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르세르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세르크는 고대 노르드 전사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전투 시 곰이나 늑대 가죽을 걸치고 광폭한 상태로 싸우는 특징을 보인다. 어원은 '곰 가죽' 또는 '갑옷을 입지 않은 자'라는 두 가지 설이 존재하며, 베르세르크가 되는 상태는 '베르세르케르강'이라 불린다. 역사적으로는 초기 게르만족과 바이킹 시대에 기록이 나타나며, 사가와 시가에 등장하여 야만적이고 맹렬한 전사로 묘사된다. 베르세르케르강의 원인으로는 약물 사용, 심리적 요인,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설이 제시되어 있으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광전사'라는 이름으로 게임, 소설 등 다양한 장르에서 차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늑대 관련 문화 - 문화 속 늑대
    문화 속 늑대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늑대가 지니는 상징성을 탐구하며, 신화, 전설, 종교, 문학, 대중문화 속에서 늑대가 파괴, 용맹함, 보호 등 다양한 의미로 묘사되는 양상을 다룬다.
  • 광기 - 맥노튼 규칙
    맥노튼 규칙은 정신 질환으로 인해 자신의 행위가 무엇인지, 또는 그것이 잘못된 일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 형사 책임을 면제하는 규칙이다.
  • 종교와 곰 - 페이야이세트
  • 종교와 곰 - 이요만테
    이요만테는 아이누 민족이 곰을 신성하게 여겨 곰을 사냥하여 마을에서 키운 후 신에게 돌려보내는 전통 의례로, 곰을 숭배하고 존중하는 과정을 통해 곰 외 다른 동물에게도 행해지지만, 동물 학대 논란과 현대 사회의 동물 윤리적 관점과 갈등을 빚고 있다.
베르세르크
베르세르크 / 울프헤딘
토르슬룬다 판 - 역사 박물관
벤델 시대의 토르슬룬다 판 중 하나, 스웨덴의 욀란드에서 발견됨. 한쪽 눈을 가진 오딘이 베르세르크 또는 울프헤딘을 인도하는 것으로 추정됨.
욀란드 토르슬룬다 스케치
스케치
어원
고대 노르드어berserkir
노르웨이어berserk
아이슬란드어berserkr
영어berserker
정의
설명광분하여 싸우는 노르드 전사
관련 용어
울프헤딘Úlfheðinn (고대 노르드어)
울프헤드나르Úlfhéðnar (고대 노르드어)
참고 문헌
서적데비드슨, 힐다 R.E., Shape Changing in Old Norse Sagas, 캠브리지: 브루어; 토토와, 1978

2. 어원

"베르세르크"라는 표현은 이들이 싸울 때 곰(베르)의 모피로 만든 윗도리(세르크; "셔츠")를 걸쳤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곰은 오딘을 상징하는 동물 중 하나였으며, 그 가죽을 걸침으로써 전사는 곰의 힘과 오딘의 가호를 얻게 된다.

어근 "베르-"는 때로 "곰"을 뜻하는 "ber-"가 아닌 "벌거벗은"이라는 뜻의 "berr-"로 해석될 때도 있는데, 스노리 스투를루손도 이 해석을 따라서 오딘의 전사로서 갑옷을 입지 않고 웃통을 벗은 채로 전쟁에 나간 전사들을 베르세르크라고 했다.[53]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 설은 거의 폐기되었고, 곰 가죽 쪽이 정설이다.[54]

"베르세르크 되다"라는 뜻의 “베르세르케르강”은 “하마스크(hamasknon)”라고도 했는데, 하마스크란 “형태가 변하다”라는 뜻이다. 이 경우에는 “격렬한 분노의 상태에 들어가다”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베르세르크로 "변할" 수 있는 사람은 대개 “함람므(hamrammrnon)”, "모습이 강하다(shapestrong)"고 여겨졌다.[52]

단어의 고대 노르드어 형태는 berserknon(복수형 berserkirnon)이며, 'ber'와 'serk'의 합성어이다. 후자는 고대 게르만어로 "셔츠"를 의미하며, 전자는 언어학적으로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가장 가능성이 높은 의미는 ""이며, 따라서 'berserk'는 "곰 가죽" 즉, "곰의 가죽으로 만든 가죽옷을 입은 사람"을 의미한다.[1]

