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년 십자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년 십자군은 1212년, 제4차 십자군 실패 이후 프랑스와 독일에서 일어난 종교적 열정에 휩싸인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십자군 운동이다. 프랑스의 스테판과 독일의 니콜라스가 이끌었으나, 이들은 지중해에서 상인에게 속아 노예로 팔리거나, 알프스 산맥에서 사망하는 등 비극적인 결말을 맞았다. '소년 십자군'이라는 명칭은 당시 기록에서 유래되었지만,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가난하고 소외된 평민들이 다수 참여한 민중 십자군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 사건은 다양한 해석을 낳았으며, 문학, 연극, 음악, 영화, 만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12년 유럽 -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1212년 7월 16일 스페인에서 벌어진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는 기독교 연합군이 무와히드 왕조를 격파하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 쇠퇴를 가속화시킨 결정적인 전투이다.
  • 전쟁 중의 어린이 - 학도병
    학도병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제에 의해 강제 징집된 조선인 학생들과 한국 전쟁 당시 자발적으로 참전한 대한민국 학생들을 지칭하며, 두 경우 모두 그들의 희생은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전쟁 중의 어린이 - 사사키 사다코
    사사키 사다코는 히로시마 원폭 피해 후 백혈병으로 투병하며 종이학을 접다가 사망했고, 핵전쟁의 비극과 평화의 중요성을 알리는 인물로 기억된다.
  • 기독교와 어린이 - 아기 예수
    아기 예수는 기독교에서 예수의 어린 시절을 지칭하며, 성경, 전례 축일, 예술 작품 등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 기독교와 어린이 - 견진성사
    견진성사는 기독교에서 세례받은 신자가 신앙을 굳건히 하고 성령의 은사를 받는 예식으로, 교파에 따라 명칭과 개념, 의식에 차이가 있으며, 서방 교회와 달리 동방 정교회에서는 세례와 동시에 집전하는 특징이 있다.
소년 십자군
개요
명칭소년 십자군
발생 시기1212년
관련 지역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참가자주로 어린이와 청소년, 일부 성인
목표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예루살렘을 회복
결과대부분 실패, 많은 참가자들이 사망하거나 노예로 팔림
배경
시대적 배경십자군 전쟁 시기, 사회적 불안과 종교적 열정 고조
종교적 분위기기적과 신앙에 대한 기대, 어린이들의 순수함에 대한 믿음
전개 과정
프랑스"니콜라스"라는 어린이가 주도, 수천 명의 어린이들이 생드니에 모임
독일"니콜라스"라는 어린이가 주도, 수천 명의 어린이들이 쾰른에 모임
알프스 산맥많은 어린이들이 알프스 산맥을 넘는 과정에서 사망
이탈리아일부는 제노바, 피사, 베네치아 등에 도착
교황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그들을 집으로 돌려보내라고 명령
실패 원인
지도력 부족경험 부족한 어린이들이 주도
보급 부족식량, 숙소 등 기본적인 지원 부족
사기꾼 개입일부 선박 업자들이 어린이들을 노예로 팔아넘김
자연 환경알프스 산맥 등 험난한 지형과 기후
역사적 논쟁
실존 여부역사적 사실 여부에 대한 논쟁 존재, 전설적인 이야기로 간주되기도 함
참가자 수정확한 참가자 수 불명, 수천 명에서 수만 명으로 추정
평가
의미중세 시대의 종교적 열정과 사회적 불안을 보여주는 사건
교훈맹목적인 믿음과 준비 부족의 위험성

2. 배경

소년 십자군에 대한 배경 정보는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아 작성이 불가능하다.

