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레나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레나데는 '온화한'을 뜻하는 라틴어 'serenus'에서 유래된 음악 형식이다. 연인이나 존경하는 대상을 위해 연주하는 음악적 인사로 시작되어, 시대별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바로크 시대에는 축하적인 칸타타 형태의 '세레나타'가,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시대에는 기악 앙상블을 위한 다악장 작품이 주로 작곡되었다. 20세기 이후에는 형식과 악기 편성에 대한 자유로운 해석이 이루어졌으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세레나데는 라틴어로 "온화한"을 의미하는 serenus를 어원으로 한다.[6]
음악사에서 세레나데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세레나데는 한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불려왔다.
세레나데는 일반적으로 4개에서 10개에 이르는 악장으로 구성된 다악장 구조를 가진다. 보통 빠른 시작 악장, 느린 악장과 빠른 악장이 번갈아 나타나고, 빠른 프레스토 또는 알레그로 악장으로 끝나는 구조이다. 실내악의 강한 영향을 받으며, 세레나데는 실내악 프로그램에 은밀하게 삽입될 수 있다. 세레나데는 모음곡과 교향곡의 중간 형태라고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볍고 낭만적인 성격을 띠며, 격식 없고 과도하게 극적인 순간은 거의 없다.
[1]
웹사이트
Hubert Unverricht & Cliff Eisen. "Serenade". Grove Music Online. Oxford Music Online. 8 December 2009.
http://www.oxfordmus[...]
2. 어원 및 각국의 명칭
각국에서는 serenata|세레나타it, serenade|세레네이드영어, 프랑스어: sérénade(세레나드)라고 한다. 독일어에서는 제레나데(Serenade)라고도 하며, 슈텐트헨(Ständchen)이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세레나드'''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 야곡(夜曲) 혹은 소야곡(小夜曲, 소야쿄쿠)이라고도 한다.[7]
3. 음악사 속의 세레나데
가장 오래된 형태는 중세 시대부터 내려오는 비공식적인 형태로, 연인이나 존경하는 사람을 위해 저녁에 창문 아래에서 노래를 부르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기타나 류트와 같은 휴대용 악기를 연주하며 노래하는 형태였다. 이러한 형태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와 같이 후기 작품에서도 나타난다.[1] 카를 마리아 폰 베버는 목소리와 기타를 위한 세레나데 "Horch'! Leise horch', Geliebte!" (1809)를 작곡했다.[1]
바로크 시대에는 두 명 이상의 성악가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축하용 칸타타 형식의 세레나타가 등장했다. 이탈리아와 빈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요한 요제프 푹스 등이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세레나타는 야외 공연을 위해 트럼펫, 호른 등 실내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악기들을 활용했다.[3]
고전주의 음악과 낭만주의 음악 시대에는 여러 악장으로 구성된 대규모 기악 앙상블을 위한 세레나데가 주를 이루었다. 디베르티멘토와 관련이 있으며, 교향곡보다 가벼운 성격을 지녔다. 모차르트의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가 대표적인 예시이다.[4] 19세기에는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현을 위한 세레나데, 표트르 차이코프스키의 현을 위한 세레나데처럼 현악만을 위한 세레나데와 휴고 볼프의 현악 사중주를 위한 '''이탈리아 세레나데'''가 작곡되었다. 이 외에도 루트비히 판 베토벤, 엑토르 베를리오즈, 프란츠 슈베르트,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등이 낭만주의 스타일의 세레나데를 작곡했다.[4]
20세기 이후에는 벤자민 브리튼의 《테너, 호른, 현악 합주를 위한 세레나데》, 스트라빈스키의 《세레나데》 등 다양한 작곡가들이 세레나데를 작곡하며 형식과 악기 편성에 자유로운 변화를 시도했다.[1]
3. 1. 초기 형태
가장 오래된 세레나데는 오늘날까지 비공식적인 형태로 남아 있는데, 연인, 친구, 높은 지위의 사람 또는 존경받는 다른 사람을 위해 연주되는 음악적 인사를 의미한다. 고전적인 용법으로는 연인이 창문을 통해 사랑하는 여인에게 노래를 부르는 것이었다. 이는 아침에 연주되는 오베이드와는 달리, 조용하고 쾌적한 저녁에 연주되는 곡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레나데를 부르는 관습은 중세 음악 시대에 시작되었으며, 현재 영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레나데"라는 단어는 이러한 관습과 관련이 있다. 연주되는 음악은 특정한 형식을 따르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한 사람이 휴대용 악기, 주로 기타, 류트 또는 기타 현악기를 연주하며 노래했다. 이러한 유형의 작품은 후기 시대에도 등장했지만, 일반적으로 오페라의 아리아와 같이 과거 시대를 특별히 언급하는 맥락에서 나타났다. (예: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에 유명한 예가 있다).[1] 카를 마리아 폰 베버는 목소리와 기타를 위한 세레나데 "Horch'! Leise horch', Geliebte!" (1809)를 작곡했다.[1]
