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백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백어는 멸치목 사백어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몸길이 5cm 정도의 투명한 형태를 띠며, 죽으면 하얗게 변색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본, 한국 등지에 분포하며, 일본에서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주로 플랑크톤을 먹고 살며, 봄에 하천으로 거슬러 올라가 산란한다. 사백어는 식용으로 이용되며,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 대한민국의 물고기 - 퉁가리
    죄송합니다. 페이지 개요가 제공되지 않아 퉁가리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망둑어과 - 큰볏말뚝망둥어
    큰볏말뚝망둥어는 흑갈색을 띠고 몸길이가 9cm 정도이며, 등지느러미가 두 개이고 꼬리 부분으로 갈수록 납작해지며, 대한민국 남해안과 서해안의 개펄 바닥에 주로 분포한다.
  • 망둑어과 - 망둑어아과
    망둑어아과는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주로 서식하는 1120종의 조기어류 분류군으로, 일부 종은 갑각류와 공생하거나 식용 또는 관상어로 이용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기도 한다.
  • 1880년 기재된 물고기 - 조피볼락
    조피볼락은 거친 피부 때문에 이름 붙여진 쏨뱅이목 볼락과 물고기로, 북서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며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방사능 오염 논란이 있었다.
  • 1880년 기재된 물고기 - 베트남메기
    베트남메기는 동남아시아에서 양식되는 팡가시우스속 어류로, 저렴한 가격 덕분에 흰살 생선 대체재로 유통되지만,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사백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시라우오
시라우오
학명Leucopsarion petersii
최초 명명자힐겐도르프, 1880년
영명Ice goby (아이스 고비)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류강
농어목
망둑어과
아과고비오넬스아과
시라우오속 (Leucopsarion)
기타
멸종 위기 등급멸종위기 II급 (환경부 레드 리스트)

2. 명칭

일본에서는 지역에 따라 氷魚|히우오일본어(이바라키현도쿠시마현), 이사자일본어(호쿠리쿠), 갸후일본어(이세만 연안), 白魚|시라우오일본어(간사이・히로시마현) 등으로 불린다. 간사이 지방 등에서의 호칭은 시라우오과의 시라우오와 혼용된다. 또한, 호쿠리쿠 지방에서의 호칭 이사자일본어비와호망둑어의 일종의 표준 일본어 명칭으로 사용되며, 비와호에서는 히우오가 은어의 치어를 가리킨다.

한국에서는 표준명으로 "사백어"라고 불리는데, 죽으면 하얗게 변색되기 때문이다. 그 외에 "뺑아리"(팽아리), "병아리" 등의 지방명이 있다.

영어에서는 얼음 망둥어를 의미하는 "ice goby"라고 불린다.

3. 분포

홋카이도 남부에서 규슈 남부까지와 한반도 남부 경상남도 주변에 분포한다.[9] 남서 제도에는 분포하지 않지만, 아마미오섬에서 보고된 바 있다.

일본에 서식하는 개체는 유전적으로 다른 지리적 집단을 형성하고 있으며, "동해 계통"과 "태평양 계통"으로 나뉜다. 세토 내해는 동해 계통과 태평양 계통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

4. 특징

사백어는 몸에 약간의 검은 색소 세포가 있는 것을 제외하고 거의 투명하며, 죽으면 몸이 하얗게 흐려진다.

4. 1. 형태

성어는 전체 길이 5cm 정도로, 가늘고 긴 원통형이다. 몸은 투명하며, 안구, 부레, 척추 등이 비쳐 보인다. 다만 죽으면 몸이 하얗게 흐려져 몸 안의 구조는 보이지 않게 된다. 암컷은 복부에 검은 점이 한 줄로 늘어서 있어 수컷과 구별된다. 주둥이는 둥글고, 은 눈 뒤까지 갈라져 있으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으로 튀어나와 있다. 얼굴 생김새는 망둑어류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망둑어과 물고기는 등지느러미가 두 개 있고 배지느러미가 흡반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지만, 사백어는 등지느러미가 하나밖에 없고 배지느러미는 아주 작다. 또한 비늘측선도 없다. 충분히 성장해도 치어와 같은 특징을 남기고 있어 프로제네시스로 여겨진다. 망둑어과 중에서는 형태가 특이한 종류로 1속 1종의 단형으로 분류된다. 학명의 종명 "''petersii''"는 기재자 힐겐도르프가 스승 페터스에게 헌명한 것이다.

4. 2. 생태

보통 연안의 얕은 바다에 서식하며 플랑크톤을 먹고 산다. 초봄에는 성어가 하천의 하류로 거슬러 올라가 산란한다. 성어는 하구에서 무리를 지어 만조 때 밀물을 타고 강을 거슬러 올라간다. 기수역 상한부터 담수역에 걸쳐 자갈이 많은 구역에 도달하면 무리는 해소된다. 일부일처·1회 한정의 번식 방식으로[11], 1mm~3mm 정도의 자갈질 바닥에[12] 수컷은 각각 돌 밑에 숨어 산란실을 만들고 암컷을 유인하여 산란시킨다. 암컷은 산란실 천장에 장경 3mm 정도의 가늘고 긴 물방울 모양의 알을 약 300개 낳는다. 해수에서는 부화하지 않는다.[12] 산란·수정 후에는 수컷이 둥지에 남아 부화할 때까지 2주 정도 아무것도 먹지 않고 알을 보호한다. 수명은 약 1년으로, 암컷은 산란 후에, 수컷도 알이 부화한 후에 죽는다. 부화하는 자어는 전체 길이 5mm 정도로, 곧 강물에 휩쓸려 바다로 내려간다.

