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법 교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법 교수는 언어 교육의 역사, 방법론, 기술, 그리고 다양한 학습 전략과 생애 단계별 외국어 교육에 대해 다루는 내용을 설명한다.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언어 교육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문법 번역식, 직접 교수법과 같은 다양한 교수법과 접근법을 소개한다. 또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어휘 학습과 같은 학습 전략을 제시하고, 온라인 학습 자료와 자율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유럽, 아시아, 대한민국을 포함한 지역별 외국어 교육 현황과 유아, 의무 교육, 성인, 노년 등 생애 단계별 외국어 교육의 특징을 설명하며, 소수 언어 교육의 정책과 자료, 이러닝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학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는 세계 언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7,00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언어의 명칭, 화자 수, 지리적 분포, 언어 계통 등을 포함한다.
  • 언어학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대규모 언어 모델이 원하는 작업을 정확히 수행하도록 지시사항, 맥락, 입력 데이터 등을 조합하여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방법론으로, 컨텍스트 내 학습을 통해 모델의 창발적 능력을 활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코드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델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문법 교수
언어 교육
정의언어 교육은 언어 사용 능력과 지식을 습득하고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 과정을 말한다. 여기에는 모국어 교육과 외국어 교육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언어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 문화 이해 증진, 인지 능력 발달 등 다양한 목표를 추구한다.
유형모국어 교육
외국어 교육
제2언어 교육
외국어 교육
정의외국어 교육은 모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학습하는 교육 활동을 의미한다. 이는 개인의 필요나 목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학교 교육, 사설 학원, 온라인 학습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제공된다.
목표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국제 문화 이해 증진
글로벌 역량 강화
방법문법-번역식 교수법
청화식 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몰입 교육
문법 교수
정의문법 교수는 학습자가 외국어의 문법 규칙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방법이다. 전통적인 문법 교수는 규칙 설명과 반복 연습을 강조했지만, 최근에는 의사소통 상황에서 문법을 자연스럽게 습득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강조되고 있다.
접근법귀납적 접근법
연역적 접근법
중요성정확한 언어 사용 능력 향상
언어 이해력 증진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 강화
방법명시적 문법 교육
암묵적 문법 교육

2. 역사

2. 1. 고대 ~ 중세

고대 학습자들은 자연스러운 맥락 속에서 기본적인 어휘와 문법을 제공하는 짧은 이야기와 대화를 읽고, 암기하고, 낭송하는 것에서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텍스트는 이중 언어로 제시되었으며, 왼쪽에는 배우는 언어가, 오른쪽에는 이미 알고 있는 언어가 있었고, 열은 줄 단위로 일치했다.[4]

외국어를 배울 필요성은 인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지만, 현대 언어 교육의 기원은 17세기에 라틴어를 연구하고 가르치는 데 있다. 고대 근동에서 아카드어아마르나 문서에서와 같이 외교의 언어였다.[5] 수세기 동안 라틴어는 서구 세계 대부분에서 교육, 상업, 종교 및 정부의 지배적인 언어였다. 16세기 말에는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영어에 의해 대부분 대체되었다.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는 이러한 추세를 되돌리려고 노력한 많은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학교 전체 과정을 다루는 라틴어 학습을 위한 완벽한 과정을 구성하여 1657년에 그의 ''Opera Didactica Omnia''로 절정에 달했다.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는 언어가 어떻게 학습되는지 그리고 언어 습득을 위한 교육 방법론에 대해 체계적으로 글을 쓴 최초의 이론가 중 한 명이다.[6] 그는 언어 습득이 감각과 경험과 연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르침은 구두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 결과, 그는 세계 최초의 삽화 어린이 도서인 ''Orbis sensualium pictus''를 출판했다. 라틴어 연구는 실제 세계에서 사용되는 살아있는 언어의 연구에서 학교 교과 과정의 과목으로 감소했다. 그 후 라틴어 연구가 지적 능력을 개발하며, 라틴어 문법 연구 자체가 목적이 되었다고 주장했다.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의 "문법 학교"는 고전 라틴어의 문법적 측면을 가르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고급 학생들은 수사학을 추가하여 문법 연구를 계속했다.[7]

2. 2. 18세기 ~ 20세기

18세기에는 현대 언어 학습이 유럽 학교 교육 과정에 포함되기 시작했으며, 라틴어의 순수 학문적 연구에 기반하여 문법 번역식 교수법이 주로 사용되었다.[7] 학생들은 문법 규칙을 암기하고 목표 언어로 쓰인 텍스트를 해독하는 데 집중했으며, 구두 연습은 최소화되었다.

