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사리온 벨린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사리온 벨린스키는 1811년 핀란드 수오멘린나에서 태어난 러시아의 문학 평론가이자 사상가이다. 그는 낭만주의에 입각하여 이성과 직관의 결합을 중시했으며, 서구화주의적 지식인으로서 전제 정치와 농노제를 비판했다. 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며, 예술이 현실을 반영하고 사회 변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벨린스키는 사회주의적 입장을 취하며, 예술의 자율성을 옹호했다. 그의 사상은 러시아 좌익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러시아 혁명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주요 저서로는 '고골에게 보내는 편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언론인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러시아의 언론인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알렉산드라 콜론타이는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 정부에 참여하여 여성 권익 증진에 힘쓰고 세계 최초의 여성 정책 담당 부서인 여성부를 창설했으며, 급진적인 여성 해방론과 자유 연애 사상으로 사회에 반향을 일으킨 혁명가이자 정치인, 외교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이다. - 1811년 출생 - 막시밀리안 2세 (바이에른)
막시밀리안 2세는 바이에른 왕국의 왕으로, 학구적인 성향을 보이며 문화, 교육, 예술 발전에 힘썼으나 보수적인 반발에 직면했고, 프로이센의 범독일주의에 맞서 바이에른의 정체성을 강화하려 노력하다가 1864년 사망했다. - 1811년 출생 - 아이작 메릿 싱어
아이작 메릿 싱어는 기존 재봉틀 디자인을 개선하여 실용적인 재봉틀을 발명하고 특허를 취득했으며, 싱어사를 설립하여 재봉틀을 대량 생산, 판매함으로써 세계 의류 산업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온 미국의 발명가이자 기업가, 배우였다. - 1848년 사망 -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는 스웨덴의 화학자로, 세륨과 셀레늄을 발견하고 규소 등을 분리했으며, 화학 용어 도입 및 근대적 원소 표기법 확립, 원자량 개념 발전에 기여하여 '근대 화학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불린다. - 1848년 사망 - 베르나르트 볼차노
베르나르트 볼차노는 프라하 출신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엄밀한 수학적 증명을 추구하고 객관주의적 논리학을 정립하려 했으며, 수학에서는 중간값 정리와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로, 철학에서는 『지식학』에서의 '명제 자체' 등의 개념으로 유명하고 후설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 비사리온 벨린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비사리온 그리고리예비치 벨린스키 |
| 출생 | 1811년 6월 11일 |
| 출생지 | 스베아보리, 핀란드 대공국, 러시아 제국 |
| 사망 | 1848년 6월 7일 |
| 사망지 |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
| 국적 | 러시아 |
| 활동 시기 | 1830년대–1840년대 |
| 직업 | 소브레멘니크 편집자 오테체스트벤니예 자피스키 편집자 |
| 장르 | 비평 |
| 주제 | 문학 |
| 사상 | 서구화 러시아 셸링주의 |
| 기타 정보 | |
| 러시아어 표기 | |
| 러시아어 | Виссарион Григорьевич Белинский |
| 로마자 표기 | Vissarión Grigórʹjevič Belínskij |
2. 생애
핀란드 헬싱키의 일부였던 스베아보르(현재 수오멘린나)에서 해군 군의관의 아들로 태어났다.[5] 어린 시절은 켐바르(현재 펜자주 벨린스키)와 펜자에서 보냈으며, 펜자의 김나지야에서 1825년부터 1829년까지 공부했다. 1829년부터 1832년까지 모스크바 대학교에 재학했으나, 농노제를 비판하는 희곡 『드미트리 칼리닌』(1831)을 썼다는 이유로 퇴학당했다. 모스크바 시기에 그는 첫 유명한 비평글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그의 초기 평론 활동은 『문학적 공상』(Литературные мечтания|리테라투르니예 메치타니야ru, 1834년)으로 시작되었으며, 니콜라이 스탄케비치, 알렉산드르 게르첸, 미하일 바쿠닌 등 당대의 주요 지식인들과 교류했다.
1839년 벨린스키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러시아 문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그는 영향력 있는 문학 잡지인 오테체스트벤니예 자피스키(조국의 기록)와 소브레메니크(동시대)의 주요 평론가이자 편집자로 활동했으며, 두 잡지 모두에서 젊은 니콜라이 네크라소프와 함께 일했다.
