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엔티안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엔티안부는 라오스의 주(province)로, 수도인 비엔티안이 위치해 있다. 라오스 서사시에 따르면 비엔티안은 탓타랏타 왕자가 건설한 도시의 전신으로, 크메르 제국의 정착지였으며 란쌍 왕국의 수도이기도 했다. 1707년 비엔티안 왕국으로 독립했으나, 시암의 지배를 받기도 했으며, 1827년 시암 군대에 의해 파괴되었다. 1893년 프랑스 지배를 거쳐 1899년 라오스 프랑스 보호령의 수도가 되었고, 2차 세계 대전, 라오스 내전을 겪으며 공산화되었다. 현재는 9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다. 주요 랜드마크로는 탓 루앙 사원, 빠뚜싸이 기념비, 라오스 국립 박물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비엔티안부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공식 명칭비엥찬 도
현지 이름}} (나콘 루앙 위앙 찬)
행정 구역도 (Prefecture)
국가라오스
수도비엔티안
설립1989년
지리
면적3,920km²
위치라오스 내 위치
지도비엔티안 도 지도
인구 통계
총 인구 (2015년)820,924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특징해당 없음
인문 지표
인간 개발 지수 (HDI, 2017년)0.795 (높음, 1위)
시간대
시간대ICT
UTC 오프셋+7
행정
ISO 코드LA-VT
기타
웹사이트해당 없음

2. 역사

비엔티안의 역사는 고대 크메르인들의 정착지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라오족과 타이족의 이주와 함께 발전하였다. 전설에 따르면 ''프라 락 프라 람'' 서사시의 탓타랏타 왕자가 도시를 세웠다고도 전해진다.

1354년 란쌍 왕국이 세워지면서 비엔티안은 중요한 행정 도시가 되었고, 1563년 세타티랏 왕은 미얀마의 침략을 피해 이곳을 수도로 삼았다. 그러나 이후 수 세기 동안 비엔티안은 때로는 지역 중심지로서 번성했지만, 베트남, 미얀마, 시암 등 주변 강대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며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

1707년 란쌍 왕국이 분열되면서 비엔티안 왕국으로 독립했으나, 오래가지 못하고 1779년 시암의 장군 프라야 차크리에게 정복당해 시암의 속국이 되었다. 1827년에는 아누웡 왕이 시암에 대항하여 독립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였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시암 군대는 비엔티안을 철저히 파괴하고 약탈했다.[4] 이 과정에서 왓 시 사켓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원과 건물이 불탔으며, 도시는 폐허로 변했다.

19세기 후반 프랑스 세력이 인도차이나 반도로 진출하면서 1893년 비엔티안은 프랑스의 지배하에 놓였고, 1899년 라오스 프랑스 보호령의 수도가 되었다. 프랑스는 도시를 재건하고 식민 통치를 위한 기반 시설을 마련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잠시 일본군에 점령되기도 했으나, 1945년 해방되었다.

전후 라오스 왕국이 독립했지만, 곧이어 라오스 내전이 발발하면서 비엔티안은 다시 불안정한 시기를 맞았다. 왕립 정부와 파테트 라오 간의 치열한 싸움 끝에 1975년 12월 2일, 파테트 라오가 비엔티안을 장악하고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 수립을 선포하며 내전은 종식되었다. 이후 비엔티안은 사회주의 국가 라오스의 수도로서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1980년대 중반부터는 도시 개발 및 관리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 1. 초기 역사와 전설