2. 1. 제4차 십자군의 실패와 새로운 십자군 운동

제4차 십자군(1202년-1204년)은 본래 목표였던 성지 예루살렘이 아닌, 기독교 국가인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를 함락시키는 등 세속적인 목적을 추구하며 실패하였다. 이는 제후와 기사의 영토 확장, 그리고 그들을 지원한 베네치아 상인들의 상권 확대를 위한 것이었다.[1] 이에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새로운 십자군을 조직하기 위해 유럽 각지에 설교사들을 파견하여 민중의 참여를 독려하였다.[1]

2. 2. 민중 십자군 운동의 등장

제4차 십자군(1202년-1204년)이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을 함락시키는 등 세속적인 목적을 추구하면서, 교황 인노켄티우스 3세는 새로운 십자군을 편성하기 위해 유럽 각지에 설교자를 파견했다. 십자군 운동은 주로 제후와 기사들이 주도하였으나, 설교에 감화된 열성적인 신자 등 민간인들도 많이 참여하였다. 소년 십자군은 이러한 민간인 원정대 중 하나였다.[1]

북프랑스의 소년 에티엔은 "신의 편지"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성지 회복을 외쳤고, 이에 감화된 소년 소녀들이 모여 소년 십자군을 결성했다. 이들은 마르세유로 출발했으나, 성지로 가는 배를 구하지 못하고 열악한 상황에 처했다. 결국, 상인들의 배를 타고 성지로 향했지만, 사르데냐섬 부근에서 난파되거나 알렉산드리아에서 노예 상인에게 팔리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았다.[1]

독일에서는 광신적인 청년 니콜라스가 소년들을 이끌고 알프스 산맥을 넘어 이탈리아로 향했다. 니콜라스는 바다가 갈라져 성지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지만,[2] 제노아에 도착했을 때 바다는 갈라지지 않았다. 많은 이들이 실망했지만, 일부는 피사로 가서 팔레스타인으로 가는 배에 타기도 했다.[3] 니콜라스와 남은 사람들은 교황령으로 가서 교황 인노첸시오 3세를 만났으나, 교황의 권고로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니콜라스는 알프스를 넘는 도중 사망했고, 그의 아버지는 처형당했다.[1]

3. 주요 사건

1212년, 프랑스 클로에쉬의 양치기 소년 스테판(에티엔)은 자신이 가난한 순례자로 변장한 예수로부터 프랑스 왕에게 보내는 편지를 받았다고 주장했다.[4][2] 그는 많은 젊은이들을 이끌었고, 3만 명 이상의 추종자를 모아 생드니에서 기적을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필리프 2세파리 대학교의 조언을 받아 사람들에게 집으로 돌아가라고 명령했지만, 스테판은 프랑스 전역을 여행하며 자신의 메시지를 전파했다.[1]

1212년 6월 말, 스테판은 주로 어린 십자군들을 이끌고 방돔에서 마르세유로 향했다. 이들은 음식을 구걸하며 살아남았으나, 대다수는 여정의 어려움에 낙담하여 가족에게 돌아갔다.[1] 이후 프랑스 상인 휴 더 아이언과 윌리엄 오브 포스케레스는 소액의 요금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아이들을 배로 수송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이 아이들은 튀니지로 끌려가 노예로 팔리거나, 사르데냐 인근 산 피에트로 섬에서 폭풍우를 만나 난파되어 사망하기도 했다.

3. 1. 프랑스의 스테판

1212년, 프랑스 클로에쉬의 양치기 소년 스테판(에티엔)은 자신이 가난한 순례자로 변장한 예수로부터 프랑스 왕에게 보내는 편지를 받았다고 주장했다.[4][2] 그의 나이 또래의 많은 젊은이들이 그에게 이끌렸는데, 그들 대부분은 특별한 신의 선물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스스로를 기적을 행하는 자라고 생각했다. 스테판은 어른들을 포함하여 3만 명 이상의 추종자를 모았고, 생드니로 가서 기적을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1]

