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틀-미르 계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셔틀-미르 계획은 1990년대 미국과 러시아 간의 협력 우주 프로그램으로, 미국의 우주왕복선을 러시아의 우주 정거장 미르에 도킹하여 우주 비행사 교대, 물자 수송,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 이 계획은 1975년 아폴로-소유스 테스트 프로젝트의 연장선상에서 냉전 종식 후 양국 간의 협력을 통해 국제 우주 정거장(ISS) 건설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총 9번의 우주왕복선이 미르에 도킹했으며, 여러 차례의 우주 비행사 교대와 과학 실험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미르의 노후화로 인한 안전 문제, 특히 1997년의 화재와 충돌 사고는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셔틀-미르 계획은 국제 협력의 초석을 다지고 기술 발전에 기여했지만, 1998년 STS-91 임무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르 - 소유스 T-15
소유스 T-15는 1986년에 발사되어 미르 우주 정거장과 살류트 7호에서 임무를 수행한 소유스-T 우주선의 마지막 임무이다. - 유인 우주 계획 - 우주의학
우주의학은 우주 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우주 비행사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학 분야로, 장기간 우주 체류가 인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밝혀내어 우주 방사선, 무중력 상태 등에 대한 대처 방안을 연구하며 지구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는 우주 기술 파생품 개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유인 우주 계획 - 아르테미스 계획
아르테미스 계획은 2024년까지 우주 비행사를 달에 보내고 지속 가능한 유인 기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NASA가 추진하는 달 탐사 프로그램이며, 국제 협력을 통해 루나 게이트웨이를 건설하고 민간 기업의 착륙선을 활용하며 높은 비용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우주왕복선 계획 -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공중분해 사고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공중분해 사고는 2003년 2월 1일 대기권 재진입 중 열 차폐 시스템 손상으로 인해 우주왕복선이 공중 분해되어 승무원 7명이 사망한 사고이다. - 우주왕복선 계획 - 올랜도 국제공항
올랜도 국제공항(MCO)은 플로리다주 올랜도에 위치한 주요 공항으로, 과거 군사 기지였던 맥코이 공군기지에서 유래되었으며, 1975년 민간 공항으로 전환되어 미국에서 다섯 번째로 큰 공항으로 운영되고 있다.
| 셔틀-미르 계획 | |
|---|---|
| 개요 | |
| 프로그램 명칭 | 셔틀-미르 프로그램 |
| 러시아어 명칭 | Программа «Мир» — «Шаттл» |
| 주요 정보 | |
| 국가 | 러시아 미국 |
| 주관 기관 | PKA NASA |
| 상태 | 완료 |
| 일정 | |
| 첫 비행 | 1994년 2월 3일 (STS-60) |
| 마지막 비행 | 1998년 6월 2일 (STS-91) |
| 발사 장소 | |
| 발사 장소 | 케네디 우주 센터 바이코누르 |
| 운송 수단 | |
| 탑승체 | 스페이스 셔틀 미르 소유스 |
| 이미지 | |
![]() | |
2. 역사적 배경
셔틀-미르 프로그램의 기원은 1975년 아폴로-소유스 테스트 프로젝트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프로젝트는 데탕트 시기 냉전 동안 미국과 소련의 공동 임무로, 미국 아폴로 우주선과 소련 소유스 우주선의 도킹으로 이어졌다. 이후 1970년대에 NASA와 인테르코스모스 간에 우주왕복선 임무를 살류트 우주 정거장으로 발사하는 "셔틀-살류트"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1980년대에는 미래의 소련 셔틀을 부란 프로그램에서 미래의 미국 우주 정거장으로 발사하는 것까지 고려되었다. 그러나 "셔틀-살류트" 프로그램은 소련 인테르코스모스 프로그램이 존재할 당시에는 실현되지 못했다.[2]
2. 1. 냉전 시대의 우주 경쟁
소련 해체 이후, 냉전과 우주 경쟁이 끝나면서 1980년대 초부터 계획되었던 미국 모듈형 우주 정거장 (''프리덤'')에 대한 자금 지원이 줄어들었다.[3] 비슷한 예산 문제에 직면한 다른 우주 정거장 프로젝트 국가들도 있었고, 이에 따라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1990년대 초에 유럽, 러시아, 일본, 캐나다와 협력하여 다국적 우주 정거장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3]러시아 연방은 소련과 그 우주 프로그램의 많은 부분을 계승하면서 소련 이후 경제 혼란으로 경제 상황이 악화되어 러시아 우주 정거장 프로그램의 재정적 문제도 심화되었다. 노후화된 ''미르''를 대체할 미르-2 우주 정거장의 건설은 그 기본 블록인 DOS-8이 건설된 이후에나 가능성이 없어졌다.[3] 이러한 상황은 셔틀-미르 프로그램을 통해 이전의 적대국들을 하나로 묶었으며, 이는 여러 국제 파트너들과의 공동 프로젝트인 국제 우주 정거장으로 가는 길을 열었다.[4]
1980년대 초, NASA는 소련의 살류트와 미르 우주 정거장에 대항하여, 모듈식 프리덤 우주 정거장을 계획하고 있었다. அதே 시기, 소련은 1990년대에 미르를 대체할 미르-2를 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예산과 설계 제약 때문에 프리덤 기지는 모형(모크업)과 소규모 테스트에 그쳤고, 1991년 말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와 그에 따른 냉전과 우주 개발 경쟁의 종료를 이유로 진전되지 못하여, 미국 하원에서 근소한 차이로 취소되었다. 소비에트 붕괴 후 경제 혼란 속에 있던 러시아 연방 또한 미르-2 계획의 중심이 될 DOS-8을 건설한 후에 계획을 중지했다.
2. 2. 소련 붕괴와 새로운 협력
소련 해체와 함께 냉전 및 우주 경쟁이 종식되면서, 1980년대 초부터 계획되었던 미국의 모듈형 우주 정거장 '프리덤' 건설은 자금 지원 삭감에 직면했다.[3] 다른 국가들 역시 유사한 예산 문제에 직면했고, 이에 따라 1990년대 초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유럽, 러시아, 일본, 캐나다 등과 협력하여 다국적 우주 정거장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3]러시아 연방은 소련과 그 우주 프로그램의 상당 부분을 계승했지만, 소련 붕괴 이후의 경제 혼란으로 인해 재정 문제가 심각했다. 노후화된 '미르'를 대체하기 위한 미르-2 우주 정거장 건설은 기본 블록인 DOS-8이 건설된 후에도 실현 가능성이 낮아졌다.[3] 이러한 상황은 이전의 적대 관계였던 미국과 러시아를 셔틀-미르 프로그램으로 묶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여러 국제 파트너들과의 공동 프로젝트인 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로 이어졌다.[4]
1992년 6월, 조지 H.W. 부시 미국 대통령과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은 '우주의 평화적 탐사 및 이용에 관한 미국과 러시아 연방 간의 협력 협정'에 서명하고 우주 탐사 협력에 합의했다. 이 협정에 따라 미국 우주 비행사 1명이 러시아 우주 정거장 '미르'에 탑승하고, 러시아 우주 비행사 2명이 우주왕복선에 탑승하는 단기 공동 우주 프로젝트가 수립되었다.[3]
1993년 9월, 앨 고어 미국 부통령과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러시아 총리는 새로운 우주 정거장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것이 결국 국제 우주 정거장이 되었다.[5] 이들은 또한 새로운 프로젝트 준비를 위해 미국이 "단계 1"이라는 암호명으로 향후 수년간 '미르' 프로젝트에 대규모로 참여하는 데 합의했다.[6]
이 프로그램은 미국 정부에게 외교적 통로를 제공하여 NASA가 재정난에 시달리는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러시아 정부가 '미르' 운영을 지속하고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 전체를 유지하며 미국과의 우호 관계를 보장하는 데 기여했다.[9][10]
2. 3. 셔틀-미르 프로그램의 시작