라오스의 서사시인 ''프라 락 프라 람''에 따르면, 탓타랏타 왕자는 전설적인 라오스 왕국 ''므엉 인타파타 마하 나콘''에서 동생에게 왕위를 빼앗긴 후 새로운 도시를 세웠다고 한다. 탓타랏타는 메콩강 서쪽에 ''마하 타니 시 판 파오''라는 도시를 건설했는데, 이 도시는 오늘날 태국우돈타니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어느 날, 일곱 개의 머리를 가진 나가가 탓타랏타에게 ''마하 타니 시 판 파오'' 맞은편 강 동쪽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라고 조언했다. 왕자는 이 도시를 ''찬타불리 시 사타나카나후드''라고 불렀으며, 이곳이 현대 비엔티안의 전신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프라 락 프라 람''의 이야기와는 달리,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비엔티안이 초기 크메르인들의 정착지였으며, 힌두교 사원을 중심으로 세워졌을 것으로 본다. 이후 이 힌두 사원 자리에 불교 사원인 ''파 탓 루앙''이 들어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실제로 사이퐁 지역을 다스렸던 크메르 왕자들이 비엔티안 근처의 사원에 순례를 왔다는 기록도 있다.

11세기와 12세기에 라오족과 타이족이 중국 남부에서 동남아시아로 이주해 온 것으로 여겨진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거주하던 소수의 크메르인들은 살해되거나 쫓겨났으며, 일부는 새롭게 유입된 라오스 문명에 동화되었다. 점차 라오족과 타이족이 이 지역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1354년, 파 응움 왕이 란쌍 왕국을 세웠을 때 비엔티안은 수도는 아니었지만 중요한 행정 도시로서 기능했다. 이후 1563년, 세타티랏 왕은 미얀마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 비엔티안을 란쌍 왕국의 수도로 공식적으로 정했다.

2. 2. 란쌍 왕국 시대

1354년, 파 응움 왕이 란쌍 왕국을 세웠을 때 비엔티안은 수도는 아니었지만 중요한 행정 도시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1563년, 세타티랏 왕은 미얀마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 이곳을 란쌍 왕국의 수도로 정했다. 수도가 된 이후 수 세기 동안 비엔티안의 지위는 불안정하여, 때로는 강력한 지역 중심지였으나 베트남, 미얀마, 또는 시암 등 주변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1707년 란쌍 왕국이 분열되면서 비엔티안 왕국으로 독립하였다.

2. 3. 분열과 외세의 지배

1563년 세타티랏 왕이 미얀마의 침략을 피해 비엔티안란쌍 왕국의 수도로 삼은 이후, 수 세기 동안 비엔티안의 지위는 불안정했다. 때로는 강력한 지역 중심지였지만, 종종 베트남, 미얀마, 또는 시암의 지배를 받았다.

1707년 란쌍 왕국이 분열되면서 비엔티안 왕국으로 독립했다. 그러나 독립은 오래가지 못했고, 1779년 시암(현재의 태국)의 장군 프라야 차크리에게 정복당하여 시암의 속국이 되었다.

이후 아누웡 왕이 시암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되찾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1827년, 시암 군대는 비엔티안을 철저히 파괴했다. 도시는 불에 탔고, 라오스의 문화유물과 불상 등 거의 모든 것을 약탈당했다.[4] 이 과정에서 왓 시 사켓만이 유일하게 온전한 상태로 남았다. 시암의 파괴로 인해 비엔티안은 폐허가 되었고, 인구가 급감했으며, 도시 전체가 숲 속에 묻히는 지경에 이르렀다.

1867년 프랑스 세력이 도착하면서 상황은 다시 변화했다. 결국 1893년 비엔티안은 프랑스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1899년에는 라오스 프랑스 보호령의 수도로 지정되었다. 프랑스는 도시를 재건하고 파 탓 루앙, 호 프라 께우와 같은 주요 불교 사원을 복구했으며, 식민 통치를 위한 건물들을 지었다. 1900년 총독 폴 도메르가 서명한 법령에 따라, 주는 보리칸, 파촘, 투라콤, 비엔티안의 4개의 ''므앙''(행정 구역 단위)으로 나뉘었다.

