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틀랜티스 우주왕복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틀랜티스 우주왕복선은 1985년 10월 첫 비행을 시작하여 2011년 퇴역할 때까지 운용된 미국의 우주왕복선이다. 록웰 인터내셔널에서 제작되었으며, 1980년부터 1985년까지 건설되었다. 주요 임무로는 국방부 전용 임무, 마젤란과 갈릴레오 탐사선 발사, 국제 우주 정거장(ISS) 건설 지원, 허블 우주 망원경 서비스 임무 등이 있다. 운용 중 두 번의 주요 정비를 거쳤으며, 2009년에는 디스커버리호의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현재는 케네디 우주 센터 방문자 단지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왕복선 - 챌린저 우주왕복선
챌린저호는 NASA의 우주왕복선으로, 구조 시험용 기체를 개조하여 제작되었으며, 향상된 성능과 새로운 시스템을 탑재하고 10차례 임무를 수행했으나, 1986년 발사 직후 폭발 사고로 승무원 7명 전원이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 우주왕복선 -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은 탐험선의 전통을 잇는 NASA의 우주왕복선으로, 허블 우주 망원경 발사, 국제 우주 정거장과의 최초 도킹 등 39회의 임무를 수행하며 가장 많은 비행 횟수를 기록했고 챌린저호와 컬럼비아호 사고 이후 재비행 임무를 맡았으며, 마지막 임무 후 퇴역하여 현재는 스미스소니언 협회에 전시되어 있다. - 유인 우주선 - 챌린저 우주왕복선
챌린저호는 NASA의 우주왕복선으로, 구조 시험용 기체를 개조하여 제작되었으며, 향상된 성능과 새로운 시스템을 탑재하고 10차례 임무를 수행했으나, 1986년 발사 직후 폭발 사고로 승무원 7명 전원이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 유인 우주선 - 스페이스십원
스페이스십원은 스케일드 컴포지츠사에서 제작한 3인승 준궤도 우주선으로,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과 독특한 꼬리날개 설계를 통해 민간 자금으로 유인 우주 비행에 최초로 성공하며 안사리 X상을 수상했다. - 우주 개발에 관한 - 제미니 10호
제미니 10호는 1966년 7월에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으로, 궤도상 랑데부, 도킹, 우주 유영,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70시간 10분간 비행 후 대서양에 착수했다. - 우주 개발에 관한 - 아제나 표적기
아제나 표적기는 제미니 계획에서 사용된 우주 표적 비행체로, 록히드 항공이 제작한 아제나-D 로켓 상단과 맥도넬 항공의 도킹 어댑터로 구성되어 제미니 우주선과의 랑데부 및 도킹을 위한 목표물 역할을 했다.
| 애틀랜티스 우주왕복선 | |
|---|---|
| 개요 | |
![]() | |
| 유형 | 우주왕복선 |
| 일련번호 | OV-104 |
| 이름의 유래 | RV 아틀란티스 호 |
| 소유주 | NASA |
| 제조사 | 록웰 인터내셔널 |
| 클래스 | 우주왕복선 오비터 |
| 이전 오비터 | 디스커버리 |
| 다음 오비터 | 엔데버 |
| 제원 | |
| 통신 | |
| (정보 없음) | (정보 없음) |
| 전력 공급 | |
| (정보 없음) | (정보 없음) |
| 로켓 | |
| (정보 없음) | 우주왕복선 |
| 임무 | |
| 최초 비행 날짜 | 1985년 10월 3일 ~ 7일 |
| 최초 비행 | STS-51-J |
| 마지막 비행 날짜 | 2011년 7월 8일 ~ 21일 |
| 마지막 비행 | STS-135 |
| 총 비행 횟수 | 33회 |
| 총 비행 시간 | 7,358시간 |
| 총 비행 거리 | 지구 주위 |
| 총 지구 궤도 횟수 | 지구 주위 4,848회 |
| 상태 | 퇴역 |
| 현재 위치 | 케네디 우주 센터 방문자 단지, 메릿 아일랜드, 플로리다주 |
| 승무원 | 191명 |
| 체류 시간 | 306일 12시간 58분 27초 |
| 발사 위성 수 | 14기 |
| 미르 도킹 횟수 | 7회 |
| 국제우주정거장(ISS) 도킹 횟수 | 12회 |
2. 건설 과정
애틀랜티스 우주왕복선의 건설은 1979년 1월 29일 록웰 인터내셔널과의 계약 체결로 시작되었다. 여러 단계를 거쳐 1984년 4월 최종 조립이 완료되었고, 1985년 4월 13일 케네디 우주 센터로 인도되었다. 같은 해 10월 3일, 애틀랜티스는 첫 임무인 STS-51-J를 위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6]
2. 1. 주요 건설 이정표
wikitext| 날짜 | 이정표[6] |
|---|---|
| 1979년 1월 29일 | 록웰 인터내셔널의 우주 수송 시스템 부서에 계약 수여 |
| 1980년 3월 30일 | 승무원 모듈의 구조 조립 시작 |
| 1981년 11월 23일 | 후방 동체 구조 조립 시작 |
| 1983년 6월 13일 | 그루먼에서 팜데일로 날개 도착 |
| 1983년 12월 2일 | 최종 조립 시작 |
| 1984년 4월 10일 | 최종 조립 완료 |
| 1985년 3월 6일 | 팜데일에서 롤아웃 |
| 1985년 4월 3일 | 팜데일에서 에드워드 공군 기지로 육상 수송 |
| 1985년 4월 13일 | 케네디 우주 센터로 인도 |
| 1985년 9월 12일 | 비행 준비 발사 |
| 1985년 10월 3일 | 첫 발사 (STS-51-J) |
애틀랜티스는 이전 우주왕복선인 컬럼비아보다 제작 기간이 절반으로 단축되었으며[7], 무게도 약 약 3175.15kg 더 가볍게 제작되었다.
