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가 형제의 복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가 형제의 복수는 1176년 발생한 사건으로, 영지 문제로 원한을 품은 쿠도 스케츠네가 삼촌 이토 스케치카를 암살하려다 실패하고, 스케치카의 장남이 사망하면서 시작되었다. 스케츠네에게 원한을 품은 스케치카의 손자 소가 형제(이치만마루, 하코오마루)는 성장하여 복수를 계획했다. 형제는 1193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사냥터에서 스케츠네를 습격하여 죽였으나, 형은 사망하고 동생은 체포되어 처형당했다. 이 사건은 '소가모노가타리'로 정리되어 에도 시대에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일본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민속 예술 - 조루리
조루리는 사미센 반주에 맞춰 이야기를 들려주는 일본 전통 이야기 형식으로,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와 정루리히메의 사랑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에도 시대에 여러 유파로 발전하여 고조루리와 신조루리로 나뉘었고, 현재까지 그 맥을 이어오며 일본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일본의 민속 예술 - 노 (연극)
노는 가마쿠라 시대 사루가쿠에서 시작되어 무로마치 시대에 대표적인 예능으로 자리 잡은 일본의 가면극으로, 독특한 무대와 가면, 조하큐 구성, '하나'와 '유겐'의 미학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무형 문화재로 보존되고 있다.
소가 형제의 복수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소가 형제의 복수 |
일본어 이름 | 曾我兄弟の仇討ち |
일본어 이름 (로마자) | Soga Kyōdai no Adauchi |
사건 개요 | |
날짜 | 1193년 6월 28일 |
장소 | 후지노마키가리 |
위치 | 가미노, 후지노, 시즈오카현 |
유형 | 복수, 암살 시도 |
동기 | 가와즈 스케야스의 살해 |
목표 | 구도 스케쓰네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
후원자 | 호조 도키마사 |
주최자 | 소가 형제 (소가 스케나리, 소가 도키무네) |
참가자 | 2명 |
결과 | 복수 성공 |
사상자 | |
소가 형제 | 2명 |
가마쿠라 막부 | 3명 이상 |
총 사망자 | 5명 이상 |
부상자 | 18명 이상 |
처리 | |
체포 | 고쇼노 고로마루가 소가 도키무네를 체포 |
용의자 | 소가 형제 |
피고인 | 소가 형제 |
선고 | 소가 도키무네에게 사형 선고 |
참고 | |
영어 이름 | Revenge of the Soga Brothers |
2. 사건 경위
1193년(겐큐 4년) 음력 5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후지산 기슭에서 자신의 아들 요리이에의 성인식을 겸한 대규모 사냥 대회(후지노마키가리)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쿠도 스케츠네도 참가했다.
대회 마지막 날인 음력 5월 28일, 소가 형제는 밤중에 스케츠네의 숙소에 잠입했다. 형제는 술에 취해 창녀와 함께 잠든 스케츠네를 일부러 깨워 수십 차례 칼로 난도질했다.[5] 이 소동으로 주변의 호위 무사들이 몰려들었고, 형제는 10명의 사무라이를 베는 등 격렬하게 저항했다("주방기리").[26] 그러나 형 스케나리는 닛타 시로 타다츠네에게 죽임을 당했고,[4] 동생 토키무네는 고로마루에게 붙잡혀 요리토모에게 압송되었다.[4]
다음 날, 토키마사가 요리토모에게 형제의 사정을 설명했다. 요리토모는 처음에는 동정심과 장인의 체면을 고려하여 토키무네를 살려주려 했다.[4] 그러나 스케츠네의 아들들이 강력히 반발했고, 결국 토키무네는 담담하게 죽음을 받아들이고 참수되었다.[4]
''아즈마카가미''와 ''소가모노가타리''의 기록에는 차이가 있다. ''아즈마카가미''에는 이데 저택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21] 토키무네 심문에 참여한 고케닌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만, ''마나본 소가모노가타리''에는 없다.[22] ''주방기리''에서 베어진 10명의 가신 명단도 두 기록이 다르다.[23]
다음은 ''아즈마카가미''와 ''소가모노가타리''에 기록된 ''주방기리'' 10인의 명단 비교이다.
아즈마카가미[23] | 소가모노가타리[23] |
---|---|
타이라이고 야헤이 | 타이라이고 야헤이 |
아이코 사부로 | 아이코 사부로 |
키츠코 코지로 | 오카베 고로 |
카토 타 | 하라 사부로 |
운노 코타로 | 고쇼노 쿠로야고 |
오카베 야사부로 | 운노 코타로 유키우지 |
하라 사부로 | 카토 타로 |
호리후지 타 | 후나코시토노 키츠코 코지로 |
우스키 하치로 | 우다 고로 |
우다 고로 | 우스키 하치로 |
2. 1. 배경
다이라(平)씨의 고케닌 구도 스케쓰네(工藤祐経)는 삼촌 이토 스케치카(伊藤祐親)에게 영지 문제로 원한을 품고 있었다. 이토 스케치카 역시 같은 다이라 씨의 고케닌이었다. 1176년(안겐 2년) 음력 10월, 구도 스케쓰네는 부하들을 시켜 이토 스케치카가 사냥터에 매복하게 했다. 이토 스케치카를 노리고 쏜 화살은 빗나가 그의 아들 카와즈 스케야스(河津 祐康)가 즉사했다. 자객들은 도주했으나 곧 뒤쫓아온 이토의 부하들에게 잡혀 죽었다.[3]카와즈 스케야스에게는 아내 미츠에 고젠(満江御前)[201]과 두 아들 이치만마루(一萬丸), 하코오마루(箱王丸)가 있었다. 미츠에 고젠은 미나모토(源)가의 고케닌인 소가 스케노부(曾我祐信)와 재혼했다. 두 형제는 어머니를 따라 가마쿠라 근처 소가씨 장원에서 자랐으며 '소가(曾我)씨'로 개명했다.
이후 지쇼・주에이의 난(治承・寿永の乱)으로 다이라 씨가 몰락하고 이토 씨도 궁지에 몰렸다. 이토 스케치카는 자결을 강요당했지만, 구도 스케츠네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 연줄을 만들어 미나모토 가문의 신하가 되었다.[3]
소가 형제는 양아버지 밑에서 힘들게 성장했다. 형 이치만마루는 성인이 되면서 '소가 쥬로 스케나리(曾我十郎祐成)'라는 이름을 받았지만, 동생 하코오마루는 하코네곤겐 신사(箱根権現社)에 맡겨졌다. 어린 하코오마루는 복사(稚児,訓:ちご[202])로서 아비의 명복을 빌었다.
1187년(분지 3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하코네곤겐 신사에 참배하러 왔을 때, 하코오마루는 요리토모 옆에 있던 구도 스케츠네를 발견했다. 활과 화살을 가져와 암살을 시도했으나, 스케츠네가 찬 단도[203]에 맞아 실패했다.
