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해석적 매끄러운 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 해석적 매끄러운 함수는 모든 차수의 도함수를 갖지만, 테일러 급수가 원래 함수와 일치하지 않아 해석적이지 않은 함수를 의미한다. 이러한 함수의 예시로, 실수 x에 대해 정의된 함수 f(x) = exp(-1/x) (x > 0일 때), f(x) = 0 (x ≤ 0일 때)가 있다. 이 함수는 매끄럽지만, 원점에서 해석적이지 않다. 매끄러운 전이 함수와 테일러 급수의 적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비 해석적 매끄러운 함수를 구성할 수 있으며, 푸리에 급수를 이용해 모든 점에서 매끄럽지만 해석적이지 않은 함수를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복소해석학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며, 실수 변수 분석과 복소 변수 분석의 중요한 차이점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비 해석적 매끄러운 함수 | |
---|---|
개요 | |
이름 | 비 해석적 매끄러운 함수 |
설명 | 해석 함수가 아니지만 매끄러운 함수 |
예시 | |
함수 | exp(-1/x²) (x ≠ 0), 0 (x = 0) |
설명 | 모든 점에서 무한 번 미분 가능하지만, 0에서의 테일러 급수는 0이므로 0 근방에서 원래 함수와 일치하지 않음.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매끄러운 함수, 해석 함수 |
2. 함수의 예시
(내용 없음)
2. 1. 함수의 정의

다음 함수를 고려해 보자.
:
이는 모든 실수 ''x''에 대해 정의된다.
2. 2. 이 함수는 매끄럽다
함수 ''f''는 실선의 모든 점 ''x''에서 모든 차수의 연속적인 미분이 존재한다.[1]:
여기서 ''pn''(''x'')는 ''p''1(''x'') = 1과 다음 식에서 재귀적으로 주어진 ''n'' - 1차 다항식이다.
:[1]
위 공식에서 도함수가 0에서 연속적인지 바로 알 수 없지만, 다음의 일방 극한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단, ''m''은 음이 아닌 정수)[1]
따라서, 함수 ''f''는 모든 차수의 연속적인 도함수를 가지는 매끄러운 함수이다.
2. 2. 1. 증명의 개요
증명은 음이 아닌 정수 ''m''에 대한 다음의 극한값으로부터 시작한다.:
이 극한은 모든 ''f'' (''n'')이 연속이고 ''x'' = 0에서 미분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
:
함수 ''f''는 실수선의 모든 점 ''x''에서 모든 차수에 대해 연속적인 도함수를 가진다. 이러한 도함수에 대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pn''(''x'')는 재귀적으로 주어지는 다항식이며, ''p''1(''x'') = 1이고,
:
이다. 모든 양의 정수 ''n''에 대해, 이 공식은 도함수가 0에서 연속임을 보여준다.
:
2. 2. 2. 상세 증명
지수 함수의 멱급수 표현에 의해, 0을 포함한 모든 자연수 ''m''에 대하여 다음 식이 성립한다.:
이는 ''n'' ≠ ''m'' + 1인 모든 양의 항들이 더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수 함수의 함수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
이제 수학적 귀납법으로 ''f''의 ''n''차 도함수에 대한 공식을 증명한다. 연쇄 법칙과 역함수의 미분 법칙, 지수 함수의 도함수가 다시 도함수인 성질을 이용해서 ''x'' > 0이고, ''p''1(''x'')가 0차 다항식일 때 ''f''의 일계도함수의 식이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당연히 ''f''의 일계도함수는 ''x'' < 0에서 0이다. ''x'' = 0에서 ''f''의 우측 편미분이 0인 것을 보이면 된다. 위의 극한을 사용하면 다음을 알 수 있다.
:
''n''에서 ''n'' + 1로 가는 과정은 유사하다. ''x'' > 0일 때 우리는 다음 도함수를 얻을 수 있다.
:
여기서 ''p''''n''+1(''x'')은 ''n'' = (''n'' + 1) - 1차 다항식이다. 물론 ''x'' < 0일 때, ''f''의 (''n'' + 1)계도함수는 0이다. ''x'' = 0일 때 ''f''(''n'')의 우미분계수는 다음과 같다.
:
함수 ''f''는 실수선의 모든 점 ''x''에서 모든 차수에 대해 연속적인 도함수를 가진다. 이러한 도함수에 대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pn''(''x'')는 다항식의 차수가 ''n'' - 1인 재귀적으로 주어진 다항식이며, ''p''1(''x'') = 1이고,
:
모든 양의 정수 ''n''에 대해 성립한다.
2. 3. 이 함수는 비 해석적이다
앞에서 봤듯이 함수 ''f''는 매끄럽고 원점에서 모든 미분계수는 0이다. 따라서 원점에서 ''f''의 테일러 급수는 항상 0이다.:
그리고 테일러 급수는 x > 0에서 ''f''(''x'')와 같지 않다. 따라서 ''f''는 원점에서 해석적이지 않다.
3. 매끄러운 전이 함수
:
이 함수는 실수 전체에서 양수이기 때문에 ''g''는 매끄럽다. 게다가 x ≤ 0에서 ''g''(''x'') = 0이고 x ≥ 1에서 ''g''(''x'') = 1이다. 따라서 이 함수는 단위 구간 [0, 1]에서 0에서 1까지 매끄러운 전이를 제공한다. ''a'' < ''b''인 실수 구간 [''a'',''b'']에서 매끄러운 전이를 갖기 위해서는 다음 함수를 고려한다.
:
실수 ''a'' < ''b'' < ''c'' < ''d''에서, 다음의 매끄러운 함수
:
는 닫힌 구간 [''b'',''c'']에서 1이며 구간 (''a'',''d'') 외부에서 0이 된다.
4. 어떤 점도 해석적이지 않은 매끄러운 함수
무한히 미분 가능하지만 어떤 점에서도 해석적이지 않은 함수는 푸리에 급수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A'' := { 2''n'' : ''n'' ∈ '''N''' }를 2의 모든 거듭제곱의 집합이라고 하고, 모든 ''x'' ∈ '''R'''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여기서 급수 는 모든 ''n'' ∈ '''N'''에서 수렴하며, 바이어슈트라스 M-판정법을 이용해 각 급수의 도함수가 균등수렴함을 증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함수는 C∞의 원소, 즉 무한히 미분 가능한 함수이다.
π의 어떠한 이진 유리수배에 대해서, 즉 p ∈ '''N'''이고 ''q'' ∈ A이며, n ≥ 4 이고 n > q인 모든 n ∈ A 차수의 도함수에서, 모든 ''x'' := π·''p/q''에서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여기서 모든 ''k'' > ''q''에서 cos(kx) = 1이라는 사실을 사용했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어떤 ''x'' ∈ '''R'''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