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르 마방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토르 마방진은 중세 초기부터 유럽, 아나톨리아, 북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 등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견된 단어 마방진이다. 'SATOR', 'AREPO', 'TENET', 'OPERA', 'ROTAS'라는 다섯 단어를 가로 세로로 배열하여 읽을 수 있으며, 가장 오래된 형태는 서기 79년 베수비오 산 분화로 멸망한 헤르쿨라네움에서 발견되었다. 사토르 마방진은 기독교, 마법, 민간 신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영화, 음악 등에서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사토르 마방진의 기원과 의미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론이 존재하지만,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토르 마방진 | |
---|---|
개요 | |
![]() | |
종류 | 단어 마방진 |
언어 | 라틴어 |
문구 | SATOR AREPO TENET OPERA ROTAS (사토르 아레포 테네트 오페라 로타스) |
의미 | 씨 뿌리는 사람 아레포는 쟁기를 부지런히 돌린다. |
특징 | 회문 단어 마방진 기독교적 상징 (때로는) |
어원 및 구조 | |
단어 구성 | 5개의 라틴어 단어 (SATOR, AREPO, TENET, OPERA, ROTAS) |
배열 | 5x5 정사각형 마방진 형태 |
특징 | 각 단어는 가로, 세로 어느 방향으로 읽어도 동일함 |
중앙 단어 | TENET (테네트) - 회문 (palindrome) |
해석 및 의미 | |
일반적인 해석 | 씨 뿌리는 사람 아레포는 쟁기를 부지런히 돌린다. |
종교적 해석 | 기독교적 상징으로 해석되기도 함 단어들을 재배열하여 십자가 형태로 만들고 신약성경의 구절과 연관시키기도 함 |
역사 및 용도 | |
기원 | 폼페이 유적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서기 79년 이전으로 추정 |
용도 | 부적 기독교 이전 시대의 보호 주문 기독교화 이후 기독교적 상징으로 사용 |
발견 장소 | |
주요 발견지 | 폼페이 오페드 두라 에우로포스 체스터 |
변형 및 다른 해석 | |
기독교적 재배열 | 십자가 형태로 재배열하여 Pater Noster (주기도문) 표현 |
다른 해석 | 단어들의 다양한 조합을 통한 상징적 의미 부여 |
참고 자료 | |
관련 영화 | 테넷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2020) - 영화의 모티브로 사용됨 |
관련 인물 | 크리스토퍼 놀란 |
기타 정보 | |
Coptic 변형 | 콥트 변형 존재 |
관련 용어 | 사토르 |
2. 역사적 배경
사토르 마방진은 중세 초기부터 유럽, 아나톨리아, 북아프리카 (주로 콥트 정착지), 아메리카 대륙 등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9][18] 이 마방진은 5×5 격자로 배열된 5개의 5글자 단어로 구성되며, ROTAS(아래 왼쪽)와 SATOR(아래 오른쪽)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4][5]
style="padding-left: 2em; line-height: 1.2em;"| | style="padding-left: 4em; line-height: 1.2em;" | |
초기에는 ROTAS를 첫 행으로 사용했지만(위 왼쪽, ROTAS 형식), 중세 초기부터는 SATOR를 첫 행으로 사용하는 역방향 버전이 더 널리 사용되었다.[9]
1930년대까지, 서기 4세기 또는 5세기경의 ROTAS 형식으로 된 콥트 파피루스가 가장 오래된 버전으로 여겨졌다.[18][8] 1889년, 영국 고대사학자 프랜시스 헤이벌필드는 시렌세스터의 코리니움 도분노룸에서 발견된 ROTAS 형식의 사토르 마방진을 로마 기원으로 확인했지만, 당시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9][31]
