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수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단수달은 등 쪽에 짙은 갈색에서 적갈색의 짧고 매끄러운 털을 가지고 있으며, 배 부분은 밝은 회갈색을 띠는 수달의 일종이다. 다른 수달과 구별되는 특징으로는 둥근 머리와 다이아몬드 모양의 털 없는 코가 있으며, 꼬리는 납작하고 삼각형 단면을 가진다. 파키스탄,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강, 호수, 늪 등 담수 지역에 서식한다. 최대 11마리까지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주로 물고기를 먹지만 곤충, 뱀, 소형 포유류도 섭취한다.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밀렵, 서식지 파괴, 수질 오염 등이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달아과 - 해달
해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로, 뛰어난 수영 실력과 두꺼운 모피를 지녔으며 해양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핵심종이지만, 현재는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질병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 수달아과 - 바다수달
바다수달은 남아메리카 남서부 연안에 서식하는 가장 작은 해양 포유류 중 하나로,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등을 사냥하며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1826년 기재된 포유류 - 브라질투코투코
몸길이 18~28cm, 꼬리 길이 6~9cm의 설치류인 브라질투코투코는 붉은 갈색 털과 짧은 털로 덮인 꼬리, 작고 둥근 귀, 튼튼한 앞발과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 1826년 기재된 포유류 - 히말라야타르
히말라야타르는 양과 염소의 친척으로, 히말라야 산악 지대에 서식하며 험준한 지형에 적응했지만, 침입종으로 간주되거나 서식지 파괴와 수렵으로 개체수 감소 위협을 받는다. - 방글라데시의 포유류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방글라데시의 포유류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비단수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식육목 |
| 과 | 족제비과 |
| 아과 | 수달아과 |
| 속 | 비단수달속 (Lutrogale) |
| 종 | 비단수달 (L. perspicillata) |
| 일반 정보 | |
| 학명 | Lutrogale perspicillata (I. Geoffroy Saint-Hilaire, 1826) |
| 이명 | Lutra perspicillata Geoffroy, 1826 Lutra simung Lesson, 1827 Lutra tarayensis Hodgson, 1839 Lutrogale macrodus Gray, 1865 |
| 한국어 이름 | 비단수달 |
| 영어 이름 | Indian smooth-coated otter Smooth-coated otter |
![]() | |
| 보전 상태 | |
| IUCN Red List | 취약종 |
| CITES | 부록 I |
| 아종 | |
2. 특징
비단수달은 이름처럼 짧고 매끄러운 털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2] 다른 수달 종과 비교했을 때 머리가 더 둥글고 꼬리가 납작한 형태를 띤다.[2]
2. 1. 형태
비단수달은 등 부분에 짙은 갈색에서 적갈색의 짧고 매끄러운 털을 가지고 있으며, 배 부분은 밝은 회갈색을 띤다.[2] 뺨과 목은 희끄무레하거나[35] 회색이다.[33] 다른 수달 종과 구별되는 특징으로는 좀 더 둥근 머리와[2] 다소 다이아몬드 모양이며 털이 없는 코(비경)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2] 비경의 위쪽 가장자리는 평평하거나[35] 중앙부에서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다.[34] 안와는 크다.[35]꼬리는 다른 수달의 둥글거나 원통형인 꼬리와는 대조적으로 납작하며[2] 옆으로 납작하지만 바깥 가장자리는 약간 평평하다.[35] 꼬리의 단면은 삼각형 모양이다.[34][35] 다리는 짧고 튼튼하며, 미끄러운 물고기를 잡기 위한 강하고 날카로운 발톱이 있는 크고 물갈퀴가 달린 발을 가지고 있다.[2]