필리프 2세파리 대학교의 조언을 받아 사람들에게 집으로 돌아가라고 명령했다. 필리프 2세는 특히 예상치 못한 방문객들이 어린아이에게 이끌리고 있다는 사실에 감명을 받지 않았고, 그들을 진지하게 대하려 하지 않았다. 그러나 스테판은 이에 굴하지 않고 근처 수도원에서 설교를 시작했다. 스테판은 생드니에서 프랑스 전역을 여행하며 자신의 메시지를 전파했고, 그리스도의 예루살렘 공격을 이끌겠다고 약속했다. 교회는 회의적이었지만, 많은 어른들이 그의 가르침에 감명을 받았다.[1] 처음 그에게 합류한 사람들 중 그의 활동성을 가진 사람은 거의 없었다. 최초 3만 명 중 절반 미만이 남았으며, 이 숫자는 예상과는 달리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212년 6월 말, 스테판은 주로 어린 십자군들을 이끌고 방돔에서 마르세유로 향했다. 그들은 음식을 구걸하며 살아남았고, 대다수는 이 여정의 어려움에 낙담하여 가족에게 돌아간 것으로 보인다.[1]

두 명의 프랑스 상인(휴 더 아이언과 윌리엄 오브 포스케레스)은 소액의 요금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아이들을 배로 수송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들은 튀니지로 끌려가 상인들에게 노예로 팔렸다. 그러나 일부는 폭풍우가 몰아치는 사르데냐 인근의 산 피에트로 섬에서 난파되어 사망했다.

3. 2. 독일의 니콜라스

비슷한 시기, 독일 쾰른의 니콜라스는 바다가 갈라져 성지로 가는 길이 열릴 것이라는 믿음을 설파하며 십자군 운동을 이끌었다.[2] 그는 사라센과 싸우는 대신, 무슬림 왕국이 그들의 시민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패배할 것이라고 말했다.[1] 니콜라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알프스 산맥을 넘어 이탈리아로 향했으나, 많은 이들이 도중에 사망하거나 돌아갔다.[1]

8월 말, 약 7,000명이 제노바에 도착했다.[1] 그들은 항구로 행진하여 바다가 갈라지기를 기대했지만, 바다가 갈라지지 않자 몹시 실망했다. 일부는 니콜라스를 배신자로 비난했고, 다른 사람들은 신이 마음을 바꿀 때까지 기다렸다.[1] 제노바 당국은 이 그룹에 감명을 받아, 그들의 도시에 정착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시민권을 제안했다. 대부분의 십자군 지원자들은 이 기회를 잡았다.[1] 니콜라스는 자신이 패배했다고 말하는 것을 거부하고 피사로 갔으며, 그의 운동은 도중에 계속 붕괴되었다. 피사에서 팔레스타인으로 향하는 두 척의 배가 몇몇 아이들을 태우기로 동의했는데, 아마도 그들은 성지에 도달했을 것이다.[3] 니콜라스와 몇몇 충성스러운 추종자들은 교황령으로 가서 교황 인노첸시오 3세를 만났다. 남은 사람들은 교황이 그들에게 선해지고 가족에게 돌아가라고 권고한 후 독일로 떠났다.[1] 니콜라스는 알프스를 두 번째 넘는 동안 살아남지 못했다. 집에 돌아온 그의 아버지는 아이들을 따라가다 죽은 친척들의 분노한 가족들의 압력으로 체포되어 교수형에 처해졌다.[1]

이 십자군의 가장 헌신적인 구성원 중 일부는 나중에 안코나브린디시로 방황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성지에 도달한 사람은 아무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4. 명칭과 해석

소년 십자군은 오늘날 주류 역사학계에서 어른 평민이 다수 포함된 민중 십자군으로 평가받는다. 당시 '소년'이라는 용어는 가난한 평민을 경멸적으로 부르는 말이었기 때문에, 후대 기록자들이 이를 오해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 이는 인종차별이 만연했던 미국에서 흑인을 '보이(boy)'라고 불렀던 것과 유사하다. 또한, 소년이 신의 계시를 받았다는 이야기는 후대에 윤색되었을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4. 1. '소년 십자군'이라는 명칭의 문제점

