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념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념처는 초기 불교의 핵심 수행법으로, 몸, 느낌, 마음, 법(현상)을 대상으로 하여 알아차림을 확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가 니까야》의 〈대념처경〉과 《맛지마 니까야》의 〈염처경〉 등 초기 경전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상좌부 불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대승 불교의 경전과 논서에서도 4념처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타나며, 수행의 목적은 4전도를 깨뜨리는 데 있다. 현대에는 마음챙김 명상, 마음챙김 기반 심리치료 프로그램 등으로 활용되며, 개인의 심리적 안정 및 사회적 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수행 - 만다라
    만다라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우주와 인간의 내면을 상징하는 기하학적 도형으로, 명상, 의식,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불교 수행 - 사향사과
    사향사과는 초기 불교 경전에서 영적 성취 수준에 따라 불교 수행자를 수다원, 일래자, 불환자, 아라한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용어이며, 수행과 결과에 따라 8가지 종류로 세분화된다.
사념처
개요
명칭사띠파ฏฐා나 (Satipaṭṭhāna)
산스크리트어스므르튜파스타나 (Smṛtyupasthāna)
한자念處 (염처)
일본어念処 (ねんじょ, Nenjo)
크메르어សតិបដ្ឋាន (Satepadthan)
상세 내용
의미마음챙김의 확립, 마음챙김의 토대
설명불교 수행법 중 하나로, 마음챙김을 통해 위빠사나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4념처는 몸(신념처), 느낌(수념처), 마음(심념처), 법(법념처)의 네 가지 영역에 대한 마음챙김을 의미한다.
4념처 (cattāro satipaṭṭhānā)몸(신념처) (Kāyānupassanā)
느낌(수념처) (Vedanānupassanā)
마음(심념처) (Cittānupassanā)
법(법념처) (Dhammānupassanā)
관련 경전증지부 (앙굿따라 니까야) 구집, 념처경
대반야바라밀다경 (현장 역)

2. 역사적 배경

사념처(四念處, Satipaṭṭhānapi)는 초기 불교 경전인 《디가 니까야》의 〈대념처경〉, 《맛지마 니까야》의 〈염처경〉, 《상윳따 니까야》의 〈사념처 상윳따〉 등에서 상세히 설명된다.[173] 이 경전들은 4념처 수행법의 구체적인 내용과 중요성을 강조하며, 상좌부 불교 전통에서는 이 경전들을 바탕으로 한 주석서들이 풍부하게 발전되어 왔다.

초기 불교 경전에서 사념(四念, mindfulness)은 다음의 네 가지 주요 방식으로 확립된 것으로 설명된다.


  • 신념처(身念處, Pāli: ''kāyagatā-sati''; Skt. ''kāya-smṛti'')
  • 수념처(受念處, Pāli ''vedanā-sati''; Skt. ''vedanā-smṛti'')
  • 심념처(心念處, Pāli ''citta-sati''; Skt. ''citta-smṛti'')
  • 법념처(法念處, Pāli ''dhammā-sati''; Skt. ''dharma-smṛti'')


설일체유부 아비달마에서는 이것을 무상, 고, 공, 무아의 사전도나 부정, 고, 무상, 무아의 사행상으로 보려고 한다.[171]

  • 신념처(신념주) - 신체가 부정으로 가득 차 있음을 관찰한다(부정관).[172][173]
  • 수념처(수념주) - 일체의 는 괴로움임을 관찰한다(일체개고).
  • 심념처(심념주) - 마음(citta)의 무상을 관찰한다(제행무상).
  • 법념처(법념주) - 제법의 무아를 관찰한다(제법무아).


팔리어 경전에서는 대반열반경 등에서 반복해서 언급될 뿐만 아니라, 다음 경전들에서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 대념처경(대념주경, 장부 제22경)[173]
  • 념처경(사념처경, 중부 제10경)[173]

3. 4념처의 중요성

4념처는 8정도의 정념(正念, 바른 알아차림)에 해당하는 수행법이며, 간접적으로는 정정(正定, 바른 삼매)을 닦는 수행이다.[185] 고타마 붓다는 열반에 들 무렵 아난의 질문에 "4념처에 의지하라"고 답하여, 4념처가 불교 수행의 핵심임을 강조했다.

4념처 명상은 고요한 사마타(定, 止)와 통찰하는 위파사나(慧, 觀)를 모두 포함하는 수행법이다.[185] 테라와다 불교의 대표적인 수행법이며, 대승 불교의 조동종에서도 수행한다.[185]

4. 용어 해설

4념처의 '념(念)'은 남방불교의 팔리어로는 사띠(sati), 북방불교의 산스크리트어로는 스므리티(smṛti)이며, 영어로는 알아차림(mindfulness)이라고 한다. 영어 mindfulness는 '알아차리는'(aware)이라는 뜻이다.[186][187][188] 한국에서는 마음챙김 또는 알아차림으로 가장 많이 번역되지만, 새김, 깨어있음, 주의깊음 등으로도 번역된다.

'4념처'라고 할 때의 념은 단순히 념(念, sati)이라는 마음작용 자체만을 뜻하지 않고, 여러 논서에 따르면 그 자체로서는 기억력을 뜻한다.[189][190] 4념처의 념은 주의집중 상태 또는 수준의 념을 뜻한다.