헨리 스위트는 언어 교육에서 응용 언어학 전통을 확립하는 데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외국어 교육에 혁신이 일어나면서 다양하고 때로는 상반되는 방법론이 등장했다.[7] 헨리 스위트(1845–1912), 오토 예스페르센(1860–1943) 등 초기 응용 언어학자들은 언어적, 심리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언어 교육 원칙과 접근법을 설정하는 연구를 진행했다.[7] 하지만, 구체적인 실질적인 세부 사항은 다른 사람들이 고안하도록 남겨두었다.[7]

20세기 외국어 교육은 다양한 방법론의 등장과 실패의 반복으로 평가되기도 한다.[8] 미국의 경우, 외국어를 전공하는 대학생 중 "최소한의 전문적 숙련도"를 달성하는 학생은 극소수이며,[8] 심지어 박사 학위에 필요한 "독해 능력"도 2학년 언어 학습자가 읽는 수준과 비슷하다.[8] 성공적인 제2언어 또는 외국어 학습 사례에 대한 일화적 증거는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대부분의 언어 프로그램은 실패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제2 언어 습득 연구를 격앙되게 만든다.[8]

문법 번역식 교수법 및 직접 교수법과 같은 구식 방법론은 조롱을 받기도 하며, 새로운 방법론과 접근법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8] 새로운 방법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아이디어가 매우 새롭고 정확하다고 확신하여 구식 방법론의 타당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새로운 과학적 진보에 대한 강조가 이전 연구를 간과하게 만들기 때문이다.[8]

언어 학습 분야에는 경험적 방법론과 이론적 방법론이라는 두 가지 주요 분파가 존재하며, 이들은 거의 완전히 별개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8] 경험주의자 측 연구자로는 예스페르센, 팔머, 레너드 블루필드가 있으며, 패턴 훈련을 통한 모방과 암기를 장려한다.[8] 이론적 측면에는 프랑수아 구엥, M.D. 베를리츠, 그리고 에밀 B. 드 소제가 있으며, 이들의 합리주의적 언어 습득 이론은 노엄 촘스키 등이 수행한 언어학적 연구와 일치한다.[8] 두 진영 간의 경쟁은 치열하며, 서로 간의 의사 소통이나 협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8]

2. 3. 21세기

21세기에는 언어 교육이 학교 교육 과정의 핵심 과목으로 자리 잡았다.[9] 미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언어 교육(세계 언어라고도 함)이 영어, 수학, 과학과 같은 주요 과목과 함께 핵심 과목이 되었다.[9] 호주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외국어 교육이 학교에서 매우 흔해져서 언어 교육 과목을 LOTE 또는 영어가 아닌 언어로 지칭한다. 대부분의 영어권 교육 기관에서는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가 가장 인기 있는 학습 언어이다. 또한, 제1 언어가 영어가 아니고 요구되는 수준으로 영어를 구사할 수 없는 학생들을 위해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이 제공된다.

블렌디드 러닝은 대면 수업과 원격 교육, 종종 컴퓨터 기반 또는 웹 기반의 전자 교육을 결합한 형태이다. 지난 10년 동안 ELT (영어 교육) 산업에서 주요 성장 지점이었다.

3. 교수법

외국어 교수법은 크게 접근법, 방법, 기술의 세 가지 위계로 나눌 수 있다.

'''접근법'''은 언어와 언어 학습의 본질에 대한 일련의 가정이며, 절차와 관련이 없거나 그러한 가정을 교실 환경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세부 사항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제2 언어 습득 이론과 관련될 수 있다.[7]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접근법"이 있다.

# 구조적 관점은 언어를 의미를 부호화하는 구조적으로 관련된 요소의 시스템으로 취급한다(예: 문법).

# 기능적 관점은 언어를 무언가를 요청하는 것과 같은 특정 기능을 표현하거나 수행하는 수단으로 본다.

# 상호 작용적 관점은 언어를 대화 교환에서 발견되는 움직임, 행위, 협상 및 상호 작용 패턴에 초점을 맞춰 사회적 관계를 창출하고 유지하는 수단으로 본다. 이 접근법은 1980년대 이후 상당히 지배적이었다.[7]

'''방법'''은 학습할 언어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계획이며, 선택된 접근법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접근법을 방법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의 목표, 내용의 선택 및 구성 방법, 수행할 작업 유형, 학생의 역할 및 교사의 역할을 고려하여 교육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 구조적 방법의 예로는 문법 번역법과 청각 구술식 교수법이 있다.

# 기능적 방법의 예로는 구두 접근법/상황 언어 교육이 있다.

# 상호 작용적 방법의 예로는 직접 교수법, 연쇄식 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언어 교수법, 언어 몰입 교육, 침묵식 교수법, 암시 교수법, 자연적 접근법, 탠덤 언어 학습, 전신 반응 교수법, 읽기와 스토리텔링을 통한 능력 중심 교수법 및 도그마 언어 교수법이 있다.

'''기술''' (또는 전략)은 즉각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매우 구체적이고 구체적인 책략 또는 요령이다. 이러한 기술은 제어 방법에서 파생되며, 덜 직접적으로는 접근법에서 파생된다.[7]

3. 1. 접근법

언어 교육은 일반 학교 과목으로 또는 전문 어학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언어를 가르치는 방법은 많으며, 어떤 방법은 널리 사용되지만, 다른 방법은 상대적으로 덜 사용되거나 소수의 지지자만 있기도 하다.[7] "접근법", "방법" 및 "기술"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위계적인 개념이다.[7]

'''접근법'''은 언어와 언어 학습의 본질에 대한 일련의 가정이며, 제2 언어 습득 이론과 관련될 수 있다.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접근법"이 있다.[7]

# 구조적 관점은 언어를 의미를 부호화하는 구조적으로 관련된 요소의 시스템으로 취급한다(예: 문법).

# 기능적 관점은 언어를 무언가를 요청하는 것과 같은 특정 기능을 표현하거나 수행하는 수단으로 본다.

# 상호 작용적 관점은 언어를 대화 교환에서 발견되는 움직임, 행위, 협상 및 상호 작용 패턴에 초점을 맞춰 사회적 관계를 창출하고 유지하는 수단으로 본다. 이 접근법은 1980년대 이후 상당히 지배적이었다.[7]

고등학교에서 스페인어미국 사립 학교에서 원어민 영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2 언어로 가르치는 모습 (매사추세츠)

3. 2. 방법

언어 교육은 일반 학교 과목으로 또는 전문 어학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언어를 가르치는 방법은 다양하다.[7] 어떤 방법은 널리 사용되는 반면, 어떤 방법은 상대적으로 덜 사용되거나 소수의 지지자를 가지지만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하기도 한다. "접근법", "방법", "기술"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위계적인 개념이다.