벨린스키는 당대의 다른 러시아 지식인들과는 다른 배경을 가졌다. 부유한 귀족이 아닌 시골 의사의 아들이었으며, 상대적으로 불우한 환경 때문에 주로 독학으로 지식을 쌓았다. 이는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정치적 활동을 이유로 퇴학당한 것도 한몫했다. 그는 철학적 능력보다는 강렬한 감정적 헌신과 열정으로 더 존경받았다. 그는 "나에게 생각하고, 느끼고, 이해하고, 고통받는 것은 모두 똑같은 것"이라고 말하며, 낭만주의적 이상, 즉 진정한 이해는 단순한 이성뿐 아니라 직관적 통찰에서도 온다는 믿음을 보여주었다.
사상적으로 벨린스키는 대부분의 서구화주의자 지식인처럼 개인적 자아, 즉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고 존엄성과 권리를 부여하는 개념인 '리치노스트'(личность|리치노스트ru)를 핵심 가치로 삼았지만, 이를 남다른 지적, 도덕적 열정으로 추구했다. 그는 독일 관념론자들의 추상적 철학을 일부 수용하면서도, 문학 비평에서는 현실주의적 관점을 견지했다. "개인의 인격[''리치노스트'']이 고통받고 있는데 나에게 보편적인 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또는 "개인, 사람의 운명은 온 세상의 운명보다 더 중요하다"고 말하며 개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러시아 사회의 전제 정치와 농노제를 "인간적이고 고귀한 모든 것을 짓밟는 것"이라며 격렬하게 비판했으며, 빈곤, 매춘, 관료주의적 냉담함, 여성 등 약자에 대한 잔혹함 등 사회 문제 전반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벨린스키는 문학 평론가로서 활동하며 문학을 니콜라이 1세의 억압적인 통치 하에서 자유를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영역으로 보았다. 그는 문학 작품에 '진실'을 요구했는데, 이는 단순히 현실을 탐구적으로 묘사하는 것(그는 단순한 환상, 도피, 심미주의 작품을 싫어했다)뿐만 아니라, 올바른 도덕적 입장, 특히 개인의 존엄성에 대한 헌신을 의미했다. 그는 니콜라이 고골에게 보낸 유명한 편지[6]에서 대중은 미학적으로 나쁜 책은 용서해도 이념적으로나 도덕적으로 해로운 책은 결코 용서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고골의 저서 『친구와의 서신』이 "수세기 동안 진흙과 쓰레기 속에서 짓밟힌 사람들의 인간적 존엄성을 일깨울" 필요성을 외면했기에 해롭다고 비판했다.
벨린스키의 이러한 사상은 사회의 급진적인 사회 변화를 지향하게 했고, 1841년부터 스스로를 사회주의자라고 칭했다. 그의 비판적인 글과 사상은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와 같은 젊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여러 공개적인 자리에서 농노제 폐지를 요구하는 벨린스키의 편지를 낭독했고, 이로 인해 1849년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다가 감형되어 시베리아의 카토르가(감옥 캠프)에서 4년간 복역하기도 했다.[7] 벨린스키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첫 소설 『가난한 사람들』(1845)을 높이 평가했지만, 이후 두 사람은 사상적 차이로 결별했다.[8]
말년에 벨린스키는 폐 질환이 악화되어 1847년 독일로 요양을 떠나기도 했다. 그는 니콜라이 네크라소프와 함께 『현대인』(소브레메니크)에 합류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새로운 문학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기여했으며, 마지막 주요 저작인 『1847년의 러시아 문학 개관』을 구술했다. 1848년, 그의 비판적인 정치적 견해 때문에 차르의 경찰에 체포되기 직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결핵으로 사망했다.
