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흰두루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흰두루미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대형 두루미로, 흰색 깃털과 붉은 머리 깃, 검은 날개 끝이 특징이다. 한때 북아메리카 중서부 전역에 분포했으나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개체수가 급감하여 멸종 위기에 처했다. 현재는 캐나다와 텍사스 등 일부 지역에서 번식하며, 여러 재도입 프로그램을 통해 개체수 회복을 시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루미속 - 검은목두루미
    검은목두루미는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서 번식하고 유럽 남부 등지에서 월동하는 철새로, 잿빛 회색 몸통에 검은색과 흰색 무늬가 있으며, 습지나 농경지에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두루미과의 대형 조류이다.
  • 두루미속 - 흑두루미
    흑두루미는 두루미과에 속하며, 회색 몸통과 흰색 머리를 가진 조류로, 시베리아 등지에서 번식하고 한국 등지에서 월동하며 멸종위기종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미국의 새 - 고니
    고니는 부리가 납작하고 목이 긴 조류로, 흰색 깃털을 가지며 수생식물을 먹고 아프리카와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 분포하며, 대한민국에는 3종이 도래하여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다.
  • 미국의 새 - 솔잣새
    솔잣새는 솔방울과 비슷한 깃털 색과 엇갈린 부리를 가진 새로,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 침엽수림에 살며 침엽수 씨앗을 주식으로 하고, 종자 생산량에 따라 이동하며, 한국에서는 겨울철새로 길조로 여겨졌으나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캐나다의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캐나다의 새 - 대백로
    대백로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왜가리과에 속하는 흰색 대형 조류로, 번식기에는 장식깃과 검은 부리를 가지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집단 번식을 하는 습성이 있고, 과거 남획으로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보호 조치로 회복되었지만 서식지 파괴로 지속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미국흰두루미 - [생물]에 관한 문서
보호 상태
IUCN위기(EN)
CITES부속서 I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두루미목
아목두루미아목
두루미과
아과두루미아과
두루미속
미국흰두루미 (G. americana)
학명Grus americana (Linnaeus, 1758)
이명Ardea americana Linnaeus, 1758
분포
미국흰두루미 분포도
미국흰두루미 분포도. 파란색: 번식, 주황색: 월동, 초록색: 연중, 회색: 실험적 연중
외형
캘거리 동물원의 미국흰두루미
앨버타 주캘거리 동물원에서
일반 정보
영어 이름Whooping crane
추가 정보
참고 자료https://tpwd.texas.gov/huntwild/wild/species/whooper/%7C텍사스 야생동물
참고 자료https://fws.gov/species/whooping-crane-grus-americana%7C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

2. 분류

칼 폰 린네는 1758년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흰두루미를 ''Ardea americana''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재했다.[6] 린네는 두 명의 영국 박물학자가 기록한 내용을 참고했는데, 1729~1732년 마크 케이츠비가 ''캐롤라이나, 플로리다 및 바하마 제도의 자연사''에서 흰두루미를 묘사하고 삽화로 그렸으며,[7] 1750년 조지 에드워즈는 허드슨만 지역에서 제임스 이샴이 런던으로 가져온 보존된 표본을 사용하여 흰두루미를 묘사하고 삽화로 그렸다.[8] 제임스 이샴은 허드슨 베이 회사의 직원이었다.[8] 린네는 기준 산지를 북아메리카로 지정했지만, 현재는 허드슨만으로 제한되었다.[9]

이후 1760년 프랑스 동물학자 마튀랭 자크 브리송에 의해 Grus 속에 속하는 8종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 흰두루미는 아종이 없는 단형종으로 간주된다.[10]

3. 형태

흰두루미 성체는 흰색이며 붉은색 머리 깃과 길고 어두우며 뾰족한 부리를 가지고 있다. 반면, 어린 흰두루미는 계피색 갈색이다. 비행 시에는 긴 목을 곧게 유지하며 긴 어두운 다리가 뒤로 쳐진다. 성체 흰두루미의 검은 날개 끝은 비행 중에 보인다. 이마에서 정수리까지와 부리 기부에는 깃털이 없고 붉은 피부가 노출되어 있다. 홍채는 노란색이다. 부리의 색상은 회갈색이며, 끝은 짙은 회색이다. 뒷다리의 색상은 검은색이다.[110][111] 첫째날개덮깃과 첫째날개깃은 검은색이다.[110]