비단수달은 비교적 큰 수달 종으로, 머리부터 몸까지의 길이(체장)는 59cm 에서 79cm 정도이며,[2][35] 꼬리 길이는 37cm 에서 43cm이다.[2] 체중은 7kg 에서 11kg이다.[2][33][34][35] 암컷은 여러 마리의 새끼에게 젖을 먹이기 위한 두 쌍의 젖꼭지를 가지고 있다.[2]
3. 분포 및 서식지

비단수달은 아시아의 여러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특히 담수가 풍부한 환경을 선호한다. 주요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지역 | 국가/섬 |
|---|---|
| 남아시아 | 파키스탄, 인도, 네팔, 부탄, 방글라데시 |
| 동남아시아 | 미얀마, 태국, 베트남, 말레이 반도, 싱가포르, 보르네오, 수마트라 (모식 산지[33]), 자바, 캄보디아, 브루나이, 라오스, 말레이시아 |
| 동아시아 | 중국 남부 |
| 서아시아 (고립) | 이라크 (메소포타미아 늪지)[31][35] |
비단수달은 주로 습지, 계절성 늪, 강, 호수, 논과 같이 담수가 풍부한 지역에 서식한다.[2] 해안 근처의 염수 환경에서도 발견되지만, 이 경우 반드시 근처에 담수원이 있어야 한다.[10] 다른 수달 종이 없는 지역에서는 거의 모든 적합한 서식지를 이용하지만, 다른 수달 종과 서식지가 겹치는 곳에서는 작은 시내나 운하보다는 더 큰 수역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2] 예를 들어, 인도 모야르 강에서 연구된 비단수달 그룹은 느슨한 모래와 식생이 거의 없는 급류 구간 근처의 바위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이라크 메소포타미아 늪지에 서식하는 고립된 개체군은 한때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2009년에 수달의 발자국이 발견되면서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2] 이후 2005년과 2012년 사이에 하마르 늪지와 하위제 늪지 부근에서 비단수달의 가죽이 발견되었고, 에르빌 주에서 발견된 발자국과 배설물 또한 비단수달의 것으로 추정된다.[8]
인도 구자라트 주에서는 2015년에 수라트 외곽의 호수, 운하, 맹그로브 숲 근처에서 비단수달이 기록되었다.[13] 싱가포르에서는 비단수달이 도시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사례가 관찰된다. 이들은 건물 아래 틈새와 같은 도시 구조물을 굴 대신 사용하며, 수직에 가까운 콘크리트 운하 둑을 오르내리기 위해 계단이나 사다리를 이용하기도 한다.[14] 싱가포르의 비단수달 개체군은 잘 보호받으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비샨 수달 가족'과 같이 일부 가족은 지역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존재가 되어 언론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15]
4. 생태
비단수달은 주로 호수와 늪, 맹그로브 숲과 같은 민물 환경에서 서식하지만, 때로는 바닷가 근처에서 발견되기도 한다.[35] 이들은 사회적인 동물로, 최대 11마리까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16] 주로 낮 동안 활동하는 주행성 습성을 보인다.[16][17] 휘파람이나 짹짹거리는 소리 등 다양한 소리로 의사소통하며,[2] 영역 표시를 위해 배설 활동을 한다.[16][17]
주된 먹이는 어류이며,[18][33] 때때로 논에서 쥐를 사냥하거나[18] 곤충, 뱀, 작은 포유류 등을 먹기도 한다.[18][33] 번식은 주로 특정 시기(몬순 의존 지역의 경우 10월~2월)에 이루어지며,[33] 암컷은 물가 근처의 굴에서 60~63일의 임신 기간을 거쳐 새끼를 낳는다.[2][33] 새끼는 약 1년이면 성체 크기로 자라고, 2~3년이면 성적 성숙에 도달한다.[2][33][34]
4. 1. 행동

비단수달은 최대 11마리까지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이들은 주로 모래로 된 강둑에서 휴식을 취하며, 나무 뿌리 아래나 바위 틈 사이에 굴을 파서 보금자리를 만든다. 말레이 반도에서 관찰된 바에 따르면, 비단수달은 주로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 동물로, 정오 무렵에는 잠시 휴식을 취한다.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바위나 식물에 소변을 보거나 배설물을 남긴다.[16][17]
