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들 파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들 파워는 국제 체제에서 강대국과 소국의 중간 정도 영향력을 가진 국가를 의미하며, 특정 분야에서 지배적이지 않지만 국제 사회에서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행사한다. 미들 파워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합의되지 않았으며, 경제력, 외교 정책, 다자주의 옹호 등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레스터 대학교와 노팅엄 대학교, 싱가포르 경영대학교, 글로벌 안보 연구소 등에서 미들 파워를 식별하고 분류하는 다양한 기준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다자주의, 국제 협력, 평화 유지를 위한 외교 정책을 선호하며, 국제 분쟁 해결, 개발 원조, 환경 문제 등 공동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미들 파워는 냉전 이후 국제 질서 속에서 그 역할이 중요해졌으며, 21세기에는 지정학적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 주요 중견국으로는 아르헨티나, 캐나다, 인도,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호주 등이 있으며, 강대국과 중견국의 특징을 동시에 가진 국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신조어 - 웰빙
    웰빙은 삶의 질을 포괄하는 척도로서,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의 균형 또는 긍정적인 정도를 나타내며, 개인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목표로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웰빙 증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16세기 신조어 - 유토피아
    유토피아는 토머스 모어가 처음 사용한 단어로, 이상적인 사회를 묘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 왔고, 획일성과 인간 자유 억압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나라 분류 - 연방제
    연방제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권력을 분담하는 정치 체제이며, 지역 이익과 국가 이익의 조화, 다양한 민족 집단의 이익 조정 등 복잡한 과제를 수반하며, 단일 국가, 연합, 제국 등 다른 국가 형태와 구별된다.
  • 나라 분류 - 아랍 세계
    아랍 세계는 북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를 포괄하는 지역으로 아랍어 사용, 문화적 유대, 지리적 인접성을 특징으로 하며, 아랍 연맹 회원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치 형태와 석유 의존적인 경제 구조를 가진다.
  • 정치학 용어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정치학 용어 - 정치적 스펙트럼
    정치적 스펙트럼은 정치적 입장을 분류하는 개념으로, 좌익과 우익의 1차원 모델, 경제적/개인적 자유를 축으로 하는 2차원 모델, 세속주의-전통주의, 생존주의-자기 표현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잉글하트-벨젤 가치관 지도 등 다양한 모델이 존재한다.
미들 파워
개요
정의국제 정치에서 중간 정도의 영향력이나 힘을 가진 국가를 지칭하는 용어
특징큰 강대국은 아니지만, 지역적 또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
외교,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함
종종 국제 협력과 다자주의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음
역할
중재자 및 조정자분쟁 해결을 위한 중재 역할을 수행
강대국 간의 갈등을 완화시키는 역할
규범 형성자국제 사회의 규범과 규칙을 형성하는 데 기여
인권, 환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
연합 구축자특정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국가들과 협력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연합을 형성
분류
지역적 미들 파워특정 지역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 (예: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글로벌 미들 파워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 (예: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신흥 미들 파워경제 성장과 함께 국제적 영향력이 증가하는 국가 (예: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조건
국력상당한 경제 규모
군사적 능력 (상대적)
외교적 역량
자원천연 자원
기술력
인적 자원
정치적 의지국제 문제에 대한 관심과 참여 의지
국제 협력에 대한 지향
예시 국가
아시아대한민국
인도네시아
튀르키예
사우디 아라비아
아메리카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유럽스페인
네덜란드
스위스
스웨덴
이탈리아
오세아니아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남아프리카 공화국
참고
관련 개념소국
강대국
초강대국

2. 정의와 특징

국제 체제에서 강대국과 소국의 중간 정도의 영향력을 가진 국가를 미들 파워라고 한다.[4] 특정 분야에서 지배적이지는 않지만, 국제 사회에서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행사한다. 중견 강국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국가의 행동에 '적절한' 영향을 미치는 능력을 가진 국가로, '영향력이 거의 없는' 소국과는 대조적이다.[4]

국민 총생산 (GNP) 통계가 중견 강국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경제력이 항상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다. 원래 의미에서 중견 강국은 세계적으로 어느 정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만, 어느 한 분야에서도 지배적이지 않은 국가를 의미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보편적이지 않으며, 일부에서는 지역 강국을 중견 강국으로 간주하기도 한다.[4]

레스터 대학교노팅엄 대학교의 학자들은 중견 강국 지위를 식별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는 물리적, 물질적 기준을 집계하여 국가의 상대적 능력을 평가하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이에 따라 국가는 초강대국, 중견 강국, 소국으로 분류된다. 둘째는 행동 속성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으로, 중견 강국이 외교 정책 행동으로 초강대국 및 소국과 구별될 수 있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중견 강국은 좁은 범위와 특정 유형의 외교 정책적 관심사를 추구하며, 국제 평화와 안정을 위해 상대적인 외교 기술을 사용한다.[4]

싱가포르 경영대학교의 에두아르드 요르단은 모든 중견 강국이 다자주의 및 협력적 이니셔티브를 통해 글로벌 질서를 안정화하고 정당화하는 외교 정책 행동을 보인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신흥 및 전통적인 중견 강국은 구성적 및 행동적 차이로 구분될 수 있다. 전통적인 중견 강국은 부유하고 안정적이며 평등주의, 사회 민주주의적이며 지역적으로 영향력이 없는 반면, 신흥 중견 강국은 준 주변적이며, 물질적으로 불평등하며 최근 민주화된 국가로, 상당한 지역적 영향력과 자기 연관성을 보인다.[1]

글로벌 안보 연구소의 프로그램인 중견 강국 이니셔티브(MPI)는 중견 강국을 "정치적, 경제적으로 중요하고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국가로서 핵무기 경쟁을 포기했으며, 이는 상당한 국제적 신뢰도를 부여하는 지위"로 정의한다.[5]

미들 파워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합의되지 않았으며, 일부 강대국과 중복되기도 한다.[158] 미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 이사국이며, 경제력, 군사력, 핵무기 보유 등으로 강대국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을 제외하고는 미들 파워로 간주되기도 한다.[165] 일본독일은 경제력 때문에, 이탈리아G7 지위 때문에 강대국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59] 캐나다도 강대국으로 보는 경우가 있으며,[160] 신흥국 중 인도브라질도 강대국 또는 열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161][162][163][164]

일반적으로 미들 파워는 다자주의, 국제 협력, 평화 유지 등 연성 권력(Soft Power)을 활용한 외교 정책을 선호한다.[1] 국제 분쟁 해결, 개발 원조, 환경 문제 등 국제 사회의 공동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지역 강국으로서 지역 내 안정과 번영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4] 경제력, 군사력, 문화적 영향력 등 다양한 국력 요소를 바탕으로 국제적 위상을 강화한다.

미들 파워의 정의는 학자나 연구자들 사이에서 명확하게 합의되지 않았으며, 일부 강대국과 중복되는 경우도 있다.[158] 어떤 국가가 미들 파워인지에 대한 표준적인 방법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소국보다는 영향력이 크고, 강대국보다는 영향력이 작은 국가를 의미한다.

