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는 가타야마 쿄이치의 일본 소설로, 2001년 4월 쇼가쿠칸에서 출판되었다. 중학교 시절 만나 고등학교에서 사랑에 빠진 사쿠타로와 아키의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다루며, 백혈병으로 시름시름 앓는 아키를 위해 사쿠타로가 호주 여행을 계획하지만, 아키는 결국 세상을 떠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소설은 영화, 드라마, 만화, 라디오 드라마, 연극 등으로 각색되었으며, 일본 내에서 소설 최대 발행 부수를 기록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작품의 흥행은 일본 골수 은행의 기증자 등록 증가와 "세카츄"라는 유행어를 만들어내는 등 사회적 현상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리시타 요시코 각본 작품 - 붕대 클럽
    붕대 클럽은 텐도 아라타의 소설을 원작으로 영화와 만화로 제작되었으며, 학교 폭력과 가정 문제 등 어두운 면을 다루면서도 붕대를 감는 독특한 소재로 상처받은 이들을 위로하고 치유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 에히메현을 배경으로 한 소설 - 도련님 (소설)
    나쓰메 소세키가 마쓰야마에서 교사로 근무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 《도련님》은 도쿄 출신 청년이 시골 중학교에 부임하여 겪는 문화적 충돌과 인간 군상과의 갈등을 유쾌하게 그린 반자연주의적 작품으로,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 에히메현을 배경으로 한 소설 - 힘내서 갑시다
    시키무라 요시코의 소설 『힘내서 갑시다』는 여자 고등학교 조정부를 배경으로 한 청춘 이야기로, 봇찬 문학상 수상 후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대중에게 선보였다.
  • 에히메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힘내서 갑시다
    시키무라 요시코의 소설 『힘내서 갑시다』는 여자 고등학교 조정부를 배경으로 한 청춘 이야기로, 봇찬 문학상 수상 후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대중에게 선보였다.
  • 에히메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도쿄 러브 스토리
    시바모토 후미의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도쿄 러브 스토리》는 1991년 후지TV 드라마, 2020년 리메이크 드라마, 2022년 뮤지컬 등으로 제작되었으며, 나가오 칸지, 미카미 켄이치, 세키구치 사토미, 아카나 리카를 중심으로 도쿄에서 펼쳐지는 복잡한 사랑 이야기를 다룬다.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제목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원제世界の中心で、愛をさけぶ (Sekai no Chūshin de, Ai o Sakebu)
로마자 표기Sekai no Chūshin de, Ai o Sakebu
장르로맨스
비극
소설
작가가타야마 쿄이치
출판사쇼가쿠칸
영어 출판사Viz Media
출판일2001년
만화
작가가즈이 가즈미
출판사쇼가쿠칸
영어 출판사Viz Media
잡지쁘띠 코믹
연재 시작2004년 1월
연재 종료2004년 2월
영화 (실사)
감독유키사다 이사오
각본사카모토 유지
이토 치히로
제작사도호
개봉일2004년 5월 8일
상영 시간138분
드라마
감독쓰쓰미 유키히코
이시이 야스하루
히라카와 유이치로
극본모리시타 요시코
방송사TBS
방송 기간2004년 7월 2일 ~ 2004년 9월 10일
회차 수11
관련 작품
제목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2004년 라디오 드라마)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2005년 뮤지컬)
나의 소녀 (2005년 한국 영화)
외쳐, 사랑 (2016년 중국 영화)
책 정보
제목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한국어판 표지
한국어판 표지
저자카타야마 쿄이치
언어일본어
장르드라마
로맨스
출판사쇼가쿠칸
발행일2001년 4월
대한민국 발행일2003년 12월 10일
페이지232
ISBN9788990054203
기타
일본어 제목世界の中心で、愛をさけぶ (세카이노 추신데, 아이오 사케부)

2. 소설

2001년 초판 8,000부로 간행되었으나, 처음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쇼가쿠칸의 한 신입사원이 판매를 위해 노력하고, 일부 서점 직원들이 직접 쓴 POP 광고와 독자들의 입소문이 퍼지면서 점차 화제가 되기 시작했다.