셔틀-미르 프로그램의 기원은 1975년 아폴로-소유스 테스트 프로젝트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프로젝트는 데탕트 시기 냉전 동안 미국과 소련의 공동 임무로, 미국 아폴로 우주선과 소련 소유스 우주선이 도킹하는 결과를 낳았다. 1970년대에는 NASA와 인테르코스모스 간에 우주왕복선 임무를 '살류트' 우주 정거장으로 발사하는 "셔틀-''살류트''"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1980년대에는 미래의 소련 셔틀을 부란 프로그램에서 미래의 미국 우주 정거장으로 발사하는 것까지 고려되었다. 그러나 "셔틀-''살류트''" 프로그램은 소련 인테르코스모스 프로그램이 존재할 당시에는 실현되지 못했다.[2]소련 해체 이후, 냉전과 우주 경쟁이 종식되면서 1980년대 초부터 계획되었던 미국의 모듈형 우주 정거장(''프리덤'')에 대한 자금 지원이 삭감되었다.[3] 비슷한 예산 문제에 직면한 다른 국가들도 있었고, 이에 따라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1990년대 초에 유럽, 러시아, 일본, 캐나다의 파트너들과 협력적인 다국적 우주 정거장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3] 러시아 연방에서는 소련 이후 경제 혼란으로 인해 러시아 우주 정거장 프로그램의 재정적 문제도 심화되었다. 노후화된 ''미르''를 대체할 미르-2 우주 정거장의 건설은 그 기본 블록인 DOS-8이 건설된 이후에나 가능성이 없어졌다.[3]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셔틀-미르 프로그램으로 이전의 적대국들이 하나로 묶였으며, 이는 여러 국제 파트너들과의 공동 프로젝트인 국제 우주 정거장으로 가는 길을 열었다.[4]

1992년 6월, 미국 대통령 조지 H.W. 부시와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은 ''우주의 평화적 탐사 및 이용에 관한 미국과 러시아 연방 간의 협력 협정''에 서명하여 우주 탐사에 대한 협력에 합의했다. 이 협정은 미국 우주 비행사 1명이 러시아 우주 정거장 ''미르''에 탑승하고 러시아 우주 비행사 2명이 우주왕복선에 탑승하는 단기 공동 우주 프로젝트를 설정하도록 요구했다.[3]
1993년 9월, 미국 부통령 앨 고어와 러시아 총리 빅토르 체르노미르딘은 새로운 우주 정거장에 대한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는 결국 국제 우주 정거장이 되었다.[5] 그들은 또한 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준비하기 위해, 미국이 "단계 1"이라는 암호명으로 앞으로 수년간 ''미르'' 프로젝트에 크게 참여할 것에 합의했다 (ISS 건설은 "단계 2").[6]
''미르''로의 첫 우주왕복선 비행은 STS-63에서 도킹 없이 랑데뷰 임무로 이루어졌다. 이어서 STS-71부터 STS-91까지 9번의 셔틀-미르 도킹 임무가 수행되었다. 우주왕복선은 승무원을 교대하고 물품을 전달했으며, STS-74 임무에서는 도킹 모듈과 한 쌍의 태양 전지판을 ''미르''로 운반했다. 다양한 과학 실험도 우주왕복선 비행과 정거장에서 장기간에 걸쳐 수행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또한 ''스펙트르''와 ''프리roda''의 두 개의 새로운 모듈을 ''미르''에 발사하여, 미국 우주 비행사들이 거주 공간과 실험실로 사용하여 정거장에서 대부분의 과학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임무를 통해 NASA와 로스코스모스는 국제 파트너와 우주에서 함께 작업하는 최선의 방법과 ISS에서 해야 할 대형 우주 정거장 조립과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7][8]
이 프로젝트는 또한 미국 정부의 정치적 술책으로, NASA가 심각하게 자금 부족에 시달리는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외교적 채널을 제공했다. 이는 다시 새로 출범한 러시아 정부가 ''미르''의 운영을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 전체를 유지하여 러시아 정부가 미국에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도록 보장했다.[9][10]
3.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셔틀-미르 계획은 "페이즈 1"이라고도 불리며, NASA와 로스코스모스 간의 협력을 통해 미국이 러시아의 장기 우주 비행 경험을 배우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93년 발표 후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진행된 이 계획은 우주왕복선 11회 비행과 소유스 비행을 통해 7명의 미국 우주비행사가 장기간 우주에 체류하며, 총 900일 가까이 우주에 머무는 기록을 세웠다.[9][10]
이 과정에서 미국 우주비행사의 소유스 우주선 탑승, 사상 최대 우주 정거장 조립, 미국인의 러시아 오를란 우주복 착용 우주 유영 등 양국에 많은 "최초" 기록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4년간의 계획 동안 화재 및 프로그레스 충돌 사고로 인한 미르의 안전성 문제, 러시아 우주 계획의 재정 부족, 계획 관리자에 대한 우주비행사들의 불만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여 계획이 중단되기도 했다.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 정거장 공동 운영 경험은 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을 위한 기술, 국가 간 협력, 위험 회피, 문화적 차이 극복 등에 대한 귀중한 경험을 제공하여, 현재 국제 우주 정거장의 원활한 운영에 기여했다.
하지만 계획 중 발생한 위험에 대한 투자 대비 효과, 러시아의 자금 부족, 미국의 목표 의식 부족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셔틀-미르 계획은 국가 간 우주 사업 협력의 길을 열었으며, 후속 국제 우주 정거장(ISS) 건설 계획인 "페이즈 2"의 준비 단계가 되었다.
3. 1. 우주왕복선과 미르의 결합
1996년, 미국의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가 STS-76 임무를 통해 발사되면서 셔틀-미르 계획의 일환으로 미국 우주비행사의 미르 체류가 시작되었다. 섀넌 루시드는 미르에 합류한 두 번째 교대 근무 우주비행사이자, 미르에 체류한 최초의 미국 여성 우주비행사가 되었다. STS-76은 미르와의 세 번째 도킹 임무였으며, Spacehab 모듈을 통해 물자 보급 능력을 향상시키고, 미르의 도킹 모듈에 실험 장비를 설치했다. 또한, 우주 유영을 통해 국제 우주 정거장 조립 임무를 위한 귀중한 경험을 얻었다.[31]루시드는 고체 로켓 부스터 문제로 인해 예정보다 6주 연장된 188일 동안 미르에 체류하며 미국 단일 우주 비행 기록을 세웠다. 그녀는 약 약 997.90kg의 미국 과학 장비가 실린 ''Priroda'' 모듈을 이용하여 28가지 과학 실험을 수행했다.[20][32]
thumb 동안 미르에 도킹한 우주 왕복선 ''아틀란티스''. ''미르''의 ''크리스탈'' 및 도킹 모듈 뒤로 ''아틀란티스''의 승무원실, 기수 및 페이로드 베이 일부가 보인다.|alt=흰색 단열재로 덮인 모듈과 주황색 단열재로 덮인 작은 모듈이 연결된 모습. 주황색 모듈에 부착된 우주 왕복선의 일부가 보이며, 접히고 펼쳐진 여러 개의 태양 전지판이 보인다. 지구의 가장자리가 배경을 이룬다.]]
STS-79 임무를 통해 ''아틀란티스''는 루시드의 체류를 종료시키고, 이중 Spacehab 모듈을 탑재하여 약 1814.37kg 이상의 보급품을 미르에 전달했다. 또한, 약 약 907.18kg의 실험 샘플과 장비를 지구로 가져왔다.[33]
네 번째 도킹에서는 존 블라하가 미르로 이동하여 거주 교대 근무를 시작했다. 그는 두 번의 우주 유영을 통해 12년 된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전력 커넥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태양광 발전 어레이에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블라하는 4개월 동안 Mir-22 우주비행사 승무원과 함께 재료 과학, 유체 역학, 생명 과학 연구를 수행한 후 STS-81 미션을 통해 지구로 귀환했다.[20][34]
셔틀-미르 계획을 통해 우주왕복선은 11차례 미르를 방문하여 승무원과 물자를 운송하고, STS-74에서는 미르 도킹 모듈과 짝을 이루는 태양 전지를 포함한 새로운 부품을 운반했다. 또한, 스펙트르와 프리로드 모듈 발사를 통해 미국의 우주 비행사들은 거주 공간과 연구실을 확보하고 다양한 과학 실험을 수행했다.
3. 2. 우주 실험 및 기술 개발
1996년 3월 22일, STS-76 미션을 통해 ''아틀란티스'' 우주왕복선이 발사되면서 섀넌 루시드가 미르에 합류하여 미국의 지속적인 미르 체류가 시작되었다. STS-76은 미르에 도킹하는 세 번째 미션으로, Spacehab 모듈을 통해 물류 지원 능력을 향상시키고, 미르 도킹 모듈에 실험 장비를 설치했다. 이는 도킹된 우주선 주변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우주 유영이었다.[31]루시드는 미르에 체류한 최초의 미국 여성 우주비행사가 되었으며, 셔틀의 고체 로켓 부스터 문제로 6주 연장된 근무 기간을 거쳐 188일간의 임무를 수행하며 미국 단일 우주 비행 기록을 세웠다. 루시드는 미르에 머무는 동안 약 약 997.90kg의 미국 과학 장비가 실린 ''Priroda'' 모듈을 통해 28가지 과학 실험을 수행했다.[20][32]
thumb 동안 미르에 도킹한 우주 왕복선 ''아틀란티스''. ''미르''의 ''크리스탈'' 및 도킹 모듈 뒤로 ''아틀란티스''의 승무원실, 기수 및 페이로드 베이 일부가 보인다.|alt=흰색 단열재로 덮인 모듈과 주황색 단열재로 덮인 작은 모듈이 연결된 모습. 주황색 모듈에 부착된 우주 왕복선의 일부가 보이며, 접히고 펼쳐진 여러 개의 태양 전지판이 보인다. 지구의 가장자리가 배경을 이룬다.]]