하코오마루는 가마쿠라 막부의 창업 공신 호조 도키마사(北条時政)에게 의탁했다. 호조 도키마사의 전처는 소가 형제의 친고모였고, 도키마사는 하코오마루에게 '소가 고로 토키무네(曾我五郎時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호조 도키마사는 형도 불러들여 소가 형제를 후원했고, 둘은 복수를 계획했다.[3]
2. 2. 복수의 준비
1176년(안겐 2년) 음력 10월, 다이라(平)씨의 고케닌 쿠도 스케츠네(工藤祐経)는 부하들을 시켜 삼촌 이토 스케치카(伊藤祐親)를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오히려 스케치카의 아들 카와즈 스케야스(河津祐康)가 사망했다. 스케야스의 아내와 두 아들 이치만마루(一萬丸), 하코오마루(箱王丸)는 소가 스케노부(曾我祐信)와 재혼하여 소가 씨의 장원에서 자랐다.[201]치쇼・주에이 연간의 난(治承・寿永の乱)으로 다이라 씨가 몰락하고 이토 씨도 궁지에 몰렸으나, 쿠도 스케츠네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 연줄을 만들어 요리토모의 신하가 되었다. 소가 형제는 양아버지의 눈치 속에서 성장했다. 형 이치만마루는 '소가 쥬로 스케나리(曾我十郎祐成)'라는 이름을 받았고, 동생 하코오마루는 하코네곤겐신사(箱根権現社)에 맡겨져 복사(稚児,訓:ちご[202])로 지내며 아버지의 명복을 빌었다.
1187년(분지 3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하코네곤겐 신사에 참배하러 왔을 때, 하코오마루는 요리토모 옆에 있던 쿠도 스케츠네를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호조 토키마사(北条時政)에게 의탁했다.[203] 토키마사는 하코오마루에게 '소가 고로 토키무네(曾我五郎時致)'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형제를 후원하며 복수를 준비하도록 도왔다.[204]
1193년(겐큐 4년) 음력 5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후지산 기슭에서 사냥 대회를 열었고, 쿠도 스케츠네도 참가했다. 소가 형제는 이 기회를 틈타 복수를 계획했다. 형 스케나리는 ''샤쿠도'' ''타치'' 검으로, 동생 토키무네는 ''효고구사리'' ''타치'' 검과 구리 ''사스가'' 검으로 무장했다.[5]
소가 형제는 후지노에서의 권렵을 절호의 기회로 여기고, 요리토모 앞이나 진내의 사무라이에게도 주눅 들지 않고 복수를 단행할 것을 결의하며 죽음을 각오했다.[58][59][60]
2. 3. 복수의 실행
1193년(겐큐 4년) 음력 5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후지산 기슭에서 대규모 사냥 대회(후지노마키가리)를 열었다. 이는 장남 요리이에의 성인식을 기념하고 후계 구도를 확립하기 위한 행사였다. 쿠도 스케츠네도 이 행사에 참가했다.대회 마지막 날인 음력 5월 28일, 소가 형제는 스케츠네의 숙소에 잠입했다. 형제는 술에 취해 매춘부와 함께 잠든 스케츠네를 일부러 깨워 칼로 난도질했다.[5] 이 과정에서 스케츠네와 함께 술을 마시던 키비츠노미야노 오토나이도 사망했다.[4] 소란에 주변 호위 무사들이 몰려들었고, 형제는 10명의 사무라이를 베는 등 격렬하게 저항했다. 이 사건을 "주방기리"(열 명을 베기)라고 한다.[26] 그러나 형 스케나리는 닛타 시로 타다츠네에게 죽임을 당했고,[4] 동생 토키무네는 고로마루에게 붙잡혀 요리토모에게 압송되었다.[4]
다음 날, 토키마사가 요리토모에게 형제의 사정을 설명했다. 요리토모는 처음에는 동정심과 장인의 체면을 고려하여 토키무네를 살려주려 했다.[4] 그러나 스케츠네의 아들들이 강력히 반발했고, 결국 토키무네는 담담하게 죽음을 받아들이고 참수되었다.[4]
''아즈마카가미''와 ''소가모노가타리''의 기록에는 차이가 있다. ''아즈마카가미''에는 이데 저택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21] 토키무네 심문에 참여한 고케닌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만, ''마나본 소가모노가타리''에는 없다.[22] ''주방기리''에서 베어진 10명의 가신 명단도 두 기록이 다르다.[23]
다음은 ''아즈마카가미''와 ''소가모노가타리''에 기록된 ''주방기리'' 10인의 명단 비교이다.
아즈마카가미[23] | 소가모노가타리[23] |
---|---|
타이라이고 야헤이 | 타이라이고 야헤이 |
아이코 사부로 | 아이코 사부로 |
키츠코 코지로 | 오카베 고로 |
카토 타 | 하라 사부로 |
운노 코타로 | 고쇼노 쿠로야고 |
오카베 야사부로 | 운노 코타로 유키우지 |
하라 사부로 | 카토 타로 |
호리후지 타 | 후나코시토노 키츠코 코지로 |
우스키 하치로 | 우다 고로 |
우다 고로 | 우스키 하치로 |
사건 직후 얼마간 가마쿠라와 요리토모 간의 연락이 끊어졌다. 사냥에 간 남편 요리토모와 아들을 걱정하는 아내 호조 마사코에게 시숙 미나모토노 노리요리가 '안심하십시오. 이 노리요리가 있지 않습니까'라며 안심시켰다.[205][206] 그런데 노리요리의 이 말이 오히려 오해를 불러일으켜, 노리요리는 모반 기도 혐의로 슈젠사에 유폐돼 얼마 후 자결해야 했다.
일설에는 구도 스케쓰네를 살해한 소가 형제가 요리토모의 숙소에 침입하여 요리토모까지 암살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진상은 알 수 없지만, 형제의 후원자였던 호조 토키마사가 훗날 외손주이자 2대 쇼군인 요리이에를 죽이고 1203년 초대 싯켄이 되어 가마쿠라 막부의 최고 권력자가 된 사실을 미루어 짐작해 이러한 추측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아즈마카가미》와 《소가모노가타리》는 소가 형제의 복수 사건을 다루지만, 내용 묘사에 차이가 있다.