작가 가타야마 쿄이치는 원래 이 소설을 젊음과 기억을 탐구하는 삼부작의 일부로 구상하며 《소크라테스 인 러브(恋するソクラテス|코이스루 소쿠라테스일본어)》라는 제목을 생각했었다.[1] 하지만 편집자들은 당시 일본에서 유행하던 순수하고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다루는 미디어 트렌드, 이른바 "순수한 사랑 붐"을 활용하여 독자들에게 어필하고자 제목을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로 변경했다.[1] 가타야마의 이전 작품들이 저조한 판매량을 보였기 때문에 초판은 8,000부만 인쇄 및 배포되었다.[1]

2002년, 배우 시바사키 코우가 문학 잡지 《다 빈치》에 "울면서 단번에 다 읽었습니다. 저도 이제부터 이런 사랑을 해보고 싶습니다"라는 내용의 서평을 기고한 것이 큰 반향을 일으켰다.[1] 이 문구가 책 표지에 인용되면서 판매량 급증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시바사키의 추천과 입소문은 소설을 베스트셀러 반열에 올려놓았다.

2003년에는 누적 판매 100만 부를 돌파했으며, 2004년 일본의 영화사 도호에서 영화로 제작하여 개봉한 이후에는 판매량이 더욱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300만 부를 넘어섰다. 이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 판매 기록을 넘어서는 대기록이었다. 소설의 줄임말인 '''‘세카츄’'''(セカチュー|세카츄일본어)는 유행어가 되었고, '''“세카츄 붐”'''이라 불리는 사회 현상까지 일으켰다. 이후 텔레비전 드라마, 라디오 드라마, 연극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시바사키 코우는 2004년 영화판에도 직접 출연했다.

이 작품과 비슷한 시기에 출간된 연애 소설 《지금, 만나러 갑니다》 등의 성공은 이전까지 문예서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히트작이 적었던 쇼가쿠칸 출판사의 이미지를 바꾸는 데에도 기여했다. 2006년에는 쇼가쿠칸 문고판으로도 발매되었다.

2. 1. 줄거리

오스트레일리아로 가는 여행 도중, '''마츠모토 사쿠타로'''(사쿠)는 죽은 연인 '''히로세 아키'''를 떠올린다. 이야기는 사쿠타로의 회상을 통해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의 한 지방 도시에서 중학교 시절 같은 반이었던 사쿠타로와 아키는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서로에게 이끌려 연인 사이로 발전한다. 두 사람은 데이트를 하고 사랑에 대한 생각을 나누며 평범하지만 소중한 시간을 함께 보낸다. 사쿠타로는 할아버지에게서 과거의 사랑 이야기를 듣기도 하며 사랑의 의미에 대해 고민한다.

하지만 행복했던 시간도 잠시, 만난 지 3년째 되던 해에 아키는 백혈병 진단을 받는다. 병세는 점차 악화되어 아키는 나날이 쇠약해지고, 병원 밖으로 나가는 것조차 어려워진다. 사쿠타로는 과거 라디오 프로그램에 익명으로 '백혈병에 걸린 친구의 여자아이' 이야기를 투고하여 상품을 받았던 경험 때문에, 아키의 병이 자신 탓일지도 모른다는 죄책감을 남몰래 가지고 있었다.

사쿠타로는 아키가 입원 때문에 가지 못했던 수학여행지이자, 평소 동경했던 오스트레일리아울루루(에어즈 록)에 그녀를 데려가기로 결심한다. 아키의 마지막 소원일지도 모르는 여행을 위해, 사쿠타로는 비행기 표를 사고 위험을 무릅쓴 채 아키를 병원에서 데리고 나와 폭우 속을 뚫고 공항으로 향한다.

그러나 공항 대합실에서 아키는 결국 쓰러지고 만다. "살려주세요!"라는 사쿠타로의 절규가 공항에 울려 퍼지고, 아키는 급히 병원으로 옮겨진다. 하지만 아키는 끝내 비행기를 타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다.

시간이 흐른 뒤, 사쿠타로는 아키의 부모와 함께 그녀가 그토록 보고 싶어 했던 오스트레일리아의 울루루에 아키의 유골을 뿌려주기 위한 여행을 떠난다.