비행 중인 흰두루미


흰두루미는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키가 큰 새이며,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현존하는 두루미 종이다.[11] 키는 1.24m에서 1.6m 정도이고,[12][13] 날개 길이는 2m에서 2.3m이다.[12] 수컷의 평균 체중은 7.3kg이고, 암컷의 평균 체중은 6.2kg이다(Erickson, 1976).[14] 성별을 알 수 없는 흰두루미의 작은 표본의 평균 체중은 5.82kg이었다.[15] 성체의 일반적인 체중은 4.5kg에서 8.5kg 사이인 것으로 보인다.[12] 몸길이는 부리 끝부터 꼬리 끝까지 평균 약 132cm이다.[16] 날개 시위 길이는 53cm에서 63cm, 노출된 상부 부리 길이는 11.7cm에서 16cm, 부척 길이는 26cm에서 31cm이다.[12][17]

큰백로, 푸른대백로의 변종인 큰 흰 해오라기, 황새는 모두 흰두루미보다 최소 30% 작고, 두루미와 구조가 매우 다르다. 미국두루미의 더 큰 개체는 성체 흰두루미와 크기가 겹칠 수 있지만 흰색이 아닌 회색이라는 점에서 즉시 구별된다.[18][19]

흰두루미의 울음소리는 크고 몇 킬로미터까지 들릴 수 있다. 잠재적인 위험에 대해 파트너에게 경고하기 위해 "경계 울음소리"를 내며, 두루미 부부는 이른 아침에 잠에서 깬 후, 구애 후, 그리고 그들의 영역을 방어할 때 리듬감 있게 함께 운다("합창 울음소리"). 야생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합창 울음소리는 1999년 12월 아란사스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의 흰두루미 월동지에서 녹음되었다.[20]

4. 분포 및 서식지

흰두루미는 습지에서 번식한다.


흰두루미는 한때 북아메리카 중서부 전역과 남쪽 멕시코까지 널리 분포했었다.[21][1] 20세기 중반까지 주요 번식지는 캐나다 앨버타 주와 노스웨스트 준주에 있는 우드 버팔로 국립공원과 그 주변 지역이었다.[22] 최근에는 흰두루미 동부 파트너십 재도입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 위스콘신 주 중부 네세다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 100년 만에 처음으로 자연 둥지를 틀었으며, 이후 위스콘신 주와 주변 주에서 여름 서식지를 확장했다. 재도입된 실험적인 비이동성 개체군은 플로리다 주와 루이지애나 주에서 둥지를 틀었다.

흰두루미는 일반적으로 습지의 솟아있는 지역에 둥지를 튼다. 주요 월동지는 미국 텍사스 주 멕시코 만 해안을 따라 아란사스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의 록포트 근처와 포틀랜드, 마타고르다 섬, 이슬라 산호세, 그리고 라마 반도와 웰더 포인트의 일부 지역인 산 안토니오 만 동쪽이다.[24]

오클라호마 주 솔트 플레인스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은 흰두루미 개체군의 주요 이동 경유지이며, 매년 이 종의 75% 이상을 수용한다.[25][26] 2011/2012년 겨울철에는 텍사스 중부 그레인저 호수에서 최대 9마리의 흰두루미가 여러 번 관찰되었다. 2011년 가뭄으로 호수 바닥이 상당 부분 노출되어 텍사스를 통과하는 가을 이동 동안 흰두루미에게 충분한 먹이를 제공했다.[27]

여름에는 우드 버팔로 국립공원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텍사스 주 아란사스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남하하여 월동한다.[108][109][110][111] 재도입된 개체군으로서 여름에는 아이다호 주, 겨울에는 뉴멕시코 주에서 월동하는 개체군과 플로리다 주에 연중 서식하는 개체군도 있다.[108][111]