13세기 역사가이자 아이슬란드인인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berserk'를 "맨몸(bare-shirt)" 즉, 전사들이 갑옷 없이 전투에 나섰다는 의미로 해석했지만, 이러한 견해는 상반되는 증거와 뒷받침하는 증거 부족으로 인해 대부분 사장되었다.[1]

어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3. 역사적 배경

일부 학자들은 북방 전사 전통이 사냥 마법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40][41] 곰 숭배, 늑대 숭배, 멧돼지 숭배와 관련된 세 가지 동물 숭배가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40] 트라야누스 기둥의 부조에는 서기 101~106년 트라야누스다키아 정복 당시 동물 가죽을 걸친 게르만족 전사들이 등장한다.

트라야누스 기둥의 곰 가죽 모자를 쓴 게르만족 전사들

3. 1. 초기 기원

일부 학자들은 북방 전사 전통이 사냥 마법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40][41] 곰 숭배, 늑대 숭배, 멧돼지 숭배와 관련된 세 가지 동물 숭배가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40] 트라야누스 기둥에는 서기 101~106년 트라야누스다키아 정복을 묘사한 부조에 동물 가죽을 걸친 게르만족 전사들이 등장한다.

3. 2. 중세 시대

베르세르크는 여러 사가 및 시가에 등장한다. 이들 중 대다수는 베르세르크를 게걸스럽게 약탈을 저지르며 가리지 않고 마구 사람을 죽이는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56] 9세기 말, 토르뵤른 호른클로피가 미발왕 하랄을 찬양하기 위해 쓴 스칼드 시 〈하랄드스크베디〉에 "울프헤드나르(ulfheðnarnon)", 즉 "늑대 가죽을 뒤집어 쓴 사내들"이 등장한다.[57]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윙글링 일족의 사가》에서 베르세르크를 "갑옷도 입지 않고 앞으로 돌격하여, 마치 미친 개나 늑대처럼 방패를 물어 뜯었으며, 그 힘은 곰이나 들소와 같고, 사람을 단 일격으로 죽였으며, 불도 쇠도 그들에게는 통하지 않았다."라고 묘사했다.[58] 미발왕 하랄은 영토를 넓히는 과정에서 베르세르크를 일종의 충격부대로 사용했다. 1015년 노르웨이의 야를 에이리크 하코나르손은 베르세르크를 불법화했다. 중세 아이슬란드의 법전인 《그라가스》에서도 베르세르크 전사들을 무법자로 규정하고 있다. 12세기경 베르세르크 전사집단은 소멸하였다.

4. 종류

베르세르크는 특정 동물과의 연관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주요 동물 숭배는 , 늑대, 멧돼지 숭배로 발전했다.

종류설명
베르세르크 (곰 전사)곰 가죽을 입고 곰의 힘을 얻는다고 믿어진 전사들이다. 곰 숭배와 관련이 있으며, 광란 상태에서 강철과 불에 면역이 된다고 알려졌다.[3]
울프헤드나르 (늑대 전사)늑대 가죽을 입고 늑대의 용맹함을 얻는다고 믿어진 전사들이다. 오딘과 관련이 있으며, 베르세르크와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39]
요푸르 (멧돼지 전사)멧돼지 투구를 쓰고 멧돼지의 힘과 용기를 얻는다고 믿어진 전사들이다. 프레이르와 프레이야 등 바니르 신족과 관련이 있다.[9][10][11]



이러한 동물과의 연관성은 트라야누스 기둥의 부조, 갈레후스의 황금뿔,[2] 토르슬룬다 판, ,[8] 군데스트룹 가마솥 등 여러 유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1. 베르세르크 (곰 전사)

일부 학자들은 베르세르크가 곰으로부터 힘을 얻었으며, 한때 북반구 전역에 널리 퍼져 있던 곰 숭배에 헌신했다고 주장한다. 베르세르크는 뛰어난 전투 능력에도 불구하고 종교 의식을 유지했는데, ''스바르프달라 사가''에는 베르세르크가 율절 후 3일 후까지 결투를 연기한 이야기가 나온다. 죽은 베르세르크의 시신은 장례 의식 전에 곰가죽 위에 놓였다. 곰 전사의 상징은 오늘날에도 덴마크 국왕의 근위병이 착용하는 곰가죽 모자의 형태로 남아 있다.