레스터 대학교노팅엄 대학교의 학자들은 미들 파워를 식별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물리적, 물질적 기준을 통해 국가의 상대적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외교 정책 행동에 초점을 맞춰 국제 평화와 안정을 위해 외교 기술을 사용하는 국가를 미들 파워로 간주하는 것이다.[4]

싱가포르 경영대학교의 에두아르드 요르단은 미들 파워를 전통적 미들 파워와 신흥 미들 파워로 구분한다. 전통적 미들 파워는 부유하고 안정적이며 평등주의, 사회 민주주의적 성향을 띠고 지역적 영향력이 없는 반면, 신흥 미들 파워는 준 주변적이며 물질적으로 불평등하고 최근 민주화된 국가로 상당한 지역적 영향력을 행사한다.[1]

글로벌 안보 연구소의 중견 강국 이니셔티브(MPI)는 미들 파워를 "정치적, 경제적으로 중요하고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국가로서 핵무기 경쟁을 포기"한 국가로 정의한다.[5]

미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이며, 경제력, 군사력, 핵무기 보유 등으로 강대국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미들 파워로 간주되기도 한다.[165] 일본독일은 경제력 때문에 강대국으로 여겨지지만, 이탈리아, 캐나다, 인도, 브라질 등은 강대국 또는 열강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다.[159][160][161][162][163][164]

2. 1. 정의

국제 체제에서 강대국과 소국의 중간 정도의 영향력을 가진 국가를 미들 파워라고 한다.[4] 특정 분야에서 지배적이지는 않지만, 국제 사회에서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행사한다. 중견 강국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국가의 행동에 '적절한' 영향을 미치는 능력을 가진 국가로, '영향력이 거의 없는' 소국과는 대조적이다.[4]

국민 총생산 (GNP) 통계가 중견 강국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경제력이 항상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다. 원래 의미에서 중견 강국은 세계적으로 어느 정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만, 어느 한 분야에서도 지배적이지 않은 국가를 의미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보편적이지 않으며, 일부에서는 지역 강국을 중견 강국으로 간주하기도 한다.[4]

레스터 대학교노팅엄 대학교의 학자들은 중견 강국 지위를 식별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는 물리적, 물질적 기준을 집계하여 국가의 상대적 능력을 평가하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이에 따라 국가는 초강대국, 중견 강국, 소국으로 분류된다. 둘째는 행동 속성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으로, 중견 강국이 외교 정책 행동으로 초강대국 및 소국과 구별될 수 있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중견 강국은 좁은 범위와 특정 유형의 외교 정책적 관심사를 추구하며, 국제 평화와 안정을 위해 상대적인 외교 기술을 사용한다.[4]

싱가포르 경영대학교의 에두아르드 요르단은 모든 중견 강국이 다자주의 및 협력적 이니셔티브를 통해 글로벌 질서를 안정화하고 정당화하는 외교 정책 행동을 보인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신흥 및 전통적인 중견 강국은 구성적 및 행동적 차이로 구분될 수 있다. 전통적인 중견 강국은 부유하고 안정적이며 평등주의, 사회 민주주의적이며 지역적으로 영향력이 없는 반면, 신흥 중견 강국은 준 주변적이며, 물질적으로 불평등하며 최근 민주화된 국가로, 상당한 지역적 영향력과 자기 연관성을 보인다.[1]

글로벌 안보 연구소의 프로그램인 중견 강국 이니셔티브(MPI)는 중견 강국을 "정치적, 경제적으로 중요하고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국가로서 핵무기 경쟁을 포기했으며, 이는 상당한 국제적 신뢰도를 부여하는 지위"로 정의한다.[5]

미들 파워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합의되지 않았으며, 일부 강대국과 중복되기도 한다.[158] 미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 이사국이며, 경제력, 군사력, 핵무기 보유 등으로 강대국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을 제외하고는 미들 파워로 간주되기도 한다.[165] 일본독일은 경제력 때문에, 이탈리아G7 지위 때문에 강대국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59] 캐나다도 강대국으로 보는 경우가 있으며,[160] 신흥국 중 인도브라질도 강대국 또는 열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161][162][163][164]

2. 2. 특징

일반적으로 미들 파워는 다자주의, 국제 협력, 평화 유지 등 연성 권력(Soft Power)을 활용한 외교 정책을 선호한다.[1] 국제 분쟁 해결, 개발 원조, 환경 문제 등 국제 사회의 공동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지역 강국으로서 지역 내 안정과 번영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4] 경제력, 군사력, 문화적 영향력 등 다양한 국력 요소를 바탕으로 국제적 위상을 강화한다.

미들 파워의 정의는 학자나 연구자들 사이에서 명확하게 합의되지 않았으며, 일부 강대국과 중복되는 경우도 있다.[158] 어떤 국가가 미들 파워인지에 대한 표준적인 방법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소국보다는 영향력이 크고, 강대국보다는 영향력이 작은 국가를 의미한다.

레스터 대학교노팅엄 대학교의 학자들은 미들 파워를 식별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물리적, 물질적 기준을 통해 국가의 상대적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외교 정책 행동에 초점을 맞춰 국제 평화와 안정을 위해 외교 기술을 사용하는 국가를 미들 파워로 간주하는 것이다.[4]

싱가포르 경영대학교의 에두아르드 요르단은 미들 파워를 전통적 미들 파워와 신흥 미들 파워로 구분한다. 전통적 미들 파워는 부유하고 안정적이며 평등주의, 사회 민주주의적 성향을 띠고 지역적 영향력이 없는 반면, 신흥 미들 파워는 준 주변적이며 물질적으로 불평등하고 최근 민주화된 국가로 상당한 지역적 영향력을 행사한다.[1]

글로벌 안보 연구소의 중견 강국 이니셔티브(MPI)는 미들 파워를 "정치적, 경제적으로 중요하고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국가로서 핵무기 경쟁을 포기"한 국가로 정의한다.[5]

미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이며, 경제력, 군사력, 핵무기 보유 등으로 강대국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미들 파워로 간주되기도 한다.[165] 일본독일은 경제력 때문에 강대국으로 여겨지지만, 이탈리아, 캐나다, 인도, 브라질 등은 강대국 또는 열강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다.[159][160][161][162][163][164]

3. 역사

중견국이라는 용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질서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등장했다. 이 용어는 처음으로 캐나다 정치 담론에 등장했다. 총리 루이 생 로랑은 캐나다를 "중간 계열의 강대국"이라고 칭했으며, 캐나다의 고전적인 중간 강대국 외교를 정의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진출을 옹호하면서 "캐나다와 영국미국의 특수한 관계가 우리의 책임을 복잡하게 만들지만" 캐나다는 어느 한쪽의 "위성"이 아니며 "우리 국민에 대한 의무와 국제 사회의 복지를 위한 그들의 관심에 비추어 객관적으로 결정을 계속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11] 캐나다 지도자들은 캐나다가 중간 강대국이라고 믿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더 큰 동맹(나토, NORAD)의 하위 파트너였고, 자국 지역 밖의 분쟁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수에즈 위기), 과거 식민 지배국이 아니었으므로 반식민 투쟁에서 중립적이었으며, 유엔에서 소국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초강대국의 지배를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했으며(종종 그러한 이유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 선출됨), 전 세계의 인도주의적 및 평화 유지 노력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2008년 3월, 오스트레일리아 총리 케빈 러드는 그의 국가 외교 정책을 유사한 기준에 따라 "중간 강대국 외교"로 정의했다. 호주는 "글로벌 경제, 안보 및 환경 문제"와 같은 문제에 대해 "국제 의사 결정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다.[12]

3. 1. 냉전 시대

캐나다의 루이 생 로랑 총리는 캐나다를 "중간 계열의 강대국"이라고 칭하며, 캐나다가 나토, NORAD와 같은 동맹의 하위 파트너이지만 어느 한쪽의 위성이 아니며, 유엔에서 소국의 이익을 대변하고 초강대국의 지배를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한다고 설명했다.[11] 그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진출을 옹호하며, 캐나다가 국제 사회의 복지를 위해 객관적으로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11]