5. 생태

앨버타주 캘거리 동물원의 미국흰두루미


미국흰두루미의 잠재적인 둥지 및 새끼 포식자로는 아메리카흑곰, 울버린, 회색늑대, 퓨마, 붉은여우, 캐나다스라소니, 흰머리수리, 큰까마귀 등이 있다. 황금독수리는 일부 어린 흰두루미와 새끼들을 죽였다.[28] 야생 성체는 큰 몸집 때문에 포식자가 거의 없다.[12][29] 미국앨리게이터는 플로리다에서 몇 마리의 흰두루미를 잡아갔으며, 보브캣은 플로리다와 텍사스에서 사육된 많은 흰두루미를 죽였다.[18][30] 플로리다에서 보브캣은 매복한 성체와 60년 만에 야생에서 태어난 최초의 새끼를 포함하여 흰두루미의 자연 사망 원인 중 대다수를 차지했다.[30][31][32][33][34] 성체 두루미는 코요테와 같은 중간 크기의 포식자 공격을 막거나 피할 수 있지만, 사육된 두루미는 깊은 물에서 횃대에 앉는 법을 배우지 못해 매복에 취약하다.[35][36] 경험이 부족한 어린 두루미는 보브캣의 매복에 특히 더 취약할 수 있다.[37] 퍼턱센트 야생동물 연구 센터의 과학자들은 이것이 보브캣을 포식했던 더 큰 포식자 (멸종 위기에 처한 플로리다 퓨마와 근절된 붉은늑대)의 부재 또는 감소로 인한 보브캣의 과잉 개체수 때문이라고 믿고 있다.[30] 두루미를 구하기 위해 최소 12마리의 보브캣이 포획되어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36]

플로리다주 오세올라 군의 소 목장에서 먹이를 찾는 미국흰두루미


미국흰두루미는 얕은 물이나 들판을 걸어 다니면서 때로는 부리로 찔러 먹이를 찾는다. 잡식성이지만, 다른 대부분의 두루미보다 동물성 먹이에 더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현존하는 두루미 중에서 일본두루미만이 더 육식적인 식단을 가질 수 있다.[38] 텍사스주의 겨울 서식지에서 이들은 다양한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장어 등), 작은 파충류, 수생 식물을 먹는다. 여름철 번식하는 새들의 잠재적인 먹이로는 개구리, 작은 설치류, 작은 조류, 어류, 수생 곤충, 가재, 대합, 달팽이, 수생 덩이줄기, 열매 등이 있다. 1946년부터 2005년까지 6건의 연구에 따르면 아란사스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 겨울을 나는 미국흰두루미의 중요한 식량원인 꽃게(''Callinectes sapidus'')가 두 번의 겨울(1992~93년 및 1993~94년)에 최대 90%의 에너지 섭취량을 차지했다는 보고가 있었다.[39][40]

, 보리, 옥수수를 포함한 폐 곡물은 이동하는 미국흰두루미에게 중요한 식량원이지만,[18] 모래주머니 돌을 삼키지 않는다. 그들은 캐나다두루미보다 곡물을 덜 효율적으로 소화한다.

번식지에서는 습성 초원에 서식하며,[111] 이동 중에는 하천이나 호수, , 농경지 등에도 날아온다.[108] 동물성 경향이 강한 잡식성으로, 곤충, 어류, 개구리, 파충류, 소형 포유류, 동물의 사체, 식물의 뿌리, 과실, 종자 등을 먹는다.[111]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염성 습원에서 4-5월에 한 번에 2개의 알을 낳으며,[111] 포란 기간은 34-35일이다.[110]

6. 인간과의 관계

미국흰두루미는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다.[111] 이전에는 미국 중부와 멕시코에서도 서식했지만, 현재 확인된 번식지와 월동지는 모두 제한되어 있다.[110]

미국과 캐나다 정부는 대규모 보호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108] 그 일환으로 두 개의 알 중 하나를 회수하여 인공 부화시키거나,[110] 캐나다두루미에게 포란시켜 사육 개체수를 늘리고 있다.[109] 1993년부터는 플로리다주에, 2000년부터는 위스콘신주에 사육 번식 개체를 재도입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108]

개체수는 증가 추세지만, 둥지를 떠난 어린 새의 전선 충돌, 월동지 수질 오염 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111] 1938년에는 14마리, 1999년에는 야생 개체 265마리, 사육 개체 132마리가 확인되었다.[108]

6. 1. 보전 노력

흰두루미는 서식지 파괴와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심각한 멸종 위기 종이 되었다.[43][44][45] 1870년에는 1,300~1,400마리, 1938년에는 이동하는 무리에 단 15마리의 성체만 남을 정도로 개체 수가 급감했다. 루이지애나에 있던 13마리 정도의 개체는 1940년 허리케인으로 흩어져 절반이 죽고, 살아남은 개체들은 야생에서 번식하지 못했다.[46][47]