헤이벌필드의 주장은 1931-32년 시리아의 두라 유로포스 발굴과 1936년 폼페이 팔레스트라에서 ROTAS 형식의 사토르 마방진이 발견되면서 옳았음이 증명되었다.[9][10] 특히 폼페이 발견은 서기 62년 폼페이 지진 이전으로 추정되어 현재까지 가장 오래된 사토르 마방진으로 알려져 있다.[9][18]
중세 시대에는 SATOR 형식의 마방진이 많이 나타났으며, 822년 생제르맹데프레 수도원의 카롤링거 왕조 성경에서 발견된 것이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예시 중 하나이다. 많은 중세 유럽 교회와 성에는 사토르 마방진 비문이 있다.[9][18] 1881년 라인홀트 쾰러의 "Sator-Arepo-Formel"은 마방진에 대한 최초의 인정받는 심각한 학술 연구이다.[9][18]
2. 1. 초기 발견
사토르 마방진은 초기 로마 시대 유적에서 여러 차례 발견되었다. 폼페이, 두라 유로포스, 시렌세스터 등에서 발견된 사례가 대표적이다.[9]가장 초기에 발견된 것은 1936년 폼페이 원형 경기장 근처의 팔레스트라(Palestra Grande) 기둥에서 발견된 ROTAS 형식의 마방진이다.(''CIL IV 8623'')[10] 이 기둥의 낙서는 서기 62년 폼페이 지진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어,[31][32]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사토르 마방진으로 여겨진다.[9][18]

1925년에는 폼페이의 푸블리우스 파키우스 프로쿨루스 저택 욕실 벽에서 ROTAS 형식의 마방진 조각이 발견되었다.(''CIL IV 8123'')[9][18][32] 이 저택의 양식으로 보아 서기 50년에서 79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9][18][32]
1931~32년 시리아 두라 유로포스의 로마 군사 사무실 내부 벽에서 ROTAS 형식의 사토르 마방진 비문 3개가 발견되었고 (1년 후 네 번째 발견), 서기 200년경으로 추정되었다.[9][32]

1868년 영국 시렌세스터의 로마 정착지인 코리니움 도분노룸의 석고 벽에서 ROTAS 형식의 마방진이 발견되었다.[31][32]
발견 장소 | 발견 연도 | 형태 | 추정 시기 | 비고 |
---|---|---|---|---|
폼페이 팔레스트라(Palestra Grande) | 1936년 | ROTAS | 서기 62년 폼페이 지진 이전 | 현재까지 가장 오래됨[9][18] |
폼페이 푸블리우스 파키우스 프로쿨루스 저택 | 1925년 | ROTAS | 서기 50-79년 | |
시리아 두라 유로포스 | 1931-32년 | ROTAS | 서기 200년경 | |
시렌세스터 코리니움 도분노룸 | 1868년 | ROTAS | ||
헝가리 아퀴쿰 | 1954년 | ROTAS | 2세기 | |
맨체스터 | 1978년 | ROTAS | 서기 185년경 | |
포르투갈 코님브리가 | 1971년 | ROTAS | 2세기 | |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 1966~71년 | ROTAS | 로마-아모르, 로마 수무스 아모르 회문과 함께[33] |
초기에는 ROTAS를 첫 번째 줄로 사용하는 형태(ROTAS 형식)가 일반적이었으나, 중세 초기부터는 SATOR를 첫 번째 줄로 사용하는 형태(SATOR 형식)가 더 널리 사용되었다.[9]
R O T A S | S A T O R | |
O P E R A | A R E P O | |
T E N E T | T E N E T | |
A R E P O | O P E R A | |
S A T O R | R O T A S |
2. 2. 중세 시대
마방진은 중세 초부터 오랫동안 알려져 왔으며, 유럽, 아나톨리아, 북아프리카 (주로 콥트 정착지), 아메리카 대륙 등 다양한 곳에서 발견되었다.[9][18] 중세 시대에는 SATOR 형식의 마방진이 많이 나타났는데, 822년 생제르맹데프레 수도원의 카롤링거 왕조 성경에서 발견된 것이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예시 중 하나이다. 중세 유럽의 많은 교회와 성에는 사토르 마방진이 새겨져 있다.[9][18]
