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감의 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감의 난은 서주 시대 초기에 일어난 반란으로, 주나라 무왕 사후 섭정 주공 단의 권력 장악에 반발한 관숙선, 채숙도, 곽숙처(혹은 무경)가 일으킨 사건이다. 무왕은 상나라 멸망 후 상나라 마지막 왕의 아들 무경을 은나라 땅에 봉하고 삼감에게 감시를 맡겼다. 무왕 사후 어린 성왕을 대신해 주공 단이 섭정하며 삼두 정치를 펼치자, 삼감은 주공이 왕위를 찬탈하려 한다며 반란을 일으켰다. 주공 단은 반란을 진압하고 봉건제를 강화하여 주나라의 통치를 공고히 했으며, 천명 사상을 통해 왕조의 정당성을 확보했다. 삼감의 난은 주나라 봉건제 강화와 동방 지역에 대한 통제력 확립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주공 단은 훌륭한 통치자로 추앙받았으나, 삼감의 정체에 대한 논란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의 내전 - 펠로폰네소스 전쟁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기원전 5세기 아테네와 스파르타 중심의 그리스 도시 국가 간 장기간 전쟁으로, 아테네의 팽창주의가 스파르타의 불만을 촉발하여 발발, 스파르타의 승리로 끝나 아테네 제국 몰락과 그리스 세계 쇠퇴를 가져왔으며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가 주요 기록이다.
  • 고대의 내전 - 십왕 전투
    리그베다 시대에 수다스 왕이 이끄는 바라타족이 10개 부족 연합군을 격파한 십왕 전투는 바라타족의 펀자브 지역 지배를 확립하고 쿠루족의 등장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 전투가 쿠룩셰트라 전쟁의 원형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 - 상나라
    상나라는 기원전 1600년경부터 기원전 1046년까지 중국을 지배한 왕조로, 갑골문 발견을 통해 역사적 사실이 증명되었으며, 발달된 청동기 문화와 문자 체계를 가졌고, 주나라에 의해 멸망한 후에도 일부 잔재가 이어졌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 - 목야 전투
    목야 전투는 기원전 11세기경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격파하고 주나라 건국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전투로, 은나라의 폭정과 내부 혼란을 배경으로 목야에서 주나라가 승리하여 은나라가 멸망하고 주나라가 건국되는 결과를 가져왔으나 정확한 연도와 규모는 논란이 있다.
삼감의 난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 명칭삼감의 난
다른 명칭삼감지란 (중국어 간체자: 三监之乱)
무경지란 (중국어 간체자: 武庚之乱)
전투 시기기원전 1042년 ~ 기원전 1039년 (약 3년간)
전투 장소중국 북동부, 특히 화베이 평원
산둥성 서부 및 장쑤성 북부
전투 결과주나라 왕실의 결정적인 승리
영향봉건제 확립
은나라 유민들의 주나라에 대한 저항 종식
교전 세력
주나라 왕실군주나라


북연
Lian
Xue
기타 제후국
반란군삼감과 은나라 잔당






기타 반주나라 세력
동이와 화이





기타 이민족 및 제후국
지휘관 및 지도자
주나라 왕실군주공단
주성왕
소공석
제태공망
위강숙
백금
소의 군주 Ke
반란군관숙선
채숙도
곽숙처
무경
당의 군주
의 후작
방의 장로
관련 이미지
주나라의 제후국과 반란군의 지배 영역
주나라의 제후국과 반란군의 대략적인 지배 영역

2. 역사적 배경

주나라상나라를 멸망시킨 후, 상나라 마지막 왕인 주왕의 아들 무경을 은에 봉하여 상나라 유민들을 다스리게 했다. 그러나 주나라는 무경과 상나라 유민들이 완전히 복종하지 않을 것을 우려하여, 주 무왕의 동생들인 관숙 선, 채숙 도, 곽숙 처를 '삼감'으로 임명하여 무경을 감시하고 동쪽 제후들을 통제하도록 했다.[23]

주공단


무왕이 죽고 어린 성왕이 즉위하자, 숙부인 주공 단이 섭정을 맡았다. 그러나 관숙 선과 채숙 도는 주공 단이 권력을 독차지하려 한다고 의심하여 무경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에는 동이족의 회이와 서융도 가담했다.[37]

관숙 선은 반란을 일으키기 전에 주공 단이 성왕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하려 한다는 소문을 퍼뜨렸다.[36] 또한, 엄나라의 임금 박고(薄姑)는 무경에게 주나라에 대항할 것을 권유했다.[38]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주나라 초기의 정치적 불안정과 권력 다툼을 보여주며, 삼감의 난이 일어나게 된 배경을 설명해준다.