4념처에서의 념은 (慧)를 근거로 하는 념, 즉 반야가 함께 하는 념을 뜻한다.[191] 이는 '주의집중에 의한 알아차림'이며, 4념처의 구체적 수행법을 보면 관찰 대상을 제어하려는 의도 없이 행하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192][193][194][195] '수동적 주의집중[止觀]'이다. 따라서 4념처의 념은 '수동적 주의집중[念 = 止觀]에 의한 알아차림[慧]'이다.

초기불교 경전에서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는 것',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는 것',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는 것', '법에서 법을 관찰하는 것'이라고 표현한다. 후대의 논서들에서는 4전도(顛倒) 없이 관찰하여 알아차리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4전도는 부정한 것을 깨끗하다고 여기는 것, 괴로움을 즐거움이라고 여기는 것, 무상한 것을 항상하다고 여기는 것, 나가 없는데 나라고 여기는 뒤바뀐 생각이다.

4. 1. 염(念)과 사띠(sati)

4념처의 (念)은 남방불교의 팔리어로는 사띠(sati), 북방불교의 산스크리트어로는 스므리티(smṛti)이며, 영어로는 알아차림(mindfulness)이라고 한다.[186][187][188] 한국어로는 마음챙김, 알아차림, 새김, 깨어있음, 주의깊음 등으로 번역된다.

4념처에서 '염'은 단순히 념(念, sati)이라는 마음작용 자체만을 뜻하지 않는다. 여러 논서에 따르면 념(念)은 그 자체로는 기억력을 뜻하며, 기억력이란 현재 대상을 명확히 기록하는 것이다.[189][190] 4념처에서 의미하는 념은 명확한 기억력을 뜻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상에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고 집중하는 형태의 념이 필요하다. 따라서 4념처의 념은 기억력과 주의력, 즉 주의집중을 뜻한다.

4념처에서의 념은 단순한 주의집중이 아니라 (慧)를 근거로 하는 념이다. 즉, 반야가 함께 하는 념을 뜻하며,[191] 이러한 복합적인 의미 때문에 4념처의 념은 '주의집중에 의한 알아차림'으로 표현된다. 이 주의집중은 관찰 대상을 제어하려는 의도 없이 행해지므로[192][193][194][195] '수동적 주의집중[止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4념처의 념은 '수동적 주의집중[念 = 止觀]에 의한 알아차림[慧]'이다.

초기불교 경전에서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는 것',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는 것',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는 것', '법에서 법을 관찰하는 것'이라고 표현한다. 후대의 논서들에서는 4전도(顛倒) 없이 관찰하여 알아차리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4전도는 부정한 것을 깨끗하다고 여기는 것, 괴로움을 즐거움이라고 여기는 것, 무상한 것을 항상하다고 여기는 것, 나가 없는데 나라고 여기는 뒤바뀐 생각이다.

사념처( )는 ''''와 ''''의 두 가지 방식으로 분석(번역)될 수 있다.

  • ''Sati''는 팔리어, 산스크리트어로는 smṛti이다. ''Smṛti''는 "기억하다", "상기하다"를 의미한다. ''sati''라는 용어는 "기억하다"를 의미한다. 샤르프(Sharf)에 따르면, ''Satipaṭṭhāna-sutta''(사념처 경)에서 ''sati''는 현상의 참된 본질을 볼 수 있게 하는 건전한 담마(dhamma)를 기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sati''는 현재 순간에 다양한 현상을 관찰하고 주의하며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8]
  • ''''(산스크리트어: upasthāna)는 "출석, 기다림, 돌봄, 봉사"를 의미한다.[2]
  • ''''는 "제시, 내세움"을 의미하며, 후기 불교 문헌에서는 "기원", "시작점", "원인"을 의미하기도 한다.[3]


복합 용어는 다음과 같이 번역되어 왔다.

  • ''''는 "마음챙김의 현존", "마음챙김의 확립", "마음챙김의 각성"으로 번역되며, 마음챙김과 공존하거나 선행하는 정신적 자질을 강조한다.
  • ''''는 "마음챙김의 토대"로 번역되며, 마음챙김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대상을 강조한다.


아날라요 비구와 보디 비구와 같은 현대 불교 학자들은 ''''("마음챙김의 현존")이 어원적이고 문맥적인 권위를 부여받았다고 평가한다.

