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트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트파는 2세기에 처음 언급된 영지주의 분파로, 세트를 자신들의 기원으로 삼았다. 초기에는 오피테스와 함께 언급되었으며, 이후의 설명은 이레네우스의 자료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인다. 세트파는 기독교, 중기 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만다교와 유사점을 보인다. 세트파 신학은 세트가 지식을 받았다는 믿음, 창세기에 대한 재해석, 그리고 플레로마, 데미우르고스, 소피아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다. 세트파 관련 문헌은 비기독교, 기독교, 후대 플라톤주의 영향을 받은 문헌으로 나뉘며, 나그 함마디 문서와 유다 복음서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리아-이집트 영지주의 - 바실리데스주의
    바실리데스주의는 2세기 알렉산드리아에서 바실리데스에 의해 창시된 영지주의의 한 분파로, 아브락사스를 숭배하고 마법과 신비로운 믿음을 가지며 이레나이우스 등에 의해 이단으로 비판받았다.
  • 시리아-이집트 영지주의 - 오피스파
    오피스파는 2세기경 영지주의 분파로, 구약성경의 신을 하위 창조신으로 보고 뱀을 지식의 상징으로 숭배했으며, 기독교 교부들의 비판과 여러 문헌을 통해 교의가 전해진다.
  • 고대 기독교 이단 - 마니교
    마니교는 3세기경 마니가 창시한 종교로,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우주관, 금욕주의, 종말론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종교 세력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그 영향이 중세 유럽과 동아시아까지 미쳤고, 현재는 대부분 소실된 경전의 파편과 번역본만 남아 있다.
  • 고대 기독교 이단 - 에비온파
    에비온파는 1세기에서 4세기경에 존재했던 유대계 기독교 종파로, 모세 율법을 철저히 준수하고 예수를 메시아로 인정했지만 그의 신성, 선재, 동정녀 탄생을 부정하는 독특한 신학적 견해를 가졌다.
  • 영지주의 - 데미우르고스
    데미우르고스는 그리스어로 장인을 의미하며, 플라톤 철학에서 물질 세계를 창조한 선량한 존재를 지칭하며, 유대교, 기독교, 영지주의, 신플라톤주의 등 다양한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영지주의 - 드루즈
    드루즈는 11세기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레반트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로, 파티마 칼리프 하킴을 신격화하며 이슬람 신비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고, 비밀주의적 성향을 띄며 레반트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세트파
기본 정보
뱀의 유혹을 받는 이브 (세트파)
"뱀의 유혹을 받는 이브 (세트파)"
다른 이름세트주의
세티아니즘
유형영지주의
기원2세기 ~ 3세기
창시자다양한 해석 존재 (명확한 창시자 없음)
중심 인물세트
이브
소피아
예수
주요 경전요한의 비밀
대 세트의 가르침
조스트리아노스
삼중 사고
이집트인의 복음
멜기세덱
노레아의 사고
영향 받은 종교영지주의
영향을 준 종교만다야교
소멸 시기6세기 이후 쇠퇴
특징
주요 교리세트를 신성한 존재로 숭배
물질 세계의 창조자를 무지하거나 악한 존재로 간주
인간 내면의 신성한 불꽃을 깨우는 것을 목표
특별한 지식 (그노시스)을 통해 구원받는다고 믿음
의례다양한 의례 존재 (구체적인 내용은 자료 부족으로 확인 불가)
윤리물질 세계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금욕적인 생활 추구
신관최고신과 하위 신들의 존재를 믿음 (플레로마)
인간관인간은 육체와 영혼으로 구성되며, 영혼은 신성한 기원을 가졌다고 믿음
역사
기원 및 발전2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 이집트에서 발생하여 발전
쇠퇴6세기 이후 다른 영지주의 종파와 함께 쇠퇴
종교 철학
이원론영적인 세계와 물질적인 세계를 엄격하게 구분하는 이원론적 세계관을 가짐
구원론그노시스(영적인 지식)을 통해 영혼이 물질 세계에서 벗어나 신과 합일되는 것을 구원의 목표로 함
창조론물질 세계는 불완전하거나 악한 존재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믿음