'소년 십자군'이라는 명칭은 당시 기록에서 사용된 '푸에리(pueri)'라는 단어에서 유래한다.[1] 이 단어는 '어린이'라는 뜻 외에도 '가난한 자', '무력한 자'를 의미하기도 한다.[1] 중세 작가들은 삶을 네 부분으로 나누었고, 교회는 이를 사회적 암호로 사용하여 젊고 재산이 없는 노동자를 지칭하기도 했다.[1] 1213년 ''쾰른 왕립 연대기''는 십자군이 "몰고 다니던 쟁기나 수레, 가축들을 버리고 떠났다"고 기록하여, '푸에르티(puerti)'가 나이가 아닌 사회적 지위 '푸에르티'를 의미한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1]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이 운동을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주도했다기보다는, 가난하고 소외된 평민들이 다수 참여한 '민중 십자군'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1] 소년이 신의 계시를 받아 호소했고, 후대의 기록자가 감동적인 이야기로 만들기 위해 주로 소년, 소녀로 구성된 십자군으로 묘사했다는 설도 있다.[1]

또한, 당시 용어로 가난한 평민을 경멸적으로 '소년'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인종차별이 심했던 시절의 미국에서 흑인을 '보이'라고 불렀던 것과 마찬가지) 후대의 기록자가 오해했다는 연구자도 있다.[1]

4. 2. 다양한 역사적 해석

소년 십자군에 대한 다양한 역사적 해석이 존재한다. 전통적인 해석은 소년 십자군을 순수한 신앙심을 가진 어린이들이 기적을 통해 성지를 되찾으려 한 종교적 운동으로 본다. 이러한 관점은 독일 라인란트 출신의 양치기 니콜라스가 이끈 십자군 운동을 예시로 든다. 니콜라스는 바다가 갈라져 성지로 가는 길이 열릴 것이라고 믿었고, 무슬림기독교로 개종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2] 그러나 많은 이들이 여정 중 사망하거나 집으로 돌아갔고, 제노아에 도착한 이들 중 일부는 그곳에 정착했다.[1] 니콜라스는 피사를 거쳐 교황령으로 갔지만,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그들에게 집으로 돌아갈 것을 권고했다.[1][3]

반면, 사회경제적 해석은 소년 십자군을 당시 사회적 불안과 빈곤 속에서 희망을 찾으려 한 민중 운동으로 해석한다. 노먼 자쿠어는 소년 십자군을 "중세 남녀, 심지어 아이들까지도 해방을 찾았던 일련의 사회적 폭발 중 하나"라고 결론 내렸다.

스티븐 런시먼은 소년 십자군에 대해 과장된 설명을 제공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5] 도널드 스포토는 수도사들이 가난한 사람들을 경건하게 여겼기 때문에, 그들을 아이들이라고 부르도록 동기가 부여되었다고 주장하며, 이는 문학적 전통으로 이어졌다고 본다.

현대에는 소년 십자군이 실제로는 어른 평민도 많이 포함된 민중 십자군이었다는 해석이 주류를 이룬다. 소년이 신의 계시를 받았다는 이야기는 후대에 윤색된 것이며, 당시 "소년"이라는 용어가 가난한 평민을 경멸적으로 부르는 말이었기 때문에 오해가 발생했다는 연구도 있다.

5. 결과 및 영향

1212년 소년 십자군 운동은 프랑스의 양치기 소년 스테판이 주도했다. 스테판은 자신이 예수의 편지를 프랑스 왕에게 전달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그의 주위로 수많은 젊은이들이 모여들었다. 이들은 스스로 기적을 행할 수 있다고 믿었다. 3만 명이 넘는 추종자들이 생드니로 모여들었지만, 필리프 2세파리 대학교의 조언에 따라 이들을 집으로 돌려보냈다. 스테판은 이에 굴하지 않고 프랑스 전역을 돌아다니며 설교를 계속했고, 예루살렘 공격을 이끌겠다고 약속했다.[1]