2008년 3월, 오스트레일리아케빈 러드 총리는 "중간 강대국 외교"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호주가 "글로벌 경제, 안보 및 환경 문제"와 같은 문제에 대해 "국제 의사 결정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밝혔다.[12]

3. 2. 탈냉전 시대

탈냉전 이후 다극화된 국제 질서 속에서 중견국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캐나다 정치 담론에서 처음으로 "중견국" 용어가 등장했다. 총리 루이 생 로랑은 캐나다를 "중간 계열의 강대국"이라고 칭하며, 캐나다의 고전적인 중견국 외교의 정의를 제시하는 데 기여했다.[11] 그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진출을 옹호하면서 캐나다가 영국미국과의 특수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어느 한쪽의 "위성"이 아니며, "객관적으로 결정을 계속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11] 캐나다 지도자들은 캐나다가 더 큰 동맹(나토, NORAD)의 하위 파트너이고, 자국 지역 밖의 분쟁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수에즈 위기), 과거 식민 지배국이 아니었으므로 반식민 투쟁에서 중립적이며, 유엔에서 소국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초강대국의 지배를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했고, 전 세계의 인도주의적 및 평화 유지 노력에 참여했기 때문에 중견국이라고 믿었다.[11]

2008년 3월, 오스트레일리아 총리 케빈 러드는 그의 국가 외교 정책을 "중간 강대국 외교"로 정의했다. 호주는 "글로벌 경제, 안보 및 환경 문제"와 같은 문제에 대해 "국제 의사 결정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밝혔다.[12]

3. 3. 21세기

클리프 쿱찬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미들 파워를 "지정학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 국가이지만 "미국과 중국, 세계의 두 초강대국보다 덜 강력한" 국가로 묘사한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글로벌 사우스에 위치한 미들 파워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어느 때보다 21세기에 더 많은 힘, 주도권, 그리고 "지정학적 무게감"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브라질, 인도,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터키를 주요 미들 파워로 지목하고, 이들을 대부분의 강대국과 비동맹 상태이기 때문에 새로운 권력 역학을 창출할 수 있는 "스윙 스테이트"로 묘사한다.[13] 이들 국가는 G20 회원국이며,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를 가지고 있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및 국제 기후 행동과 같은 주요 사건에 대한 적극적인 외교적 참여를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13]

쿱찬은 더 강력해진 미들 파워의 부상을 국제 시스템의 여러 역사적 발전, 즉 미국과 중국 사이의 약화된 양극성과 점진적인 탈세계화 추세에 기인한다고 본다. 국제 에너지 시장의 분열은 주요 에너지 수출국인 사우디아라비아에게 더 큰 비중을 주었다. 또한 이러한 미들 파워가 자신의 영향력, 이익 또는 외교 정책 이니셔티브를 발전시키기 위해 주요 강대국 간의 경쟁을 이용하는 능력을 언급한다.

4. 중견국 외교

국제학회의 로라 니악에 따르면, 중견국은 '중견 외교'라고 불리는 국제적 행동, 즉 국제 문제에 대한 다자간 해결책을 추구하는 경향, 국제 분쟁에서 타협적인 입장을 수용하는 경향, 그리고 외교를 이끄는 '좋은 국제 시민'의 개념을 수용하는 경향으로 가장 자주 식별된다.[6] 중견국은 상대적으로 풍부한 자원, 관리 능력, 그리고 국제적 위신을 국제 질서와 평화의 유지에 헌신하는 국가이다. 중견국은 연합 구축, 중재자 및 "중개인" 역할, 그리고 유엔 평화 유지 활동과 같은 국제 분쟁 관리 및 해결 활동을 통해 국제 질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6] 중견국은 중견국이 되는 것과 관련된 이상주의적 당위성 때문에 이러한 국제주의적 활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당위성은 중견국이 때로는 강대국 또는 주요 강대국을 포함하여 국제 질서를 위협하는 세력으로부터 국제 질서를 보호할 도덕적 책임과 집단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당위성은 냉전의 가장 격렬한 시기에 특히 두드러졌다.[6]

국제 관계 학자 아네트 베이커 폭스에 따르면, 중견국과 강대국 간의 관계는 종종 생각하는 것보다 더 복잡한 행동과 협상 방식을 드러낸다.[7] 소에야 요시히데에 따르면, "중견국은 단순히 국가의 규모나 군사력 또는 경제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중견 외교'는 국가가 자원과 지식을 투자하는 문제 영역에 의해 정의된다. 중견국은 강대국과의 직접적인 대립을 피하지만, 스스로를 '도덕적 행위자'로 보고 인권, 환경, 무기 규제와 같은 특정 문제 영역에서 자신만의 역할을 추구한다. 중견국은 초국가적 제도 구축 과정의 원동력이다."[8] 동시에, 학자들은 중견국 간의 적대적 관계와 경쟁 관계, 그리고 소프트 파워를 사용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이집트이스라엘아프리카에서의 경쟁 관계가 있다.[9]

중견 외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8]


  • 글로벌 기구를 통한 다자주의 헌신과 다른 중견국과의 동맹.[10]
  • 국가의 외교 정책에 대한 높은 수준의 시민 사회 침투.
  • '새로운 외교 정책': 평화 유지, 인간 안보, 국제 형사 재판소, 교토 의정서를 통해 국가 정체성을 반영하고 형성하는 국가.


중견국 구상(Middle Powers Initiative)은 중견국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MPI를 통해 8개의 국제 비정부 기구는 핵무기 보유국이 핵 위험을 줄이고 핵무기 폐기를 위한 협상을 시작하기 위한 즉각적인 실질적 조치를 취하도록 장려하고 교육하기 위해 주로 중견국 정부와 협력할 수 있다. 중견국은 정치적, 경제적으로 중요하고,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국가로서 핵무기 경쟁을 포기했기 때문에 군축 문제에서 특히 영향력이 있으며, 이는 그들에게 상당한 정치적 신뢰를 부여한다.

4. 1. 다자주의

국제학회의 로라 니악에 따르면, 중견국은 '중견 외교'라는 국제적 행동을 통해 국제 문제에 대한 다자간 해결책을 추구하고, 국제 분쟁에서 타협적인 입장을 취하며, '좋은 국제 시민' 개념을 수용하는 경향으로 식별된다.[6] 중견국은 풍부한 자원, 관리 능력, 국제적 위신을 바탕으로 국제 질서와 평화 유지에 헌신하며, 연합 구축, 중재자 및 "중개인" 역할, 유엔 평화 유지 활동 등을 통해 이를 수행한다.[6] 이러한 국제주의적 활동은 중견국이 국제 질서를 위협하는 세력으로부터 국제 질서를 보호할 도덕적 책임과 집단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이상주의적 당위성에 기인하며, 이는 냉전 시기에 특히 두드러졌다.[6]

아네트 베이커 폭스에 따르면, 중견국과 강대국 간의 관계는 복잡한 행동과 협상 방식을 보인다.[7] 소에야 요시히데는 중견국 외교가 국가의 규모나 군사력, 경제력보다는 국가가 자원과 지식을 투자하는 문제 영역에 의해 정의된다고 보았다.[8] 중견국은 강대국과의 직접적인 대립을 피하면서도 인권, 환경, 무기 규제와 같은 특정 영역에서 '도덕적 행위자'로서 역할을 추구하며, 초국가적 제도 구축의 원동력이 된다.[8] 학자들은 소프트 파워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려는 중견국 간의 적대적 관계와 경쟁 관계 (예: 이집트이스라엘아프리카에서의 관계[9])에도 주목한다.