2. 역사

2. 1. 초기 역사와 언급

세트파(''Sethoitae'')는 2세기에 이레네우스와 가짜 테르툴리아누스에 의해 오피테스와 함께 처음 언급되었다. 그 이후의 설명은 대체로 이레네우스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히폴리투스는 이레네우스의 정보를 반복한다.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에 따르면 세트파는 당시 이집트와 팔레스타인에서만 발견되었지만, 50년 전에는 대 아르메니아까지 널리 퍼져 있었다.

필라스터의 ''이단 목록''은 오피테스, 카인파, 그리고 세트파를 기독교 이전의 유대교 종파로 분류한다. 그러나 세트파가 셋을 그리스도와 동일시했기 때문에(''위대한 셋의 두 번째 로고스''), 세트파가 기독교 이전의 기원을 가지고 있다는 필라스터의 믿음은, 유대교와 그리스 기독교 이전의 자료를 혼합주의적으로 흡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후의 학문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 2. 기원과 발전

한스-마르틴 쉔케는 나그 함마디 문서에 있는 여러 텍스트를 세트파로 분류한 최초의 학자 중 한 명이었다.[2]

존 D. 터너에 따르면, 영국과 프랑스 학계는 세트파를 "이단적 기독교적 사색"의 한 형태로 보는 경향이 있는 반면, 독일과 미국 학계는 이를 "뚜렷하게 내적 유대교적, 비록 혼합적이고 이단적인 현상"으로 본다. 로엘로프 반 덴 브로크는 "세트파"가 별도의 종교 운동이었던 적은 없을 수 있으며, 오히려 이 용어는 다양한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신화적 주제를 지칭한다고 언급한다. 터너에 따르면, 세트파는 기독교와 중기 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다음과 같은 6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쳤다.[2]

  • 1단계*: 기원후 2세기 이전에 존재했던 두 그룹, 즉 바르벨로의 이름을 딴 '바르벨로파'와 성경 주석가 그룹인 '세트파'가 세트파의 기초를 형성했다.

  • 2단계*: 2세기 중반, '바르벨로파'는 기독교 세례 그룹과 융합되었으며, 그리스도를 "자체 생성된 바르벨로의 아들"로 간주했다.

  • 3단계*: 기원후 2세기 후반, 기독교화된 바르벨로파는 세트파와 융합하여 영지주의 세트파를 형성했고, 세스와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참된 형상"의 전달자로 동일시되었다.

  • 4단계*: 2세기 말, 세트파는 가현설적 견해를 거부한 발전하는 기독교 정통주의와 분리되었다.

  • 5단계*: 3세기 초, 세트파는 기독교 이단학자들에 의해 완전히 거부되었고, 플라톤주의의 관조적 수행으로 전환했다.

  • 6단계*: 3세기 후반, 세트파는 플로티노스와 같은 신플라톤주의자들의 공격을 받았고, 4세기 초에서 중반에 여러 분파 영지주의 그룹으로 분열되었다.

2. 3. 만다교와의 관계

여러 학자들은 만다교와 세트파 사이에 많은 유사점을 지적해 왔다. 쿠르트 루돌프(1975)는 만다교 문서와 나그 함마디 문서에서 발견된 세트파 영지주의 문서 사이에 많은 유사점을 발견했다.[3] 비르거 A. 피어슨은 또한 세트파의 "다섯 개의 봉인"을 만다교의 마스부타와 비교했는데, 그는 이를 물 속에서 다섯 번의 의례적인 침례를 의미하는 것으로 믿고 있다.[4] 버클리(2010)에 따르면, "세트파 영지주의 문헌은 만다교의 세례 이념과 관련이 있으며, 아마도 동생과 같은 관계일 것이다."[5]