- 로마 시대 이후 가장 오래된 사토르 마방진은 1899년 독일 역사학자 아돌프 에르만과 프리츠 크레브스가 베를린 국립 박물관의 이집트 파피루스 컬렉션에서 발견한 콥트어 파피루스에 새겨진 ROTAS 형태의 마방진이다. 여기에는 다른 기독교 이미지는 나타나지 않는다.[9][8]
- 기독교 이미지가 명확히 나타나는 가장 오래된 사토르 마방진은 소아시아에서 발견된 6세기 청동 부적이다. 한 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두 마리의 물고기가 있고, 다른 면에는 바둑판 무늬의 그리스 문자로 된 사토르 마방진이 있다. 마방진 위에는 그리스도를 의미하는 용어인 "ICHTHUS"라는 단어가 적혀 있다. 이 부적 역시 베를린 국립 박물관에 있다.[9]
- 기독교 교회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사토르 마방진 중 하나는 이탈리아 카페스트라노 인근의 성 베드로 아드 오라토리움 수도원 정면에 있는 SATOR 형태의 대리석 마방진으로, 752년경 베네딕토 수도원의 것이다.[9]
-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예시는 822년 생 제르맹 데 프레 수도원에서 발견된 카롤링거 왕조 성경 속 SATOR 형태의 마방진이다.[9][18] 9~10세기 경의 예로는 몬테 카시노의 코덱스 384가 있는데, 이 사각형은 "Versus de cavenda Venere et vino found"라는 제목의 작품 여백에 쓰여 있으며 모데나의 카피톨라레 1.4의 일부이다.[9]
- 12세기 라틴어 의학 교과서인 트로툴라에서는 마방진을 의료 신념에 적용한 초기 사례를 찾을 수 있다. 번역된 텍스트는 "[98] 또는 이 이름들을 치즈와 버터에 적어라: + sa. e. op. ab. z. po. c. zy. e pe. pa. pu c. ac. sator arepo tenet os pera rotas 그리고 그것들을 먹도록 줘라"라고 조언한다.[34] 오리약에서 발견된 13세기 양피지에도 출산 중인 여성을 위한 사토르 마방진 찬가가 적혀 있다.[18]
- 12세기 프랑스에서는 Rochemaure|로슈모르프랑스어 성의 생 로랑 교회 벽과 로슈 성 요새에서 마방진이 발견된다.[9][18]
- 프랑스 뤼베롱에 있는 버려진 중세 요새 도시 오페드-르-비외 성벽 입구에 설치된 블록에서도 사토르 마방진 형태의 마방진이 발견되었다. 이 고대 도시는 12~13세기에 지어졌으며 17세기에 버려졌다.[40]
- 이탈리아의 많은 중세 도시와 교회에도 마방진이 있다. 크레모나의 피에베 테르자니에 있는 12세기 산 조반니 데콜라토 교회에는 마방진이 포함된 바닥 모자이크 조각이 있다.[9] 발비스치올로 수도원에는 5개의 동심원을 이루는 문자들이 있으며, 각 원은 5개의 섹터로 나뉜다. 두오모 외부 벽에도 마방진이 나타난다. 아쿠아비바 콜레크로체 교회 내부에는 로타스 형태의 마방진이 있는 돌이 있다. 그 외에도 산 조반니 교회, 생트 오르스 교회, 아스콜리 사트리아노 대성당, 마르케의 파게세에 있는 산 로렌초 교회 등이 있다.[40]
- 15세기 시농 성, Jarnac|자르나크프랑스어 성, 발보네 법원 등 중세 후기 프랑스 전역의 다양한 장소에서도 이 마방진이 발견된다.[18]
- 중세 시대 랭커셔의 리빙턴 교회에는 사토르 형태의 마방진이 있다.[35]
- 14세기 룬 문자 비문인 네르케의 Nä Fv1979;234에는 "sator arepo tenet"(해석되지 않음: "sator ¶ ar(æ)po ¶ tænæt)라는 문구가 나타난다.[36] 고틀란드의 두 비문(G 145 M 및 G 149 M)에도 전체 회문이 포함되어 있다.[36]
2. 3. 한국어 사토르 마방진
한국어에서는 ABC BDE CEF 패턴이 되면 사토르 마방진이 되는데, 대표적인 예로 ‘개똥아 똥쌌니 아니오’, ‘곰돌아 돌았니 아니오’ 등이 있다. 또한 ‘전지현 지석진 현진영’이나, ‘아이유 이정재 유재석’과 같이 이름 자체가 마방진을 이루는 경우도 있다.라 | 팔 | 아 |
팔 | 렸 | 니 |
아 | 니 | 오 |
전 | 지 | 현 |
지 | 석 | 진 |
현 | 진 | 영 |
사토르 마방진은 5×5 격자로 배열된 2차원 회문이자 단어 사각형이다. 5개의 5글자 단어로 구성되며, 8개의 라틴 문자(5개 자음: S, T, R, P, N, 3개 모음: A, E, O)를 사용한다.