1967년 멸종 위기 종으로 지정된 이후, 미국과 캐나다 정부, 여러 단체들이 협력하여 보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961년에는 흰두루미 보존 협회(WCCA)가 설립되어 흰두루미의 심각한 상황을 교육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국립 오듀본 협회(National Audubon Society)의 조류학자 로버트 포터 앨런(Robert Porter Allen)은 대중 교육을 통해 보전 노력을 알렸다. 초기에는 농부와 사냥꾼들을 대상으로 교육이 이루어졌다. 앨런은 오듀본 동물원과 아란사스 보호 구역에서 인공 번식 노력을 시작했다. 조세핀과 크립은 1950년에 최초의 흰두루미를 낳았지만 4일 만에 죽었고, 조세핀이 1965년에 죽기 전까지 50개 이상의 알을 낳았지만 4마리의 새끼만 성체로 살아남았고 번식에 성공한 개체는 없었다.[46][48]

1954년 우드 버팔로 국립공원에서 흰두루미의 번식지를 확인하면서, 많은 번식 쌍이 두 개의 알을 낳지만 하나의 새끼만 키우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두 개의 알을 낳는 둥지에서 알 하나를 제거하여 포획 번식용 개체를 확보하고, 남은 하나의 새끼는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을 사용했다. 제거된 알은 메릴랜드의 패턱센 야생동물 연구 센터로 옮겨져 부화 및 양육 연구에 사용되었다.[46]

1976년, 국제 두루미 재단(International Crane Foundation)의 조류학자 조지 W. 아치볼드(George W. Archibald)는 암컷 흰두루미 '텍스'와 인공 수정을 통해 번식에 성공했다. 아치볼드는 인간 조련사가 두루미 복장을 사용하는 등 포획된 두루미를 양육하는 기술을 개척했다.[48][49] 패턱센, 국제 두루미 재단 및 캘거리 동물원의 프로그램에서 개척된 기술은 여러 포획 번식 및 재도입 프로그램에 사용될 두루미를 제공하는 결과를 낳았다. 2017년, 패턱센 야생동물 연구 센터는 흰두루미 번식 및 방생 훈련을 중단하기로 결정했고, 75마리의 무리는 다른 시설로 이동되었다.[53][54]

1993년부터는 사람과 격리하여 성장시킨 사육 하 번식 개체가 플로리다주에 재도입되기 시작했고, 2000년부터는 위스콘신주에서도 재도입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108]

야생 두루미 개체군은 꾸준히 증가하여, 2007년에는 캐나다 야생동물청(Canadian Wildlife Service)이 우드 버팔로 국립공원에서 266마리의 두루미를 확인했다.[55] 2017년 초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조사에 따르면 505마리의 흰두루미가 아란사스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에 도착했다.[56] 2020년에는 야생에 약 677마리, 포획 상태에 177마리의 두루미가 있었고, 전체 개체 수는 800마리가 넘었다.[57]

1957년, 흰두루미는 야생 동물 보호를 지원하기 위해 미국 우표에 등장했다.


아란사스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의 물 공급 문제로 인해 환경 단체와 텍사스 환경 품질 위원회(Texas Commission on Environmental Quality, TCEQ) 사이에 소송이 발생하기도 했다.[58] 법원은 TCEQ에 서식지 보호 계획 개발과 물 취수 허가 중단을 명령했지만, 항소 법원은 이 명령에 대한 집행 정지를 허가했다.[58][59]

개체군 증가에 대비하여 아란사스 보호 구역 근처의 잠재적 해안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도 이루어졌다.[60][61][62][63] ''딥워터 호라이즌'' 원유 유출 사고로 인한 기금으로 17,000 에이커 이상의 토지를 구매하기도 했다.[64]

생존하는 야생 개체군의 이동 주기에 대한 기후 변화의 영향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두루미는 4월과 5월에 번식지에 도착하여 둥지를 짓고, 9월에 텍사스를 거쳐 이동한다.[65]

개체수는 증가 추세에 있지만, 둥지를 떠난 어린 새의 전선 충돌, 월동지의 수질 오염 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111]

6. 1. 1. 재도입 프로그램

여러 차례의 재도입 시도가 있었고, 현재는 다음과 같은 개체군이 형성되어 있다.