3. 기술 제원
3. 1. 상세 제원

4. 주요 임무
'''애틀랜티스''' 우주왕복선은 1985년 10월 3일 첫 임무인 STS-51-J를 시작으로 2011년 7월 8일 마지막 임무인 STS-135까지 총 33회의 우주 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8][40] 첫 비행은 국방부 전용 임무였으며, 불과 50일 만에 다음 임무인 STS-61-B를 수행하여 역대 우주왕복선 중 가장 짧은 임무 간 간격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초기 임무에서는 국방부 관련 위성 발사 외에도 중요한 과학 임무를 수행했다. 1989년에는 STS-30 임무를 통해 금성 탐사선 마젤란을, STS-34 임무에서는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를 각각 발사하여 행성 간 탐사선을 발사한 최초의 우주왕복선이 되었다.[9] 1991년 STS-37 임무에서는 컴턴 감마선 관측소를 궤도에 성공적으로 배치했다. 그러나 1988년 STS-27 임무에서는 발사 중 외부 연료 탱크에서 떨어져 나온 단열재 파편으로 인해 내열 타일이 심각하게 손상되는 아찔한 순간도 겪었다. 이는 성공적으로 귀환한 왕복선 중 가장 심각한 손상 사례로 기록되었다.[10][11]
1995년부터는 우주왕복선-미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미르와 총 7차례 도킹했다. 특히 1995년 STS-71 임무는 미국 우주왕복선과 미르의 첫 도킹이자 100번째 미국 유인 우주 비행이라는 기록을 세웠다.[13] 미르 프로그램 종료 후 애틀랜티스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 건설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2001년 STS-98 임무에서 미국의 주요 실험 모듈인 데스티니 모듈을,[14] 같은 해 STS-104 임무에서는 퀘스트 합동 에어록을 ISS에 설치했다.[16] 이후에도 트러스 구조물(STS-110, STS-112, STS-115, STS-117)과 유럽의 콜럼버스 실험실(STS-122) 등 주요 구성품들을 ISS로 운반했다.[17][18]
2009년 5월에는 허블 우주 망원경의 마지막 서비스 임무인 STS-125를 수행하여 망원경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20] 애틀랜티스는 비교적 잔고장이 적은 우주왕복선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애틀랜티스는 33번의 임무를 통해 총 307일 가까이 우주에 머물렀으며, 지구를 4,848번 공전하며 약 약 202673470.48km를 비행했다.[40] 2011년 7월 STS-135 임무를 마지막으로 퇴역하며 30년간 이어진 미국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의 대미를 장식했다.
4. 1. 임무 목록
'''애틀랜티스''' 우주왕복선은 1985년 10월 3일, 첫 비행인 STS-51-J를 시작했다. 이 임무는 국방부 전용 임무였으며, 이는 우주왕복선 프로그램 전체에서 두 번째 국방부 전용 임무였다.[8] 애틀랜티스는 1986년 ''챌린저''호 폭발 사고로 우주왕복선 운행이 일시 중단되기 전까지, 1985년 11월 26일 STS-61-B 임무(두 번째 우주왕복선 야간 발사)를 한 번 더 수행했다. 특히 STS-61-B 임무는 첫 임무인 STS-51-J 이후 불과 50일 만에 발사되어, 역대 우주왕복선 중 가장 짧은 임무 간 간격(turnaround time) 기록을 세웠다.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이 재개된 후, 애틀랜티스는 1988년부터 1992년까지 10번의 비행을 더 수행했다. 이 중에는 중요한 과학 임무들이 포함되었다. 1989년 5월 4일 STS-30 임무에서는 행성 탐사선 ''마젤란''을 금성으로 보냈고, 같은 해 10월 18일 STS-34 임무에서는 ''갈릴레오'' 탐사선을 목성으로 발사했다. 이로써 애틀랜티스는 행성 간 탐사선을 발사한 최초의 우주왕복선이 되었다.[9] 1991년 STS-37 임무에서는 컴턴 감마선 관측소를 성공적으로 배치했다.

그러나 모든 임무가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1988년 12월 2일 발사된 STS-27 임무 중, 오른쪽 고체 로켓 부스터에서 떨어져 나온 단열재 조각이 우주선 하부에 충돌하여 700개 이상의 내열 타일이 심각하게 손상되었고, 한 개는 완전히 떨어져 나갔다.[10] 임무 중 승무원들은 로봇 팔을 이용해 손상 부위를 확인했지만, 임무의 기밀성 때문에 미션 통제 센터로 전송된 이미지는 암호화되어 화질이 매우 나빴다. 지상 관제소는 이를 심각하게 여기지 않고 임무를 계속 진행하도록 지시했으나, 착륙 후 확인 결과 애틀랜티스는 성공적으로 귀환한 우주왕복선 중 가장 심각한 손상을 입은 것으로 밝혀졌다. 다행히 떨어진 타일 바로 아래에 있던 강철 L 밴드 안테나 플레이트 덕분에 더 큰 재앙은 피할 수 있었다.[11] 이 사건은 2003년 ''컬럼비아''호 참사의 전조로 여겨지기도 한다.[12]

1995년부터 애틀랜티스는 러시아의 우주 정거장 ''미르''와의 도킹 임무를 수행하며 우주왕복선-미르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1995년 6월 27일 발사된 STS-71 임무는 여러 기록을 세웠다. 이는 100번째 미국 유인 우주 비행이었고, 미국 우주왕복선과 러시아 우주 정거장 ''미르''의 최초 도킹이었으며, 궤도상에서 우주왕복선 승무원을 교체한 첫 사례였다.[13] 애틀랜티스와 ''미르''가 도킹했을 때, 이는 당시 궤도상에서 가장 큰 인공 구조물이었다. 애틀랜티스는 이후 STS-74, STS-76, STS-79, STS-81, STS-84, STS-86까지 총 7번 ''미르''를 방문했다. 특히 1996년 STS-76 임무 중에는 도킹된 상태에서 미국 우주비행사들이 최초로 우주 유영(EVA)을 수행하기도 했다.