전투에서 베르세르크는 광란에 빠졌다. 그들은 야생 짐승처럼 울부짖고, 입에서 거품을 물고, 방패 가장자리를 갉아먹었다. 믿음에 따르면, 이러한 광란 상태에서는 강철과 불에 면역되었고, 적의 진영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 이 열기가 가라앉으면 그들은 약하고 온순해졌다. 이러한 기록은 사가에서 찾아볼 수 있다.[3]

"베르세르크가 되다"는 "hamask" 즉 "형태를 바꾸다"를 의미하며, 이 경우 "광포한 격노 상태에 들어가다"는 의미를 지닌다. 일부 학자들은 베르세르크처럼 변신할 수 있는 자를 "hamrammr" 즉 "형태가 강한 자"라고 해석했는데, 문자 그대로 곰의 형태로 변신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7] 예컨대, ''에길 사가''에서 스칼라그림과 함께 하랄드 왕을 찾아가 그의 동생 토롤프의 살해에 대해 이야기하는 무리들은 "가장 강인한 자들로, 그들 중 다수는 기이한 면모를 지녔다… 그들은 인간이라기보다 트롤에 가까운 체격과 형상을 하고 있었다."라고 묘사된다. 이는 때때로 그 무리가 "hamrammr"이었다고 해석되기도 하지만, 이에 대한 주요한 합의는 없다.[4][5]

"hamrammr"의 또 다른 예는 ''흐롤프 크라키 사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안의 한 이야기는 곰으로 변신할 수 있는 베르세르크 뵈드바르 비아르키가 이 능력을 이용하여 흐롤프 크라키 왕을 위해 싸우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사람들은 흐롤프 왕의 군대 앞에 거대한 곰이 나타나 왕의 곁을 지키는 것을 보았다. 그 곰은 발톱으로 왕의 용사 다섯 명보다 더 많은 사람들을 죽였다." [6]

4. 2. 울프헤드나르 (늑대 전사)

늑대 가죽을 걸친 광폭해진 전사인 울프헤드나르(Ulfheðnarnon)(“늑대 가죽을 입은 자들” 또는 “늑대 이교도들”; 단수형 울프헤드닌(Ulfheðinnnon))는 『바트스달라 사가』, 『하랄드 퀘이디』, 『그레티르 사가』에 언급되며, 사가들에서 일관되게 베르세르크 집단으로 언급되며, 항상 노르웨이 초대 국왕 미발왕 하랄의 정예 추종자로 묘사된다.[39] 그들은 전투에 돌입할 때 갑옷 위에 늑대 가죽을 걸쳤다고 한다. 베르세르크와 달리, 울프헤드나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드물다.[57][7][8]

9세기 말에 토르뵤른 호른클로피가 미발왕 하랄을 찬양하기 위해 쓴 스칼드 시 〈하랄드스크베디〉에는 하랄 왕의 전사들 중 "울프헤드나르(ulfheðnarnon), 즉 "늑대 가죽을 뒤집어 쓴 사내들"이 나온다.

울프헤드나르non는 때때로 오딘의 특별한 전사들로 묘사된다. “오딘의 부하들은 갑옷 없이 사냥개나 늑대처럼 미쳐 날뛰며 방패를 물어뜯었다…그들은 사람들을 죽였지만, 불이나 철도 그들에게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이것을 ‘베르세르크 상태가 되다’라고 한다.”

토르슬룬다 판 중 하나에는 멧돼지 볏이 달린 투구를 쓴 외눈박이 전사(오딘으로 추정)가 창과 칼을 든 늑대 머리 전사(늑대 가죽을 걸친 베르세르크로 추정) 옆에 있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새 뿔 투구를 쓴 외눈박이 춤추는 사람과 함께 늑대 가죽을 입은 전사는 일반적으로 베르세르크 상태…와 신 오딘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장면으로 해석된다.”[8]

1887년, 독일 지그마링겐 시 구텐슈타인 지역의 성 갈루스 교회 인근에서 7세기 알레만니족 남성 두 명의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그중 한 무덤에는 은으로 된 검집, 이 있었다. 이 검집에는 늑대 머리를 한 전사가 검과 창을 들고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울프헤딘''(늑대 전사)을 묘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4. 3. 요푸르 (멧돼지 전사)

