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루치스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루치스탄주는 파키스탄의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파키스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이 지역은 이란 고원의 남동부에 위치하며, 고대 인더스 문명의 일부였다. 발루치스탄은 다양한 민족과 언어를 포함하며, 발루치어, 파슈토어, 브라후이어 등이 사용된다. 이 지역은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경제 발전은 다른 지역에 비해 뒤처져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 축산업, 어업, 천연가스 및 광물 생산이며, 과다르 항 개발 등 경제 발전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루치스탄 - 발루치어
    발루치어는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북서부 이란어군에 속하며 이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의 발루치스탄 지역에서 발루치족이 사용하고,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를 사용하나 표준어는 확립되지 않았다.
  • 발루치스탄 -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는 이란 남동부에 위치하며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과 국경을 접하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 이란에서 가장 넓고 가난한 주 중 하나이다.
  • 파키스탄의 주 - 길기트발티스탄
    길기트발티스탄은 파키스탄 북부의 산악 지역으로,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어 있고 파키스탄의 통제하에 자치권을 행사하며, 웅장한 자연경관과 전통 문화를 보유하고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 개발로 경제적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지만 기후변화에 취약하다.
  • 파키스탄의 주 - 신드주
    신드 주는 파키스탄 남부에 위치하며 인더스 문명의 중심지였고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이슬람화가 진행, 수피즘 문화가 발달했으며 파키스탄 독립 후 파키스탄에 편입되어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지닌 주로서 카라치가 주요 도시이다.
  • 발루치스탄주 - 과다르
    과다르는 "바람의 관문"이라는 뜻의 파키스탄 항구 도시로, 오만에서 파키스탄으로 매각된 후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의 핵심인 과다르 항을 중심으로 경제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인권 문제, 지정학적 갈등, 열악한 교육 환경 등의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발루치스탄주 - 파라타
    파라타는 인도 아대륙에서 인기 있는 무발효 플랫브레드의 일종으로, 통곡물 반죽을 구워 만들며, 속을 채워 다양한 종류로 즐겨 먹는다.
발루치스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발루치스탄의 기
발루치스탄의 기
발루치스탄의 문장
발루치스탄의 문장
공식 명칭발루치스탄 주
로마자 표기Balochistan
현지어 발음IPA(우르두어): bəloːt͡ʃɪst̪ɑːn
별칭(없음)
위치파키스탄 내 발루치스탄
좌표27.7° N 65.7° E
행정
국가파키스탄
설치1970년 7월 1일
주도퀘타
하위 행정 구역구분: 구
개수: 8개
하위 행정 구역구분: 디스트릭트
개수: 35개
하위 행정 구역구분: 테실
개수: 134개
하위 행정 구역구분: 유니온 카운슬
개수: 978개
정부형태: 자치 주 (연방 정부의 통제 하에 있음)
기관: 발루치스탄 주 정부
주지사셰이크 자파르 칸 만도카일
수상사르프라즈 부그티
수석 비서관Shakeel Qadir Khan
입법부발루치스탄 주의회
고등 법원발루치스탄 고등 법원
면적
총 면적347,190 제곱킬로미터
순위1위
인구
총 인구 (2023년)14,894,402명
순위4위
인구 밀도자동 계산
경제
명목 GDP (2022년)총액: 200억 달러 (4위)
1인당: 1,621달러 (5위)
PPP GDP (2022년)총액: 800억 달러 (4위)
1인당: 6,485달러 (5위)
기타 정보
HDI (2019년)0.475 (낮음)
문해율 (2020년)54.5%
시간대파키스탄 표준시 (PKT)
UTC 오프셋+05:00
ISO 3166-2PK-BA
국회 의석수20석
주의회 의석수65석
공식 웹사이트발루치스탄 주 정부 웹사이트
언어 및 민족
공용어우르두어, 영어
사용 언어발루치어, 파슈토어, 브라후이어, 신드어
스포츠
주요 스포츠 팀퀘타 글래디에이터스
퀘타 베어스
발루치스탄 크리켓 팀
구글 지도

2. 역사

발루치스탄은 이란 고원 남동쪽 끝에 위치하며, 인더스 문명 이전 시대의 가장 오래된 농업 정착지인 메르가르 유적(기원전 7000년)이 있다.[10] 인더스 문명의 서쪽 끝자락이었으며, 7세기 이슬람교 도래 이전에는 파라타라자와 쿠샨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힌두교 세와 왕조는 칼라트를 중심으로 발루치스탄 일부를 지배했다.[11][12] 시비 관할구는 세와 왕조의 여왕 라니 세위(Rani Sewi)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13]

드라비다어를 사용하는 브라후이족은 발루치스탄의 초기 주민들의 잔재이다.[14] 발루치족은 14세기 이후 이 지역에 들어왔으며,[15] 메디아 혈통이라는 이론이 있다.[16]

654년, 라시둔 칼리파국은 자랑지의 반란을 진압하고 발루치스탄주 북서부 여러 도시를 정복했으나,[17]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는 칼라트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기도 했다.[19]

15세기 미르 차카르 칸 린드가 발루치스탄의 첫 수장이 되었고, 무굴 제국에 충성을 맹세한 칼라트 칸국에 의해 계승되었다. 나디르 샤와 아마드 샤 두라니 또한 이 지역 통치자들의 충성을 얻었다.

1876년 북부 발루치스탄은 영국령 인도의 주가 되었고,[23] 칼라트 조약을 통해 칸의 영토가 영국의 보호령으로 편입되었다.[24] 제2차 아프간 전쟁 이후 간다막 조약으로 여러 지구가 영국의 통제하에 들어갔고,[25] 듀란드 라인이 아프가니스탄과의 경계로 설정되었다.

영국 식민 통치 기간 동안 1935년 쿠에타 지진과 1945년 발루치스탄 지진 등 두 차례의 파괴적인 지진이 발생했다.[26] 인도 독립 운동 시대에는 인도 국민 회의를 지지하는 정당들도 활동했다.[27][28]

파키스탄 독립 이후, 발루치스탄은 총독령과 토후국으로 구성되었으며,[29] 샤히 지르가와 퀘타 시의 비공식 위원들은 파키스탄 합류에 동의했으나,[31] 칼라트 주는 제외되었다.[32] 칼라트 칸은 독립을 열망했으나,[31] 1948년 파키스탄에 합병되었다.[33]

이후 발로치 민족주의자들의 반란이 여러 차례 발생했으며, 2003년부터 자치를 요구하는 단체들의 반란이 계속되고 있다.[37][38]

1998년 5월 28일5월 30일, 나와즈 샤리프 수상은 차가이 지구와 라스 코 산맥의 지하 핵실험 시설에서 파키스탄 최초의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2024년 1월 16일, 이란 혁명수비대는 자이시 알 아드르의 거점을 공격했고, 파키스탄 정부는 이에 항의했다.[103] (2024년 1월 이란의 파키스탄 미사일 공격)

2. 1. 고대

인더스 문명 유적지와 그 범위를 보여주는 지도. 모헨조다로메르가르는 오늘날 발루치스탄 주에 있던 인더스 문명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발루치스탄은 인더스 문명의 서쪽 끝자락을 이루었으며, 이 문명은 세계에서 가장 발달된 초기 청동기 시대 문명 중 하나였다.