'''접근법'''은 언어와 언어 학습의 본질에 대한 일련의 가정이며, 제2 언어 습득 이론과 관련될 수 있다. 주요 접근법에는 다음 세 가지가 있다.[7]

# 구조적 관점: 언어를 의미를 부호화하는 구조적으로 관련된 요소의 시스템으로 취급한다(예: 문법).

# 기능적 관점: 언어를 특정 기능을 표현하거나 수행하는 수단으로 본다.

# 상호 작용적 관점: 언어를 사회적 관계를 창출하고 유지하는 수단으로 본다. 1980년대 이후 이 접근법이 상당히 지배적이었다.[7]

'''방법'''은 학습할 언어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계획이며, 선택된 접근법을 기반으로 한다.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의 목표, 내용의 선택 및 구성 방법, 수행할 작업 유형, 학생 및 교사의 역할을 고려해야 한다. 구조적 방법의 예로는 문법 번역법과 청각 구술식 교수법이 있다.[7] 기능적 방법의 예로는 구두 접근법/상황 언어 교육이 있으며, 상호 작용적 방법의 예로는 직접 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언어 교수법 등이 있다.[7]

'''기술'''은 즉각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구체적인 책략이다.[7] 언어 기술에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기본 기술이 있으며, 최근에는 요약하기, 묘사하기 등 사회적 기반을 둔 다른 기술들도 식별되었다.[33]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네 가지 기본 기술이 엄격한 순서로 분리되어 가르쳐졌지만, 이후 두 개 이상의 기술을 함께 사용하는 통합적 연습이 이루어지고 있다.[33] 말하기는 가르치고 시험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과소 대표되는 경향이 있었다. 최근 교과서는 짝 활동, 그룹 활동, 동료 교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33]

3. 3. 기술

외국어 습득에서 사용되는 샌드위치 기법은 모국어로 된 관용어 번역을 제2 언어의 생소한 구절과 그 반복 사이에 구두로 삽입하여 의미를 가능한 한 빠르고 완전하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모국어에 해당하는 번역은 방해물임을 나타내기 위해 말의 흐름을 약간 끊어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일어를 모국어로 하고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는 학생들과 다음과 같은 대화를 할 수 있다.

: 교사: "Let me try – lass mich versuchen – let me try." (내가 시도해 볼게요 - 라스 미히 페어주헨 - 내가 시도해 볼게요)

: 학생들: "Let me try." (내가 시도해 볼게요)

모국어 거울화는 교육학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직역 또는 단어 대 단어 번역의 오랜 기법을 적용한 것이다. 그 목적은 학습자에게 외국어 구조를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고, 많은 경우 문법 분석의 전문 용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백 체이닝은 특히 다음절어 또는 어려운 단어의 구어 기술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는 기법이다.[34] 교사가 마지막 음절을 발음하고 학생이 따라 말한 다음, 교사는 단어의 끝에서 시작 부분으로 거꾸로 진행한다.[35]

언어 전환은 화자가 시간, 장소, 내용, 대상 및 기타 요인에 따라 의식적으로 두 개 이상의 언어를 번갈아 사용하는 특별한 언어 현상이다. 언어 전환은 모국어가 학생의 삶과 학습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그 기능을 보여준다.[36] 언어 전환은 교수 전략으로 사용되어 학생들이 개념적 능력을 더 잘 습득하고 특정 어휘를 이해할 수 있도록 풍부한 의미론적 맥락을 제공한다.[37]

4. 온라인 및 자율 학습

인터넷과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다양한 온라인 및 자율 학습 자료가 제공되고 있다.

소프트웨어는 책이나 오디오로는 불가능한 방식으로 학습자와 상호 작용한다.[16] 예를 들어, 학습자의 발음을 기록하고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특정 학습자가 어려움을 겪는 부분에 대한 추가 연습 문제를 제시하여 개념을 완전히 익힐 때까지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17] 또한 그림을 사용하여 목표 언어로 단어를 발음하고 그 의미를 보여줄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목표 언어만 사용되므로 학습자의 모국어와 관계없이 이해할 수 있다.[17]

웹사이트는 언어 교육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부 사이트는 언어 학습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 일부 소프트웨어는 웹에서 실행되므로 다운로드가 필요 없지만 인터넷 연결이 필수적이다. 일부 출판사는 웹을 통해 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한 오디오, 텍스트 및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기도 한다. 론리 플래닛(Lonely Planet)과 같은 여행 가이드에서는 언어 교육 지원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언어 교환 사이트는 상호 보완적인 언어 능력을 가진 사용자를 연결하여 서로의 언어 학습을 돕는다. 사용자는 채팅, 음성 통화, 이메일 등으로 연락하며, 구두 능력, 유창성, 구어 어휘 및 방언 습득에 도움이 된다. 오스트랄라시아에서는 'Education Perfect'라는 온라인 학습 사이트가 교사들이 학생들의 학습 진도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며, 매년 5월에는 국제 Education Perfect 언어 대회가 열린다.