노르드어 시가에서 "멧돼지"를 뜻하는 ''jǫfurr''라는 단어는 비유적으로 "왕자, 군주 또는 전사"를 의미하는데, 이는 전투에서 멧돼지 머리를 투구로 쓰거나 멧돼지 볏이 달린 투구를 사용하는 관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9]

돼지는 게르만 신앙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특히 바니르, 프레이르 및 프레이야와 관련하여 신화와 종교적 관습 모두에 등장한다. 베르세르크와 유사하게 전사들이 의식적으로 멧돼지로 변신하여 전투에서 힘, 용기 및 보호를 얻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이 과정은 의식적인 복장으로 멧돼지 투구를 착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이론이 있다.[10][11]

5. 베르세르케르강 (광란)

베르세르크의 광기를 베르세르케르강(berserkergangnon)이라고 했으며, 이는 "베르세르크가 되다(going berserk영어)"라는 뜻이다.[60] 베르세르케르강에 빠지면 몸을 떨면서 이가 부딪히고 오한이 느껴지며, 얼굴이 부어오르면서 낯빛이 변하고, 격렬한 분노로 이어진다. 광기에 빠진 이들은 들짐승처럼 울부짖고 자기 방패를 물어뜯어 씹으며 마주치는 모든 것을 피아구분 없이 베어넘겼다.[60] 이 격노는 전투의 와중 뿐 아니라 고된 일을 하다가도 나타날 수 있었으며, 여기에 사로잡힌 사람들은 인간의 힘으로는 불가능해 보이는 일들을 행했다.[60] 베르세르케르강이 종료되면 정신이 흐려지고 무력감이 뒤따르는데, 이 후유증은 짧게는 하루에서 길면 며칠까지 지속된다.[60]

바이킹 부락이 전쟁에 나갈 때 베르세르크는 늑대나 의 가죽을 뒤집어썼는데, 이는 나중에 베르세르케르강이 발현했을 때 아군이 그에게 접근했다가 휘말리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61]

6. 베르세르케르강의 원인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비잔티움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가 쓴 책 《비잔티움 궁정 의례서》에 묘사된 와리아기 친위대의 "고트식 춤"과 베르세르크 사이에 유사성을 발견했다. 와리아기 친위대는 동물의 가죽과 가면을 뒤집어쓰고 춤을 췄다고 하는데, 데이비드슨은 이것이 베르세르크 의식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59]

베르세르크의 광기를 베르세르케르강(berserkergangnon)이라고 했으며, 이는 직역하면 "베르세르크 되다(going berserk영어)"는 뜻이다. 베르세르케르강은 전투 뿐만 아니라 고된 일을 하다가도 나타날 수 있는데, 이 상태에 빠진 이들은 인간의 힘으로는 불가능해 보이는 일들을 행했다. 이 상태가 시작되면 몸을 떨면서 이가 부딪히고 오한이 느껴지며, 얼굴이 부어오르면서 낯빛이 변한다. 이와 동시에 격렬한 분노가 뒤따랐다. 광기에 빠진 이들은 들짐승처럼 울부짖고 자기 방패를 물어뜯었으며, 마주치는 모든 것을 피아구분 없이 베어넘겼다. 베르세르케르강이 종료되면 정신이 흐려지고 무력감이 뒤따랐는데, 이 후유증은 짧게는 하루에서 길면 며칠까지 지속되었다.[60]

바이킹 부락이 전쟁에 나갈 때 베르세르크는 늑대나 곰의 가죽을 뒤집어썼는데, 이는 베르세르케르강이 발현했을 때 아군이 그에게 접근했다가 휘말리는 것을 막기 위한 표시였다.[61]

베르세르케르강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에 대해서는 향정신약물 투약설, 심리학적 과정설, 일종의 질병설 등 여러가지 설이 제기되고 있다.

6. 1. 약물 사용설

일부 학자들은 베르세르크의 광기가 광대버섯 같은 환각성 버섯을 자발적으로 섭취하거나[60][62][63] 엄청난 양의 알코올을 주입한 결과일 것이라고 추측한다.[64] 약물 사용설은 약물의 의례적 사용과도 잘 들어맞는 점이 있다.