발루치스탄은 이란 고원의 남동쪽 끝부분에 위치하며, 인더스 문명 이전 시대의 가장 오래된 농업 정착지가 있었던 곳이다. 그 중 가장 오래된 곳은 기원전 7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메르가르이다.[10] 발루치스탄은 인더스 문명의 서쪽 끝자락을 이루었다. 7세기 이슬람교의 도래 수세기 전, 발루치스탄 일부는 인도-스키타이 왕조인 파라타라자의 지배를 받았다. 때때로 쿠샨 제국도 발루치스탄 일부 지역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힌두교 세와 왕조는 발루치스탄의 일부 지역, 주로 칼라트를 지배했다.[11][12] 1974년 퀘타 관할구와 칼라트 관할구에서 분리된 시비 관할구는 세와 왕조의 여왕인 라니 세위(Rani Sewi)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13]

발루치스탄에서 가장 초기의 주민들의 잔재는 드라비다어를 사용하는 브라후이족이다. 브라후이족은 수천 년 동안 드라비다어를 유지해왔다.[14]

구석기 시대청동기 시대, 그리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 시대에도 원주민이 존재했지만, 발루치족은 14세기 이후에야 이 지역에 들어왔다.[15] 발루치스탄 지역 최대 민족인 발루치족의 기원에 대한 이론 중 하나는 그들이 메디아 혈통이라는 것이다.[16]

2. 2. 이슬람 세력의 도래

654년, 사산 왕조와 비잔티움 제국을 대신하여 새롭게 등장한 라시둔 칼리파국의 시스탄 총독 압둘레흐만 이븐 삼라(Abdulrehman ibn Samrah)는 현재 아프가니스탄 남부에 있는 자랑지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이슬람 군대를 파병했다. 자랑지를 정복한 후, 군대의 일부는 북쪽으로 진격하여 힌두쿠시산맥에 있는 카불가즈니를 정복했고, 다른 일부는 발루치스탄주(북서부)의 퀘타구를 통과하여 고대 도시 다와르(Dawar)와 칸다빌(Qandabil)(볼란구)까지 정복했다.[17] 기록에 따르면 오늘날 발루치스탄주에 해당하는 주요 정착지는 654년에 라시둔 칼리파국의 통치하에 들어갔으나, 현재 칼라트에 있는 요새화된 산악 도시 카이칸(QaiQan)은 예외였다.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칼리파 시대에 발루치스탄주 남부 마크란 지역에서 반란이 일어났다.[18] 663년, 우마이야 왕조 칼리파 무아위야 1세 통치 기간에, 하리스 이븐 마라(Haris ibn Marah)와 그의 군대 대부분이 칼라트의 반란 진압 중 전투에서 사망하면서 발루치스탄주 북동부와 칼라트에 대한 무슬림 지배권이 상실되었다.[19]

2. 3. 중세 및 근세

발루치스탄은 이란 고원의 남동쪽 끝부분에 위치하며, 인더스 문명 이전 시대의 가장 오래된 농업 정착지가 있었던 곳이다. 그 중 가장 오래된 곳은 기원전 7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메르가르이다.[10] 발루치스탄은 인더스 문명의 서쪽 끝자락을 이루었다. 7세기 이슬람교 도래 수세기 전, 발루치스탄 일부는 인도-스키타이 왕조인 파라타라자(Paratarajas)의 지배를 받았다. 때때로 쿠샨 제국도 발루치스탄 일부 지역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힌두교 세와 왕조는 발루치스탄의 일부 지역, 주로 칼라트를 지배했다.[11][12] 1974년 퀘타 관할구와 칼라트 관할구에서 분리된 시비 관할구는 세와 왕조의 여왕인 라니 세위(Rani Sewi)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13]

발루치스탄에서 가장 초기의 주민들의 잔재는 드라비다어를 사용하는 브라후이족이다. 브라후이족은 수천 년 동안 드라비다어를 유지해왔다.[14]

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그리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 시대에도 원주민이 존재했지만, 발루치족은 14세기 이후에야 이 지역에 들어왔다.[15] 발루치스탄 지역 최대 민족인 발루치족의 기원에 대한 이론 중 하나는 그들이 메디아 혈통이라는 것이다.[16]

15세기에 미르 차카르 칸 린드(Mir Chakar Khan Rind)가 아프가니스탄, 이란,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의 첫 수장(Sirdar)이 되었다. 그는 티무르 왕조 통치자 후마윤의 측근이었으며, 무굴 제국에 충성을 맹세한 칼라트 칸국에 의해 계승되었다. 나중에 나디르 샤는 발루치스탄 동부 통치자들의 충성을 얻었다. 그는 신드(Sindh) 영토인 시비(Sibi)-카치(Kachi) 중 하나인 칼호라(Kalhora)를 칼라트 칸국에 할양했다.[20][21][22] 아프가니스탄 제국의 창시자 아마드 샤 두라니 또한 그 지역 통치자들의 충성을 얻었고, 많은 발루치족이 파니파트 3차 전투에서 그를 위해 싸웠다. 아프가니스탄 지배 후 대부분의 지역은 결국 지역 발루치족의 통제로 회귀하게 되었다.

2. 4. 식민지 시대

1876년, 북부 발루치스탄은 식민지 시대 인도의 영국령 인도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23] 1823년 두라니 제국 멸망 이후, 발루치스탄에는 마크란, 카란, 라스 벨라, 칼라트 네 개의 토후국이 인정되고 강화되었다. 1876년, 로버트 샌더먼은 칼라트 조약을 체결하여 카란, 마크란, 라스 벨라를 포함한 칸의 영토를 영국의 보호령으로 편입하였지만, 이들 토후국은 여전히 독립을 유지하였다.[24]

볼란 고개, 발루치스탄주, 파키스탄


1879년 5월 간다막 조약으로 제2차 아프간 전쟁이 끝난 후, 아프간 에미르 무함마드 야쿠브 칸은 쿠에타, 피신, 하르나이, 시비, 탈 초티알리 지구를 영국의 통제하에 양도하였다. 1883년 4월 1일, 영국은 쿠에타 남동쪽의 볼란 고개를 칼라트 칸으로부터 장악하였다. 1887년, 발루치스탄의 소규모 추가 지역이 영국 영토로 선포되었다.[25] 1893년, 모티머 듀란드 경은 아프가니스탄 에미르 압두르 라흐만 칸과 협상하여 치트랄에서 발루치스탄까지 이어지는 듀란드 라인을 아프가니스탄과 영국 통제 지역의 경계로 설정하였다.