그 외에도 다양한 웹사이트가 언어 학습에 활용된다. 각 국가의 웹사이트(뉴스, 소설, 비디오, 노래 등)는 학습 자료로 유용하며, 응용 언어 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기술과 미디어의 사용은 교실에서 언어 학습을 촉진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18] 번역 사이트는 외국어 텍스트의 의미를 파악하거나 모국어 텍스트를 번역하는 데 사용되며,[19][20] 음성 합성 사이트 및 소프트웨어는 텍스트의 발음을 원어민과 유사하게 들려준다. 무들과 같은 학습 관리 시스템은 언어 교사를 포함한 교사들이 활용하며, 웹 회의 도구는 원격 학습자를 연결한다. 대규모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게임 및 가상 세계 (일반적으로 영어)에서 상호 작용할 때 목표 언어를 연습할 수도 있다. 2005년부터 세컨드 라이프가 외국어 수업에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세르반테스 연구소는 세컨드 라이프에 "섬"을 가지고 있다.[21][22]

일부 인터넷 콘텐츠는 BBC 온라인, Book2, 외교 정책 연구소와 같이 무료로 제공되며, 광고가 없거나 최소한이다. 신문 및 유튜브와 같이 광고 기반 콘텐츠도 있으며, 유료 콘텐츠도 존재한다.

4. 1. 오디오 녹음 및 책

오디오 녹음 자료는 원어민 화자의 발음을 통해 학습자가 발음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11] 일부 녹음 자료는 학습자가 직접 말할 수 있도록 일시 정지 시간을 제공하며, 다른 녹음 자료는 학습자가 음성과 함께 말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재생되어 노래를 배우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낸다.[12]

독학용 오디오 녹음 자료는 교실 수업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며, 레코드, 테이프, CD, DVD 및 웹사이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대부분의 오디오 녹음 자료는 학습자의 모국어를 사용하여 목표 언어의 단어를 설명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음향 효과를 사용하여 목표 언어 단어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 있는데,[13][14] 이러한 녹음 자료는 목표 언어만 사용하므로 학습자의 모국어와 관계없이 이해할 수 있다.

언어 학습 서적은 수 세기 동안 출판되어 어휘와 문법 학습에 활용되어 왔다. 초급 단계의 책은 여행자, 요리사, 접수원[15] 등 특정 어휘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유용한 짧은 구절을 제공하는 회화집 형태가 많다. 보다 심화된 책은 더 많은 어휘, 문법 설명, 연습 문제, 번역 및 작문 연습을 포함한다.

4. 2. 인터넷 및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는 책이나 오디오로는 불가능한 방식으로 학습자와 상호 작용한다.[16] 예를 들어, 학습자의 발음을 기록하고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특정 학습자가 어려움을 겪는 부분에 대한 추가 연습 문제를 제시하여 개념을 완전히 익힐 때까지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17] 또한 그림을 사용하여 목표 언어로 단어를 발음하고 그 의미를 보여줄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목표 언어만 사용되므로 학습자의 모국어와 관계없이 이해할 수 있다.[17]

웹사이트는 언어 교육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부 사이트는 언어 학습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 일부 소프트웨어는 웹에서 실행되므로 다운로드가 필요 없지만 인터넷 연결이 필수적이다. 일부 출판사는 웹을 통해 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한 오디오, 텍스트 및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기도 한다. 론리 플래닛(Lonely Planet)과 같은 여행 가이드에서는 언어 교육 지원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언어 교환 사이트는 상호 보완적인 언어 능력을 가진 사용자를 연결하여 서로의 언어 학습을 돕는다. 사용자는 채팅, 음성 통화, 이메일 등으로 연락하며, 구두 능력, 유창성, 구어 어휘 및 방언 습득에 도움이 된다. 오스트랄라시아에서는 'Education Perfect'라는 온라인 학습 사이트가 교사들이 학생들의 학습 진도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며, 매년 5월에는 국제 Education Perfect 언어 대회가 열린다.

그 외에도 다양한 웹사이트가 언어 학습에 활용된다. 각 국가의 웹사이트(뉴스, 소설, 비디오, 노래 등)는 학습 자료로 유용하며, 응용 언어 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기술과 미디어의 사용은 교실에서 언어 학습을 촉진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18] 번역 사이트는 외국어 텍스트의 의미를 파악하거나 모국어 텍스트를 번역하는 데 사용되며,[19][20] 음성 합성 사이트 및 소프트웨어는 텍스트의 발음을 원어민과 유사하게 들려준다. 무들과 같은 학습 관리 시스템은 언어 교사를 포함한 교사들이 활용하며, 웹 회의 도구는 원격 학습자를 연결한다. 대규모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게임 및 가상 세계 (일반적으로 영어)에서 상호 작용할 때 목표 언어를 연습할 수도 있다. 2005년부터 세컨드 라이프가 외국어 수업에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세르반테스 연구소는 세컨드 라이프에 "섬"을 가지고 있다.[21][22]

일부 인터넷 콘텐츠는 BBC 온라인, Book2, 외교 정책 연구소와 같이 무료로 제공되며, 광고가 없거나 최소한이다. 신문 및 유튜브와 같이 광고 기반 콘텐츠도 있으며, 유료 콘텐츠도 존재한다.

