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가투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가투르는 '영웅', '용사', '영웅' 등을 의미하는 칭호로, 7세기 초 중국 북서부 유목 민족에게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 칭호는 투르크-몽골 정복 이후 여러 문화에 도입되어 다양한 언어로 존재하며, 'Bahadur', 'Bogatyr' 등 여러 단어와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바가투르는 몽골, 터키, 중앙아시아 등에서 무인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여러 인물들이 이 칭호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예칭호 - 올해의 인물
    올해의 인물은 한 해 동안 사회, 문화,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인 인물에게 수여되는 상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며, 세계적으로는 언론 매체와 기관에서, 한국에서는 타임, 주간조선, 동아일보 등에서 선정한다.
  • 명예칭호 - 기사사령관
    기사사령관은 중세 시대 수도 기사단에서 유래하여 하위 행정 기관을 관리하는 역할을 했으며, 프랑스 왕정 시대에는 훈장으로 사용되었고, 근대 각국에서 다양한 의미와 형태로 훈장, 기사단, 군 계급 등에서 활용된다.
  • 몽골어 낱말 - 쿠릴타이
    쿠릴타이는 몽골 제국 시대에 칸을 선출하고 법을 제정하며 군사적 행동을 논의하는 최고 정치 회의였으며, 몽골 및 튀르크 계열 민족들이 현대에도 정치적 의미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 몽골어 낱말 - 탐가
    탐가는 중앙아시아 몽골 및 튀르크 부족들이 사용한 상징 기호로, 몽골 제국에서는 과세 품목 인장, 튀르크족은 씨족 표식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국새나 가축 낙인 등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기능한다.
  • 몽골 제국 - 쿠릴타이
    쿠릴타이는 몽골 제국 시대에 칸을 선출하고 법을 제정하며 군사적 행동을 논의하는 최고 정치 회의였으며, 몽골 및 튀르크 계열 민족들이 현대에도 정치적 의미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 몽골 제국 - 카라코룸
    카라코룸은 칭기즈칸이 건설하고 오고타이 칸 시대에 완공된 몽골 제국의 수도로, 동서양 무역 중심지이자 다양한 종교가 공존했던 국제적인 도시였으나, 쿠빌라이 칸이 수도를 옮긴 후 쇠퇴, 이후 유적 발굴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그리고 재건 계획을 통해 역사적 중요성을 재조명받고 있다.
바가투르
용어
의미용감한 자, 영웅
어원튀르크어, 몽골어
다른 표기바하두르 (Bahadur, 페르시아어)
바가투르 (몽골어)
拔都児 (발도아, 중국어)
역사적 맥락
설명역사적으로 튀르크족, 몽골족, 기타 유목민족 전사들에게 주어졌던 명예 칭호
중세 시대에는 군사적 공헌이 뛰어난 사람에게 수여
사회적 의미용기, 영웅심, 뛰어난 군사적 기량을 상징
사회적 지위와 존경을 나타내는 칭호
분포
사용 국가몽골 제국
튀르크족 국가
페르시아
인도 (무굴 제국)
현대적 사용
존속 여부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관련 용어바가테르

2. 어원 및 분포

이 용어는 7세기 초 중국 북서부의 유목 민족이 처음 사용했으며, 이는 수나라 기록에서 확인된다.[3][4] 또한 6세기의 돌궐 제2제국불가리아 제1제국의 불가르족 사이에서도 사용된 증거가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 단어가 이란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며, 특히 첫 음절 '바가(baga)'는 '신' 또는 '군주'를 의미하는 이란어의 칭호 단어 *''bag''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5] 반면, 제라드 클로슨은 '바가투르'가 흉노족(클로슨은 이를 훈족어로 추정)의 이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았다. 특히 흉노의 두 번째 선우인 묵돌 선우의 이름(한자 冒頓zho , 현대 표준 중국어 발음: ''Mòdùn'' 또는 ''Màodùn'')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6][7]

이 단어는 튀르크-몽골 민족의 정복 활동을 통해 여러 문화권으로 퍼져나갔으며, 오늘날 다양한 언어에서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언어문자 표기라틴 문자 표기 / 발음
고대 튀르크어𐰉𐰍𐰀otkBaga
몽골어ᠪᠠᠭᠠᠲᠦᠷmnBaγatur
할하 몽골어БаатарmnBātar
중국어巴特爾zhoBātè'ěr
오스만 터키어بهادرotaBahadır
터키어Bağatur, Batur, Bahadır
러시아어БогатырьruBogatyr
불가리아어БагатурbgBagatur
페르시아어بهادرfaBahador
펀자브어ਬਹਾਦੁਰpa (구르무키 문자), بہادرpa (샤흐무키 문자)Bahādur
우르두어بہادرurBahādur
그루지야어Bagatur
힌두스탄어Bahadur



또한 현대의 여러 튀르크계 및 몽골계 언어에도 이 단어가 남아 있다.

언어표기발음/형태
알타이어БаатырaltBaatïr
터키어Batur/Bahadır
타타르어БатырttBatyr
카자흐어БатырkkBatyr
우즈베크어Batyr
몽골어БаатарmnBaatar (예: 울란바토르)



'바가투르'는 여러 단어와 이름의 어원이 되었다. 예를 들어, 페르시아, 남아시아 무슬림, 시크교 등에서 사용되는 'Bahadur', 바하디르, 바투루, Bey, 메테, 메테한, 러시아어의 Богатырьru (Bogatyr), 폴란드어의 Bohater ('영웅'을 의미), 헝가리어의 Bátorhu ('용감함'을 의미) 등이 있다.