  • 그레이스레이크 재도입 (1975년, 실패):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과 캐나다 야생동물 관리국은 아이다호에서 유타를 거쳐 뉴멕시코까지 이어지는 경로를 통해 두 번째 자급자족 무리를 확립하고자 했다. 모래두루미 둥지에 흰두루미 알을 넣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흰두루미가 모래두루미 양부모에게 각인되어 다른 흰두루미와 짝짓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1989년 프로젝트가 중단되었고, 이 개체군에서 살아남은 개체는 없었다.[66][67][68]

  • 플로리다 키시미 재도입 (1993년, 사실상 실패): 미국과 캐나다 흰두루미 복구 팀은 플로리다주 키시미 근처에 비이동 개체군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1993년부터 2004년까지 289마리의 사육된 새들이 방사되었고,[70] 2003년에는 야생에서 태어난 첫 새끼도 관찰되었다.[71] 그러나 높은 사망률과 낮은 번식 성공률로 인해 2005년 추가 방사가 중단되었고, 2012년에는 연구가 중단되었다.[71] 2018년 3월에는 14마리,[47][71] 2020년에는 9마리만 남았다.[57] 2019년과 2021년에는 일부 개체가 루이지애나 재도입 개체군에 합류했다.[73][57]

  • 동부 이주 개체군 재도입 (2001년, 진행 중): 미시시피 강 동쪽에 새로운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시도이다. 초경량 비행기를 따라 이동하도록 훈련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74] 2001년 가을에 시작되어 개체군에 새들이 추가되었다. 2011년 5월, 동부 이주 개체군에는 105마리의 흰두루미가 생존했으며, 그중 일부는 짝을 이루어 번식했다.[79][80] 2011년에는 초경량 항공기 사용 관련 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81] 2016년, 인간의 상호 작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프로그램이 변경되었고,[82] 2020년에는 86마리가 남았다.[57]

  • 루이지애나 비이동 개체군 재도입 (2011년, 진행 중): 플로리다 비이동 개체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루이지애나의 화이트 레이크 습지 보존 지역에 비이동 개체군을 확립하는 노력이 진행되었다.[68] 2011년부터 매년 새들이 방사되었고,[84][85][86][87][88][89] 2016년에는 1939년 이후 처음으로 루이지애나에서 야생 새끼가 부화했다.[93] 2017년부터는 사육된 새의 알을 야생 둥지에 넣어 야생에서 부모 두루미가 키우도록 하는 전략이 도입되었다.[94] 2020년, 이 개체군에는 76마리의 새가 있었다.[57]


재도입된 개체군의 주요 문제는 불법 사냥이었다. 동부 이주 개체군에서는 2년 동안 약 100마리 중 5마리가 총에 맞아 사망했고,[97] 루이지애나 개체군에서는 방사된 147마리 중 약 10%가 총에 맞아 사망했다.[102]

6. 2. 위협 요인

흰두루미는 원래 희귀한 종이었으나, 서식지 파괴와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심각한 멸종 위기 종이 되었다. 사냥 금지 조치와 잠재적인 벌금, 징역형에도 불구하고 불법 사냥은 계속되었다.[43][44][45] 1938년에는 이동하는 무리에 단 15마리의 성체만 남았을 정도였다.

개체수 감소와 더불어 둥지를 떠난 어린 새의 전선 충돌, 월동지의 수질 오염 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111] 또한, 생존하는 야생 개체군의 이동 주기에 대한 기후 변화의 영향도 우려되고 있다. 두루미는 4월과 5월에 번식지에 도착하여 번식을 시작하고 둥지를 짓는다. 어린 흰두루미가 둥지를 떠날 준비가 되면 9월에 출발하여 텍사스를 거쳐 이동한다.[65]

환경 단체인 아란사스 프로젝트는 텍사스 환경 품질 위원회(Texas Commission on Environmental Quality, TCEQ)를 고소하여, 2008년과 2009년 겨울에 약 20마리의 흰두루미가 죽은 원인이 산 안토니오 강과 과달루페 강으로부터의 부적절한 물 흐름 때문이라고 주장했다.[58]