''미르'' 프로그램 이후, 애틀랜티스는 국제 우주 정거장 (ISS) 건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001년 2월 STS-98 임무에서는 ISS의 주요 미국 연구 시설인 데스티니 모듈을 운반 및 설치했다.[14] 이 임무 중 수행된 세 번째 우주 유영은 NASA의 100번째 우주 유영 기록이었다.[15] 같은 해 7월 STS-104 임무에서는 퀘스트 합동 에어록을 ISS로 운반하여 설치했다.[16] 이를 통해 ISS 승무원들은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복을 모두 사용하여 우주 유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 폭발 사고 이후 재개된 ISS 건설 임무에서 애틀랜티스는 중요한 역할을 계속했다. 2006년 9월 STS-115 임무에서는 P3/P4 트러스와 태양 전지판을,[17] 2007년 6월 STS-117 임무에서는 S3/S4 트러스와 태양 전지판을 ISS에 추가했다. STS-117 임무는 약 14일간 지속되어 애틀랜티스의 가장 긴 임무로 기록되었다.[21] 2008년 2월 STS-122 임무에서는 유럽 우주국(ESA)이 제작한 콜럼버스 실험실 모듈을 ISS로 운반 및 설치했다.[18][19]

2009년 5월, 애틀랜티스는 허블 우주 망원경의 마지막 서비스 임무인 STS-125를 수행했다.[20] 7명의 승무원은 총 5번의 우주 유영(총 37시간)을 통해 허블 망원경에 새로운 카메라, 배터리, 자이로스코프 등을 설치하고 수리하여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 임무는 ISS에 방문하지 않은 마지막 우주왕복선 임무였다.

애틀랜티스는 비교적 고장이 적은 우주왕복선으로도 알려졌다. 2009년 11월 STS-129 임무 후, NASA 관계자는 애틀랜티스가 STS-125 귀환 이후 단 54건의 사소한 문제만 보고되어, ''디스커버리''호의 기록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2011년 7월 8일, 애틀랜티스는 STS-135 임무를 위해 마지막으로 발사되었다. 이 임무는 ISS에 보급품을 전달하고 고장난 부품을 회수하는 임무였으며, 이 비행을 끝으로 애틀랜티스는 퇴역했다. 이는 또한 30년간 지속된 우주왕복선 프로그램 전체의 마지막 비행이기도 했다. STS-135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러시아 소유스 우주선을 통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4명의 승무원만 탑승했다.[50]
애틀랜티스는 총 33번의 임무를 수행하며 307일에 가까운 시간 동안 우주에 머물렀고, 지구를 4,848번 공전하며 총 약 202673470.48km를 비행했다.[40]
| # | 날짜 | 명칭 | 발사대 | 착륙 장소 | 비행 시간 | 이동 거리[40] | 비고 |
|---|---|---|---|---|---|---|---|
| 1 | 1985년 10월 3일 | STS-51-J | 39A | 에드워드 공군 기지(Edwards AFB) | 4일 1시간 44분 38초 | 약 2707941.47km | 최초의 애틀랜티스 임무; 국방부를 위한 임무. 2개의 DSCS-III (방위 위성 통신 시스템) 위성을 정지 궤도에 배치.[41] |
| 2 | 1985년 11월 26일 | STS-61-B | 39A | 에드워드 공군 기지 | 6일 21시간 4분 49초 | 약 3970170.97km | 3개의 통신 위성 배치: MORELOS-B, AUSSAT-2 및 SATCOM KU-2. 두 번째 야간 발사. |
| 3 | 1988년 12월 2일 | STS-27 | 39B | 에드워드 공군 기지 | 4일 9시간 5분 37초 | 약 2916244.78km | 국방부를 위한 임무. 라크로스 1 정찰 위성 배치. 비행 중 열 보호 시스템 타일 700개 이상 손상 및 1개 유실.[42] |
| 4 | 1989년 5월 4일 | STS-30 | 39B | 에드워드 공군 기지 | 4일 0시간 56분 28초 | 약 2377799.85km | 금성으로 향하는 마젤란 탐사선 배치. 최초의 행성 탐사선 발사 임무. |
| 5 | 1989년 10월 18일 | STS-34 | 39B | 에드워드 공군 기지 | 4일 23시간 39분 20초 | 약 2896812.00km | 목성으로 향하는 갈릴레오 탐사선 배치. |
| 6 | 1990년 2월 28일 | STS-36 | 39A | 에드워드 공군 기지 | 4일 10시간 18분 22초 | 약 2957905.77km | 국방부를 위한 임무. Misty 정찰 위성으로 추정되는 위성 배치. |