3. 사건의 여파
1193년 6월 28일, 소가 스케나리와 도키무네는 후지노 (현재의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 가미이데)에 있는 카미노 여관에 들어가 구도 스케쓰네를 살해했다. 스케츠네와 함께 술을 마시던 키비츠노미야노 오토나이도 이 과정에서 사망했다. 오토나이와 스케츠네를 수행하던 매춘부 타고시노 쇼쇼와 키세가와노 카메즈루는 비명을 지르기 시작했다. 소란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은 당황했고 경비원들이 경계했다.[4]
소가 형제와 쇼군의 가신들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말부 사무관(馬-の-jō) 타이라이고 야헤이, 아이코 사부로, 키츠코 코지로, 카토 타, 운노 코타로, 오카베 야사부로, 하라 사부로, 호리후지 타, 우스키 하치로 등이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다. 우다 고로는 형제들에게 살해되었고, 스케나리는 닛타 시로 타다츠네에게 살해되었다.[4]
스케나리가 살해된 후, 도키무네는 쇼군을 찾아 쇼군의 저택으로 쳐들어갔다. 쇼군은 칼을 뽑았지만, 내전부 좌위문부 소위(左-の-shōgen) 요시나오에게 저지당했다. 그동안 가신단 주니어 장교(Kodoneri) 고로마루가 도키무네를 체포했다. 도키무네는 오미 코헤이지에게 넘겨졌고, 요시모리와 카게토키가 죽은 자에 대한 심문을 진행했다.[4]
다음 날, 도키무네는 쇼군의 많은 ''고케닌'' 앞에서 야간 공격의 동기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 호조 공, 이즈 태수, 카즈사 부태수, 에마 공, 전 분고 태수(모로 타카미츠), 사토미 칸자, 미우라 스케, 하타케야마 지로, 좌위문부 소위 사와라 주로, 이자와 고로, 오가사와라 지로, 좌위문부 소위 오야마, 시모코베 영주, 이나게 사부로, 나가누마 고로, 한가야 시로, 치바 타로, 우츠노미야 야사부로, 유키 시치로, 내전부 좌위문부 소위 오토모, 좌위문부 소위 와다, 카지와라 헤이자, 카노 스케, 신가이 아라지로 등이 참석했으며, "너무 많아 셀 수 없을 정도"의 많은 ''고케닌''들이 참석했다. 카노 스케와 신가이가 질문을 시작했고 도키무네는 복수와 그 동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심문 후, 처음에는 요리토모가 도키무네의 용감함에 대해 사면할 것을 제안했지만, 그는 스케츠네의 아들 이누보마루의 요청에 따라 같은 날 처형되었다.[4]
이제 홀로 남겨진 도키무네는 마치 ''오니''와 같이 서 있었고, 아무도 감히 그에게 덤벼들지 못했다고 한다. 그러나 호리 도지가 숨겨진 칼로 도키무네를 덮쳤지만, 은색 칼집 때문에 발각되었다. 도키무네는 즉시 그를 공격하여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거실로 몰아넣었다. "초인적인 힘"으로 유명하고 요리토모가 가장 아끼는 젊은이인 고로마루는 여장을 하고 도키무네를 매복했다. 도키무네는 그를 눈치채지 못했고, 입구에서 고로마루에게 체포되었는데, 고로마루는 그의 팔꿈치를 잠그고 자신의 무게로 그를 넘어뜨리려 했다. 그러나 도키무네는 몸부림치며 그를 두세 ''켄''이나 끌었고, 고로마루는 적을 체포했다고 소리쳤다. 도키무네는 검을 잡으려 했지만 찾을 수 없었다. 마침내 가코 타로와 미우마야노 코헤이지가 현장에 도착했고, 세 사람은 도키무네의 발, 팔, 그리고 상투를 붙잡고 밖으로 끌어냈다.[5]
소동으로 인해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하라마키'' 갑옷을 입고 칼을 든 채 나와서 사무라이들이 쇼군의 곁에서 왜 난동을 부리는지 물었다. 오토모 요시나오가 그를 진정시켰고, 코헤이지는 요리토모에게 야간 습격범들이 제압되었다고 보고했다. 요리토모는 코헤이지에게 도키무네를 돌보라고 말했고, 이후 코헤이지의 가신 구니미쓰가 그를 기둥에 묶어 감시했다.[5]
다음 날, 토키무네는 요리토모에게 학살 동기에 관해 심문을 받기 위해 소환되었다. 오가와 코지로가 귀족 신분을 강도처럼 묶어 놓은 것을 비판하자, 토키무네는 아버지의 살해범을 죽이기 위해 묶이는 것은 효도의 영광이라고 설명했고, 대중은 감탄했다. 가노 스케와 신가이 아라지로가 심문을 시작했지만, 아라지로가 토키무네의 밧줄을 풀려고 하자 토키무네는 강하게 반대하며 쇼군이 직접 심문해 줄 것을 요청했다. 요리토모는 이 요청을 거절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타났다.[5]
요리토모가 토키무네에게 복수에 대해 묻자, 토키무네는 복수와 그 동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그는 칼이 그의 스승의 ''벳토''에서 온 것이라는 사실을 숨기기 위해 교토에서 칼을 샀다고 거짓말을 했다. 요리토모가 형제들이 왜 이 시기를 선택했는지 묻자, 토키무네는 그들이 수케츠네를 수년간 감시해 왔지만, 항상 50~100명의 기병이 그를 에워싸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요리토모는 복수에 대한 이해를 표했지만, 형제들이 왜 무고한 사무라이를 공격했는지 물었다. 토키무네는 요리토모의 모든 가신들이 칼을 보고 도망치는 겁쟁이들이라는 것을 보고 사무라이를 베었다고 설명했다. 요리토모는 그가 왜 고로마루에게 체포되었는지 물었다. 토키무네는 고로마루를 일반 가신으로 착각했고, 그를 알아보았더라면 즉시 공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요리토모가 왜 쇼군의 구역에 들어왔는지 묻자, 토키무네는 단지 호리 토지를 쫓아갔을 뿐이라고 대답했다. 요리토모는 이것을 의심하며 그에게 원한이 있는지 물었다. 토키무네는 수케츠네를 편애한 것에 대해 요리토모에게 원한이 있으며, 스케나리가 그에게 "쇼군에게 자신을 보여라"라고 유언했기에, 수많은 사무라이를 죽이는 것보다 쇼군을 죽이는 것이 그들의 이름을 역사에 남기는 더 좋은 방법이라고 대답했다. 요리토모는 원한을 무시하고, 토키무네의 용기에 감명을 받아 토키무네를 자신의 가신으로 삼아 그의 목숨을 살리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나, 가지와라가 요리토모에게 토키무네는 수케츠네의 아들 이누보(이토 스케토키)와 동생 가나보시(구도 스케나가)가 차례로 토키무네에게 복수하려 할 것이므로 용서받을 수 없다고 말했고, 토키무네를 처형하기로 결정했다.[5]
요리토모는 토키무네에게 공범이 있는지 물었고, 토키무네는 그들이 혼자 일했으며 이복 형제 코지로와 사촌 미우치 요이치가 거절했다고 대답했다. 요리토모가 그들이 어머니에게 복수에 대해 알렸는지 묻자, 토키무네는 아들이 죽는 것을 허락할 어머니는 없을 것이라며 눈물을 터뜨렸다. 요리토모와 현장의 사람들도 눈물을 흘렸다. 수케츠네의 아홉 살 된 아들 이누보가 현장에 도착해 토키무네를 부채로 때리기 시작했다. 토키무네는 자신의 아버지가 살해당했을 때 같은 기분이었다고 말하고, 이누보에게 대신 소나무 막대기로 때리라고 말했다. 이누보가 소나무 막대기로 토키무네를 때린 후, 요리토모는 그에게 비켜서 심문을 계속하라고 말했다.[5]
이후, 닛타 타다츠네와 요리토모에 의해 스케나리의 시신이 확인되었다.[5] 와다 요시모리와 카지와라 카게토키가 사망자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3][6]
다이쇼 시대에 미우라 히로유키는 호조 도키마사 흑막설을 옹호했는데, 이는 이후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7][8][9] 『아즈마카가미』와 『소가 이야기』에서, 도키무네는 스케츠네를 죽인 후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공격하려 했는데, 이는 도키마사의 은밀한 책략의 결과로 해석된다. 도키마사는 그의 비밀 계획을 위해 미리 스루가국에 들어가[10] 요리토모가 후지노에 도착했을 때에도 미리 후지노를 방문했는데, 이는 이 이론에 확신을 더했다. 게다가, 그 전에 소가 형제는 도키마사와 강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11] 도키무네는 또한 도키마사를 후견인(''에보시-오야'')으로 하여 도키마사의 저택에서 성인식 (''겐푸쿠'')을 치렀으며, 도키마사는 도키무네의 이름에 한자 "토키"(時)를 하사했다.[12] 소가 형제와 친분이 있던 도키마사가 도키무네를 이끌어 요리토모를 공격하게 했다는 주장에 대해 아직도 많은 논쟁이 있다.[11]
사건 이후, 스케나리의 첩과 기녀 토라는 복수가 이루어지고 스케나리가 사망한 후지노의 이데 저택에서 슬퍼했다.[14] 이후 그곳에 사당이 세워졌다.[15][16]
이 사건 당시 요리토모를 지키지 않고 도망친 히타치국의 사무라이 관련 문제와, 사건 직후 히타치국의 타케 요시모토가 반역의 기치를 내건 사실로 미루어 보아, 이는 미나모토노 노리요리에 대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의심을 깊게 했다는 설이 있다.