3. 신학

세트파에서, 세트는 하와와 아담의 셋째 아들로, 그에게 처음으로 지식(gnosis)이 내려왔으며, 세트파는 그를 자신들의 기원으로 여겼다. 노아의 아내 노레아 역시 만다교와 마니교에서 볼 수 있듯이 역할을 했을 수 있다. 세트파의 우주론적 신화창세기와 나머지 오경에 대한 서문을 제공하며, 정통 유대교의 창조 개념과 신성한 존재의 현실과의 관계에 대한 급진적인 재해석을 제시한다. 세트파의 우주론은 가장 유명하게는 ''요한의 외경''에 담겨 있는데, 이는 알 수 없는 신을 묘사한다. 세트파 신화는 신이 움직일 수 없고, 보이지 않으며, 만질 수 없고, 형언할 수 없다고 말하는 아포파틱 신학("부정 신학")으로 신에게 접근한다. 많은 세트파 개념은 헬레니즘 유대교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플라톤주의 또는 신플라톤주의 개념과 구약성경의 융합에서 파생되었다.
창조알 수 없는 신으로부터 유출된 ''영겁''에서, 여성과 남성 존재 한 쌍이 연이어 나타난다. 이들 중 첫 번째는 바르벨로이며, 이후 이어지는 유출에 공동으로 참여한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영겁들은 신의 다양한 속성을 나타내며, 근원에서 추상화되지 않으면 분간할 수 없다. 신과 영겁은 ''플레로마''로 알려진 영적 우주의 총체를 구성한다.

일부 신화에서 영겁 소피아는 신의 행동을 본떠 플레로마의 다른 영겁의 사전 승인 없이 자체적인 유출을 한다. 이로 인해 플레로마 내에서 위기가 발생하여 "사자 머리를 가진 뱀"인 ''얄다바오트''가 나타난다. 이 존재는 데미우르고스로 알려져 있으며,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나오는 "장인" 또는 "공예가"라는 의미를 지닌다.[6] 얄다바오트는 처음에는 소피아에게 숨겨지지만, 탈출하여 그녀에게서 신성한 힘의 일부를 훔친다.

얄다바오트는 훔친 힘으로 신성한 플레로마를 모방한 물질 세계를 창조한다. 이 작업을 위해 아르콘이라 불리는 "작은 통치자"이자 물질 세계의 장인인 존재 집단을 생성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동물의 머리를 가진 동물 의인화로 묘사된다.

세트파 이야기는 창세기의 사건과 일치하기 시작하며, 데미우르고스와 그의 아르콘 무리가 창조주의 역할을 수행한다. 창세기에서처럼 데미우르고스는 자신을 유일한 신이라 선언하며, 그보다 더 뛰어난 존재는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전 사건에 대한 청중의 지식은 이 진술과 창조자 자체의 본성을 근본적으로 다른 시각으로 비춘다.

데미우르고스는 자신도 모르게 아담의 그림자 "이미지"를 유출하며, 소피아로부터 훔친 힘의 일부를 첫 번째 물리적 인간의 몸으로 이전한다. 그는 잃어버린 힘을 격리하고 되찾기 위해 아담의 갈비뼈에서 이브를 창조한다. 그는 현재 소피아의 신성한 힘을 담고 있는 이브를 강간하려 시도한다. 여러 텍스트는 소피아의 영이 선악의 나무로 옮겨가면서 그가 실패하는 모습을 묘사한다. 그들은 위에 나타난 "독수리"로 나타난 그리스도의 인도를 받아 그들의 진정한 "본질"을 기억하도록 안내받아 신성한 인식의 나무를 먹는다.

