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계 (아르침볼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계》는 주세페 아르침볼도가 156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2세에게 새해 선물로 바친 연작 초상화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을 과일, 채소, 식물 등을 사용하여 사람의 형상으로 표현했으며, 《사원소》 연작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연작은 합스부르크 왕가의 조화와 영광을 나타내는 정치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여러 버전으로 제작되어 빈 자연사 박물관, 루브르 박물관, 덴버 미술관 등에서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계 (아르침볼도)
작품 정보
제목사계
원어 제목 (이탈리아어)Quattro stagioni
원어 제목 (영어)The Four Seasons
화가주세페 아르침볼도
종류유화
상세 정보
제작 연도1563년 ~ 1573년
매체패널에 유채
소장처빈 자연사 박물관
산페르난도 왕립 미술 학교
루브르 박물관
덴버 미술관

2. 상세

사계》 연작은 《사원소》라는 또 다른 연작과 유사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두 연작 모두 동일한 작품 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림의 소재도 서로 맞물려 있는데, 예를 들면 〈공기〉 - 〈봄〉, 〈불〉 - 〈여름〉, 〈땅〉 - 〈가을〉, 〈물〉 - 〈겨울〉로 연결된다. 이처럼 소재를 짝지음으로써 사계절의 혼돈 속에서 합스부르크가가 조화와 영광을 가져온다는 연결된 주제를 형성하고 있다.

각 인물상은 각 계절에 특유한 식물을 조합하여 표현하고 있다. 연작은 모두 큰 호평을 받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버전이 제작되었다.

20세기 초에는 아르침볼도가 밀라노에서 활동할 당시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캐리커처 스케치를 접하고, 그에 대한 '섬뜩한 조롱'으로서 이 작품을 그렸다는 해석이 제기되기도 했다. 다만 두 작가 사이의 연관성이 불분명하고, 설령 다빈치의 작품을 접한 것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단순히 두상을 그렸다는 것만으로 다빈치로부터 영감을 얻었다고 보기는 힘들다는 반박도 존재한다.[9]

2. 1. 제작 배경

주세페 아르침볼도는 1569년 1월 신성로마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2세에게 새해 문안과 함께 이 그림과 《사원소》를 바쳤다.[8] ,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마다 열리는 과일, 채소, 식물로 사람의 형상을 만들어 초상화 형식으로 그린 작품이다. 그림과 함께 조반니 바티스타 폰테오 (1546년~1580년)의 시가 적혀 있어, 그림 속의 알레고리적 의미를 해설하였다.

그림을 선물받고 마음에 들어한 막시밀리안 2세는 1571년 축제에서 궁정 식구들과 함께 그림과 비슷하게 차려입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그리고 아르침볼도에게 사본을 그리게 하여 주변인들에게 선물용으로 보내기도 하였다.[8]

아르침볼도는 주변에 식물원과 동물원을 설치할 정도로 자연과학에 강한 관심을 보였던 막시밀리안 2세에게 1569년 정초에 새해 선물로 《사계》와 《사대 원소》의 두 연작을 헌상했다.

《사계》의 각 인물상은 각 계절에 특유한 식물을 조합하여 표현하고 있다. 연작은 모두 큰 호평을 받았기 때문에, 몇 가지 버전이 제작되었다. 연작의 각 작품은 예를 들어 《여름》은 뜨겁고 건조한 《불》과 같이 서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봄》은 《대기》와, 《가을》은 《대지》와, 《겨울》은 《물》과 각각 호응하고 있다.

2. 2. 현존하는 작품

주세페 아르침볼도는 1569년 1월 신성로마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2세에게 새해 문안과 함께 이 그림과 《사원소》를 바쳤다.[8] 막시밀리안 2세는 1571년 축제에서 궁정 식구들과 함께 그림과 비슷하게 차려입었으며, 아르침볼도에게 사본을 그리게 하여 주변인들에게 선물용으로 보냈다.[8]

원본 그림 가운데 현존하는 것은 〈겨울〉과 〈여름〉 뿐이며 모두 오스트리아 빈 자연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소장본은 막시밀리안 2세가 작센 선제후 아우구스투스에게 보낸 것으로 ,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모두 전해지고 있으며, 원본에는 없는 꽃무늬 틀이 새겨져 있다. 스페인 마드리드 산페르난도 왕립 미술 학교 소장본은 펠리페 2세에게 선물된 사본으로 4점 가운데 〈봄〉이, 미국 덴버 미술관 소장본은 4점 가운데 〈가을〉이 전해지고 있다.