아날라요는 "마음챙김의 토대 ('''')"가 팔리 주석서에 의해 지지되지만, ''''(토대)라는 용어는 팔리 nikayas(니까야)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으며, 아비담마에서 처음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현존 또는 확립)이라는 용어는 니까야 전체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의 산스크리트어 대응어에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아날라요는 "마음챙김의 현존"이 어원적으로 더 정확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4]

보디는 "마음챙김의 확립 ()"이 선호되는 번역이라고 평가한다. 보디의 분석은 아날라요의 분석보다 문맥적이다. 보디에 따르면, "마음챙김의 확립"은 일반적으로 텍스트의 문맥에 의해 뒷받침되지만, "마음챙김의 토대" 번역이 가장 잘 뒷받침되는 예외도 있다.[5] 소마는 "마음챙김의 토대"와 "마음챙김의 각성"을 모두 사용한다.[6]

4. 2. 법념처의 법(法)

법념처에서 법(dhammāpi)은 5개(다섯 가지 장애), 5온(다섯 가지 무더기), 6처(여섯 가지 감각 기관과 대상), 7각지(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 4성제(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를 의미한다.[170]

  • 5개(五蓋): 탐욕, 성냄, 나태와 졸음, 동요와 걱정, 의혹의 다섯 가지 장애.
  • 5온(五蘊):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의 다섯 가지 쌓임.
  • 6처(六處):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의 여섯 가지 안팎의 기관과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의 여섯 가지 대상,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생겨나는 번뇌.
  • 7각지(七覺支): 염각지(念覺支), 택법각지(擇法覺支), 정진각지(精進覺支), 희각지(喜覺支), 경안각지(輕安覺支), 정각지(定覺支), 평등각지(平等覺支)의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
  • 4성제(四聖諦): 고집멸도(苦集滅道)의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불교의 핵심 가르침으로, 4념처 명상을 통해 체험적으로 깨달아야 할 대상.


설일체유부 아비달마에서는 법념처를 무상, 고, 공, 무아의 사전도나 부정, 고, 무상, 무아의 사행상으로 보려고 한다.[171]

  • 법념처(법념주) - 제법의 무아를 관찰한다(제법무아).[172][173]

5. 4념처 수행법

4념처 수행법은 팔리어 경전인 디가 니까야 제22경 대념처경과 맛지마 니까야 제10경 염처경에 가장 구체적이고 전체적으로 수록되어 있다. 상좌부 불교 전통에서는 이 경전들을 매우 중시하며, 풍부한 주석서를 통해 경전 문구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구체적인 수행법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다. 경전 자체에는 수행법 명칭이 없으므로, 수행자, 연구자, 경전 번역자들이 붙인 명칭을 사용한다.

《디가 니까야》 제22경 〈대념처경〉에 나오는 구체적인 4념처 수행법은 신념처, 수념처, 심념처, 법념처 문서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신념처'''[179]: 몸에 대한 알아차림으로, 호흡, 자세, 몸의 구성 요소, 4대 요소, 죽은 시체 등을 관찰한다.
  • '''수념처'''[180]: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으로, 즐거운 느낌, 괴로운 느낌,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 등을 알아차린다.
  • '''심념처'''[181]: 마음에 대한 알아차림으로, 탐욕, 분노, 어리석음 등의 유무를 알아차린다.
  • '''법념처'''[184]: 현상[法]에 대한 알아차림으로, 다섯 장애, 다섯 집착된 온, 여섯 터전, 일곱 깨달음 요소, 네 가지 거룩한 진리 등을 알아차린다.


대승 불교 경전에도 4념처에 대한 가르침이 포함되어 있다. 반주삼매경, 아상가의 아비달마집론, 유가사지론, 세친의 변중변론석, 화엄경, 샨티데바의 입보리행론 등이 그 예이다.[27] 나가르주나의 ''친우서''에는 초기 불교의 4념처에 대한 이해를 삼매와 연결시키는 구절이 있다.[28] 4념처와 유사한 내용은 2만 5천 송 반야경[29][30], 유가사지론의 성문지[30] 등에서도 발견된다.

설일체유부아비달마에서는 4념처를 무상, 고, 공, 무아의 사전도나 부정, 고, 무상, 무아의 사행상으로 본다[171]

  • 신념처(신념주) - 신체가 부정으로 가득 차 있음을 관찰한다(부정관)[172][173]
  • 수념처(수념주) - 일체의 는 괴로움임을 관찰한다(일체개고)
  • 심념처(심념주) - 마음(citta)의 무상을 관찰한다(제행무상)
  • 법념처(법념주) - 제법의 무아를 관찰한다(제법무아)


팔리어 경전에서는, 대반열반경 등에서 반복해서 언급될 뿐만 아니라, 대념처경(장부 제22경)[173], 념처경(중부 제10경)[173] 등에서도 자세히 설해지고 있다.

5. 1. 신념처(身念處)



몸을 대상으로 알아차림을 확립하는 수행이다.[179] 구체적인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 호흡 알아차림
  • 몸의 자세 알아차림
  • 몸의 구성 요소 (32가지 부정) 알아차림
  • 4대 요소 (지수화풍) 알아차림
  • 죽은 시체 관찰


상좌부 불교의 대표적인 4념처 관련 경전인 《디가 니까야》 제22경 〈대념처경〉(대념처경, Mahāsatipaṭṭhāna Sutta)에서 고타마 붓다는 신념처를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170]

설일체유부 아비달마에서는 신념처를 신체가 부정으로 가득 차 있음을 관찰하는 부정관으로 본다.[172][173]

디가 니까야》 제22경 〈대념처경〉에 나오는 구체적인 신념처 수행법 목록은 다음과 같다.[179]