2. 1. 상나라 멸망과 주나라 건국

서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킨 후, 상나라 마지막 임금 제신의 아들 무경에게 상나라 유민을 맡겨 상나라 왕실에 대한 제사를 계속하게 했다.[34][35][36][40] 무경과 상나라 유민이 주나라에 완전히 복속되지 않았다고 여겨,[40][35] 동복 아우 관숙 선과 채숙 도를 관나라와 채나라에 봉하고 무경을 보좌하고 감시하게 했다.

기원전 1059년,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이 중국 북부 북서쪽 하늘에 모이는 매우 드문 현상(합)이 일어났다. 주(周)나라 사람들은 이를 중요한 징조로 여겨, 주가 천명을 받았다고 생각했다. 은나라의 유력한 제후였던 주의 군주 희창은 왕호를 사용하여 문왕이라 칭하고, 은나라에서 독립하여 중화를 통일하기 위한 전쟁을 시작했다. 주는 문왕 아래 위수 계곡 주변의 주를 둘러싼 제후들을 토벌했다.[24] 문왕 사후 아들 무왕은 목야의 전투에서 은나라를 무찌르고, 은나라 수도 은허를 함락시켰다.

주 왕조는 은나라를 대체했지만, 그 기반은 견고하지 못했다. 중원 제후들은 은나라 부활을 바라지 않았지만, 동쪽 제후들은 여전히 은나라에 충성했고, 은나라 입장에서 "야만인"인 주에 복종하지 않았다. 이에 무왕은 마지막 은나라 왕 주왕의 아들 무경을 은에 봉해[25] 동쪽 영주로 삼아 통치 안정을 꾀했다. 은나라 유민 반란을 경계하여, 무왕의 동생 관숙선, 채숙도, 곽숙처에게 무경 통치를 보좌하고, 은나라 유민과 동쪽 제후를 감시하게 했다.[23] 이들은 삼감이라 불린다.

기원전 1043년, 무왕이 사망하고 장남 희송(성왕)이 왕위를 계승했다. 주공단은 성왕이 어리고 정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주장했지만, 사실 여부는 불분명하다. 주공단은 성왕의 섭정이 되어 치세를 주도했고,[15][17] 권력을 확립하여 소공석과 성왕 3인으로 삼두 정치를 했다. 동쪽 삼감은 이를 주공단의 왕조 찬탈로 여겨 반발했다.[26] 연공서열상 주공단의 형 관숙선이 섭정이 되는 것이 순리였다.

중국사 연구자 Li Feng영어에 따르면, 서주 시대 중앙과 동쪽 간 정보 전달은 허난성 서부 산악 길을 통해 40~60일이 걸려 "동쪽 삼감과 중앙 정권 간 의사소통 불능과 불신"을 야기했다. 이런 배경에서 주공단 섭정 2년째인 기원전 1042년, 관숙도와 채숙도는 무경과 지지자들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23]

2. 2. 주공 단의 섭정과 반란의 발발

서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킨 후, 상나라의 마지막 임금 제신의 아들 무경에게 상나라 유민을 맡겨 상나라 왕실에 대한 제사를 계속하게 했다.[34][35][36][40] 주나라는 녹보와 상나라 유민이 완전히 복속되지 않았다고 여겨,[40][35] 무왕의 동복 아우인 관숙 선과 채숙 도를 각각 관(管)나라와 채나라에 봉하고 무경을 보좌하며 감시하게 했다. 무왕이 8년 만에 죽고 서주 성왕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숙부 주공 단이 섭정을 했다. 이에 관숙과 채숙은 주공이 권력을 독차지하는 것을 꺼려 무경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34][35][36] 이 반란에는 회이[37]와 서융(徐戎)도 가담했다. 반란을 일으키기 전, 관숙은 여러 동생들과 함께 “주공이 성왕을 죽이고 천자의 자리를 대신하려 한다.”라는 소문을 퍼뜨렸다.[36] 엄(奄)나라의 임금 박고(薄姑)는 무경에게 무왕이 이미 죽고 성왕이 어리며 주공은 의심을 받고 있다는 점을 들어 주나라에 대항할 것을 권유했다.[38]

기원전 1059년,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이 중국 북부 상공의 북서쪽 하늘에 좁게 뭉쳐 보이는 매우 희귀한 행성 합이 발생했다. 이는 주나라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한 징조로 여겨졌으며, 통치자에게 "천명"이 내려졌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주 문왕은 스스로 왕이라 선언하고 이전 지배 세력인 상나라로부터 떨어져 나와 중국 지배를 위한 전쟁을 시작했다. 주나라는 문왕 아래에서 위수 계곡 주변 영토를 통합했고, 그의 사후 아들 주 무왕은 상나라를 격파하고 기원전 1046년에 상나라의 수도 를 정복했다.