영국 식민 통치 기간 동안 발루치스탄에서는 1935년 쿠에타 지진과 1945년 발루치스탄 지진 등 두 차례의 파괴적인 지진이 발생하였다.[26] 인도 독립 운동 시대에 발루치스탄의 무슬림 연맹 외에도 "세 개의 친 인도 국민 회의 정당이 발루치스탄 정계에서 여전히 활동하고 있었는데", 그중 안주만-이-와탄 발루치스탄은 통일 인도를 지지하고 분할에 반대하였다.[27][28]

2. 5. 파키스탄 독립 이후

퀘타 기차역


영국 통치하의 식민지 인도 시대에 발루치스탄은 총독령과 토후국(칼라트, 마크란, 라스 벨라, 카란 포함)으로 구성되었으며, 이후 파키스탄의 일부가 되었다.[29] 발루치스탄 주의 샤히 지르가(부족 원로들의 대의회[30])와 퀘타 시의 비공식 위원들은[31] 파키스탄의 설명에 따르면,[32] 1947년 6월 29일 파키스탄에 합류하는 것에 만장일치로 동의했다.[31] 그러나 투표 전에 칼라트 주의 구성원들이 샤히 지르가에서 제외되었다.[32] 당시 발루치스탄 무슬림 연맹 회장인 카지 무하마드 이사는 무하마드 알리 진나에게 "샤히 지르가는 결코 대중의 여론을 대변하지 않으며" 칼라트 주의 구성원들은 "투표에서 제외되었고, 영국령 발루치스탄 지역만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영국령 지역에는 퀘타, 나시라바드 테실, 누슈키, 볼란 기관의 임대 지역이 포함되었다"고 알렸다.[32] 국민투표 이후, 1947년 6월 22일 칼라트 칸은 샤히 지르가 구성원들과 발루치스탄 임대 지역의 사르다르들로부터 발루치스탄이 파키스탄에 합류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발루치 민족의 일원으로서 칼라트 주의 일부이기도 하며", "(영국령) 발루치스탄이 아닌 칼라트 주의 일부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내용의 편지를 받았다.[32] 이로 인해 실제 투표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32] 정치학자 살만 라피 셰이크는 발루치스탄의 반란의 기원을 찾으면서 "발루치스탄의 파키스탄 합류는 공식적으로 제시된 설명과 달리 합의에 기반하지 않았으며, 파키스탄에 대한 지지도 압도적이지 않았다. 이러한 조작은 발루치스탄이 공식적으로 파키스탄의 일부가 되기 전에도 이미 정치적 희생물이 되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32]

처음에는 독립을 열망했던[31] 칼라트 칸은 파키스탄과의 협상 기간 후 1948년 3월 27일 마침내 파키스탄에 합병되었다.[33] 아흐마드 야르 칸이 합병 문서에 서명한 것은 그의 형제인 압둘 카림 왕자가 가족 불화로 인해 그의 형제의 결정에 반기를 들게 만들었다.[35] 1948년 7월.[34] 아가 압둘 카림 발로치 왕자와 무하마드 라힘은 무기를 내려놓기를 거부하고 1950년까지 비정규전으로 군대를 공격했다.[35] 왕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테러 활동에 빠져들었다.[36] 진나와 그의 후계자들은 1955년 주가 해산될 때까지 야르 칸이 그의 칭호를 유지하도록 허용했다.

발로치 민족주의자들의 반란은 1948년, 1958~59년, 1962~63년, 1973~77년에 발생했으며, 2003년부터 자치를 요구하는 발로치 단체들의 새로운 반란이 계속되고 있다.[37][38] 많은 발로치인들이 자치권을 요구하지만, 대다수는 파키스탄으로부터 분리 독립을 원하지 않는다.[39]

2015년 6월 8일 퀘타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발루치스탄 내무장관 사르프라즈 부그티는 인도의 총리 나렌드라 모디를 공개적으로 테러를 지원한 혐의로 비난했다. 부그티는 인도의 연구 분석국(RAW)이 스망글리와 칼리드의 군 기지에 대한 최근 공격과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CPEC) 협정을 파괴하는 행위에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40][41][42]

발루치스탄 지역인 과다르는 1세기 이상 오만의 식민지였으며, 1960년대 파키스탄이 이 지역을 장악했다. 따라서 이 지역의 많은 사람들이 오만인이다.[43]

1998년 5월 28일5월 30일, 나와즈 샤리프 수상 겸 국방장관은 파키스탄 최초의 핵실험을 지하 핵실험 시설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2024년 1월 16일, 이웃 국가 이란의 혁명수비대는 미사일과 드론을 사용하여 무장 단체 "자이시 알 아드르"의 거점 2곳을 국경을 넘어 공격했다. 파키스탄 정부는 어린이 2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했다며 이란에 항의했다.[103] (2024년 1월 이란의 파키스탄 미사일 공격)

3. 지리

발루치스탄주는 파키스탄 남서부에 위치하며, 면적은 347190km2로 파키스탄에서 가장 크다. 파키스탄 전체 면적의 44%를 차지한다. 북쪽과 북서쪽으로는 아프가니스탄, 남서쪽으로는 이란, 북동쪽으로는 펀자브주, 신드주, 카이버파크툰크와주 및 연방 직할 부족 지역과 접하며, 남쪽에는 아라비아해가 있다. 발루치스탄주는 이란 고원의 남동부에 위치하며, 중동 및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의 지정학적 지역과 접한다. 호르무즈 해협의 입구에 위치하며, 해항에서 중앙아시아까지 가장 짧은 경로를 제공한다.

섬 아스톨라


주도인 퀘타는 주 북동부의 인구 밀집 지역인 술라이만 산맥에 위치한다. 볼란 고개 근처의 강 계곡에 자리 잡고 있는데, 이 고개는 해안에서 중앙아시아로 가는 길목으로, 아프가니스탄의 칸다하르 지역을 통과하는 경로로 사용되어 왔다.[44]

파키스탄 국내에서는 북동쪽으로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 내의 구연방 직할 부족 지역(FATA), 동쪽으로 펀자브주신드주와 접한다. 서쪽으로는 이란의 시스탄발루치스탄주와 접한다. 북쪽으로는 아프가니스탄의 님루즈주, 헬만드주, 칸다하르주, 자불주, 파크티카주와 접한다.

발루치스탄주는 이란 고원의 동쪽 끝에 위치하며,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의 경계에 있다. 산악 지형과 물 부족으로 인구 밀도가 매우 낮지만, 풍부한 광물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 천연가스의 주요 공급지이기도 하다.