| 7 | 1990년 11월 15일 | STS-38 | 39A | 케네디 우주 센터(KSC) | 4일 21시간 54분 31초 | 약 3291190.42km | 국방부를 위한 임무. 비밀 매그넘 ELINT 위성으로 추정되는 USA-67 배치. |
| 8 | 1991년 4월 5일 | STS-37 | 39B | 에드워드 공군 기지 | 5일 23시간 32분 44초 | 약 4002549.28km | 컴턴 감마선 관측소(GRO) 배치. 안테나 문제 해결 위한 예정 없던 우주 유영 수행. |
| 9 | 1991년 8월 2일 | STS-43 | 39A | KSC | 8일 21시간 21분 25초 | 약 5955201.74km | TDRS-5 (TDRS-E) 통신 중계 위성 배치. |
| 10 | 1991년 11월 24일 | STS-44 | 39A | 에드워드 공군 기지 | 6일 22시간 50분 44초 | 약 4651100.43km | 국방부를 위한 임무. 국방 지원 프로그램(DSP) 조기 경보 위성 배치. |
| 11 | 1992년 3월 24일 | STS-45 | 39A | KSC | 8일 22시간 9분 28초 | 약 5270501.60km | 대기 연구 임무 (ATLAS-1). |
| 12 | 1992년 7월 31일 | STS-46 | 39A | KSC | 7일 23시간 15분 3초 | 약 5344629.41km | NASA/이탈리아 우주국 공동 테더 위성 시스템(TSS) 실험(TSS-1, 실패). 유럽 우주국(ESA)의 유럽 회수 운반선(EURECA) 위성 배치. |
| 13 | 1994년 11월 3일 | STS-66 | 39B | 에드워드 공군 기지 | 10일 22시간 34분 2초 | 약 7330207.35km | 대기 연구 임무 (ATLAS-3). CRISTA-SPAS 위성 배치 및 회수. |
| 14 | 1995년 6월 27일 | STS-71 | 39A | KSC | 9일 19시간 22분 17초 | 약 6598294.00km | 우주 정거장 미르와의 첫 번째 우주왕복선 도킹. 100번째 미국 유인 우주 비행. 승무원 교체. |
| 15 | 1995년 11월 12일 | STS-74 | 39A | KSC | 8일 4시간 31분 42초 | 약 5471756.00km | 미르와의 두 번째 도킹. 미르용 도킹 모듈 및 새 태양 전지판 전달. |
| 16 | 1996년 3월 22일 | STS-76 | 39B | 에드워드 공군 기지 | 9일 5시간 16분 48초 | 약 6115492.00km | 미르와의 세 번째 도킹. 섀넌 루시드 승무원 교체. SPACEHAB 모듈 첫 비행. 첫 미-러 공동 우주 유영(도킹 상태). |
| 17 | 1996년 9월 16일 | STS-79 | 39A | KSC | 10일 3시간 19분 28초 | 약 6276426.00km | 미르와의 네 번째 도킹. 섀넌 루시드 귀환, 존 블라하 탑승. SPACEHAB 이중 모듈 첫 비행. |
| 18 | 1997년 1월 12일 | STS-81 | 39B | KSC | 10일 4시간 56분 30초 | 약 6276426.00km | 미르와의 다섯 번째 도킹. 존 블라하 귀환, 제리 리넨저 탑승. |
| 19 | 1997년 5월 15일 | STS-84 | 39A | KSC | 9일 5시간 20분 47초 | 약 5793624.00km | 미르와의 여섯 번째 도킹. 제리 리넨저 귀환, 마이클 포일 탑승. |
| 20 | 1997년 9월 25일 | STS-86 | 39A | KSC | 10일 19시간 22분 12초 | 약 6799461.50km | 미르와의 일곱 번째이자 마지막 도킹. 마이클 포일 귀환, 데이비드 A. 울프 탑승. 미-러 공동 우주 유영 수행. |
| 21 | 2000년 5월 19일 | STS-101 | 39A | KSC | 9일 21시간 10분 10초 | 약 8169462.06km | 국제 우주 정거장(ISS) 보급 및 유지보수 임무 (2A.2a). 우주 유영 수행. |
| 22 | 2000년 9월 8일 | STS-106 | 39B | KSC | 11일 19시간 12분 15초 | 약 7916734.53km | ISS 보급 임무 (2A.2b). 즈베즈다 모듈 준비. 우주 유영 수행. |
| 23 | 2001년 2월 7일 | STS-98 | 39A | 에드워드 공군 기지 | 12일 21시간 21분 | 약 8641473.44km | ISS 조립 임무 (5A). 데스티니 실험실 모듈 운반 및 설치. 3번의 우주 유영 (NASA 100번째 EVA 포함). |
| 24 | 2001년 7월 12일 | STS-104 | 39B | KSC | 12일 18시간 36분 39초 | 약 8544676.47km | ISS 조립 임무 (7A). 퀘스트 합동 에어록 운반 및 설치. 3번의 우주 유영. "블록 II" SSME 첫 사용.[43] |
| 25 | 2002년 4월 8일 | STS-110 | 39B | KSC | 10일 19시간 43분 48초 | 약 7282744.69km | ISS 조립 임무 (8A). S0 트러스 및 이동식 수송기(MT) 운반 및 설치. 4번의 우주 유영. |