중견 외교는 글로벌 기구를 통한 다자주의 헌신과 다른 중견국과의 동맹,[10] 국가 외교 정책에 대한 높은 수준의 시민 사회 침투, 그리고 평화 유지, 인간 안보, 국제 형사 재판소, 교토 의정서와 같은 '새로운 외교 정책'을 통해 국가 정체성을 반영하고 형성하는 특징을 지닌다.[8]

중견국 구상(Middle Powers Initiative)은 중견국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8] 8개의 국제 비정부 기구는 주로 중견국 정부와 협력하여 핵무기 보유국이 핵 위험을 줄이고 핵무기 폐기를 위한 협상을 시작하도록 장려하고 교육한다. 중견국은 정치적, 경제적으로 중요하고 국제적으로 존경받으며, 핵무기 경쟁을 포기했기 때문에 군축 문제에서 영향력을 발휘하여 상당한 정치적 신뢰를 얻는다.

4. 2. 중재와 조정

국제학회의 로라 니악에 따르면, 중견국은 '중견 외교'라는 국제적 행동을 통해 국제 문제에 대한 다자간 해결책을 추구하고, 국제 분쟁에서 타협적인 입장을 수용하며, 외교를 이끄는 '좋은 국제 시민' 개념을 수용하는 경향으로 식별된다.[6] 중견국은 풍부한 자원, 관리 능력, 국제적 위신을 바탕으로 국제 질서와 평화 유지에 헌신한다.[6] 이들은 연합 구축, 중재자 및 "중개인" 역할, 유엔 평화 유지 활동 등 국제 분쟁 관리 및 해결 활동을 통해 국제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6] 중견국은 이상주의적 당위성에 따라 국제주의적 활동을 수행하며, 때로는 강대국을 포함하여 국제 질서를 위협하는 세력으로부터 국제 질서를 보호할 도덕적 책임과 집단적 능력을 가진다고 여긴다.[6]

국제 관계 학자 아네트 베이커 폭스는 중견국과 강대국 간의 관계가 복잡한 행동과 협상 방식을 보인다고 설명한다.[7] 소에야 요시히데에 따르면, "중견 외교"는 국가가 자원과 지식을 투자하는 문제 영역에 의해 정의된다.[8] 중견국은 강대국과의 직접적인 대립을 피하면서도 인권, 환경, 무기 규제와 같은 특정 문제 영역에서 '도덕적 행위자'로서 역할을 추구하며, 초국가적 제도 구축 과정의 원동력이다.[8] 그러나 중견국 간에도 적대적 관계와 경쟁 관계가 존재하며, 소프트 파워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려는 경향도 나타난다. 아프리카에서 이집트이스라엘의 경쟁 관계가 그 예시이다.[9]

중견 외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8]

  • 글로벌 기구를 통한 다자주의 헌신 및 다른 중견국과의 동맹.[10]
  • 국가 외교 정책에 대한 높은 수준의 시민 사회 침투.
  • 평화 유지, 인간 안보, 국제 형사 재판소, 교토 의정서와 같이 국가 정체성을 반영하고 형성하는 '새로운 외교 정책'.


중견국 구상(Middle Powers Initiative)은 중견국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8개의 국제 비정부 기구는 중견국 정부와 협력하여 핵무기 보유국이 핵 위험을 줄이고 핵무기 폐기 협상을 시작하도록 장려한다. 중견국은 정치적, 경제적 중요성과 국제적 존경을 받으며, 핵무기 경쟁을 포기했기 때문에 군축 문제에서 영향력을 발휘하여 정치적 신뢰를 얻는다.

4. 3. 국제 협력

국제학회의 로라 니악에 따르면, 중견국은 '중견 외교'라는 국제적 행동을 통해 국제 문제에 대한 다자간 해결책을 추구하고, 국제 분쟁에서 타협적인 입장을 수용하며, 외교를 이끄는 '좋은 국제 시민' 개념을 수용하는 경향으로 식별된다.[6] 중견국은 풍부한 자원, 관리 능력, 국제적 위신을 바탕으로 국제 질서와 평화 유지를 위해 노력한다.[6] 연합 구축, 중재자 및 "중개인" 역할, 유엔 평화 유지 활동 등 국제 분쟁 관리 및 해결 활동을 통해 국제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6] 이러한 국제주의적 활동은 중견국이 국제 질서를 위협하는 세력으로부터 국제 질서를 보호할 도덕적 책임과 집단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이상주의적 당위성에 기반한다.[6]

아네트 베이커 폭스는 중견국과 강대국 간의 관계가 복잡한 행동과 협상 방식을 보인다고 설명한다.[7] 소에야 요시히데에 따르면, "중견 외교"는 국가가 자원과 지식을 투자하는 문제 영역에 의해 정의된다.[8] 중견국은 강대국과의 직접적인 대립을 피하면서도 인권, 환경, 무기 규제와 같은 특정 문제 영역에서 '도덕적 행위자'로서 역할을 추구하며, 초국가적 제도 구축 과정의 원동력이 된다.[8]

중견 외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8]

  • 글로벌 기구를 통한 다자주의 헌신 및 다른 중견국과의 동맹.[10]
  • 국가 외교 정책에 대한 높은 수준의 시민 사회 침투.
  • 평화 유지, 인간 안보, 국제 형사 재판소, 교토 의정서와 같이 국가 정체성을 반영하고 형성하는 '새로운 외교 정책'.


중견국 구상(Middle Powers Initiative)은 중견국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8] 8개의 국제 비정부 기구는 핵무기 보유국이 핵 위험을 줄이고 핵무기 폐기를 위한 협상을 시작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주로 중견국 정부와 협력한다. 중견국은 정치적, 경제적으로 중요하고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국가이며, 핵무기 경쟁을 포기하여 군축 문제에서 상당한 정치적 신뢰를 얻고 있다.

5. 중견국 목록



중견국의 목록은 학자와 연구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55] 목록은 종종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며 비교적 큰 국가(예: 아르헨티나)와 비교적 작은 국가(예: 노르웨이)가 함께 나열되는 경향이 있다.[55]

일반적으로 중견국으로 분류되는 국가는 다음과 같다:



일부 더 큰 중견국은 지역 강국G20 회원국으로 간주되고(예: 오스트레일리아), 다른 국가는 매우 쉽게 소국으로 간주될 수 있다(예: 체코).[56]

5. 1. 강대국과 중첩되는 국가

일부 국가는 강대국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중견국의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14]

중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미국과 같은 국가는 경제적, 군사적 또는 전략적 중요성, 인정된 핵 강국 지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지위 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주요 강대국으로 간주된다. 학자들은 또한 대규모의 선진 경제와 군사적, 전략적 능력보다는 세계적 영향력으로 인해 독일, 인도, 일본을 주요 강대국으로 자주 언급한다.[15] 그러나 일부 출처에서는 때때로 이러한 국가들을 중견 강대국으로 지칭하기도 한다.[16][17]

존 키르톤과 로베르토 기메노와 같은 국제 관계 분야의 일부 전문가들은 이탈리아G7 및 NATO 퀸트의 지위와 회원국 자격으로 인해 주요 강대국이라고 주장한다.[18][19] 또한, 헤이그 전략 연구 센터(HCSS)의 2014년 보고서에 따르면 이탈리아는 주요 강대국에 포함되어 있다.[20] 인도를 주요 강대국으로 보는 광범위한 학문적 지지는 드물지만, 말리크 모한과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박사 등 정치학 분야의 일부 전문가들은 인도 역시 주요 강대국으로 간주한다.[21][22] 마찬가지로, 브라질은 경제력과 영향력으로 인해 때때로 주요 강대국으로 언급되며,[23][24] 이탈리아는 이러한 요인과 문화적 영향력으로 인해 때때로 주요 강대국으로 간주된다.