또한 요리토모의 이복 형제인 미나모토노 노리요리가 후지노 마키가리에 참여하지 않았고, 그것이 이후 노리요리의 유배와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다.
소가 형제의 복수는 스루가 국(駿河国) 후지노 (현재의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28][29][30], 『아즈마카가미』에는 더 자세하게 후지노 간노라고 기록)에서 발생했다. 형인 소가 주로 스케나리(이치만)가 22세, 동생인 소가 고로 토키무네(하코오)가 20세 때의 일이었다 (만 나이)[31]。
진명본 『소가 이야기』에 따르면, 복수의 발단은 안겐 2년 (1176년) 10월에 형제의 아버지인 가와즈 스케야스가 이즈 국 오쿠노의 사냥터에서 구도 스케쓰네의 낭종에게 암살당한 사건이었다.[32]。스케야스가 31세, 이치만이 5세, 하코오가 3세 때의 일이었다.[31]。스케쓰네는 이토 장(伊東荘)[33]을 중심으로 한 소령 소송[34]의 상대이자 아내 (만고)를 이혼시킨 인물인 이토 스케치카의 암살을 낭종에게 명령했지만[35], 실제로는 화살이 스케치카가 아닌 스케야스에게 명중하여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다[36][37]。그 원수인 스케쓰네를 소가 형제가 처단한 사건이다 (형제의 어머니가 소가 스케노부와 재혼했기 때문에 형제는 소가 성을 사용한다)。
이 사건은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하나에 후지, 둘에 매의 깃털의 어긋남, 셋에 이름을 떨친 이가의 복수"라는 말처럼,[39] 현재 일본 3대 복수로 꼽히며, 무사 사회에서는 복수의 모범으로 여겨졌다.[40]。또한 『소가 이야기』나 에도시대의 교과서 『후지노 왕래』와 같은 사료, 예능에서는 "소가물"을 성립시켰다.
근대에는 교과서에도 채택되어, 심상소학교의 교과서에 소가 이야기의 요약, 고등소학교의 교과서와 고등여학교의 국어 독본에 능 "코소데 소가"(후술)가 게재되는 등 했다.[41]。한편 GHQ에 의한 검열로 복수물은 기피되었기 때문에,[42] 일반 대중의 인지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된다.[43][44]。
曾我 형제의 복수는 후지노 신야에서 후지노 마키가리 때 발생했다. 『아즈마카가미』에 따르면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겐큐 4년(1193년) 5월 15일에 후지노의 어숙소에 들어가, 16일에는 후지노에서 사냥을 열었다.
사건은 28일에 일어났다. 『아즈마카가미』 28일 조에는 "소가의 쥬로 스케나리, 소고의 고로 토키무네, '''후지노의 신야의 어숙소에 추참하여 쿠도 사에몬노죠 스케츠네를 살륙하다'''"라고 쓰여 있으며, 소가 형제는 후지노의 신야의 어숙소에 쳐들어가 쿠도 스케츠네를 쳤다. 이때 술 상대를 하고 있던 왕등내도 죽임을 당했다.
곁에 있던 테고시노 슈쿠와 키세가와노 슈쿠의 유녀는 비명을 질렀고, 이 일대 혼란에 현장은 대혼란에 빠져 숙무사들이 달려 나왔다. 소가 형제와 요리토모의 고케닌 사이에서 전투가 시작되었고, 히라코 아리나가, 아이코 스에타카, 요시카와 토모카네, 카토 미츠카즈, 운노 사키우지, 오카베 야사부로, 오카베 키요마스, 호리 토후타, 우스키 하치로 등의 무장들은 상처를 입었다. 또한 우다 고로도 형제에게 죽임을 당했고, 쥬로(형, 스케나리)는 니다 시로 타다츠네와 대치했을 때 죽임을 당했다.
고로(동생, 토키무네)는 장군 요리토모를 향해 달려갔고, 요리토모는 이를 맞서 싸우려 칼을 잡았지만, 오토모 요시나오가 이를 막았다. 이 사이에 토키무네는 고쇼 고로마루에게 붙잡혀, 오미 코헤이지가 맡게 되면서 사태가 진정되었다. 그 후, 와다 요시모리와 카지와라 카게토키가 검시를 실시했다.
복수의 다음 날인 29일에 요리토모는 고로(동생)의 심문을 실시했고, 유력 고케닌들이 이에 동석했으며, 그 외 많은 사람들도 몰려들었다. 심문을 마친 요리토모는 고로의 용감한 모습에서 사면을 제안했지만, 스케츠네의 아들인 견방환의 호소에 의해 같은 날 효수되었다.
30일에는 이 사건이 호조 마사코에게 급사로 알려졌고, 또한 형제가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가 소환되어 요리토모가 읽었다. 요리토모는 편지 내용에 감격하여 편지류의 보존을 명령했다. 6월 1일에는 스케나리의 첩인 호랑이를 비롯한 많은 인물들에 대해 청취가 이루어졌고, 호랑이는 방면되었다. 6월 7일에 요리토모는 가마쿠라를 향해 출발하여 후지노를 떠났다. 이때 요리토모는 소가 장원(현재의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의 연공을 면제하기로 결정했고, 또한 소가 형제의 명복을 빌도록 명령했다.
다음 날인 29일, 고로는 요리토모에게 심문을 받았다.
요리토모는 고로의 당당한 행동을 보고 "애처로운(아빠레) 남자의 모범이로다. 이 정도의 남자는 후세에도 없을 것이다"라고 칭찬하고[80][81] 구명을 제안했다.
그러나 가지와라 가게토키는 앞으로의 난폭함을 염려하여 처형할 것을 간언했기에 처형으로 결정되었다.[82][83]。
그 후, 주로의 수급실검이 행해졌다. 닛타 타다쓰네는 주로가 몸에 걸치고 있던 무라치도리의 히타타레와 적동으로 만든 태도를 아이에게 들려 보이며 참석했고,[84] 요리토모는 이것을 보았다. 요리토모는 이것이 확실히 조력의 의상인지 물으니, 고로는 "그렇습니다"라고 간신히 대답했다. 그 모습을 본 요리토모는 결국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그 후, 고로의 처형은 츠쿠시의 나카타가 그 자리에서 집행했다.
주로의 연인이었던 호라 고젠은 진본에서는 소가의 마을(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의 소가장)에 칩거하여 생을 마감했다고 하는 한편, 가명본은 자신의 고향인 오이소에 있는 고려사의 산속에서 살았다고 한다.