2. 2. 등장인물


  • '''마츠모토 사쿠타로'''(松本朔太郎|마츠모토 사쿠타로일본어): 주인공이자 화자. 연인 아키에게는 '사쿠짱'이라고 불린다. 이름은 일본의 시인 하기와라 사쿠타로에서 유래했다. 할아버지를 잘 따른다.
  • '''히로세 아키'''(廣瀬亜紀|히로세 아키일본어): 사쿠의 고교 시절 동급생이자 연인. 백혈병을 앓아 1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이름은 하쿠아키(白亜紀, 백악기)에서 따왔다.
  • '''오키 류노스케'''(大木龍之介|오키 류노스케일본어): 사쿠와 아키의 동급생. 사쿠의 연애를 돕기 위해 노력하며, 별명은 '스케짱'이다. 이름은 일본 작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에서 유래했다.
  • '''마츠모토 켄타로'''(松本謙太郎|마츠모토 켄타로일본어): 사쿠의 할아버지. 원작에서는 전직 정치인으로 아파트에 살며, 사쿠와의 대화가 이야기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2. 3. 제목에 대해

할런 엘리슨의 SF 소설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친 짐승(The Beast that shouted Love at The Heart of The World)》(1969년)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혹은 엘리슨의 소설 제목이 인용된 안노 히데아키 감독의 애니메이션신세기 에반게리온》의 마지막 화 〈세계의 중심에서 나를/사랑을 외친 짐승(世界の中心でアイを叫んだけもの|세카이노 추신데 아이오 사켄다케모노일본어)〉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언론에서는 에반게리온의 부제에서 인용했다는 보도가 많은 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원작자 본인이 아닌 편집자가 붙인 제목이다. 작가 카타야마 쿄이치는 원래 《사랑하는 소크라테스(恋するソクラテス|코이스루 소쿠라테스일본어)》라는 제목을 생각했으나, 편집자의 제안으로 현재의 제목이 되었다. 영어권에서는 작가의 원래 제목을 번역한 ''소크라테스 인 러브''(Socrates in Love)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며, 카즈이 카즈미가 그린 만화 각색판은 이 제목으로 VIZ 미디어를 통해 미국에서 출판되었다.

일본에서는 2004년 영화 제목인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世界の中心で、愛をさけぶ|세카이노 추신데 아이오 사케부일본어)를 줄여 '''세카추'''(セカチュー일본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2005년 홍콩에서 출시된 영화 DVD에는 "Crying Out Love, In the Center of the World"라는 영어 제목이 사용되었다.

2. 4. 작품 배경

작품의 무대가 되는 지방 도시는 작중에서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지만, 작가 가타야마 교이치의 고향인 에히메현 우와지마시를 모델로 한 것으로 보인다. 작중에 등장하는 '고야'(小池)나 '고쿠포'(石応, こくぼ) 같은 지명은 실제 우와지마시에 있는 지명이다. 다만,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원작과 달리 현대의 주인공이 과거를 회상하는 설정으로 각색되었으며, 촬영지도 우와지마시가 아니다.

작품의 제목은 원래 작가가 『사랑하는 소크라테스』로 구상했으나, 편집자의 조언에 따라 현재의 제목으로 정해졌다. 영어 번역판 제목은 『Socrates in Love』이다. 현재 제목의 유래에 대해서는 할런 엘리슨SF 소설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친 짐승』(1969년)이나, 이 소설 제목의 영향을 받은 안노 히데아키 감독의 애니메이션신세기 에반게리온』 최종화 부제 「세상의 중심에서 아이를 외친 짐승」(1996년)에서 따왔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 5. 발행 부수

2001년 초판 발행 부수는 8,000부에 불과했고, 발매 초기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1] 그러나 쇼가쿠칸의 한 신입사원이 홍보에 힘쓰고, 일부 서점 직원들이 직접 쓴 POP 광고와 독자들의 입소문이 퍼지면서 점차 화제가 되기 시작했다.

2002년, 배우 시바사키 코우가 문학 잡지 《다 빈치》에 "울면서 단번에 다 읽었습니다. 저도 이제부터 이런 사랑을 해보고 싶습니다"라는 내용의 서평을 기고했고, 이 문구가 책 표지에 인용되면서 판매량 급증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1]

2003년에는 100만 부 판매를 돌파했으며, 이후 발행 부수 추이는 다음과 같다.

시기누적 발행 부수
2003년 2월3만 부
2003년 4월10만 부
2003년 6월36만 부
2003년 11월100만 부 돌파
2004년 3월171만 부
2004년 5월 7일251만 부
2004년 5월 20일306만 부
2004년 12월 2일321만 부 이상



2004년 5월 7일에는 누적 판매 251만 부를 기록하며, 무라카미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을 넘어 일본 소설 단행본 사상 최대 발행 부수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도호에서 제작한 영화가 개봉하면서 판매량은 더욱 급증하여 300만 부를 돌파했고, '''‘세카츄’'''라는 줄임말이 유행어가 되는 등 '''“세카츄 붐”'''이라는 사회 현상으로 이어졌다.

