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 (불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部)'는 불교 용어로, '구분, 부류, 부문', '부파, 분파, 종파', 또는 '덮다, 은폐하다, 가리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첫째, '부(部)'는 특정한 기준에 따라 대상을 나누는 것을 의미하며, 5부(五部)는 팔리어 대장경의 다섯 경전군, 4성제에 대한 관행에서 수면이 끊어지는 다섯 갈래 부류, 금강계 만다라의 여러 존을 다섯 부류로 나눈 불교 용어이다.

둘째, '부(部)'는 '부파, 분파, 종파'의 뜻으로, 5부(五部)는 불멸 후 분열된 다섯 부파, 또는 이들의 율장을 통칭하는 5부율을 의미한다.

셋째, '부(覆)'는 '덮다, 은폐하다, 가리다'의 뜻으로, 번뇌를 의미하며, 유부무기와 무부무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의 하나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뇌 - 집착
  • 번뇌 - 결 (불교)
    결은 불교에서 번뇌의 다른 이름으로, 몸과 마음을 묶어 자유를 얻지 못하게 하는 결박을 뜻하며, 여러 경전과 논서에서 9결, 3결, 4결, 5결, 10결, 98결, 108결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된다.
  • 심소법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마음작용은 《현양성교론》에서 마음과 상응하는 모든 법을 의미하며, 아뢰야식의 종자에서 생겨나 마음에 의지하여 함께 작용하는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라 51가지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무치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부 (불교)
부 (불교)
불교 종파 지도
다양한 불교 종파들의 지도
유형불교 종파
기원초기 불교
설립 시기기원전 3세기 이후
주요 종파상좌부 불교
대승불교
금강승불교
지역적 분포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티베트
몽골
러시아 (칼미크 공화국, 부랴트 공화국, 투바 공화국)
언어팔리어
산스크리트어
티베트어
중국어
기타 지역 언어
역사적 맥락
분열의 시작불멸 후 2세기 경
주요 분열 원인교의 해석 차이
율장 해석 차이
지역적 관습 차이
초기 분파상좌부
대중부
주요 교리적 차이
아라한의 이상상좌부: 개인의 해탈 강조
대승: 보살의 이상 강조, 모든 중생의 해탈 추구
삼신 사상대승: 법신, 보신, 응신
금강승: 다양한 본존 숭배
공성 사상대승: 모든 존재의 본성은 공(空)
중관학파: 공성을 중심으로 철학 체계화
주요 종파별 특징
상좌부 불교가장 오래된 불교 종파
팔리어 경전 중시
개인의 수행을 통한 해탈 강조
대승불교모든 중생의 해탈을 목표로 함
보살 사상 강조
다양한 경전과 철학 체계 발전
금강승불교탄트라 수행 중시
만다라, 진언, 본존 숭배
티베트 불교가 대표적
현대의 불교 종파
종파 간의 관계상호 존중과 협력 추구
종파 간의 교류 활발
현대 사회에 대한 영향명상, 마음챙김 등의 수행법 보급
사회 참여 불교 운동 확산

2. 부(部): 구분·부류·부문

'''부'''(部)는 '구분, 부류, 부문'의 뜻이다. 예를 들어, 다섯 가지 또는 다섯 갈래의 구분 · 부류 또는 부문이라는 뜻으로 '''5부'''(五部)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5부(五部)는 다음과 같은 여러 의미로 쓰인다.


  • '''5부'''(五部): 니까야 즉 팔리어 대장경을 이루는 다섯 경전군이다. 《장부(長部)》, 《중부(中部)》, 《상응부(相應部)》, 《증지부(增支部)》, 《소부(小部)》를 통칭한다.[1]
  • '''5부'''(五部): 4제관행(四諦觀行), 즉 4성제에 대한 관행에서 수면(隨眠, 근본번뇌)이 언제 · 어떻게 끊어지는가에 대한 구분인 견고소단 · 견집소단 · 견멸소단 · 견도소단 · 수도소단의 다섯 갈래의 부류를 통칭한다.
  • '''5부'''(五部): 밀교의 금강계만다라(金剛界曼茶羅)에서 여러 존(尊)을 다섯 부류로 나눈 것이다. 불부(佛部), 금강부(金剛部), 보부(寶部), 연화부(蓮華部), 갈마부(羯磨部)를 통칭한다.

