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쿠는 미얀마 바고 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몬어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몬족의 항사워디 왕국의 수도였으며, 버마족에게 점령된 후 페구로 불리다 1991년 바고로 개명되었다. 1369년부터 1539년까지 몬 왕국의 수도였으며, 이후 따웅우 왕조와 꼰바웅 왕조 시대를 거치며 번영과 쇠퇴를 겪었다. 현재는 직물, 제화 산업과 관광이 발달했으며, 쉐탈랴웅 와불, 쉐마도 파고다 등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도시 - 양곤
양곤은 미얀마의 최대 도시이자 과거 수도로, 6세기 몬족의 작은 어촌에서 시작되어 알라웅파야 왕에 의해 개명 및 확장되었고, 영국령 버마의 수도를 거쳐 현재는 미얀마의 상업, 경제, 문화 중심지이지만 2005년 행정 수도가 네피도로 이전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 불교 사원과 역사적 건축물을 보유하고 최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미얀마의 도시 - 네피도
네피도는 2005년 미얀마의 새로운 수도로 지정되었으며, 군부의 전략적 목적과 행정 수행을 위해 계획적으로 건설되었으나, 낮은 인구 밀도와 사회·경제적 과제를 안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베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바고 |
다른 이름 | 페구 |
원어 명칭 | (버마어) |
로마자 표기 | pai: khu: mrui. (MLCTS) |
IPA | bəɡó mjo̰ |
지리 | |
위치 | 미얀마 바고 지역 |
면적 | 47.79 제곱킬로미터 (18.45 제곱마일) |
해발 고도 | 4 미터 |
행정 구역 | |
지역 | 바고 지역 |
군 | 바고 군 |
자치구 | 바고 자치구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19년) | 179,505명 |
민족 구성 | 버마족, 몬족, 샨족, 버마 화교, 버마 인도인, 카렌족 |
종교 | 불교, 힌두교, 기독교 |
역사 | |
건립 | 1152년 |
시간대 | |
시간대 | 미얀마 표준시 (MMT) |
UTC 오프셋 | +6:30 |
2. 명칭
몬어 지명인 '''바가우'''(bəkɜ̀/ဗဂေါmnw)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버마어 이름 '''바고'''(ပဲခူး)는 1989년 이전까지 '''페구'''(Pegu)로 알려졌다.[2] 바고는 이전에는 버마-몬 왕국의 이름이었던 '''한타와디'''(; ; 하얀기러기를 소유한 자)로 알려졌다.
전설에 의하면 따툰로부터 온 두 명의 몬족 왕녀가 서기 573년에 베쿠를 세웠다고 한다.[26] 몬족은 항사워디 왕국의 최초의 지배자가 되었다.
1947년 버마 백과사전에서는 바고(ပဲခူး)가 "힌타완 오리가 풀을 뜯는 곳"의 축약형인 '''완페쿠'''()에서 유래되었다고 설명한다.[2] 백조가 산다는 전승에서 "백조의 마을"을 의미하는 이름이 붙었으며, 몬족은 Hamsawati, 버마족은 Honthawati라고 불렀다.[24] 9세기의 타톤 왕국 시대에 이 마을에서 타톤의 왕자가 인도의 군대에 승리했다는 전설이 남아 있으며, 왕자의 업적을 기념하여 Upay(기지로) kū(무찌르다)라고 명명되었다.[24] 이후 Paykū를 거쳐 Pago로 지명이 변화했다.[24] 버마족은 Bogō, Pago로, 말레이인은 Pai-gu라고 불렀다.[24] 몬어 비문에는 Bago라는 이름으로 나타난다.[25]
마을은 인도 오리사 주와 동일한 단어인 Ussāla로도 불렸으며, 이는 해로를 통한 인도 이민의 도래를 의미한다.[25] 한문 사료에는 백고(白古)로 표기된다.[25]
대항해 시대 이후 포르투갈을 통해 영국에 전해진 마을의 이름은 영국 식민지 시대에 페구(Pegu)로 불렸으며,[24] 1991년 군사 정권에 의해 바고(Bago)로 개명되었다.