세트파는 그 영지(그노시스)를 아담과 이브의 셋째 아들인 세트와 만다교와 마니교에서도 역할을 하는 세트의 여동생이자 아내인 노레아에 귀속시킨다. 세트파의 우주 진화론은 창세기토라를 답습하며, 정통 유대교도의 창조 개념과 신의 진실 간의 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재해석을 제시한다.
신학적 의의에덴 동산에서 일어난 사건에 대한 의미는 세트파(와 그 계승자)에 의해 근본적으로 변화되었다. 세트파는 인간의 나약함으로 인해 하나님의 명령을 어겼다는 관점보다는, 소피아에 관한 이야기에서처럼 물질의 무지를 만났을 때 신성한 충만함에 위기가 닥쳤음을 강조한다. 이브와 아담이 아르콘의 낙원에서 쫓겨난 것은 요한의 비밀 외경에서 암시된 "성스러운 계획"의 일부로서, 아르콘으로부터의 자유를 향한 선제적인 부분으로 여겨진다.

3. 1. 창조

알 수 없는 신으로부터 유출된 ''영겁''에서, 여성과 남성 존재 한 쌍이 연이어 나타난다. 이들 중 첫 번째는 바르벨로이며, 이후 이어지는 유출에 공동으로 참여한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영겁들은 신의 다양한 속성을 나타내며, 근원에서 추상화되지 않으면 분간할 수 없다. 신과 영겁은 ''플레로마''로 알려진 영적 우주의 총체를 구성한다.

일부 신화에서 영겁 소피아는 신의 행동을 본떠 플레로마의 다른 영겁의 사전 승인 없이 자체적인 유출을 한다. 이로 인해 플레로마 내에서 위기가 발생하여 "사자 머리를 가진 뱀"인 ''얄다바오트''가 나타난다. 이 존재는 데미우르고스로 알려져 있으며,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나오는 "장인" 또는 "공예가"라는 의미를 지닌다.[6] 얄다바오트는 처음에는 소피아에게 숨겨지지만, 탈출하여 그녀에게서 신성한 힘의 일부를 훔친다.

얄다바오트는 훔친 힘으로 신성한 플레로마를 모방한 물질 세계를 창조한다. 이 작업을 위해 아르콘이라 불리는 "작은 통치자"이자 물질 세계의 장인인 존재 집단을 생성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동물의 머리를 가진 동물 의인화로 묘사된다.

세트파 이야기는 창세기의 사건과 일치하기 시작하며, 데미우르고스와 그의 아르콘 무리가 창조주의 역할을 수행한다. 창세기에서처럼 데미우르고스는 자신을 유일한 신이라 선언하며, 그보다 더 뛰어난 존재는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전 사건에 대한 청중의 지식은 이 진술과 창조자 자체의 본성을 근본적으로 다른 시각으로 비춘다.

데미우르고스는 자신도 모르게 아담의 그림자 "이미지"를 유출하며, 소피아로부터 훔친 힘의 일부를 첫 번째 물리적 인간의 몸으로 이전한다. 그는 잃어버린 힘을 격리하고 되찾기 위해 아담의 갈비뼈에서 이브를 창조한다. 그는 현재 소피아의 신성한 힘을 담고 있는 이브를 강간하려 시도한다. 여러 텍스트는 소피아의 영이 선악의 나무로 옮겨가면서 그가 실패하는 모습을 묘사한다. 그들은 위에 나타난 "독수리"로 나타난 그리스도의 인도를 받아 그들의 진정한 "본질"을 기억하도록 안내받아 신성한 인식의 나무를 먹는다.

세트파는 그 영지(그노시스)를 아담과 이브의 셋째 아들인 세트와 만다교와 마니교에서도 역할을 하는 세트의 여동생이자 아내인 노레아에 귀속시킨다. 세트파의 우주 진화론은 창세기토라를 답습하며, 정통 유대교도의 창조 개념과 신의 진실 간의 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재해석을 제시한다.