5. 학습 전략

언어 학습 전략은 언어 습득 과정을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 듣기 ====

분명히 듣기는 학습에 사용되지만, 모든 언어 학습자가 이를 의식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아니다. 이해하기 위한 듣기는 듣기의 한 단계이지만, 집중 듣기[23]는 대부분의 학습자가 전략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집중 듣기는 학생들이 주의를 기울여 집중하여 듣도록 돕는 듣기 전략이다. 외국어를 배울 때 집중 듣기는 매우 중요하다. 단어에 나타나는 미세한 억양 변화만으로도 의미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23]

==== 읽기 ====

많은 사람들은 이해하기 위해 읽지만, 문법과 담화 스타일을 배우기 위해 텍스트를 읽는 전략도 활용될 수 있다.[24] 병렬 텍스트를 사용하여 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말하기 ====

회화 능력 연습은 언어 습득의 중요한 부분이다. 대면 언어 수업, 언어 교환 모임, 대학교 언어 교환 프로그램 참여, 온라인 언어 학습 커뮤니티 가입, 그리고 해당 언어가 사용되는 국가로의 여행을 통해 외국어 회화 경험을 쌓을 수 있다.

==== 어휘 학습 ====

번역과 암기 학습은 전통적으로 어휘 학습에 사용되어 온 전략이다.[25] 듀오링고나 Anki와 같은 다양한 앱, 게임 및 도구를 활용한 간격 반복과 문맥적 단서를 활용한 추측 또한 효과적인 어휘 학습 방법이다.[25] 뇌 작동 방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 기억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25]

5. 1. 듣기

분명히 듣기는 학습에 사용되지만, 모든 언어 학습자가 이를 의식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아니다. 이해하기 위한 듣기는 듣기의 한 단계이지만, 집중 듣기[23]는 대부분의 학습자가 전략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집중 듣기는 학생들이 주의를 기울여 집중하여 듣도록 돕는 듣기 전략이다. 외국어를 배울 때 집중 듣기는 매우 중요하다. 단어에 나타나는 미세한 억양 변화만으로도 의미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23]

5. 2. 읽기

많은 사람들은 이해하기 위해 읽지만, 문법과 담화 스타일을 배우기 위해 텍스트를 읽는 전략도 활용될 수 있다.[24] 병렬 텍스트를 사용하여 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3. 말하기

회화 능력 연습은 언어 습득의 중요한 부분이다. 대면 언어 수업, 언어 교환 모임, 대학교 언어 교환 프로그램 참여, 온라인 언어 학습 커뮤니티 가입, 그리고 해당 언어가 사용되는 국가로의 여행을 통해 외국어 회화 경험을 쌓을 수 있다.

5. 4. 어휘 학습

번역과 암기 학습은 전통적으로 어휘 학습에 사용되어 온 전략이다.[25] 듀오링고나 Anki와 같은 다양한 앱, 게임 및 도구를 활용한 간격 반복과 문맥적 단서를 활용한 추측 또한 효과적인 어휘 학습 방법이다.[25] 뇌 작동 방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 기억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25]

6. 지역별 외국어 교육

언어 교육의 관행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이를 추진하는 근본적인 이해는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기계적인 반복, 훈련, 암기 및 문법 활용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다. 때로는 지역에 따라 다른 교수법에 대한 선호도가 존재한다. 언어 몰입은 일부 유럽 국가에서 인기가 있지만, 미국, 아시아 또는 호주에서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 유럽

유럽에서는 언어 몰입 교육 방식이 인기를 얻고 있다.[52] 프랑스에서는 2005년부터 유치원 마지막 학년(5세)부터 외국어 교육을 시작하며, 유럽 공통 참조 프레임워크(CEF)의 A1 레벨 달성을 목표로 한다.[52] 유치원에서는 주당 1.5~2시간 동안 외국어 또는 지역어를 배우며, 주로 영어 또는 독일어를 선택한다.[52] 중학교에서는 제1외국어(필수), 제2외국어(필수), 제3외국어(선택)를 배울 수 있으며, 제1외국어로는 영어 또는 독일어가, 제2외국어로는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이 선택된다.[52] 고등학교에서는 독일어, 영어, 아랍어, 중국어, 스페인어, 히브리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등 9개 국어에 대해 CEF 레벨 기준으로 최종 목표(제1외국어는 B2)를 설정하고 있다.[52]

독일에서는 2004/2005학년도까지 초등 교육에 제1외국어(영어 또는 프랑스어)가 도입되었다.[52] 5학년부터 외국어 학습이 의무화되며, 7학년부터 제2외국어(프랑스어, 영어, 라틴어)를 필수적으로 선택해야 한다.[52] 9학년부터는 제3외국어를 선택할 수 있고, 11학년부터는 제2외국어를 선택하지 않은 학생에 한해 제2외국어(스페인어, 일본어, 러시아어 등)를 필수로 선택해야 한다.[52]

스위스는 국가 교육 과정이 없으며, 각 주 교육부가 교육 방침을 시행한다.[52] 2001년 스위스 교육 평의회는 각 주의 지도 요령에 CEF에 기반한 언어 교육을 도입하도록 명시했다.[52] 초등 교육에서 독일어권은 프랑스어를, 프랑스어권은 독일어를, 이탈리아어권은 프랑스어 또는 독일어를, 로만슈어권은 독일어를 제2언어(제1외국어)로 배운다.[52]