| 26 | 2002년 10월 7일 | STS-112 | 39B | KSC | 10일 19시간 58분 44초 | 약 7262975.56km | ISS 조립 임무 (9A). S1 트러스 운반 및 설치. 3번의 우주 유영. 외부 탱크 카메라 첫 사용.[44][45] |
| 27 | 2006년 9월 9일 | STS-115 | 39B | KSC | 11일 19시간 6분 35초 | 약 7902322.89km | ISS 조립 임무 (12A). P3/P4 트러스, 태양 전지판, 배터리 운반 및 설치. 컬럼비아 참사 후 첫 ISS 조립 임무. 3번의 우주 유영. |
| 28 | 2007년 6월 8일 | STS-117 | 39A | 에드워드 공군 기지 | 13일 20시간 12분 44초 | 약 9349240.25km | ISS 조립 임무 (13A). S3/S4 트러스 및 태양 전지판 운반 및 설치.[46] 250번째 유인 우주 비행.[47] 승무원 교체. 애틀랜티스 최장 임무. |
| 29 | 2008년 2월 7일 | STS-122 | 39A | KSC | 12일 18시간 21분 50초 | 약 8524419.70km | ISS 조립 임무 (1E). 콜럼버스 실험실 운반 및 설치. 승무원 교체. 3번의 우주 유영. |
| 30 | 2009년 5월 11일 | STS-125 | 39A | 에드워드 공군 기지 | 12일 21시간 37분 9초 | 약 8490877.84km | 최종 허블 우주 망원경 서비스 임무 (SM4). 새 장비 설치 및 수리. 5번의 우주 유영. ISS 비방문 마지막 임무. IMAX 카메라 탑재. |
| 31 | 2009년 11월 16일 | STS-129 | 39A | KSC | 10일 19시간 16분 13초 | 약 7226158.69km | ISS 조립 및 보급 임무 (ULF3). ELC-1/ELC-2 운반 및 설치. 3번의 우주 유영.[48] |
| 32 | 2010년 5월 14일 | STS-132 | 39A | KSC | 11일 18시간 29분 09초 | 약 7853543.79km | ISS 조립 및 보급 임무 (ULF4). 미니 연구 모듈 1 (MRM1) 운반 및 설치. 3번의 우주 유영.[49] |
| 33 | 2011년 7월 8일 | STS-135 | 39A | KSC | 12일 18시간 28분 50초 | 약 8505139.81km | ISS 보급 임무. Raffaello 다목적 물류 모듈(MPLM) 사용. 애틀랜티스 및 우주왕복선 프로그램 마지막 임무. 4명 승무원 탑승.[50] |
5. 유지 보수
애틀랜티스는 운용 기간 동안 두 차례의 대규모 정비 기간(OMDP)을 거쳤다. 첫 번째 정비(OMDP-1)는 1992년 10월부터 약 20개월간 캘리포니아주 팜데일에서 진행되었으며, 드래그 슈트 설치 등 165개의 개조가 이루어졌다.[23] 두 번째 정비(OMDP-2)는 1997년 11월부터 약 10개월간 같은 장소에서 진행되었고, 글래스 콕핏 도입, GPS 시스템 교체 등 130개의 개조가 포함되었다.[24] 또한, 컬럼비아 사고 이후 운항 중단 기간에도 75개 이상의 추가 개조 작업이 수행되었다.[25] 이러한 정비 과정에도 불구하고, 발사 준비 중 문제가 잦아 작업자들 사이에서는 "브리트니"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26]
5. 1. 정비 내역
''애틀랜티스''는 운용 역사 동안 두 차례의 예정된 우주왕복선 정비 다운 기간(OMDP)을 거쳤다.첫 번째 정비 기간(OMDP-1)을 위해 ''애틀랜티스''는 1992년 10월 캘리포니아주 팜데일에 도착했다. 이 기간 20개월에 걸쳐 165개의 개조가 이루어졌다. 주요 내용은 드래그 슈트 설치, 연장 임무 수행에 필요한 신규 배관 라인 추가, 노즈 휠 조향 장치 개선, 800개 이상의 신규 열 타일 및 단열 담요 교체, 주 착륙 장치용 신규 단열재 적용, 동체 구조 개조 등이다.[23]
1997년 11월 5일, ''애틀랜티스''는 두 번째 정비 기간(OMDP-2)을 위해 다시 팜데일로 이동했으며, 1998년 9월 24일에 완료되었다. OMDP-2 동안 총 130개의 개조가 수행되었다. 여기에는 글래스 콕핏 디스플레이 설치, 기존 TACAN 항법 장치를 GPS로 교체, ISS 에어록 및 도킹 시스템 설치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우주왕복선 무게 감량을 위해 상부 표면의 첨단 유연 재사용 표면 단열재(AFRSI)를 FRSI로 교체하고[24] 경량 승무원 좌석을 설치했다. OMDP-1 때 설치했던 연장 임무 우주왕복선(EDO) 패키지도 제거하여, ''애틀랜티스''의 주 임무인 ISS 지원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무게를 줄였다.