3. 2. 신학적 의의

에덴 동산에서 일어난 사건에 대한 의미는 세트파(와 그 계승자)에 의해 근본적으로 변화되었다. 세트파는 인간의 나약함으로 인해 하나님의 명령을 어겼다는 관점보다는, 소피아에 관한 이야기에서처럼 물질의 무지를 만났을 때 신성한 충만함에 위기가 닥쳤음을 강조한다. 이브와 아담이 아르콘의 낙원에서 쫓겨난 것은 요한의 비밀 외경에서 암시된 "성스러운 계획"의 일부로서, 아르콘으로부터의 자유를 향한 선제적인 부분으로 여겨진다.

4. 세트파의 문헌

세트파와 관련된 문헌은 크게 비기독교 문헌, 기독교 문헌, 후대의 문헌(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음)으로 나뉜다. 대부분 현존하는 세트파 텍스트는 그리스어 원본을 콥트어로 번역한 형태로만 보존되어 있다. 나그 함마디 문서 발견 이전에는 영지주의 가르침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가 거의 없었다.


  • 비기독교 문헌
  • * 아담 계시록

  • 기독교 문헌
  • * 요한의 비밀 가르침
  • * 노레아의 생각
  • * 트리모르픽 프로테노이아
  • * 콥트어 이집트 복음서
  • * 유다 복음서

  • 후대의 문헌 (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음)
  • * 조스트리아노스
  • * 세트의 세 석주
  • * 마르세네스
  • * 알로게네스


나그 함마디 문서는 4세기에 영지주의 텍스트를 콥트어로 번역한 모음집으로,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의 367년 부활절 서한에 반발하여 숨겨진 것으로 보인다. 아타나시우스는 이 서한에서 정경에 속하지 않는 책의 사용을 금지했다.

나그 함마디 문서에는 ''아담의 묵시록'', ''요한의 외경'', ''노레아의 생각'', ''삼형태 프로테노이아'', ''위대한 보이지 않는 영의 성서''( ''이집트인의 콥트 복음서''라고도 함), ''조스트리아노스'', ''세트의 세 기둥'', ''마르사네스'', ''멜기세덱'', ''알로게네스'', ''위대한 세트의 두 번째 논문'', ''통치자들의 실체''( ''아르콘의 위상''이라고도 함), ''천둥, 완전한 마음'' 등이 있다.

유다 복음은 가장 최근에 발견된 영지주의 텍스트로, 내셔널 지오그래픽이 영어 번역본을 출판하여 주류의 관심을 받았다. 이 책은 유다 이스카리옷을 "열세 번째 영(악마)"[7]으로 묘사하며, 바르벨로에 대한 언급과 요한의 외경 및 기타 텍스트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바르벨로파 또는 세트파 영지주의와 연결된다.

4. 1. 주요 문헌

세트파와 관련된 주요 문헌은 다음과 같다.

  • 비기독교 문헌
  • * 아담 계시록

  • 기독교 문헌
  • * 요한의 비밀 가르침
  • * 노레아의 생각
  • * 트리모르픽 프로테노이아
  • * 콥트어 이집트 복음서
  • * 유다 복음서

  • 후대의 문헌 (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음)
  • * 조스트리아노스
  • * 세트의 세 석주
  • * 마르세네스
  • * 알로게네스


대부분의 현존하는 세트파 텍스트는 그리스어 원본을 콥트어로 번역한 형태로만 보존되어 있다. 나그 함마디 문서의 발견 이전에는 영지주의 가르침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가 거의 없었다. 나그 함마디 문서는 4세기에 영지주의 텍스트를 콥트어로 번역한 모음집으로, 아마도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의 367년 부활절 서한에 반발하여 숨겨진 것으로 보인다. 아타나시우스는 이 서한에서 정경에 속하지 않는 책의 사용을 금지했다.

유다 복음은 가장 최근에 발견된 영지주의 텍스트이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는 이 책의 영어 번역본을 출판하여 주류의 관심을 받게 했다. 이 책은 유다 이스카리옷을 "열세 번째 영(악마)"[7]으로 묘사하며, 그는 제자들이 사클라스에게 바친 악한 희생을 "나를 입은 사람(예수)"을 희생함으로써 "뛰어넘었다"[8]고 묘사한다. 바르벨로에 대한 언급과 요한의 외경 및 기타 텍스트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이 텍스트는 바르벨로파 또는 세트파 영지주의와 연결된다.

