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시호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시호탕은 시호, 황금, 반하, 생강, 대추, 인삼, 감초 등으로 구성된 한약 처방이다. 시호와 황금의 조합을 중심으로 하며, 흉협고만, 오심 등을 다스리는 데 사용된다. 유효 성분으로는 바이카린, 바이카레인 등이 있으며, 항염증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기 증후군, 만성 간염 등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 시험 결과가 있다. 인터페론과 병용하거나 간경변, 간암 환자에게 투여 시 간질성 폐렴을 일으킬 수 있으며, 고령자에게 장기간 투여하는 것은 금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약 - 홍삼
홍삼은 인삼을 증기로 쪄서 만든 것으로, 백삼과 구별되며 고려 시대부터 제조 기록이 있고 조선 후기에 제조량이 증가, 대한제국 시기에는 국가 사업으로 추진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는 홍삼전매제가 시행되었으며, 광복 이후 민간 제조 및 판매가 가능해졌고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체질과 증상에 따라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저장 기간에 따라 품질 변화가 발생할 수 있어 복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 한약 - 녹용
녹용은 사슴의 뿔에서 채취하는 약재로, 전통 중의학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며 뉴질랜드가 최대 생산국이고 아시아에서는 수프로 섭취하며 서구에서는 식이 보조제로 섭취되지만 효능에 대한 임상적 증거는 부족하다. - 한의학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한의학 - 지압
지압은 손가락 등으로 인체의 특정 부위를 눌러 건강을 증진하는 대체의학 요법으로, 기의 흐름을 조절하고 음양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다.
소시호탕 | |
---|---|
일반 정보 | |
![]() | |
종류 | 한약 |
역사 | 약 220년 경 |
구성 성분 | |
주요 성분 | 황금 인삼 반하 감초 대추 시호 생강 |
약리학 및 약동학 | |
약동학 | 베이칼린과 오고노사이드 |
효과 | |
효과 | 항우울제 유사 효과 |
치료 | 만성 B형 간염 치료 |
기타 | |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 센터 | 소시호탕 정보 |
2. 구성
소시호탕은 시호, 황금, 반하, 생강, 대조(대추), 인삼, 감초로 구성된다. 시호와 황금의 조합이 중심이 되는 처방을 시호제라고 하며, 소시호탕은 그 시호제의 가장 기본이 되는 처방이다. 시호에서 대추까지는 많은 시호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지금까지 발견된 소시호탕의 유효 성분은 다음과 같다.
시호와 황금은 이른바 흉협고만(脇이나 가슴에 답답함, 팽만감을 호소함)을 다스리는 작용이 있다. 반하에는 오심을 다스리는 작용이 있다. 생강과 대추는 많은 한방 처방에 부작용을 완화할 목적으로 짝을 이루어 더해진다. 감초 또한 같은 목적으로 배합된다. 인삼은 대표적인 보약 중 하나이다.
3. 유효 성분
캘리포니아 대학 샌디에이고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에서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19][12]
4. 작용 기전
시호는 작용 기전이 명확하지 않은 많은 생약 중에서 비교적 작용 기전이 명확해지고 있는 몇 안 되는 약재 중 하나이다. 구성 성분인 사이코사포닌이 스테로이드와 유사한 작용을 하여 염증에 대해 항염증 작용을 한다. 따라서 시호제는 천식, 교원병 등 각종 만성 염증에 대한 동양 의학의 "비장의 무기"와 같은 존재로 각광받았으나, 이후 인터페론과의 부작용 정보가 보도되면서 한의사 외에는 다소 사용하기 어려운 약이 되었고, 한때처럼 빈번하게 사용되는 약물은 아니게 되었다.
5. 임상시험
천연한 감기 증후군 환자(소시호탕군 131명, 위약군 119명)에 대한 이중맹검 무작위 시험 (DB-RCT)은 전반적인 상태의 저하, 인후통, 권태감, 가래, 식욕 장애, 관절통 · 근육통에 대해 위약보다 훨씬 효과적임을 보였다[20][13].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진단 된 116 명을 대상으로 한 이중맹검 비교 시험에서 혈청 토란스아미나제의 유의한 감소를 보이며, 간 기능 장애의 개선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21][22][14][15].
6. 부작용
인터페론과 병용하거나, 간경변 또는 간암 환자에 투여하면 간질 성 폐렴을 일으켜 사망에 이를 수 있다.[23] 그 외에, 가성 알도스테론증, 근육병증, 간기능 장애, 황달, 저칼륨혈증[16] 등이 있다.
소시호탕을 복용하여 간질성 폐렴이 발병하는 빈도는 10만 명 중 4명꼴이며, 인터페론의 10만 명당 182명에 비하면 현저히 낮지만, 한약에는 부작용이 없다는 오해가 있었기 때문에, 대중 매체에서 사망 사건이 센세이셔널하게 보도되었다.[11] 소시호탕은 다음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 고령자에 30일을 초과하는 투여.[16][25]
- 인터페론 제제를 투여 중인 환자.