사후 벨린스키의 작품은 1859-1862년에 12권으로 처음 출판되었고, 1910년 러시아에서는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했다. 그는 이반 투르게네프와 가까운 친구였으며, 투르게네프는 벨린스키를 자신의 회고록에서 다정하게 묘사했다. 영국 사상가 이사야 벌린은 저서 『러시아 사상가』(1978)에서 벨린스키의 비판적 통찰력에 일부 결점이 있음을 지적하면서도(페니모어 쿠퍼를 셰익스피어와 동등하게 평가하는 등), 그의 작품이 당대 젊은 작가와 사상가들의 도덕적, 사회적 관점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으며, 러시아 사상과 감정 표현의 질을 바꾸어 놓았다고 평가하며 그의 막대한 사회적 영향을 강조했다. 벨린스키는 극작가 톰 스토파드의 희곡 3부작 『유토피아 해안』(2002)에서도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2. 1. 모스크바 대학교 퇴학
모스크바 대학교에 국비 장학생으로 재학하던 중, 농노제를 비판하는 내용의 희곡 『드미트리 칼리닌 1831년』을 썼다. 이 일로 인해 학교 당국은 벨린스키를 〈능력이 부족하고 열심이 없다〉는 표면적인 이유를 들어 퇴학시켰다. 이는 그의 사회 비판적인 성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3. 사상과 영향
벨린스키는 문학이 사회 현실을 반영하고 변화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한 영향력 있는 비평가이자 사상가였다.[6] 그는 개인의 인격(личность|리치노스트ru)과 존엄성을 무엇보다 중시했으며,[5] 이를 바탕으로 러시아 제국의 전제 정치와 농노제를 비롯한 사회의 여러 부조리를 날카롭게 비판했다.[5] 이러한 현실 비판 의식은 그를 점차 급진적인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사회주의 사상으로 이끌었다.[5]
초기에는 헤겔 철학과 독일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아 예술 자체의 목적과 자율성을 강조하기도 했으나,[6] 점차 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변화했다. 그는 문학 작품에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가치를 "진실"로 보았는데, 이는 단순히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넘어 올바른 도덕적 입장, 특히 개인의 존엄성에 대한 헌신을 의미했다.[5][6]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순수 예술을 비판적으로 보았으며, 니콜라이 고골이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고 보수적인 입장으로 돌아섰을 때 이를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6]
벨린스키의 사상과 문학관은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 니콜라이 도브롤류보프 등 후대의 비평가들에게 직접적으로 계승되었으며, 나아가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예 이론이 형성되는 데 중요한 지적 토대를 마련했다.[6] 영국의 사상가 이사야 벌린은 벨린스키의 비평에 일부 한계가 있었음을 지적하면서도, 그가 러시아 지성계의 도덕적, 사회적 관점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점을 높이 평가하며 그의 사회적 영향력이 문학 비평가로서의 업적을 능가한다고 보았다.[5]
3. 1. 서구화주의와 사회주의
벨린스키는 이념적으로 대부분의 서구화주의자 지식인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자아, 즉 личность|리치노스트ru를 핵심 가치로 삼았다. 그는 이 개념이 사람을 인간답게 만들고 존엄성과 권리를 부여하는 근본이라고 보았으며, 남다른 지적, 도덕적 열정으로 이를 옹호했다.[5] 그는 "개인의 인격(''리치노스트'')이 고통받는데 보편적인 것이 무슨 소용인가?" 혹은 "개인, 사람의 운명은 온 세상의 운명보다 더 중요하다"고 말하며 개인의 가치를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했다.이러한 신념을 바탕으로 벨린스키는 당시 러시아 사회의 현실을 날카롭게 비판했다. 그는 전제 정치와 농노제를 "인간적이고 고귀한 모든 것을 짓밟는 것"으로 규정하며 격렬하게 비판했으며,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점인 빈곤, 매춘, 음주, 관료주의적 폐단, 그리고 여성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잔혹함까지도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다.
벨린스키의 이러한 사상은 사회 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했고, 그는 1841년부터 스스로를 사회주의자라고 칭하며 급진적인 사회 변화를 지지했다. 그의 비판적 사상은 문학 비평에도 그대로 이어져, 문학이 사회 현실을 반영하고 올바른 도덕적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니콜라이 1세의 억압적인 통치 하에서 문자로 된 글쓰기가 자유를 표현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통로라고 믿었다.