2. 6. 평가

순수 문학 팬들로부터는 감정 표현이 미숙하고 문장이 치졸하다는 등 낮은 평가를 받기도 한다.[1] 이른바 "순애 게임" 장르에서나 볼 법한 "잘 팔릴 뿐인 작품"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아마존 등에서도 "잘 팔린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라는 의견이 많았다. 일부에서는 "중학생이 쓴 문장과 별 차이가 없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문장이 치졸하다"는 평가가 오히려 "너무 단순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누구라도 쉽게 읽을 수 있는 평이한 문장이라는 장점으로도 볼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이러한 대중적 인기와 상업적 성공을 고려할 때 연구할 가치가 있는 작품이라는 평가도 존재한다.

작가 가타야마 교이치는 원래 이 소설을 젊음과 기억을 탐구하는 삼부작의 일부로 구상했으나,[1] 편집자들은 당시 유행하던 "순수한 사랑 붐"을 활용하여 비극적 사랑 이야기를 선호하는 독자들에게 어필하고자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1] 작가 자신은 이 작품이 순애물이 아니라고 생각했으며, 작품의 성공 요인을 소설 자체보다는 영화적 연출, 주제가, 광고 등 영화판의 마케팅 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기도 한다. 초기에는 이전 작품들의 저조한 판매량 때문에 초판 8,000부만 발행되었다.[1]

소설 출판 1년 후, 배우 시바사키 코우가 문예지 《다 빈치》 (2002년 3월호) 칼럼에서 "울면서 꼼꼼하게 읽었다. 내 삶에서도 그런 관계를 갖고 싶다"고 호평한 것이 계기가 되어 판매량이 급증했다. 시바사키의 추천과 입소문은 베스트셀러 등극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2004년 5월에는 300만 부 이상 판매되어 무라카미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 판매 기록을 넘어서기도 했다. 시바사키 코우는 이후 영화판에도 출연했다.

소설의 영화판 역시 크게 흥행했으며, 나가사와 마사미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조연 여우상을 수상하는 등 주목받았다. 영화는 촬영 감독 시노다 노보루의 영상미, 타네다 요헤이의 미술, 각색, 유키사다 이사오 감독의 연출 등 제작진의 역량이 평론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상업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비평은 부족한 편이라는 지적도 있다. 작품의 주제 면에서는 백혈병에 걸린 소녀를 둘러싼 "상실과 재생의 이야기"라는 점, 호주 원주민의 사생관과 유골을 뿌리는 행위(散骨), 제목과 유행어 "지코츄(자기중심)"의 유사성 등을 통해 당시 사회 세태를 반영하거나 비판한다는 해석이 제기된다. 특히 산골 풍습이나 호주 원주민의 사생관 언급은 20세기 말에서 21세기 초의 사회적 분위기와 연결지어 해석되기도 한다. 또한 "일본인 전체가 어린애처럼 행동하는 것을 긍정하는" 시대 풍조를 비판하는 작품이라는 평가도 있다.

3. 각색

2001년에 초판 8000부로 간행되었으나, 처음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쇼가쿠칸의 한 신입 세일즈맨이 작품의 가치를 알아보고 적극적으로 홍보하기 시작했으며, 일부 서점 직원들이 직접 쓴 POP 광고와 독자들의 입소문이 더해지면서 점차 화제가 되기 시작했다.

2002년, 배우 시바사키 코우가 잡지 《다 빈치》에 기고한 서평에서 "울면서 단번에 다 읽었습니다. 저도 이제부터 이런 사랑을 해보고 싶습니다"라고 언급한 문구가 책 표지에 실리면서 판매에 불을 지폈다. 2003년에는 판매량 100만 부를 돌파했으며, 2004년 일본의 영화사 도호에서 영화로 제작하여 개봉한 이후에는 300만 부를 넘어서는 대형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세카츄’'''라는 줄임말이 유행어가 되었고, '''“세카츄 붐”'''이라는 사회 현상까지 일어났다. 이후 텔레비전 드라마, 라디오 드라마, 연극, 만화 등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이 작품의 성공은 이전까지 문예 분야에서 히트작이 적었던 쇼가쿠칸에게 큰 전환점이 되었다. 《지금, 만나러 갑니다》와 같은 유사한 감성의 연애 소설들이 연이어 성공하면서 쇼가쿠칸의 출판사 이미지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2006년에는 쇼가쿠칸 문고를 통해 문고판도 발매되었다.