3. 역사
서기 850년경 아랍인 지리학자 이븐 후르다즈베가 도시를 최초로 기록했다.[3] 당시 몬족의 수도는 따툰이었다. 이 지역은 1056년에 버간으로부터 온 버마족의 지배하에 있었다. 1287년 몽골족이 버간 왕조를 붕괴하면서 몬족은 다시 독립했다.
저지 버마의 몬 왕조는 처음에는 무떠마, 이후에는 버고에 세워졌다. 어와 왕국과 버고는 라젠드라 1세의 통치하에서 끊임없는 싸움에 휘말렸다. 평화적인 여왕 쉰소부의 통치하에서, 그녀는 승려인 더마제디를 후계자로 선택해, 싸움에 종지부를 찍었다. 더마제디의 통치하에서 바고는 상업과 상좌부 불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1369년부터 1539년간, 항사워디는 라마나데사의 몬 왕국의 수도였다. 이 왕조는 현재의 저지 버마를 모두 지배하고 있었다. 1539년, 이 지역은 다시 따웅우 왕조의 떠빈슈웨티왕에 병합되어 버마족이 지배했다. 따웅우 왕조는 1539년부터 1599년간과 1613년부터 1634년간 버고를 왕도로 해, 반복된 시암의 침공에 대한 기지로서 사용했다. 주요한 항구로서 도시는 빈번히 유럽인이 방문하는 장대한 도시였다고 한다. 1634년, 버마족의 수도는 어와로 재차 옮겨졌다. 1740년, 몬족은 반란을 일으켜 잠시 동안 독립하였지만 1757년 버마 왕 알라웅브야는 도시를 약탈해 완전히 파괴했다.
꼰바웅 왕조의 보도퍼야 왕이 베쿠를 재건하였지만, 이 때 강의 유로가 바뀌었기 때문에 도시는 바다와 떨어지게 되었고, 다시 예전과 같은 중요 거점이 되는 일은 없었다.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 후, 1852년에 영국은 바고를 병합했다. 1862년 영국령 버마가 설립되면서 수도는 양곤으로 옮겨졌다. 베쿠의 구어와 문어의 발음의 실질적인 차이는 영국인이 페구(Pegu)를 잘못 발음한 것이다.
18세기 중반, 꼰바웅 왕조의 알라웅파야 왕이 정복하여 그 번영을 잃었다.
3. 1. 초기 역사 (몬족 시대)
전설에 의하면 따툰에서 온 두 명의 몬족 왕녀가 서기 573년에 베쿠를 세웠다고 한다.[26] 몬족은 항사워디 왕국의 최초의 지배자가 되었다. 그러나, 『자부 쿤차』는 페구가 1276/77년에 건국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페구라는 지명에 대한 가장 오래된 증거는 파간 왕조 후기(1212년과 1266년)에 이르러서야 나타나며, 당시 페구는 작은 마을이었으며 지방의 수도조차 아니었다.[4]
서기 850년경 아랍인 지리학자 이븐 후르다즈베가 도시를 최초로 기록했다.[3] 당시 몬족의 수도는 따툰이었다. 이 지역은 1056년에 버간으로부터 온 버마족의 지배하에 있었다. 1287년 몽골족이 버간 왕조를 붕괴하면서 몬족은 다시 독립했다.
저지 버마의 몬 왕조는 처음에는 무떠마, 이후에는 버고에 세워졌다. 어와 왕국과 버고는 라젠드라 1세의 통치하에서 끊임없는 싸움에 휘말렸다. 평화적인 여왕 쉰소부의 통치하에서, 그녀는 승려인 더마제디를 후계자로 선택해, 싸움에 종지부를 찍었다. 더마제디의 통치하에서 바고는 상업과 상좌부 불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1369년부터 1539년간, 항사워디는 라마나데사의 몬 왕국의 수도였다. 이 왕조는 현재의 저지 버마를 모두 지배하고 있었다.
1519년, 안토니오 코레아는 당시 코친의 포르투갈 ''카사도스'' 정착지의 상인으로서, 코친의 후추를 위한 새로운 시장을 찾기 위해 바고(포르투갈인에게는 페구로 알려짐)에 상륙했다.[8][9] 1년 후, 포르투갈령 인도 총독 디에고 로페스 데 세케이라는 페구에 대사를 파견했다.