겐 요리토모의 후지노 권수(巻狩) 이후 숙청이 잇따랐으며,[104] 권수가 계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105] 예를 들어 권수에는 겐 노리요리가 참가하지 않았으며, 이후의 유죄와 관련이 있다는 시각도 있다.[106][107] 이 사건 당시 히타치국의 자들이 요리토모를 지키지 않고 도망친 문제나,[108] 사건 직후 히타치 국의 다케 요시모토가 반기를 든 것[109] 등이 『아즈마카가미』에 기록되어 있으며, 동국의 무사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던 노리요리에 대한 요리토모의 의심을 깊게 했다는 설도 있다.[110]
4. 요리토모 암살 미수설
다이쇼 시대에 미우라 히로유키는 호조 도키마사 흑막설을 주장했는데, 이는 이후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7][8][9] 『아즈마카가미』와 『소가 이야기』에 따르면, 도키무네는 스케쓰네를 죽인 후 요리토모를 공격하려 했는데, 이는 도키마사의 은밀한 책략의 결과로 해석된다. 도키마사는 비밀 계획을 위해 미리 스루가국에 들어갔고,[10] 요리토모가 후지노에 도착했을 때에도 미리 후지노를 방문했는데, 이는 이 이론에 확신을 더했다. 게다가, 소가 형제는 그전에 도키마사와 강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11] 도키무네는 도키마사를 후견인(''에보시 오야'')으로 하여 도키마사의 저택에서 성인식을 치렀으며, 도키마사는 도키무네의 이름에 한자 "토키"(時)를 하사했다.[12] 소가 형제와 친분이 있던 도키마사가 도키무네를 이끌어 요리토모를 공격하게 했다는 주장에 대해 아직도 많은 논쟁이 있다.[11]
또한, 이토 스케치카는 구도 스케쓰네의 공격을 받기 직전에 요리토모의 장남 치즈루마루(치즈루 고젠)를 살해했다. 소가 형제는 요리토모가 스케치카에 대한 공격의 배후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는 설도 있다.[13]
미우라 슈코는 다이쇼 시대에 호조 도키마사 흑막설을 주장했고, 그 이후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111][112][113] 『아즈마카가미』나 『소가 이야기』에서는 구도 스케쓰네를 죽인 후에 도키무네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습격했는데, 이를 도키마사의 암약에 의한 것으로 해석한다.[114] 도키마사는 사전에 스루가국에 입국하여 준비를 했으며[115][116], 요리토모가 후지노에 도착했을 때도 미리 참상했기에[117] 이 설에 설득력을 더했다.
또한 그 이전부터 도키마사와 형제는 인연이 있어, 형인 스케나리가 동생인 하코오(소가 도키무네)를 데리고 도키마사의 저택을 방문하여 도키마사를 에보시 오야로 하여 원복을 했다.[118] 종래부터 면식이 있던 도키마사가 형제를 요리토모 습격으로 유도했다는 견해가 현재에도 많다.[119]
한편, 요리토모와 도키마사는 요리이에 옹립에서 이해관계가 일치했으며, 도키마사에게 요리토모를 습격할 만한 동기가 없고, 사건 후에도 요리토모와 도키마사 사이에 틈이 보이지 않는다. 요리이에의 화려한 무대에서 도키마사가 살인을 꾸민다고는 생각하기 어렵고, 또한 스케나리를 죽인 것은 도키마사의 측근인 니다 타다쓰네이며, 스케나리가 도키마사를 노렸을 가능성이 높고, 형제는 도키마사의 통제를 벗어난 행동을 했다는 점에서 도키마사 흑막설에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도 있다.[120]
소설가 나가이 미치코는 후지노 마키가리 이후 요리토모의 숙청, 오바케 요시요시, 오카자키 요시자네의 가마쿠라 추방, 야스다 요시사다, 요시스케의 주살 등이 이어진 상황을 근거로, 전시 체제에서 평시 체제로의 이행을 진행하던 요리토모와 고케닌들 사이에 의식의 괴리가 생겼으며, 거병 이후의 역전의 고케닌 중에는 평시 체제에서는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불만과 반발을 품는 자도 있어, 그러한 불만 분자들이 소가 형제의 복수의 혼란을 틈타 요리토모를 타도하고 노리요리를 옹립하는 반 호조 쿠데타를 계획했다는 설을 주장했다.[121]
역사학자 호다테 미치히사는 이토 스케치카가 구도 스케쓰네에게 습격당하기 직전에 자신의 외손자인 요리토모의 장남 치즈루마루를 살해했으며, 구도 스케쓰네에 의한 이토 스케치카 부자 습격 자체가 아들을 잃은 요리토모에 의한 보복의 요소가 있으며[122], 소가 형제도 구도 스케쓰네에 의한 이토 부자 습격 배후에 요리토모가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주장한다.[123] 이 설에서는, 소가 형제는 처음부터 요리토모를 아버지를 살해한 원수로 인식하게 된다.
5. 《아즈마카가미》와 《소가모노가타리》의 차이점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태도
복수 장면에 대한 묘사
주방기리(十番斬り) 묘사
《아즈마카가미》 | 《소가모노가타리》 |
---|---|
타이라이고 야헤이 | 타이라이고 야헤이 |
아이코 사부로 | 아이코 사부로 |
키츠코 코지로 | 오카베 고로 |
카토 타 | 하라 사부로 |
운노 코타로 | 운노 코타로 유키우지 |
오카베 야사부로 | 카토 타로 |
하라 사부로 | 후나코시토노 키츠코 코지로 |
호리후지 타 | 우다 고로 |
우스키 하치로 | 우스키 하치로 |
우다 고로 |
6. 소가모노가타리(曽我物語)
이 복수극은 '소가이야기(曽我物語, 소가모노가타리)'로 정리되어, 에도 시대에 들어서 노, 조루리, 가부키, 우키요에 등 여러 분야에서 인기 있는 소재가 되었다.[25]
노에는 소가 형제의 복수를 바탕으로 한 "소가모노"라는 작품군이 있다. 소가모노 공연의 가장 초기의 예는 《간몬 닛키(看聞日記)》에 기록되어 있으며, "소가 고로 겐푸쿠"라는 이름으로 1432년 3월 14일에 공연되었다.[26]
엔포 시대(1673-1681) 즈음부터 새로운 소가모노 가부키가 잇달아 탄생했으며, 특히 18세기에 인기를 끌었다. 에도에서는 설날에 새로운 소가모노를 공연하는 것이 관습이었으며, 이는 메이지 시대까지 이어졌다.[27]
이 사건은 "하나에 후지, 둘에 매의 깃털의 어긋남, 셋에 이름을 떨친 이가의 복수"라는 말처럼[39] 일본 3대 복수로 꼽히며, 무사 사회에서는 복수의 모범으로 여겨졌다.[40] 『소가 이야기』나 에도시대의 교과서 『후지노 왕래』와 같은 사료, 예능에서는 "소가물"을 성립시켰다.