냉전 이후 시대의 어느 시점에서 학자나 다른 전문가들에 의해 주요 강대국으로 여겨졌지만, 중견 강대국으로도 간주된 국가는 다음과 같다: 브라질,[25][26][27][28] 프랑스,[16][29] 독일,[30][31][29] 인도,[32][151][33][34][35][29] 이탈리아,[36][37][38] 일본,[39][151][40][29] 러시아,[41][42] 영국.[16][43][29]

미국[44][45]중국[46][47][48][49][50]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전통적인 주요 강대국의 기준을 초과하거나, 대신 초강대국으로 여겨진다.[51][52][53][54]

5. 2. 주요 중견국



어떤 국가가 중견국으로 간주되는지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서 만장일치의 합의는 존재하지 않는다.[55] 목록은 종종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며 비교적 큰 국가(예: 아르헨티나)와 비교적 작은 국가(예: 노르웨이)가 함께 나열되는 경향이 있다.[55]

일반적으로 중견국으로 분류되는 국가는 다음과 같다:

일부 더 큰 중견국은 지역 강국G20 회원국으로 간주되고(예: 오스트레일리아), 다른 국가는 매우 쉽게 소국으로 간주될 수 있다(예: 체코).[56]

6. 한국의 중견국 외교



대한민국은 경제 발전과 민주화를 동시에 달성한 국가로서, 국제 사회에서 모범적인 중견국으로 평가받고 있다.