주도는 북동부의 퀘타이며, 주 북동부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 위치하고 주 내 최대 도시이다. 퀘타는 아프가니스탄과 가까운 계곡 도시로, 북서쪽 아프가니스탄의 칸다하르와는 술라이만 산맥의 볼란 고개를 통과하는 간선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발루치스탄주는 고갈성 자원과 재생 가능 자원이 풍부하며, 파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천연가스 공급처이다. 그러나 이 주의 재생 가능 자원과 인적 자원의 잠재력은 체계적으로 측정되거나 활용되지 않았다. 지역 주민들은 수천 년 동안 도시에 거주하며 지속 가능한 수자원에 의존해 왔다.

3. 1. 기후

고지대의 기후는 매우 추운 겨울과 더운 여름이 특징이다. 저지대 북부 지역(지아라트(Ziarat), 퀘타, 칼라트, 무슬림 바, 카노자이)의 겨울은 매우 춥고 기온이 -20°C까지 떨어질 수 있지만, 마크란 해안에 가까워질수록 온화해진다. 평원 지대의 겨울은 온화하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일은 없다. 여름은 덥고 건조하며, 특히 차가이와 카란 지역의 건조 지대에서는 더욱 심하다. 평원 지대도 여름에는 매우 더우며 기온이 50°C에 달한다. 2010년 5월 26일에 시비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53°C[45]로 이전 기록인 52°C를 넘어섰다. 다른 더운 지역으로는 투르바트(Turbat)와 달반딘(Dalbandin)이 있다. 사막 기후는 덥고 매우 건조한 조건이 특징이다. 때때로 강한 돌풍으로 인해 이 지역은 매우 살기 어려워진다.

4. 행정 구역

발루치스탄 주는 행정 목적으로 7개의 관할구역(division)으로 나뉘며, 각 관할구역은 다시 여러 지구(district)로 구성된다. 2000년에 관할구역 단계가 폐지되었다가 2008년 선거 이후 부활했다. 각 관할구역은 임명된 행정관이 지휘한다. 2021년 6월에는 조브 관할구역을 분할하여 로랄라이 관할구역이 신설되어 총 8개의 관할구역이 되었다.[48]

7개(이후 8개)의 관할구역은 36개의 지구로 세분된다.[46][47]

순번지구행정 중심지면적 (km2)[49]인구 (2023)[49]인구 밀도 (명/km2)[49]관할구역
1아와란(Awaran)아와란29510km2178,9586.1칼라트(Kalat)
2바르칸(Barkhan)바르칸3514km2210,24959.8로랄라이(Loralai)
3차가이(Chagai)달반딘44748km2269,1926.0락샨(Rakhshan)
4차만(Chaman)차만1341km2466,218347.7퀘타(Quetta)
5데라 부그티(Dera Bugti)데라 부그티10160km2355,27435.0시비(Sibi)
6두키(Duki)두키4233km2205,04448.4로랄라이(Loralai)
7과다르(Gwadar)과다르12637km2305,16024.2마크란(Makran)
8하르나이(Harnai)하르나이2492km2127,57151.2시비(Sibi)
9허브(Hub)허브N/AN/AN/A칼라트(Kalat)
10자파라바드(Jafarabad)데라 알라히야르1643km2594,558361.1나시라바드(Nasirabad)
11잘 마그시(Jhal Magsi)간다바3615km2203,36856.2나시라바드(Nasirabad)
12카치(Kachhi)다다르5682km2442,67477.9나시라바드(Nasirabad)
13칼라트(Kalat)칼라트7654km2271,56035.5칼라트(Kalat)
14케치(Kech)투르바트22539km21,060,93147.0마크란(Makran)
15카란(Kharan)카란14958km2260,35217.4락샨(Rakhshan)
16쿠즈다르(Khuzdar)쿠즈다르35380km2997,21428.2칼라트(Kalat)
17콜루(Kohlu)콜루7610km2260,22034.2시비(Sibi)
18라스벨라(Lasbela)우탈15153km2680,97744.9칼라트(Kalat)
19로랄라이(Loralai)로랄라이3785km2272,43272.0로랄라이(Loralai)
20마스퉁(Mastung)마스퉁3308km2313,27194.7칼라트(Kalat)
21무사켈(Musakhel)무사 켈 바자르5728km2182,27531.8로랄라이(Loralai)
22나시라바드(Nasirabad)데라 무라드 자말리3387km2563,315166.1나시라바드(Nasirabad)
23누쉬키(Nushki)누쉬키5797km2207,83435.9락샨(Rakhshan)
24판주구르(Panjgur)판주구르16891km2509,78130.2마크란(Makran)
25피신(Pishin)피신6218km2835,482134.6퀘타(Quetta)
26퀘타(Quetta)퀘타3447km22,595,492754.3퀘타(Quetta)
27킬라 아브둘라(Qila Abdullah)정글 피르 알리자이3553km2361,971102.3퀘타(Quetta)
28킬라 사이풀라(Qilla Saifullah)킬라 사이풀라6831km2380,20055.7조브(Zhob)
29셰라니(Sherani)셰라니4310km2191,68744.5조브(Zhob)
30시비(Sibi)시비7121km2224,14831.5시비(Sibi)
31소흐바트푸르(Sohbatpur)소흐바트푸르802km2240,106299.6나시라바드(Nasirabad)
32수랍(Surab)수랍762km2279,038366.5칼라트(Kalat)
33와슈크(Washuk)와슈크33093km2302,6239.1락샨(Rakhshan)
34조브(Zhob)조브15987km2355,69222.2조브(Zhob)
35지아라트(Ziarat)지아라트3301km2189,53557.4칼라트(Kalat)
36우스타 무함마드(Usta Muhammad)우스타 무함마드N/AN/AN/A나시라바드(Nasirabad)


5. 인구와 사회

"발루치스탄"이라는 주의 이름은 "발루치족이 거주하는 땅"이라는 뜻이다.[72]

발루치스탄은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며, 분리 독립을 추구하는 움직임도 나타나는 복잡한 사회상을 보인다. 주도인 퀘타에는 파슈툰족이 다수 거주하며, 발루치족, 하자라족, 펀자비족, 브라후이족 등 다양한 소수 민족이 함께 살고 있다. 칼라트 지구 등 주 내 여러 지역에는 인더스 문명을 이룩했다고 여겨지는 브라후이어 사용자들이 많이 살고 있다.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는 데와르족은 칼라트 지구와 이란 국경 근처 서부 지역에 거주한다.

발루치족은 주의 남부와 동부 (마크란 지구, 라스 벨라 지구)에서 다수를 차지하며, 마크란 해안가에는 다양한 마크라니 발루치족이 살고 있다. 북부에는 파슈툰족도 많이 거주하며,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파슈툰인, 타지크인, 하자라인 등 많은 아프가니스탄 난민도 주 내에 거주하고 있다.

발루치 민족주의 운동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소비에트 연방은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소련군과 싸운 무자헤딘을 지원했던 파키스탄 정부에 대항하기 위해 발루치스탄 해방군(BLA)을 지원하기도 했다. 과거 역사로부터 파키스탄으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목표로 하는 움직임이 있으며, 발루치스탄 해방군, 발루치스탄 해방전선(BLF), 발루치스탄 공화국군(BRA) 등 반정부 무장 세력이 활동해 왔다.