근대에는 교과서에도 채택되어, 심상소학교 교과서에는 소가 이야기의 요약이, 고등소학교 교과서와 고등여학교 국어 독본에는 노 "코소데 소가"(후술)가 게재되었다.[41] 한편 GHQ에 의한 검열로 복수극은 기피되었기 때문에,[42] 일반 대중의 인지도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된다.[43][44]
7. 그 밖에
시즈오카현 지역신문인 [http://www.fuji-news.net/ 후지뉴스] 2010년 5월 21일 자 기사에 따르면 간토 지방에서 규슈에 이르기까지 14개나 되는 소가 형제의 묘가 발견된다고 한다.[207] 그 중 실제 형제의 묘로 가장 유력시되는 것은 소가 마을이라 불리는 일대이다. 특히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에 있는 쇼젠사(城前寺) 경내에 있는 것들로,[208] 쇼젠사는 원래 소가 형제 사후 그들의 친 외숙부였던 우사미 선사(宇佐美禅師)가 형제의 유골을 옮겨와 명복을 비는 절로서 지어졌다고 한다.[208]
또한 유력시되는 형제의 묫자리로는, 형 스케나리를 벤 닛타 타다츠네의 당시 천막이 있던 소가 하치만 궁의 동편 언덕 쪽이다.[209] 스케나리가 베인 지점에 두 형제의 실제 묘가 있는 것이 아닌가 여겨지고 있다.[210] 1295년에 건립됐다고 하며 현재 자리의 오륜탑은 에도 시대에 복원된 것이다.[211]
이 사건은 시대를 초월하여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일본 전국에 소가 형제에 관련된 묘소, 사당이 산재해 있다.[182][183][184][185] 소가 형제는 신앙의 대상이 되었고, 후지노 지역 주변에는 소가 하치만 궁이 산재해 있으며, 소가 탑 등이 확인되고 있다.[186] 또한, 전국에서 이 사건을 기원으로 한 제사가 확인된다.
가고시마시에서는 매년 7월에 고중 교육의 일환으로, 소가 형제의 복수 고사에 따라 일본식 우산을 태우는 "소가 돈의 우산 태우기"를 개최하고 있다.[190]
한편 소가 형제 입장에서 원수인 구도 스케쓰네의 묘소, 사당류는 적고, 후지노가 위치한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에 존재하는 예가 지적될 뿐이다. 후지노미야시 카미이데에 쿠도 스케쓰네의 묘가 있으며, 그 외 다이고안 뒷편에 묘비가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현재는 불명이다.[193]
또한 후지 다이구지 저택 뒷길에 "쿠도 가이토(くどうかいと)"라고 불리는 길이 있었다. 『스루가기』에 따르면, 후지산 혼구 센겐 타이샤의 사인이 길에 있는 야즈카를 파서 항아리를 발굴했고, 항아리 안의 것을 가지고 나왔다. 그러자 그 사인이 광기에 휩싸여 스스로를 구도 스케쓰네라고 칭하며, 항아리 안의 것을 돌려놓고 전과 같이 하지 않으면 죽이겠다고 외쳤다. 사인의 가족들은 두려워하여 이것을 원래대로 묻어두었고, 그 장소는 "쿠도 즈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194]
이 사건을 바탕으로 성립된 것으로 여겨지는 계절어에 "호랑이 비"가 있다. 소가의 비·호랑이 비·호랑이 눈물이라고도 불리며, 음력 5월 28일경에 내리는 비를 가리킨다.[195] 호랑이의 슬픔의 눈물이나, 원수가 갚아진 5월의 날씨와 관련되어 발생한 말로 여겨진다.
8. 현대의 대중문화
에도 시대에 소가 형제의 복수는 노, 가부키,[25] 우키요에에서 인기 있는 주제가 되었다. 엔포 시대(1673-1681) 즈음부터 새로운 소가모노 가부키가 잇달아 탄생했으며, 특히 18세기 에도에서는 설날에 새로운 소가모노를 공연하는 것이 관습이었고, 메이지 시대까지 이어졌다.[27]
노에는 소가 형제의 복수를 바탕으로 한 "소가모노"라는 작품군이 있다. 소가모노 공연의 가장 초기의 예는 《간몬 닛키(看聞日記)》에 기록되어 있으며 "소가 고로 겐푸쿠"라고 불리며 1432년 3월 14일에 공연되었다.[26]
예능 노(能)나 고와카마이 곡에, 이 사건을 소재로 한 '소아물(曽我物)'이라고 불리는 일군이 인정된다. 고와카 마이 곡과 노에서 비슷한 곡명이 있지만 내용은 서로 다르다. 능의 소가물은 특히 진본과의 관계성이 지적된다.[127] 무로마치 시대에 성립했다고 여겨지는 작품으로는 호송, 원복소가, 조복소가, 복목소가, 야타소가, 선사소가, 소매소가가 있으며, 근세까지 포함하면 20작품 이상의 존재가 지적된다.[128]
고와카 마이의 소가물은 다음과 같은 일곱 점이 전해진다.[145]
곡목 | 해설 |
---|---|
이치만하코오(키리카네소가) | |
겐푸쿠 소가 | |
와다 주모리 (와다 연회) | 조루리・가부키 등에서 파생 작품이 발생했다.[153][154] 와다 주모리는 소가 형제와 와다 요시모리와의 술잔 논쟁, 고로와 아사히나 요시히데의 풀 치마 당기기(힘 겨루기) 등이 주제이며, 소재는 가나본 소가 이야기에 근거하고 있다. 고로가 형 쥬로의 위기를 구하는 구성이다.[155] |
코소데 소가 (고소데 구걸) | 노의 코소데 소가와는 달리, 코와카 마이의 경우 실제로 코소데가 등장한다. 또한 조루리의 코소데 소가는 마이 곡에서 파생되었다.[157] |
검 찬탄 | 문자 그대로 칼(칼)에 초점을 맞추어, 형제가 후지노・아이자와 원으로 가는 과정의 하코네 곤겐에서 별당으로부터 각각 칼(형은 검은 옻칠 칼・동생은 효고 작의 태도)을 받는다.[158] |
요우리 소가 | |
쥬반기리 |
근세에 들어 고조루리·조루리·가부키 등의 분야에서 소가물이 생겨났다.[154] 지카마쓰 몬자에몬은 조루리 '세츠기 소가(世継曽我)'를 창작하여 인기를 얻었다.[164]
우키요에의 소재로도 사용되었으며, 많은 작품이 만들어졌다.[181]
; 영화
- 『소가 형제 사냥터의 새벽』(1908년)
- 『소가 십번 참』(1916년)
- 『에이로쿠 소가담』(1917년, 고바야시)
- 『고소데 소가』(1920년)
- 『밤 습격 소가』(1923년, 테이키네)
- 『소가』(1927년)
- 『닛카쓰 행진곡 소가 형제』(1929년)
- 『밤 습격 소가』(1929년, 마키노)
- 『복수 일본 맑음 효의 권 소가 형제』(1931년, 테이키네)
- 『후지노 아케보노 소년 소가』(1940년)
- 『소가 형제 후지산의 야습』(1956년, 도에이, 감독: 사사키 야스시)
; 텔레비전 드라마
- 『소가 형제』(1959년, 니혼 TV)
- 『풀이 타오르다』 제28화 「후지노 마키가리」(1979년, NHK 대하 드라마)
- 『가마쿠라 시대의 13인』 제23화 「사냥과 사냥감」(2022년, NHK 대하 드라마)
; 소설
- 다카하시 나오키 『천황의 자객』(2006년, 문고 제목: 『소가 형제의 밀명 - 천황의 자객』) 분게이슌주
- 사카구치 케이카 『소가 형제보다 열을 담아』(2023년) 겐토샤 르네상스
; 만화
- 유구치 세이코 『꿈 이야기 시리즈 하늘을 나는 별』 아키타 쇼텐
; 가요곡
- 장편 가요 낭곡 소가의 토우리 (미나미 하루오)
참조
[1]
서적
Jinbutsudenkojiten Kodai・Chuseihen (人物伝小辞典 古代・中世編)
Tokyodo Shuppan
[2]
서적
Manabon Soga Monogatari 1 (真名本曾我物語 1)
Heibonsha
[3]
서적
Soga Monogatari - Iwanami Koten Bungakutaikei 88 (曽我物語 岩波古典文学大系88)
Iwanami Shoten
[4]
서적
Soga monogatari
https://www.worldcat[...]