주나라가 상나라의 통치를 대체했지만, 불안과 혼란은 여전했다. 동쪽의 대부분 제후국은 몰락한 상나라에 충성을 유지했고, 새로운 통치자들에게 불만을 품었다. 무왕은 이를 인지하고 상나라 마지막 왕 주왕의 아들 무경을 동쪽의 부왕으로 임명하여, 주나라가 상나라 왕자를 통해 동쪽 땅을 다스릴 수 있기를 바랐다. 무왕은 반란 가능성을 경계하여 세 형제 관숙 선, 채숙탁, 곽숙 처를 "삼감"으로 삼아 무경과 동쪽 귀족들을 감시하게 했다.[10] 그러나 중원의 국가들뿐만 아니라 많은 동이 부족과 산둥성의 국가들은 상나라의 부흥을 원했다. 이들은 몰락한 정권과 강한 문화적, 정치적 유대 관계를 가진 "상나라의 거점"이었으며, 지난 2세기 이상 동안 멸망한 왕조의 동맹국이자 제후국으로 봉사했기 때문이다.

무왕은 동쪽 땅을 정리한 후 서쪽 수도 풍호로 돌아와 형제인 단, 즉 주공과 석, 즉 소공을 각각 왕실 재상과 "대보"로 임명했다. 이 둘은 곧 궁정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이 되었다.

무왕은 기원전 1043년경에 사망하여 왕위를 장남 송에게 넘겨주었고, 그는 주 성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주공은 성왕이 통치하기에는 너무 어리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성왕의 섭정을 자처하며 궁정을 장악했다. 처음에는 비판을 받았지만, 단은 가장 중요한 궁정 구성원들을 설득하여 수도에서 자신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3][5] 그는 이복 동생 소공 및 성왕과 함께 통치 삼두 정치를 형성했다. 그러나 동쪽에서 주공의 권력 장악은 삼감들 사이에 큰 불만을 야기했는데, 관숙과 채숙은 형제가 권력을 찬탈하려 한다고 의심했다. 관숙은 단보다 나이가 많았고, 전통적인 연장자 순위가 그를 섭정으로 지지했을 것이다. 리 펑에 따르면 서주 시대의 통신은 서부 허난성의 험난한 산길을 통과하는 데 40~60일이 걸려 "동부 평원에 주둔한 주나라 지휘관과 수도의 새로운 지도부 사이에 소통 문제를 야기했고, 이는 불신을 낳았다"고 한다.[10] 기원전 1042년, 주공의 섭정 2년, 관숙과 채숙은 마침내 무경과 그 추종자들을 선동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3. 삼감의 난의 전개 과정

서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킨 후, 상나라 마지막 임금 제신의 아들 무경에게 상나라 유민을 맡기고 제사를 계속 지내게 했다.[34][35][36][40] 그러나 무경과 상나라 유민이 완전히 복속되지 않았다고 여겨, 동생인 관숙 선과 채숙 도를 각각 관(管)나라와 채나라에 봉하고 무경을 감시하게 했다.[40][35]

무왕 사후 서주 성왕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고 숙부 주공 단이 섭정하자, 관숙과 채숙은 주공의 전횡을 꺼려 무경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에는 회이[37]와 서융(徐戎)도 가담했다.[36] 관숙은 주공이 성왕을 죽이고 천자가 되려 한다는 소문을 퍼뜨렸고,[36] 엄(奄)나라 임금 박고(薄姑)는 무경에게 주나라에 대항할 것을 권유했다.[38]

반란 소식을 들은 성왕은 점을 쳐서 공격 여부를 결정하려 했고, 점괘는 길했지만 신하들은 공격의 어려움과 백성들의 불안을 이유로 반대했다. 그러나 성왕은 하늘의 뜻을 거스를 수 없다며 공격을 결정했고, 주공 단 역시 이를 지지했을 것으로 보인다.