STS-79 미션에서는 이중 Spacehab 모듈을 탑재하고 미르에 약 1814.37kg 이상의 보급품을 전달했으며, 초전도 현상, 연골 발달, 기타 생물학 연구를 포함한 실험을 수행했다. 약 약 907.18kg의 실험 샘플과 장비도 미르에서 ''아틀란티스''로 다시 옮겨졌다.[33]
존 블라하는 미르에서 4개월 동안 Mir-22 우주비행사 승무원과 함께 재료 과학, 유체 역학, 생명 과학 연구를 수행했다.[20][34]
STS-81 미션에서는 우주에서 생명 주기를 완료한 최초의 식물인 섀넌 루시드가 심은 밀 작물을 지구로 돌려보냈다. 또한, 국제 우주 정거장의 ''즈베즈다'' 모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우주왕복선 트레드밀 진동 절연 및 안정화 시스템(TVIS)을 시험했다.[35]
제리 리닝거는 러시아제 오를란-M 우주복을 시험하고, 러시아 우주 비행사 바실리 츠블리예프와 함께 우주 유영을 수행했다. 리닝거는 임무 수행 중 궤도 우주선에서 발생한 가장 심각한 화재, 다양한 시스템 고장, 프로그레스 보급 화물선과의 충돌 직전 상황, 정거장 전체의 전력 손실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3][9][10][20]
마이클 포알의 임무에서는 ESA의 자동 이송선(ATV)이 국제 우주 정거장에 접근하기 위해 설계된 유럽 센서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했다.[20][36]
포알의 임무 중에는 보급선이 ''스펙트르'' 모듈의 태양 전지판과 충돌하여 정거장의 압력이 손실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는 우주 비행 역사상 최초의 궤도 감압이었다. 승무원들은 ''스펙트르''의 해치를 닫아 소유즈 구명정을 타고 정거장을 포기할 필요가 없도록 했다.[1][20]
''스펙트르'' 격리 후 손실된 전력 및 시스템의 일부를 복구하고 누출 지점을 찾기 위해, ''미르''의 새로운 사령관 아나톨리 솔로비예프와 비행 기술자 파벨 비노그라도프는 구조 작업을 수행했다. 포알과 솔로비예프는 손상된 모듈을 검사하기 위해 ''스펙트르'' 표면에서 6시간의 EVA를 수행했다.[20][37]
이러한 사건 이후에도 NASA 관리자 다니엘 골딘은 프로그램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10] STS-86은 1997년 마지막 우주왕복선–''미르'' 도킹을 수행했으며, 승무원 티토프와 파라진스키는 우주왕복선 임무 중 최초의 미국-러시아 합동 선외 활동을 수행했다.[20][38]
3. 3. 인크리먼트 (Increments)
페이즈 1은 ''미르''로의 우주왕복선 비행 외에도, 미국 우주비행사들이 ''미르''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7개의 "Increment" 임무를 특징으로 했다. 노먼 타가드, 섀넌 루시드, 존 블라하, 제리 리닝거, 마이클 포일, 데이비드 울프, 앤드류 토마스 등 7명의 우주비행사들은 ''미르'' 운영과 우주정거장으로의 수송에 사용되는 소유즈 우주선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훈련을 받기 위해 순차적으로 스타 시티로 파견되었다. 이들은 ''미르'' 외부에서의 우주 유영 수행 연습과 러시아어 수업도 받았다. 이는 우주정거장에 탑승한 다른 우주비행사들과 러시아 미션 통제 센터인 추프와 임무 기간 동안 대화하는 데 사용되었다.[10]
''미르'' 탑승 기간 동안, 우주비행사들은 작물과 결정 성장 등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고 지구의 사진을 수백 장 촬영했다. 또한 화재, 충돌, 전력 손실, 통제 불능 상태의 회전, 유독 가스 누출 등 다양한 사고 이후 노후화된 우주정거장의 유지 보수 및 수리를 지원했다. 미국 우주비행사들은 총 1,000일 가까이 ''미르''에 머물면서, NASA는 우주비행사 심리학, 우주정거장 탑승 승무원을 위한 실험 일정 구성의 최적 방법에 특히 초점을 맞춰 장기간 우주 비행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9][10]
left 이후 디스커버리에서 촬영한 미르의 외관|alt=A cluster of cylindrical modules with projecting feathery solar arrays, with Earth's horizon visible in the background.]]
3. 4. 미르 우주 정거장
''미르''는 세계 최초의 모듈식 우주 정거장으로, 1986년부터 1996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소련이 1971년 이래 7회 발사한 살류트 우주정거장 시리즈를 기초로 만들어졌다. 미르는 인간이 계속해서 거주할 수 있는 최초의 우주 실험실이었으며, 우주에서 인간이 가장 오래 체류한 기록(10년에서 8일이 모자라는 기간)도 보유했었다.[3]미르의 목적은 크고 거주 가능한 우주 과학 실험실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인테르코스모스와 셔틀-''미르''를 포함한 여러 국제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나라의 우주인들이 미르를 이용했다.[3]
미르는 주로 소유스 우주선과 프로그레스 화물 우주선에 의해 운영되었다. 원래는 취소된 부란 우주왕복선의 목적지로도 사용될 예정이었다. 미국의 우주 왕복선과의 도킹에 사용된 연결부인 Androgynous Peripheral Attach System은 원래 부란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었다. 여기에 미국의 프리덤 우주 정거장을 위해 설계된 브라켓이 마운트되어서 미국 우주 왕복선과 미르 우주 정거장이 도킹을 하게 되었다.[3]
우주왕복선이 ''미르''에 도킹되면서, 임시로 확장된 생활 및 작업 공간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우주선이 되었으며, 총 질량은 250MT에 달했다.[3][11]
미르는 2001년 3월 23일까지 존재했으며, 대기권으로 재진입하여 소멸됐다.[3]
3. 5. 우주왕복선
NASA의 우주왕복선은 공식적으로 우주 수송 시스템(Space Transportation System, STS)이라고 불렸다. 컬럼비아, 챌린저, 디스커버리, 애틀랜티스, 인데버까지 모두 5개의 궤도선(orbiter)이 제작되었다.[12] 2011년 10월 전 기종 퇴역하였다.날개가 달린 셔틀은 수직으로 발사되며, 보통 5명에서 7명의 우주인이 탑승한다. 원래 8인 탑승이 가능하며, 비상시에는 11명도 탑승할 수 있다. 약 22679.60kg의 화물을 지구 저궤도에 운반할 수 있었다. 임무가 완료되면, 귀환을 위해 maneuvering thruster를 점화한다. 착륙할 때까지 궤도선은 글라이더와 같이 완전히 무동력으로 비행하여 착륙한다.[68][69]
셔틀은 부분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최초의 궤도 비행 우주선이었다. 셔틀은 큰 화물들을 다양한 궤도에 운반할 수 있었다. 셔틀-미르 프로그램과 ISS 프로그램에서, 셔틀은 승무원들을 교체하고, 다양한 물자, 우주 정거장 모듈, 각종 장비들을 우주 정거장에 운반했다. 각각의 셔틀은 100회의 발사 또는 10년의 운영 수명을 갖도록 설계되었다.[14][15]
셔틀-미르 계획 실행 중, 미르에는 디스커버리, 애틀랜티스, 인데버 3기가 도달했으며, 특히 애틀란티스는 1995년부터 1997년까지 7회 연속으로 미르에 임무를 수행했다. 컬럼비아는 가장 오래된 궤도선으로, 무게도 무거웠고 51.6도의 궤도 경사각을 가진 미르에는 효율적인 운용이 어려웠으며, 스테이션과의 도킹에 필요한 외부 에어록이 갖춰져 있지 않아 미르와의 도킹은 이루어지지 않았다.[70][71][72]
4. 연표
| 미션 | 발사 날짜 | 우주왕복선 | 패치 | 승무원 | 비고 |
|---|---|---|---|---|---|
| STS-60 | 1994년 2월 3일 | 디스커버리 | ![]() | 찰스 볼든 외 5명 | 셔틀-미르 계획 첫 비행, 러시아 우주비행사 세르게이 크리카레프가 미국 우주선에 처음 탑승, 웨이크 실드 시설 배치, 스페이스랩 단일 모듈 탑재 |