이길수 시인은 '내안의 퍼즐'에서 꽃이피고나비가날아가지 로 시작하는 11x11 사토르 방진을 썼다.
KBS 2TV의 개그콘서트에도 '개똥아 똥쌌니 아니오'의 사토르 마방진이 소개된 적 있다.[1] MBC의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2003년 5월 11일자 방송에서도 사토르 마방진과 관련된 이야기가 소개되었다.[1]
3. 의미와 해석
사토르 마방진은 ROTAS(왼쪽 아래)와 SATOR(오른쪽 아래)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style="padding-left: 2em; line-height: 1.2em;"| style="padding-left: 4em; line-height: 1.2em;" |
초기 로마 시대에는 ROTAS를 첫 줄로 사용했지만(ROTAS 형식), 중세 초기부터는 SATOR를 첫 줄로 사용하는 역방향 버전(SATOR 형식)이 더 널리 사용되었다.[9]
사토르 마방진을 구성하는 각 단어의 의미와 가능한 문장 해석은 단어별 의미 및 문장 해석 하위 섹션에 제시되어 있다.
사토르 마방진의 기원과 의미에 대해서는 1세기가 넘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학문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5][20][21]
3. 1. 단어별 의미
AREPO는 단 한 번 나타나는 낱말로, 증명된 라틴 문헌 어디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고유 명사일 가능성이 높거나, 사토르 마방진을 위해 라틴어가 아닌 단어에서 가져왔거나 특별히 만들어진 신을 모시는 이름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18] 프랑스 역사가 제롬 카르코피노는 이것이 쟁기를 뜻하는 갈리아어에서 유래했다고 믿었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를 기각했다.[18] 미국의 고대 법학 역사가 데이비드 도브는 AREPO가 초기 유대-기독교에서 알파와 오메가 개념을 나타내는, 알파(Ἄλφαgrc)와 오메가(ωgrc)에 대한 고대 그리스어의 히브리어 또는 아람어 번역을 나타낸다고 믿었다(예: 이사야 44:6, 요한 계시록 1:8).[9] J. 귄 그리피스는 AREPO라는 용어가 알렉산드리아를 통해 증명된 이집트 이름 "Hr-Hp"(''ḥr ḥp'')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아피스의 얼굴"을 의미한다고 해석했다.[9][15] 1983년, 세르비아계 미국 학자 미로슬라브 마르코비치는 AREPO라는 용어가 떠오르는 태양의 신인 하르포크라테스 (또는 "호루스-아이")의 라틴어 약자이며, 마르코비치는 이것이 SATOR AREPO에 해당한다고 제안했다. 이는 사각형을 "씨 뿌리는 자 호루스/하르포크라테스가 고난과 고문을 억제한다"로 번역할 수 있다.[9][16][21]
덩컨 피시윅은 다른 학자들과 함께 AREPO가 복잡하고 정교한 회문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잔여 단어일 뿐이며, 유대교 창작자들이라고 여겨지는 이 단어에 더 많은 것을 기대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라고 믿었다.[4]
3. 2. 문장 해석
사토르 마방진의 각 단어는 라틴어이며, 학자들은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4][5]
단어 | 품사 | 의미 | 비고 | |||||||||||
---|---|---|---|---|---|---|---|---|---|---|---|---|---|---|