6. 2. 심리적 요인설

일부 학자들은 베르세르크의 광기가 자생적 히스테리, 간질, 정신병 등에 의한 것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65] 조너선 셰이는 베르세르크의 광기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앓는 군인들의 과다각성 상태와 유사하다고 주장했다.[66] 그는 베트남 전쟁 참전 용사들의 사례를 통해 베르세르크 상태가 심각한 심리적, 생리적 부상의 중심에 있다고 보았다.[28]

6. 3. 유전적 요인설

일부 학자들은 베르세르크의 광기가 광대버섯 같은 환각성 버섯을 섭취하거나[60][62][63] 엄청난 양의 알코올을 주입한 결과일 것이라고 추측한다.[64] 다른 한편으로는 자생적 히스테리, 간질, 정신병 등이 베르세르크의 원인일 수 있다고도 하며, 유전적 발현이라는 설도 있다.[65]

7. 문화적 영향

베르세르크는 전사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문화적 요소에 영향을 주었다.

7. 1. 대중문화

베르세르크는 현대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J. R. R. 톨킨은 중간계 이야기, 특히 『호빗』에서 북유럽 신화를 많이 차용했는데, 거기에는 친구와 적 모두에게 위험한 거대한 곰으로 변신할 수 있는 '베르세르크' 베오른이 등장한다.[30]
  • 『위쳐 3: 와일드 헌트』에서 베르세르크는 곰으로 변신한 인간으로 등장한다.[31]
  •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에서는 게임 전체에 걸쳐 베르세르크가 언급되며, 사전 주문 보너스 퀘스트인 "베르세르크의 길"은 비요른이라는 베르세르크를 중심으로 전개된다.[32]
  • 패스 오브 엑자일』에는 "베르세르크" 클래스가 등장한다.[33]
  • 『기어즈 오브 워』에는 로커스트라는 적이 등장하는데, 로커스트 계급 내에는 드론이 있으며, 암컷은 베르세르크라고 불린다.[34]
  • 토르 오딘슨은 "전사의 광기"라는 베르세르크와 같은 격노 상태로 묘사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몇 달 동안 힘, 속도, 내구성, 체력이 향상되지만 토르는 이 상태를 거의 통제할 수 없다. 마블 TV 시리즈 『에이전츠 오브 쉴드』에는 '베르세르크 스태프'가 등장한다.[35]
  • 스티븐 스필버그가 제작한 공상과학 시리즈 『폴링 스카이즈』는 대학살 이후 인류의 잔존 사회가 외계인 침략에 무장 저항하는 이야기이다. 시리즈의 중심이 되는 인간 집단 내 소규모 용병 집단이 베르세르크로 알려져 있다.[36]
  • 2022년 영화 『더 노스맨』에서 주인공 암슬레트(알렉산더 스카스가드)는 베르세르크 집단의 일원으로 자란다. 영화에는 베르세르크 의식도 등장한다.[37]