| STS-63 | 1995년 2월 3일 | 디스커버리 | ![]() | 제임스 웨더비 외 5명 | 미르와 최초의 우주왕복선 랑데부 |
| 소유즈 TM-21 | 1995년 3월 14일 | ![]() | 블라디미르 데주로프 외 2명 | 미르 EO-18 승무원 인도, 미국 우주비행사 노먼 시그마드가 러시아 우주선에 처음 탑승, 노먼 시그마드 장기 체류 | |
| STS-71 | 1995년 6월 27일 | 아틀란티스 | ![]() | 로버트 깁슨 외 6명 | 최초의 우주왕복선-미르 도킹, 미르 EO-19 승무원 인도, 미르 EO-18 승무원 귀환 |
| STS-74 | 1995년 11월 12일 | 아틀란티스 | ![]() | 케네스 캐머런 외 4명 | 미르 도킹 모듈 인도, 크리스 해드필드는 미르를 방문한 최초이자 유일한 캐나다인 |
| STS-76 | 1996년 3월 22일 | 아틀란티스 | ![]() | 케빈 칠턴 외 5명 | 섀넌 루시드 장기 체류, 스페이스랩 단일 모듈 탑재 |
| STS-79 | 1996년 9월 16일 | 아틀란티스 | 윌리엄 레디 외 5명 | 스페이스랩 이중 모듈의 첫 비행, 존 블라하 장기 체류, 섀넌 루시드 귀환 | |
| STS-81 | 1997년 1월 12일 | 아틀란티스 | ![]() | 마이클 베이커 외 5명 | 스페이스랩 이중 모듈 탑재, 제리 리넨저 장기 체류, 존 블라하 귀환 |
| STS-84 | 1997년 5월 15일 | 아틀란티스 | 찰스 프리코트 외 6명 | 스페이스랩 이중 모듈 탑재, C. 마이클 포알 장기 체류, 제리 리넨저 귀환 | |
| STS-86 | 1997년 9월 26일 | 아틀란티스 | 제임스 웨더비 외 6명 | 스페이스랩 이중 모듈 탑재, 블라디미르 티토프는 우주복을 사용한 최초의 러시아 우주 비행사, 데이비드 울프 장기 체류, C. 마이클 포알 귀환 | |
| STS-89 | 1998년 1월 31일 | 엔데버 | 테렌스 윌컷 외 6명 | 스페이스랩 이중 모듈 탑재, 앤드류 토마스 장기 체류, 데이비드 울프 귀환 | |
| STS-91 | 1998년 6월 2일 | 디스커버리 | 찰스 프리코트 외 5명 | 스페이스랩 이중 모듈 탑재, 마지막 우주왕복선-미르 미션, 앤드류 토마스 귀환 |
4. 1. 1994년: 협력의 시작
STS-60 미션은 1994년 2월 3일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의 발사로 시작되었다. 8일간의 이 임무는 그 해의 첫 우주왕복선 비행이었고, 러시아 우주비행사 세르게이 크리칼레프가 미국 우주왕복선에 탑승한 첫 비행이었다. 이는 우주 개발 경쟁이 시작된 지 37년 만에 미국과 러시아 간의 우주 협력이 크게 증가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19]이 임무는 인간 우주 비행에 관한 조약의 일부였으며, 스페이스랩 가압 모듈의 두 번째 비행이자, 100번째 "게터웨이 스페셜" 탑재체가 우주로 발사된 것을 기념하는 비행이었다. 이 임무의 주요 탑재체는 첨단 전자 제품을 위한 새로운 반도체 필름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장치인 웨이크 쉴드 시설(WSF)이었다. WSF는 비행 과정에서 ''디스커버리''의 로봇 팔 끝에 실려 비행했다.
임무 수행 중 ''디스커버리''에 탑승한 우주 비행사들은 궤도선의 화물칸에 있는 스페이스랩 모듈에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했으며, ''미르''에 탑승한 세 명의 우주 비행사 발레리 폴랴코프, 빅토르 아파나시에프, 유리 우사체프 (''미르'' 원정 LD-4 및 EO-15 비행) 간의 양방향 오디오 및 다운링크 비디오 연결에 참여했다.[16][20][21]
4. 2. 1995년: 미르로의 여정
STS-63 (디스커버리) 미션은 1995년 2월 3일에 발사되어 셔틀-미르 계획의 두 번째 우주 비행을 시작했다. 이 미션에는 아이린 콜린스가 최초의 여성 셔틀 조종사로,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치토프가 승무원으로 참여했다. 8일간의 "미르 근접" 미션은 미르와 셔틀의 첫 랑데부 비행이었으며, 셔틀은 미르와 최소 11m 거리에 도달했다. 랑데부 후, 스테이션 근처를 비행하고 귀환했다. 이 미션은 STS-71의 첫 도킹 미션의 예행 연습이었으며, 이후 미션에서 사용될 다양한 기술과 기계 부품의 시험도 진행되었다.[20][22][23]소유즈 TM-21은 1995년 3월 14일에 발사되어 미르로 EO-18 장기 체류 승무원을 수송했다. 승무원에는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데주로프, 겐나디 스트레칼로프 외에 미국인 최초의 소유즈 승무원인 NASA의 우주 비행사 노먼 사가드가 합류했다. 그는 115일간 우주에 체류했으며, 이 기간 동안 미국인 우주 비행사의 생활 및 작업 공간이 될 스페크트르 모듈이 프로톤에 의해 발사되어 미르에 연결되었다. 스페크트르는 680kg 이상의 미국 및 기타 국가의 과학 장비를 탑재했다. EO-18의 승무원은 셔틀과 미르의 첫 도킹이 이루어진 STS-71의 아틀란티스로 지구로 귀환했다.[3][9][24]
thumb, STS-74에서 ''아틀란티스''의 화물칸에 배치되어 ''크리스탈''에 도킹할 준비가 되어 있음|alt=흰색 단열재로 덮인 우주왕복선 화물칸으로, 한쪽 끝에 작은 원통형 오렌지색 모듈이 있으며, 우주왕복선의 로봇 팔이 지지하고 있다. 우주의 흑암과 지구가 배경을 이루고 있다.]]
STS-71 (아틀란티스) 미션은 1995년 6월 27일에 발사되어 셔틀과 미르의 첫 도킹을 수행했다. 6월 29일, 아틀란티스는 미르와의 도킹에 성공했으며, 이는 1975년 아폴로-소유스 테스트 프로젝트 이후 미·러 우주선의 첫 도킹이었다.[25] 아틀란티스는 EO-19의 승무원인 러시아 우주 비행사 아나톨리 솔로피예프와 니콜라이 부다린을 태워 EO-18 승무원과 교대했다. 또한, 스페이스랩에서 궤도상에서 미·러 합동 생명 과학 조사를 수행하고, 스테이션에 물류적 보급을 진행했다.[20][26][27]
STS-74 (아틀란티스) 미션은 1995년 11월 12일에 발사되어 두 번째 도킹이 이루어졌다. 이 미션은 러시아가 제작한 미르 도킹 모듈을 운반하여 태양 전지 어레이 및 기타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도킹 모듈은 미르의 태양 전지 어레이와 셔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STS-71 당시 크리스탈 모듈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극복되었던 문제를 해결했다. 도킹 모듈은 크리스탈에 설치되었으며, 이후 미션에서는 이동 절차가 필요하지 않았다. 또한, 450kg의 물이 미르로 운반되었으며, 실험 재료인 혈액, 소변, 타액 등이 지구로 회수되었다.[20][28][29][30]
4. 3. 1996년: 프리로다 모듈
STS-76을 통해 아틀란티스호가 1996년 3월 22일에 발사되어 세 번째 도킹이 이루어졌다. 이 임무에서는 섀넌 루시드가 미르 EO-21|label=EO-21영어의 승무원으로 미르에 도착하여, 이후 미국인의 지속적인 미르 체류가 시작되었다.[85] 이 임무에서는 우주 허브 모듈을 통한 보급 능력 향상과, 미르 도킹 모듈에 실험 패키지를 설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미르 주변에서 최초의 우주 유영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아틀란티스호 승무원 캐빈에서 진행되어 조립 임무에 필요한 경험을 축적했다.[85]루시드는 미국 여성 최초로 우주 정거장에 체류했으며, 우주 왕복선 고체 연료 부스터 문제로 체류 기간이 6주 연장되어 188일 동안 머무르며 미국 단독 우주 비행 기록을 세웠다. 루시드가 미르에 체류하는 동안, 미국 과학 장비를 실은 프리로다 모듈이 미르에 추가되었다. 루시드는 프리로다와 스펙트르를 활용하여 28개의 과학 실험을 수행했으며, 프리로다는 생활 공간으로도 사용되었다.[74][86]
thumb'' 모듈에서 트래버스 레이더 안테나의 모습 STS-79 동안|alt=투명한 시트로 덮인 직사각형 접시 모양의 비계로, 흰색 단열재로 덮인 라디오 수신기와 지지대가 중앙에서 돌출되어 있다. 우주의 흑암이 배경을 이룬다.]]