이후 소년 십자군은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5. 1. 비극적인 결말

1212년 6월 말, 스테판은 주로 어린 십자군들을 이끌고 방돔에서 마르세유로 향했다. 그들은 음식을 구걸하며 살아남았고, 대다수는 이 여정의 어려움에 낙담하여 가족에게 돌아간 것으로 보인다.[1]

두 명의 프랑스 상인(휴 더 아이언과 윌리엄 오브 포스케레스)은 아이들을 배로 수송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이 아이들은 튀니지로 끌려가 상인들에게 노예로 팔렸다. 일부는 사르데냐 인근의 산 피에트로 섬에서 폭풍우를 만나 난파되어 사망했다.

독일에서도 광신적인 청년 니콜라스에게 부추겨진 소년들이 비슷한 비극에 휘말렸다. 에티엔의 소년 십자군이 평균 연령 12세 정도였던 것에 반해, 이쪽은 15세 정도였다고 한다. 니콜라스는 이탈리아를 목표로 알프스 산맥을 넘어 로마에 도착했지만, 교황의 설득으로 고향으로 되돌아갔다. 결국, 그를 포함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던 동료는 극소수에 불과했다.

5. 2. 중세 사회에 미친 영향

소년 십자군은 당시 유럽 사회의 종교적 열정과 사회적 불안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또한, 소년 십자군 이야기는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순수성과 희생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

소년 십자군과 관련된 여러 예술 작품은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작가장르비고
1896어린이 십자군마르셀 슈봅소설
1930피에드 파이퍼다프네 뮤어소설The Lost Crusade라는 제목으로도 출판
1954샬레 스쿨과 바바라엘리너 브렌트-다이어소설크리스마스 연극에서 어린이 십자군 언급
1958어린이 십자군헨리 트리이스역사 소설
1960천국의 문예르지 안제예프스키소설
1964무구들의 행진존 와일스소설
1965바다와 일몰미시마 유키오단편 소설예배의 행위 컬렉션의 일부
1969제5 도살장 (또는 어린이 십자군: 죽음과의 의무 댄스)커트 보니것소설
1973청바지 십자군테아 베크만소설2006년 영화 각색작
1978어린이 군대에반 로즈소설
2004안젤린카를린 브래드포드소설
2006무구들의 십자군데이비드 조지소설
2006진홍의 십자가카를린 브래드포드청소년 소설
20061212: 여행의 해캐슬린 맥도넬소설청소년 역사 소설
2006실비아브라이스 코트니소설
2011십자군린다 프레스 울프어린이 역사 소설
2013어린이 십자군의 진실된 역사프리보 디 카사토그래픽 노블
2014어린이의 배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소설
19851212카르스텐 오베르스코브역사 소설어린이 및 청소년을 위한 4부작
2021매트릭스로렌 그로프소설마리 드 프랑스의 가상 버전을 따라가며 십자군에 대한 생각 다룸
2015소년 십자군버티고 코믹스만화7개의 코믹스 크로스오버, 'Free Country: A Tale of the Childrens Crusade''로 출판
2005~2011Innocent shōnen jūjigun(インノサン少年十字軍, 순수한 소년 십자군)후루야 우사마루만화3권
1930소년 십자군'(Cruciada copiilor)루치안 블라가희곡
1973어린이 십자군(The Children's Crusade)폴 톰슨희곡내셔널 유스 시어터에 의해 런던의 콕핏 극장 (메릴본)에서 초연
1978예루살렘으로의 긴 행진(A Long March To Jerusalem)돈 테일러희곡
2003장미의 불꽃(The Fire of Roses)그레고리 리날디소설
2004눈물의 십자군(Crusade of Tears)C.D. 베이커소설영혼의 여정 시리즈


6. 예술 작품에서의 소년 십자군

소년 십자군은 중세 시대를 배경으로 한 많은 예술 작품에서 재해석되어 다뤄졌다. 다음은 소년 십자군을 소재로 하거나 언급하는 예술 작품의 일부이다.


