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방송 투데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방송 투데이》는 SBS TV에서 방송되는 저녁 교양 프로그램이다. 2003년 5월 12일 첫 방송 이후, 생활 경제 뉴스 정보 프로그램, 1, 2부 체제 등을 거쳐 현재는 저녁 교양 프로그램으로 방송되고 있다. 스포츠 중계, 특집 프로그램 등으로 인해 결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BS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 그것이 알고싶다
《그것이 알고싶다》는 1992년 SBS에서 첫 방송된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사회 문제의 진실을 파헤치고 사회적 약자의 권익을 보호하며 정의로운 사회 구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김상중이 진행하고 있으며, 여러 논란 속에서도 한국 사회 주요 이슈를 다루며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고,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최초로 중간광고를 도입하는 등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 SBS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 드라이브 클럽 (교양 프로그램)
드라이브 클럽은 탁재훈, 이상민, 박수아가 MC를 맡고 알베르토 몬디, 강병휘, 김형준, 나윤석, 신동헌 등이 패널로 출연하는 교양 프로그램이다. - 2003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긴급구조 119
긴급구조 119는 119 소방공무원들의 구조 활동을 다룬 프로그램으로, 1994년부터 1999년까지, 2003년에 방송되었으며 소방 관련 인식 개선에 기여했다. - 2003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완전한 사랑 (2003년 드라마)
2003년 SBS에서 방영된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완전한 사랑은 차인표, 김희애, 이승연 등이 출연하여 복잡한 남녀 관계와 가족 간의 갈등을 그린 드라마로, 선정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김희애가 연기대상을 수상했다. - 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SBS 인기가요
SBS 인기가요는 1991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순위 시스템과 형식을 변경하며 시청자 투표를 반영하고 기술적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현재는 인기가요 차트를 통해 1위를 선정하고 글로벌 투어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결혼하고 싶은 여자
2004년 MBC에서 방영된 《결혼하고 싶은 여자》는 30대 초반 여성들의 일, 사랑, 결혼에 대한 현실적인 고민을 그린 드라마로, 명세빈, 이태란, 변정수가 주연을 맡아 당초 16부작에서 2회 연장된 18부작으로 종영되었다.
생방송 투데이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프로그램 정보 | |
방송명 | 생방송 투데이 |
원제 | Live Today |
시청 등급 | 12세 이상 시청가 |
장르 | 교양 |
방송 시간 | 본방송 : 매주 평일 오후 6시 50분 ~ 오후 7시 50분 |
방송 기간 | 2003년 5월 12일 ~ 현재 |
방송 국가 | 한국 |
방송 채널 | SBS |
제작 | SBS 교양본부 |
진행자 | 윤현진, 김현진, 김선재 |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
고화질 방송 여부 | UHD 생방송 (2023년 4월 3일 ~ 현재) |
관련 프로그램 | 2TV 생생정보 |
외부 링크 | 생방송 투데이 공식 홈페이지 |
2. 역사
- 2003년 5월 12일 ~ 2003년 7월 18일 : SBS 뉴스퍼레이드와 통합하여 신설되었다.[1]
- 2003년 7월 21일 ~ 2005년 7월 1일 : SBS 뉴스퍼레이드와 분리되었다.
- 2005년 7월 4일 ~ 2007년 1월 12일 : 수도권 뉴스현장과 통합하여 수도권 뉴스현장이 생방송 투데이 1부로 개편되었으며[1] 기존의 생방송 투데이는 생방송 투데이 2부로 변경되었다.
- 2007년 1월 15일 ~ 2008년 11월 28일 : SBS 뉴스퍼레이드와 분리되었다.
- 2008년 12월 1일 ~ 2009년 4월 24일 : SBS의 2009년 봄 개편으로 '''생방송 투데이 생활경제'''로 변경되어 저녁 생활경제 뉴스 정보로 개편되었다.
- 2009년 4월 27일 ~ '''현재''' : 2009년 봄 개편으로 현재 '''생방송 투데이'''로 환원되어 저녁 교양 프로그램으로 환원되었다.
- 2019년 6월 3일 ~ 2021년 6월 30일 : 1부, 2부 체제가 도입되어 방송되었다.
- 2021년 7월 1일 ~ '''현재''' : 지상파 중간 광고 허용되어 중간 광고 투입해 방송 중이다.
- 2023년 4월 3일 ~ '''현재''' : 모닝와이드 3부와 함께 UHD 방송을 개시하였다.