1996년 9월 16일, STS-79를 통해 아틀란티스호가 발사되어 네 번째 도킹이 이루어졌다. 이 임무에서는 존 블라하가 증분 비행사로 미르에 도착하여 루시드와 교대했다. 또한, 두 대의 우주 허브 모듈을 운반한 최초의 우주 왕복선 임무였다. 아틀란티스호의 연료 전지에서 발생한 물과 초전도, 인공 연골 개발, 기타 생물학 연구를 위한 실험 장비 등 1800kg 이상의 물품이 미르로 수송되었고, 910kg 정도의 실험 시료와 장비가 미르에서 아틀란티스호로 옮겨졌다. 이는 당시 최대 규모의 수송이었다.[87] 블라하는 도킹된 우주 왕복선을 위한 이동 절차, 장기 체류 미국인 승무원과 아마추어 무선 통신 인계 절차 등, 정거장 개선 작업을 수행했다.
4. 4. 1997년: 화재와 충돌
1997년 1월 12일, STS-81 미션에서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호는 제리 리넨저를 미르에 데려다주고, 존 브라하와 교대하였다. 아틀란티스 승무원은 미르에 물품을 보급하고, 섀넌 루시드가 우주에서 재배한 밀을 지구로 가져왔다. 5일간의 도킹 동안 2,700kg의 보급품이 미르로, 1,100kg의 물품이 아틀란티스로 옮겨졌다.[89] 또한, STS-81 승무원은 국제 우주 정거장 즈베즈다 모듈에 사용될 셔틀 트레드밀 진동 절연 및 안정화 시스템을 시험했다.리넨저는 미르에서 바실리 치블리에프, 라주트킨과 함께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특히, 백업 산소 발생기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선내 시스템에 다양한 장애를 일으켰다.[66][64][65][74] 이 화재로 인해 탄화된 패널이 발생했다. -- 또한, 장거리 수동 도킹 시스템 TORU를 시험하던 중 프로그레스 보급선과의 충돌 사고, 정거장 전력 상실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전력 상실은 자세 제어 능력 상실로 이어져 우주에서 통제 불능의 회전을 야기했다.[66][64][65][74]
1997년 5월 15일, STS-84 미션에서 아틀란티스는 마이클 폴과 러시아 우주비행사 엘레나 콘다코바를 미르에 데려다주고 리넨저와 교대했다. 승무원은 249개의 물품을 미르와 셔틀 사이에서 교환했으며, 화재로 손실된 전자식 산소 발생기를 포함한 물, 실험 시료, 하드웨어 등을 운반했다.[74][90]
1997년 6월 25일, TORU를 이용한 두 번째 프로그레스 보급선 수동 도킹 시험 중 보급선이 스펙트르 모듈의 태양 전지판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모듈 외부에 손상이 발생하고 정거장 전체의 기압이 감소하는 상황이 벌어졌다.[61][74] 이는 유인 우주 비행 역사상 최초의 궤도상 감압 사고였다. 승무원은 스펙트르와 연결된 케이블을 절단하고 해치를 닫아 정거장 폐기를 막았다. 이 사고로 -- 스펙트르 모듈의 태양전지판이 손상되었다.
아나톨리 솔로피예프와 파벨 비노그라도프는 스펙트르의 공기 누출을 막기 위한 복구 작업을 수행했다. 이 사고 이후, 미국 의회와 NASA는 우주비행사의 안전을 위해 계획 중단을 고려했으나, NASA 국장 다니엘 골딘은 계획을 지속하기로 결정했다.[65]
1997년 9월 25일, STS-86 미션에서 아틀란티스는 데이비드 울프를 미르에 데려다주고 폴과 교대했다. 이 미션에서 블라디미르 티토프와 스콧 E. 파라진스키는 셔틀 미션 중 최초의 미-러 공동 선외 활동을 수행했으며, 러시아인이 미국의 우주복을 착용한 첫 번째 사례가 되었다. 5시간의 우주 유영 동안 두 사람은 스펙트르 외피의 공기 누출을 막기 위해 55kg의 태양 전지판 캡을 미르 도킹 모듈에 설치했다.[74][92]
4. 5. 1998년: 페이즈 1 종료
STS-89 미션으로 우주왕복선 엔데버가 발사되면서 1단계의 마지막 해가 시작되었다. 이 임무를 통해 우주 비행사 살리잔 샤리포프가 ''미르''로 보내졌고, 데이비드 울프는 앤디 토마스로 교체되었다. 울프는 119일간 미르에 체류했다.[20][39]토마스는 이 프로그램의 마지막 증분 임무 동안 첨단 기술, 지구 과학, 인간 생명 과학, 미세 중력 연구 및 ISS 위험 완화 분야에서 27개의 과학 조사를 수행했다. 토마스의 ''미르'' 체류는 1단계 프로그램 전체에서 가장 순조로운 것으로 평가받았으며, 토마스가 매주 작성한 "전초 기지에서 온 편지"가 특징적이었다. 이 기간 동안 미국 우주 비행사는 섀넌 루시드가 STS-76 임무로 발사된 1996년 3월 이후 815일 연속 우주 비행, 노먼 태거드가 ''미르''를 방문한 1995년 3월 이후 907일간 ''미르'' 체류라는 두 가지 우주 비행 이정표를 달성했다.[20][40]
토마스는 마지막 셔틀-''미르'' 임무인 STS-91을 타고 지구로 귀환했다. 이 임무로 1단계가 종료되었고, EO-25와 STS-91 승무원은 ''미르''에 물을 전달하고 두 우주선 간에 약 약 2131.88kg의 화물 실험과 보급품을 교환했다. ''미르''에 있던 장기 미국 실험 장비도 ''디스커버리''로 옮겨졌다. 6월 8일 오전 9시 7분 EDT에 도킹 해치가 닫혔고, 그날 오후 12시 1분 EDT에 우주선이 분리되었다.[20][41][42]
5. 논쟁
셔틀-미르 계획은 실현에 막대한 비용과 어려움이 따랐으며, 여러 논쟁과 비판에 직면했다.
- 안전 문제: 1997년 미르 우주 정거장에서 발생한 고체 연료 산소 발생기(SFOG) 고장으로 인한 화재와 프로그레스 보급선과의 충돌 사고는 이 우주 정거장의 안전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 과학적 성과: 특히 스펙트르 모듈 손실 이후, 셔틀-미르 계획의 과학적 성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스펙트르에는 많은 미국 과학 실험 장비가 탑재되어 있었기 때문에, 모듈 손실로 인해 미국의 연구가 제한되었다.
- 태도 문제: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과 NASA의 태도 차이는 협력 과정에서 갈등을 야기했다. 러시아는 임무 장비와 미르의 유지를 우주 비행사의 안전보다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미국 측의 비판을 받았다.
- 재정 문제: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의 우주 개발 예산은 대폭 삭감되었고, 이는 셔틀-미르 계획의 재정적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NASA의 재정 지원이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이와 관련된 여러 문제점도 드러났다.
5. 1. 안전 문제
고체 연료 산소 발생기(SFOG)의 고장으로 인해 1997년 미르 우주 정거장에서 발생한 화재와 프로그레스 보급선과의 충돌 사고는 이 우주 정거장의 안전 문제를 심각하게 드러냈다.[10]화재는 SFOG가 고장나면서 발생하여, 짧게는 90초에서 길게는 14분 동안 타올랐고, 약 45분 동안 유독성 연기가 우주 정거장을 가득 채웠다.[9][10] 이 때문에 승무원들은 호흡기를 착용해야 했지만, 일부 호흡기 마스크는 고장난 상태였다. 모듈 벽에 부착된 소화기는 움직일 수 없었다. 화재는 승무원 교대 기간에 발생하여 평소보다 많은 6명의 승무원이 탑승하고 있었고, 도킹된 소유즈 구명정 중 하나로의 접근이 차단되어 승무원 절반의 탈출이 불가능했다. 이전 ''미르'' 탐사에서도 SFOG가 몇 초 동안 타오르는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었다.[9][10]
TORU 수동 도킹 시스템의 고장으로 인한 아슬아슬한 사고와 충돌 사고는 또 다른 안전 문제를 야기했다. 자금 부족에 시달리던 러시아는 프로그레스 우주선에서 고가의 Kurs 자동 도킹 시스템을 제거하고, TORU 시스템의 장거리 도킹 성능을 시험하고자 했다.