참조

[1] 웹사이트 Icelandic Etymological Dictionary https://malid.is/lei[...] 2019-11-02
[2] 웹사이트 Odin from Levide http://www.medievalh[...] 2014-06-12
[3] 웹사이트 Berserkers https://en.natmus.dk[...] 2022-06-20
[4] 서적 Egil's Saga https://archive.org/[...] Harmondsworth (Penguin)
[5] 논문 Beast and man: Realism and the occult in ''Egils saga''
[6] 서적 Eirik the Red, and other Icelandic sagas Oxford University Press 1961
[7] 서적 Shape Changing in Old Norse Sagas Rowman and Littlefield
[8] 서적 Shapeshifting and Berserkgang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Jöfurr https://cleasby-vigf[...] 2024-04-19
[10] 서적 Das Ebersignum im Germanischen. Ein Beitrag zur germanischen TierSymbolik W. de Gruyter
[11] 논문 The Swine in Old Nordic Religion and Worldview 2011
[12] 서적 The Berserkr: His Origin and Development in Old Norse Literature
[13] 서적 The Heimskringla or the Sagas of the Norse Kings John. C. Nimo
[14] 웹사이트 Berserkir: a re-examination of the phenomenon in literature and life http://eprints.notti[...] 2014-12-10
[15] 서적 The Nine Books of the Danish History of Saxo Grammaticus Norroena Society
[16] 서적 Pagan Scandinavia Frederick A. Praeger Publishers
[17] 논문 On Going Berserk: A Neurochemical Inquiry
[18] 서적 The Hallucinogens Academic Press
[19] 논문 On Going Berserk: A Neurochemical Inquiry 1956-11
[20] 서적 The Vikings Time-Life Books
[21] 서적 Foul Play: the Dark Arts of Cheating in Sport https://www.worldcat[...] Bloomsbury USA
[22] 논문 Sagas of the Solanaceae: Speculative ethnobotanical perspectives on the Norse berserkers 2019-11-15
[23] 서적 The Viking way : religion and war in late Iron Age Scandinavia Dept. of Archaeology and Ancient History 2002
[24] 논문 Sagas of the Solanaceae: Speculative ethnobotanical perspectives on the Norse berserkers 2019-11-15
[25] 서적 The Viking Achievement Sidgewick & Jackson
[26] 논문 Berserks in History and Legend 2005-01-01
[27] 서적 Killing rage: physis or nomos—or both Duckworth an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28] 서적 Achilles in Vietnam https://archive.org/[...] Scribner
[29] 웹사이트 Berserker https://www.britanni[...] 2019-01-16
[30] 서적 There and Back Again: J R R Tolkien and the Origins of The Hobbit Bloomsbury Publishing
[31] 뉴스 The Witcher 3: 10 Things You Didn't Know About Berserkers https://www.thegamer[...] 2023-03-21
[32] 웹사이트 Only One Of Assassin's Creed Valhalla's Bonus Quests Is Good https://kotaku.com/o[...] 2020-11-16
[33] 뉴스 Path of Exile's new Ascendancy class is the Berserker https://www.pcgamer.[...] 2016-01-28
[34] 웹사이트 berserker https://gearsofwar.c[...]
[35] 뉴스 Agents of S.H.I.E.L.D. recap: Purpose in the Machine https://ew.com/recap[...]
[36] 뉴스 Falling Skies season 3 episode 6 review: Be Silent And Come Out https://www.denofgee[...] Den of Geek 2023-03-21
[37] 웹사이트 The Northman Ending Explained (In Detail) https://screenrant.c[...] 2022-04-22
[38] 웹사이트 78 (Svensk etymologisk ordbok) http://runeberg.org/[...]
[39] 서적 サガ選集 東海大学出版会
[40] 서적 A History of Pagan Europe Routledge; Revised edition
[41] 저널 Bear Ceremonialism in the Northern Hemisphere
[42]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一) 北欧文化通信社
[43] 저널 On Going Berserk: A Neurochemical Inquiry
[44] 서적 The Hallucinogens Academic Press
[45] 저널 On Going Berserk: A Neurochemical Inquiry 1956-11
[46] 서적 The Vikings Time-Life Books
[47] 저널 Sagas of the Solanaceae: Speculative ethnobotanical perspectives on the Norse berserkers https://doi.org/10.1[...] 2019-11-15
[48] 저널 Sagas of the Solanaceae: Speculative ethnobotanical perspectives on the Norse berserkers http://www.sciencedi[...] 2019-11-15
[49] 서적 The Viking Achievement Sidgewick & Jackson
[50] 저널 Berserks in History and Legend 2005-01-01
[51] 문서 Simek (1995:435)
[52] 서적 Shape Changing in Old Norse Sagas Rowman and Littlefield
[53] 서적 The Berserker: His Origin and Development in Old Norse Literature
[54] 문서 Simek (1995:47)
[55] 서적 Egil's Saga https://archive.org/[...] Harmondsworth: Penguin
[56] 서적 The Berserkr: His Origin and Development in Old Norse Literature
[57] 서적 Chronicles of the Viking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8] 서적 The Heimskringla or the Sagas of the Norse Kings John. C. Nimo
[59] 서적 Pagan Scandinavia Frederick A. Praeger Publishers
[60] 저널 On Going Berserk: A Neurochemical Inquiry
[61] 서적 Vikingernes Verden Gyldendal
[62] 서적 The Hallucinogen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63] 저널 On Going Berserk: A Neurochemical Inquiry 2015-03-31
[64] 서적 The Vikings Time-Life Books
[65] 서적 The Viking Achievement Sidgewick & Jackson
[66] 서적 War and Violence in Ancient Greece Duckworth an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