3. 2. 한타와디 왕국 (1369년 ~ 1539년)
13세기 말에 원나라의 공격으로 파간 왕조가 쇠퇴하자 몬족은 다시 독립했다.[26] 몬족은 항사워디 왕국의 최초의 지배자가 되었다.[26] 저지 버마의 몬 왕조는 처음에는 말라반에, 그 다음은 바고에 세워졌다. 의 통치(재위 1385년 – 1423년) 동안, 바고와 아바 왕국은 40년 전쟁에 휘말렸다.[8][9] 평화적인 여왕 (빈냐 차두)의 통치(재위 1453년 - 1472년) 하에서 그녀는 불교 승려 (재위 1472년 - 1492년)를 후계자로 선택하여 분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담마제디의 통치 하에 바고는 상업과 상좌부 불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1369년부터 1539년까지, 항사워디는 현재의 저지 버마를 모두 지배했던 라마나데사의 몬 왕국의 수도였다.[8][9] 1519년, 안토니오 코레아는 당시 코친의 포르투갈 ''카사도스'' 정착지의 상인으로서, 코친의 후추를 위한 새로운 시장을 찾기 위해 바고(포르투갈인에게는 페구로 알려짐)에 상륙했다.[8][9] 1년 후, 포르투갈령 인도 총독 디에고 로페스 데 세케이라는 페구에 대사를 파견했다. 1539년, 이 지역은 따웅우 왕조의 떠빈슈웨티왕에 병합되어 버마족이 지배했다.
3. 3. 따웅우 왕조 시대 (1539년 ~ 1740년)
따툰에서 온 두 명의 몬족 왕녀가 서기 573년에 베쿠를 세웠다는 전설이 있다.[26] 몬족은 항사워디 왕국의 최초의 지배자가 되었다. 서기 850년경 아랍인 지리학자 이븐 후르다즈베가 이 도시를 최초로 기록했는데, 당시 몬족의 수도는 따툰이었다.[26] 이 지역은 1056년에 버간의 버마족 지배하에 놓였다가 1287년 몽골족이 버간 왕조를 붕괴시키면서 몬족은 다시 독립했다.
저지 버마의 몬 왕조는 처음에는 무떠마, 이후에는 베쿠에 세워졌다. 어와 왕국과 베쿠는 라젠드라 1세 통치하에서 끊임없는 싸움에 휘말렸으나, 평화적인 여왕 쉰소부의 통치하에서 승려인 더마제디를 후계자로 선택해 싸움에 종지부를 찍었다. 더마제디 통치하에서 바고는 상업과 상좌부 불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1369년부터 1539년까지 항사워디는 라마나데사의 몬 왕국의 수도였다. 1539년, 이 지역은 따웅우 왕조의 떠빈슈웨티 왕에 의해 병합되어 버마족이 지배했다. 따웅우 왕조는 1539년부터 1599년까지, 그리고 1613년부터 1634년까지 베쿠를 왕도로 삼아 시암의 침공에 대한 기지로 사용했다. 주요 항구로서 도시는 유럽인들이 빈번히 방문하는 장대한 도시였다고 한다. 1634년, 버마족의 수도는 어와로 다시 옮겨졌다.