충돌 사고 이후,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러시아 연방 우주국은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안전 위원회를 소집했다. NASA는 TORU 도킹 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했지만, 러시아 연방 우주국은 승무원의 실수로 프로그레스와 우주 정거장 간의 거리를 잘못 계산했다고 비난했다.[52] 러시아 연방 우주국의 결과는 자국 우주 비행사 츠빌리예프의 비판을 받았으며, 그는 "러시아에는 희생양을 찾는 오랜 전통이 있다"고 분노했다.[53]
우주 비행사 블레인 해먼드는 ''미르''에 대한 안전 우려가 NASA 관계자들에게 무시되었고, 안전 회의 기록이 "잠긴 금고에서 사라졌다"고 주장했다.[54] ''미르''는 원래 5년 동안 운행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실제로는 3배 더 오랫동안 운행되었다. 1단계 및 그 이후 기간 동안, 우주 정거장은 지속적인 컴퓨터 고장, 전력 손실, 통제 불능 상태에서의 회전, 누수 파이프 등 노후화의 징후를 보였다.[9] ''미르''의 Elektron 산소 발생 시스템의 잦은 고장은 승무원들이 SFOG 시스템에 더 의존하게 만들었고, 이는 1997년 화재의 원인이 되었다. SFOG 시스템은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9]
''스펙트르'' 과학 모듈 손실 이후, 특히 과학적 성과 규모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우주 비행사, 관리자 및 언론인들은 프로그램의 이점이 위험보다 크지 않다고 불만을 제기했는데, 이는 미국의 과학 실험 대부분이 구멍 난 모듈에 보관되어 있었기 때문이다.[55] NASA는 여러 차례 프로그램의 미래를 재고했지만, 결국 계속 진행하기로 결정했고, 이 결정은 언론의 비판을 받았다.[56]
5. 2. 과학적 성과
이 프로그램의 과학적 성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특히 스펙트르 모듈의 손실 이후, 우주 비행사, 운영자, 언론 관계자들은 셔틀-미르 계획의 위험이 이점보다 크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스펙트르에는 많은 미국의 과학 실험 장비가 탑재되어 있었기 때문에, 모듈 손실로 인해 미국의 연구가 제한되었다.[101]안전 문제로 인해 NASA는 향후 계획을 재검토했지만, 결국 프로그램을 계속하기로 결정했고, 이는 언론의 비판을 받았다.[102]
5. 3. 태도 문제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과 NASA의 태도는 페이즈 원에 참여한 우주 비행사들에게 우려를 자아냈다. 러시아의 재정 문제로 인해, 추프(TsUP)의 많은 직원들은 임무 장비와 ''미르''의 유지가 우주 정거장에 탑승한 우주 비행사들의 생명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9] 따라서 프로그램은 미국 프로그램과는 매우 다르게 운영되었다. 우주 비행사들의 하루는 분 단위로 계획되었고, 우주 왕복선 조종사가 수동으로 수행하는 조치(도킹 등)는 모두 자동으로 수행되었으며, 우주 비행사들은 비행 중 실수를 하면 급여가 삭감되었다. 미국인들은 ''스카이랩''과 이전 우주 임무에서 이러한 수준의 통제가 비생산적이라는 것을 배웠고, 이후 임무 계획을 더욱 유연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러시아는 굴하지 않았고, 많은 사람들이 이 때문에 상당한 작업 시간이 낭비되었다고 느꼈다.[9][57]1997년 두 차례의 사고 이후, 우주 비행사 제리 리넨저는 러시아 당국이 사고의 중요성을 축소하려 했다고 느꼈으며, 미국인들이 파트너십에서 물러설 것을 우려했다. 이러한 "은폐"의 큰 부분은 미국 우주 비행사들이 실제로 우주 정거장의 "파트너"가 아니라 "손님"이라는 인상을 주려는 것이었다. NASA 직원들은 화재와 충돌에 대해 몇 시간 동안 알지 못했고, 의사 결정 과정에서 배제되었다. NASA는 러시아 미션 통제 센터가 사고의 책임을 전적으로 바실리 치블리에프에게 돌리려고 했을 때 더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NASA의 상당한 압력 후에야 이러한 입장이 바뀌었다.[9][10]
프로그램 진행 중, NASA 관리자와 직원들은 특히 페이즈 2가 시작되면서 자원과 인력 측면에서 제한을 받았고, NASA 행정부와 원만하게 협력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논쟁이 많았던 부분은 임무에 대한 승무원 배정이었다. 많은 우주 비행사들은 선택 방식이 가장 숙련된 사람들이 가장 적합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막았다고 주장한다.[9][1][58]
5. 4. 재정 문제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경제는 붕괴되었고, 우주 개발 예산은 약 80% 정도 감축되었다. 1단계 전후로 러시아의 우주 재정은 ESA와 다른 국가에서 온 우주 비행사들의 비행으로 충당되었는데, 일본의 한 텔레비전 방송국이 자사 기자 아키야마 토요히로를 ''미르''에 탑승시키기 위해 950만달러를 지불했다.[9] 1단계가 시작될 무렵, 우주 비행사들은 발사체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임무 기간이 연장되는 경우가 많았고, 프로그레스 우주선의 연 6회 비행은 3회로 줄었으며, ''미르''를 약 5억달러에 매각할 가능성이 뚜렷했다.[9]비평가들은 NASA가 러시아와 맺은 3.25억달러 규모의 계약이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유일한 원동력이었으며, 우주왕복선만이 ''미르''를 공중에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NASA는 또한 훈련 매뉴얼과 스타 시티에서 훈련하는 우주 비행사들이 사용하는 장비에 대해 막대한 수수료를 지불해야 했다.[10] 문제는 ABC의 ''나이트라인''이 러시아 당국이 새로운 우주 비행사 주택 단지를 모스크바에 건설하기 위해 미국 자금을 횡령할 가능성이 뚜렷하다거나, 그렇지 않다면 건설 프로젝트가 러시아 마피아에 의해 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면서 절정에 달했다. NASA 국장 골딘은 ''나이트라인''에 초대되어 주택 문제를 옹호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그는 논평을 거부했다. NASA의 대외 사무소는 "러시아가 자체 자금으로 무엇을 하든 그들의 문제"라고 말했다.[9][59]
6. 셔틀-미르 프로그램의 유산
셔틀-미르 프로그램은 미국과 러시아 양국의 우주 정거장 합동 운영 경험을 통해 국제 우주 정거장(ISS) 건설에 필요한 노하우, 국가 간 협력 지식, 위험 회피 방법, 문화적 차이 극복 방안 등에 대한 귀중한 경험을 제공했다.[1] 이는 현재 국제 우주 정거장의 원활한 건설과 운영에 기여했다. 한편, 계획 중 발생한 다양한 위험에 대한 자금 지출 효율성, 러시아의 자금 우선 우주 계획, 미국의 목표 의식 부족, 대응 미흡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1]
6. 1. 국제 협력의 초석
1993년에 공표되고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진행된 셔틀-미르 계획은 "페이즈 1"이라고도 불리며, 미국이 장기 우주 비행 경험을 가진 러시아로부터 배우고, NASA와 로스코스모스 간의 협력 정신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했다.[1] 이 계획을 통해 미국의 우주 비행사는 누적 약 900일간 우주에 체류했으며, 양국은 여러 "최초"의 업적을 달성했다.[1] 예를 들어, 미국 우주 비행사가 처음으로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발사되었고, 사상 최대의 우주 정거장이 조립되었으며, 미국인이 러시아 오르란 우주복을 입고 우주 유영을 했다.[1]하지만 셔틀-미르 계획은 미르의 안전성 문제, 러시아 우주 계획의 재정 부족, 계획 관리 방식에 대한 우주 비행사들의 불만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하여 중단되기도 했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셔틀-미르 계획은 국제 우주 정거장(ISS) 건설("페이즈 2")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1] 미·러 양국의 우주 정거장 합동 운영 경험은 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에 필요한 노하우, 국가 간 협력 지식, 위험 회피 방법, 문화적 차이 극복 방법 등에 대한 귀중한 경험을 제공하여, 현재의 국제 우주 정거장의 원활한 건설과 운영에 기여했다.[1]