3. 1. 만화

카타야마 쿄이치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이치이 카즈미가 작화를 맡아 만화로 그려냈다. 원작의 세계관을 여성의 시점에서 해석하여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항목내용
원작카타야마 쿄이치
작화이치이 카즈미
연재 잡지쇼가쿠칸 '쁘띠 코믹'
연재 기간2004년 1월호 ~ 2월호
일본 단행본 출판2004년 4월 6일, 쇼가쿠칸 (플라워 코믹스 스페셜, ISBN 4091382738)
한국어판 단행본 출판2004년 12월, 지식여행 출판사



줄거리

성인이 된 약혼녀 릿코는 태풍이 접근하던 날, 이삿짐을 정리하다 골판지 상자 안에서 오래된 카세트 테이프를 발견한다. 카세트 워크맨을 구해 테이프를 재생하자 익숙한 소녀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릿코는 도시 한가운데서 눈물을 흘린다. 한편, 릿코가 사라진 것을 알게 된 약혼자 사쿠는 태풍 뉴스 영상에서 그녀가 다카마쓰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자신의 고향인 다카마쓰로 향한다. 이 과정에서 사쿠는 고등학교 시절의 연인 아키와의 추억을 떠올리게 된다.

3. 2. 영화

소설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는 일본, 대한민국, 중국에서 각각 영화로 제작되었다. 각 영화는 원작의 기본적인 설정을 공유하면서도 국가별 특성과 감독의 해석에 따라 다르게 각색되었다.

3. 2. 1. 일본 영화

2004년 5월 8일 도호 배급으로 일본에서 개봉했다. 감독은 유키사다 이사오이며, 주연은 오사와 타카오, 시바사키 코우, 나가사와 마사미, 모리야마 미라이이다.[13] 흥행 수입 85억, 관객 동원 수 620만 명을 기록하며 그 해 일본 실사 영화 흥행 1위를 차지했으며, 2019년 기준으로 역대 일본 실사 영화 흥행 수입 9위에 해당한다.

영화는 어른이 된 마츠모토 사쿠타로(사쿠)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약혼녀 후지무라 릿코가 이삿짐 속에서 발견한 카세트테이프를 들으면서 이야기가 시작되며, 사쿠는 고향 다카마쓰로 향하며 고등학교 시절 연인 히로세 아키와의 추억을 회상한다.

일본 남부의 작은 마을에서 고등학생이 된 사쿠와 아키는 연인이 된다. 사쿠의 할아버지(시게조)가 자신의 과거 사랑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두 사람은 진정한 사랑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아키는 백혈병 진단을 받고, 학교 여행으로 가지 못했던 호주 울루루(에어즈 록)에 가고 싶어 한다. 사쿠는 아키를 데려가려 하지만, 아키는 비행기를 타기 직전 세상을 떠난다. 이야기는 사쿠와 아키의 부모가 아키의 유골을 그녀가 항상 보고 싶어했던 울루루에 뿌리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주제가인 히라이 켄의 「눈을 감고(瞳をとじて)」는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영화 개봉 후 일본 골수 뱅크 신규 기증자 등록 수가 크게 증가하는 사회적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7] 이 영화는 나가사와 마사미모리야마 미라이의 배우로서 출세작으로 평가받는다.

원작 소설과 비교했을 때, 영화는 어른이 된 사쿠타로와 약혼녀 릿코의 관계를 추가하고,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구성을 사용하는 등 많은 각색이 이루어져 스토리 자체에 큰 변화가 있다.[14]

주요 등장인물 및 배우
배역배우 (성인 시절)배우 (고등학생 시절)설명
마츠모토 사쿠타로 (사쿠)오사와 타카오모리야마 미라이릿코를 찾아 고향 다카마쓰로 향하며 아키를 추억한다.
후지무라 릿코시바사키 코우칸노 리오 (소녀 시절)사쿠타로의 약혼녀. 태풍 속에서 다카마쓰를 방문한다. 어린 시절 아키를 만난 적이 있다.
히로세 아키나가사와 마사미사쿠타로의 고교 시절 연인. 총명하고 인기가 많았으나 백혈병에 걸린다.
시게조 (시게 할아버지)야마자키 츠토무사쿠타로의 할아버지. 사진관을 운영하며, 사쿠에게 자신의 첫사랑 이야기를 들려준다.
오오키 류노스케 (류)쿠도 칸쿠로타카하시 잇세이사쿠타로의 친구. 현재 음식점을 운영하며 사쿠를 걱정한다.
조니츠다 칸지후루하타 카츠타카사쿠타로의 친구. 현재는 집안의 절을 이어받아 승려가 되었다.