1553년 말, 새로운 궁전인 칸바자타디 궁전을 건립하고 1554년 1월에 바인나웅의 대관식을 거행하면서 바고는 새로운 수도로 선포되었다.[10] 1565년 바고에서 재정착한 샨족의 반란으로 도시와 궁전 단지의 주요 부분이 불탔고, 칸바자타디 궁전이 재건되었다. 이때 바인나웅은 봉신들의 이름을 딴 20개의 문을 도시에 추가했다.[10] 각 문에는 금박을 입힌 2층 ''pyatthat''과 금박을 입힌 나무 문이 있었다.[11]
1568년 새로 건설된 한타와디 페구의 문 계획 | ||||||
---|---|---|---|---|---|---|
북서 | 아유타야 | 테나세림 | 마르타반 | 파칸 | 바세인 | 북동 |
테이니 | 프로메 | |||||
타라와디 | 아바 | |||||
냐웅슈웨 | 동고 | |||||
몬 | 달라 | |||||
칼레 | 란상 | |||||
남서 | 타보이 | 모가웅 | 모힌 | 모메이크 | 치앙마이 | 남동 |
새로 재건된 칸바자타디 궁전은 1568년 3월 16일에 모든 봉신 통치자가 참석한 가운데 공식적으로 개장되었다.[11]
주요 항구 도시로서, 이 도시는 1500년대 후반에 가스파로 발비와 랄프 피치를 포함한 유럽인들의 빈번한 방문을 받았다. 페구는 또한 1545년까지 오스만과 해상 연결을 구축했다.[12]
1599년 탕곳과 아라칸 왕들에 의해 발생한 파괴에 따른 페구의 포르투갈 정복은 마누엘 데 아브레우 무시뉴에 의해 묘사되었다. 1599년 도시의 파괴와 난다 바인의 권위 붕괴로 인해 동고 왕조는 수도를 아바로 피신하게 되었다.
아노크페툴룬은 난다 바인이 버린 이후 버려진 홍사와디와 바고의 영광을 재건하려 했지만, 임시 궁전만 건설할 수 있었다.[13] 미얀마의 수도가 바고로 돌아온 것은 짧았으며, 왕실 수도는 1634년에 탈룬에 의해 다시 아바로 이전되었다.
1740년, 몬족은 반란을 일으켜 잠시 독립하였지만, 1757년 버마 왕 알라웅브야는 도시를 약탈해 완전히 파괴했다.
3. 4. 꼰바웅 왕조 시대와 영국 식민지 시대 (1740년 이후)
따툰에서 온 두 명의 몬족 왕녀가 서기 573년에 베쿠를 세웠다는 전설이 있다.[26] 몬족은 항사워디 왕국의 최초의 지배자가 되었다. 서기 850년경 아랍인의 지리학자 이븐 후르다즈베가 이 도시를 최초로 기록했을 때, 몬족의 수도는 따툰이었다.[26] 이 지역은 1056년에 버간의 버마족 지배하에 있었다. 1287년 몽골족이 버간 왕조를 붕괴하면서 몬족은 다시 독립했다.저지 버마의 몬 왕조는 처음에는 무떠마에, 이후에는 베쿠에 세워졌다. 어와 왕국과 베쿠는 라젠드라 1세의 통치하에서 끊임없는 싸움에 휘말렸다. 평화적인 여왕 쉰소부는 승려인 더마제디를 후계자로 선택해 싸움에 종지부를 찍었다. 더마제디의 통치하에서 바고는 상업과 상좌부 불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1369년부터 1539년간, 항사워디는 라마나데사의 몬 왕국의 수도였으며, 현재의 저지 버마를 모두 지배했다.
1539년, 이 지역은 따웅우 왕조의 떠빈슈웨티왕에 의해 다시 병합되어 버마족이 지배했다. 타웅우 왕조는 1539년부터 1599년간과 1613년부터 1634년간 베쿠를 왕도로 삼아, 반복된 시암의 침공에 대한 기지로 사용했다. 주요 항구로서 도시는 빈번히 유럽인이 방문하는 장대한 도시였다고 한다. 1634년, 버마족의 수도는 어와로 다시 옮겨졌다. 1740년, 몬족은 반란을 일으켜 잠시 동안 독립하였지만 1757년 버마 왕 알라웅브야는 도시를 약탈해 완전히 파괴했다.
베쿠는 보도퍼야왕이 재건하였지만, 이 때 강의 유로가 바뀌었기 때문에 도시는 바다와 떨어지게 되었고, 다시 예전과 같은 중요 거점이 되는 일은 없었다.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 후, 1852년에 영국은 바고를 병합했다. 1862년 영국령 버마가 설립되면서 수도는 양곤으로 옮겨졌다. 베쿠의 구어와 문어의 발음의 실질적인 차이는 영국인이 페구(Pegu)를 잘못 발음한 것이다.