신념처 수행법 목록
번호수행법
1호흡의 출입에 대한 알아차림
2몸의 상태에 대한 알아차림
3몸의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
4몸을 구성하는 32가지 요소에 대한 알아차림
5몸의 4대 요소에 대한 알아차림
6죽은 시체에 대한 관찰
7죽은 시체를 짐승들이 쪼아 먹는 모습에 대한 관찰
8해골에 살과 피와 힘줄이 뒤엉켜 있는 모습에 대한 관찰
9해골에 피와 힘줄이 뒤엉켜 있는 모습에 대한 관찰
10해골에 힘줄만 남아 붙어 있는 모습에 대한 관찰
11해골과 뼈가 흩어져 있는 모습에 대한 관찰
12해골이 하얗게 바랜 모습에 대한 관찰
13해골이 뼈 무더기로 변한 모습에 대한 관찰
14뼈가 삭아 티끌로 변한 모습에 대한 관찰


5. 2. 수념처(受念處)

수념처(受念處)는 느낌을 대상으로 알아차림을 확립하는 수행이다.[180] 고타마 붓다는 《중아함경》 제24권 제98경 〈염처경〉에서 수념처를 느낌을 느낌 그대로 관하는 것[觀覺如覺]이라고 하였다.

수념처 수행은 즐거운 느낌, 괴로운 느낌,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 세속적인 느낌, 출세간적인 느낌 등을 알아차리는 것이다.[180] 초기 불교 경전에 따르면, 느낌은 "하늘에서 갑자기 일어날 수 있는 격렬한 바람"과 "객실에 머무는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에 비유될 정도로 다양하며, 이에 대해 침착하고 비반응적으로 대처해야 한다.[63]

느낌은 감각적이거나 세속적인 것과 감각적이지 않거나 영적인 것으로 구분된다.[64] 감각적 쾌락과 관련된 쾌락적 느낌은 불건전한 경향으로 이어지는 반면, 정신 집중과 관련된 쾌락적 느낌은 건전한 상태로 이어진다. 세속적인 고통스러운 느낌은 불건전한 정신 상태를 유발할 수 있지만, 마음챙김으로 인식하면 그렇지 않다. 해탈하지 못했다는 슬픔으로 인한 고통스러운 느낌은 영적인 불쾌한 느낌으로 간주되어 수행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66]

마지마 아가마》 버전의 《사띠빠타나 숫타》는 신체적 및 정신적 느낌이라는 범주를 추가하는데, 이는 신체 접촉 또는 마음에서 발생하는 느낌을 의미한다.[67] 《아나파나사티 숫타》의 ''베다나(vedanā)'' 부분은 "희열"과 "정신 활동"(''cittasankhāra'', 느낌과 지각)을 추가하여 "감정", "기분"에 관해 느낌의 범위를 넓힌다.[61] ''베다나(vedanā)''는 "신체적 감각과 정신적 감정을 모두 포함한다".[68]

느낌은 괴로움의 연기(''paṭiccasamuppāda'')에서 갈애 발생의 중요한 연결 고리를 형성한다.[65] 초기 경전은 느낌에 대한 마음챙김 수행이 신체적 고통과 질병을 다루는 방법이라고 말한다.[70] 비구 보디(Bhikkhu Bodhi)는 느낌이 감각 접촉(''phassa'')으로 인해 발생하며, 여섯 가지 감각 기반에 따라 여섯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고 언급한다.[71]

디가 니까야》 제22경 〈대념처경〉에 나오는 구체적인 수념처 수행법 목록은 다음과 같다.[180]

1. 즐거운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2. 괴로운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3.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4. 속된 즐거운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5. 속되지 않은 즐거운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6. 속된 괴로운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7. 속되지 않은 괴로운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8. 속된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9. 속되지 않은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

설일체유부아비달마에서는 수념처를 일체의 는 괴로움임을 관찰하는 것(일체개고)으로 본다.[171]

5. 3. 심념처(心念處)

팔리어 경전에 따르면, 심념처(心念處, 마음 관찰)는 마음(citta)의 상태를 알아차리는 수행이다.[181] 이는 사념처 수행 중 하나로, 마음의 다양한 상태를 관찰하여 탐욕, 분노, 어리석음 등의 번뇌를 제거하고, 마음의 평정과 해탈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심념처 수행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181]

  • 탐욕이 있는 마음, 탐욕이 없는 마음 알아차림
  • 분노가 있는 마음, 분노가 없는 마음 알아차림
  • 어리석음이 있는 마음, 어리석음이 없는 마음 알아차림
  • 위축된 마음, 산란한 마음 알아차림[182][183]
  • 넓은 마음, 좁은 마음 알아차림
  • 고요한 마음, 고요하지 않은 마음 알아차림
  • 해탈한 마음, 해탈하지 않은 마음 알아차림


이러한 마음의 상태를 알아차리는 것은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좋고 나쁜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날라요(Anālayo)는 이를 통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도를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76] 즉, 자신의 단점과 장점을 모두 인식하여 수행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갖도록 돕는다.