비단수달은 휘파람 소리, 짹짹거리는 소리, 우는 소리 등 다양한 소리를 내어 서로 의사소통한다.[2] 주로 호수나 늪, 맹그로브 숲과 같은 민물 환경에서 서식하지만, 때로는 바닷가 근처에서 발견되기도 한다.[35]
주된 먹이는 어류이지만, 곤충이나 뱀, 작은 포유류 등도 잡아먹는다.[33]
번식은 태생으로 이루어진다. 짝짓기는 주로 10월에서 12월 사이에 이루어지며, 임신 기간은 약 60일에서 63일 정도이다.[33] 인도와 네팔 지역에서는 주로 10월부터 다음 해 2월 사이에 새끼를 낳는다.[33] 한 번에 1마리에서 5마리까지 새끼를 낳을 수 있다.[33] 갓 태어난 새끼는 약 10일이 지나야 눈을 뜬다.[33][34] 새끼는 태어난 지 1년 정도 지나면 어미와 비슷한 크기로 자라며,[34] 2년에서 3년이 되면 번식이 가능한 상태, 즉 성적으로 성숙하게 된다.[33]
4. 2. 먹이
비단수달은 주로 어류를 먹이로 삼으며, 특히 트리코가스터속, 클라이밍 구라미, 메기 등을 선호한다.[18] 다른 수달 종과 서식지를 공유하는 지역에서는 길이가 5cm에서 30cm 사이의 비교적 큰 물고기를 주로 사냥한다.[10][19] 벼를 심는 시기에는 논에서 쥐를 사냥하기도 한다.[18] 그 외에 뱀, 양서류, 곤충, 작은 포유류 등도 먹지만,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다.[18][33] 먹이를 찾을 때는 주로 나무 줄기 사이의 강둑을 살핀다.[16]쿠알라 셀랑고르 자연 공원에서는 비단수달 무리가 함께 사냥하는 모습이 관찰된 바 있다. 이들은 물이 흐르는 방향을 향해 개울 폭만큼 넓게 V자 형태의 대열을 이루어 이동했는데, 몸집이 큰 개체들이 대열의 가운데를 차지했다. 무리는 이러한 대형을 유지하며 개울을 따라 격렬하게 헤엄쳐 물고기들을 앞으로 몰아붙였고, 겁에 질린 물고기들이 몇 미터 앞에서 물 밖으로 뛰어오르기도 했다. 수달들은 갑자기 물속으로 잠수하여 주둥이로 물고기를 붙잡은 뒤, 물가로 나와 둑의 진흙 위에 물고기를 놓고 머리부터 통째로 삼켰다.[20]
4. 3. 번식

비단수달은 짝짓기한 암수 한 쌍과 이전 번식기의 새끼 최대 4마리가 함께 사는 작은 가족 집단을 이룬다.[21] 교미는 물속에서 이루어지며, 1분 미만으로 짧게 지속된다.[22]
먹이가 충분하면 일 년 내내 번식할 수 있지만, 몬순 강우량에 의존하는 지역(예: 인도, 네팔)에서는 주로 10월부터 다음 해 2월 사이에 번식하고 새끼를 낳는다.[33] 2017년 11월 싱가포르에서는 야생에서 한 번에 7마리의 새끼가 태어난 기록이 있다.[23]
임신 기간은 60일에서 63일 정도이며,[2][33] 어미는 물 근처의 굴에서 새끼를 낳아 기른다. 이 굴은 직접 만들거나 버려진 굴을 이용하기도 한다.[2] 한 배에 보통 1마리에서 최대 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2][33] 태어난 새끼는 눈을 감고 있으며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지만, 10일 정도 지나면 눈을 뜬다.[2][33][34] 약 3개월에서 5개월 사이에 젖을 떼고,[2] 생후 1년 정도 되면 어른 수달과 비슷한 크기로 자란다.[2][34] 성적 성숙은 생후 2년에서 3년 사이에 이루어진다.[2][33]
5. 분류
비단수달의 학명 ''Lutra perspicillata''는 1826년 이사도르 조프루아 생틸레르가 수마트라에서 수집한 표본을 바탕으로 처음 제안되었다.[3] 이후 1865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이마와 코가 더 볼록한 특징을 가진 수달을 위해 ''Lutrogale''이라는 속명을 새로 제안하였고, 비단수달(''perspicillata'')을 이 속의 기준 종으로 삼았다.[4]
비단수달은 현재 ''Lutrogale'' 속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으로 단형 분류군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3개의 지역 아종이 인정되고 있다.[2]
5. 1. 아종
비단수달은 단형 분류군인 ''Lutrogale'' 속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으로, 현재 일반적으로 3종의 아종이 인정된다.[38][2] Hwang & Lariviere (2005)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33]- '''비단수달''' (''Lutrogale perspicillata perspicillata'') (Geoffroy, 1826)[3]