또한, 셔틀-미르 계획은 미국 정부의 정치적 책략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여, NASA가 러시아의 우주 계획 자금 조달을 지원하는 외교적 경로를 제공했다.[1] 이는 러시아 정부가 미르와 전체 우주 계획을 유지하고, 러시아와 미국 간의 우호 관계를 증진하는 데 기여했다.[1]
1980년대 초, NASA는 소련의 살류트와 미르 우주 정거장에 대항하여 모듈식 프리덤 우주 정거장을 계획하고 있었고, 소련은 1990년대에 미르를 대체할 미르-2를 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1] 그러나 예산 및 설계 제약으로 인해 프리덤 기지 계획은 미국 하원에서 근소한 차이로 취소되었고,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경제난에 처한 러시아 연방 또한 미르-2 계획을 중지했다.[1]
이러한 상황에서 1992년 6월, 미국 대통령 조지 H.W. 부시와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은 우주 협력에 합의했고,[1] 1993년 9월, 미국 부통령 앨 고어와 러시아 총리 빅토르 체르노미르딘은 새로운 우주 정거장 계획을 발표하며 셔틀-미르 계획의 기반을 다졌다.[1]
6. 2. 기술 발전의 기여
미국이 장기 우주 비행 경험을 가진 러시아로부터 배우고, NASA와 로스코스모스 간의 협력 정신을 기르기 위해 추진된 셔틀-미르 계획은 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 노하우, 우주 사업에서의 국가 간 공동 작업 지식, 위험 회피 방법론, 문화적 차이 극복 방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경험을 제공했다.[1] 이는 현재 국제 우주 정거장의 원활한 건설과 운영에 기여했다.[1]셔틀-미르 계획은 국가 간 우주 사업 협력의 길을 열었으며, 후속 국제 우주 정거장(ISS) 건설 계획은 "페이즈 2"라고도 불린다.[1]
6. 3. 페이즈 2와 3: 국제 우주 정거장 (ISS)
1998년 11월 20일, 러시아의 프로톤 로켓으로 러시아에서 제작된 자리야 모듈이 발사되면서 셔틀-미르 프로그램의 페이즈 2가 시작되었다. 자리야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최초 모듈이었다.[106]2001년 미국에서 제작된 데스티니 실험실 모듈이 발사되면서 페이즈 2가 종료되고 페이즈 3가 시작되었다. 페이즈 3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106]
국제 우주 정거장이 완성되면 5개의 실험실로 구성되며, 6명의 승무원이 거주할 수 있다. 1,000 입방미터가 넘는 부피와 40만 킬로그램의 무게를 갖게 되는데, 이는 셔틀-미르 우주선의 약 2배 크기이다.[107]
페이즈 2와 페이즈 3는 장기간의 우주 비행, 국제 우주 협력 및 무중력 연구를 지속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달 장기 체류 탐사와 화성 유인 우주 비행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107]
2001년 3월 23일 미르가 소멸됨에 따라, 국제 우주 정거장은 지구 궤도를 도는 유일한 우주 정거장이 되었다.[49]
7. 임무 목록
| 미션 | 발사 날짜 | 우주왕복선 | 승무원 | 비고 |
|---|---|---|---|---|
| STS-60 | 1994년 2월 3일 | 디스커버리 | 찰스 볼든 케네스 라이트러 N. 젠 데이비스 로널드 세가 프랭클린 창 디아즈 세르게이 크리카레프 | 최초의 우주왕복선-미르 미션, 미국 우주선에 탑승한 최초의 러시아 우주 비행사, 웨이크 실드 시설 배치, 스페이스랩 단일 모듈 탑재 |
| STS-63 | 1995년 2월 3일 | 디스커버리 | 제임스 웨더비 일레인 콜린스 버나드 해리스 C. 마이클 포알 제니스 보스 블라디미르 티토프 | 미르와 최초의 우주왕복선 랑데부 |
| 소유즈 TM-21 | 1995년 3월 14일 | 블라디미르 데주로프 겐나디 스트레칼로프 노먼 시그마드 | 러시아 우주선에 탑승한 최초의 미국 우주비행사, 미르 EO-18 승무원 인도, 노먼 시그마드 장기 체류 | |
| STS-71 | 1995년 6월 27일 | 아틀란티스 | 로버트 깁슨 찰스 프리코트 엘렌 베이커 그레고리 하보 보니 던바 아나톨리 솔로비예프 니콜라이 부다린 | 최초의 우주왕복선-미르 도킹, 미르 EO-19 승무원 인도, 미르 EO-18 승무원 귀환 |
| STS-74 | 1995년 11월 12일 | 아틀란티스 | 케네스 캐머런 제임스 헐셀 크리스 해드필드 제리 로스 윌리엄 S. 맥아더 | 미르 도킹 모듈 인도, 해드필드는 미르를 방문한 최초이자 유일한 캐나다인 |
| STS-76 | 1996년 3월 22일 | 아틀란티스 | 케빈 칠턴 리처드 서포스 로널드 세가 마이클 클리퍼드 린다 고드윈 섀넌 루시드 | 섀넌 루시드 장기 체류, 스페이스랩 단일 모듈 탑재 |
| STS-79 | 1996년 9월 16일 | 아틀란티스 | 윌리엄 레디 테렌스 윌컷 제이 앱트 토머스 에이커스 칼 월즈 존 블라하 | 스페이스랩 이중 모듈의 첫 비행, 존 블라하 장기 체류, 섀넌 루시드 귀환 |
| STS-81 | 1997년 1월 12일 | 아틀란티스 | 마이클 베이커 브렌트 제트 피터 위소프 존 그런스펠드 마샤 아이빈스 제리 리넨저 | 스페이스랩 이중 모듈 탑재, 제리 리넨저 장기 체류, 존 블라하 귀환 |
| STS-84 | 1997년 5월 15일 | 아틀란티스 | 찰스 프리코트 일레인 콜린스 장-프랑수아 클레르부아 카를로스 노리에가 에드워드 루 옐레나 콘다코바 C. 마이클 포알 | 스페이스랩 이중 모듈 탑재, 마이클 포알 장기 체류, 제리 리넨저 귀환 |
| STS-86 | 1997년 9월 26일 | 아틀란티스 | 제임스 웨더비 마이클 블룸필드 블라디미르 티토프 스콧 패러진스키 장-루 크레티앵 웬디 로렌스 데이비드 울프 | 스페이스랩 이중 모듈 탑재, 블라디미르 티토프는 우주복을 사용한 최초의 러시아 우주 비행사, 데이비드 울프 장기 체류, 마이클 포알 귀환 |
| STS-89 | 1998년 1월 31일 | 엔데버 | 테렌스 윌컷 조 에드워즈 제임스 F. 라일리 마이클 앤더슨 보니 던바 살리잔 샤리포프 앤드류 토마스 | 스페이스랩 이중 모듈 탑재, 앤드류 토마스 장기 체류, 데이비드 울프 귀환 |
| STS-91 | 1998년 6월 2일 | 디스커버리 | 찰스 프리코트 도미닉 퍼드윌 고리 프랭클린 창 디아즈 웬디 로렌스 자넷 카반디 발레리 류민 | 스페이스랩 이중 모듈 탑재, 마지막 우주왕복선-미르 미션, 앤드류 토마스 귀환 |
참조
[1]
웹사이트
NASA.gov
https://web.archive.[...]
2020-11-27
[2]
문서
Mir Hardware Heritage/Part 2 - Almaz, Salyut, and Mir#2.1.6 Shuttle-Salyut (1973-1978; 1980s)
[3]
서적
The Story of Space Station Mir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New York Inc
2004-11-30
[4]
뉴스
30 Years Later: The Legacy of the Mir Space Station
https://www.space.co[...]
2023-05-23
[5]
웹사이트
"Space Station: Impact of the Expanded Russian Role on Funding and Research"
http://archive.gao.g[...]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2006-11-03
[6]
웹사이트
Shuttle–Mir History/Background/How "Phase 1" Started
http://spaceflight.n[...]
NASA
2007-04-12
[7]
웹사이트
Shuttle–Mir History/Welcome/Goals
http://spaceflight.n[...]
NASA
2007-04-12
[8]
보고서
Phase One Program Joint Report
http://spaceflight.n[...]
NASA
2007-03-30
[9]
서적
Dragonfly: NASA and the Crisis Aboard Mir
Fourth Estate Ltd.
1998-01-07
[10]
서적
Off the Planet: Surviving Five Perilous Months Aboard the Space Station Mir
https://archive.org/[...]
McGraw-Hill
2001-01-01
[11]
간행물
Mir Hardware Heritage
http://ston.jsc.nasa[...]
2007-03-30
[12]
웹사이트
Space Task Group Report, 1969
http://www.hq.nasa.g[...]
NASA
2019-08-15
[13]
웹사이트
NASA's Space Shuttle By the Numbers: 30 Years of a Spaceflight Icon
http://www.space.com[...]
Space.com
2014-06-18
[14]
웹사이트
Shuttle Basics
http://www.nasa.gov/[...]
NASA
2006-03-05
[15]
서적
The Story of the Space Shuttle
https://archive.org/[...]
Springer-Praxis
2004-07-05
[16]
보고서
Mir Mission Chronicle
http://ston.jsc.nasa[...]