2. 4. 프랑스 식민 통치와 독립

1893년 프랑스의 지배하에 들어가 1899년 라오스 프랑스 보호령의 수도가 되었다. 프랑스는 도시를 재건하면서 파 탓 루앙, 호 프라 께우와 같은 불교 사원을 복원하고 식민지 양식의 건물들을 지었다. 1900년 총독 폴 도메르가 서명한 법령에 따라, 주는 보리칸, 파촘, 투라콤, 비엔티안의 4개 ''므앙''(행정 구역 단위)으로 나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엔티안은 사코 마사노리 사령관이 이끄는 일본군에게 별다른 저항 없이 점령되었다. 1945년 3월 9일 프랑스 공수부대가 도착하여 같은 해 4월 24일 비엔티안을 일본군으로부터 해방시켰다.

2. 5. 라오스 내전과 공산화

라오스 내전이 라오스 왕립 정부와 파테트 라오 사이에서 발발하면서 비엔티안은 불안정한 상황에 놓였다. 1960년 8월, 콩 레는 쿠데타를 일으켜 수도를 점령하고 수반나 푸마를 총리로 임명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중순, 푸미 장군이 반격하여 수도를 다시 점령하고 푸마 정부를 전복시킨 뒤 분 옴을 총리로 세웠다.

시간이 흘러 1975년 중반, 파테트 라오 군대가 비엔티안으로 진격하자 미국 요원들은 수도에서 철수하기 시작했다. 마침내 1975년 8월 23일, 50명의 파테트 라오 여성 부대가 비엔티안을 해방시켰다. 같은 해 12월 2일, 공산주의 정당인 파테트 라오가 비엔티안을 완전히 장악하고 라오스 왕국을 무너뜨리면서 라오스 내전은 공식적으로 종식되었다. 하지만 내전 종결 이후에도 라오스 반란이 정글 지대에서 시작되었고, 파테트 라오 정부는 몽족과 망명한 왕당파 세력과 계속해서 싸워야 했다.

3. 지리

비엔티안 주는 태국과 국경을 이루는 메콩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수도 비엔티안 역시 이곳에 위치한다.[2] 전반적인 지형은 메콩강을 따라 펼쳐진 평야와 일부 구릉으로 구성되며, 북동쪽과 서쪽으로는 산맥이 경계를 이룬다. 저습한 평야 지대는 우기에 침수되는 특징을 보인다. 기후는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여, 뚜렷한 우기와 건기가 나타난다. 주요 정착지, 호수, 폭포 등 세부적인 지형과 기후 정보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3. 1. 위치와 지형

비엔티안 주는 태국과 경계를 이루는 메콩강의 굽이진 곳에 있으며, 수도인 비엔티안도 이곳에 위치한다.[2] 주요 정착지로는 비엔티안, 반 앙, 반 시마노, 반 핫 카이, 반 파코, 반 돈누, 반 나, 반 돈, 반 타 복, 반 논, 타 응온 등이 있다. 남 훔 저수지와 남 수앙 저수지는 비엔티안 북쪽 13번 국도에서 벗어나 있다.[5] 농타 호수는 도시 북부에 위치하며, 농 서엄 호수는 10번 국도에서 북동쪽에 있다.[5] 반 핫 카이에서 북쪽으로 약 약 4.83km 지점에는 탓 사이 폭포가 있으며, 서쪽으로 약 약 4.83km 지점에는 더 작은 탓 룩 폭포가 있다. 비엔티안 북동쪽 13번 국도를 따라 있는 반 나는 논밭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곳에서 약 약 6.44km 떨어진 곳에는 코끼리 관찰 지점인 풍 사이가 있다.

비엔티안 평야는 상당히 저습한 지역과 고립된 구릉(200m)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기 최성기에는 170m 이하의 토지가 침수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보다 높은 지점에 거주한다. 비엔티안 평야는 북동쪽은 푸카오콰이 산맥, 서쪽은 푸파덴과 푸파난 산맥, 남쪽과 남동쪽은 메콩강으로 둘러싸인 해발 170m-200m의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지역이다. 또한, 습지대는 비엔티안 평야의 특징이기도 하다. 다만 습지대라고 해도 일년 내내 물이 있는 호수나 늪이 아니라 우기가 되면 수위가 상승하여 침수되고 건기에는 물이 마르는 계절성 습지이다.