5. 1. 인구 통계

인구 변천
센서스인구도시 인구
1901810,746[72]N/A
1911834,703[72]N/A
1921799,625[72]N/A
1931868,617[72]N/A
1941857,835[72]13.30%[72]
19511,167,16712.38%
19611,353,48416.87%
19722,428,67816.45%
19814,332,37615.62%
19986,565,88523.89%
201712,344,40827.55%
202314,894,40230.96%



발루치스탄주의 인구밀도는 산악 지형과 물 부족으로 인해 낮다. 2012년 3월 예비 인구 조사 결과, 쿠즈다르, 케치, 판주구르 지역을 제외한 발루치스탄의 인구는 13,162,222명으로, 1998년 5,501,164명에 비해 139.3% 증가했다. 이는 파키스탄 전체 인구의 6.85%를 차지하는 수치이며, 당시 파키스탄의 어떤 주보다도 가장 큰 인구 증가율을 보였는데, 전국 평균 증가율(46.9%)의 거의 세 배에 달한다.[50][51][52] 발루치스탄의 인구는 공식 추산에 따르면 2003년 약 745만 명에서 2005년 780만 명으로 증가했다.[53] 202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14,894,402명으로 집계되었다.

발루치스탄 주의 인구는 약 800만 명이다. 주 내 주요 언어는 발루치어, 파슈토어, 브라후이어, 페르시아어이다.

칼라트 지구를 비롯한 주 내에는 인더스 문명을 이룩했다고 여겨지는 많은 브라후이어 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다. 페르시아어 사용자인 데와르족도 칼라트 지구와 이란 국경 근처 서부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발루치족은 남부와 동부(마크란 지구, 라스 벨라 지구)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마크란 해안가에는 다양한 마크라니 발루치족이 거주하고 있다.

주도인 퀘타에서는 파슈툰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발루치족, 하자라족, 펀자비족, 브라후이족 등이 소수 민족으로 생활하고 있다.

북부에는 파슈툰족도 많다. 또한 파슈툰인, 타지크인, 하자라인 등 많은 아프가니스탄 난민도 주 내에 거주하고 있다.

5. 2. 언어

2023년 파키스탄 인구 조사 예비 결과에 따르면, 발루치스탄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국어는 발루치어로 인구의 39.91%가 사용하며(2017년 인구 조사 대비 4% 증가), 파슈토어는 34.34%를 차지한다.[55]

파슈툰족은 주로 발루치스탄 북부에 거주하며 퀘타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반면 발루치족은 발루치스탄 전역에 분포하지만, 주로 서부와 남부에 집중되어 있다.

브라후이어는 발루치스탄 중부에서 주로 사용되며 17.22%를 차지한다. 다른 언어로는 신드어(3.81%), 사라키어(2.19%), 펀자브어(0.59%), 우르두어(0.53%), 그리고 기타 언어(1.5%)가 있다.[55]

발루치어는 발루치스탄의 21개 지역에서 다수 언어를, 파슈토어는 9개 지역에서 다수 언어를 형성한다.[56] 브라후이어는 4개 지역에서 다수 언어이다. 라스벨라구와 허브구, 그리고 카치 평원 지역에서는 상당수의 주민이 라시와 사라키를 사용하는데, 이들은 신드어의 방언이다.[57][58]

Ethnologue에 따르면, 주요 방언이 마크라니인 발루치어를 사용하는 가구는 인구의 13%, 룩샤니는 10%, 술레마니는 7%, 케트라니는 3%를 차지한다. 사용되는 다른 언어로는 라시어, 우르두어, 펀자브어, 하자르가어, 신드어, 사라키어, 데와리어, 다리어, 타지크어, 힌드코어, 우즈베크어, 힌드키어 등이 있다.[59]

200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파키스탄의 아프가니스탄인 중 총 769,268명[60]의 아프간 난민이 발루치스탄에 임시 거주하고 있었다. 그러나 많은 난민이 2013년 본국으로 송환되었으므로 현재 발루치스탄에 거주하는 아프간인은 그보다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UNHCR에 따르면 2015년 현재 등록된 아프간 난민은 327,778명에 불과하다.[61]

발루치스탄 주의 언어 (1911–2023)
모국어1911[69]1921[70]1931[71]2017[62]2023[63]
인구비율(%)인구비율(%)인구비율(%)인구비율(%)인구비율(%)
발루치어233,24027.94225,36828.18267,07430.744,377,82535.495,811,18539.91
파슈토어227,55327.26201,87325.25207,18123.854,359,53335.354,955,24534.03
브라후이어145,29917.40139,72717.47127,47914.682,112,29517.132,507,15717.22
신드어121,84914.60111,41213.93153,03217.62562,3094.56555,1983.81
펀자브어/사라키어/힌드코어75,6419.0680,70610.0969,8698.04500,1644.05429,7152.95
우르두어10,9831.3216,2672.0317,1311.97100,5280.8177,2490.53
데와리어7,5790.916,2680.785,2330.60
영어4,3490.525,0530.635,3690.62
페르시아어3,8330.463,5910.455,0200.58
파하리어2,2580.275,4010.687,9010.91
마라티어8460.101,1240.147890.09
구자라트어5800.074940.066180.07
라자스탄어(메와티어)3240.049620.125300.060.00
비하르어1440.024900.06
아랍어780.0160.0090.00
타밀어550.013490.041500.02
텔루구어200.00640.01420.00
카슈미르어160.001650.022010.0217,8030.147,3520.05
벵골어130.00700.01930.01
시나어


5. 3. 민족

2023년 파키스탄 인구 조사 예비 결과에 따르면, 발루치스탄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국어는 발루치어로 인구의 39.91%가 사용하며(2017년 인구 조사 대비 4% 증가), 파슈토어는 34.34%를 차지한다.[55] 파슈툰족은 주로 발루치스탄 북부에 거주하며 퀘타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반면 발루치족은 발루치스탄 전역에 분포하지만, 주로 서부와 남부에 집중되어 있다.