- SBS 오 뉴스 이후에 방송될 당시 스포츠 중계 방송이 있는 날에는 SBS 오 뉴스 종료 직후에 방송 되었다. 이는 월드컵, 동계 올림픽, 하계 올림픽 기간, 아시안 게임 시기 등에도 유사하게 적용되었지만 K리그, KBO리그 경기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2. 1. 프로그램 변천사
2003년 5월 12일부터 7월 18일까지 SBS 뉴스퍼레이드와 통합되어 신설되었다.[1] 2003년 7월 21일부터 2005년 7월 1일까지 SBS 뉴스퍼레이드와 분리되었다. 2005년 7월 4일부터 2007년 1월 12일까지 수도권 뉴스현장과 통합하여 수도권 뉴스현장이 생방송 투데이 1부로 개편되었으며, 기존의 생방송 투데이는 생방송 투데이 2부로 변경되었다. 2007년 1월 15일부터 2008년 11월 28일까지 SBS 뉴스퍼레이드와 다시 분리되었다.2008년 12월 1일부터 2009년 4월 24일까지 SBS의 2009년 봄 개편으로 '''생방송 투데이 생활경제'''로 변경되어 저녁 생활경제 뉴스 정보 프로그램으로 개편되었다. 2009년 4월 27일부터 현재의 '''생방송 투데이'''로 환원되어 저녁 교양 프로그램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6월 3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 1, 2부 체제가 도입되어 방송되었다. 2021년 7월 1일부터 지상파 중간 광고가 허용되어 중간 광고를 투입하고 있다. 2023년 4월 3일부터 모닝와이드 3부와 함께 UHD 방송을 시작하였다.
SBS 오 뉴스 이후에 방송될 당시 스포츠 중계 방송이 있는 날에는 SBS 오 뉴스 종료 직후에 방송되었다. 이는 월드컵, 동계 올림픽, 하계 올림픽 기간, 아시안 게임 시기 등에도 유사하게 적용되었지만 K리그, KBO 리그 경기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2. 2. 방송 시간 변천
SBS TV에서 2003년 5월 12일부터 방송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시대별 방송 시간 상세 정보는 #방송 시간 참고.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SBS TV | 2003년 5월 12일 ~ 2003년 7월 18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 7시 |
2003년 7월 21일 ~ 2005년 7월 1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20분 ~ 7시 5분 | |
2005년 7월 4일 ~ 2007년 1월 12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 6시 50분 | |
2007년 1월 15일 ~ 2007년 10월 5일 | 매주 평일 오후 5시 35분 ~ 저녁 6시 50분 | |
2007년 10월 8일 ~ 2012년 5월 11일 | 매주 평일 오후 5시 35분 ~ 저녁 6시 30분 | |
2012년 5월 14일 ~ 2012년 10월 25일 |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5분 ~ 7시 20분 | |
2012년 10월 29일 ~ 2014년 10월 24일 |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5분 ~ 7시 20분 | |
매주 금요일 저녁 6시 25분 ~ 7시 20분 | ||
2014년 10월 27일 ~ 2017년 6월 2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 7시 20분 | |
2017년 6월 5일 ~ 2017년 9월 15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45분 ~ 8시 | |
2017년 9월 18일 ~ 2019년 4월 12일 | 매주 평일 저녁 7시 ~ 8시 | |
2019년 5월 13일 ~ 2020년 3월 27일 | ||
2020년 4월 20일 ~ 2020년 9월 18일 | ||
2019년 4월 15일 ~ 2019년 5월 10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55분 ~ 7시 55분 | |
2020년 3월 30일 ~ 2020년 4월 17일 | 매주 평일 저녁 6시 50분 ~ 7시 50분 | |
2020년 9월 21일 ~ 현재 |
SBS TV 기준 편성 정보는 #편성 변경 및 #결방 문서를 참고.
3. 방송 시간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SBS TV 2003년 5월 12일 ~ 2003년 7월 18일 매주 평일 저녁 6시 ~ 7시 2003년 7월 21일 ~ 2005년 7월 1일 매주 평일 저녁 6시 20분 ~ 7시 5분 2005년 7월 4일 ~ 2007년 1월 12일 매주 평일 저녁 6시 ~ 6시 50분 2007년 1월 15일 ~ 2007년 10월 5일 매주 평일 오후 5시 35분 ~ 저녁 6시 50분 2007년 10월 8일 ~ 2012년 5월 11일 매주 평일 오후 5시 35분 ~ 저녁 6시 30분 2012년 5월 14일 ~ 2012년 10월 25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5분 ~ 7시 20분 2012년 10월 29일 ~ 2014년 10월 24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5분 ~ 7시 20분 매주 금요일 저녁 6시 25분 ~ 7시 20분 2014년 10월 27일 ~ 2017년 6월 2일 매주 평일 저녁 6시 ~ 7시 20분 2017년 6월 5일 ~ 2017년 9월 15일 매주 평일 저녁 6시 45분 ~ 8시 2017년 9월 18일 ~ 2019년 4월 12일 매주 평일 저녁 7시 ~ 8시 2019년 5월 13일 ~ 2020년 3월 27일 2020년 4월 20일 ~ 2020년 9월 18일 2019년 4월 15일 ~ 2019년 5월 10일 매주 평일 저녁 6시 55분 ~ 7시 55분 2020년 3월 30일 ~ 2020년 4월 17일 매주 평일 저녁 6시 50분 ~ 7시 50분 2020년 9월 21일 ~ 현재