3. 2. 기후

비엔티안의 기후는 열대 몬순 기후로 분류되며, 크게 우기와 건기로 나뉜다. 계절풍인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 우기 (5월 중순 ~ 10월 중순): 인도양에서 불어오는 습한 남서 몬순의 영향으로 비가 많이 내린다.
  • 건기 (우기 이후 ~ 2월 중순): 시베리아중국 본토에서 비교적 차갑고 건조한 북동 몬순이 불어온다.
  • 혹서기 (건기 이후): 덥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진다.


태풍 또한 많은 강우를 유발하는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태평양이나 남중국해에서 발생한 태풍이나 열대 저기압은 라오스까지 도달하지 않지만, 드물게 비엔티안을 통과하며 많은 비를 뿌리는 경우가 있다. 태풍은 주로 남서 몬순 시기인 우기에 발생한다.

비엔티안의 기온은 가장 추운 12월부터 1월 사이에는 16°C~18°C 정도이며, 가장 더운 3월부터 5월 사이에는 31°C~32°C까지 올라간다. 상대 습도는 우기에 75~80%로 높고, 건기에는 65~70% 정도로 낮아진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1600mm이며, 이 중 86%가 우기인 5월부터 9월 사이에 집중된다.

기상 관측은 왓따이 국제공항 근처 기상·수문국 관측소(위도: 17°57’N, 경도: 102°34’E, 고도 171m)에서 이루어진다. 1900년부터 매일 기상 데이터를 수집해왔으나, 데이터 관리가 미흡하여 과거 수집 장소를 특정하기는 어렵다.

3. 3. 자연환경과 보호 구역

비엔티안부 서쪽과 북서쪽의 많은 지역은 숲으로 덮여 있으며, 부분적으로 언덕 지형을 이룬다. 이 지역에는 푸 상(1666m)과 푸 카오 쿠아이(1039m) 같은 높은 봉우리들이 있다.[5] 북동부 지역의 일부는 푸 카오 쿠아이 국립 생물 다양성 보존 지역(NBCA)의 숲 가장자리에 포함되어 보호받고 있다.[5]

비엔티안부에는 자연환경 보존을 위해 여러 보호 구역이 지정되어 있다. 대표적인 곳으로는 후아이 응앙 산림 보호 구역과 푸 파낭 국립 생물 다양성 보존 지역(NBCA)이 있으며, 푸 카오 쿠아이 국립 생물 다양성 보존 지역(NBCA)도 북동쪽 경계에 걸쳐 있다. 푸 파낭 국립 생물 다양성 보존 지역은 비엔티안부 서쪽의 넓은 숲 지역을 포함한다.

후아이 응앙 산림 보호 구역은 다양한 종류의 새와 나비가 서식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장소이다. 보호 구역 내 자연 산책로는 생태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며, 남 응엄 강이 내려다보이는 반 파코 생태 숙소에서 출발하는 당일 투어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반 파코에서는 강을 건너 보트로 접근할 수 있다. 이 숲길은 독일 국제 협력 공사(GTZ)와 협력한 동 독 대학교에 의해 개발되었다.[3]

이 외에도 남 르크 강과 남 응농 강이 비엔티안부를 흐른다.

4. 행정 구역

비엔티안부는 9개의 군(므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비엔티안의 도시 지역이자 수도 기능 지역에 해당하는 군은 찬타부리(라오어: ຈັນທະບູລີlo), 시코타봉(라오어: ສີໂຄດຕະບອງlo), 사이세타(라오어: ໄຊເສດຖາlo), 시사타나(라오어: ສີສັດຕະນາກlo), 핫사이퐁(라오어: ຫາດຊາຍຟອງlo)이다. 그 외 군으로는 나사이통, 사이타니, 상통, 파크응엄이 있다.