영국은 2002년 국가 언어 계획을 통해 2010년까지 모든 초등 교육 기관에서 외국어 교육을 도입했다.[52]

; 아시아

대한민국 기준으로는 외국어 교육 시작 학년은 초등학교 3학년(필수)으로 정해져 있으며, 1시간 수업은 초등학교에서 40분, 중학교에서 45분으로 되어 있지만, 학습 내용의 정확성이나 학교의 실정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편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53]

일본에서는 2001년 이후 문부과학성이 영어 교육 강화 방침을 내세웠다. 2002년 이후 총합적인 학습의 시간에 시험적으로 영어 교육을 실시하는 초등학교가 늘어났고, 2003년 4월 군마현 오타시가 "오타시 외국어(영어) 교육 특구"로 지정받았다. 2005년부터는 "초등학교 영어 활동 지역 지원 사업"을 통해 선정된 초등학교의 영어 교육 노력을 지원하고 있다. 2006년 3월 27일, 중앙교육심의회 외국어 전문부회가 초등학교 영어 교육 필수화에 대한 심의 상황 보고를 정리했다. 하지만 이러한 영어 조기 교육에 대해 "모국어 습득 방해", "영어 제국주의 조장", "교육 현장 혼란" 등의 비판도 제기되었다.

중국에서는 2001년부터 초등학교에서 영어가 필수 과목이 되었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지만, 국가 기준에 따라 각 성, 자치구, 직할시는 교육 과정 운영에 차이를 보인다. 베이징시상하이시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53]

말레이시아는 1970년에 영어를 제2언어로 지정했으며, 초등 교육에서 영어 교육이 필수화되었다.[53] 영어 수업 시간은 국민 학교에서 6년간 연간 160시간, 국민형 학교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연간 80시간, 4학년부터 6학년까지 연간 96시간, 중등 교육에서 연간 112시간이다.[53]

타이완에서는 2000년 '국민 중소학교 9년 일관 과정 강요'가 공포되었고, 2001년부터 초등학교 영어 교육이 필수화되었다.

태국에서는 초등 교육 1학년부터 중등 교육 12학년까지 영어가 필수 과목이며, 기초 교육 핵심 교육 과정에서는 초등 교육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가 주당 최소 1시간, 4학년부터 6학년까지는 주당 최소 2시간 학습하도록 되어 있다.[53]

베트남에서는 2010년 교육훈련부 주최 회의에서 초등 교육의 외국어 학습 시간이 주 2시간 선택제에서 주 4시간 필수제로 변경되어 단계적으로 이행되고 있다.[53]

; 대한민국

대한민국 기준으로는 외국어 교육 시작 학년은 초등학교 3학년(필수)으로 정해져 있으며, 1시간 수업은 초등학교에서 40분, 중학교에서 45분으로 되어 있지만, 학습 내용의 정확성이나 학교의 실정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편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53] 더불어민주당은 영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다양한 외국어 교육 기회 제공과 모국어 교육과의 균형있는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6. 1. 유럽

유럽에서는 언어 몰입 교육 방식이 인기를 얻고 있다.[52] 프랑스에서는 2005년부터 유치원 마지막 학년(5세)부터 외국어 교육을 시작하며, 유럽 공통 참조 프레임워크(CEF)의 A1 레벨 달성을 목표로 한다.[52] 유치원에서는 주당 1.5~2시간 동안 외국어 또는 지역어를 배우며, 주로 영어 또는 독일어를 선택한다.[52] 중학교에서는 제1외국어(필수), 제2외국어(필수), 제3외국어(선택)를 배울 수 있으며, 제1외국어로는 영어 또는 독일어가, 제2외국어로는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이 선택된다.[52] 고등학교에서는 독일어, 영어, 아랍어, 중국어, 스페인어, 히브리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등 9개 국어에 대해 CEF 레벨 기준으로 최종 목표(제1외국어는 B2)를 설정하고 있다.[52]

독일에서는 2004/2005학년도까지 초등 교육에 제1외국어(영어 또는 프랑스어)가 도입되었다.[52] 5학년부터 외국어 학습이 의무화되며, 7학년부터 제2외국어(프랑스어, 영어, 라틴어)를 필수적으로 선택해야 한다.[52] 9학년부터는 제3외국어를 선택할 수 있고, 11학년부터는 제2외국어를 선택하지 않은 학생에 한해 제2외국어(스페인어, 일본어, 러시아어 등)를 필수로 선택해야 한다.[52]

스위스는 국가 교육 과정이 없으며, 각 주 교육부가 교육 방침을 시행한다.[52] 2001년 스위스 교육 평의회는 각 주의 지도 요령에 CEF에 기반한 언어 교육을 도입하도록 명시했다.[52] 초등 교육에서 독일어권은 프랑스어를, 프랑스어권은 독일어를, 이탈리아어권은 프랑스어 또는 독일어를, 로만슈어권은 독일어를 제2언어(제1외국어)로 배운다.[52]

영국은 2002년 국가 언어 계획을 통해 2010년까지 모든 초등 교육 기관에서 외국어 교육을 도입했다.[52]