- 분포: 인도 대부분, 네팔, 중국 남서부 윈난성, 동남아시아 본토(인도차이나) 대부분, 말레이 반도,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 자와섬, 보르네오 섬 등지에 분포한다.[38][2][33] 1826년 이사도르 조프루아 생틸레르가 수마트라에서 수집한 갈색 수달 표본을 기반으로 ''Lutra perspicillata''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재되었다.[3]
- '''이라크비단수달''' (''Lutrogale perspicillata maxwelli'') (Hayman, 1957)[6]
- 분포: 이라크 남부, 특히 티그리스강 유역 습지에서 발견된다.[38][6][2][8][33][34]
- 특징: 몸 색깔이 기준아종보다 어두워 짙은 갈색이나 검은색을 띤다.[33] 1957년 로버트 윌리엄 헤이만이 티그리스강변에서 발견된 어두운 갈색의 성체 수컷 표본을 기준으로 기재했으며, 아종명은 영국의 박물학자 개빈 맥스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
- '''신드비단수달''' (''Lutrogale perspicillata sindica'') (Pocock, 1940)[5]
- 분포: 파키스탄의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펀자브, 신드 주 등지에 분포한다.[38][7][33] 모식 산지는 신드 주이다.[33]
- 특징: 기준아종보다 털 색깔이 옅다.[5] 1940년 레지날드 인네스 포코크가 신드 주의 수쿠르 구와 카이푸르 구에서 수집된 옅은 색 가죽 7점을 바탕으로 기재하였다.[5]
5. 2. 계통 분류
비단수달의 학명 ''Lutra perspicillata''는 1826년 이사도르 조프루아 생틸레르가 수마트라에서 수집한 갈색 수달 표본을 기반으로 제안되었다.[3] 이후 1865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이마와 코가 더 볼록한 특징을 가진 수달을 위해 ''Lutrogale''이라는 속명을 제안하며, ''perspicillata''를 해당 속의 기준 종으로 삼았다.[4] 비단수달은 현재 ''Lutrogale'' 속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으로, 단형 분류군이다.[2]19세기와 20세기 동안 몇몇 동물 표본이 기술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 세 가지 아종이 인정된다.[2]
| 아종 학명 | 명명자 및 연도 | 주요 분포 지역 |
|---|---|---|
| L. p. perspicillata | 이사도르 조프루아 생틸레르, 1826 | 인도, 네팔, 중국 남서부 윈난성, 동남아시아 본토(인도차이나), 말레이 반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와 자바[2] |
| L. p. sindica | 레지날드 인네스 포코크, 1940[5] | 파키스탄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펀자브, 신드주)[7] |
| L. p. maxwelli | 로버트 윌리엄 헤이만, 1957[6] | 이라크 (티그리스강 유역)[8] L. p. maxwelli는 영국의 박물학자 개빈 맥스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 |
계통학적으로 비단수달은 수달아과에 속하며,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따르면 작은발톱수달(''Aonyx cinereus'', 과거 ''Amblonyx cinereus'')과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다.[39] 비단수달과 작은발톱수달은 약 133만 ± 78만 년 전에 유전자 분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9] 이 두 종은 아프리카민발톱수달(Aonyx capensis)과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하며, 이 그룹은 다시 수달속(Lutra)과 자매군 관계를 가진다.[39][9]
싱가포르에서는 비단수달 수컷과 작은발톱수달 암컷 사이의 교잡이 보고되었다. 이 교잡을 통해 태어난 자손들은 다시 비단수달 개체군과 교배하였으나, 작은발톱수달 조상의 유전자를 일부 유지하고 있다. 현재 싱가포르에는 최소 60마리 이상의 잡종 수달 개체군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6. 위협 요인