4. 1. 행정 구역 개편 역사

비엔티안부는 다음과 같은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드라오 문자인구 (2015년)
01-01찬타부리ຈັນທະບູລີlo69,187
01-02시코타봉ສີໂຄດຕະບອງlo120,999
01-03사이세타ໄຊເສດຖາlo116,920
01-04시사타나ສີສັດຕະນາກlo65,712
01-05나사이통ນາຊາຍທອງlo75,228
01-06사이타니ໄຊທານີlo196,565
01-07핫사이퐁ຫາດຊາຍຟອງlo97,609
01-08상통ສັງທອງlo29,509
01-09파크응엄ປາກງື່ມlo49,211



굵은 글씨로 표시된 군은 비엔티안의 도시 지역에 속한다.

4. 2. 현재 행정 구역

비엔티안부는 다음과 같은 9개의 군(므앙)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드라오 문자인구 (2015년)
01-01찬타부리ຈັນທະບູລີlo69,187
01-02시코타봉ສີໂຄດຕະບອງlo120,999
01-03사이세타ໄຊເສດຖາlo116,920
01-04시사타나ສີສັດຕະນາກlo65,712
01-05나사이통ນາຊາຍທອງlo75,228
01-06사이타니ໄຊທານີlo196,565
01-07핫사이퐁ຫາດຊາຍຟອງlo97,609
01-08상통ສັງທອງlo29,509
01-09파크응엄ປາກງື່ມlo49,211



'''굵은 글씨'''로 표시된 군은 비엔티안의 도시 지역(수도 기능 지역)에 속한다.

5. 인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정보 제공)

5. 1. 인구 통계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비엔티안 부의 인구는 820,942명이었다. 1995년부터 2005년까지 비엔티안 부의 연평균 인구 증가율은 2.79%였다. 이 주의 주요 민족은 라오족이다.[2]

5. 2. 민족 구성

비엔티안 부의 주요 민족은 라오족이다.[2]

6. 경제

비엔티안부는 라오스의 수도로서 최근 높은 경제 성장을 경험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국가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을 기록했으며[1], 이는 공업과 서비스업 부문의 성장에 힘입은 바 크다. 2013/14년도 기준으로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공업 부문이 가장 높았고, 서비스 부문과 농업 부문이 그 뒤를 이었다.[1] 이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목표로 경제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2]

6. 1. 경제 성장과 개발

비엔티안부는 최근 높은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다. 2013/14년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2.7%로, 라오스 국가 전체 평균인 8%를 크게 웃도는 수치를 기록했다.

부문별 성장률을 살펴보면 농업 부문은 9%, 공업 부문은 14%, 서비스 부문은 12% 증가했다. 같은 해 1인당 GDP는 3040만라오스 킵 (약 3800USD)으로 집계되었으며, GDP 내 비중은 농업 부문 16%, 공업 부문 47%, 서비스 부문 37%를 차지했다.

비엔티안부는 2014/15년도 경제 목표로 GDP 성장률 12.8%와 1인당 GDP 4390USD 달성을 설정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비엔티안부 주요 경제 지표 (2013/14년)'''

|-

! 지표 !! 내용

|-

| '''GDP 성장률''' || 12.7%

|-

| '''1인당 GDP''' || 3040만라오스 킵 (약 3800USD)

|-

| '''부문별 성장률'''

|

농업공업서비스
9%14%12%



|-

| '''GDP 비중'''

|

농업공업서비스
16%47%37%



|}

6. 2. 주요 산업

최근 비엔티안에서는 산업의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농업비엔티안에는 라오스 6대 평원 중 하나인 비엔티안 평원이 자리 잡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농업, 특히 벼농사가 활발히 이루어진다. 2013년 기준으로 벼농사 생산량은 다음과 같다.

2013년 벼농사 생산량
구분재배 면적총 생산량평균 수확량
우기53405ha242,460톤4.54톤/ha
건기 (관개)17500ha84,650톤4.84톤/ha


공업1990년대 후반부터 봉제 공장의 가동이 활발해졌으며, 생산된 제품은 주로 특혜관세 제도를 이용하여 유럽 시장으로 수출된다.