브라후이어는 발루치스탄 중부에서 주로 사용되며 17.22%를 차지한다. 다른 언어로는 신드어(3.81%), 사라키어(2.19%), 펀자브어(0.59%), 우르두어(0.53%), 그리고 기타 언어(1.5%)가 있다.[55]

발루치어는 발루치스탄의 21개 지역에서 다수 언어를, 파슈토어는 9개 지역에서 다수 언어를 형성한다.[56] 브라후이어는 4개 지역에서 다수 언어이다. 라스벨라구와 허브구, 그리고 카치 평원 지역에서는 상당수의 주민이 라시와 사라키를 사용하는데, 이들은 신드어의 방언이다.[57][58]

Ethnologue에 따르면, 주요 방언이 마크라니인 발루치어 사용 가구는 인구의 13%, 룩샤니는 10%, 술레마니는 7%, 케트라니는 3%를 차지한다. 사용되는 다른 언어로는 라시어, 우르두어, 펀자브어, 하자르가어, 신드어, 사라키어, 데와리어, 다리어, 타지크어, 힌드코어, 우즈베크어, 힌드키어 등이 있다.[59]

200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파키스탄의 아프가니스탄인 중 총 769,268명[60]의 아프간 난민이 발루치스탄에 임시 거주하고 있었다. 그러나 많은 난민이 2013년 본국으로 송환되었으므로 현재 발루치스탄에 거주하는 아프간인은 그보다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UNHCR에 따르면 2015년 현재 등록된 아프간 난민은 327,778명에 불과하다.[61]

발루치스탄 주의 언어 (1911–2023)
모국어1911[69]1921[70]1931[71]2017[62]2023[63]
인구비율인구비율인구비율인구비율인구비율
발루치어233,24027.94%225,36828.18%267,07430.74%4,377,82535.49%5,811,18539.91%
파슈토어227,55327.26%201,87325.25%207,18123.85%4,359,53335.34%4,955,24534.03%
브라후이어145,29917.40%139,72717.47%127,47914.67%2,112,29517.12%2,507,15717.22%
신드어121,84914.60%111,41213.93%153,03217.61%562,3094.56%555,1983.81%
펀자브어/사라키어/힌드코어75,6419.06%80,70610.09%69,8698.04%500,1644.05%429,7152.95%
우르두어10,9831.32%16,2672.03%17,1311.97%100,5280.81%77,2490.53%
데와리어7,5790.91%6,2680.78%5,2330.60%
영어4,3490.52%5,0530.63%5,3690.62%
페르시아어3,8330.46%3,5910.45%5,0200.58%
파하리어2,2580.27%5,4010.68%7,9010.91%
마라티어8460.10%1,1240.14%7890.09%
구자라트어5800.07%4940.06%6180.07%
라자스탄어(메와티어)3240.04%9620.12%5300.06%2850.00%
비하르어1440.02%4900.06%
아랍어780.01%60.00%90.00%
타밀어550.01%3490.04%1500.02%
텔루구어200.00%640.01%420.00%
카슈미르어160.00%1650.02%2010.02%17,8030.14%7,3520.05%
벵골어130.00%700.01%930.01%
시나어


5. 4. 종교

201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발루치스탄 주 인구의 거의 대부분은 이슬람교 신자였다. 힌두교기독교 소수 민족도 존재했다. 발루치스탄 주의 힌두교 인구는 예정 카스트를 포함하여 약 49,133명이었다.[64][67][65] 파키스탄에서 가장 큰 힌두교 순례지인 슈리 힌글라지 마타 사원은 발루치스탄 주에 있다.[66] 발루치스탄 주에는 기독교 신자도 26,462명의 소수 민족으로 존재했다.[67]

발루치스탄의 종교 (1901–2023)
종교
집단
1901[68]1911[69]1921[70]1931[71]1941[72]1951[73][74]1998[75]2017[76]2023[77]
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
이슬람교
765,36894.40%782,64893.76%733,47791.73%798,09391.88%785,18191.53%1,137,06396.83%6,484,00698.75%12,255,52899.28%14,429,56899.09%
힌두교
38,1584.70%38,3264.59%51,3486.42%53,6816.18%54,3946.34%13,0871.13%39,1460.60%49,3780.40%59,1070.41%
시크교
2,9720.37%8,3901.00%7,7410.97%8,4250.97%12,0441.40%1,0570.007%
기독교
4,0260.50%5,0850.61%6,6930.84%8,0590.93%6,0560.71%3,9370.34%26,4620.40%33,3300.27%62,7310.43%
조로아스터교
1660.02%1700.02%1650.02%1670.02%760.01%790.01%1810.001%
유대교
480.01%570.01%190.002%170.002%200.002%
자이나교
80.001%100.001%170.002%170.002%70.001%
불교
00.00%160.002%1600.02%680.01%430.005%10.000%
아흐마디야
9,8000.15%2,4690.02%5570.004%
기타00.00%10.000%50.001%750.01%140.002%00.00%6,4710.10%3,7030.03%8,8100.06%
총 응답자 수810,746100.00%834,703100.00%799,625100.00%868,617100.00%857,835100.00%1,154,16798.31%6,565,885100.00%12,344,408100.00%14,562,01197.77%
총 인구810,746100.00%834,703100.00%799,625100.00%868,617100.00%857,835100.00%1,174,036100.00%6,565,885100.00%12,344,408100.00%14,894,402100.00%


6. 경제

발루치스탄 주의 경제는 주로 농업, 축산업, 어업, 천연가스, 석탄 및 기타 광물 생산에 기반을 두고 있다.[79]

농업과 축산업은 주 경제에서 GDP의 47%를 차지하며 주요한 역할을 하지만, 2022년 파키스탄 홍수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홍수로 발루치스탄 주의 가축 약 50만 마리가 폐사하고, 주의 35개 지역 중 32개 지역에서 경작 및 농업 생산량이 피해를 입었다. 라스벨라 지역이 가장 큰 피해를 입어 가옥, 농작물 및 가축의 4/5가량이 유실되었다.[80] 홍수와 심각한 가뭄으로 인해 발루치스탄 주는 식량 안보에 직면하고 있으며, 밀 공급의 85%를 신드 주와 펀자브 주에 의존하고 있다.[81][82]

퀘타를 제외하고 발루치스탄 주는 "대다수의 주민이 편의시설이 부족한 소외된 주"로 불린다.[83][87] 발루치스탄 주는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자원은 주민 복지 향상을 위해 충분히 활용되지 않았고, 아직 탐사 또는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84]

1970년대 중반 이후 발루치스탄 주의 파키스탄 GDP 기여율은 4.9%에서 3.7%로 감소했으며,[85] 2007년 기준으로 다른 주들에 비해 빈곤율, 유아 사망률, 모성 사망률이 가장 높고, 문해율이 가장 낮았다.[86] 그러나 제7차 NFC 협정에서 펀자브 주와 연방 정부는 발루치스탄 주의 몫을 인구 비율보다 더 많이 증가시키도록 기여했다.[88] 2001-2002년 빈곤 발생률은 48%였고, 2005-2006년에는 50.9%였다.[89] Dawn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발루치스탄 주의 다차원 빈곤율은 71%로 상승했다.[90]

전략적으로 중요한 과다르 마을에 새로운 심해항을 건설하는 것을 포함한 여러 주요 개발 프로젝트가 발루치스탄 주에서 진행 중이다.[91] 이 항구는 중국, 중동 및 중앙아시아 공화국과의 에너지 및 무역 통로의 중심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투르바트 서쪽 50km 지점의 다슈트 강에 있는 미라니 댐은 기존에는 지속 불가능했던 35000km2의 농지를 확장하기 위해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고 있다.[92] 라스벨라 지역에는 Byco International Incorporated (BII) 소유의 정유 공장이 있으며, 하루 12만 배럴의 원유를 처리할 수 있다. 정유 공장 옆에는 발전소가 있다.[93] 이 지역에는 여러 시멘트 공장과 대리석 공장도 있다.[94][95][96] 세계 최대 규모의 선박 해체 조선소 중 하나가 해안에 위치해 있다.[97]

발루치스탄 주의 파키스탄 국민소득 비중은 역사적으로 3.7%에서 4.9% 사이였다.[98] 1972년 이후 발루치스탄 주의 총소득은 2.7배 증가했다.[99] 퀘타를 제외하고는, 발루치스탄 주의 자원 채굴 인프라는 점진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파키스탄의 다른 지역에 비해 여전히 크게 뒤처져 있다.