6. 1. 한국의 역할

6. 2. 과제

참조

[1] 논문 The concept of a middle pow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distinguishing between emerging and traditional middle powers https://ink.library.[...] 2003
[2]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3-10-18
[3] 웹사이트 Making Australia a force for good http://eherald.alp.o[...] Labor eHerald 2006
[4] 논문 A Middle Power Paradox? South African Diplomacy in the Post-apartheid Era http://journals.sage[...] 2001-04
[5] 간행물 Building Bridges: What Middle Power Countries Should Do To Strengthen the NPT http://www.gsinstitu[...] GSI 2004
[6] 간행물 From Recognition to Intervention: The Shift from Traditional to Liberal International Law http://www.ciaonet.o[...] null 2000
[7] 서적 The Politics of Attraction: Four Middle Powers and the United State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7
[8] 웹사이트 Middle Power Diplomacy http://faculty.arts.[...] 2007-05-18
[9] 논문 Middle Powers and Soft-Power Rivalry: Egyptian–Israeli Competition in Africa 2023
[10] 서적 Canadian studies in the new millenniu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6-02-24
[11] 서적 Challenge & Survival: The History of Canada Prentice-Hall 1970
[12] 뉴스 Time to go global, urges Rudd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2008
[13] 웹사이트 6 Swing States Will Decide the Future of Geopolitics https://foreignpolic[...] 2023-06-21
[14] 논문 "A NEW APPROACH TO GLOBAL SECURITY: PIVOTAL MIDDLE POWERS AND GLOBAL POLITICS" 2006
[15] 백과사전 Encarta – The Great Powers http://encarta.msn.c[...]
[16] 서적 European Security After 9/11 https://books.google[...] Ashgate 2004
[17] 간행물 'Diplomacy for Japan as a Middle Power' 2008
[18] 간행물 Russia and the Great Powers (G8 and China) http://cartographie.[...] 2007
[19] 웹사이트 The Seven-Power Summit as an International Concert http://www.g8.utoron[...]
[20] 웹사이트 Why are Pivot states so Pivotal? http://www.hcss.nl/r[...] 2016-02-24
[21] 서적 Strategic Vision: America & the Crisis of Global Power https://archive.org/[...] 2012
[22] 서적 China and India: Great Power Rivals FirstForumPress 2011
[23] 서적 The BRICs Superpower Challenge: Foreign and Security Policy Analysis https://books.google[...] Ashgate 2015-09-21
[24] 간행물 On the Manner of Practising the New Diplomacy http://se1.isn.ch/se[...] ISN 2006
[25] 웹사이트 Especialistas reclamam reconhecimento do Brasil como potência mundial. http://www.ibsanews.[...] IBS News 2017-04-07
[26] 웹사이트 Pela primeira vez Brasil emerge como potência internacional, diz Patriota http://www.dci.com.b[...] 2017-04-07
[27] 웹사이트 Brazil – Emerging Soft Power of the World. http://allafrica.com[...] allAfrica.com 2017-04-07
[28] 뉴스 Brasil ganha dos Estados Unidos em influência na América do Sul http://www.sidneyrez[...] 2017-04-07
[29] 서적 The Dilemma of Middle Powers: How AUKUS Has Reshaped the Potential for E3 Cooperation in the Indo-Pacific https://www.ifri.org[...] Ifri 2022-01-08
[30] 서적 A Rising Middle Power?: German Foreign Policy in Transformation, 1989–1999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0
[31] 논문 Neither Hegemony nor Dominance: Reconsidering German Power in Post Cold-War Europe
[32]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India https://power.lowyin[...] 2021-12-18
[33] 논문 'Reinterpreting India''s Rise through the Middle Power Prism' 2011
[34] 서적 India's Foreign Policy since 1971 The Roy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ffairs, London: Pinter Publishers 1990
[35] 논문 'India''s Regional and International Support for Democracy: Rhetoric or Reality?' 2009
[36] 서적 Italy and the European Union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1
[37] 서적 Italy: Justice System and National Police Handbook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2009
[38] 간행물 Italy's 'Middle Power' Approach to Russia https://doi.org/10.1[...] 2018-10
[39]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https://power.lowyin[...] 2021-12-18
[40] 논문 Middlepowermanship, Japan, and Future World Order 1989
[41]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https://power.lowyin[...] 2021-12-18
[42] 간행물 Russia as a great power, 1815–2007
[43] 간행물 A Force for Order: Strategic Underpinnings of the Next NSS and SDSR 2015-05
[44] 서적 From Colony to Superpower: U.S. Foreign Relations since 1776 2008
[45]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https://power.lowyin[...] 2021-12-18
[46] 웹사이트 From Rural Transformation to Global Integration: The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s of China's Rise to Superpower http://www.carnegie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10-01-17
[47] 뉴스 A Point Of View: What kind of superpower could China be? https://www.bbc.co.u[...] BBC 2012-10-19
[48] 간행물 China: Emerging superpower https://www.research[...] 2019-06-13
[49] 웹사이트 China as a global power http://china.usc.edu[...] China.usc.edu 2007-11-13
[50]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https://power.lowyin[...] 2021-12-18
[51] 웹사이트 China-US: Relations fray between the two superpowers https://www.aljazeer[...] 2020-07-17
[52] 웹사이트 Five big takeaways from the 2019 Asia Power Index https://www.lowyinst[...]
[53] 웹사이트 Many Germans believe China will replace US as superpower: survey https://www.dw.com/e[...] 2020-07-14
[54] 서적 The Dilemma of Middle Powers: How AUKUS Has Reshaped the Potential for E3 Cooperation in the Indo-Pacific https://www.ifri.org[...] Institut français des relations internationales 2021-10
[55] 웹사이트 South African Foreign Policy and Middle Power Leadership http://www.issafrica[...] ISS 1997
[56] 간행물 The New International Role of Small(er) States https://politicsince[...] 2005-11
[5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anadian Politics https://books.google[...] OUP USA 2024-05-09
[58] 서적 Middle Power in the Middle East: Canada's Foreign and Defence Policies in a Changing Reg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9] 웹사이트 Middle Powers Initiative Briefing Paper http://www.gsinstitu[...] GSI 2006
[60] 웹사이트 Niche Diplomacy - Middle Powers after the Cold War http://www.palgrave.[...] palgrave 1997
[61] 서적 Towards North-South Middle Power Coalitions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90
[62] 웹사이트 Morocco and Algeria, the struggle for regional leadership https://atalayar.com[...] Atalayar 2020-06-05
[63] 논문 'Lessons from/for BRICSAM about South-North Relations at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Economic Size Trumps All Else?' 2007
[64] 웹사이트 Scrapping the Bomb: The role of middle power countries http://www.ploughsha[...] Ploughshares Monitor 1997
[65] 뉴스 The Rise of the Middle Power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Company 2012-09-10
[66] 웹사이트 Ethiopia: East Africa's Emerging Giant https://www.cfr.org/[...]
[67] 웹사이트 5 reasons why Ethiopia could be the next global economy to watch https://www.weforum.[...]
[68] 웹사이트 Ethiopia Can Be Africa's Next Superpower https://www.somtribu[...] 2020-08-29
[69] 웹사이트 Kenya: A Regional Power in Africa and the Indo-Pacific – Analysis https://www.eurasiar[...] 2023-08-21
[70] 서적 Between a Regional Hegemon and a Middle Power: The Case of Nigeria
[71] 간행물 "Middle Powers: IBSA and the New South-South Cooperation. NACLA Report on the Americas" 2007
[72] 서적 "South Africa: Understanding the Upstairs and the Downstairs" Macmillan 1997
[73] 간행물 "South Africa's Emergence as a Middle Power" 1998
[74] 웹사이트 The Apartheid Republuc and African States http://www.h-net.org[...] 2006
[75] 간행물 "Barking at the Big Dogs: South Africa's Foreign Policy Towards the Middle East" 2008
[76] 논문 Emerging Middle Powers' Soft Balancing Strategy: State and Perspectives of the IBSA Dialogue Forum 2007-08-01
[77] 웹사이트 Middle Power Leadership on the Human Security Agenda http://cac.sagepub.c[...] 2005
[78] 웹사이트 A Middle-Power Military in Alliance: Canada and NORAD https://www.jstor.or[...] 1997
[79] 웹사이트 Quest to Reify Canada as a Middle Power http://www.dissident[...] 2003
[80] 웹사이트 On the Manner of Practising the New Diplomacy http://se1.isn.ch/se[...] 2006
[81] 웹사이트 THE UN DISARMAMENT CONFERENCE IN KYOTO http://www.disarm.em[...] disarm.emb-japan.go.jp 2015-11-13
[82] 웹사이트 On the Manner of Practising the New Diplomacy http://se1.isn.ch/se[...] The Centre for International Governance Innovation 2015-11-13
[83] 서적 "Middle Powers and Regionalism in the Americas: The Cases of Argentina and Mexico" Macmillan 1997
[84] 간행물 "Middle Powers to the Rescue?" 2000
[85] 웹사이트 Mexico – a Reluctant Middle Power? http://www.fes-globa[...] 2006
[86] 웹사이트 A Balancing Act: The Role of Middle Powers in Contemporary Diplomacy https://www.clingend[...] Clingendael Institute 2019-05-18
[87]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Diplomacy and Statecraf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88] 간행물 "Bangladesh at 50: The Rise of A Bangladesh That Can Say No" https://apcss.org/ne[...] 2022-01-06