주공 단은 태공소공 석과 협력하여 반란에 대응했고, 반란군을 진압하여 무경을 처형하고 관숙을 죽였으며 채숙을 추방했다.[36][34][35][39] 3년간의 진압 과정을 통해 삼감의 난은 종결되었고,(주공의 동정)[40] 주공은 삼감을 폐지하고 위나라를 세워 동생 강숙 봉에게 다스리게 했다. 또한 상나라 유민 일부를 미자계에게 맡겨 송나라를 세우고 상나라 왕실 제사를 잇게 했다.[35][41]

《사기》와 《상서대전》의 기록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사기》는 주동자를 무경, 관숙, 채숙으로 명확히 지목하고 삼감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지만, 《상서대전》은 무경과 삼감이 반란을 일으켰다고 기록한다. 또한 《사기》는 관숙과 채숙이 모두 제후로 봉건되었다고 기록하지만, 《상서대전》은 이에 대해 침묵한다. 이러한 차이는 삼감이 제후였는지, 아니면 제후에게 배속된 속관이었는지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을 보여준다.[42]

3. 1. 반란군의 세력 확장

서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킨 후, 상나라 마지막 임금 제신의 아들 무경에게 상나라 유민을 맡기고 제사를 계속 지내게 했다.[34][35][36][40] 그러나 무경과 상나라 유민이 완전히 복속되지 않았다고 여겨, 동생인 관숙 선과 채숙 도를 각각 관(管)나라와 채나라에 봉하고 무경을 감시하게 했다.[40][35] 무왕 사후 서주 성왕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고 숙부 주공 단이 섭정하자, 관숙과 채숙은 주공의 전횡을 꺼려 무경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34][35][36]

반란에는 회이[37]와 서융(徐戎)도 가담했다.[36] 관숙은 주공이 성왕을 죽이고 천자가 되려 한다는 소문을 퍼뜨렸고,[36] 엄(奄)나라 임금 박고(薄姑)는 무경에게 주나라에 대항할 것을 권유했다.[38]

이 반란에는 동남쪽의 많은 독립적인 귀족들이 합류했고,[2] 주 왕조 동부 영토의 광대한 지역이 봉기했다. 잉[2]과 같은 국가는 중요한 통로와 길을 통제했다. 푸구와 옌의 지휘 아래, 산둥의 대부분의 동이(東夷) 정체들이 반란에 호응했고, 회수 지역의 쉬를 포함한 몇몇 회이(淮夷) 부족들도 반군에 합류했다.

그러나 [4], 북연 등 동부의 몇몇 제후국들은 주 왕조에 충성을 유지했다.

3. 2. 주공 단의 반격과 진압

서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킨 후, 상나라 마지막 임금 제신의 아들 무경에게 상나라 유민을 맡기고 상나라 왕실 제사를 계속 지내게 했다.[34][35][36][40] 무왕은 무경과 상나라 유민이 완전히 복속되지 않았다고 여겨, 동생인 관숙 선과 채숙 도를 각각 관(管)나라와 채나라에 봉하고 무경을 보좌하며 감시하게 했다.[40][35]

무왕이 죽고 서주 성왕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숙부 주공 단이 섭정하자, 관숙과 채숙은 주공의 전횡을 꺼려 무경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34][35][36] 이 반란에는 회이[37]와 서융(徐戎)도 가담했다. 관숙은 반란을 일으키기 전, 여러 동생들과 함께 “주공이 성왕을 죽이고 천자의 자리를 대신하려 한다.”라는 소문을 퍼뜨렸다.[36] 엄(奄)나라 임금 박고(薄姑)는 무경에게 무왕이 이미 죽고 성왕이 어리며 주공은 의심받고 있다는 점을 들어 주나라에 대항할 것을 권유했다.[38]

주공은 관숙 등이 자신을 모함하자 태공소공 석과 협력했고, 자신의 임지에 아들 노후 백금을 파견해 다스리게 했다.[36] 반란이 일어나자, 주공 단은 성왕의 명령을 받들고 반란군과 싸워 무경은 목을 베고 관숙은 죽이고 채숙은 추방했다.[36][34][35][39] 주공은 3년을 소모하여 삼감의 난을 철저하게 토벌했다(주공의 동정).[40]

삼감의 난 진압 후, 주공은 삼감을 폐지하고 무경이 다스리던 상나라 유민들이 살던 땅에 위나라를 새로 봉건하고 자신의 아우 강숙 봉에게 다스리게 했다. 강숙의 봉읍은 황하와 기수(淇水) 유역이다. 또 상나라 유민 일부를 이주시켜 무경의 숙부 미자계에게 맡기고, 미자계를 송나라 공작으로서 옛 상나라 왕실에 대한 제사를 이어나가게 했다.[35][41]

무경 · 삼감 세력과 협력한 회이와 서융은 노후 백금이 힐(肹)에서 격파하고, 노나라를 안정시켰다.[35] 회이에 대한 전역은 이후 주공의 동정(周公-東征)으로 이어진다.