밤에 연주되는 음악의 역사는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밤에 야외에서 연인을 칭송하기 위해 불리는 "문 앞에서"라고 불리는 음악 장르가 존재했다.[1] 오늘날 구어로 남아있는 "세레나데"도, 친밀한 상대나 칭찬할 만한 다른 인물을 위해 저녁에 종종 야외에서 연주되는 음악을 가리킨다. 이러한 의미의 세레나데는 중세 혹은 르네상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세레네이드(serenade)"라는 영어는 보통 이 관습과 관련하여 사용된다.[1]
대개는 한 명의 가수가 휴대 가능한 악기(류트나 기타 등)를 직접 연주하면서 열창하는 패턴이 있지만, 특정 음악 형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의미에서의 세레나데는 시대가 내려가면서도 등장하며, 종종 옛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오페라의 아리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 등).[1]
3. 2. 바로크 시대의 세레나타
바로크 시대의 '''''세레나타'''''는 일반적으로 축하적이거나 찬양적인 극적인 칸타타로, 두 명 이상의 성악가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으로, 인공 조명 아래 저녁에 야외에서 연주되었다.[3] 이탈리아와 빈에서 가장 자주 나타나는 형식이었다. 이 유형의 세레나데 작곡가로는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요한 요제프 푹스, 요한 마테존, 안토니오 칼다라 등이 있다. 종종 칸타타와 오페라의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최소한의 무대 연출로 공연되는 대규모 작품이었다. 1700년경 칸타타와 세레나타의 주요 차이점은 ''세레나타''가 야외에서 공연되었기 때문에 작은 방에서는 너무 시끄러울 수 있는 악기(예: 내추럴 트럼펫, 내추럴 호른, 드럼)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바로크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이탈리아어 "세레나타"가 사용되었다. 이 경우의 "세레나타"는 일종의 세속 칸타타이지만, 실내 칸타타와는 달리 야외에서 연주되는 기회 음악으로, 밤의 고요함 속에서 성악가와 기악 그룹으로 구성된 합주단에 의해 연주되었다. 대표적인 세레나타 작곡가로는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요한 요제프 푹스, 요한 마테존, 안토니오 칼다라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최소한의 연출을 동반하여 대대적으로 상연되었으며, 칸타타와 오페라의 중간적인 양상을 보였다. 1700년경의 칸타타와 세레나타의 주요 차이점은 세레나타가 야외 음악이었기 때문에 트럼펫이나 호른, 타악기 등 작은 방에서는 시끄러워서 사용할 수 없는 악기들도 사용할 수 있었다는 점에 있다.
3. 3.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시대
음악사에서 가장 중요하고 널리 사용된 세레나데 유형은 여러 악장으로 구성된 대규모 기악 앙상블을 위한 작품으로, 디베르티멘토와 관련이 있으며 주로 고전주의 음악과 낭만주의 음악 시대에 작곡되었지만, 20세기에도 몇몇 사례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이 작품의 성격은 대규모 앙상블을 위한 다른 다악장 작품(예: 교향곡)보다 가볍고, 주제 개발이나 극적인 강렬함보다 선율미가 더 중요하다. 이러한 작품의 대부분은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리아 및 보헤미아에서 나왔다.[4]
18세기 세레나데의 가장 유명한 예로는 모차르트의 작품들이 있는데, 그의 세레나데는 일반적으로 4악장에서 10악장 사이로 구성된다. 그의 세레나데는 종종 결혼식을 위해 의뢰된 것과 같은 특별한 행사를 위해 쓰여진 순수 기악곡이었다. 모차르트의 유명한 세레나데로는 ''하프너'' 세레나데, 흔히 ''그란 파르티타''로 알려진 ''관악기를 위한 세레나데 10번'', ''세레나타 노투르나'', 그리고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가 있다. 이 마지막 두 곡은 만약 이 세기 초에 쓰였다면, 오직 현악기만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전형적이지 않았을 것이다.[4]
19세기에 이르러 세레나데는 콘서트 작품으로 변모하여, 명예로운 행사를 위한 야외 공연과 덜 연관되었다. 작곡가들은 다른 앙상블을 위한 세레나데를 쓰기 시작했다. 브람스의 두 개의 세레나데는 가벼운 교향곡과 같으며, 모차르트가 인정했을 앙상블인 작은 오케스트라(세레나데 2번의 경우, 바이올린이 전혀 없는 오케스트라)를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스위트와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안토닌 드보르자크, 표트르 차이코프스키, 요제프 수크, 에드워드 엘가 등은 현을 위한 세레나데 (드보르자크), 현을 위한 세레나데 (차이코프스키), 현을 위한 세레나데 (수크), 현을 위한 세레나데 (엘가)처럼 오직 현악만을 위한 세레나데를 썼고, 휴고 볼프도 현악 사중주를 위한 세레나데('''이탈리아 세레나데''')를 썼다. 낭만주의 스타일로 세레나데를 쓴 다른 작곡가로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 엑토르 베를리오즈, 프란츠 슈베르트,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막스 레거, 에설 스미스, 빌헬름 스텐함마르 및 장 시벨리우스가 있다. (두 개의 세레나데 (시벨리우스) 참조).