[89]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North Korea" https://power.lowyin[...] 2021-12-18
[90]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Indonesia" https://power.lowyin[...] 2021-12-18
[91] 서적 "Middle Power Statecraft: Indonesia, Malaysia, and the Asia Pacific" Ashgate Publishing 2005
[92] 서적 "Syria and Iran: Middle Power in a Penetrated Regional System" Routledge 1997
[93] 간행물 "Middle Powers and American Foreign Policy: Lessons for Irano-U.S. Relations"
[94] 웹사이트 Iran Analysis Quarterly http://web.mit.edu/I[...] 2004
[95] 웹사이트 Iran https://publications[...] 2006
[96] 웹사이트 www.lrb.co.uk http://www.lrb.co.uk[...]
[97] 웹사이트 www.acronym.org.uk http://www.acronym.o[...] 2014-02-02
[98] 웹사이트 Kazakhstan and the struggle over Central Asia https://spectator.us[...] 2020-02-17
[99] 간행물 Kazakhstan's Middle Power Response to Terrorism https://www.insightt[...] 2018-10-01
[100]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Malaysia" https://power.lowyin[...] 2021-12-18
[101] 서적 The Americas in Transition: The Contours of Regionalism https://books.google[...] 1999
[102] 서적 "Mahathir's Malaysia: An Emerging Middle Power?" Macmillan 1997
[103]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Pakistan" https://power.lowyin[...] 2021-12-18
[104]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the great powers: world politics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Polity 2011-12-27
[105]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Philippines" https://power.lowyin[...] 2021-12-18
[106] 서적 Middle Power Statecraft https://books.google[...]
[107] 웹사이트 Middle Powers: Squeezed out or Adaptive? https://web.archive.[...] Public Diplomacy Magazine 2015-03-12
[108] 웹사이트 Mediation and Qatari Foreign Policy https://web.archive.[...] 2015-03-12
[109]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South Korea https://power.lowyin[...] 2021-12-18
[110] 간행물 South Korea's foreign policy in the post-Cold War era: A middle power perspective http://sc.lib.muohio[...] 1997
[111] 논문 'South Korea and Sino-Japanese Rivalry: A Middle Power's Options Within the East Asia Core Triangle' 2007
[112] 서적 'Korea as a Middle Power in Northeast Asian Security' Rowman & Littlefield 2008
[113] 뉴스 The plucky country and the lucky country draw closer https://archive.toda[...] 2008-11-27
[114] 웹사이트 Kawaguchi asks Saudi Arabia to put pressure on Iraq Japan Policy & Politics http://findarticles.[...]
[115] 웹사이트 Saudi Surprise http://yaleglobal.ya[...] 2004-08-26
[116]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Singapore https://power.lowyin[...] 2021-12-18
[117] 웹사이트 Middle Powers, Norms, and Balancing: ROK's and ASEAN's Normative Balancing against Rising China http://web.isanet.or[...] Chung-Ang University 2020-02-08
[118] 서적 Rethinking Middle Powers in the Asian Century: New Theories, New Cases Routledge 2018
[119]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Taiwan https://power.lowyin[...] 2021-12-18
[120] 뉴스 Taiwan signals its readiness to join the world's democratic powers https://www.smh.com.[...] 2020-01-10
[121]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Thailand https://power.lowyin[...] 2021-12-18
[122] 서적 'Turkey: A Middle Power in the New Order' Macmillan 1997
[123] 웹사이트 The UAE and Egypt's New Frontier in Libya http://nationalinter[...] 2014-10-26
[124] 웹사이트 Middle Power Diplomacy http://www.gevans.or[...] 2014-10-26
[125]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Vietnam https://power.lowyin[...] 2021-12-18
[126] 웹사이트 Middle Powers, Joining Together: The Case of Vietnam and Australia https://thediplomat.[...]
[127] 웹사이트 A Balancing Act: The Role of Middle Powers in Contemporary Diplomacy https://web.archive.[...] The Hague Center for Strategic Studies 2020-02-08
[128] 서적 Contemporary Austrian Poli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9-17
[129] 서적 Stuck in Middle GEAR: South Africa's Post-apartheid Foreign Relation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1
[130] 간행물 The UN Disarmament Conference in Kyote http://www.disarm.em[...] 2002
[131] 뉴스 From Rwanda to Darfur: Lessons learned? http://www.sudantrib[...] SudanTribune 2006
[132] 학술 논문 Cycles of middle power activism: Constraint andchoice in Australian and Canadian foreign policies http://www.internati[...] 2020-02-10
[133] 간행물 Middle Power Internationalism http://mqup.mcgill.c[...] MQUP 1990
[134] 학술 논문 The Concept of Middle Power https://www.academia[...] Ohio State University 2020-02-08
[135] 서적 Weak Stat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0
[136] 서적 The Military in greek Politics https://books.google[...] Black Rose Books 1997
[137] 학술 논문 Middle Power Leadership and Coalition Building https://www.jstor.or[...] 1990
[138] 서적 Middle Power Internationalism: The North-South Dimension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90
[139] 서적 Ireland in International Affairs: Interests, Institutions and Identities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002
[140] 뉴스 Representing Ireland – multitasking in a multilateral world https://www.irishtim[...] 2020-02-08
[141] 서적 Ireland and International Peacekeeping Operations 1960-2000 Routledge 2014-04-23
[142] 간행물 The Role of Middle Power–NGO Coalitions in Global Policy: The Case of the Cluster Munitions Ban Wiley 2010-05-07
[143] 문서 Harper's Foreign Policy Success? http://www.g8.utoron[...] 2006
[144] 문서 Géopolitique Larousse 2009
[145] 서적 Turkish Policy Quarterly, Volume 4 https://books.google[...] Big Art 2005
[146] 서적 The middle powers and the general interest https://archive.org/[...] The North-South Institute 1988-06-01
[147] 문서 Middle Power Clout: Sweden And The Development Banks http://www.nsi-ins.c[...] 1995
[148] 웹사이트 South African Foreign Policy and Middle Power Leadership - Fairy God-mother, Hegemon or Partner? In Search of a South African Foreign Policy - Monograph No 13, 1997 http://www.issafrica[...] 2015-04-26
[149] 서적 Bridging the European Divide Rowman & Littlefield
[150]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Australia https://power.lowyin[...] 2021-12-18
[151] 문서 Japan Accepts its "Middle-Power" Fate 2008
[152] 문서 Questioning Indonesia's place in the world 2011-09-20
[153]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the Great Powers Polity Press
[154] 문서 Middle Power Bandwagoning? Australia's Security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http://www.allacadem[...] allacademic 2005
[155] 서적 Middle Powers and the Rise of China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14-07-08
[156]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21 Edition {{!}} New Zealand https://power.lowyin[...] 2021-12-18
[157] 문서 日本国縦横無尽-7-「大国」,「中国」,「小国」 https://cir.nii.ac.j[...]
[158] 문서 A NEW APPROACH TO GLOBAL SECURITY: PIVOTAL MIDDLE POWERS AND GLOBAL POLITICS 2006
[159] 문서 Why are Pivot states so Pivotal? https://web.archive.[...] 2016-02-24
[160] 문서 Canada in the Great Power Game 1914-2014
[161] 문서 Strategic Vision: America & the Crisis of Global Power https://archive.org/[...] 2012
[162] 문서 China and India: Great Power Rivals FirstForumPress 2011
[163] 문서 The BRICs Superpower Challenge: Foreign and Security Policy Analysis https://books.google[...] Ashgate 2013
[164] 문서 On the Manner of Practising the New Diplomacy 2006
[165] 문서 European Security After 9/11 https://books.google[...] Ashgate 2004
[166] 간행물 Russia as a great power, 1815–2007
[167] 문서 Middlepowermanship, Japan, and Future World Order 1989
[168] 문서 A Rising Middle Power?: German Foreign Policy in Transformation, 1989-1999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0
[169] 간행물 Neither Hegemony nor Dominance: Reconsidering German Power in Post Cold-War Europe http://journals.camb[...]
[170] 문서 Reinterpreting India's Rise through the Middle Power Prism 2011
[171] 문서 India's Foreign Policy since 1971 Pinter Publishers 1990
[172] 문서 India's Regional and International Support for Democracy: Rhetoric or Reality? 2009
[173] 문서 The concept of a middle pow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http://www.informawo[...] informaworld 2003
[174] 문서 Middle Power Leadership on the Human Security Agenda http://cac.sagepub.c[...] SAGE 2005
[175] 문서 A Middle-Power Military in Alliance: Canada and NORAD http://www.jstor.org[...] JSTOR 1997
[176] 간행물 Quest to Reify Canada as a Middle Power http://www.dissident[...] Dissident Voice 2003
[177] 서적 Italy and the European Union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1
[178] 서적 Italy: Justice System and National Police Handbook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2009
[179] 간행물 On the Manner of Practising the New Diplomacy http://se1.isn.ch/se[...] ISN 2006