Shōgakkan
[5]
서적
Soga monogatari
https://www.worldcat[...]
Shōgakkan
[6]
서적
Soga Monogatari no shijitsu to kyokou (曽我物語の史実と虛構)
Yoshikawa Koubunkan
[7]
서적
Rekishi to Jinbutsu: Soga Kyōdai to Hōjō Tokimasa (曾我兄弟と北条時政 歴史と人物)
Iwanami Shoten
[8]
서적
Chusei Bushidan: Soga Monogatari no Sekai (曾我物語の世界 中世武士団)
Kodansha
[9]
서적
Soga Monogatari no Shiteki Kenkyu (曽我物語の史的研究)
Yoshikawa Kobunkan
[10]
서적
Soga Monogatari no Shiteki Kenkyu
Yoshikawa Kōbunkan
[11]
서적
Soga Monogatari no Shiteki Kenkyu (曽我物語の史的研究)
Yoshikawa Kobunkan
[12]
서적
Azuma Kagami (吾妻鏡)
[13]
서적
Chūsei no kokudo kōken to tennō, buke
https://www.worldcat[...]
Azekura Shobo
[14]
서적
Soga monogatari no kisō to fūdo
https://www.worldcat[...]
Miyai Shoten
2009
[15]
학술지
真名本『曽我物語』覚書ー<御霊>と<罪業>をめぐってー
1995
[16]
학술지
曽我物語における意味の収束と拡散—真名本から仮名本へ—
2011
[17]
서적
Soga Monogatari no Kisoteki Kenkyū: Honbun Kenkyū o Chūshin to Shite
https://www.worldcat[...]
Kazama Shobō
[18]
서적
Soga Monogatari no Seiritsu
https://www.worldcat[...]
Miyai Shoten
[19]
서적
Soga Monogatari no Kisoteki Kenkyū: Honbun Kenkyū o Chūshin to Shite
https://www.worldcat[...]
Kazama Shobō
[20]
서적
"Soga monogatari" Sono Hyōshō to Saisei
https://www.worldcat[...]
Kasama Shoin
[21]
서적
Soga monogatari no kisō to fūdo
https://www.worldcat[...]
三弥井書店
[22]
서적
Soga Monogatari no Shiteki Kenkyū
https://www.worldcat[...]
Yoshikawa Kōbunkan
[23]
서적
Soga monogatari no shijitsu to kyokō
https://www.worldcat[...]
Yoshikawa Kōbunkan
[24]
서적
Chūsei bungaku no shosō to sono jidai
https://www.worldcat[...]
Izumi Shoin
[25]
서적
Encyclopedia Nipponica (日本大百科全書), Soga Mono (曽我物)
Shogakukan
[26]
서적
Soga Monogatari no Shiteki Kenkyu (曽我物語の史的研究)
Yoshikawa Kobunkan
[27]
웹사이트
Sogamono「曾我物」
https://www.kabuki-b[...]
Shochiku Co., Ltd.
2008-10-02
[28]
서적
現代語訳 吾妻鏡6
吉川弘文館
[29]
간행물
「富士北麓若彦路」再考--『吾妻鏡』関係地名の検討を中心として
[30]
간행물
頼朝政権と甲斐源氏
[31]
참고자료
[32]
참고자료
[33]
참고자료
[34]
참고자료
[35]
참고자료
[36]
서적
坂井(2014)
[37]
문서
暗殺に関わった郎従の大見小藤太・八幡三郎を伊東祐親はすぐさま討ち果たしている
[38]
서적
坂井(2014)
[39]
간행물
文化庁月報平成25年9月号(No.540)
https://www.bunka.go[...]
[40]
서적
人物伝小辞典 古代・中世編
東京堂出版
[41]
논문
小袖曽我 〈小袖曽我〉考 : 曽我兄弟の舞と母親の視点
[42]
논문
占領下の出版物検閲と児童文学--全文削除を命じられた作品をめぐって
[43]
서적
坂井(2014)
[44]
서적
二本松(2009)
[45]
서적
梶原(2002)
[46]
서적
梶原(2002)
[47]
서적
梶原(2002)
[48]
서적
小田原市(1998)
[49]
문서
事件後の動向は以下の通りである(吾妻鏡)。6月1日に曾我祐成の弟にあたる僧(律師)が尋問され、また曾我祐信は宥免された。6月3日には仇討ち時に逐電した常陸国の者たちの所領が没収された。7月2日には律師が自害している。
[50]
문서
その後虎は6月18日に箱根で祐成の供養を営み、祐成が最後に与えた葦毛の馬を捧げて出家を遂げ[[信濃国|信濃]][[善光寺]]に赴いた。その時19歳であったと記されている(『吾妻鏡』)
[51]
서적
小田原市(1998)
[52]
문서
静岡県富士宮市に所在
[53]
웹사이트
曽我兄弟の霊地(富士宮市HP)
http://www.city.fuji[...]
[54]
웹사이트
工藤祐経の墓(富士宮市HP)
http://www.city.fuji[...]
[55]
웹사이트
王藤内の墓(富士宮市HP)
http://www.city.fuji[...]
[56]
서적
会田(2004)
[57]
논문
真名本『曾我物語』の狩場についての一考察
[58]
서적
坂井(2014)
[59]
서적
福田(2002)
[60]
논문
真名本『曽我物語』覚書-<御霊>と<罪業>をめぐって-
[61]
서적
東洋文庫(1988)
[62]
서적
会田(2008)
[63]
서적
坂井(2014)
[64]
서적
国文学(2003)
[65]
문서
十郎の言葉。五郎も同様の文言を記している
[66]
서적
坂井(2014)
[67]
서적
国文学(2003)
[68]
서적
会田(2008)
[69]
서적
坂井(2014)
[70]
서적
坂井(2014)
[71]
서적
坂井(2014)
[72]
서적
東洋文庫(1988)
[73]
서적
村上(2006)
[74]
서적
会田(2004)
[75]
서적
会田(2004)
[76]
서적
梶原(2002)
[77]
서적
梶原(2002)
[78]
서적
小田原市(1998)
[79]
서적
小田原市(1998)
[80]
서적
福田(2002)
[81]
서적
村上(1984)
[82]
서적
坂井(2014)
[83]
서적
会田(2004)
[84]
서적
福田(2002)
[85]
간행물
曽我と虎御前 ─人物移動と場の特性を手がかりに─
2016
[86]
서적
福田(2002)
[87]
서적
会田(2008)
[88]
서적
坂井(2014)
[89]
서적
二本松(2009)
[90]
간행물
曽我物語における意味の収束と拡散—真名本から仮名本へ—
2011
[91]
서적
会田(2004)
[92]
서적
村上(1984)
[93]
서적
福田(2002)
[94]
서적
渡瀬(2016)
[95]
서적
二本松(2009)
[96]
문서
兄弟が狩庭に潜み祐経を狙う箇所のこと
[97]