광업권과 자원 소유권에 대한 협정은 파키스탄에서 전례 없는 자연재해,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불안이라는 시대에 체결되었다. 이 협상은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100]

7. 문화

발루치스탄주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어우러진 지역이다.

8. 교육

1998년 24.8%였던 발루치스탄주의 문해율은 2017년 43.6%로 증가하였다.[78]

8. 1. 주요 교육 기관


  • 볼란 의학 및 보건 과학 대학교
  • 마크란 의과대학
  • 발루치스탄 공과대학교
  • 발루치스탄 정보기술·공학·경영과학대학교
  • 발루치스탄대학교
  • 알함드 이슬람대학교
  • 사르다르 바하두르 칸 여성대학교
  • 라스벨라 농업, 수자원 및 해양과학대학교
  • 투르바트대학교
  • 로랄라이대학교
  • 과다르대학교

9. 관광

다음은 발루치스탄의 관광 명소 및 볼거리 목록이다.


  • 아스톨라 섬
  • 볼란 고개
  • 두레지
  • 가다니 해변
  • 가다니 선박 해체장
  • 과다르
  • 하나 호수
  • 하자르간지-칠탄 국립공원
  • 힌글라지 마타
  • 힌골 국립공원
  • 허브 댐
  • 지와니 연안 습지
  • 쿠즈다르
  • 쿤드 말리르
  • 마크란 연안 고속도로
  • 메르가르
  • 물라 초톡
  • 피르 가이브 폭포
  • 카이데아잠 저택
  • 퀘타
  • 희망의 공주
  • 우라크 계곡
  • 조브
  • 지아라트 주니퍼 숲
  • 지아라트