3. 2. 2. 대한민국 영화

2005년 제작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일본2004년 영화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를 리메이크한 작품으로, 원제는 《파랑주의보》이다. 정윤수가 감독을 맡았고, 차태현송혜교가 주연을 맡았다.[4] 대한민국에서는 2005년 12월 22일에 개봉했으며, 일본에서는 2006년 8월 26일에 《일본어: 僕の、世界の中心は、君だ。(나의, 세상의 중심은, 너다.), My Girl and I영어》라는 제목으로 쇼치쿠·도큐 계열을 통해 개봉했다 (배급은 워너 브라더스).[29]

영화는 일본 원작 영화의 에피소드를 따르면서도, 스토리 전개는 원작 소설의 형태를 따라 일본 영화판의 '후지무라 리츠코'에 해당하는 인물의 비중은 줄었다. 또한, 주인공 할아버지의 직업 등 일부 설정이 한국 상황에 맞게 변경되었다. 일본 개봉판 엔딩 크레딧에는 히라이 켄의 주제가 〈눈을 감고〉의 한국어 버전이 사용되었다.

=== 주요 제작진 ===

  • 감독: 정윤수
  • 각본: 황성구
  • 각색: 정윤수, 장문일
  • 제작 총지휘/제작: 테디 정
  • 촬영: 박희주
  • 음악: 이동준


=== 주요 출연진 ===

배역 (원작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김수호 (마츠모토 사쿠타로)차태현세키 토모카즈
배수은 (히로세 아키)송혜교아카마 마리코
김만금 (수호 할아버지)이순재히라노 미노루
성진박효준키무라 마사시
희선김영준사토 쥰
정구송창의하타노 와타루
수호의 어머니김해숙
김지호김신영
수은의 아버지한명구
수은의 어머니오정원
민박집 할머니김지영


3. 2. 3. 중국 영화

2016년 8월 26일 중국에서 개봉한 리메이크 영화이다. 곽재용이 감독을 맡았고, 오우하오와 장혜문이 주연을 맡았다. 원제는 在世界中心呼唤爱중국어이며, 영어 제목은 ''Crying Out in Love''이다. 양쯔, 왕즈 등이 출연했으며, 일본에서는 개봉되지 않았다.

배역배우
커다 (마쓰모토 사쿠타로에 해당)오우하오
샤예 (히로세 아키에 해당)장혜문


3. 3. 텔레비전 드라마

일본의 텔레비전 드라마 시리즈로 총 11부작으로 각색되었다.[2] 츠츠미 유키히코가 연출을 맡아 2004년 7월 2일부터 9월 10일까지 매주 금요일 22시부터 22시 54분[23]까지 TBS 계열의 「금요 드라마」 시간대에 방송되었다.[3] 주연은 야마다 타카유키아야세 하루카이다. 최종회는 15분 확대되어 22시부터 23시 9분까지 방송되었다.

2004년 9월 17일에는 드라마 종영 후의 이야기를 그린 오리지널 특별편 「17년째의 졸업」이 방송되었다. 영화판의 각본을 담당했던 사카모토 유지, 이토 치히로, 이누도 잇신의 이름이 윤색 담당자로 크레딧에 표기되어 있으며, 드라마판은 원작 소설과 영화판 양쪽을 참고하여 제작되었다.[24]

2022년 7월 10일부터 9월 25일까지 BS-TBS에서 재방송되었다.

=== 줄거리 ===

일본 남부의 작은 마을을 배경으로, 중학교 동창인 마츠모토 사쿠타로("사쿠")와 히로세 아키가 고등학생이 되면서 연인 관계로 발전한다. 사쿠의 할아버지가 들려준 과거의 사랑 이야기를 계기로 두 사람은 진정한 사랑의 의미에 대해 깊은 대화를 나눈다.