3. 돌궐의 바가투르

6세기 돌궐 제2제국 시기부터 '바가투르' 칭호가 사용된 증거가 있다.[4] 특히 서돌궐에서는 한자로 음차된 '모가돌(莫賀咄)'이라는 이름으로 이 칭호가 자주 나타난다. 예를 들어, 통엽호가한(톤야브구 카간)을 살해하고 제6대 서돌궐 가한이 된 그의 백부 모가돌후굴리사비가한이나 제9대 모가돌을비가한(을굴리실을비가한) 등이 이 칭호를 사용한 인물이다. 또한, 당나라의 기미(羈縻) 지배 하에서 서돌궐 가한을 지낸 아사나미사의 가계는 대대로 '모가돌엽호(바가튀르・야브구)'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이 외에도 돌궐 정권 아래 있던 중앙 유라시아의 여러 민족 사이에서는 "걸인모가돌", "모가돌(바가튀르)", "모가돌설(바가튀르・샤드)", "모가돌사근(바가튀르・일킨)", "모가돌토둔(바가튀르・투둔)"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칭호가 널리 사용되었다[11]

4. 중세 몽골어의 바아투르

"무인", "용사", "영웅"을 의미하는 칭호이다. 처음에는 전공을 세운 유목 기병들에게 주어졌던 영예로운 칭호였으나, 이후 카안이 수여하는 공식적인 칭호가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일반화되어 "결사대"와 같은 의미로도 사용되었는데, 원나라의 바아투르군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2]

5. 서방 세계의 바하두르

'바가투르'라는 용어는 투르크-몽골 정복의 결과로 여러 문화에 도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서방 세계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권으로 퍼져나가 여러 형태로 변형되었다.

특히 유럽 언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언어에서 이 용어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현대 투르크 및 몽골 언어에도 이 용어는 보존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알타이어 Баатыр|Baatïralt, 타타르어 Батыр|Batyrtat, 카자흐어 Батыр|Batyrkaz, 우즈베크어 Batyruzb 등이 있으며, 몽골어에서는 울란바토르 시의 이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것은 ''Bahadur'' (페르시아, 남아시아 무슬림, 시크교 및 기타 문화), 바하디르, 바투루, Bey, 메테, 메테한, Богатырьrus (Bogatyr) 등 여러 단어와 이름의 기원이다. 후대에 바아투르는 무인의 칭호로 선호되어 중앙아시아에서 이란, 인도, 이집트까지 유행했다. 무굴 제국의 제7대 황제 바하두르 샤 1세와 제17대 황제 바하두르 샤 2세 등이 그 예이다.

6. 현대 몽골어의 바타르

'바가투르'는 현대 몽골어에서 ᠪᠠᠭᠠᠲᠦᠷ|바가투르mon (고전 몽골어) 또는 할하 몽골어로 Баатар|바타르mon 형태로 사용된다. 이 단어는 "영웅", "호걸", "주인공(гол баатарmon)", "히로인" 등의 의미를 지닌다.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는 "붉은 영웅"이라는 뜻이다.[13]

이 용어는 다른 현대 투르크 및 몽골 언어에도 남아 있는데, 예를 들어 알타이어에서는 Баатыр|바티르alt, 터키어에서는 ''Batur/Bahadır'', 타타르어카자흐어에서는 Батыр|바티르tat, 우즈베크어에서는 Batyr|바티르uzb 등으로 사용된다.

7. 바하두르 칭호

'바하두르'는 무굴 제국 시대와 이후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기존 칭호에 덧붙여져 더 높은 수준의 명예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주요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나와브 바하두르'': 무굴 제국 시대와 이후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수여된 명예 칭호.
  • ''라오 바하두르'' 또는 ''라이 바하두르'': 인도에서 영국 통치 기간에 수여된 명예 칭호.
  • ''스와이 바하두르'': 쿠치의 통치자들에게 사용된 칭호.


또한, 남아시아에서는 다음과 같이 비공식적으로, 때로는 풍자적으로 칭호나 경칭을 높이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 ''사아브 바하두르'': 영화 사헤브 바하두르 등에서 볼 수 있다.
  • ''컴퍼니 바하두르'': 동인도 회사를 지칭.
  • ''앙그레즈 바하두르'': 영국령 인도 제국을 지칭.


후대에 바하두르(바아투르)는 무인의 칭호로 선호되어 중앙아시아에서 이란, 인도, 이집트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무굴 제국의 제7대 황제 바하두르 샤 1세와 제17대 황제 바하두르 샤 2세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8. 유명한 바가투르

"바가투르" 또는 그 변형인 "바하두르", "바투르" 등의 칭호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인물들이 사용하였다. 대표적인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2] 서적 The Devil's horsemen: the Mongol invasion of Europe
[3] 간행물 "Bahādor"
[4] 문서
[5] 논문
[6]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e-Thirteenth-Century Turkish
[7] 논문 "The Peoples of the Steppe Frontier in Early Chinese Sources" https://hrcak.srce.h[...]
[8] 웹사이트 TÜRK – TDV İslâm Ansiklopedisi https://islamansiklo[...]
[9] 웹사이트 Welcome to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1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11] 서적 旧唐書』列伝第百四十四下、『新唐書』列伝百四十下
[12] 문서
[13] 서적 『蒙日辞典』 국제어학사
[1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15] 서적 The Devil's horsemen: the Mongol invasion of Europe
[16] 논문
[17] 간행물 "Bahādor"
[18] 문서
[19] 웹사이트 http://www.iranicaon[...]
[2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