초기 경전에서는 불선한 생각을 제거하고 선한 정신 상태를 기르는 과정을 금광석을 정제하는 것에 비유하기도 한다.[80] 이처럼 심념처 수행은 점진적으로 마음의 오염을 제거하고, 알아차림과 집중력(삼매)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해탈에 이르도록 돕는 수행법이다.[79]

5. 4. 법념처(法念處)

법념처(法念處)는 현상[法]을 대상으로 알아차림을 확립하는 수행이다. 여기에는 다음을 알아차리는 것이 포함된다.[184]

  • 다섯 가지 장애(五蓋)
  • 다섯 가지 집착된 온(五取蘊)
  • 여섯 가지 감각 기관과 대상(六入處)
  •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七覺支)
  •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


《불설선행삼십칠품경》(佛說禪行三十七品經)에서는 법념처에 대해 자신과 다른 사람의 법을 수동적 주의집중으로 알아차려 세간(3계)이 무상하고 무아임을 깨닫는 것이라고 설명한다.[184]

설일체유부아비달마에서는 법념처를 통해 제법무아를 관찰한다고 설명한다.[171]

6. 경론별 설명

앙굿따라 니까야 〈9법품〉 염처경에 따르면, 비구들이 다섯 가지 하분결을 끊기 위해 닦아야 하는 네 가지 사념처는 다음과 같다.[170]


  • 몸(kāye)에 대해 몸을 관찰하며, 열의를 가지고, 분명히 알고, 정신을 차려 세상(loka)에서의 탐욕(abhijjhā)과 슬픔(domanassaṃ)을 없앤다.
  • 느낌(Vedanā)에 대해 느낌을 관찰한다.
  • 마음(citta)에 대해 마음을 관찰한다.
  • 법(dhamma)에 대해 법을 관찰한다.


사념처의 내용은 신념처, 수념처, 심념처, 법념처이다.[170] 설일체유부 아비달마에서는 이것을 무상, 고, 공, 무아의 사전도나 부정, 고, 무상, 무아의 사행상으로 보려고 한다.[171]

  • 신념처(신념주): 신체가 부정으로 가득 차 있음을 관찰한다(부정관).[172][173]
  • 수념처(수념주): 일체의 는 괴로움임을 관찰한다(일체개고).
  • 심념처(심념주): 마음(citta)의 무상을 관찰한다(제행무상).
  • 법념처(법념주): 제법의 무아를 관찰한다(제법무아).

6. 1. 초기 경전

디가 니까야의 대념처경에서는 4념처를 몸, 느낌, 마음, 법에서 각각을 관찰하며 머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185]

중아함경의 염처경에서는 4념처를 몸, 느낌, 마음, 법을 각각 그대로 관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별역잡아함경 제102경에서는 4념처를 몸, 느낌, 마음, 법을 관찰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불설선행삼십칠품경에서는 4념처를 통해 세간의 무상함과 무아임을 깨닫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6. 2. 대승 경론

대지도론에서는 4념처 수행의 목적이 4전도(四顛倒)를 깨뜨리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171] 좌선삼매경에서는 몸, 느낌, 마음, 법의 무상, 고, 부정, 무아를 관찰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171] 대반열반경후분에서는 4념처를 의지하여 마음을 철저히 다스리는 것이라고 설명한다.[170] 종경록에서는 몸, 느낌, 마음, 법의 본질을 관찰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7. 현대적 의의 및 한국적 수용

사념처(四念處, Satipaṭṭhānapi)는 초기 불교부터 현대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중요한 수행법으로, 현대 사회에서도 그 의미와 가치가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불교 전통과 현대 심리학의 접목을 통해 사념처를 이해하고 적용하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사념처는 빨리(Pāli)어 ''사띠빠따나(Satipaṭṭhāna)''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사띠(sati)''와 ''우빠따나(upaṭṭhāna)'' 또는 ''빠따나(paṭṭhāna)''의 합성어이다.


  • 사띠(Sati): '마음챙김', '주의 깊게 알아차림'을 뜻하며, 현재 순간에 일어나는 몸과 마음의 현상을 알아차리는 것을 의미한다. 초기 경전에서는 다르마를 기억하는 것을 의미하여 현상의 참된 본성을 보게 한다.[7] 샤르프(Sharf)에 따르면, ''사띠빠따나 숫따''에서 '사띠'는 다르마를 기억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현상의 참된 본성을 볼 수 있게 된다.[8]
  • 우빠따나(Upaṭṭhāna): '곁에 머무름', '현존'을 뜻하며, 마음챙김이 현재에 머무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2]
  • 빠따나(Paṭṭhāna): '토대', '기반'을 뜻하며, 마음챙김의 대상을 의미한다.[3]


이 두 가지 해석에 따라 ''사띠빠따나''는 '마음챙김의 현존(現存)' 또는 '마음챙김의 확립(確立)'으로 번역될 수 있다. 현대 불교 학자 아날라요 비구와 보디 비구는 어원적, 문맥적 근거를 들어 '마음챙김의 현존'이라는 번역을 지지한다.[4]

사념처는 마음챙김을 통해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알아차리고, 이를 통해 괴로움에서 벗어나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제시한다. 사념처 수행은 현재 순간의 신체적 및 정신적 활동에 대한 완전한 자각을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11]

7. 0. 1. 4념처와 마음챙김 기반 심리치료

최근 서구에서는 4념처 수행에 기반한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MBSR),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등의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우울증, 불안, 스트레스, 만성 통증 등 다양한 심리적 문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마음챙김 기반 심리치료 프로그램들이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에 맞게 수정, 보완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7. 0. 2. 4념처와 사회적 통합