컬럼비아 사고 이후 운항 중단 기간 동안 ''애틀랜티스''는 75개 이상의 크고 작은 개조를 거쳤다. 여기에는 사소한 볼트 교체부터 창문 교체, 다양한 유체 시스템 정비 등이 포함되었다.[25]
''애틀랜티스''는 발사 준비 과정에서 다른 우주왕복선보다 문제를 자주 일으키는 경향이 있어, 셔틀 작업자들 사이에서 "브리트니"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26]
6. 퇴역

NASA는 본래 2008년에 ''애틀랜티스''의 운행을 중단할 계획이었다. 이는 궤도선 정비 프로그램(OMDP)을 수행하기에는 우주왕복선 함대의 최종 퇴역 시점이 가까워 비경제적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초기 계획에서는 ''애틀랜티스''를 비행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며 ''디스커버리''와 ''엔데버''의 부품 공급원으로 활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10년까지 상당한 비행 일정이 계획되면서, 정비 주기를 연장하여 ''애틀랜티스''를 계속 운용하기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애틀랜티스''는 기존에 ''디스커버리''와 ''엔데버''가 수행할 예정이었던 임무 일부를 대신 맡게 되었다. ''애틀랜티스''는 우주왕복선 프로그램 종료 전 마지막 비행으로 예정되었던 STS-132 임무를 완료했다.[27] 하지만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이 2011년까지 연장되면서, ''애틀랜티스''는 2011년 7월 마지막 우주왕복선 임무인 STS-135를 수행하며 최종적으로 퇴역했다.
퇴역 후 ''애틀랜티스''는 케네디 우주 센터 방문자 단지에 영구 전시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28][29][30]
6. 1. 전시

''애틀랜티스''는 2011년 7월 마지막 우주왕복선 임무인 STS-135를 마친 후 퇴역하였다. NASA는 ''애틀랜티스''의 영구 전시 장소를 결정해야 했다.
2011년 4월 12일, NASA 행정관 찰스 볼든은 첫 번째 우주왕복선 비행 30주년을 기념하는 직원 행사에서 ''애틀랜티스''가 케네디 우주 센터 방문자 단지에 영구 전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29][30] 그는 모든 우주왕복선 임무와 다른 많은 역사적인 유인 우주 비행이 시작된 케네디 우주 센터에 ''애틀랜티스''를 전시하는 것의 의미를 강조했다.[28][29]
케네디 우주 센터 방문자 단지에서는 ''애틀랜티스''를 마치 지구 궤도를 도는 것처럼 보이도록 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페이로드 베이 도어를 열고 43.21도 각도로 기울여 장착했다.[31] 이 각도는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모든 우주왕복선 발사 전에 진행된 카운트다운에 경의를 표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32] ''애틀랜티스''는 5900m2 규모의 실내 시설에 전시되어 있으며, 궤도선 뒤로는 지구의 다층 디지털 프로젝션이 회전하며 우주 환경을 연출한다.[33][34] 이 전시 시설은 2012년에 착공하여[35] 2013년 6월 29일에 공식 개장했다.[36]
7. 문제점
애틀랜티스 우주왕복선은 오랜 운영 기간 동안 몇 가지 기술적인 문제에 직면했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설계 수명을 초과한 복합재 압력 용기(COPV)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파열 위험이 있었다. NASA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사 절차를 변경하고 일부 용기를 교체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51][52] 또한, STS-125 임무 이후에는 우주왕복선 내부에 작업 도구가 끼어 창문이 손상되는 사건도 발생했다. 이 문제는 선체를 가압하고 해당 물체를 냉각시켜 제거함으로써 해결되었으며,[53] 창문 손상은 비행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미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54][55]
7. 1. 복합재 압력 용기 (COPV) 문제
2007년 NASA는 ''애틀랜티스''호에 장착된 24개의 헬륨 및 질소 가스 탱크가 설계 수명을 넘겼다고 발표했다. 이 복합재 압력 용기(COPV)들은 원래 10년 수명으로 설계되었고, 이후 10년이 추가로 연장되었으나 2005년에 이미 이 연장된 수명마저 초과한 상태였다. NASA는 이 용기들이 최대 압력 상태에서 파열되거나 폭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더 이상 확신할 수 없다고 밝혔다. 만약 탱크가 고장 나면 우주왕복선의 다른 부품이 손상될 수 있고, 지상 근무자가 다치거나 사망할 위험도 있었다. 비행 중에 압력 용기가 고장 날 경우, 우주왕복선과 승무원 전체를 잃을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였다. NASA의 초기 분석에서는 용기가 파열 전에 먼저 가스가 누출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새로운 테스트 결과 실제로는 누출 없이 갑자기 파열될 수도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원래 탱크를 공급했던 업체는 더 이상 사업을 하지 않았고,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이 2010년에 종료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새로운 제조업체를 찾아 승인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 이에 NASA는 기존 탱크를 계속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대신 고장 위험과 반복되는 하중에 의한 피로 누적 효과를 줄이기 위해, 발사 카운트다운 과정에서 가능한 한 늦게까지 용기 압력을 작동 압력의 80% 수준으로 유지했다. 그리고 압력을 100%로 올릴 때는 발사대에 필수 인력을 제외한 모든 사람을 대피시키는 절차를 도입했다. 이 새로운 발사 절차는 ''애틀랜티스''호의 남은 임무 중 일부에서 실제로 사용되었으며,[51] 이후 고장 위험이 가장 높다고 판단된 두 개의 COPV를 교체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했다.[52]
7. 2. 창문 손상
STS-125 임무 이후, ''애틀랜티스''의 앞쪽 내부 창문과 우주왕복선 대시보드 구조 사이 공간에 작업등 손잡이가 끼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손잡이는 비행 중 우주왕복선 내부가 가압되어 선체가 미세하게 팽창했을 때 해당 공간으로 들어갔고, 지구로 귀환한 뒤 선체가 다시 수축하면서 끼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상태로는 비행 안전에 문제가 있어 제거가 필요했다. 제거 방법 중 일부는 ''애틀랜티스''의 다음 임무(예정은 STS-129)를 6개월 지연시킬 수도 있었으며, 만약 제거에 실패할 경우 최악의 시나리오로는 ''애틀랜티스''가 운용에서 퇴역하고 디스커버리와 엔데버가 단독으로 남은 임무를 완수하는 것이었다. 2009년 6월 29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틀랜티스'' 내부를 주변 대기압보다 3 psi 높게 가압하여 선체를 약간 팽창시켰다. 그 후 끼어 있는 손잡이를 드라이아이스로 냉각시켜 수축시킨 결과,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53] 제거 과정에서 손잡이 가장자리가 창문에 박혀 있던 곳에서 작은 손상이 발견되었다.[54] 이후 창문 손상에 대한 정밀 조사를 통해 가장 깊은 결함의 깊이가 약 약 0.00cm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보고 기준치인 약 0.00cm보다 작았기 때문에 창문을 교체할 필요는 없는 경미한 수준이었다.[55]8.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우주왕복선 애틀랜티스는 그 상징성과 역사적 중요성으로 인해 여러 영화, 소설, TV 프로그램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소재로 등장하였다.