강상의 군사 전략의 도움을 받아,[9] 충성파 군대는 반란 2년 차에 상나라 충신들을 전멸시켰고, 격렬한 전투 끝에 은나라를 완전히 파괴하고 무경을 죽였다. 삼감의 주력 부대도 패배했고, 관숙선과 곽숙처는 포로로 잡혔으며, 채숙도는 망명하거나 추방되었다. 관숙은 처형되었고 곽숙은 작위를 박탈당하고 평민으로 강등되었다. 주공은 승리에도 불구하고 계속 진군하여 주나라 국경 너머에 위치한 동부 반란 동맹에 대항하여 추가로 원정을 벌였다. 삼감이 패배한 직후, 충성파는 산둥으로 진격하여 주공이 직접 풍(Feng)과 푸구(Pugu) 정복을 지휘했다. 연(Yan) 또한 충성파의 공격을 받았지만 버텨냈다. 전쟁 3년 차에 성왕과 주공이 이끄는 주나라 왕실군은 회이(淮夷) 민족에 대한 징벌적 원정을 수행했고, 그 후 다시 연을 공격하여 마침내 격파했다. 전반적으로 주공 단의 군대는 동해안의 여러 민족을 주나라 지배 아래 두어 왕국을 크게 확장했다.[1]

4. 삼감의 난의 결과와 영향

주나라의 봉건제 강화, 동방 지역에 대한 통제 강화, 그리고 사상적인 영향으로 주 왕조의 통치는 삼감의 난의 결과로 더욱 공고해졌다. 토지 재분배, 정부 개혁, 식민지화 정책은 주 왕조 정부를 강화하고 안정시켰으며, 주공은 반란에 대응하여 천명을 설파했다. 천명은 새로운 왕조의 도덕적, 정신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데 사용되었다.[12] 크게 힘을 얻은 주 왕조는 기원전 961~957년 초와의 전쟁으로 심각하게 약화될 때까지 지속된 번영과 확장의 시대로 접어들었다.[6]

주공 단, 성왕, 소공 석은 삼두 체제를 이루어 내전 이후 3년 동안 주 왕국을 통치했다. 그러나 주공 단과 소공 석은 정부 형태에 대해 의견이 달랐는데, 주공 단은 실력주의를 선택했지만 소공 석은 왕족에게 권력이 유지되어야 한다고 믿었다.[12] 이러한 논쟁의 결과로 주공은 기원전 1036년에 궁정 정치에서 은퇴하고[17] 성왕에게 공식적인 권력을 돌려주었으며, 소공 석이 왕국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이 되었다.[12]

무경의 반란 실패와 상나라의 해체로 상 왕조 부활의 기회는 사라졌다.[23] 천명으로 상나라 통치의 정당성이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12] 삼감의 난 이후에도 상나라 충성파와 주 왕조에 대한 저항은 계속되었다. 기원전 979년경, 강왕 시대에 산시와 북부 산시의 귀방이 상나라 강경파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으나,[14] 국지적이고 미약했기 때문에 주 왕조에 큰 위협이 되지 못했다.[28]

4. 1. 주나라 봉건제의 강화



반란 이후, 주공주나라의 통치를 공고히 하고 왕국을 안정시키기 위해 새로운 봉건제를 수립했다.[11] 주 왕국의 제후국들은 재편성되었다. 국가의 3분의 2는 왕족과 그들에게 충성하는 가문들에게 하사되었고, 상나라 가문과 그 동맹국들은 중앙 왕국에 위협이 되지 않는 먼 봉토로 이전되었다. 왕족들에게 주어진 봉토는 일반적으로 중국 북부의 두 주요 지리적 축인 황하와 태항산을 따라 전략적 요충지에 배치되었다.[12] "봉건 제도는 주나라 통치의 기초이자 왕조의 가장 큰 업적이 될 것이다".[11] 관,[13] 연, 포구,[14] 그리고 채의 반란국들은 해체되었지만, 채는 나중에 부활했다.[11] 연과 포구의 영토는 각각 새롭게 건국된 노나라제나라에 병합되었다.[14] 은나라에 있던 상나라 왕실 영토는 해체되어 위나라에 통합되었고, 위나라는 성왕의 충신인 숙강에게 주어졌다.[15] 한편, 무경의 삼촌이었지만 반란 동안 충성을 유지했던 미자계는 송나라[2][10]의 봉토를 받았다. 송나라는 상나라 사람들의 고대 문화 중심지였다.[16] 여러 새로운 국가의 창설과 더불어, 적대적인 동이와 회이를 굴복시키기 위해 주나라 사람들을 정착시키고 동부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급속한 식민지화 계획이 시작되었다. 그 결과, 삼감의 난은 주 왕조와 동부의 독립 부족 및 국가 간의 군사적 갈등을 시작했으며, 이 갈등은 기원전 771년 서주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17]