1911년, 한타와디는 바고 구역의 하부 버마 구역에 있는 구로 묘사되었으며, 양곤에 본부를 두었다.[15] 1930년 5월 바고는 지진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최소 500명이 사망하고 쓰나미가 발생했다.[16]
3. 5. 현대
따툰에서 온 두 명의 몬족 왕녀가 573년에 버고를 세웠다는 전설이 있다.[26] 몬족은 항사워디 왕국의 최초의 지배자가 되었다. 서기 850년경 아랍인 지리학자 이븐 후르다즈베가 이 도시를 최초로 기록했는데, 당시 몬족의 수도는 따툰이었다.[26] 이 지역은 1056년에 버간의 버마족 지배하에 놓였다가 1287년 몽골족이 버간 왕조를 붕괴시키면서 몬족은 다시 독립했다.저지 버마의 몬 왕조는 처음에는 무떠마에, 이후에는 버고에 세워졌다. 어와 왕국과 버고는 라젠드라 1세의 통치하에 끊임없는 싸움에 휘말렸으나, 평화적인 여왕 쉰소부의 통치하에서 승려인 더마제디를 후계자로 선택해 싸움에 종지부를 찍었다. 더마제디의 통치하에서 바고는 상업과 상좌부 불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1369년부터 1539년간, 항사워디는 라마나데사의 몬 왕국의 수도였다. 이 왕조는 현재의 저지 버마를 모두 지배했다. 1539년, 이 지역은 따웅우 왕조의 떠빈슈웨티 왕에 의해 다시 병합되어 버마족이 지배했다. 따웅우 왕조는 1539년부터 1599년간과 1613년부터 1634년간 버고를 왕도로 삼아, 반복된 시암의 침공에 대한 기지로 사용했다. 주요 항구로서 도시는 유럽인들이 빈번히 방문하는 장대한 도시였다고 한다. 1634년, 버마족의 수도는 어와로 다시 옮겨졌다. 1740년, 몬족은 반란을 일으켜 잠시 독립하였지만, 1757년 버마 왕 알라웅브야는 도시를 약탈해 완전히 파괴했다.
버고는 보도퍼야왕이 재건하였지만, 이 때 강의 유로가 바뀌었기 때문에 도시는 바다와 떨어지게 되었고, 다시 예전과 같은 중요 거점이 되는 일은 없었다.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 후, 1852년에 영국은 바고를 병합했다. 1862년 영국령 버마가 설립되면서 수도는 양곤으로 옮겨졌다.
18세기 중반, 꼰바웅 왕조의 알라웅파야 왕이 정복하여 그 번영을 잃었다. 오늘날 한타와디는 바고 시의 구획 중 하나이다. 바고는 34개의 구획으로 세분된다.[18] 2021년 4월 9일, 미얀마 시위 중 바고는 바고 학살의 현장이 되었고, 군 병력은 시위 진압 이후 최소 82명의 민간인을 살해했다.[17]
4. 지리
5. 기후
바고는 미얀마 해안 지역 대부분과 유사한 열대 몬순 기후(쾨펜 ''Am'')를 띈다. 11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는 덥고 건기이며, 5월부터 10월까지는 덥고 습하며 비가 많이 오는 우기이다.[28]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31.6 | 34.0 | 36.2 | 38.1 | 34.3 | 30.1 | 29.7 | 29.6 | 30.8 | 30.7 | 32.2 | 31.0 | 32.4 |
평균 최저 기온 (°C) | 15.8 | 17.2 | 20.2 | 23.1 | 23.4 | 22.7 | 22.7 | 22.6 | 22.8 | 23.0 | 20.9 | 16.9 | 20.9 |