[180] 논문 Middle Powers: IBSA and the New South-South Cooperation. NACLA Report on the Americas 2007
[181] 간행물 Emerging Middle Powers' Soft Balancing Strategy: State and Perspective of the IBSA Dialogue Forum. GIGA 2007
[182] 간행물 A Balancing ActThe Role of Middle Powers in Contemporary Diplomacy https://www.clingend[...] Strategic Monitor 2018-2019
[183] 간행물 Middle Powers Initiative Briefing Paper http://www.gsinstitu[...] GSI 2006
[184] 간행물 Niche Diplomacy - Middle Powers after the Cold War http://www.palgrave.[...] palgrave 1997
[185] 서적 Towards North-South Middle Power Coalitions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90
[186] 뉴스 Morocco and Algeria, the struggle for regional leadership https://atalayar.com[...] atalayar 2020-06-05
[187]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the Great Powers Polity Press 2004
[188] 간행물 Middle Power Bandwagoning? Australia's Security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http://www.allacadem[...] allacademic 2005
[189] 뉴스 Questioning Indonesia's place in the world Asia Times 2011-09-20
[190] 논문 Japan Accepts its "Middle-Power" Fate 2008
[191]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demosserv[...] 2016-06-04
[192] 간행물 The UN Disarmament Conference in Kyote http://www.disarm.em[...] 2002
[193] 간행물 From Rwanda to Darfur: Lessons learned? http://www.sudantrib[...] SudanTribune 2006
[194] 간행물 Middle Power Internationalism http://mqup.mcgill.c[...] MQUP 1990
[195] 간행물 Scrapping the Bomb: The role of middle power countries http://www.ploughsha[...] Ploughshares Monitor 1997
[196] 웹사이트 L’Éthiopie, une puissance africaine ? https://www.cairn.in[...]
[197] 서적 The Military in greek Politics https://books.google[...] Black Rose Books 1997
[198] 간행물 Middle Power Leadership and Coalition Building http://www.jstor.org[...] 1990
[199] 간행물 South African Foreign Policy and Middle Power Leadership http://www.issafrica[...] ISS 1997
[200] 서적 Middle Power Statecraft: Indonesia, Malaysia, and the Asia Pacific Ashgate Publishing 2005
[201] 서적 Syria and Iran: Middle Power in a Penetrated Regional System Routledge 1997
[202] 논문 Middle Powers and American Foreign Policy: Lessons for Irano-U.S. Relations 2000
[203] 간행물 Iran Analysis Quarterly http://web.mit.edu/I[...] MIT 2004
[204] 간행물 Iran http://www.publicati[...] 2006
[205] 웹사이트 www.lrb.co.uk http://www.lrb.co.uk[...]
[206] 웹사이트 www.acronym.org.uk http://www.acronym.o[...]
[207] 뉴스 Kazakhstan and the struggle over Central Asia https://spectator.us[...] Spectator USA 2019-06-05
[208] 뉴스 Kazakhstan’s Middle Power Response to Terrorism https://www.insightt[...] 2018-10-01
[209] 문서 Middle Power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A Preliminary Assessment of Potential 1987
[210] 서적 The Americas in Transition: The Contours of Regionalism https://books.google[...] 1999
[211] 서적 Mahathir's Malaysia: An Emerging Middle Power? Macmillan
[212] 서적 Middle Powers and Regionalism in the Americas: The Cases of Argentina and Mexico Macmillan
[213] 간행물 Middle Powers to the Rescue? Far Eastern Economic Review
[214] 간행물 Mexico – a Reluctant Middle Power? http://www.fes-globa[...] FES
[215] 간행물 Morocco's Contemporary Diplomacy as a Middle Power https://jia.sipa.col[...]
[216] 웹사이트 Building Bridges: What Middle Power Countries Should Do To Strengthen the NPT http://www.gsinstitu[...] GSI
[217]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the great powers: world politics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Polity 2011-12-27
[218] 문서 a Middle Power like Peru lack the diplomatic and other resources...
[219] 서적 Middle Power Statecraft https://books.google[...]
[220] 간행물 Harper’s Foreign Policy Success? http://www.g8.utoron[...]
[221] 서적 Géopolitique Larousse
[222] 간행물 Middle Powers: Squeezed out or Adaptive? https://web.archive.[...] Public Diplomacy Magazine
[223] 간행물 Mediation and Qatari Foreign Policy https://web.archive.[...]
[224] 웹사이트 http://findarticles.[...]
[225] 웹사이트 http://yaleglobal.ya[...]
[226] 간행물 Transforming Singapore's Military Security Landscape: Problems and Prospects http://www.allacadem[...] allacademic
[227] 간행물 Singapore's Defence: Capabilities, Trends, and Implications http://www.questia.c[...] questia
[228] 서적 South Africa: Understanding the Upstairs and the Downstairs Macmillan
[229] 간행물 South Africa's Emergence as a Middle Power Third World Quarterly
[230] 간행물 The Apartheid Republuc and African States http://www.h-net.org[...] H-Net
[231] 간행물 South Africa's Foreign Policy Towards the Middle East Round Table
[232] 간행물 South Korea's foreign policy in the post-Cold War era: A middle power perspective http://sc.lib.muohio[...]
[233] 간행물 South Korea and Sino-Japanese Rivalry: A Middle Power's Options Within the East Asia Core Triangle Pacific Review
[234] 서적 Korea as a Middle Power in Northeast Asian Security Rowman & Littlefield
[235] 뉴스 The plucky country and the lucky country draw closer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2008-11-27
[236] 웹사이트 Middle Power Clout: Sweden And The Development Banks http://www.nsi-ins.c[...]
[237] 간행물 Lessons from/for BRICSAM about South-North Relations at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Economic Size Trumps All Else?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238] 서적 Turkey: A Middle Power in the New Order Macmillan
[239] 서적 Bridging the European Divide Rowman & Littlefield
[240] 간행물 국제통상제도에서 중견국의 변화와 유형 :제3세계 중견국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21세기정치학회보
[241] 문서 국제안보에 있어 중견국(middle power)외교
[242] 서적 The Americas in Transition: The Contours of Regionalism http://books.google.[...]
[243] 웹사이트 South African Foreign Policy and Middle Power Leadership http://www.iss.co.za[...] ISS
[244] 웹사이트 The UN Disarmament Conference in Kyote http://www.disarm.em[...]
[245] 웹사이트 Middle Powers Initiative Briefing Paper http://www.gsinstitu[...] GSI
[246] 웹사이트 Niche Diplomacy - Middle Powers after the Cold War http://www.palgrave.[...] 2012-03-06
[247] 웹사이트 State Society and Governance in Melanesia http://rspas.anu.edu[...] 2009-10-09
[248]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the Great Powers Polity Press
[249] 웹사이트 Middle Power Bandwagoning? Australia's Security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http://www.allacadem[...] 2020-06-10
[250] 웹사이트 From Rwanda to Darfur: Lessons learned? http://www.sudantrib[...] 2020-07-13
[251] 웹사이트 Middle Power Leadership on the Human Security Agenda http://cac.sagepub.c[...] 2007-11-14
[252] 웹사이트 Middle Power Internationalism http://mqup.mcgill.c[...]
[253] 웹사이트 A Middle-Power Military in Alliance: Canada and NORAD http://www.jstor.org[...]
[254] 웹사이트 Quest to Reify Canada as a Middle Power http://www.dissident[...]
[255] 웹사이트 On the Manner of Practising the New Diplomacy http://se1.isn.ch/se[...] 2007-10-07
[256] 웹사이트 Scrapping the Bomb: The role of middle power countries http://www.ploughsha[...] 2007-09-27
[257] 웹사이트 Middle Power Leadership and Coalition Building http://www.jstor.org[...]
[258] 웹사이트 Iran Analysis Quarterly http://web.mit.edu/I[...] 2020-05-17
[259] 웹사이트 Iran http://www.publicati[...] Foreign Affairs Committee
[260] 웹사이트 Mexico – a Reluctant Middle Power? http://www.fes-globa[...] 2007-06-14
[261] 웹사이트 The End of South Africa’s Honeymoon http://www.project-s[...]
[262] 웹사이트 Building Bridges: What Middle Power Countries Should Do To Strengthen the NPT http://www.gsinstitu[...] 2007-06-14
[263] 서적 Middle Power Statecraft http://books.google.[...]
[264] 웹사이트 Harper’s Foreign Policy Success? http://www.g8.utoron[...] 2020-07-13
[265] 서적 Géopolitique Larousse
[266] 웹사이트 Transforming Singapore's Military Security Landscape: Problems and Prospects http://www.allacadem[...] 2007-10-28
[267] 웹사이트 Singapore's Defence: Capabilities, Trends, and Implications http://www.questia.c[...] 2011-06-04
[268] 웹사이트 The Apartheid Republuc and African States http://www.h-net.org[...] 2007-06-12
[269] 웹사이트 South Korea's foreign policy in the post-Cold War era: A middle power perspective http://sc.lib.muohio[...] 2011-07-20
[270] 웹사이트 South Korea and Sino-Japanese rivalry: a middle power's options within the East Asian core triangle - The Pacific Review http://www.informawo[...]
[271] 웹인용 POLITICS-JAPAN: Aiming For Middle Power Status? - IPS ipsnews.net http://ipsnews.net/n[...] 2013-02-06
[272] 웹인용 SPFUSA Asian Voices Seminar Series http://www.spfusa.or[...] 2013-02-06
[27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nautilus.[...] 2013-02-06
[274] 웹인용 The plucky country and the lucky country draw closer http://www.theaustra[...] 2010-08-05
[275] 웹사이트 Middle Power Clout: Sweden And The Development Banks http://www.nsi-ins.c[...] 2007-04-22
[276] 서적 Bridging the European Divide Rowman & Littlefield
[277] 웹인용 ASEAN http://asean2010.vn/[...] 2013-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