4. 진행자
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남성 여성 1대 이창섭 최영아[2] rowspan="7" rowspan="15" 2003년 5월 12일 ~ 2008년 11월 28일 2대 김기성 2008년 12월 1일 ~ 2009년 1월 25일 3대 편상욱[3] 2009년 1월 28일 ~ 2009년 4월 24일 4대 故 김태욱 이병희[4] 2009년 4월 27일 ~ 2010년 7월 2일 5대 윤현진 2010년 7월 5일 ~ 2010년 12월 31일 6대 박광범[5] 2011년 1월 3일 ~ 2011년 11월 10일 7대 김정일 2011년 11월 15일 ~ 2012년 5월 11일 8대 김일중[6] 김민지 2012년 5월 14일 ~ 2013년 11월 8일 9대 조정식[7] 최영아[8] 2013년 11월 11일 ~ 2014년 8월 14일 10대 이윤아 2014년 8월 18일 ~ 2014년 8월 29일 11대 김주희 2014년 9월 1일 ~ 2015년 8월 21일 12대 유혜영[9] 2015년 8월 24일 ~ 2015년 9월 4일 13대 김주우[10] 2015년 9월 7일 ~ 2016년 10월 21일 14대 윤현진 2016년 10월 24일 ~ 2017년 6월 2일 15대 김환 김선재 2017년 6월 5일 ~ 2018년 1월 12일 16대 윤현진 2018년 1월 15일 ~ 2018년 3월 16일 17대 김윤상 2018년 3월 19일 ~ 2018년 3월 30일 18대 rowspan=3 윤현진 2018년 4월 2일 ~ 2023년 6월 27일 19대 이윤아 2023년 6월 28일 ~ 2023년 7월 7일 20대 rowspan=2 2023년 7월 10일 ~ 2023년 10월 13일 21대 김현진[11] 2023년 10월 16일 ~ 현재
4. 1. 역대 진행자
역대 진행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대수 | 진행자 | 진행 기간 | 비고 | |||
---|---|---|---|---|---|---|
남성 | 여성 | |||||
1대 | 이창섭 | 최영아[2] | rowspan="7" | rowspan="15" | 2003년 5월 12일 ~ 2008년 11월 28일 | |
2대 | 김기성 | 2008년 12월 1일 ~ 2009년 1월 25일 | ||||
3대 | 편상욱[3] | 2009년 1월 28일 ~ 2009년 4월 24일 | ||||
4대 | 故 김태욱 | 이병희[4] | 2009년 4월 27일 ~ 2010년 7월 2일 | |||
5대 | 윤현진 | 2010년 7월 5일 ~ 2010년 12월 31일 | ||||
6대 | 박광범[5] | 2011년 1월 3일 ~ 2011년 11월 10일 | ||||
7대 | 김정일 | 2011년 11월 15일 ~ 2012년 5월 11일 | ||||
8대 | 김일중[6] | 김민지 | 2012년 5월 14일 ~ 2013년 11월 8일 | |||
9대 | 조정식[7] | 최영아[8] | 2013년 11월 11일 ~ 2014년 8월 14일 | |||
10대 | 이윤아 | 2014년 8월 18일 ~ 2014년 8월 29일 | ||||
11대 | 김주희 | 2014년 9월 1일 ~ 2015년 8월 21일 | ||||
12대 | 유혜영[9] | 2015년 8월 24일 ~ 2015년 9월 4일 | ||||
13대 | 김주우[10] | 2015년 9월 7일 ~ 2016년 10월 21일 | ||||
14대 | 윤현진 | 2016년 10월 24일 ~ 2017년 6월 2일 | ||||
15대 | 김환 | 김선재 | 2017년 6월 5일 ~ 2018년 1월 12일 | |||
16대 | #넘겨주기 | 윤현진 | 2018년 1월 15일 ~ 2018년 3월 16일 | |||
17대 | 김윤상 | #넘겨주기 | 2018년 3월 19일 ~ 2018년 3월 30일 | |||
18대 | rowspan=3 | 윤현진 | 2018년 4월 2일 ~ 2023년 6월 27일 | |||
19대 | 이윤아 | 2023년 6월 28일 ~ 2023년 7월 7일 | ||||
20대 | rowspan=2 | 2023년 7월 10일 ~ 2023년 10월 13일 | ||||
21대 | 김현진[11] | 2023년 10월 16일 ~ 현재 | ||||
5. 코너
5. 1. 현재 방영 코너
- 고수뎐
- 자족식당
- 인생 분식
- 자연인
- 외국인의 밥상
- 한우물의 법칙
5. 2. 종영 코너
6. 지역 방송국 프로그램
지역 방송국은 자체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운영하며, 상세 편성은 #지역별 자체 프로그램 (상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지역별 자체 프로그램 (상세)
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전라남도
경상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