4념처 수행은 개인의 심리적 안정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증진시켜 사회적 통합에도 기여할 수 있다. 특히, 한국 사회의 갈등과 분열을 극복하고, 더불어민주당의 가치인 포용과 상생의 사회를 만드는 데 4념처 수행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념처 수행을 통해 분노, 증오, 편견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고, 자비심, 연민심 등의 긍정적인 감정을 함양할 수 있다.[7][8][9][10][11][12]

7. 0. 3. 4념처 수행의 주의점

4념처 수행은 올바른 지도와 이해를 바탕으로 실천해야 한다. 특히, 4념처 수행을 통해 얻은 통찰을 왜곡된 방식으로 해석하거나, 특정 이념이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이용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4념처 수행은 개인의 깨달음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과 윤리적 실천을 동반해야 한다.[44] 아날라요는 흔히 "아수바(추하지 않음) 명상"이라 불리는 이 명상이 신체의 아름다움에 대한 개념을 해체하고 몸이 "집착할 가치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고 말한다.[45] 아날라요는 "신체의 해부학적 구성을 관찰하는 주된 목적은 감각적 욕망을 제거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한다.[46]

우 실라난다에 따르면, 먼저 32가지 신체 부위를 암송하여 암기한 다음 각 부위의 색깔, 모양 및 위치를 배우는 것이 좋다. 이를 숙달한 후 각 부위의 혐오스러움을 명상할 준비가 된다.[47] 비크쿠 보디는 이 수행이 "시각화를 돕기 위해 사용"한다고 언급한다.[48] 이 수행은 초기 담론에서 흔히 사용되는 비유를 사용하여 설명하는데, 마치 자루 속의 다양한 종류의 콩(또는 곡물)을 볼 때와 같은 방식(초연한 방식)으로 각 신체 부위에 마음을 챙기는 것이다. 이는 목표가 몸에 혐오감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초연한 방식으로 바라보는 것임을 나타낸다. 반테 구나라타나는 이 수행이 "우리의 일반적인 감정적 반응 없이 현재 있는 그대로의 몸을 받아들이도록 마음을 열어준다. 자부심과 자기 혐오를 극복하고 평정심을 가진 균형 잡힌 마음으로 우리 몸을 바라보도록 돕는다"라고 설명한다.[49]

아날라요는 신념처의 전반적인 방향을 "그 진정한 본성을 이해함으로써 몸으로부터의 초월"로 요약한다.[58] 초기 경전들은 신념처를 수많은 야생 동물(여섯 감각에 비유됨)을 묶을 수 있는 튼튼한 기둥에 비유한다. 이 비유는 신념처가 강력한 집중 수행이자 감각을 보호하는 데 강력한 닻으로 여겨졌음을 보여준다.[59]