비단수달은 밀렵, 서식지 손실 및 습지 파괴로 인해 생존에 큰 위협을 받고 있다. 서식지는 주로 인간의 정착지 확장, 농업 개발, 수력 발전 사업 등으로 인해 파괴되고 있다.[1][31][35] 또한, 강과 하천이 살충제(염소화 탄화수소 및 유기인산염 등)에 의해 오염되면서 먹이가 되는 생물들이 줄어드는 문제도 심각하다.[1] 이러한 요인들은 비단수달의 먹이 부족으로 이어진다.
양식장에서는 물고기를 잡아먹는다는 이유로 비단수달이 무분별하게 살해되기도 한다.[1]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 등에서는 수달 포획이 만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 특히 인도의 참발 강 유역에서는 비단수달이 새끼를 기르는 겨울철에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방해에 매우 취약하다. 이 시기에는 사람들이 농작물을 수확하고 강가의 바위 지대에서 나무를 제거하는 등의 활동이 비단수달의 생존을 위협한다.[24]
최근에는 불법 애완동물 거래의 대상이 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2013년 1월, 방콕 국제공항에서 버려진 가방에서 어린 비단수달 6마리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불법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밀수 시도로 추정된다.[25] 또한, 2016년에서 2017년 사이에는 태국과 말레이시아의 상인들이 웹사이트를 통해 최소 7마리의 비단수달을 판매한 사실이 드러났다.[26]
이러한 여러 위협 요인들로 인해 비단수달의 개체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31][35] 이에 따라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강화되고 있으며, 1977년에는 수달아과 전체가, 2019년에는 비단수달이 워싱턴 조약(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상업 거래가 엄격히 금지되었다.[30]
7. 보존
비단수달의 개체 수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감소하고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댐 건설과 간척 사업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공업 폐수 및 농약으로 인한 수질 오염, 그리고 사냥 등이 지목된다.[31][35]
7. 1. 보존 노력
비단수달은 서식하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1977년부터 CITES 부속서 II에 포함되어 국제 거래가 규제되기 시작했다.[1] 2019년 8월부터는 CITES 부속서 I로 상향 조정되어 국제 거래에 대한 보호 조치가 더욱 강화되었다.[27]8. 문화적 의미
방글라데시 남부 지역에서는 비단수달을 상업적인 어업에 이용한다. 이 지역에서는 비단수달을 사육하고 훈련시켜 어망으로 물고기를 몰게 하는 방식의 수달 어업이 이루어진다. 2011년까지 이러한 어업 기술은 약 300명의 어부가 사용했으며, 이 기술에 간접적으로 생계를 의존하는 사람은 2,000명에 달했다.
참조
[1]
간행물
Lutrogale perspicillata
2022-12-10
[2]
논문
Lutrogale perspicillata
[3]
서적
Dictionnaire classique d'Histoire Naturelle
Société D'Histoire Naturelle
[4]
논문
Revision of the Genera and Species of Mustelidae contained in the British Museum
https://archive.org/[...]
[5]
논문
Notes on some British Indian otters, with descriptions of two new subspecies
https://archive.org/[...]
[6]
논문
A new race of the Indian smooth-coated otter from Iraq
[7]
논문
Otter Conservation in Pakistan
[8]
논문
The Status of the Iraq Smooth-coated Otter Lutrogale perspicillata maxwelli Hayman 1956 and Eurasian Otter Lutra lutra Linnaeus 1758 in Iraq
http://www.otterspec[...]