NASA
2007-03-30
[17]
웹사이트
Shuttle–Mir History/Spacecraft/Space Shuttle Orbiter
http://spaceflight.n[...]
NASA
2007-03-30
[18]
웹사이트
Columbia Weight Loss Plan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2000-04-14
[19]
뉴스
Space Shuttle Launch Begins Era of US-Russian Cooperation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4-02-04
[20]
웹사이트
Shuttle–Mir History/Shuttle Flights and Mir Increments
http://spaceflight.n[...]
NASA
2007-03-30
[21]
웹사이트
STS-60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7-03-30
[22]
웹사이트
STS-63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7-03-30
[23]
뉴스
US & Russia Find Common Ground in Space – Nations Overcome Hurdles in Ambitious Partnership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5-01-29
[24]
문서
List of Mir expeditions
[25]
서적
Two Sides of the Moon
Pocket Books
2005-04-30
[26]
웹사이트
STS-71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7-03-30
[27]
뉴스
Shuttle homes in for Mir docking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5-06-29
[28]
웹사이트
CSA – STS-74 – Daily Reports
http://www.asc-csa.g[...]
Canadian Space Agency
2009-09-17
[29]
웹사이트
STS-74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7-03-30
[30]
뉴스
Space Shuttle docks with Mir – Atlantis uses manoeuvres similar to those needed for construction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5-11-15
[31]
뉴스
Shuttle becomes hard-hat area; spacewalking astronauts practice tasks necessary to build station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6-03-28
[32]
웹사이트
STS-76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7-03-30
[33]
뉴스
Lucid transfers from Mir to Space Shuttle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6-09-20
[34]
웹사이트
STS-79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7-03-30
[35]
웹사이트
STS-81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7-03-30
[36]
웹사이트
STS-84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7-03-30
[37]
뉴스
Crucial Mir spacewalk carries high hopes – continued Western support could hinge on mission's success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7-08-22
[38]
웹사이트
STS-86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7-03-30
[39]
웹사이트
STS-89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7-03-30
[40]
웹사이트
Letters from the Outpost
https://history.nasa[...]
NASA
2007-04-15
[41]
웹사이트
STS-91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7-03-30
[42]
뉴스
Final American returns from Mir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8-06-13
[43]
웹사이트
ISS Phases I, II and III
http://pdlprod3.hosc[...]
NASA
2007-06-27
[44]
뉴스
ISS relocates PMM in reconfiguration for future crew vehicles
http://www.nasaspace[...]
2015-06-13
[45]
웹사이트
ISS Facts and Figures
http://www.nasa.gov/[...]
NASA
2015-06-13
[46]
뉴스
Russian Space Agency Endorses ISS Until 2024
http://spaceflightno[...]
2015-06-14
[47]
웹사이트
Senate passes commercial space bill
https://spacenews.co[...]
2019-03-26
[48]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operation
http://www.nasa.gov/[...]
NASA
2015-06-13
[49]
뉴스
Russia bids farewell to Mir
http://www.nbcnews.c[...]
2015-06-13
[50]
뉴스
China's Tiangong 1 Space Lab: Questions & Answers
http://www.space.com[...]
2015-06-13
[51]
뉴스
NASA outlines plans for Moon and Mars
http://www.orlandose[...]
2009-09-17
[52]
서적
Dragonfly
Fourth Estate
1999
[53]
뉴스
Refusing To Play Role Of Mir's Scapegoat, Crew Fights Back
1997-08-17
[54]
웹사이트
Some question NASA experts' objectivity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7-08-22
[55]
뉴스
NASA's 'Can-Do' style is clouding its vision of Mir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7-09-28
[56]
뉴스
Row between Nasa and the Russian Space Agency – Innovation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7-04-20
[57]
웹사이트
9 The Third Manned Period
https://history.nasa[...]
NASA
2007-04-06
[58]
서적
Space Shuttle Challenger: Ten Journeys into the Unknown
Springer-Praxis
2007
[59]
웹사이트
SpaceViews Update 97 May 15: Policy
http://seds.org/spac[...]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2007-04-05
[60]
웹사이트
"Space Station: Impact of the Expanded Russian Role on Funding and Research"
http://archive.gao.g[...]
アメリカ合衆国会計検査院
1994-06-21
[61]
웹사이트
Shuttle–''Mir'' History/Background/How "Phase 1" Started
http://spaceflight.n[...]
NASA
2007-04-12
[62]
웹사이트
Shuttle–''Mir'' History/Welcome/Goals
http://spaceflight.n[...]
NASA
2007-04-12
[63]
간행물
Phase One Program Joint Report
http://spaceflight.n[...]
NASA
2011-12-12
[64]
서적
Dragonfly: NASA and the Crisis Aboard Mir
Fourth Estate Ltd.
1998-01-07
[65]
서적
Off the Planet: Surviving Five Perilous Months Aboard the Space Station Mir
McGraw-Hill
2001-01-01
[66]
서적
The Story of Space Station Mir
Springer-Verlag New York Inc.
2004-11-30
[67]
간행물
Mir Hardware Heritage
http://ston.jsc.nasa[...]
NASA
2007-03-30
[68]
웹사이트
Shuttle Basics
http://www.nasa.gov/[...]
NASA
2006-03-05
[69]
서적
The Story of the Space Shuttle
Springer-Praxis
2004-07-05
[70]
간행물
Mir Mission Chronicle
http://ston.jsc.nasa[...]
NASA
2007-03-30
[71]
웹사이트
Shuttle–Mir History/Spacecraft/Space Shuttle Orbiter
http://spaceflight.n[...]
NASA
2004-04-04
[72]
웹사이트
Columbia Weight Loss Plan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2000-04-14
[73]
뉴스
Space Shuttle Launch Begins Era of US-Russian Cooperation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4-02-04
[74]
웹사이트
Shuttle–Mir History/Shuttle Flights and Mir Increments
http://spaceflight.n[...]
NASA
[75]
웹사이트
STS-60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1-06-29
[76]
웹사이트
STS-63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1-06-29
[77]
뉴스
US & Russia Find Common Ground in Space – Nations Overcome Hurdles in Ambitious Partnership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5-01-29
[78]
문서
ミールの長期滞在者一覧
[79]
서적
Two Sides of the Moon
Pocket Books
2005-04-30
[80]
웹사이트
STS-71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1-06-29
[81]
뉴스
Shuttle homes in for Mir docking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5-06-29
[82]
웹사이트
CSA – STS-74 – Daily Reports
http://www.asc-csa.g[...]
Canadian Space Agency
1999-10-30
[83]
웹사이트
STS-74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1-06-29
[84]
뉴스
Space Shuttle docks with Mir – Atlantis uses manoeuvres similar to those needed for construction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5-11-15
[85]
뉴스
Shuttle becomes hard-hat area; spacewalking astronauts practice tasks necessary to build station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6-03-28
[86]
웹사이트
STS-76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1-06-29
[87]
뉴스
Lucid transfers from Mir to Space Shuttle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6-09-20
[88]
웹사이트
STS-79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1-06-29
[89]
웹사이트
STS-81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1-06-29
[90]
웹사이트
STS-84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1-06-29
[91]
뉴스
Crucial Mir spacewalk carries high hopes – continued Western support could hinge on mission's success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7-08-22
[92]
웹사이트
STS-86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1-06-29
[93]
웹사이트
STS-89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1-06-29
[94]
웹사이트
Letters from the Outpost
http://history.nasa.[...]
NASA
[95]
웹사이트
STS-91 Mission Summary
http://science.ksc.n[...]
NASA
2001-06-29
[96]
뉴스
Final American returns from Mir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8-06-13
[97]
웹사이트
ISS Phases I, II and III
http://pdlprod3.hosc[...]
NASA
2003-03-23
[98]
웹사이트
NASA –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www.nasa.gov/[...]
NASA
[99]
뉴스
NASA outlines plans for Moon and Mars
http://www.orlandose[...]
2005-07-31
[100]
웹사이트
Some question NASA experts' objectivity
http://www.usatoday.[...]
USA Today
2003-02-06
[101]
뉴스
NASA's 'Can-Do' style is clouding its vision of Mir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7-09-28
[102]
뉴스
Row between Nasa and the Russian Space Agency – Innovation
Retrieved March 9, 2007 from NewsBank
1997-04-20
[103]
웹사이트
9 The Third Manned Period
http://history.nasa.[...]
NASA
[104]
서적
Space Shuttle Challenger: Ten Journeys into the Unknown
Springer-Praxis
[105]
웹사이트
SpaceViews Update 97 May 15: Policy
http://seds.org/spac[...]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1997-05-15
[106]
인용
ISS Phases I, II and III
http://pdlprod3.hosc[...]
NASA
2007-03-23
[107]
인용
NASA -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www.nasa.gov/[...]
2007-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