참조

[1] 간행물 "''Grus americana''" 2020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Whooping Crane (Grus americana) https://tpwd.texas.g[...] 2023-09-27
[4] 웹사이트 Whooping Crane, ''Grus americana'' https://fws.gov/spec[...] U.S. Fish & Wildlife Service 2022-04-30
[5] 서적 "[[Wild by Design]]: The Rise of Ecological Restor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22
[6]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7]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Carolina, Florida and the Bahama Islands https://www.biodiver[...] W. Innys and R. Manby
[8] 서적 A Natural History of Uncommon Birds https://www.biodiver[...] Printed for the author at the College of Physicians
[9]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Finfoots, flufftails, rails, trumpeters, cranes, Limpkin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12
[11] 서적 "''Cranes of the World''" http://digitalcomm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83
[12]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3. Hoatzin to auks''" Lynx Edicions 1996
[13] 서적 "''Wading birds of the world''" Blandford Press 1982
[14] 웹사이트 Whooping Crane (Grus americana) http://www.tpwd.stat[...] Texas Parks and Wildlife Department 2007-12-20
[15]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CRC Press
[16] 웹사이트 Whooping Crane http://www.nebraskab[...] 2011-04-05
[17] 문서 "''The myology of the whooping crane, Grus americana''" Illinois biological monographs; v. 24, no. 2 1955
[18] 웹사이트 Whooping Crane - - Birds of North America Online http://bna.birds.cor[...]
[19] 서적 "''A chorus of cranes: the cranes of North America and the world''"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2015
[20] 웹사이트 Craneworld - Kraniche in Bild und Ton: Schreikraniche im Duett http://www.craneworl[...] 2012-03-22
[21] 문서 The Whooping Crane in Mexico: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www.research[...]
[22] 논문 Identifying sustainable winter habitat for whooping cranes 2020-10-01
[23] 웹사이트 Whooping Crane - Grus americana https://tpwd.texas.g[...] Texas Parks and Wildlife Department 2019-02-03
[24] 웹사이트 Grus americana http://www.fs.fed.us[...] USDA Forest Service 2009-11-23
[25] 웹사이트 NPS NNL description of Salt Plains http://www.nature.np[...] National Park Service 2008-12-15
[26] 웹사이트 Species Status and Fact Sheet: WHOOPING CRANE http://www.fws.gov/n[...]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8-02-03
[27] 논문 Unusual wintering distribution and migratory behavior of the Whooping Crane (Grus americana) in 2011–2012 https://digitalcommo[...] 2014
[28] 웹사이트 Whooping Crane - - Birds of North America Online http://bna.birds.cor[...]
[29] 문서 Red River Chloride Control Project, Supplement I to the FEIS: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United States. Army. Corps of Engineers 1995
[30] 웹사이트 USGS Patuxent Wildlife Research Center Whooping Crane Report http://whoopers.usgs[...] 2011-08-30
[31] 웹사이트 WCEP: Whooping Crane Killed by Bobcat http://www.bringback[...] 2011-08-30
[32] 웹사이트 WCEP: Second Whooping Crane Killed by Bobcat http://www.bringback[...] 2011-08-30
[33] 웹사이트 Bobcat's A Suspect After 4 Whooping Cranes Killed https://www.orlandos[...] 1993-02-25
[34] 뉴스 Whooping crane flock loses 2nd member https://www.chicagot[...] 2001-12-20
[35] 웹사이트 Coyote: How does a whooping crane handle it? https://journeynorth[...] Aransas National Wildlife Refuge 2023-02-05
[36] 웹사이트 Bobcats Thin Flock Of Endangered Whooping Cranes https://www.orlandos[...] 1993-07-16
[37] 논문 "Behavioral profiles of the captive juvenile whooping crane as an indicator of post‐release survival"
[38] 서적 The crane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
[39] 웹사이트 Birds News https://birdsnews.co[...]
[40] 간행물 Nutritional Value of Winter Foods for Whooping Cranes Wilson Ornithological Society 1996-12
[41] 웹사이트 Craneworld - Resumés: 7.3 Resumé 2003: Acoustic individual monitoring over six years https://web.archive.[...] 2012-03-22
[42] 웹사이트 Craneworld.de https://web.archive.[...] 2012-03-22
[43] 웹사이트 Endangered whooping cranes shot dead http://news.blogs.cn[...] 2011-01-12
[44] 웹사이트 Endangered whooping crane shot to death in Ala. https://web.archive.[...]