SATORla | 주격 명사 | 씨 뿌리는 사람, 심는 사람, 창시자, 시조 ( 가장 직접적인 문장 번역은 "씨 뿌리는 자(또는 농부) 아레포는 조심스럽게 바퀴를 붙잡고 있다(또는 조심스럽게 바퀴를 붙잡고 있다)"이다.[9][18][31][20][11] "농부 아레포는 그의 바퀴를 움직인다",[12] 또는 "씨 뿌리는 자(사토르) 아레포가 솜씨(오페라)로 바퀴(로타스)를 인도한다(테네트)"와 같이 번역하기도 한다.[13] 쥘 퀴쉐라를 비롯한 일부 학자들은[18] 마방진을 소걸음걸이 방식으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4] 그리스어로 "소가 밭을 가는 것처럼"을 의미하는 소걸음걸이 방식은 마방진 텍스트의 농업적 측면을 강조한다.[9] 이 방식을 적용하면 중앙 단어 TENET을 반복하여 SATOR OPERA TENET – TENET OPERA SATOR, 즉 "뿌린 대로 거두리라"로 해석할 수 있다.[18] 반면, 마방진을 단 세 단어, SATOR OPERA TENET, 즉 "창조주(만물의 저자)는 자신의 작품을 유지한다"로 번역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이 두 해석은 그리스-로마 스토아주의 및/또는 피타고라스 학파의 기원을 암시한다.[9][21] AREPO는 단 한 번 나타나는 낱말로, 라틴 문헌 어디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때문에 고유 명사이거나, 사토르 마방진을 위해 라틴어가 아닌 단어에서 가져왔거나 특별히 만들어진 신을 모시는 이름일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18] 4. 기독교와의 연관성사토르 마방진은 여러 가지 근거로 기독교적 상징으로 해석된다. 학자들은 그리스도를 "씨 뿌리는 자"(SATOR)와 연결짓고,[9] 중세 초기 기독교 환경에서 이 마방진이 발견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사토르 마방진은 아비시니아 등 다양한 기독교 공동체에서 나타난다. ''에티오피아 죽음의 서''에서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박힌 못을 Sador, Alador, Danet, Adera, Rodas라고 불렀다.[9] 이는 그리스도의 상처와 십자가의 못을 사토르 마방진의 다섯 단어와 유사한 이름으로 명명한 초기 콥트 기독교 작품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9] 사토르 마방진을 기독교인들이 채택했다는 데에는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거의 없지만, 이 상징을 처음 만들었는지는 불분명하다.[9][31] 4. 1. 파테르노스터 이론사토르 마방진의 25개 문자를 재배열하면 중앙에 'N'을 두고 "PATERNOSTER" (주님의 기도의 첫 두 단어, "우리 아버지"라는 뜻의 라틴어)를 수직 및 수평으로 반복해서 읽을 수 있는 십자 형태를 만들 수 있다. 남는 두 개의 'A'와 두 개의 'O'는 알파와 오메가를 나타내는데, 이는 기독교에서 신의 편재성을 상징한다.[43][47] 이러한 이유로 사토르 마방진은 초기 기독교인들이 서로를 확인하고 비밀스러운 상징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43][47] 맨체스터에서 발견된 2세기 사토르 마방진은 영국에서 기독교의 가장 초기의 흔적 중 하나로 해석되기도 한다.[48] 1924년부터 1926년까지 독일 사제 펠릭스 그로서,[4] 독일 역사가 , 스웨덴 역사가 시구르드 아그렐[9]이 이 배열을 발견 또는 재발견했다. 당시 가장 오래된 사토르 마방진은 4세기의 것이었기 때문에,[9] 이 발견은 사토르 마방진의 기독교적 기원 가설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로 여겨졌다.[4] 그러나 1936년 폼페이에서 서기 79년 이전의 사토르 마방진이 발견되면서 이 이론은 설득력을 잃게 되었다.[18][32] 프랑스 역사학자 기욤 드 제르파니옹은 폼페이에 기독교인이 많지 않았을 것이며, 1세기 기독교인들은 그리스어를 사용했을 것이고, 알파와 오메가 개념은 1세기 이후에 등장하며, 십자가 상징은 서기 130-131년경부터 나타나고, 암호화된 기독교 상징은 3세기의 박해 동안에만 나타났다는 점을 지적했다.[9][18][32] 제롬 카르코피노는 폼페이 사각형이 약탈자들에 의해 추가되었다고 주장했지만, 팔레스트라의 화산 퇴적물에 교란 흔적이 없어 이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18][31][32] 결국 파테르노스터 이론은 기독교 기원의 증거로서 학문적 지지를 상당 부분 잃었다.[9][18][5][32][19] 한편, 콥트 정교회의 "바르토스의 성모의 기도"에는 그리스도가 SATOR, AREPO, TENET, OPERA, ROTAS라는 다섯 개의 못으로 십자가에 못 박혔다는 내용이 나온다.