공업 단지 개발도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 1992년~1993년: 상공성을 중심으로 하사이퐁군, 사이세타군, 사이타니군의 3개 군 내 3개 지구, 총 14000ha 면적을 비엔티안 수도 공업 단지로 지정했다.
  • 1995년: 관할권이 도 상공 사무소로 이관되었다.
  • 1996년: 제1구역으로 3000ha의 개발 구역이 설정되었다.
  • 1999년~2001년: 인프라 정비가 진행되었다.
  • 현재: 36개의 공장이 이 단지 내에서 가동 중이다.


또한, 세금 감면 등 특별 우대 조치를 제공하는 경제 특구(특정 경제 구역·특별 경제 구역)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비엔티안 내에는 탓 루앙 습지 특정 경제 구역을 포함하여 총 5곳의 경제 특구가 지정되어 있다.

7. 랜드마크



비엔티안에는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랜드마크가 있다. 대표적인 명소로는 라오스의 상징적인 건축물인 탓 루앙 사원(위대한 성스러운 불탑)과 프랑스로부터의 독립을 기념하여 세워진 빠뚜싸이 기념비가 있다.[2]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중요한 랜드마크들이 있다.


  • 박물관: 라오스 국립 박물관, 호 프라 깨오 박물관, 까이손 폼위한 박물관
  • 사원: 왓 시사켓, 왓 시 므앙, 왓 옹트, 왓 인펭, 시앙쿠안 사원, 탓 담
  • 기념물 및 광장: 혁명 기념비, 아누웡 광장, 분수 광장
  • 시장 및 공원: 타랏 사오(아침 시장), 수안 와타나탐 반다파오(국립 민족 문화 공원), 시앙쿠안 부다 공원
  • 기타: 우정의 다리, 힌칸나 폭포(호아이사이카오 탑), 남피엔요라파, 푸파낭 뷰 포인트 등[2]


특히 아침 시장으로 알려진 타랏 사오는 라네상 거리에 위치하며 비엔티안의 주요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이곳에서는 라오스 전통 공예품, 직물, 기념품 등 다양한 상품을 찾아볼 수 있다.[2] 각 랜드마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7. 1. 기념물



비엔티안에는 탓 루앙 사원(위대한 성스러운 불탑), 라오스 국립 박물관, 호 프라 깨오 박물관, 왓 시사켓, 빠뚜싸이 기념비, 혁명 기념비, 왓 시 므앙, 왓 옹트, 왓 인펭 등 여러 중요한 랜드마크가 있다.[2] 이 중 대표적인 기념물은 다음과 같다.

; 빠뚜싸이

빠뚜싸이는 1958년 란쌍 거리(Lanexang Avenue)에 세워진 비엔티안의 대표적인 기념비이다. 프랑스 개선문에서 영감을 받아 건축되었다.[2] 기념비 꼭대기의 다섯 개 탑은 국가 간의 평화 공존 5원칙과 "사려 깊은 친절함, 유연성, 정직, 명예, 번영"이라는 다섯 가지 불교 원칙을 상징한다. 네 방향으로 관문이 나 있으며, 동쪽과 서쪽 관문은 국가적인 의식 행렬에 사용되는 롱쌍 거리(Long Xang Avenue)로 열린다.[6] 오후에는 기념비를 찾는 방문객과 현지 주민들로 붐빈다.

; 탓 루앙 사리탑

''탓 루앙 사리탑''('위대한 성스러운 탑')의 공식 명칭은 ''파 체디 로코주마니''('세계 보배로운 성스러운 탑')이다. 1566년 셋타티랏 왕의 통치 기간에 처음 세워졌으며, 1953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되어 라오스의 국가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금으로 덮인 탑의 높이는 45m에 달하며, 그 모습은 "금도금 미사일 클러스터" 같다고 묘사되기도 한다. 탑 내부 중앙에는 활짝 핀 연꽃 봉오리 모양의 금색 이미지가 있다. 매년 불교 음력 12월 삭망월에는 7일 동안 탓 루앙 축제가 열린다.[2]