두 사람이 무인도로 여행을 다녀온 후, 아키는 백혈병 진단을 받게 되고 외부 활동과 사쿠와의 만남에 제약을 받는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사쿠는, 아키가 학교 여행을 가지 못해 항상 가고 싶어 했던 호주 울루루(에어즈 록)로 데려가기 위해 비행기 표를 구한다. 하지만 아키는 비행기를 타기 직전에 세상을 떠난다.

이야기는 17년 후, 성인이 된 사쿠의 시점에서 회상 형식으로 전개된다. 사쿠와 아키의 부모는 아키가 생전에 보고 싶어 했던 울루루에 그녀의 유골을 뿌리기 위해 호주로 여행을 떠난다.

=== 영화와의 차이점 ===

드라마에는 원작 소설에는 등장하지 않는 오리지널 캐릭터 '코바야시 아키'(사쿠라이 사치코 분)가 등장한다. 그녀는 성인이 된 사쿠타로(오가타 나오토 분)의 친구이자 싱글맘으로, 사쿠에게 호감을 느끼지만 사쿠는 그녀를 죽은 히로세 아키의 대체자로 보지 않으려 노력한다. 코바야시 아키의 어린 아들이 사쿠를 아버지처럼 따르면서 상황은 더욱 복잡해진다.

=== 주제가 ===

드라마의 주제가인 かたちあるもの|가타치 아루 모노일본어(형태 있는 것)는 2004년 영화판에서 후지무라 리츠코 역으로 출연했던 시바사키 코우가 직접 작사하고 불렀다.

=== 주요 제작진 ===

=== 주요 출연진 ===

  • 야마다 타카유키 - 마츠모토 사쿠타로 (17세)
  • 아야세 하루카 - 히로세 아키 (17세)
  • 오가타 나오토 - 마츠모토 사쿠타로 (34세)
  • 사쿠라이 사치코 - 코바야시 아키 (34세)
  • 타나카 코타로 - 오오키 류노스케 (17세 / 34세)
  • 에모토 타스쿠 - 나카가와 아키요시 (17세 / 34세)
  • 모토카리야 유이카 - 우에다 토모요 (17세 / 34세)
  • 카호 - 마츠모토 후미코 (13세)
  • 마츠시타 유키 - 야타베 토시미 (담임 교사)
  • 타카하시 카츠미 - 마츠모토 준이치로 (사쿠타로의 아버지)
  • 오오시마 사토코 - 마츠모토 토미코 (사쿠타로의 어머니)
  • 테즈카 사토미 - 히로세 아야코 (아키의 어머니)
  • 미우라 토모카즈 - 히로세 마코토 (아키의 아버지)
  • 나카다이 타츠야 (특별 출연) - 마츠모토 켄타로 (사쿠타로의 할아버지)


=== 방영 목록 및 시청률 ===

연속 드라마
화수방송일부제연출시청률
제1화2004년 7월 2일은사로부터의 편지츠츠미 유키히코18.5%
제2화2004년 7월 9일미묘한 거리15.7%
제3화2004년 7월 16일영원한 이별이시이 야스하루15.2%
제4화2004년 7월 23일마지막 날히라카와 유이치로13.9%
제5화2004년 7월 30일다가오는 그림자츠츠미 유키히코16.5%
제6화2004년 8월 6일삶으로의 여정15.0%
제7화2004년 8월 13일밝아오지 않는 밤히라카와 유이치로14.5%
제8화2004년 8월 20일프로포즈이시이 야스하루15.4%
제9화2004년 8월 27일최후의 선택히라카와 유이치로15.9%
제10화2004년 9월 3일도와주세요…츠츠미 유키히코15.2%
최종화2004년 9월 10일형태 있는 것 (15분 확대판)19.1%
평균 시청률 16.0% (시청률은 간토 지역·비데오 리서치사 조사)



특별편
방송일부제연출시청률
2004년 9월 17일17년째의 졸업이시이 야스하루15.3%


3. 4. 라디오 드라마

도쿄 FM에서 2004년 5월에 방송되었다. 같은 해 7월에는 방송 내용을 CD에 녹음하고, 시나리오와 이미지 사진이 담긴 소책자를 포함한 구성으로 출판되었다.