주공은 또한 왕국이 너무 커서 호경의 서부 궁정에서 통치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동부 행정 중심지의 건설은 [주나라 왕들이] 동부에서 통치를 유지하려면 불가피한 것으로 보였다"고 결정했다. 두 번째 수도(성주/왕성)는 낙양 근처에 위치했지만, 단일 도시가 건설되었는지 아니면 두 개의 도시가 건설되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18]

4. 2. 동방 지역에 대한 통제 강화

반란 이후, 주공 단은 주나라의 통치를 강화하고 왕국을 안정시키기 위해 새로운 봉건제를 수립했다. 주 왕국의 제후국들은 재편성되었다. 국가의 3분의 2는 왕족과 그들에게 충성하는 가문들에게 주어졌고, 상나라 가문과 그 동맹국들은 중앙 왕국에 위협이 되지 않는 먼 봉토로 이전되었다. 왕족들에게 주어진 봉토는 일반적으로 중국 북부의 두 주요 지리적 축인 황하와 태항산맥을 따라 전략적 요충지에 배치되었다. "봉건 제도는 주나라 통치의 기초이자 왕조의 가장 큰 업적이 될 것이다."

관, 연, 박고 그리고 채의 반란국들은 해체되었지만, 채는 나중에 부활했다.[11] 연과 박고의 영토는 각각 새롭게 건국된 노나라제나라에 병합되었다. 은나라에 있던 상나라 왕실 영토는 해체되어 위나라에 통합되었고, 위나라는 서주 성왕의 충신인 숙강에게 주어졌다. 한편, 무경의 삼촌이었지만 반란 동안 충성을 유지했던 미자계는 송나라[2][10]의 봉토를 받았다. 송나라는 상나라 사람들의 고대 문화 중심지였다.

여러 새로운 국가의 창설과 더불어, 적대적인 동이와 회이를 굴복시키기 위해 주나라 사람들을 정착시키고 동부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급속한 식민지화 계획이 시작되었다. 그 결과, 삼감의 난은 주 왕조와 동부의 독립 부족 및 국가 간의 군사적 갈등을 시작했으며, 이 갈등은 기원전 771년 서주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주공은 또한 왕국이 너무 커서 펑하오의 서부 궁정에서 통치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동부 행정 중심지의 건설은 [주나라 왕들이] 동부에서 통치를 유지하려면 불가피한 것으로 보였다"고 결정했다. 두 번째 수도(성주/왕성)는 낙양 근처에 위치했지만, 단일 도시가 건설되었는지 아니면 두 개의 도시가 건설되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4. 3. 사상적 영향

토지 재분배, 정부 개혁, 식민지화 정책은 주(周) 왕조의 통치를 강화하고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 특히 주공(周公)은 반란에 대응하여 천명(天命) 사상을 널리 알렸다. 천명은 새로운 왕조의 도덕적, 정신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선전 도구로 활용되었다.[12] 이러한 천명 사상과 여러 정책에 힘입어 주 왕조는 번영과 확장의 시대를 맞이했으나, 기원전 961~957년 초와의 전쟁으로 인해 심각하게 약화되었다.[6]

주공 단은 "지혜와 겸손의 전형"이자 공자가 칭송한 "훌륭한 본보기"로 존경받았기에,[31] 그의 섭정에 반대했던 삼감(三監)은 "옛날의 악인"으로 비난받았다. 이러한 해석은 수 세기 동안 도덕적인 내전 묘사를 지배했다. 그러나 삼국지 시대의 작가 계강은 관숙과 채숙이 주공 단의 섭정에 대해 의심할 만한 이유가 있었다고 주장하며, 삼감을 섭정에 맞서 싸운 의로운 인물로 묘사하기도 했다.[18]