[49] 에티오피아 전통에서는 이 단어들이 변형되어 SADOR는 창에 의한 상처, ALADOR는 오른손의 상처, DANAT는 왼손의 상처, ADERA는 오른발의 상처, RODAS는 왼발의 상처를 의미하게 되었다.[50][51] 카파도키아에서는 콘스탄티누스 7세 시대(913-959년)에 그리스도 탄생 이야기에 등장하는 목동들이 SATOR, AREPON, TENETON이라고 불렸고, 초기 비잔틴 성경에서는 동방 박사의 이름이 ATOR, SATOR, PERATORAS로 기록되어 있다.[52] 일부 학자들은 사토르 마방진이 미트라교나 유대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서기 79년 당시 폼페이에 기독교인이 많았을 가능성이 낮고, 기독교에서 라틴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훨씬 후대의 일이기 때문이다.[53] 4. 2. 기독교 상징 채택초기 기독교인들이 사토르 마방진을 비밀스러운 상징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43][47] 맨체스터에서 발견된 2세기 사토르 마방진은 영국에서 기독교의 가장 초기의 흔적 중 하나로 해석되기도 한다.[48]사토르 마방진의 문자들을 재배열하면 중앙의 ''N''을 중심으로 "Pater Noster" (주님의 기도의 첫 두 단어로, "우리 아버지"라는 뜻의 라틴어)를 수직 및 수평으로 읽을 수 있는 십자형이 만들어진다. 남는 문자(A와 O 각 두 개)는 기독교에서 신의 편재성을 나타내는 알파와 오메가를 상징한다. 콥트 정교회의 "바르토스의 성모의 기도"에는 그리스도가 SATOR, AREPO, TENET, OPERA, ROTAS라는 다섯 개의 못으로 십자가에 못 박혔다는 내용이 나온다.[49] 이 내용은 에티오피아 전통으로 이어져 그리스도의 상처를 나타내는 이름이 되었다.[50] 에티오피아 전통에서 이 단어들은 SADOR(창에 의한 상처), ALADOR(오른손의 상처), DANAT(왼손의 상처), ADERA(오른발의 상처), RODAS(왼발의 상처)로 변형되었다.[51] 카파도키아에서는 콘스탄티누스 7세 시대(913-959년)에 그리스도 탄생 이야기에 나오는 목동들의 이름이 SATOR, AREPON, TENETON으로 불렸다. 초기 비잔틴 성경에서는 동방 박사의 이름이 ATOR, SATOR, PERATORAS로 기록되어 있다.[52] 일부 학자들은 사토르 마방진이 미트라교나 유대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서기 79년 당시 폼페이에 기독교인이 많았을 가능성은 낮고, 기독교가 라틴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훨씬 후대의 일이기 때문이다.[53] 5. 마법 및 민간 신앙과의 연관성
사토르 마방진은 중세 시대부터 마법, 부적, 민간 치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9] 로즈 메리 쉘든은 2003년에 "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일반 대중이 고전적인 단어 게임을 잊은 후에도, 이 사각형은 라틴어를 읽지 못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살아남아 질병, 악, 불운을 막는 부적으로 사용되었다. 중세 말에는 이탈리아, 세르비아, 독일, 아이슬란드의 미신에 확고히 자리 잡았고, 결국 북아메리카로까지 전파되었다."라고 언급했다.[9] 5. 1. 마법적 사용사토르 마방진은 불을 끄거나, 광견병을 치료하거나, 출산을 돕는 등 다양한 마법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9] 중세 독일에서는 마방진을 디스크에 새겨 불 속에 던져 불을 끄는 데 사용했다.[9] 1743년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의 칙령에 따라 모든 정착지는 화재 예방을 위해 사토르 마방진 디스크를 만들어야 했다.[9] 15세기까지 프랑스의 시농 성에서는 불에 대한 시금석으로 사용되었다.[18]12세기 라틴 의학 텍스트인 트로툴라에서는 출산 중 치료법으로 나타났으며,[34] 중세 유럽에서는 개에 물린 상처와 광견병 치료법으로 널리 인용되었다.[9] 두 경우 모두 마방진의 단어가 새겨진 빵을 먹음으로써 치료가 이루어졌다.