2015-03-18
[9]
논문
Phylogeography of the smooth-coated otter (Lutrogale perspicillata): distinct evolutionary lineages and hybridization with the Asian small-clawed otter (Aonyx cinereus)
[10]
논문
Niche separation in three sympatric otters Lutra perspicillata, L. lutra and Aonyx cinerea in Huai Kha Khaeng, Thailand
[11]
논문
Assessing the occurrence and resource use pattern of Smooth-coated Otters Lutrogale perspicillata Geoffroy (Carnivora, Mustelidae) in the Moyar River of the Western Ghats Biodiversity Hotspot
https://iucnosgbull.[...]
2021-11-02
[12]
서적
Key Biodiversity Survey of Southern Iraq: 2009 Site Review
http://www.natureira[...]
Nature Iraq
2013-04-15
[13]
논문
Photographic documentation and distribution of Smooth-coated Otter (Lutrogale perspicillata) (Geoffroy 1826) in Surat, Gujarat
[14]
논문
The urban Smooth-coated otters Lutrogale perspicillata of Singapore: a review of the reasons for success
[15]
웹사이트
Cheeky otters are thriving in Singapore—and adapting quickly to big city life
https://www.national[...]
2021-08-09
[16]
논문
Some observations on otters at Kuala Gula, Perak and National Park, Pahang
https://www.wildlife[...]
2019-11-24
[17]
논문
Conservation aspects of the ecology of Asian small-clawed and smooth otters on the Malay Peninsula
[18]
Ph.D. Dissertation
Conservation ecology of sympatric Asian otters Aonyx cinerea and Lutra perspicillata
https://ufdc.ufl.edu[...]
University of Florida
2019-11-24
[19]
논문
Food and feeding habits of smooth-coated otters (Lutra perspicillata) and their significance to the fish population of Kerala, India
[20]
논문
Aspects of Preying Behaviour of Smooth Coated Otters Lutrogale perspicillata from Southeast Asia
http://www.otterspec[...]
2012-11-10
[21]
논문
Group size, group structure and breeding in smooth-coated otter Lutra perspicillata Geoffroy in National Chambal Sanctuary
[22]
논문
Breeding the Indian smooth otter Lutrogale perspicillata sindica X L.p. perspicillata at Twycross Zoo
[23]
논문
Observations of the variation in group structure of two urban Smooth-Coated Otter Lutrogale perspicillata groups in the central watershed of Singapore
https://www.iucnosgb[...]
2020-11-23
[24]
논문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Smooth-coated Otter Lutra perspicillata in National Chambal Sanctuary, India
[25]
논문
Seizure Of Live Otters In Bangkok Airport, Thailand
https://www.iucnosgb[...]
2019-11-24
[26]
서적
Illegal Otter Trade in Southeast Asia
https://d2ouvy59p0dg[...]
Traffic Southeast Asia Regional Office
2019-11-24
[27]
뉴스
CITES CoP 2019: Otters given highest protection from trade
https://www.downtoea[...]
2019-08-30
[28]
논문
Fishing with Otters: a Traditional Conservation Practice in Bangladesh
http://www.otterspec[...]
2012-06-21
[29]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www.cites.or[...]
[30]
웹사이트
Lutrogale perspicillata
https://www.speciesp[...]
UNEP
2020
[31]
간행물
Lutrogale perspicillata
https://doi.org/10.2[...]
2015
[32]
논문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33]
논문
Lutrogale perspicillata
https://doi.org/10.1[...]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34]
서적
イタチ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1991
[35]
서적
ビロードカワウソ
講談社
[36]
저널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http://www.biomedcen[...]
2008-02
[37]
간행물
Lutrogale perspicillata
[38]
저널
Lutrogale perspicillata
http://www.science.s[...]
2016-03-26
[39]
저널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