참조

[1] 서적 Sujato (2012), pp. 1–2
[2] 웹사이트 Digital South Asia Library https://dsal.uchicag[...]
[3] 웹사이트 Digital South Asia Library https://dsal.uchicag[...]
[4] 서적 Anālayo (2006), pp. 29–30
[5] 서적 Bodhi (2000), p. 1504
[6] 서적 Soma (1941/2003)
[7] 서적 Anālayo (2006), pp. 46–47
[8] 서적 Gethin (2001), pp. 30–32
[9] 서적 Gethin (2001), pp. 36 – 40
[10] 서적 The Noble Eightfold Path: The Way to the End of Suffering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2010
[11] 서적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in Plain English 2012
[12] 서적 A Swift Pair of Messengers INWARD PATH, Penang – Malaysia 2012
[13] 서적 Samyutta Nikaya, Ch. 47 2000
[14] 서적 Sujato (2012), p. 244
[15] 서적 Kuan (2008), p. 104
[16] 논문 "Problems and Prospects of the Chinese Saṃyukta Āgama" 2010
[17] 서적 A History of Mindfulness 2005
[18] 서적 Sujato (2012), pp. 278, 288–289
[19] 서적 Sujato (2012), p. 280
[20] 서적 Sujato (2012), p. 148
[21] 서적 Sujato (2012), p. 260
[22] 서적 Sujato (2012), p. 133
[23] 서적 Sujato (2012), pp. 320–321
[24] 서적 Sujato (2012), pp. 320–326
[25] 서적 Sujato (2012), p. 332
[26] 서적 Sujato (2012), pp. 341–345
[27] 서적 Sujato (2012), pp. 357–366
[28] 서적 Sujato (2012), p. 355
[29] 서적 Sujato (2012), pp. 273–274
[30] 서적 Anālayo (2006), p. 16
[31] 서적 Kuan (2008), p. 143
[32] 서적 Sujato (2012), pp. 209–210
[33] 서적 SN 47.6 (Thanissaro, 1997) and SN 47.7 (Olendzki, 2005)
[34] 서적 Sujato (2012), pp. 186–188
[35] 서적 Sujato (2012), pp. 188–189
[36] 서적 2012
[37] 서적 2012
[38] 서적 2012
[39] 서적 2012
[40] 서적 2001
[41] 서적 The Wings to Awakening, An Anthology from the Pali Canon 2013
[42] 서적 2013
[43] 서적 2013
[44] 서적 2013
[45] 서적 2013
[46] 서적 A Swift Pair of Messengers INWARD PATH, Penang – Malaysia 2012
[47] 서적 2012
[48] 서적 The Noble Eightfold Path: The Way to the End of Suffering.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2010
[49] 서적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in Plain English 2012
[50] 서적 The Wings to Awakening, An Anthology from the Pali Canon 2013
[51] 서적 2013
[52] 서적 2012
[53] 웹사이트 Teaching Dhamma by pictures: Explanation of a Siamese Traditional Buddhist Manuscript http://zugangzureins[...]
[54] 서적 2013
[55] 서적 2013
[56] 서적 The Noble Eightfold Path: The Way to the End of Suffering.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2010
[57] 서적 2013
[58] 서적 2013
[59] 서적 2013
[60] 서적 2013
[61] 서적 A Swift Pair of Messengers INWARD PATH, Penang – Malaysia 2012
[62] 서적 2013
[63] 서적 2013
[64] 서적 2006
[65] 서적 2013
[66] 서적 2013
[67] 서적 2013
[68] 서적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in Plain English 2012
[69] 서적 2013
[70] 서적 2013
[71] 서적 The Noble Eightfold Path: The Way to the End of Suffering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2010
[72] 논문 2013
[73] 논문 2013
[74] 논문 2013
[75] 논문 2013
[76] 논문 2013
[77] 논문 2013
[78] 서적 A Swift Pair of Messengers INWARD PATH, Penang – Malaysia 2012
[79] 논문 2013
[80] 논문 2013
[81] 논문 2012
[82] 서적 The Wings to Awakening, An Anthology from the Pali Canon 2013
[83] 논문 2006
[84] 논문 2006
[85] 서적 The Wings to Awakening, An Anthology from the Pali Canon 2013
[86] 논문 2012
[87] 논문 1996
[88] 논문 2006
[89] 논문 2013
[90] 서적 A Swift Pair of Messengers INWARD PATH, Penang – Malaysia 2012
[91] 서적 A Swift Pair of Messengers INWARD PATH, Penang – Malaysia 2012
[92] 논문 2013
[93] 논문 2013
[94] 논문 2013
[95] 논문 2012
[96] 논문 2013
[97] 논문 2013
[98] 논문 2013
[99] 논문 2013
[100] 논문 2013
[101] 논문 2013
[102] 서적 Seeing Through – A Guide to Insight Meditation Kaṭukurunde Ñānananda Sadaham Senasun Bhāraya, Sri Lanka 2016
[103] 논문 2013
[104] 논문 2013
[105] 논문 2013
[106] 서적 2013
[107] 서적 Seeing Through – A Guide to Insight Meditation Kaṭukurunde Ñānananda Sadaham Senasun Bhāraya, Sri Lanka 2016
[108] 서적 2012
[109] 서적 2006
[110] 서적 2001
[111] 서적 2006
[112] 서적 2006
[113] 서적 The Wings to Awakening, An Anthology from the Pali Canon 2013
[114] 서적 The Wings to Awakening, An Anthology from the Pali Canon 2013
[115] 서적 The Wings to Awakening, An Anthology from the Pali Canon 2013
[116] 서적 2012
[117] 서적 2012
[118] 서적 2006
[119] 서적 2006
[120] 서적 2013
[121] 서적 2006
[122] 서적 2013
[123] 서적 2006
[124] 서적 2001
[125] 서적 2012
[126] 서적 2001
[127] 서적 2006
[128] 서적 2006
[129] 서적 2006
[130] 서적 The Wings to Awakening, An Anthology from the Pali Canon 2013
[131] 서적 2012
[132] 서적 2006
[133] 서적 2012
[134] 서적 2006
[135] 서적 2012
[136] 서적 2006
[137] 서적 2006
[138] 서적 2001
[139] 서적 2013
[140] 서적 2006
[141] 서적 2006
[142] 서적 2006
[143] 서적 A Swift Pair of Messengers INWARD PATH, Penang – Malaysia 2012
[144] 서적 2012
[145] 서적 2006
[146] 서적 2001
[147] 서적 2008
[148] 서적 2008
[149] 서적 2008
[150] 서적 2008
[151] 서적 2006
[152] 서적 2006
[153] 서적 2012
[154] 웹사이트 "Maha-satipatthana Sutta: The Great Frames of Reference" (DN 22) https://www.accessto[...] 2013-11-30