무경(武庚)의 반란 실패와 상(商)나라의 해체는 상 왕조 부활의 가능성을 없앴지만,[23] 삼감의 난 이후에도 상나라 충성파와 주 왕조에 대한 저항은 계속되었다. 기원전 979년경, 강왕 시대에는 산시와 북부 산시의 귀방이 상나라 강경파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14] 그러나 이러한 봉기는 국지적이고 미약했기 때문에, 상나라 충성파는 더 이상 주 왕조에 큰 위협이 되지 못했다.[28]

5. 삼감의 정체에 대한 논란

《상서대전》에서는 '삼감'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정작 삼감이 누구인지는 명확하게 등장하지 않아 한나라 시대 이후 삼감의 정체를 밝히려는 노력이 계속되었다. 《사기》에서는 관숙과 채숙을 삼감 중 둘로 보았지만, 나머지 한 명이 누구인지는 불분명했다. 《일주서》 〈작락해〉에서는 곽숙 처를 꼽았고, 《상군서》에서도 "주공 단이 관숙을 죽이고 채숙을 추방하고 곽숙을 유배했다"라고 하여 곽숙이 삼감의 난에 가담했다고 보았다. 그러나 《좌전》, 《여씨춘추》, 《국어》, 《회남자》에서는 삼감에 대한 언급이 없고, 관숙과 채숙만 가담자로 언급되었다. 또한 《맹자》, 《순자》 〈유효편〉, 《일주서》 〈극은해〉, 〈대광해〉에는 관숙의 이름만 보인다. 한편, 《한서》에서는 무경, 관숙, 채숙을 삼감으로 꼽았으나, 상나라 왕자인 무경이 상나라 유민의 감시를 맡게 된다는 점과 《상서대전》에서 무경과 삼감을 구분하여 무경을 삼감에서 제외한 듯하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42]

여러 문헌에서 관숙이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는 점 때문에 진몽가(陳夢家)는 관숙이 주모자였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김정열 교수는 '삼감'의 '3'이라는 숫자가 실제로 세 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 혹은 무한의 수를 대표하는 수로 3을 언급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42]

관채의 난에 대한 설화는 전승 과정에서 본래 관숙 혹은 관숙과 채숙만을 반란자로 언급했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삼감의 수효에 맞춰 무경이나 곽숙 등이 구성원으로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전승의 발전을 통해 삼감의 난이 기록될 당시에는 이미 서주 시대의 '감(監)'이라는 직위에 대한 이해나 삼감의 난 자체에 대한 기록이 희미해졌음을 알 수 있다.[42]

주공은 이후 "지혜와 겸손의 전형"으로 존경받았고, 공자에 의해 "훌륭한 본보기"로 존경받았기 때문에, 그의 섭정에 대한 반란은 비난받았다. 삼감은 "옛날의 악인"으로 여겨졌으며, 주공 단의 덕이 그들을 이겼다고 여겨졌다. 이러한 해석은 수 세기 동안 도덕적인 내전 묘사를 지배했다. 반란군에 대한 전반적인 부정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삼감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한 학자들이 있었다. 삼국지 시대의 유명한 작가인 계강은 관숙과 채숙에 대한 에세이를 써서, 반란을 일으킨 형제들이 주공 단의 섭정에 대해 "의심할 만한 진정한 이유"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조위의 충신으로서 삼감의 난을 수춘삼반과 연결지어 반란군을 찬탈하려는 섭정(각각 주공과 사마의)에 맞서 싸운 의로운 인물로 여겼다.

청화간 『계년』 제3장에는 《사기》 등과는 다른 삼감의 난이 기술되어 있다. 그 기록에 따르면 반란의 주체는 삼감이 아니라 상읍(은의 유민)이 되며, 삼감은 반란의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가 되어 반란으로 인해 살해당했다고 여겨진다. 또한, 반란 진압에는 주공 단이 아니라 성왕 자신이 나섰으며, 삼감이 관숙선, 채숙도, 곽숙처였다는 기록도 없다.

태보궤중국어에 따르면 왕(성왕)이 록자성을 쳤으며, 태보 (소공 석)에게 토벌 명령을 내렸다고 한다. 경반에 따르면 주공 단은 상읍 토벌의 일원으로 참가했다고 한다.

삼감의 난은 관숙선, 채숙도와 주공단의 대립에 의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계년과 금문에는 그러한 기록은 없다.