3. 부(部): 부파·분파·종파

'부'(部)는 불교 교단 내에서 특정한 견해나 계율을 따르는 집단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는 '부파', '분파', '종파'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3. 1. 5부 (부파)

'부'(部)는 '부파, 분파, 종파'를 뜻하는 말로, 예를 들어 '5부'(五部)는 다섯 부파 또는 종파를 의미한다. 5부(五部)에는 다음의 의미들이 있다.

  • '''5부'''(五部)는 불멸 후 100년경에 우바국다(優婆毱多)의 다섯 제자가 계율에 대한 견해 차이로 인해 나뉜 다섯 부파를 가리킨다. 이 다섯 부파는 담무덕부(曇無德部) · 살바다부(薩婆多部) · 미사색부(彌沙塞部) · 가섭유부(迦葉遺部) · 독자부(犢子部)이다.
  • '''5부'''(五部)는 위의 다섯 부파, 즉 담무덕부 · 살바다부 · 미사색부 · 가섭유부 · 독자부율장을 통칭하는 5부율(五部律)의 줄임말로도 쓰인다.

3. 2. 5부율 (五部律)

'5부(五部)'는 불멸 후 100년경 우바국다(優婆毱多)의 다섯 제자가 계율에 대해 견해를 달리하여 나뉜 다섯 부파, 즉 담무덕부(曇無德部), 살바다부(薩婆多部), 미사색부(彌沙塞部), 가섭유부(迦葉遺部), 독자부(犢子部)를 통칭한다. 또한, 이 다섯 부파의 율장을 통칭하는 5부율(五部律)의 준말로도 쓰인다.

4. 부(覆): 잡염·번뇌

'부(覆)'는 '덮다', '은폐하다', '가리다'는 뜻으로, 불교에서는 잡염(雜染) 즉 번뇌(煩惱)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1] 이는 마음을 덮어 청정함을 가리고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길(성도)을 방해하는 작용을 의미하며,[1] 무기(無記)를 유부무기(有覆無記)와 무부무기(無覆無記)로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4. 1. 유부무기(有覆無記)와 무부무기(無覆無記)

무기(無記)는 선(善)이나 불선(不善) 어느 쪽으로도 규정할 수 없는 중립적인 성질을 의미하며, 이는 다시 유부무기(有覆無記)와 무부무기(無覆無記)로 나뉜다. 이 둘을 구분하는 기준은 '부(覆)'의 유무이다.

'부(覆)'는 문자 그대로 '덮다', '은폐하다', '가리다'는 뜻이다. 《성유식론》 제3권에 따르면, 부(覆)는 잡염(雜染), 즉 염법(染法) 또는 번뇌(煩惱)를 가리키며, 구체적으로는 '불선과 유부무기'를 말한다. 번뇌는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성도(聖道)를 장애하고, 마음(법성심·의타기심, 특히 아뢰야식무루종자나 무분별지)을 덮고 가려서 청정[淨]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에 '부(覆)'라고 불린다.[1]

유부무기(有覆無記)는 '부(覆)가 있는 무기의 성질을 가진 법'을 의미한다. 즉, 그 자체는 선악으로 규정할 수 없는 무기이지만, 번뇌와 함께 일어나며 번뇌에 의해 덮여있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유부무기는 번뇌의 일부로 분류된다.

반면, 무부무기(無覆無記)는 '부(覆)가 없는 무기의 성질을 가진 법'을 의미한다. 이는 번뇌와 함께 일어나지 않으며, 성도(聖道)를 장애하지 않는 무기이다. 예를 들어, 전생 업의 결과로 받는 과보(이숙생, 異熟生), 일상적인 몸가짐(위의로, 威儀路), 기술적인 활동(공교처, 工巧處), 신통력으로 나타나는 마음 상태(통과심, 通果心) 등이 무부무기에 해당한다. 무부무기는 번뇌에 속하지 않는다.

5. 부(覆): 마음작용

부(覆)는 '덮다, 은폐하다, 가리다'라는 뜻을 가진 마음작용이다. 자신의 잘못이나 허물을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도록 숨기거나 덮어두려는 심리 상태를 가리킨다.

5. 1.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과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 '''부'''(覆)는 '덮다, 은폐하다, 가리다'라는 뜻이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는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가운데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중 하나로 분류한다.
  • '''부'''(覆)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는 심소법(心所法) 51가지 가운데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에 속하는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 중 하나로 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