3. 4. 20세기 이후의 세레나데
20세기에는 발터 기제킹이 현악 사중주를 위한 《세레나데》를, 벤자민 브리튼이 《테너, 호른, 현악 합주를 위한 세레나데》를, 스트라빈스키가 피아노를 위한 《세레나데》를 작곡했다. 알베르 루셀도 《플루트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하프를 위한 세레나데》를 작곡했다. 쇤베르크는 12음 기법을 사용하여 실내악 (일부에 독창을 동반)을 위한 《세레나데》를 작곡했다. 쇼스타코비치는 마지막 현악 사중주곡 (제15번)의 악장에 "세레나데"라는 이름을 붙였다.[1]
랄프 본 윌리엄스는 1938년에 초연된 《음악을 위한 세레나데(Serenade to Music)》 (16명의 독창자와 오케스트라)를 썼으며, 레너드 번스타인은 1954년에 《플라톤의 "향연" 이후의 세레나데(Serenade after Plato's "Symposium)》 (독주 바이올린, 현악, 하프 및 타악기)를 작곡했다. 이러한 현대 세레나데는 세레나데의 원래 형식과 악기 편성에 대한 자유로운 적응을 보여준다.[1] 세레나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예로는 붐박스를 사용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것이 있다. 1989년 영화 ''사랑의 묘약''에서 존 쿠삭이 연기한 로이드 역이 사랑하는 여인의 열린 침실 창문 아래에서 피터 가브리엘의 "In Your Eyes"를 연주하는 장면이 대표적이다.[1]
재즈에서는 글렌 밀러가 『문라이트 세레나데』, 『선라이즈 세레나데』를 작곡했다. 글렌 밀러는 『은령 세레나데』라는 영화에도 출연했다.[1]
일본에서는 1982년 1월 7일에 곤도 마사히코의 다섯 번째 싱글 레코드로 「정열☆열풍☽세레나데」(작곡: 츠츠미 쿄헤이/편곡: 오타니 카즈오)가 발매되었다.[1]
4. 한국의 세레나데
5. 형식과 특징
20세기 세레나데의 예로는 벤자민 브리튼의 《테너, 호른, 현을 위한 세레나데》,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피아노를 위한 《A장조 세레나데》,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바리톤과 7중주를 위한 세레나데 작품 24번,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마지막 현악 사중주곡인 15번 (1974)의 "세레나데" 악장이 있다. 랄프 본 윌리엄스는 1938년에 초연된 《음악을 위한 세레나데》 (16명의 독창자와 오케스트라)를 썼으며, 레너드 번스타인은 1954년에 《플라톤의 "향연" 이후의 세레나데》 (독주 바이올린, 현악, 하프 및 타악기)를 작곡했다. 이러한 현대 세레나데는 세레나데의 원래 형식과 악기 편성에 대한 자유로운 적응을 보여준다.
세레나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예로는 붐박스를 사용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것이 있다. 1989년 영화 ''사랑의 묘약''에서 존 쿠삭이 연기한 로이드 역이 사랑하는 여인의 열린 침실 창문 아래에서 피터 가브리엘의 "In Your Eyes"를 연주하는 장면이 대표적이다.
참조
[2]
웹사이트
serenade {{!}} Origin and meaning of serenade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2020-08-07
[3]
간행물
Serenata
Macmillan Publishers
2001
[4]
간행물
Serenade
Macmillan Publishers
[5]
웹사이트
Serenade.
http://www.oxfordmus[...]
2009-12-08
[6]
웹사이트
Hubert Unverricht & Cliff Eisen. “Serenade”. Grove Music Online. Oxford Music Online. 8 December 2009.
http://www.oxfordmus[...]
2021-02-28
[7]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第二版
小学館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