[45] 뉴스 Endangered whooping crane shot and killed http://blogs.discove[...] Animal Planet 2009-12-14
[46] 웹사이트 A Great White Bird http://www.nfb.ca/fi[...] National Film Board/Office national du film, Canada 1976
[47] 보고서 Draft Environmental Assessment: A Proposal to Translocate Whooping Cranes from a Discontinued Non-Essential Experimental Population (BEP) in Central Florida to an Ongoing NEP in Southwestern Louisiana https://www.fws.gov/[...] U. 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17-06
[48] 보고서 Whooping Crane Master Plan for 2007 http://gruitag.org/u[...] 2007-01
[49] 웹사이트 Tex, the whooping crane who needed a little encouragement... https://www.upi.com/[...] UPI 2017-10-02
[50] 웹사이트 George & Tex https://www.youtube.[...] YouTube - International Crane Foundation 2017-10-02
[51] 웹사이트 Man courts whooping crane for three years to save it from extinction https://www.treehugg[...] Tree Hugger 2017-10-02
[52] 웹사이트 CANUS – 186 whooping crane descendants https://whoopingcran[...] Whooping Crane Conservation Association 2018-08-27
[53] 뉴스 A 50-year effort to raise endangered whooping cranes comes to an end https://www.washingt[...] 2017-10-01
[54] 뉴스 End of an era: 50-year-old whooping crane breeding program coming to a close at Maryland's Patuxent refuge 2018-10-12
[55] 웹사이트 Whooping cranes sighted in record numbers https://web.archive.[...] Canadian Press 2007-12-17
[56] 웹사이트 Whooping Crane Survey Results: Winter 2017–2018 https://www.fws.gov/[...]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18-08-27
[57] 보고서 Report on Whooping Crane Recovery Activities: 2019 breeding season-2020 spring migration https://www.fws.gov/[...] Canadian Wildlife Service and US Fish & Wildlife Service
[58] 웹사이트 Texas Water Report: Going Deeper for the Solution http://www.window.st[...] Texas Comptroller of Public Accounts 2014-02-10
[59] 웹사이트 Texas Ordered to Supply Water to Endangered Whooping Cranes http://online.wsj.co[...] 2023-02-07
[60] 뉴스 Texas acquires land for endangered cranes https://www.victoria[...] 2018-08-28
[61] 웹사이트 Easement Program Enhances and Restores Whooping crane Wintering Habitat https://web.archive.[...] USDA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Texas 2018-08-28
[62] 웹사이트 Critical Whooping Crane Wintering Grounds Purchased https://whoopingcran[...] Whooping Crane Conservation Association 2018-08-28
[63] 뉴스 Whoopers expand territory along Mission River and delta https://www.caller.c[...] 2018-08-28
[64] 뉴스 Texas Buys Conservation Land With Oil Spill Money https://www.texastri[...] 2018-08-28
[65] 저널 Are whooping cranes destined for extinction? Climate change imperils recruitment and population growth 2017-04-01
[66] 웹사이트 Whooping Cranes On a Lost Path https://web.archive.[...] US Fish & Wildlife Service 2011-02-22
[67] 웹사이트 Whooping Crane https://savingcranes[...] International Crane Foundation 2024-07-28
[68] 웹사이트 FAQ: Whooping Crane Reintroduction in Louisiana http://www.wlf.louis[...] Department of Wildlife and Fisheries, State of Louisiana
[69] 웹사이트 Current Whooping Crane Flock Status https://web.archive.[...] Whooping Crane Conservation Association
[70] 웹사이트 Florida's Whooping Cranes https://web.archive.[...] Florida Fish and Wildlife Conservation Commission 2016-06-11
[71] 뉴스 Whooping cranes didn't so well in Florida. Next stop: Louisiana https://www.tampabay[...] 2018-08-27
[72] 웹사이트 Current Whooping Crane Flock Status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Crane Foundation
[73] 뉴스 Micanopy whooping crane part of effort to boost crane numbers in Louisiana https://www.dailycom[...] 2019-05-06
[74] 웹사이트 Florida Whooping Crane Non-Migratory Flock (Synopsis) http://www.whoopingc[...] Whooping Crane Conservation Association 2006-12-09
[75] 문서 Crane Migration http://www.operation[...] Operation Migration
[76] 웹사이트 Rare Cranes Led on Migration Killed in Florida Storms, Only 1 Survive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5-10-21
[77] 웹사이트 Single Whooping Crane survives Florida tornadoes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07-12-20
[78] 웹사이트 Field Journal http://www.operation[...] Operation Migration Inc. 2007-12-20
[79] 웹사이트 Flock Status – 2011 May « Whooping Crane Conservation Association http://whoopingcrane[...] Whooping Crane Conservation Association