4. 2. 기타 문헌

세트파와 관련된 문헌은 크게 비기독교 문헌, 기독교 문헌, 후대의 문헌(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음)으로 나뉜다. 대부분의 현존하는 세트파 텍스트는 그리스어 원본을 콥트어로 번역한 형태로만 보존되어 있다. 나그 함마디 문서 발견 이전에는 영지주의 가르침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가 거의 없었다.

  • 비기독교 문헌
  • * 아담 계시록(Apocalypse of Adam)

  • 기독교 문헌
  • * 요한의 비밀 가르침(Apocryphon of John)
  • * 노레아의 생각(Thought of Norea)
  • * 트리모르픽 프로테노이아(Trimorphic Protennoia)
  • * 콥트어 이집트 복음서(Coptic Gospel of the Egyptians)
  • * 유다 복음서(Gospel of Judas)

  • 후대의 문헌 (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음)
  • * 조스트리아노스(Zostrianos)
  • * 세트의 세 석주(Three Steles of Seth)
  • * 마르세네스(Marsenes)
  • * 알로게네스(Allogenes)


나그 함마디 문서는 4세기에 영지주의 텍스트를 콥트어로 번역한 모음집으로,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의 367년 부활절 서한에 반발하여 숨겨진 것으로 보인다. 아타나시우스는 이 서한에서 정경에 속하지 않는 책의 사용을 금지했다.

나그 함마디 문서에는 ''아담의 묵시록'', ''요한의 외경'', ''노레아의 생각'', ''삼형태 프로테노이아'', ''위대한 보이지 않는 영의 성서''( ''이집트인의 콥트 복음서''라고도 함), ''조스트리아노스'', ''세트의 세 기둥'', ''마르사네스'', ''멜기세덱'', ''알로게네스'', ''위대한 세트의 두 번째 논문'', ''통치자들의 실체''( ''아르콘의 위상''이라고도 함), ''천둥, 완전한 마음'' 등이 있다.

유다 복음은 가장 최근에 발견된 영지주의 텍스트로, 내셔널 지오그래픽이 영어 번역본을 출판하여 주류의 관심을 받았다. 이 책은 유다 이스카리옷을 "열세 번째 영(악마)"[7]으로 묘사하며, 바르벨로에 대한 언급과 요한의 외경 및 기타 텍스트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바르벨로파 또는 세트파 영지주의와 연결된다.

참조

[1] 서적 Paradise Reconsidered in Gnostic Mythmaking: Retaining Sethianism in Light of the Ophite Evidence BRILL 2009-10-31
[2] 논문 "Das sethianische System nach Nag-Hammadi-Handschriften," in: P. Nagel (ed.), ''Studia Coptica'' Akademie-Verlag 1974
[3] 논문 “Coptica-Mandaica, Zu einigen Übereinstimmungen zwischen Koptisch-Gnostischen und Mandäischen Texten,” in ''Essays on the Nag Hammadi Texts in Honour of Pahor Labib'' Brill 1975
[4] 서적 Ablution, Initiation, and Baptism De Gruyter 2011-07-14
[5] 간행물 Mandaean-Sethian connections https://poj.peeters-[...] 2010
[6]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7] 문서 Gospel of Judas
[8] 문서 Gospel of Judas
[9] 서적 Paradise Reconsidered in Gnostic Mythmaking: Retaining Sethianism in Light of the Ophite Evidence BRILL 2009-10-31
[10] 학술지 アルコーンの本質 : ナグ・ハマディ 写本II, 4 1997
[11] 웹인용 Sethian Gnosticism http://jdt.unl.edu/l[...] 2012-12-11
[12] 인용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