벨린스키의 영향력은 상당하여,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는 공개적인 자리에서 농노제 폐지를 주장하는 벨린스키의 편지를 낭독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다가 감형되어 시베리아 유형을 살기도 했다.[7]
3. 2. 문학 비평 활동
벨린스키는 짧은 생애 대부분을 문학 평론가로 활동했으며, 그의 문학 비평은 도덕적 판단과 깊이 연결되어 있었다.[5] 그는 니콜라이 1세의 억압적인 통치 하에서 자유로운 사상을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영역이 문학이라고 믿었다. 벨린스키가 문학 작품에 가장 중요하게 요구한 것은 "진실"이었다. 이는 단순히 현실 생활을 탐구적으로 묘사하는 것뿐만 아니라(그는 단순한 환상, 현실 도피, 심미주의적인 작품을 싫어했다), 올바른 도덕적 입장에 대한 헌신, 특히 개인의 존엄성에 대한 관심을 의미했다. 그는 개인의 인격(личность|리치노스트ru)이 고통받는 현실을 외면하는 보편적 관념에 대해 "개인의 인격이 고통받고 있는데 나에게 보편적인 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또는 "개인, 사람의 운명은 온 세상의 운명보다 더 중요하다"라고 말하며 비판적 입장을 견지했다.[5]벨린스키는 당대 러시아 문학의 중요한 작가들을 발굴하고 평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는 알렉산드르 푸시킨을 러시아 최초의 국민 시인으로 평가하며 그 문학사적 의의를 확립했고, 푸시킨의 뒤를 이은 미하일 레르몬토프 역시 높이 평가했다.[6] 또한 니콜라이 고골을 "현실 생활의 시인"으로 칭하며 그의 초기 작품들을 지지했으나, 후기에 고골이 러시아 정교회와 농노제를 옹호하는 보수적인 입장으로 선회하자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고골의 저서 ''친구와의 서신 교환 선집''이 "수세기 동안 진흙과 쓰레기 속에서 짓밟힌 사람들의 인간적 존엄성을 일깨울" 필요성을 외면했다며 "해로운 책"이라고 비판한 유명한 '고골에게 보내는 편지'[6]는 벨린스키의 열정, 진지함, 부정에 대한 분노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다. 이 편지는 이후 러시아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는 여러 공개적인 자리에서 농노제 폐지를 요구하는 이 편지를 낭독하기도 했다.[7]
벨린스키는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첫 소설인 ''가난한 사람들''(1845)을 극찬하며 문단에 소개했지만, 이후 도스토옙스키의 사상 변화로 두 사람은 결별하게 되었다.[8] 그는 또한 이반 곤차로프, 알렉세이 콜초프, 이반 투르게네프 등을 발굴하고 열렬히 소개했다. 특히 투르게네프와는 가까운 친구가 되었고, 투르게네프는 훗날 벨린스키를 다정하게 회상하기도 했다.[5]
초기에는 헤겔 철학의 영향 아래 예술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시는 그것을 넘어서는 목적을 갖지 않는다. 그 자체가 목적이다"라고 말하기도 했으나,[6] 점차 사회 현실에 대한 문학의 역할을 강조하며 사회 의식이 있는 문학을 옹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러한 그의 문학관은 이후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 니콜라이 도브롤류보프 등에게 계승되어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으로 이어지는 문학 및 예술관의 중요한 전통을 형성했다.[6]
영국의 사상가 이사야 벌린은 벨린스키의 비평에 대해 단테나 셰익스피어에 대한 평가 오류 등 통찰력의 결점을 지적하면서도, 그가 "살아 있고 진실한 모든 것에 자연스럽게 반응"하여 러시아 비평가의 개념을 바꾸고 당대 젊은 작가와 사상가들의 도덕적, 사회적 관점을 결정적으로 변화시켰다고 평가했다. 벌린은 벨린스키의 사회적 영향력이 문학 비평가로서의 업적을 압도한다고 보았다.[5]
3. 3. 고골에게 보내는 편지
벨린스키는 문학 작품에 가장 중요한 것은 "진실"이라고 보았다. 이는 단순히 현실을 충실히 묘사하는 것뿐만 아니라, '올바른' 도덕적 입장을 견지하는 것을 의미했다. 그에게 있어 올바른 도덕적 입장이란 무엇보다 개인의 존엄성에 대한 존중이었다.[6] 그는 니콜라이 고골에게 보낸 유명한 편지에서 대중은 미학적으로 부족한 책은 용서할 수 있어도, 이념적, 도덕적으로 '해로운' 책은 결코 용서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6]1847년, 벨린스키는 고골이 발표한 저서 ''친구와의 서신''에서 러시아 정교회와 농노제를 옹호한 것을 강하게 비판하는 편지를 보냈다.[6] 벨린스키는 고골이 이 책을 통해 "수세기 동안 진흙과 쓰레기 속에서 짓밟힌 사람들의 인간적 존엄성을 일깨울" 필요성을 외면했다고 질타하며, 이를 '해로운 책'으로 규정했다.[6] 이 편지는 벨린스키 특유의 정열과 진지함, 그리고 사회적 부정의에 대한 깊은 분노가 잘 드러난 글로 평가받는다.