[9][34] 16세기에는 장 뒤 숄의 ''De Varia Quercus Historia''(1555)와 제로라모 카르다노의 ''De Rerum Varietate''(1557)와 같은 책에서 정신 질환과 열병을 치료하기 위해 마방진을 사용하는 것이 문서화되었다. 리옹 출신의 한 사람이 마방진이 새겨진 빵 껍질 세 조각을 먹은 후 정신 질환에서 회복된 사례가 있다.[18] ![]() 19세기에는 브라질에서 개와 뱀에 물린 상처 치료제로 사용되었고,[9] 앨러게니 산맥의 독일 정착민 (마운틴 화이트) 사이에서는 화재 예방, 발작 멈춤, 유산 방지에 사용되었다.[9] 또한, 펜실베이니아 더치의 파우와우 민속 의학에 관한 18세기 서적 (예: ''잃어버린 친구'')에 등장한다.[30] 학자들은 출산, 치통, 사랑의 묘약, 악령 퇴치, 심지어 마녀 판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중세의 사토르 기반 부적, 치료법 등을 발견했다.[9] 리처드 캐번디시는 보들리안의 중세 필사본에서 "이 다섯 개의 사토르 단어를 양피지에 비둘기 피로 쓰고 왼쪽 손에 들고 원하는 것을 요청하면 얻을 수 있다."라는 기록을 언급했다.[29] 레이디 제인 프란체스카 와일드의 아일랜드 민속 설화집인 《고대 전설, 신비한 매력과 아일랜드의 미신》(1888)에는 피로 쓴 사토르 마방진 주문으로 시인에게 매혹된 어린 소녀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37] 이외에도 소를 보호하고,[54] 여행 중 피로를 회복하는 등[55] 다양한 목적으로 민속 마법에 사용되었다. 펜실베이니아 더치 공동체에서는 질병 치료를 위해,[56] 러시아 정교회 구(舊) 전례파 공동체에서도 사용되었다.[57] 6. 현대 대중문화에서의 활용
사토르 마방진은 예술, 음악,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감을 주었다. 안톤 베베른, Fabio Mengozzi|파비오 멩고치영어 등의 클래식 및 현대 음악 작곡가와 오스만 린스(소설 ''아발로바라''(1973)는 마방진의 구조를 따름), 딕 히긴스(''라 멜랑콜리아''(1983)), 게리 스테판(''사토르 아레포 테네트 오페라 로타스''(1982)) 등의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38] 6. 1. 예술 및 음악안톤 베베른, Fabio Mengozzi|파비오 멩고치영어 등 클래식 및 현대 음악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38][61] 브라질 작가 오스만 린스(소설 ''아발로바라''(1973)는 마방진의 구조를 따른다), 미국의 예술가 딕 히긴스의 ''라 멜랑콜리아''(1983), 미국의 예술가 게리 스테판의 ''사토르 아레포 테네트 오페라 로타스''(1982)와 같은 예술 작품에도 영감을 주었다.[38]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2020년 영화 테넷에는 사토르 마방진의 다섯 이름이 모두 등장한다.[40][62]
미국 작가 로렌스 와트-에반스는 테리 프래쳇이 그의 ''디스크월드'' 시리즈에서 가상의 도시 안크모포크의 주요 광장 이름을 "사토르 광장"이라고 지었다고 언급했다.[41] 노르딕 네오 포크 밴드 힐룽의 노래 ''테넷''은 사토르 마방진을 기반으로 하며, 모든 음악 파트, 멜로디, 악기, 가사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동일하게 연주된다.[42] 6. 2. 영화 "테넷"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2020년 영화 ''테넷''에서는 사토르 마방진의 다섯 단어가 모두 등장한다.[40][62]
7. 기타 이론
사토르 마방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하지만, 1세기가 넘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학문적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5][20][21]
참조
[1]
웹사이트
How Tenet was inspired by palindromes, the memes of the ancient world
https://www.telegrap[...]
202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