강수량 (mm) | 1.3 | 2.7 | 13.5 | 44.1 | 333.9 | 654.0 | 716.9 | 653.4 | 436.3 | 183.7 | 48.7 | 1.3 | 3089.8 |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바고의 월별 평균 최고 기온(°C)은 1월 31.7도, 2월 34.0도, 3월 36.3도, 4월 37.9도, 5월 34.6도, 6월 30.9도, 7월 30.1도, 8월 30.0도, 9월 31.1도, 10월 32.6도, 11월 32.7도, 12월 31.5도이며, 연평균 최고 기온은 32.8도이다. 월별 평균 최저 기온(°C)은 1월 16.3도, 2월 17.6도, 3월 20.7도, 4월 23.3도, 5월 23.6도, 6월 23.0도, 7월 22.9도, 8월 22.9도, 9월 23.1도, 10월 23.1도, 11월 21.2도, 12월 17.6도이며, 연평균 최저 기온은 21.3도이다. 월별 강수량(mm)은 1월 5.0mm, 2월 3.1mm, 3월 15.2mm, 4월 38.5mm, 5월 333.9mm, 6월 640.5mm, 7월 803.4mm, 8월 720.9mm, 9월 475.3mm, 10월 188.0mm, 11월 50.2mm, 12월 7.5mm이며, 연간 총 강수량은 3281.5mm이다. 1.0mm 이상의 강수일수는 1월 0.8일, 2월 0.3일, 3월 1.1일, 4월 2.2일, 5월 15.2일, 6월 26.3일, 7월 28.3일, 8월 28.0일, 9월 22.7일, 10월 12.4일, 11월 3.2일, 12월 0.5일이며, 연간 총 강수일수는 140.8일이다.[21]
6. 경제
직물과 제화 위주의 산업단지가 있다. 바고 타운십의 주요 산업은 농업과 서비스 부문 고용이다. 바고 시에는 여러 공장이 있는 공업 지대가 있으며, 대부분 섬유 및 신발 제조와 관련되어 있다. 시내의 소규모 공장과 작업장에서는 식품, 플라스틱, 전기 계량기, 모터, 목제품, 차 및 할와를 생산하기도 한다. 바고는 또한 양곤 인근에서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는 작지만 활기찬 관광 산업을 가지고 있다. 바고 개발 위원회는 시 주변의 11개 시장을 관리한다.
타운십 내에는 공항이 없으며, 도시는 주로 양곤 국제공항의 서비스를 받지만, 양곤과 바고를 관할할 예정인 한타와디 국제공항은 바고 타운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바고를 통과하는 두 개의 철도 노선은 양곤-만달레이 철도와 양곤-마울라먀잉 철도이다. 바고는 또한 교외에 여러 버스 터미널을 가지고 있으며, 시외 버스가 정기적으로 운행된다. 바고는 양곤-만달레이 고속도로와 타웅구 및 므에이크로 가는 기존 고속도로의 서비스를 받는다. 바고는 도시 안팎의 바고 강을 건너는 7개의 주요 다리를 가지고 있다.
7. 교통
베쿠는 농업과 서비스 부문이 주요 산업이며, 섬유 및 신발 제조와 관련된 공업 지대가 있다. 소규모 공장과 작업장에서는 식품, 플라스틱, 전기 계량기, 모터, 목제품, 차 및 할와를 생산한다. 관광 산업도 활발하며, 바고 개발 위원회는 11개의 시장을 관리한다.
베쿠에는 공항이 없으며, 주로 양곤 국제공항의 서비스를 받는다. 하지만 양곤과 베쿠를 관할할 예정인 한타와디 국제공항이 베쿠 타운십 내에 위치할 수 있다.[20] 양곤-만달레이 철도와 양곤-마울라먀잉 철도가 베쿠를 통과한다. 또한 여러 버스 터미널이 있어 시외 버스가 정기적으로 운행되며, 양곤-만달레이 고속도로와 타웅구 및 므에이크로 가는 기존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베쿠는 도시 안팎의 바고 강을 건너는 7개의 주요 다리가 있다.