6. 2. 아시아

대한민국 기준으로는 외국어 교육 시작 학년은 초등학교 3학년(필수)으로 정해져 있으며, 1시간 수업은 초등학교에서 40분, 중학교에서 45분으로 되어 있지만, 학습 내용의 정확성이나 학교의 실정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편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53]

일본에서는 2001년 이후 문부과학성이 영어 교육 강화 방침을 내세웠다. 2002년 이후 총합적인 학습의 시간에 시험적으로 영어 교육을 실시하는 초등학교가 늘어났고, 2003년 4월 군마현 오타시가 "오타시 외국어(영어) 교육 특구"로 지정받았다. 2005년부터는 "초등학교 영어 활동 지역 지원 사업"을 통해 선정된 초등학교의 영어 교육 노력을 지원하고 있다. 2006년 3월 27일, 중앙교육심의회 외국어 전문부회가 초등학교 영어 교육 필수화에 대한 심의 상황 보고를 정리했다. 하지만 이러한 영어 조기 교육에 대해 "모국어 습득 방해", "영어 제국주의 조장", "교육 현장 혼란" 등의 비판도 제기되었다.

중국에서는 2001년부터 초등학교에서 영어가 필수 과목이 되었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지만, 국가 기준에 따라 각 성, 자치구, 직할시는 교육 과정 운영에 차이를 보인다. 베이징시상하이시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53]

말레이시아는 1970년에 영어를 제2언어로 지정했으며, 초등 교육에서 영어 교육이 필수화되었다.[53] 영어 수업 시간은 국민 학교에서 6년간 연간 160시간, 국민형 학교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연간 80시간, 4학년부터 6학년까지 연간 96시간, 중등 교육에서 연간 112시간이다.[53]

타이완에서는 2000년 '국민 중소학교 9년 일관 과정 강요'가 공포되었고, 2001년부터 초등학교 영어 교육이 필수화되었다.

태국에서는 초등 교육 1학년부터 중등 교육 12학년까지 영어가 필수 과목이며, 기초 교육 핵심 교육 과정에서는 초등 교육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가 주당 최소 1시간, 4학년부터 6학년까지는 주당 최소 2시간 학습하도록 되어 있다.[53]

베트남에서는 2010년 교육훈련부 주최 회의에서 초등 교육의 외국어 학습 시간이 주 2시간 선택제에서 주 4시간 필수제로 변경되어 단계적으로 이행되고 있다.[53]

6.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 기준으로는 외국어 교육 시작 학년은 초등학교 3학년(필수)으로 정해져 있으며, 1시간 수업은 초등학교에서 40분, 중학교에서 45분으로 되어 있지만, 학습 내용의 정확성이나 학교의 실정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편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53] 더불어민주당은 영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다양한 외국어 교육 기회 제공과 모국어 교육과의 균형있는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7. 생애 단계별 외국어 교육

7. 1. 유아 교육

유아기는 개인이 평생 동안 언어를 습득하는 가장 빠르고 중요한 시기이다. 아이들의 언어 소통은 1세에서 5세 사이에 비언어적 소통에서 언어적 소통으로 변화한다. 언어 습득은 언어 소통 환경에서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아이들을 잘 지도하고 기회를 만들어 주기만 하면 아이들의 언어 능력은 쉽게 발달하고 길러질 수 있다.[38][39]

7. 2. 의무 교육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의무 교육은 그들이 처음으로 제2외국어 또는 외국어를 접하게 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학생들에게 가장 전문적인 외국어 교육과 학업 분위기가 제공된다.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도움과 동기를 얻을 수 있으며, 동료들에 의해 언제든지 활성화될 수 있다. 어휘, 문법, 언어 소통의 수많은 규칙을 진정으로 숙달하기 위해 많은 전문적인 학습을 받을 수 있다.

7. 3. 성인 교육

성인이 외국어를 학습하는 것은 새로운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스스로의 가치를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 단계에서 개인은 이미 스스로 언어를 학습하는 능력을 개발했다. 그러나 동시에, 압박감 또한 성인에게는 장애물이 된다.

7. 4. 노년 교육

다른 생애 단계와 비교했을 때, 노년기는 점진적인 뇌 기능 저하와 기억력 감퇴로 인해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것이 가장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년층의 언어 교육은 이러한 뇌 기능 저하를 늦추고 적극적인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40]

8. 소수 언어 교육

8. 1. 정책

소수 언어 교육을 장려하는 주요 정책적 주장은 다국어 사용 인력, 지적 및 문화적 이점, 그리고 글로벌 정보 사회에서의 더 큰 포용에 대한 필요성이다.[43] 소수 언어 교육에 대한 접근은 유럽 인권 협약,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 및 UN 인권 위원회가 부여한 인권으로 간주된다.[44][45] 이중 언어 교육은 소수 언어와 관련 다수 언어의 사용과 인식을 모두 증진하기 위해 미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시행되어 왔다.[46]

8. 2. 자료 및 이러닝

소수 언어 교육에 적합한 자료를 찾고 접근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며, 이는 소수 언어 교육 자료 개발의 증가를 요구하는 원인이 되었다.[47] 인터넷은 더 광범위한 텍스트, 오디오 및 비디오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47] 언어 학습 2.0(언어 교육에 웹 2.0 도구 사용)은 소규모 언어 교육 자료 개발과 지리적으로 분산된 교사와 학습자를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49]