이 편지는 당시 러시아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는 농노제 폐지를 촉구하는 벨린스키의 편지를 여러 공공 행사에서 낭독했으며, 이를 인쇄하여 배포하려다 비밀 출판소 설치 혐의 등으로 1849년 차르 당국에 체포되었다.[7] 도스토옙스키는 이 일로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형 집행 직전 감형되어 시베리아의 카토르가(감옥 캠프)에서 4년간 복역하게 되었다.[7]
4. 유산
러시아 문학에서 벨린스키는 체르니셰프스키와 도브롤류보프에 의해 계승 발전되어,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으로 이어지는 문학관과 예술관의 전통을 창설한 인물이다. 그는 순수 예술을 부정하고, 예술은 특수한 사회 관계를 배경으로 한다고 생각하며, 이 견지에서 18세기 이래의 러시아 작가와 시인을 평가했다. 최초의 국민 시인으로서 푸시킨의 의의를 확정했고, 그 뒤를 이은 레르몬토프를 높이 평가했으며, 〈현실 생활의 시인〉으로서 고골을, 또는 곤차로프와 콜초프, 투르게네프, 『가난한 사람들』을 쓴 도스토옙스키를 발견하여 열렬히 소개했다.
비평가로서 벨린스키는 헤겔 철학의 영향을 받은, 독일 낭만주의의 제자로서, "시는 그것을 넘어서는 목적을 갖지 않는다. 그 자체가 목적이다"라고 말하며, 예술의 기능에 관한 〈교훈적·공리주의적〉 견해를 취하지 않았다. 위대한 고전 작품은, 그것이 자립적으로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세계 그 자체의 진정한 여러 관계를 나타내고, 그 독자의 도덕과 정치에 대한 시각을 변화시킴으로써, 모든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정치적인 저작을 쓰지는 않았지만, 벨린스키는 전제 정치와 독단와 동조주의에 대해, 평생을 걸고 싸웠다. 고골이 자신의 사명에 반하여 러시아 정교회와 농노제를 옹호한 것을 책망한, 벨린스키 만년의 『고골에게 보내는 편지』는, 그의 정열·진지함·부정에 대한 분노가 뒤섞인 문체의 대표일 것이다. 이 뜻의 높이와 음조가 1860년대 러시아 좌익의 저술가들에게 오랫동안 지속되는 영향을 남겼고, 플레하노프나 레닌 등의 사회주의자들에게 러시아 혁명의 선구자로서, 게르첸과 나란히 지위를 부여받았다. 〈러시아의 레싱〉이라는 평가는, 틀린 말은 아니다.