8. 1. 등장 작품
- 1986년 영화 우주 캠프에서는 미국 우주 캠프 학생들이 테스트 중 사고로 애틀랜티스에 탑승한 채 우주로 발사되는 설정으로 등장한다. 실제 발사 영상이 사용되기도 했다.
- 데이비드 브린의 1990년 소설 지구는 G. 해리 스타인의 1980년 소설 '셔틀 다운'에 대한 경의를 표하며, 라파누이에 좌초된 애틀랜티스를 묘사한다.
- 영국 TV 프로그램 척클비전의 "Kidnapped" 에피소드에 등장했으며, STS-45의 실제 영상이 사용되었다.
- 1998년 SF 영화 딥 임팩트에서는 혜성 요격 임무를 위해 우주 비행사를 궤도상의 "메시아" 우주선으로 수송하는 데 사용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 1998년 SF 영화 아마겟돈에서는 초반에 유성군에 의해 파괴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 2010년 애니메이션 영화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vs 태양: 불타는 침략자 솔 블레이즈에서는 애틀랜티스에서 영감을 받은 이중 핀 우주 왕복선이 등장한다.
- 2022년 방영된 TV 시리즈 퀀텀 리프 부활 시리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는 애틀랜티스를 배경으로 하며, 실제 임무인 STS-86과 STS-101 사이의 가상 임무를 다룬다.
9. 사진 자료












10. 기타
- 영화 스페이스 캠프에서는 테스트 중 사고로 인해 소년소녀들이 탑승한 채 우주로 발사되는 설정으로 등장하며, 실제 발사 영상이 사용되었다.
- 영화 아마겟돈에서는 초반에 유성군의 피해를 받아 폭발하는 우주왕복선으로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pace Shuttle Overview: Atlantis (OV-104)
https://web.archive.[...]
NASA
2007-11-06
[2]
웹사이트
Respecting Atlantis as the shuttle faces retirement
https://web.archive.[...]
Spaceflight Now
2010-05-11
[3]
웹사이트
Space Shuttle Atlantis Wraps Up 25-year Career
https://web.archive.[...]
NASA
2010-05-20
[4]
웹사이트
Bolden Says Extra Shuttle Flight Needed As Hedge Against Additional COTS Delays
https://archive.toda[...]
Space News International
2010-11-19
[5]
웹사이트
Space Shuttle Atlantis Orbitor Fleet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Atlantis (OV‑103)
https://web.archive.[...]
[7]
뉴스
Atlantis takes off on final mission
https://www.cbc.ca/n[...]
CBC News
2010-05-14
[8]
웹사이트
Space shuttle Atlantis moves to launch pad for final planned flight
http://www.collectsp[...]
Collect SPACE
2010-04-22
[9]
웹사이트
7 Cool Things You Didn't Know About Space Shuttle Atlantis
https://web.archive.[...]
SPACE.com
2010-05-12
[10]
웹사이트
How the Space Shuttle program nearly ended in disaster
https://bigthink.com[...]
Big Think
2022-08-12
[11]
논문
STS-27R OV-104 Orbiter TPS damage review team, volume 1
https://ntrs.nasa.go[...]
NASA
1989-02-01
[12]
웹사이트
NASA – STS-107
https://web.archive.[...]
nasa.gov
[13]
웹사이트
STS-71
http://www.nasa.gov/[...]
NASA
[14]
웹사이트
Destiny Fulfilled: Atlantis Ends Mission With Safe Touchdown
https://web.archive.[...]
Space.com
[15]
웹사이트
Astronauts Cap 100th Spacewalk With Successful Disaster Drill
http://www.space.com[...]
Space.com
2010-02-14
[16]
웹사이트
Airlock marks milestone in quest to assemble Alpha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2001-07-15
[17]
웹사이트
STS-115: A Mission to Build On
https://web.archive.[...]
NASA
2006-09-28
[18]
웹사이트
Europeans Celebrate Successful Launch of Science Lab
http://www.space.com[...]
Space.com
2008-02-07
[19]
웹사이트
Columbus laboratory
http://www.esa.int/e[...]
[20]
웹사이트
Mission Accomplished: Leaving Hubble Better Than Ever
https://web.archive.[...]
NASA
2009-05-29
[21]
웹사이트
STS-117 MCC Status Report #30
https://web.archive.[...]