2. 3. 구성 및 해석

사계》 연작은 《사원소》라는 제목의 또 다른 연작과 유사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두 연작 모두 동일한 작품 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림의 소재도 서로 맞물려 있는데, 이를테면 〈공기〉 - 〈봄〉, 〈불〉 - 〈여름〉, 〈땅〉 - 〈가을〉, 〈물〉 - 〈겨울〉로 연결되는 식이다. 이들 소재를 짝지음으로써 사계절의 혼돈 속에서 합스부르크가가 조화와 영광을 가져온다는 연결된 주제를 형성하고 있다.

20세기 초에는 아르침볼도가 밀라노에서 활동할 당시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캐리커처 스케치를 접하고, 그에 대한 '섬뜩한 조롱'으로서 이 작품을 그렸다는 해석이 제기되기도 했다. 다만 두 작가 사이의 연관성이 불분명하고, 설령 다빈치의 작품을 접한 것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단순히 두상을 그렸다는 것만으로 다빈치로부터 영감을 얻었다고 보기는 힘들다는 반박도 존재한다.[9]

연작의 각 작품은 예를 들어 《여름》은 뜨겁고 건조한 《불》과 같이 서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봄》은 《대기》와, 《가을》은 《대지》와, 《겨울》은 《물》과 각각 호응하고 있다.

《사계》의 각 인물상은 각 계절에 특유한 식물을 조합하여 표현하고 있다. 연작은 모두 큰 호평을 받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버전이 제작되었다.

3. 작품 목록

아르침볼도의 〈사계〉, 여름, 가을, 겨울을 의인화하여 표현한 연작이다. 각 작품은 해당 계절에 맞는 과일, 채소, 꽃, 나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 〈봄〉은 꽃으로 이루어진 여성이 왼쪽을 바라보는 모습이다.
  • 〈여름〉은 과일과 채소로 이루어진 여성이 오른쪽을 바라보는 모습이다.
  • 〈가을〉은 과일과 나무통으로 이루어진 남성이 왼쪽을 바라보는 모습이다.
  • 〈겨울〉은 나무껍질과 가지로 이루어진 노인이 오른쪽을 바라보는 모습이다.

3. 1. 봄

〈봄〉, 1563년. x . 산페르난도 왕립 미술학교 소장.


〈봄〉은 다채로운 으로 이루어진 여성이 왼쪽을 바라본 초상화이다. 그림 전체가 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얼굴과 입술의 피부색은 장미 꽃잎과 새싹, 머리카락은 다채롭고 무성한 꽃다발, 눈은 벨라돈나풀 열매로 되어 있다. 목에는 데이지꽃으로 목걸이를 장식하였고, 몸체는 다양한 모양의 나뭇잎이 무성하게 뒤덮여 있다.[10]

아르침볼도는 황제가 수집하던 특이한 종의 동식물을 재빨리 눈에 담아 화폭에 옮길 수 있었다. 이런 재능과 더불어 밀라노 현지에서 익힌 자연주의적 묘사로 작품을 완성시켰다. 귀에는 작약이, 입술에는 붉은색 장미가 사용되었다. 세밀하게 묘사된 식물은 약 80종에 달하며, 이들 대부분이 특정되었다.

항목내용
제작 연도1563년
기법유채, 판
크기66cm × 50cm
소장왕립 산 페르난도 미술 아카데미 미술관, 마드리드


3. 2. 여름

〈여름〉, 1563년. x . 빈 미술사 박물관 소장.


〈여름〉은 여성의 모습을 그린 초상화로 추정되지만, 〈봄〉과는 달리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으며, 꽃이 아니라 과일과 채소로 이루어져 있다. 머리 가장자리에는 체리가 달려 있으며 에는 복숭아, 오이, 가지, 눈썹은 밀이삭으로 이루어졌다. 드레스는 밀짚으로 만들어진 모습이다. 가슴에는 아티초크 하나가 튀어나와 있다.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사본에는 옷깃 밑에 'GIUSEPPE ARCIMBODO F' (주세페 아르침볼도 그림)이란 글귀가, 어깨에는 1563년이라는 연도가 적혀 있다.[11]

나이든 여성으로 보이는 인물의 모습이 형상화되어 있다. 귀에는 당시 아메리카 대륙에서 막 들어온 옥수수가 사용되었으며, 코에는 주키니가, 뺨에는 복숭아가 사용되었다.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조합하여 상쾌하고 풍요로운 여름을 표현하고 있다. 어깨에는 제작 연도가, 옷깃에는 서명이 짚으로 엮는 형태로 적혀 있다. 옥수수 외에도 인도가 원산지인 가지 등 16세기 유럽에서는 드물었던 채소를 그려 넣어 감상자를 놀라게 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작품 정보
제작 연도1563년
기법유채, 판
크기67cm × 50.8cm
소장빈, 미술사 박물관


3. 3. 가을

〈가을〉, 1572년. x . 덴버 미술관 소장.