  • '''십자군'''(1998): 크레이그 크리스티와 웨인 호스킹의 뮤지컬.[19]

6. 1. 문학


  • 마르셀 슈봅의 ''어린이 십자군''(1896)을 바탕으로 한 가브리엘 피에르네의 오라토리오 ''소년 십자군''(1902)은 어린이 합창단을 특징으로 한다.
  • 잔 카를로 메노티의 ''브린디시 주교의 죽음''(1963)은 아이들의 불운한 여정을 축복한 것에 대한 주교의 후회를 다룬 칸타타이다.
  • R. 머레이 섀퍼의 현대 오페라 "어린이 십자군"은 2009년에 처음 공연되었다.
  • 스팅의 1985년 앨범 ''The Dream of the Blue Turtles''에 수록된 "Children's Crusade"는 이 사건을 비유로 사용했다.
  • 토니오 K의 1988년 앨범 ''Notes from the Lost Civilization''에 수록된 "Children's Crusade"라는 곡이 있다.
  • The Moon Lay Hidden Beneath a Cloud의 곡 "Untitled Track"은 원래 10인치 EP ''Yndalongg''(1996)에 수록되었고, 이후 CD ''Rest on Your Arms Reversed''(1999)의 "XII" 트랙으로 재발매되었으며, 어린이 십자군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그 비전이 악마에 의해 영감을 받았음을 암시한다.
  • ''악마의 행렬''(2006)은 시카고 하드 록 밴드 Bible of the Devil의 컨셉 앨범으로, "어린이 십자군의 우화를 우리 시대의 고통스러운 시대에 대한 은유로 다룬다."[19]
  • 호주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Cinema Prague는 1991년 투어 이름을 "The Children's Crusade"로 정했는데, 당시 밴드 멤버들 대부분이 십 대였다는 점을 풍자한 것이다.
  • 크레이그 크리스티와 웨인 호스킹의 뮤지컬 ''십자군''(1998)이 있다.

6. 2. 연극

소년 십자군과 관련된 연극, 영화, 음악 작품은 다음과 같다.

  • 루치안 블라가의 희곡 '''소년 십자군'''(Cruciada copiilor) (1930)[19]
  • 폴 톰슨의 '''어린이 십자군'''(The Children's Crusade) (1973)[19]
  • 크레이그 크리스티와 웨인 호스킹의 뮤지컬 ''십자군'' (1998)[19]
  • 가브리엘 피에르네의 오라토리오 ''소년 십자군''(1902). 마르셀 슈보브의 ''어린이 십자군''을 바탕으로 어린이 합창단을 특징으로 한다.[19]
  • 잔 카를로 메노티의 칸타타 ''브린디시 주교의 죽음''(1963). 아이들의 불운한 여정을 축복한 것에 대한 주교의 후회를 다룬다.[19]
  • R. 머레이 섀퍼의 현대 오페라 "어린이 십자군". 2009년에 처음 공연되었다.[19]
  • 안제이 바이다 연출, 예르지 안제예프스키 소설 원작의 영화 ''낙원의 문''(1968)[19]
  • 어린이 십자군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역사/판타지 영화 ''라이언하트''(1987)[19]
  • 세르주 모아티 연출, FR3 방영 2부작 텔레비전 영화 ''어린이 십자군''(La Croisade des enfants) (1988)[19]
  • 현대 네덜란드에서 축구를 하는 소년이 니콜라스가 이끄는 독일 어린이 십자군으로 시간 여행을 한다는 내용의 영화 ''진스 원정기''(''시간을 거쳐 행진'') (2006)[19]