8. 문화
8. 1. 종교
2014년 미얀마 인구 조사에 따르면 바고의 인구는 237,619명으로, 이는 바고 타운십 전체 인구의 48.35%를 차지한다.[18] 2019년 기준으로, 이 도시의 인구는 일반행정부 추산 179,505명이다. 타운십 인구의 88.73%는 바마족이며, 상당수의 카렌족, 몬족, 팔라웅족, 그리고 미얀마계 인도인이 거주한다. 불교도가 도시 인구의 94.2%를 차지하며, 기독교가 4.2%로 두 번째로 큰 종교 집단이다. 미얀마에서 가장 높은 파고다인 슈웨모도 파고다를 포함하여 749개의 사찰, 92개의 수녀원, 134개의 다양한 크기의 탑이 있다. 또한 이 도시에는 9개의 교회, 6개의 모스크, 16개의 힌두 사원, 그리고 3개의 중국 대승 불교 사원이 있다.[19]8. 2. 관광 명소
베쿠에는 쉐탈랴웅 부처상(와불), 쉐마도 파고다, 자익푼 부처상, 칸보자타디 궁전 유적 및 박물관, 칼랴니 수계소, 마하제디 파고다, 슈웨구지 파고다, 슈웨구갈레 파고다, 바고 시타웅 운하, 버터플라이 호수(레이크-햬-칸), 마진 댐, 뱀 수도원, 바고 해자등이 있다.[27] 힌타곤 파야, 차이푼 파야, 차캇와인 승원, 구 왕궁 (발굴 현장, 재현 왕궁, 박물관)등도 존재한다. 쉐탈랴웅 열반불은 전장 55m, 높이 16m의 거대한 와불로 영화 버마의 하프에 등장한다.[27]
9. 스포츠
바고에는 400m 길이의 축구 경기장과 공공 피트니스 센터 1곳이 있다.
10. 보건
베구 타운십에서 가장 흔한 질병은 설사이다. 2017년과 2018년 사이에 베구 타운십에서는 617건의 HIV(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발생하여 16명이 사망했다.[19]
베구에는 다음과 같은 병원들이 있다.
- 베구 종합 병원 (500병상 공립 병원)
- 베구 전통 의학 병원
- 엉 병원
- 스왈 타우 병원
- 조 테인 병원
- 타마르 디 병원
11. 교육
바고에는 9개의 고등학교와 1개의 대학교가 있다.[19] 더 큰 고등학교는 시내에 분교를 가지고 있으며, 타운십 내에는 28개의 사찰 학교가 있다.[19] 바고의 학교 출석률은 99.82%이며, 대학교 출석률은 33%이다.[19] 전체적으로 문맹률은 99.55%이다.[19] 바고 제1 기본 교육 고등학교, 바고 제3 기본 교육 고등학교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Pegu
[2]
서적
Myanma Swesone Kyan
BStephen Austin & Sons
1947
[3]
문서
[4]
문서
[5]
서적
The Cōlas
University of Madras
2000
[6]
서적
Ancient Indian Colonies in the Far East
Ashok Kumar Majumdar
[7]
간행물
Jayavarman VII (1181-1201 A.D.) (The last of the great monarchs of Cambodia)
1939
[8]
서적
A viagem de António Correia a Pegu em 1519
http://actd.iict.pt/[...]
Junta de Investigações do Ultramar
1976
[9]
서적
Origin and Growth of Luso-Indian Community in Portuguese Cochin and the maritime trade of India, 1500–6663
http://shodhganga.in[...]
Pondicherry University
2010-10-26
[10]
서적
History of Burma: From the Earliest Times to 10 March 1824
Frank Cass & Co. Ltd
1925
[11]
서적
Maha Yazawin
Ya-Pyei Publishing
1724
[12]
서적
The Ottoman Age of Explo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3]
서적
Our Wars with the Burmese
White Lotus
2001
[14]
웹사이트
British Museum collection
https://www.britishm[...]
[15]
서적
[16]
웹사이트
On This Day: The 1930 Earthquake Which Flattened Bago
https://www.irrawadd[...]
2020-10-14
[17]
뉴스
Myanmar coup: 'Dozens killed' in military crackdown in Bago
https://www.bbc.com/[...]
2021-04-11
[18]
웹사이트
Bago Township Report
http://www.dop.gov.m[...]
2017-10
[19]
보고서
Bago Myone Daethasaingyarachatlatmya
http://themimu.info/[...]
MIMU
2024-02-07
[20]
웹사이트
Oversea Major Project
http://www.sunjin.co[...]
SUNJIN Engineering & Architecture
2012-06-23
[21]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3-10-16
[22]
문서
[23]
문서
[24]
서적
ペグー
講談社出版サービスセンター
1997-01
[25]
간행물
ペグー
平凡社
1961
[26]
문서
[27]
웹사이트
シュエッターリャウンパゴダ〈バゴー〉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20-05-17
[28]
웹인용
Myanmar Climate Report
http://met-xpprod.cu[...]
노르웨이 기상연구원
2018-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