탓 루앙 사리탑 근처에는 혁명 기념비가 있다. 이는 1945년부터 1975년까지 이어진 분쟁에서 목숨을 잃은 이들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것으로, 별 모양 첨탑이 있는 단순한 형태의 기념물이다.[2]

7. 2. 박물관

호 프라 깨오 박물관의 청동 부처상


'''라오스 국립 박물관'''

라오스 국립 박물관은 문화 회관 맞은편 쌈센타이 로드에 위치한다. 1970년대 혁명을 조명하기 위해 국립 박물관으로 설립되었다. 본래 1925년 프랑스 총독 관저로 지어진 프랑스 식민지 시대 건물에 자리 잡고 있으며, 라오스 국민들이 외국 점령군과 제국주의 세력으로부터 나라를 해방시키기 위해 벌인 투쟁의 역사를 강조하여 전시한다. 박물관에는 ''라오 파코'', 항아리 평원에서 발굴된 유물을 비롯하여 크메르 시대의 힌두 조각상 등 다양한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2]

'''호 프라 깨오 박물관'''

호 프라 깨오는 원래 1565년 세타티랏 왕에 의해 에메랄드 불상을 모시기 위해 지어진 사원이었다. 1828년에는 에메랄드 불상이 시암(태국)으로 옮겨졌다. 이 건물은 1970년대에 박물관으로 개조되었으며, 주목할 만한 불교 조각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박물관 테라스에서는 대통령 궁(구 왕궁)과 정원을 볼 수 있다.[2]

7. 3. 공원

시앙쿠안 부다 공원


;시앙쿠안 부다 공원

시앙쿠안 부다 공원은 1958년에 건설되었으며, 정원과 나무 사이에 불교힌두교 조각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비엔티안에서 남쪽으로 약 28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태국의 농카이를 마주보는 메콩강을 조망할 수 있다.[2] 이 종교 공원의 창시자인 분르어 수리랏 (1932–1996)은 1950년대의 영적 지도자로서, 1958년부터 비엔티안 외곽의 이 공원에 콘크리트 종교 조각품을 짓기 시작했다.[7]

;수안 왓타나탐 반다파오

수안 왓타나탐 반다파오(국립 민족 문화 공원)는 메콩강을 가로지르는 제1 라오스-태국 우호의 다리 근처, 비엔티안 시내에서 남쪽으로 2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나무 그늘이 드리워진 길을 따라 전통 라오스 가옥, 라오스의 유명 문학 아이콘 조각품이 있으며, 작은 동물원도 있다.[2]

7. 4. 사원

'''왓 시사켓'''

왓 시사켓 사원은 1818년에서 1824년 사이에 시암 양식으로 건립되었다. 아누봉 왕(시암 궁정에서 교육을 받았고 라오스에서 그들의 수장이었음)에 의해 지어졌으며, 구도시에 위치한다. 시암과의 전쟁에서 살아남은 사원 중 하나이다. 본당과 뜰 벽에는 작은 틈새에 6,840개의 불상이 있다. 이 사원의 특징은 부처의 은제 및 도자기상, 나무, 돌, 은, 청동으로 만든 300개의 좌상과 입상 부처이다. '호 트라이'(ຫໍໄຕ|Ho Trailo)로 알려진 홀에는 18세기 불교 경전이 보관되어 있다. 프랑스 식민 통치 기간 동안 1924년과 1930년에 두 번 복원되었다.[2] 1828년 시암-라오스 전쟁으로 손상된 부처상은 사원 서쪽에 보관되어 있다. 꼬인 머리 뱀(나가) 위에 앉아 있는 크메르 나가 부처 조각상은 13세기 크메르 시대에 만들어진 주된 좌불상 앞에 있다. 1970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엑스포에서 이 사원은 라오스 국장으로 묘사되기도 했다.[2]

'''왓 시 므앙'''