6. 3. 음악

가브리엘 피에르네의 ''소년 십자군''(1902)은 마르셀 슈보브의 ''어린이 십자군''을 바탕으로 한 어린이 합창단이 특징인 오라토리오이다.[19] 잔 카를로 메노티의 ''브린디시 주교의 죽음''(1963)은 두 명의 독창자, 합창단, 어린이 합창단, 오케스트라를 위한 칸타타로, 아이들의 불운한 여정을 축복한 것에 대한 주교의 후회를 다룬다.[19] 스팅의 1985년 앨범 ''The Dream of the Blue Turtles''에 수록된 "Children's Crusade"는 이 사건 자체를 다룬 것은 아니지만, 그 이름을 비유로 사용했다.[19]

6. 4. 영화

안제이 바이다 감독의 낙원의 문(1968), 라이언하트 (1987), 진스 원정기 (2006)는 소년 십자군을 소재로 한 영화이다.[19]

6. 5. 만화

크레이그 크리스티와 웨인 호스킹의 뮤지컬 ''십자군''(1998), 가브리엘 피에르네의 오라토리오 ''소년 십자군''(1902) (마르셀 슈보브의 ''어린이 십자군''을 바탕으로 어린이 합창단을 특징으로 함), 잔 카를로 메노티가 작사, 작곡한 드라마틱한 칸타타 ''브린디시 주교의 죽음''(1963) (두 명의 독창자, 합창단, 어린이 합창단,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으로, 아이들의 불운한 여정을 축복한 것에 대한 주교의 후회를 다룸), R. 머레이 섀퍼의 현대 오페라 "어린이 십자군"(2009년에 처음 공연됨), 스팅의 1985년 앨범 ''The Dream of the Blue Turtles''에 수록된 곡 "Children's Crusade" (이 사건 자체에 관한 것은 아니지만, 그 이름을 비유로 사용함), 토니오 K의 1988년 앨범 ''Notes from the Lost Civilization''에 수록된 곡 "Children's Crusade", The Moon Lay Hidden Beneath a Cloud의 곡 "Untitled Track" (원래 10인치 EP ''Yndalongg''(1996)에 수록되었고, 이후 CD ''Rest on Your Arms Reversed''(1999)의 "XII" 트랙으로 재발매되었으며, 어린이 십자군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그 비전이 악마에 의해 영감을 받았음을 암시함), 시카고 하드 록 밴드 Bible of the Devil의 컨셉 앨범 ''악마의 행렬''(2006) ("어린이 십자군의 우화를 우리 시대의 고통스러운 시대에 대한 은유로 다룬다."[19]), 호주의 대표적인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Cinema Prague는 1991년 투어 이름을 "The Children's Crusade"로 정했는데, 당시 밴드 멤버들 대부분이 십 대였던 점을 풍자한 것임.

7. 한국의 관점: 소년 십자군과 더불어민주당

소년 십자군은 중세 유럽의 종교적 열정과 사회적 불안 속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현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건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강조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Crusades Granada Publishing 1980
[2] 웹사이트 Children’s Crusade ! European histo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28
[3]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Pelican Books
[4] 간행물 The Children's Crusade https://www.jstor.or[...] 1938
[5] 문서 Children's Crusade: Medieval History, Modern Mythistory 2008
[6] 간행물 The Children's Crusade https://archive.org/[...] 1914
[7] 서적 La Chrétienté et l'idée de croisade 1954
[8] 서적 Geschichte der Kreuzzüge 1956
[9] 서적 The Crusades 1972
[10] 간행물 "La crociata dei fancifulli" 1961
[11] 서적 The Pursuit of the Millennium https://archive.org/[...] Essential Books
[12] 서적 Children's Crusade: Medieval History, Modern Mythistory
[13] 문서 "Teenagers at War During the Middle Ages" 2002
[14] 문서 "The Evolution of the Pied Piper" 1978
[15] 웹사이트 "The Children's Crusade" http://www.historygu[...] 1951
[16] 간행물 The Children's Crusade of 1213
[17] 서적 Dictionary of the Middle Ages Charles Scribner's Sons
[18] 서적 The World of the Crusades: A Daily Lif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19] 웹사이트 The Diabolic Procession - Bible of the Devil https://bibleofthede[...] 2023-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