참조

[1] 서적 Handbook of educational linguistics Blackwell 2008
[2] 서적 Directions and prospects for educational linguistics. Springer 2010
[3] 논문 Foreign Language Education: Whose Definition? 2007
[4] 웹사이트 Learning Foreign Languages in Antiquity: How Did They Do It? https://antigonejour[...] 2022-07-19
[5] 웹사이트 Amarna Letters https://www.worldhis[...] 2018-11-03
[6]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Education Neelkamal
[7] 서적 Approaches and Methods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Language Teaching Controversy https://archive.org/[...] Newbury House
[9] 웹사이트 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http://www.actfl.org[...] 2016-05-18
[10] 웹사이트 Reviews of Language Self-Study Courses: Comparison, Problems, Ratings http://Lang1234.com Lang1234 2012-07-17
[11] 웹사이트 Good Accents http://lastly.weebly[...] Lang1234 2012-08-05
[12] 웹사이트 Shadowing Step by Step https://www.youtube.[...] 2012-07-17
[13] 문서 Amazing Hear-Say Penton Overseas Inc.
[14] 웹사이트 Lessons for Beginners in English, mp3 http://aaa.Lang1234.[...] 2014-05-03
[15] 웹사이트 Workers and Guests Have Different Language Needs in a Hotel http://hhh.Lang1234.[...] 2014-05-03
[16] 웹사이트 Scoring Your Pronunciation http://lastly.weebly[...] Lang1234 2012-08-05
[17] 웹사이트 Language Guide http://Languageguide[...] Language Guide 2012-07-17
[18] 웹사이트 What We Can Learn From Foreign Language Teaching in Other Countries http://www.cal.org/r[...]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2012-05-08
[19] 웹사이트 Google Translate https://translate.go[...] 2014-05-03
[20] 웹사이트 Bing Translator http://www.bing.com/[...] Microsoft 2014-05-03
[21] 뉴스 Study and teach in Second Life http://www.its-teach[...] 2007-07-15
[22] 뉴스 Apprendre une langue dans un monde virtuel http://www.lemonde.f[...] 2007-07-15
[23] 웹사이트 focused listening http://www.strategie[...]
[24] 웹사이트 strategy of reading http://www.strategie[...]
[25] 웹사이트 How to remember vocabulary http://www.strategie[...]
[26] 논문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Esperanto 2015
[27] 웹사이트 The European Union's approach to multilingualism in its own communications policy https://www.europarl[...] 2022-09
[28] 문서 Article in Enciklopedio de Esperanto
[29] 논문 The Educational Value of an Artificial Language. http://www.blackwell[...] 1927
[30] 논문 A language teaching experiment 1965
[31] 문서 Protocols of the annual November meetings in Paderborn Laborkonferencoj: Interlingvistiko en Scienco kaj Klerigo
[32] 서적 Esperanto as a starter language for child second-language learners in the primary school Esperanto UK 2013
[33] 서적 English language teaching DELTI
[34] 웹사이트 Backchaining http://www.usingengl[...]
[35] 웹사이트 Backchaining http://www.teachinge[...]
[36] 논문 Language Socialization and Code-Switching: A Case Study of a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 in a Korean Transnational Family 2019-03
[37] 논문 Teachers' Code-Switching in Bilingual Classrooms: Exploring Pedagogical and Sociocultural Functions https://ap01.alma.ex[...] 2018-05
[38] 논문 Preschoolers Study Foreign Tongues https://search.ebsco[...] 2004-03
[39] 논문 ECAP Report: Working With Preschool Children Who Are English Language Learners https://search.ebsco[...] 2004-03
[40] 논문 Language education of seniors as a tool of active ageing https://search.ebsco[...] 2018
[41] 웹사이트 Travel agents missing out on profitable language travel holidays – Sprachcaffe http://www.travelwee[...] TravelWeek 2015-03-04
[42] 블로그 How can we change language habits? https://www.language[...] 2018-08-01
[43] 웹사이트 Community Languages in Higher Education: Towards realising the potential http://www.routesint[...] Routes into Languages 2009-06-26
[44] 웹사이트 The right to education and minority language http://www.eumap.org[...] EUMAP: EU Monitoring and Advocacy Program Online Journal 2009-06-26
[45] 간행물 Planning for multilingualism and minority language rights in Sweden 2004
[46] 웹사이트 Two-Way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in Practice: A National and Local Perspective http://www.cal.org/r[...]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2009-06-26
[47] 웹사이트 Community Languages in Higher Education: Towards realising the potential http://www.routesint[...] Routes into Languages 2009-06-26
[48] 웹사이트 Language learning 2.0 in action: web .0 tools to enhance language learning http://www2.plymouth[...] 4th Plymouth e-Learning Conference 2009 2009-06-26
[49] conference New Roles for Technology in Language Maintenance and Revitalization University of Hawaiʻi 2009-03-14
[50] 문서 A Brief View of the ESP Approach /Dialnet-ABriefViewO[...] 2009
[51] 문서 Teaching English to Young Learners More Teacher Education and More Children's Literature https://www.research[...] 2019
[52] 웹사이트 第2章 ヨーロッパ各国の言語教育と日本語教育 https://www.jpf.go.j[...] 国際交流基金 2022-07-20
[53] 웹사이트 諸外国における外国語教育 - アジア諸国の事例に学ぶ - http://www.kyoi-ren.[...] 全国都道府県教育長協議会総合部会 2022-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