[155] 웹사이트 《大念处经》白话文-网友文摘内容-佛教在线 http://www.fjnet.com[...] 2022-03-02
[156] 웹사이트 The Four Close Placements of Mindfulness in Mahayana https://studybuddhis[...] 2020-08-26
[157] 간행물 Three Approaches to the Four Foundations:An Investigation of Vipassanā Meditation, Analytical Meditation and Śamatha/Vipaśyanā Meditation on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https://static1.squa[...] Naropa University 2011
[158] 웹사이트 General Sūtra Section https://read.84000.c[...] 2020-08-26
[159] 서적 Jewels of the Middle Way: The Madhyamaka Legacy of Atisa and His Early Tibetan Followers Simon and Schuster 2019
[160] 서적 Great Perfection: Outer and Inner Preliminaries Shambhala Publications 2008
[161] 서적 Introduction to Buddhist Tantric Systems: Translated from Mkhas Grub Rje's Rgyud Sde Spyihi Rnam Par Gzag Pargyas Par Brjod with Original Text and Annotation 1993
[162] 간행물 A Less Traveled Path: Meditation and Textual Practice in the Saddharmasmrtyupasthana(sutra) https://escholarship[...] 2012
[163] 서적 A Less Traveled Path: Meditation and Textual Practice in the Saddharmasmrtyupasthana(sutra) 2012
[164] 서적 A Less Traveled Path: Meditation and Textual Practice in the Saddharmasmrtyupasthana(sutra) 2012
[165] 서적 Treasury of Precious Qualities: Book One Shambhala Publications 2010
[166] 서적 The Heart of the Buddha: Entering the Tibetan Buddhist Path Shambhala Publications 1991
[167] 간행물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https://dpr.info/wp-[...]
[168] 논문 “The Diachronic and Synchronic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ical Theory and Spiritual Praxis in Buddh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ase of the Four Applications of Mindfulness (smṛtyupasthāna: dran pa nye bar gzhag pa) in Vajrayāna.”
[169] SLTP 増支部九集, 念処経
[170] SLTP 長部 22.大念処経
[171] 논문 有部の四念住について 1983
[172] 논문 四念処に於ける不浄観の問題 1985
[173] 논문 原始仏教における四念処について 1981
[174] 기타 좌선삼매경 http://tripitaka.cbe[...]
[175] 기타 좌선삼매경 https://kabc.dongguk[...]
[176] 서적 좌선삼매경
[177] 서적 좌선삼매경
[178] 웹인용 Dhamma Talks (((((0))))) Attaining PEACE with KNOWING & SEEING a Handful of Leaves http://dhammatalks.n[...] 2024-04-11
[179] 서적 2005
[180] 서적 2005
[181] 서적 2005
[182] 서적 2005
[183] 서적 2005
[184] 서적 2005
[185] 문서 Nhat Hanh 2005
[186] 웹사이트 mindful https://dict.naver.c[...] 2022-06-17
[187] 웹사이트 mindful https://dict.naver.c[...] 2022-06-17
[188] 웹사이트 mindful https://dict.naver.c[...] 2022-06-17
[189] 논문 阿毘達磨品類足論 https://tripitaka.cb[...]
[190] 논문 아비달마품류족론 https://kabc.dongguk[...]
[191] 서적 맛지마 니까야 2014
[192] 논문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193] 논문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194] 서적 Abhidharmakośa-Bhāṣya of Vasubandhu: The Treasury of the Abhidharma and its (Auto) commentary 2012
[195] 논문 대지도론 http://tripitaka.cbe[...]
[196] 논문 대지도론 https://kabc.dongguk[...]
[197] 논문 대지도론 http://tripitaka.cbe[...]
[198] 논문 대지도론 https://kabc.dongguk[...]
[199] 논문 대지도론 http://tripitaka.cbe[...]
[200] 논문 대지도론 https://kabc.dongguk[...]
[201] 논문 대지도론 http://tripitaka.cbe[...]
[202] 논문 대지도론 https://kabc.dongguk[...]
[203] 논문 대지도론 http://tripitaka.cbe[...]
[204] 논문 대지도론 https://kabc.dongguk[...]
[205] 논문 대지도론 http://tripitaka.cbe[...]
[206] 논문 대지도론 https://kabc.dongguk[...]
[207] 논문 대지도론 http://tripitaka.cbe[...]
[208] 논문 대지도론 https://kabc.dongguk[...]
[209] 논문 대지도론 http://tripitaka.cbe[...]
[211] 서적 대지도론 제19권 https://kabc.dongguk[...] 동국대학교
[212] 서적 대지도론 제19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13] 서적 대지도론 제19권 https://kabc.dongguk[...] 동국대학교
[214] 서적 대지도론 제19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15] 서적 대지도론 제19권 https://kabc.dongguk[...] 동국대학교
[216] 서적 대지도론 제19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17] 서적 대지도론 제19권 https://kabc.dongguk[...] 동국대학교
[218] 서적 대지도론 제19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19] 서적 대지도론 제19권 https://kabc.dongguk[...] 동국대학교
[220] 서적 좌선삼매경 하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21] 서적 좌선삼매경 하권 https://kabc.dongguk[...] 동국대학교
[222] 서적 좌선삼매경 하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23] 서적 좌선삼매경 하권 https://kabc.dongguk[...] 동국대학교
[224] 서적 좌선삼매경 하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25] 서적 좌선삼매경 하권 https://kabc.dongguk[...] 동국대학교
[226] 서적 좌선삼매경 하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27] 서적 좌선삼매경 하권 https://kabc.dongguk[...] 동국대학교
[228] 서적 좌선삼매경 하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29] 서적 좌선삼매경 하권 https://kabc.dongguk[...] 동국대학교
[230] 서적 좌선삼매경 하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31] 서적 좌선삼매경 하권 https://kabc.dongguk[...] 동국대학교
[232] 웹사이트 嚴 https://hanja.dict.n[...] 2024-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