참조

[1] 웹사이트 Delimitation of union councils, wards in Balochistan completed https://www.dawn.com[...] 2022-02-11
[2] 웹사이트 The Population of Pakistan reaches 241.49 million as the Digital Census concludes https://www.pbs.gov.[...] 2023-08-05
[3]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2021-08-18
[4] 웹사이트 KPK Achieves Highest Literacy Growth Rate Among All Provinces https://startuppakis[...] 2022-06-09
[5] 웹사이트 GDP OF KHYBER PUKHTUNKHWA'S DISTRICTS https://kpbos.gov.pk[...]
[6]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7] 백과사전 Balochistan province, Pakistan https://www.britanni[...] 2017-04-05
[8] 웹사이트 Livestock at a glance https://balochistan.[...] 2023-01-26
[9] 뉴스 'Gwadar is future business hub of country' https://www.thenews.[...] 2023-01-29
[10] 서적 The Archaeology of Measurement: Comprehending Heaven, Earth and Time in Ancient Societ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Baluchistan Directorate of Archives, Government of Balochistan 1923
[12] 서적 Balochistan Through the Ages: Geography and history Nisa Traders 1979
[13] 서적 The Tribal Baluchistan Ferozsons 1990
[14]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4-03-01
[15] 웹사이트 Balochistan province, Pakista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2-15
[16] 간행물 Balochi Folklore 1902-09-29
[17] 서적 Tabqat ibn Saad
[18]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 Pinnacle Technology
[19] 서적 Tarikh al Khulfa
[20] 웹사이트 urdukhabrain.pk https://urdukhabrain[...] 2018-01-01
[21] 웹사이트 Iranica.com http://www.iranica.c[...] 2016-05
[22] 웹사이트 Ghulam Shah Kalhora and Relations With Kutch http://panhwar.org/A[...] 2014-12-30
[23] 서적 Colonial Governors from the Fif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A Comprehensive List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70
[24] 서적 The Baloch and Balochistan: A Historical Account from the Beginning to the Fall of the Baloch State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25] 서적 Pakistan: A Country Study DIANE Publishing
[26] 서적 Foreign Affairs Pakistan, Volume 32, Issues 11–12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7] 서적 Pakistan: History and Politics 1947–1971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8] 서적 Partition of India: Postcolonial Legacies Taylor & Francis 2018
[29] 서적 Global Security Watch–Pakistan https://books.google[...] Praeger
[30] 웹사이트 Shahi Jirga Records http://balochistanar[...] Government of Balochistan Directorate of Archives 2021-09-24
[31] 서적 Pakistan's Defence Policy 1947–58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1990-08-22
[32] 서적 The Genesis of Baloch Nationalism: Politics and Ethnicity in Pakistan, 1947–1977 Taylor & Francis 2018
[33] 뉴스 The princely India http://tns.thenews.c[...] 2015-05-10
[34] 서적 State and Nation-Building in Pakistan: Beyond Islam and Secur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5] 뉴스 Princely Liaisons: The Khan family controls politics in Kalat http://tribune.com.p[...] 2013-04-22
[36] 서적 The Politics of Ethnicity in Pakistan: The Baloch, Sindhi and Mohajir Ethnic Moveme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37] 뉴스 The battle for Balochistan http://www.dawn.com/[...] 2013-04-25
[38] 뉴스 Balochistan: The untold story of Pakistan's other war https://www.bbc.com/[...] 2014-02-22
[39] 웹사이트 37pc Baloch favour independence: UK survey https://www.thenews.[...] 2017-03-07
[40] 웹사이트 RAW conspiring against CPEC agreement: Sarfraz Bugti https://web.archive.[...]
[41] 웹사이트 RAW behind Mastung killings: Sarfraz Bugti http://www.thenews.c[...] 2015-05-31
[42] 웹사이트 RAW more active after CPEC agreement: Sarfraz Bugti https://web.archive.[...]
[43] 웹사이트 Arab legacy lingers as Pakistan's Gwadar grows from tiny fishing town into port city https://www.arabnews[...] 2019-04-29
[44] 백과사전 Bolan Pass
[45] 웹사이트 Pakmet.com.pk – Pakistan's Biggest Property Website https://web.archive.[...]
[46] 웹사이트 Districts http://www.balochist[...] Government of Balochistan 2010-08-13
[47] 웹사이트 New districts https://www.dawn.com[...] 2018-10-23
[48] 웹사이트 New division, two districts created in Balochistan https://www.dawn.com[...] 2021-06-30
[49] PDF https://www.pbs.gov.[...] 2024-08-01
[50] 뉴스 Pak population increased by 46.9% between 1998 and 2011 http://timesofindia.[...] 2012-03-29
[51] 웹사이트 Population, Area and Density by Region/Province https://web.archive.[...] Federal Bureau of Statistics, Government of Pakistan 2009
[52] 웹사이트 Population shoots up by 47 percent since 1998 https://web.archive.[...] Thenews.com.pk 2012-03-29
[53] 웹사이트 Pakistan Balochistan Economic Report: From Periphery to Core (In Two Volumes) – Volume II: Full Report http://siteresources[...] The World Bank 2008-05-01
[54] 웹사이트 https://www.pbs.gov.[...]
[55] PDF https://www.pbs.gov.[...] 2024-08-01
[56] 웹사이트 Number of Balochi-speaking people in Balochistan falls https://www.dawn.com[...] 2017-09-11
[57] 백과사전 Balochistān https://www.britanni[...]
[58] 서적 Nomadism & colonialism : a hundred years of Baluchistan, 1872–1972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59] 웹사이트 Percentage Distribution of Households by Language Usually Spoken and Region/Province, 1998 Census http://www.pbs.gov.p[...] Federal Bureau of Statistics – Government of Pakistan
[60] 웹사이트 Afghans in Quetta. Settlements, Livelihoods, Support Networks and Cross-Border Linkages http://www.unhcr.org[...] Afghanistan Research and Evaluation Unit (AREU) 2013-01-07
[61] 웹사이트 Law and order issues: Afghan refugees 'do not want to go back home' http://tribune.com.p[...] 2015-01-16
[62] 웹사이트 Table-11 Population by mother tongue, sex and rural/urban https://www.pbs.gov.[...] 2024-10-05
[63] 웹사이트 7th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 Detailed Results Table-11 Population by mother tongue, sex and rural/urban https://www.pbs.gov.[...] 2024-10-05
[64]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n https://www.pbs.gov.[...]
[65]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n https://web.archive.[...]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66] 웹사이트 In a Muslim-majority country, a Hindu goddess lives on https://web.archive.[...] 2019-01-10
[67] 웹사이트 Population Distribution by Religion, 1998 Census http://www.pbs.gov.p[...]
[68]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01 VOLUME V(A) BALUCHISTAN PART II IMPERIAL TABLES https://www.jstor.or[...]
[69]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11 VOLUME IV BALUCHISTAN Part II TABLES https://www.jstor.or[...]
[70]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21 VOLUME IV BALUCHISTAN Part I REPORT; Part II TABLES https://www.jstor.or[...]
[71]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31 Volume IV Baluchistan Parts I & II https://www.jstor.or[...] 2023-01-22
[72]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41 VOLUME XIV BALUCHISTAN https://www.jstor.or[...] 2021-09-23
[73] 웹사이트 Census of Pakistan, 1951 Population According to Religion Table 6 https://censusindia.[...] 2024-08-06
[74] 웹사이트 CENSUS OF PAKISTAN, 1951 POPULATION ACCORDING TO RELIGION (TABLE 6) http://lsi.gov.in:80[...] 2024-08-18
[75] 웹사이트 Population Distribution by Religion, 1998 Census https://www.pbs.gov.[...] 2023-01-23
[76] 웹사이트 SALIENT FEATURES OF FINAL RESULTS CENSUS-2017 https://web.archive.[...] 2021-08-08
[77] 웹사이트 7th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 Detailed Results Table-9 Population by sex, religion and rural/urban https://www.pbs.gov.[...] 2024-08-06
[78] 웹사이트 TheNews Epaper- e.thenews.com.pk https://e.thenews.co[...]
[79] 서적 Ethnic Subnationalist Insurgencies in South Asia: Identities, Interests and Challenges to State Authority https://web.archive.[...] Routledge 2015-01-01
[80] 웹사이트 The post-floods mental health crisis in Balochistan https://www.dawn.com[...] 2023-01-26
[81] 웹사이트 Amid wheat crisis, Quetta residents protest delay in provision of subsidized flour https://arab.news/p8[...] 2023-01-09
[82] 웹사이트 Pakistan crisis: Stampedes reported in Khyber Pakhtunkhwa, Balochistan as flour crisis worsens https://www.business[...] 2023-01-10
[83] 웹사이트 Baloch ruling elite's lifestyle outshines that of Arab royals http://lsi.gov.in:80[...] 2012-03-22
[84] 웹사이트 Balochistan's development https://www.dawn.com[...] 2021-11-18
[85] 서적 Pakistan in Regional and Global Politics Routledge 2009-01-01
[86] 간행물 The Baloch Conflict: Towards a Lasting Peace Pakistan Security Research Unit 2007-03-01
[87] 학술지 Pakistan's Baloch Insurgency: History, Conflict Drivers, and Regional Implications https://web.archive.[...]
[88] 웹사이트 7th NFC Award signed in Gwadar http://www.dawn.com/[...] 2009-12-31
[89]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Conflict in South Asia https://web.archive.[...] Palgrave Macmillan 2015-01-01
[90] 웹사이트 Poverty in Balochistan https://www.dawn.com[...] 2016-11-08
[91] 웹사이트 Gawader http://www.pakboi.go[...] 2006-11-19
[92] 웹사이트 Mirani Dam Project https://web.archive.[...] 2006-11-19
[93] 웹사이트 A matter of weeks: Byco ready to utilise its Hub refinery http://tribune.com.p[...] 2014-07-04
[94] 웹사이트 Attock Cement first-half profit declines, Pakistan https://web.archive.[...] 2014-12-30
[9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rble Industry held at Expo Centre – AAJ News http://www.aaj.tv/20[...]
[96] 웹사이트 Southern cement companies win freight subsidy http://tribune.com.p[...] 2010-04-20
[97] 웹사이트 Ship-breaking at Gadani http://www.dawn.com/[...] 2011-10-23
[98] 웹사이트 Provincial Accounts of Pakistan: Methodology and Estimates 1973–2000 https://web.archive.[...] 2018-01-01
[99] 웹사이트 Balochistan Economic Report Vol. 2 https://web.archive.[...]
[100] 웹사이트 $260 billion gold mines going for a song, behind closed doors http://www.thenews.c[...] Thenews.com.pk 2010-11-03
[101] 뉴스 이란, 파키스탄을 공격 남서부, 테러보복 무장조직거점 読売新聞 2024-01-17
[102] 웹사이트 Pakistan https://citypopulati[...] Citypopulation 2023-09-23
[103] 웹사이트 이란, 파키스탄의 무장세력 겨냥 미사일 공격 어린이 2명 사망 https://www.cnn.co.j[...] CNN 2024-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