  • 원작: 카타야마 쿄이치
  • 각본, 연출: 이이무라 키요미
  • 출판: TOKYO FM 출판 (2004년 7월)
  • '''마츠모토 사쿠타로''' : 마츠다 류헤이
  • '''히로세 아키''' : 미야자키 아오이


대한민국KBS에서도 〈KBS 라디오 독서실〉 프로그램을 통해 2004년 8월 22일에 라디오 드라마로 방영한 바 있다.[https://web.archive.org/web/20050128223434/http://www.kbs.co.kr/radio/radio_drama/library/aod/1328083_10183.html]

3. 5. 연극

2005년 8월 5일부터 9월 4일까지 세타가야 퍼블릭 시어터를 비롯한 일본 전국 7개 지역에서 공연되었다.

  • 원작: 가타야마 쿄이치
  • 각본: 호라이 류타 (모던 스이마즈)
  • 연출: 니시카와 노부히로 (문학좌 연출부 소속)
  • 주최: TBS / 닛폰 방송
  • 기획·제작: TBS


주요 등장인물 및 배우는 다음과 같다.

배역배우
마츠모토 사쿠타로타나카 코타로
히로세 아키사토 메구미
교사 세토토요타 마호
교사 콘도마스 타케시
사쿠의 할아버지카미죠 츠네히코


4. 사회적 영향

2004년 일본의 영화사 도호에서 제작한 영화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사회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영화의 성공은 원작 소설 판매량 증가와 시너지 효과를 일으켰으며, 작품의 약칭인 '''‘세카츄’'''는 유행어가 되어 '''“세카츄 붐”'''이라는 사회 현상을 만들어냈다.[6] 또한, 영화 공개 이후 일본 골수 은행에 신규 기증자로 등록하는 사람의 수가 크게 늘어났다는 보고가 골수 이식 추진 재단 사무국에서 발표되기도 했다.[7]

참조

[1] 웹사이트 Katayama's author site http://www.kkatayama[...]
[2] 웹사이트 TBS listing: Crying Out Love, in the Centre of the World http://www.tbs.co.jp[...]
[3] 웹사이트 TBS Profile: Crying Out Love, in the Centre of the World http://www.tbs.co.jp[...]
[4] 웹사이트 CRYING OUT LOVE IN THE CENTER OF THE WORLD by KWAK Jae-yong to be Released in China http://www.koreanfil[...]
[5] 뉴스 Huluで劇場版「セカチュー」「ハゲタカ」など視聴可能に 東宝と提携 https://www.itmedia.[...] ITMedia 2013-09-19
[6] 서적 AOYAMA LAW 2006青山学院大学法学部 卒業生の現在いま─輝き続ける卒業生達─ http://www.als.aoyam[...] 青山学院大学法学部 2019-11-05
[7] 간행물 MOHTHLY REPORT http://www.jmdp.or.j[...] 骨髄移植推進財団事務局 2005-04-15
[8] 문서 宇和島警察署
[9] 문서 Oggi
[10] 문서 広瀬亜紀
[11] 문서 骨を折る
[12] 서적 「話のネタ」のタネ500 PHP研究所
[13] 웹사이트 日本映画製作者連盟2004統計 https://www.eiren.or[...]
[14] 웹사이트 「世界の中心で、愛をさけぶ」作品群の比較 http://www.alived.co[...] 2020-11-10
[15] 문서 萩原朔太郎
[16] 문서 朔太郎が写真館に訪れるシーン
[17] 서적 「世界の中心で、愛をさけぶ(巻末 解説)」 小学館文庫
[18] 웹사이트 http://aiosakebu.yah[...]
[19] 웹사이트 第22回ゴールデングロス賞受賞作品 http://www.zenkoren.[...]
[20] 문서 本作DVD映像内の説明テロップより
[21] 문서 ベルガマスク組曲
[22] 문서 カノン
[23] 문서 最終回
[24] 웹사이트 「世界の中心で、愛をさけぶ」作品群の比較 http://www.alived.co[...] 2020-11-10
[25] 문서 あきよし
[26] 웹사이트 第42回ザテレビジョンドラマアカデミー賞 受賞一覧 https://thetv.jp/fea[...]
[27] 문서 ドラマソング賞
[28] 뉴스 本当に泣けると評判のドラマ3選!! 切なさ・感動で涙が止まらない! https://okmusic.jp/n[...] OKWAVE 2015-09-01
[29] 웹사이트 파랑주의보 (波浪注意報) http://kmdb.or.kr/mo[...] KMDb 2011-08-10
[30] 웹사이트 クオリア日記 http://www.qualia-ma[...] 2003-12-23
[31] 웹사이트 芸能界ピンチヒッター裏・物語(1) https://www.asagei.c[...] asagei.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