모스크바의 붉은 광장 근처에 있는 벨린스키 거리와 벨린스키 골목은 1920년부터 1994년까지 벨린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5. 주요 저서
6. 평가
영국 작가 이사야 벌린은 1978년 저서 ''러시아 사상가''에서 벨린스키에 대해 다루면서, 그의 비판적 통찰력에 몇 가지 결점이 있음을 지적했다. 벌린에 따르면 벨린스키는 단테를 시인이 아니라고 평가하거나, 페니모어 쿠퍼를 셰익스피어와 동등하게 보았으며, ''오셀로''를 야만적인 시대의 산물로 치부하는 등의 오류를 보이기도 했다.[5]
"그는 매우 변덕스러웠고, 그의 모든 열정과 진지함과 진실성이 통찰력이나 지적 능력의 실패를 보충하지 못한다. 그는 단테가 시인이 아니라고 선언했고, 페니모어 쿠퍼는 셰익스피어와 동등하며, ''오셀로''는 야만적인 시대의 산물이라고 했다..."[5]
그러나 벌린은 동시에 벨린스키가 "살아 있고 진실한 모든 것에 자연스럽게 반응했기 때문에 모국에서 비평가의 소명에 대한 개념을 변화시켰다"고 평가했다. 또한 그의 작품이 당대 젊은 작가와 사상가들의 도덕적, 사회적 관점을 결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사회적 영향력이 문학 비평가로서의 업적을 넘어선다고 보았다.[5]
"그는 살아 있고 진실한 모든 것에 자연스럽게 반응했기 때문에 모국에서 비평가의 소명에 대한 개념을 변화시켰다. 그의 작품의 지속적인 영향은 그의 시대의 선도적인 젊은 작가와 사상가들의 도덕적, 사회적 관점을 변화시키고, 결정적으로, 돌이킬 수 없게 변화시키는 데 있었다. 그는 너무나 많은 러시아적 사고와 감정의 경험과 표현의 질과 어조를 변화시켜서 그의 지배적인 사회적 영향으로서의 역할은 그의 문학 평론가로서의 업적을 압도한다."[5]
러시아 문학사에서 벨린스키의 문학관과 예술관은 체르니셰프스키와 도브롤류보프에게 계승되어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으로 이어지는 전통을 세운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순수 예술을 부정하고 예술이 특정 사회적 관계를 배경으로 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18세기 이후 러시아 작가들을 평가했다. 벨린스키는 푸시킨을 최초의 국민 시인으로 평가하고 그 의의를 확립했으며, 레르몬토프, 고골, 곤차로프, 콜초프, 투르게네프,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을 쓴 도스토옙스키 등을 높이 평가하고 소개했다.[5][8]
초기 벨린스키는 헤겔 철학의 영향을 받아 예술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시는 그것을 넘어서는 목적을 갖지 않는다. 그 자체가 목적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점차 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나아갔으며, 문학 작품에 '진실', 즉 현실에 대한 깊이 있는 묘사와 함께 올바른 도덕적 입장을 요구했다. 특히 개인의 존엄성에 대한 관심을 중요하게 생각했다.[5]
벨린스키는 전제 정치와 농노제를 강하게 비판했으며, 고골이 러시아 정교회와 농노제를 옹호하자 이를 준엄하게 꾸짖는 편지[6]를 보냈다. 이 편지는 그의 열정, 진지함, 부정에 대한 분노를 잘 보여주는 글로 평가받으며, 후대 러시아 좌익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플레하노프나 레닌과 같은 사회주의자들은 벨린스키를 게르첸과 더불어 러시아 혁명의 선구자로 여겼다. '러시아의 레싱'이라는 평가도 이러한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5]
벨린스키의 사상과 삶은 후대 예술가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 이사야 벌린의 저서를 통해 벨린스키를 알게 된 극작가 톰 스토파드는 그를 자신의 희곡 3부작 ''유토피아 해안''(2002)의 주요 등장인물 중 하나로 설정했다.[5]
참조
[1]
서적
Schellingianism, Russian
https://www.rep.rout[...]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1998
[2]
문서
In Belinsky's day, his name was written Виссаріонъ Григорьевичъ Бѣлинскій
[3]
서적
Bakunin: The Creative Passion
Seven Stories Press
2006
[4]
간행물
Belinsky and V.F. Odoyevsky
https://www.jstor.or[...]
1984
[5]
서적
The Spirit of Russia
https://en.wikisourc[...]
George Allen & Unwin, Ltd.
1919
[6]
웹사이트
V. G. Belinsky 1847, Letter to N. V. Gogol
https://www.marxists[...]
2022-09-02
[7]
서적
Dostoevsky: The Seeds of Revolt, 1821–1849, Volume 1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6
[8]
서적
Commentaries on Demons by Fyodor Dostoevsky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Inc.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