[80] 간행물 Whooping Crane Eastern Partnership December 2010 Project Update http://bringbackthec[...] Whooping Crane Eastern Partnership 2011-05-09
[81] 웹사이트 Whooping cranes are cleared for takeoff after getting FAA exemption https://www.cnn.com/[...] 2023-02-07
[82] 뉴스 Feds to end ultralight aircraft-led whooping crane migration http://www.chicagotr[...] 2016-06-05
[83] 웹사이트 Eastern Migratory Population Update http://operationmigr[...] Operation Migration 2018-08-27
[84] 웹사이트 Hope remains despite deadly year for whooping cranes in Louisiana https://www.chron.co[...] 2023-02-07
[85] 간행물 Third Cohort of Whooping Cranes Released at White Lake WCA http://www.wlf.louis[...] Louisiana Department of Wildlife and Fisheries 2012-12
[86] 간행물 Fourth Cohort of Whooping Cranes Released at White Lake WCA http://www.wlf.louis[...] Louisiana Department of Wildlife and Fisheries 2014-01
[87] 간행물 14 Juvenile Whooping Cranes Added to Louisiana's Experimental Population http://www.wlf.louis[...] Louisiana Department of Wildlife and Fisheries 2014-12
[88] 간행물 Eleven Juvenile Whooping Cranes Released into the Marsh at White Lake WCA http://www.wlf.louis[...] Louisiana Department of Wildlife and Fisheries 2016-01
[89] 뉴스 Louisiana milestone: wild-hatched whooping crane turns 1 http://www.nola.com/[...] 2017-04-15
[90] 간행물 2019-2020 Louisiana Whooping Crane Report https://www.fws.gov/[...] Louisiana Department of Wildlife and Fisheries
[91] 간행물 2013 Louisiana Whooping Crane Report http://www.rwrefuge.[...] Louisiana Department of Wildlife and Fisheries
[92] 간행물 2014 Louisiana Whooping Crane Report http://www.rwrefuge.[...] Louisiana Department of Wildlife and Fisheries
[93] 뉴스 It's a chick! Louisiana's 1st wild whooping crane since 1939 http://www.nola.com/[...] 2016-06-04
[94] 웹사이트 LW1-17 Hatches Successfully http://www.wlf.louis[...] Louisiana Department of Wildlife and Fisheries 2017-04-10
[95] 뉴스 Five new whooping crane chicks a major boost for reintroduction of once-native birds https://www.theadvoc[...] 2018-08-27
[96] 뉴스 Ville Platte Man Cited for Shooting Whooping Crane http://www.katc.com/[...] KATC.com 2018-08-03
[97] 뉴스 One in Five Whooping Cranes Dies from Gunfire: Some are Trying to Stop It http://www.newsweek.[...] Newsweek.com 2017-05-09
[98] 문서 Citizen Tip Leads to Closure of Whooping Crane Shooting in Indiana http://www.fws.gov/m[...] U.S. Fish & Wildlife Service News 2011-04-18
[99] 웹사이트 "Operation Migration Field Journal, entry All for a Buck", 29 April 2011 http://www.operation[...] 2007-05-06
[100] 문서 What Price Do We Put on an Endangered Bird? http://blogs.smithso[...] Smithsonian 2011-04-26
[101] 문서 Statement in response to questions pertaining to the prosecution and conviction of those individuals involved in the death of a whooping crane on December 1, 2009 http://www.vermillio[...] Vermilion Country Government
[102] 웹사이트 A Whooping Crane's Killer Got Off Easy, Frustrating Conservationists https://www.audubon.[...] Audubon.com 2020-01-21
[103] 웹사이트 Two whooping cranes found dead in Jefferson Davis Parish https://www.kplctv.c[...] 2011-10-11
[104] 간행물 Gueydan Man Pleaded Guilty for Illegal Shooting of Whooping Crane in Federal Court http://www.wlf.louis[...] Louisiana Department of Wildlife and Fisheries 2017-07-11
[105] 잡지 The Beaumont Man Who Killed Two Whooping Cranes Fined And Barred From Owning Firearms For Five Years http://www.texasmont[...] 2017-05-09
[106] 뉴스 Local man convicted of killing whooping cranes headed to prison after violating probation http://kfdm.com/news[...] KFDM.com 2017-07-17
[107] 웹사이트 Two cited for shooting endangered whooping cranes, obstruction of justice https://www.theadvoc[...] The Advocate 2018-04-10
[108]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1 ユーラシア、北アメリカ 講談社 2000年
[109] 서적 動物大百科7 鳥類I 平凡社 1986年
[110]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10-II (ツル目) 東京動物園協会 1989年
[111] 서적 絶滅危惧動物百科1 アイアイ―ウサギ(アラゲウサギ) 朝倉書店 2008年
[112] 간행물 "''Grus americana''" 2020
[113] 웹인용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114] 웹사이트 whooping crane Status and Fact Sheet. http://www.fws.gov/n[...]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8-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