5. 인간과의 관계

사백어는 예로부터 강의 하류로 모여드는 시기에 식용으로 어획되어 초봄의 별미로 알려져 있다. 메벌 등 육식어의 낚시 미끼로도 이용된다.[1]

5. 1. 어업

사백어 어업에는 십자 형태로 엮은 대나무 2개로 사각형 그물을 매달아 사용하는 사수망이 전국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물을 강바닥에 매달아 사백어 무리가 그물 위를 지나갈 때 한꺼번에 끌어올려 어획하는 방식으로, 초봄의 하류에서 사수망을 펼치는 모습은 의 풍물시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 외에도 해안끌그물이나 어량 등으로 어획한다. 어량 어업이 행해지는 지역은 일본 각지에 있지만, 후쿠오카시의 무로미강 하류에서의 사백어 어량 어업은 에도 시대부터의 전통이 있으며, 언론에 소개되는 기회도 많다.[1] 미나미산리쿠정의 이리자키강에서는 강에 기하학적으로 쌓아 올린 "자와"라고 불리는 돌담 모서리에 몰아넣어 포획하는 어업을 하는데, 이는 전후에 발달한 어법으로 인근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어 최근에는 "시라오어 축제"라고 불리는 축제가 개최되기 시작했다.[1]

5. 2. 식문화

일본에서는 고급 식재료로 취급된다. 죽으면 풍미가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유통될 때는 물과 산소를 충전한 비닐봉투에 넣어 죽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군함말이 초밥으로 만들거나, 살아있는 채로 폰즈 등에 찍어 먹는 춤춰먹기 등으로 생식이 늘어나고 있다. 춤춰먹기나 생식에 대해서는 하천의 세균이나 기생충 (요코가와흡충) 등 위생상의 문제가 일부에서 지적되고 있다. 그 외에 튀김, 달걀 덮밥, 맑은 국의 고명, 당근 등과 함께 끓이는 영양밥 등의 요리가 전통적으로 먹어지고 있다.[1]

대한민국(한반도)에서는 경상남도부산에서 물회라고 불리는 식초, 고추 등으로 맛을 내어 생식하는 요리나 무침, 지짐이 종류, 등으로 먹는다.[1]

5. 3. 보전 상태

일본 환경성이 작성한 기수·담수어류 레드 리스트에서는 1999년판에서 "준위협(NT)"으로 게재되었고, 2007년 개정판에서는 위험도가 증가했다는 판단에 따라 "취약종(VU)"이 되었다.[1] 일본에서는 그 외에도 각 도도부현의 레드 리스트에서 멸종 위기종으로 게재되어 있으며, 이 중 5개 현에서는 위급종(절멸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지역등급
야마가타현위급종
시즈오카현위급종
효고현위급종
도쿠시마현위급종
고치현위급종
홋카이도취약종
미야기현취약종
와카야마현취약종
가가와현취약종
에히메현취약종
가고시마현취약종
아오모리현준위협
아키타현준위협
이바라키현준위협
지바현준위협
니가타현준위협
도야마현준위협
후쿠이현준위협
교토부준위협
오카야마현준위협
오이타현준위협
후쿠오카현준위협
사가현준위협
가나가와현정보 부족
후쿠시마현미평가
구마모토현주목종



일본 국내의 분포역 거의 전역에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원인은 강이나 바다의 수질 오염, 또는 하구언 설치나 콘크리트 호안 등 하천 개수로 인한 산란장 소실로 생각된다.

참조

[1] FishBase
[2] 논문 Stages of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ice goby (''shiro-uo''), ''Leucopsarion petersii'' http://www.bioone.or[...]
[3] 뉴스 Ice goby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08-07-09
[4] 논문 Response of a neotenic goby, ice goby (''Leucopsarion petersii''), to thyroid hormone and thiourea treatments http://repository.ku[...]
[5] 논문 Thyroid gland development in a neotenic goby (ice goby, ''Leucopsarion petersii'') and a common goby (ukigori, ''Gymnogobius urotaenia'') during early life stages http://repository.ku[...]
[6] 논문 Phylogeography and historical demography of the anadromous fish ''Leucopsarion petersii'' in relation to geological history and oceanography around the Japanese Archipelago http://onlinelibrary[...]
[7] 웹사이트 3795. opsarion https://biblehub.com[...] Bible Hub 2018-08-04
[8] 웹사이트 Order GOBIIFORMES: Family OXUDERCIDAE (a-o) http://www.etyfish.o[...]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17-12-06
[9] 웹사이트 사백어 http://portal.nfrdi.[...] 국립수산과학원 2012-03-10
[10] 논문 Phylogeography and historical demography of the anadromous fish Leucopsarion petersii in relation to geological history and oceanography around the Japanese Archipelago
[11] 논문 シロウオの生態と増殖に関する研究 https://doi.org/10.1[...] 九州大學農學部 1986-01
[12] 논문 広島県三津大川におけるシロウオの遡上および産卵場の環境特性 https://doi.org/10.2[...] 日本水産学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