NASA
2007-06-22
[22]
웹사이트
Preflight Interview: Stan Love, Mission Specialist
http://www.nasa.gov/[...]
NASA
2007-11-19
[23]
웹사이트
Atlantis (OV-104)
https://web.archive.[...]
NASA
2009-10-10
[24]
웹사이트
Advanced Flexible Reusable Surface Insulation Blankets
https://web.archive.[...]
NASA
2009-10-10
[25]
웹사이트
Mike Leinbach, STS-115 Launch Director
http://www.nasa.gov/[...]
NASA
2006-08-22
[26]
웹사이트
STS-135: Engineers retest MFV – ET-138 stringer inspections completed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2011-06-25
[27]
웹사이트
Atlantis avoids early retirement – will keep flying to 2010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2007-06-23
[28]
뉴스
NYC, L.A., Kennedy Space Center, Smithsonian to get the 4 retired space shuttles
http://content.usato[...]
2011-04-12
[29]
웹사이트
Space shuttle retirement museums announced
https://web.archive.[...]
Spaceflight Now
2011-04-12
[30]
Youtube
Homes of Retired Space Shuttle Orbiters Announcement by NASA Admin Charlie Bolden
https://www.youtube.[...]
SpaceflightNews.net
2011-04-12
[31]
웹사이트
NASA Space Shuttle Atlantis {{!}} Kennedy Space Center
https://www.kennedys[...]
[32]
뉴스
Angling Atlantis: Space shuttle raised and tilted for public display
http://www.collectsp[...]
Collect Space
[33]
웹사이트
NASA Gives Space Shuttles to Smithsonian and Museums in California, Florida and NYC
http://www.space.com[...]
CollectSPACE.com
2011-04-12
[34]
웹사이트
NASA to Enhance Shuttle Story at Kennedy with Atlantis
http://www.nasa.gov/[...]
NASA
2011-04-12
[35]
웹사이트
There's No Space Like Home. Welcome Home, Atlantis!
https://web.archive.[...]
KSC
[36]
웹사이트
Space shuttle Atlantis exhibit opens June 29
http://www.cfnews13.[...]
CFN13
2013-02-21
[37]
웹사이트
The legacy of space shuttle Atlantis
http://www.collectsp[...]
CollectSPACE
2010-06-04
[38]
웹사이트
Mike Massimino Becomes the First to 'Tweet' From Space
https://www.nasa.gov[...]
NASA
2023-02-25
[39]
웹사이트
NASA'S Shuttle Discovery Heads To Space Station On Its Final Mission
http://www.nasa.gov/[...]
NASA
2011-03-10
[40]
웹사이트
Space Shuttle Mission STS-132 Press Kit
http://www.nasa.gov/[...]
2010-05-08
[41]
웹사이트
A lighter shade of black: the (non) mystery of STS-51J
http://www.thespacer[...]
The Space Review
2011-07-21
[42]
웹사이트
Legendary commander tells story of shuttle's close call
http://www.spaceflig[...]
Spaceflight Now
2010-07-25
[43]
웹사이트
Atlantis STS 104 Space Shuttle Program SSME Flight Readiness Review
http://www.jsc.nasa.[...]
2010-07-25
[44]
웹사이트
Sneak peek at 'shuttlecam'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2010-07-25
[45]
웹사이트
STS 112 Daily Videos: Flight Day 1
http://spaceflight.n[...]
2010-07-25
[46]
웹사이트
STS-117 Mission Coverage
http://www.spaceflig[...]
Spaceflightnow.com
[47]
웹사이트
STS-117 marks 250th orbital crewed flight
http://www.collectsp[...]
collectSPACE
[48]
웹사이트
Mission STS-129: Delivering the Goods
http://www.nasa.gov/[...]
NASA.gov
2010-07-25
[49]
웹사이트
Mission preview: Atlantis to launch Russian mini module
http://www.spaceflig[...]
Spaceflight Now
2010-07-25
[50]
웹사이트
NASA managers approve STS-135 mission planning for June 28, 2011 launch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2011-03-16
[51]
웹사이트
Orbiters Feel Pains of Aging
http://www.space.com[...]
Space.com
[52]
웹사이트
NASA Reviews COPV Reliability Concerns for Final Program Flights
http://www.nasaspace[...]
2010-07-18
[53]
웹사이트
Knob removed, Atlantis window inspection begins – longerons in cart accident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54]
웹사이트
Window damage on Atlantis threatens six-month delay to STS-129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55]
웹사이트
Endeavour heads into countdown – Atlantis window damage cleared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56]
문서
STS-51-L 사고에 탑승했던 일계 미국인 우주비행사 엘리슨 오니즈카
[57]
문서
STS-131에서 야마자키 나오코가 일본인 우주비행사로서 처음으로 아틀란티스에 탑승할 예정이었으나 디스커버리로 변경되었다. 또한 STS-114에서 노구치 소이치가 아틀란티스에 탑승할 예정이었으나, 컬럼비아호 사고의 영향으로 미션이 연기되고 기체도 디스커버리로 변경되었다.
[58]
문서
일계 미국인 우주비행사 다니엘 M. 타니가 STS-122에서 비행하고 있다.
[59]
뉴스
퇴역샤틀의 「종의 거처」4곳 발표 초비행 30주년
http://www.asahi.com[...]
asahi.com
2011-07-12
[60]
뉴스
最後のシャトル「アトランティス」を輸送 フロリダ州で来年展示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61]
뉴스
마지막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호 발사 성공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