왓 시 므앙


왓 시 므앙 사원은 세타티랏 로드의 반 씨므앙 마을에 있으며, 비엔티안의 기초 기둥이 세워진 곳이다. 1956년에 지어졌으며, 현지 전설에 따르면 기둥을 기초에 내리는 과정에서 임신한 채 희생 제물로 죽은 '시'라는 소녀의 영혼이 이곳을 보호한다고 한다. 매년 11월 탓 루앙 축제 이틀 전에는 파삿 픙 연례 축제(왁스 태블로 퍼레이드)가 이 사원에서 열린다.[2] 도시 기둥은 남근 상징으로 여겨지며 도시의 수호신으로 간주된다. 사원은 1818년에 파괴되었다가 1915년에 재건되었다. 이 기둥 맞은편에는 부조 부처상과 조각된 나무 비석이 있다. 도시 기둥 뒤에는 신자들이 불운을 없애기 위해 부서진 상과 항아리를 놓는 장소가 있다. 기둥 맞은편 공원에는 시사방봉 왕의 동상이 서 있다.

'''왓 옹트'''

왓 옹트


왓 옹뜨 마하위한( ວັດອົງຕື້ມະຫາວິຫານ|Vat Ong Teu Mahawihanlo )은 "무거운 부처의 사원"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이곳에는 16세기에 만들어진 무게 10ton의 거대한 부처상이 있다. 세타티랏 왕이 건립했으며, 왓 옹투-세타티랏 로에 위치한다.[2] 사원 부지는 3세기부터 종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고 전해진다. 사원은 시암-라오스 전쟁 당시 파괴되었으나 20세기에 재건되었다. 현재 수도원의 부총장이 거주하며, 불교 달마 수행을 위해 전국에서 온 승려들을 위한 불교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높이 5.8m의 무거운 부처상은 '심'(ສິມ|simlo, 본당) 뒷면에 있으며, 양쪽에는 두 개의 입상 부처상이 자리 잡고 있다.

'''왓 인펭'''

왓 인펭


왓 인펭( ວັດອິນແປງ|Vat Inpenglo, '변형된 사원'이라는 의미)은 인펭 탑에 위치하며, 몬족크메르족 문화의 영향을 보여준다. 라오스의 "예술과 문화의 역사적 랜드마크"로 알려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신이 늙은 현자와 늙은 백인 승려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이 탑의 건설을 도왔다고 한다. 왓 옹트 사원의 북쪽에 위치하며, 암석 조각, 부처상, 암석 기둥 등 많은 예술적, 문화적 조형물을 보유하고 있다.[2]

7. 5. 기타 랜드마크

타랏 사오


비엔티안에는 다양한 랜드마크가 자리 잡고 있다. 대표적인 곳으로는 탓 루앙 사원(위대한 성스러운 불탑), 라오스 국립 박물관, 호 프라 깨오 박물관, 왓 시사켓, 빠뚜싸이 기념비, 혁명 기념비, 왓 시 므앙, 왓 옹트, 왓 인펭, 타랏 사오(아침 시장), 수안 와타나탐 반다파오(국립 민족 문화 공원), 우정의 다리, 시앙쿠안 부다 공원, 힌칸나 폭포 등이 있다.[2]

특히 아침 시장으로 알려진 타랏 사오는 라네상 거리에 위치하며, 각각 2층으로 된 3개의 주요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은 비엔티안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하며, 시장 내 상점에서는 라오스 골동품, 직물, 기념품, 수공예품, 보석 및 기타 수입품 등을 판매한다.[2]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2] 웹사이트 Vientiane Municipality http://www.laotouris[...] Official Website of Lao Tourism 2012-12-02
[3] 웹사이트 Vientiane Capital Province http://ecotourismlao[...] Eco Tourism, Laos 2012-12-02
[4] 서적 Summary of World Broadcasts: Far East https://books.google[...] Monitoring Service of th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2-11-30
[5] 지도 Maps Google Maps
[6] 웹사이트 Patuxay Monument Revisited https://docs.google.[...] Vientiane Times 2012-12-11
[7] 웹사이트 Sala Kaew Ku – Nong Khai, Thailand http://www.mnmuseumo[...] 2020-06-06
[8] 뉴스 ヴィエンチャン都のGDP 2014-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