서적
坂井(2014)
[98]
서적
福田(1988)
[99]
서적
坂井(2014)
[100]
서적
坂井(2014)
[101]
서적
幸若舞(1996)
[102]
서적
坂井(2000)
[103]
서적
村上(2006)
[104]
서적
頼朝と街道 鎌倉政権の東国支配
吉川弘文館
2016
[105]
서적
国文学(2003)
[106]
서적
坂井(2014)
[107]
문서
範頼は8月2日に突如頼朝の元に謀反を否定する起請文を提出しているが、10日には頼朝の寝床に潜んでいた範頼の間者が捕縛され、範頼は17日に伊豆国に配流されている。配流の際に範頼は狩野宗茂と祐経の弟宇佐美祐茂によって連行されており、20日には曾我兄弟の異父兄弟である原小次郎(北条本『吾妻鏡』や『曽我物語』では「京の小次郎」)が範頼の縁坐として誅殺されている。『保暦間記』によると、事件の直後、鎌倉ではしばらくの間頼朝の消息を確認できず、頼朝の安否を心配する妻政子に対して、巻狩に参加せず鎌倉に残っていた範頼が「私が控えておりますので(ご安心ください)」と見舞いの言葉を送った。この言質が謀反の疑いと取られたとする説もある。
[108]
서적
坂井(2014)
[109]
서적
坂井(2014)
[110]
논문
総論 章立てと先行研究・人物史
戎光祥出版
[111]
논문
曾我兄弟と北条時政
[112]
서적
曾我物語の世界
講談社
[113]
서적
坂井(2014)
[114]
논문
曾我物語の歴史的背景
[115]
문서
北条殿駿河国に下向したまふ。これ狩倉を覧んがために、かの国に赴かしめたまふべし
1193-05-02
[116]
서적
坂井(2014)
[117]
문서
北条殿はあらかじめその所に参候せられ、駄餉を獻ぜしめたまふ
1193-05-15
[118]
문서
1190-09-07
[119]
서적
坂井(2014)
[120]
서적
源頼朝
中公新書
[121]
서적
つわものの賦
文藝春秋
[122]
문서
保立は頼朝が祐経と共謀した証拠はないものの、工藤祐経の弟である宇佐美祐茂や同族の工藤茂光が早くから頼朝と結んでその挙兵に参加していること、工藤の本拠である伊豆国狩野(鹿野)に祐経の従者が隠れ住んで襲撃の機会を狙っていたことを挙げ、頼朝と祐経の間に何らかの関わりがあったことを否定できないとしている。
[123]
논문
院政期東国と流人・源頼朝の位置
校倉書房
[124]
서적
幸若舞(2004)
[125]
서적
佐藤(2006)
[126]
서적
軍記(1997)
[127]
서적
坂井(2014)
[128]
서적
佐藤(2006)
[129]
서적
佐藤(2006*)
[130]
논문
能〈伏木曽我〉考--『曽我物語』との関係と応永年間の曽我物
[131]
서적
坂井(2014)
[132]
서적
佐藤(2006)
[133]
서적
軍記(1997)
[134]
서적
佐藤(2006*)
[135]
서적
軍記(1997)
[136]
서적
坂井(2014)
[137]
문서
曽我物語において、兄弟が狩場にて工藤祐経を狙うも伏木(または躑躅根)に足をかけ落馬する場面のこと
[138]
서적
軍記(1997)
[139]
서적
軍記(1997)
[140]
서적
幸若舞(2004)
[141]
서적
幸若舞(1981)
[142]
서적
麻原(1996)
[143]
서적
幸若舞(2004)
[144]
서적
幸若舞(1998)
[145]
서적
幸若舞(1994)
[146]
서적
幸若舞(1986)
[147]
서적
村上(1990)
[148]
서적
幸若舞(1981)
[149]
서적
幸若舞(1986)
[150]
서적
幸若舞(1994)
[151]
서적
幸若舞(2004)
[152]
서적
幸若舞(1981)
[153]
서적
幸若舞(2004)
[154]
서적
宮腰(2013)
[155]
간행물
幸若舞曲の構造と人物
1989
[156]
서적
宮腰(2013)
[157]
서적
幸若舞(2004)
[158]
서적
幸若舞(1996)
[159]
서적
渡瀬(2016)
[160]
서적
幸若舞(2004)
[161]
서적
村上(2006)
[162]
서적
幸若舞(2004)
[163]
서적
井戸(2017)
[164]
간행물
近世戯曲の「世界」
1979
[165]
간행물
「忠臣蔵」雑考
2020
[166]
간행물
聖藩文庫蔵曾我物語巻十二零本について(二)ー頼朝、畠山父子の死ー
1988
[167]
서적
村上(1990)
[168]
서적
井戸(2017)
[169]
간행물
曽我物語図考一一双屏風の成立について-
明徳出版
1998
[170]
서적
井戸(2017)
[171]
서적
井戸(2017)
[172]
간행물
研究資料 土佐光吉筆「曽我物語図屏風」について
2008
[173]
서적
井澤(1988)
[174]
서적
井戸(2017)
[175]
문서
富士野の各御家人の屋形に張られた幕紋群のこと
[176]
서적
麻原(1996)
[177]
서적
井澤(1988)
[178]
논문
曽我物語図考一一双屏風の成立について-
明徳出版
[179]
논문
「曾我物語図屏風」の展開―富士巻狩・夜討図から富士巻狩図へ―
[180]
논문
又兵衛風の曽我物語図屏風の量産について
竹林舎
[181]
웹사이트
浮世絵に見る曽我物語
https://web.archive.[...]
[182]
논문
民俗学的文献中の石に関する資料
[183]
논문
第1部 太田荘域における石造遺物の実態
[184]
논문
装飾古墳の民俗学
[185]
논문
伝河津三郎及曽我兄弟石造五輪塔 - 紀伊高野山金石遺記5-
史迹美術同攷会
[186]
논문
病傷治癒信仰のなかの武士 : 〈治癒神〉という見方
[187]
웹사이트
かさ焼き祭り
http://www.city.odaw[...]
[188]
뉴스
「曽我の傘焼まつり」中止、保存会も解散へ/小田原
https://archive.ph/I[...]
神奈川新聞
2011-03-31
[189]
웹사이트
曽我の傘焼まつり(5月下旬)
http://www.city.odaw[...]
2014-08-20
[190]
웹사이트
曽我どんの傘焼き
http://kasayaki.kara[...]
[191]
서적
曽我兄弟の墳墓
[192]
논문
「トラ・寅・虎」の多様性 : 『曽我物語』の虎御前に関する一考察
[193]
서적
日本の首塚
[194]
서적
駿河記
[195]
서적
坂井(2014)
[196]
논문
『曽我物語』の虎御前と雨 : 「虎が雨」の生成に関する一考察
[197]
서적
坂井(2014)
[198]
문서
6월 28일
[199]
문서
赤穂浪士の討ち入り 혹은 元禄赤穂事件
[200]
문서
伊賀越えの仇討ち 혹은 鍵屋の辻の決闘
[201]
문서
아즈마카가미
[202]
문서
치아(稚児)
[203]
문서
매화나무
[204]
문서
에보시오야(烏帽子親)
[205]
문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206]
문서
範頼が控えておりますので
[207]
서적
曽我兄弟へ贈る鎮魂歌 / 関東観察図鑑
후지뉴스(富士ニュース)
[208]
웹사이트
쇼젠사 유적을 탐방하면서(城前寺、謡蹟を訪ねて) 제1편 소가모노가타리(曽我物語)의 인연의 땅
2004-07-06
[209]
문서
시즈오카현
[210]
웹사이트
후지노미야 시청 홈페이지
http://www.city.fuji[...]
2013-11-06
[211]
웹사이트
하코네 석불탑 군락 中 소가형제의 묘(曽我兄弟の墓) 편
http://www.hakone.or[...]
2009-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