6. 현대적 평가 및 의의

주공 단은 이후 "지혜겸손의 모범"으로 숭배받았고, 공자에 의해 "위대한 사범"으로 존경받았기 때문에,[1] 주공 단의 섭정에 대한 반란은 결과적으로 비난받았다. 삼감(三監)은 "옛날의 악인"으로 여겨졌으며, 주공 단의 덕이 그들을 이겼다고 여겨졌다. 이러한 해석은 수 세기 동안 도덕적인 내전 묘사를 지배했다.[1] 반란군에 대한 전반적인 부정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삼감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한 학자들이 있었다. 삼국 시대의 유명한 문인인 혜강은 관숙선과 채숙도에 대한 논문을 써서, 반란을 일으킨 형제들이 주공 단의 "섭정에 어울리는 지혜를 갖추고 있는지 시험해 보려는 성실한 이유"가 있다고 논했다. 혜강은 조위의 근황가로서, 삼감의 난과 수춘 삼반을 연결하여, 반왕조 세력을 비도덕적인 섭정(주공 단과 사마의)과 싸운 충실한 세력으로 보았다.[1]

참조

[1] 웹사이트 Persons in Chinese History - Zhou Chengwang 周成王 http://www.chinaknow[...] 2015-08-21
[2] 웹사이트 Persons in Chinese History - Zhou Gong 周公, the Duke of Zhou http://www.chinaknow[...] 2015-08-21
[3] 웹사이트 Persons in Chinese History - Shao Gong Shi 召公奭, the Duke of Shao http://www.chinaknow[...] 2015-08-21
[4] 웹사이트 Persons in Chinese History - Weizi 微子 http://www.chinaknow[...] 2015-08-21
[5]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Yan 燕 (Zhou period feudal state) http://www.chinaknow[...] 2015-08-21
[6] 웹사이트 Inscriptional Records of the Western Zhou http://www.indiana.e[...] 2015-09-26
[7]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Political History of the Zhou Dynasty 周 (11th cent.-221 BCE) http://www.chinaknow[...] 2015-08-21
[8]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Jin 晉 (Zhou period feudal state) http://www.chinaknow[...] 2015-08-21
[9]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Qi 齊 (Zhou period feudal state) http://www.chinaknow[...] 2015-08-21
[10]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Song 宋 (Zhou period feudal state) http://www.chinaknow[...] 2015-08-21
[11]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Cai 蔡 (Zhou period feudal state) http://www.chinaknow[...] 2015-08-21
[12] 웹사이트 一 被剥削者的存在类型 http://www.guoxue.co[...]
[13] 웹사이트 Persons in Chinese History - Zhou Chengwang 周成王 http://www.chinaknow[...] 2015-08-21
[14] 웹사이트 Persons in Chinese History - Zhou Gong 周公, the Duke of Zhou http://www.chinaknow[...] 2015-08-21
[15] 웹사이트 Persons in Chinese History - Shao Gong Shi 召公奭, the Duke of Shao http://www.chinaknow[...] 2015-08-21
[16] 웹사이트 Persons in Chinese History - Weizi 微子 http://www.chinaknow[...] 2015-08-21
[17]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Yan 燕 (Zhou period feudal state) http://www.chinaknow[...] 2015-08-21
[18] 웹사이트 Inscriptional Records of the Western Zhou http://www.indiana.e[...] 2015-09-26
[19]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Political History of the Zhou Dynasty 周 (11th cent.-221 BCE) http://www.chinaknow[...] 2015-08-21
[20]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Jin 晉 (Zhou period feudal state) http://www.chinaknow[...] 2015-08-21
[21]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Qi 齊 (Zhou period feudal state) http://www.chinaknow[...] 2015-08-21
[22] 서적 『史記』管蔡世家
[23]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Song 宋 (Zhou period feudal state) http://www.chinaknow[...] 2015-08-21
[24] 서적 『史記』周本紀
[25] 서적 『史記』周本紀
[26] 서적 『史記』管蔡世家
[27] 서적 『史記』管蔡世家
[28]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Cai 蔡 (Zhou period feudal state) http://www.chinaknow[...] 2015-08-21
[29] 서적 『史記』衛康叔世家第七
[30] 서적 『史記』宋微子世家第八
[31] 웹사이트 一 被剥削者的存在类型 http://www.guoxue.co[...]
[32] 문서 Wikisource
[33] 서적 '清華簡』『繋年』'
[34] 서적 사기 (역사서)
[35] 서적 위강숙세가
[36] 문서 노주공세가
[37] 문서 화이허 유역에 사는 [[동이]] 여러 족속을 가리킨다.
[38] 서적 금등조 《상서대전》
[39] 서적 정공 4년
[40] 문서 권4 주본기
[41] 문서 권38 송미자세가
[42] 논문 서주의 감에 대하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