코카나 담배 등을 의식에 사용했으며, 부서진 씨앗을 흡입하기 위한 장식된 금색 판과 같은 도구를 사용했다.

7. 1. 주요 신

무이스카 종교는 수에(태양)와 치아(달)라는 두 주요 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13] 사제들은 어릴 때부터 교육받고 주요 종교 의식을 이끌었으며, 신전에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사람들이었다. 종교 활동 외에도 농사나 전쟁 문제에 조언을 제공하며 사람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원래는 인신 제사 풍습이 있었으나, 스페인 정복 당시에는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3]

구전 설화에 따르면, 모든 가문은 희생을 위해 아이를 내놓았고, 이 아이들은 신성하게 여겨져 15세가 될 때까지 보살핌을 받다가 수에에게 바쳐졌다고 한다.[13]

무이스카 신화의 주요 신들은 다음과 같다.

  • '''수에''' (수아, 주헤, 쉐): 태양신이자 무이스카의 아버지.[13] 신전은 수아목에 있었다.[13] 특히 ''사케'' 연맹에게 숭배받았다.
  • '''치아''': 달의 여신.[13] 신전은 오늘날의 치아 시에 있었다.[13] ''지파'' 연맹에게 널리 숭배받았다.
  • '''보치카''': 신은 아니지만 신과 같은 지위를 누린 족장 또는 영웅.[13] 치브차쿰이 일으킨 홍수를 테켄다마 폭포를 만들어 해결하고, 치브차쿰과 우이타카를 벌했다.
  • '''바추에''': 무이스카 민족의 어머니.[13] 이구아케 호수에서 나와 무이스카인들에게 문명을 가르쳤다.
  • '''치미니가과''': 빛과 지구를 창조했다.
  • '''우이타카''': 욕망, 행복, 기쁨의 여신. 치아의 딸. 보치카의 벌로 흰 올빼미가 되었다.
  • '''치브차쿰''': 비, 천둥, 지진의 신. 상인과 노동자를 보호한다.
  • '''쿠프자피바''': 무지개와 의약의 신. 보치카가 테켄다마 폭포를 만들 때 태어났으며, 병자와 임산부를 보호한다.
  • '''차켄''': 스포츠, 한계, 불임의 신. 테호의 생모. 순례자와 병사를 보호한다.
  • '''넨카타코아''': 예술과 춤의 신. 금으로 된 옷을 입고 여우나 곰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장인을 보호한다.
  • '''과하이오케''': 공포와 죽음의 신. 악마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 '''수아티바''': 불행과 악의 신.

7. 2. 성지


  • 이구아케 호수 - 무이스카 종교에서 인류 발상지로 여겨지는 곳이다.
  • 구아타비타 호수 - 토지 족장이 금박을 온몸에 바르고 의식을 거행했던 곳이다. 인근에서 금 제품이 출토되었다.
  • 테켄다마 폭포
  • 엘 인피에르니토
  • 산 템플 - 수에를 기리기 위해 목재, 점토, 갈대로 만들어진 사원이다. 스페인 정복 시기에 버려졌고 이후 파괴되었으나, 복원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otal population of Muisca in Colombia: 14,051 http://www.sdp.gov.c[...]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2016-04-21
[2] 서적 Muiscas, los hijos de Bachué Ministerio de Cultura 2010
[3] 웹사이트 Muysccubun, the language of the Muisca http://muysca.cubun.[...] Muysccubun dictionary online
[4] 문서 Wiesner García 1987
[5] 웹사이트 Muisca culture http://www.historiac[...] Historia Universal 2016-04-20
[6] 웹사이트 The place of religion in the Muisca social organization http://www.lablaa.or[...] Museo del Oro – Biblioteca Luís Ángel Arango
[7] 문서 Izquierdo Peña 2009
[8] 웹사이트 Ministerio de Minas y Energia http://www.proexport[...] Proexport Colombia
[9] 서적 Archaeology
[10]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Sopó http://www.sopo-cund[...] 2016-05-05
[11]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Guatavita http://www.guatavita[...] 2016-05-05
[12] 웹사이트 Seal of the Muisca people https://commons.wiki[...] Commons
[13] 서적 Ocampo López 2013
[14] 문서 Decree of August 14, 1940, Republic of Colombia. 1940-08-14
[15] 문서 Law 34 of 1948, Republic of Colombia. 1948
[16] 문서 Abbreviation in Spanish: "Organización Nacional Indígena de Colombia"
[1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nvestigation of the Rock Art in Colombia http://rupestreweb.t[...]
[18] 서적 Peregrinación Alfa Comisión Coreográfica Agustín Codazzi 1889
[19] 서적 Memorias sobre las Antigüedades Neogranadinas Berlín 1854
[20] 서적 Los chibchas antes de la conquista española 1895
[21] 서적 La Civilización Chibcha 1924
[22] 서적 Monumentos rupestres de Colombia 1969
[23] 논문 Typology, technology, composition and context of Muisca metalwork (Colombia, AD 600-1800): a database 2012-03-15
[24] 서적 猿神のロスト・シティ 地上最後の秘境に眠る謎の文明を探せ NHK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