〈가을〉은 왼쪽을 바라보는 거친 이목구비의 늠름한 남자로 표현되었다. 목덜미는 배 두 개와 야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살짝 부서진 나무통이 상체를 차지하고 있다. 나무 칸막이는 버드나무 가지로 묶여 있다.

얼굴은 사과와 배로 이루어져 있으며 뺨과 코가 특히 두드러져 있다. 턱은 석류, 귀는 버섯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화과로 된 귀걸이를 하고 있다. 입술과 입은 으로 만들어졌고, 머리카락은 포도송이와 호박 윗부분으로 이루어졌다.

과일과 버섯 등으로 가을의 풍요로움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머리 부분을 포도로, 몸통 부분을 술통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아, 바쿠스를 연상시킨다.

1563년 원본은 소실되었지만 덴버 미술관에 소장된 사본이 원본과 가장 가까운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 루브르 박물관 소장본은 덴버 미술관 소장본보다 훨씬 인상이 밝고 부드러운 모습이다.[1] 루브르 박물관 소장품과 비교하면 앞머리에 해당하는 포도의 색이 짙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묵직한 인상을 준다.[1]

제작 연도1572년
기법유채, 캔버스
크기91.4cm × 70.2cm
소장덴버 미술관


3. 4. 겨울

〈겨울〉, 1563년. x . 빈 미술사 박물관 소장.


〈겨울〉은 주름이 자글자글한 노인으로 표현되며 나무 한 토막으로 노년의 인상을 표현하였다. 작은 가지와 뿌리로 얇고 듬성듬성한 수염을 표현하였으며,[12] 나무 사이에 난 버섯 두 개로 을 나타냈다. 눈은 통나무에 난 검은 틈이며, 귀는 부러진 가지의 단면으로 되어 있다. 머리카락에는 가지가 얽혀 있고 조그마한 나뭇잎이 달려 있다. 남자의 가슴 쪽 가지에 달린 레몬오렌지만이 그림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는데, 겨울철 이탈리아에서 나는 과일은 감귤류가 유일하기 때문이다.[13]

남자의 옷은 밀짚으로 만든 장판이다. 원본에는 M자와 왕관이 새겨진 망토를 걸친 모습인데, 이는 그림을 전해받았던 막시밀리안 2세 황제를 염두에 둔 표현이다.[14] 로마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계절이자 4계절 중 가장 중요한 계절로 인식됐던 겨울은 동시대 유럽인들 사이에서 신성로마제국 황제와 더욱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다.[15]

레오나르도 다 빈치캐리커처의 영향이 짙게 반영되어 있으며, 미술사 박물관 소장본의 으로 만들어진 망토에는 막시밀리안 2세의 초상임을 나타내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 등에는 황제의 이니셜인 "M"자가, 옷깃에는 금양모 기사단의 문장에 보이는 부싯돌 그림이 수 놓아져 있다. 머리 윗부분에는 로마 황제의 월계관을 연상시키는 나뭇가지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 제작 연대: 1563년
  • 기법: 유채, 판
  • 크기: 66.6cm x 50.5cm
  • 소장: 빈 미술사 박물관

4. 갤러리

5. 평가 및 영향

미술사학자 고바야시 요리코는 "이러한 작품의 제작 의도는 물론 기발함을 즐기는 데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합스부르크 왕가에 의한 세계 통치의 상징이라는 정치적 우의(寓意)를 노렸을 것이다. 세계를 구성하는 각 기본 원소를 나타내는 4대 원소도, 우주의 순환에 호응하는 사계절도,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가 자연의 구성과 질서에까지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Arcimboldo, Giuseppe - La Primavera https://www.academia[...] 2020-03-31
[2] 서적 Kaufmann, 61
[3] 웹사이트 L'opera di Giuseppe Arcimboldo detto l'Arcimboldi http://www.arcimbold[...]
[4] 서적 Kaufmann, 96
[5] 서적 Kaufmann, 97
[6] 서적 The Mastery of Nature: Aspects of Art, Science, and Humanism in the Renaissa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7] 서적 Kaufmann, 27
[8] 뉴스 입엔 썩은 생선, 코엔 개구리…법조인의 '굴욕'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2022-11-19
[9] 서적 Kaufmann, 27
[10] 서적 Kaufmann, 96
[11] 서적 Kaufmann, 61
[12] 웹사이트 L'opera di Giuseppe Arcimboldo detto l'Arcimboldi http://www.arcimbold[...] 2017-05-15
[13] 서적 Kaufmann, 96
[14] 서적 Kaufmann, 97
[15] 서적 The Mastery of Nature: Aspects of Art, Science, and Humanism in the Renaissa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