- 간경변, 간암 환자.
- 만성 간염으로 간기능 장애가 있고 혈소판 수가 10만/mm3 이하(간경변이 의심됨)인 환자.[11][26]
일본약과대학의 정종철/丁宗鐵일본어는 한의학적인 변증을 무시하고 병명에 따라 투여하는 서양의학식 투여에 문제가 있으며, 사망한 환자 중 10명이 오용 투여로 인한 것이며 단 1례가 본래의 역학적 이상에 의한 부작용이 의심되는 경우라고 주장하였다.[27] 기타사토 연구소 동양 의학 연구소 연구부장이었던 정종철은, "소시호탕이 100만 명에게 처방된 것 자체가 문제다. 의료용으로 유통되는 모든 한약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한방 전문의의 입장에서 보면 이는 비정상적인 수치이며, 한약은 환자의 "증"에 맞춰 처방해야 하는데, 증을 무시한 서양 의학적인 안이한 "병명 투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데 문제가 있다. 사망한 10명은 오용 투여로, 1례는 본래의 역학적 이상에 의한 부작용이 의심된다"고 발언했다.[17]
7. 주의 사항
인터페론과 병용하거나, 간경변 또는 간암 환자에 투여하면 간질 성 폐렴을 일으켜 사망에 이를 수 있다.[23] 그 밖에, 거짓부갑상샘저하증, 간 기능 장애, 황달, 저칼륨 혈증[23] 등에서 주의를 요한다.
소시호탕을 복용하고 간질성 폐렴이 발병하는 빈도는 10만 명에 4명으로, 인터페론의 10만 명에 182명에 비해 현격한 차이가 있지만, 대중적으로 생약의 부작용이 없다는 오해가 있었기 때문에 일본의 언론에서 소시호탕 복용 후 사망 사건이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
소시호탕은 다음의 환자에게는 금기이다[24] .
- 고령자에 30일을 이상 투여[25] .
- 인터페론 제제를 투여중인 환자.
- 간경변, 간암 환자.
- 만성 간염에서 간 기능 장애 혈소판 수가 100,000/mm3 이하 (간경변 의심) 환자[26] .
이에 대해 일본약과대학의 테에 무네테츠([./https://ja.wikipedia.org/wiki/%E4%B8%81%E5%AE%97%E9%90%B5 丁宗鐵])는 한의학적인 변증을 무시하고 병명에 따라 투여하는 서양의학식 투여에 문제가 있으며, 사망한 환자 중 10명이 오용 투여로 인한 것이며 단 1례가 본래의 역학적 이상으로 인한 부작용이 의심되는 경우라고 주장하였다[27] .
8. 관련 처방
참조
[1]
서적
中国药典
http://db.ouryao.com[...]
[2]
서적
方剂学
上海科学技术出版社
1995-06
[3]
논문
Comparative pharmacokinetics of baicalin and wogonoside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Xiaochaihu Tang and Radix scutellariae extract to rats
2010-08
[4]
논문
Transport and metabolism of flavonoids from Chinese herbal remedy Xiaochaihu-tang across human intestinal Caco-2 cell monolayers
2008-09
[5]
문서
90 cases of xiaochaihutang treatment for depression in clinical
1996
[6]
문서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Xiaochaihutang on Post stroke depression in clinical
2009
[7]
논문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Xiaochaihutang in a rat model of chronic unpredictable mild stress
2014-02
[8]
논문
Xiaochaihutang prevents depressive-like behaviour in rodents by enhancing the serotonergic system
2014-01
[9]
논문
Xiao Chai Hu Tang, a herbal medicine, for chronic hepatitis B
2019-11-07
[10]
웹사이트
Sho-saiko-to
http://www.mskcc.org[...]
2012-09-06
[11]
웹사이트
ツムラ企業レポート 小柴胡湯事件 1996年3月
http://www.tsumura-k[...]
[12]
논문
A single arm phase II study of a Far-Eastern traditional herbal formulation (sho-sai-ko-to or xiao-chai-hu-tang) in chronic hepatitis C patients
[13]
논문
TJ-9ツムラ小柴胡湯の感冒に対するPlacebo対照二重盲検群間比較試験
http://www.meteo-int[...]
2009-12-30
[14]
논문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of Shosaiko-to in chronic active hepatitis.
[15]
논문
多施設二重盲検試験による慢性活動性肝炎に対する小柴胡湯の臨庆効果
[16]
논문
芍薬甘草湯と小柴胡湯の連用が血清カリウム値に及ぼす影響
https://doi.org/10.1[...]
2006
[17]
간행물
宝島30
宝島社
1996-06
[18]
웹인용
Sho-saiko-to
http://www.mskcc.org[...]
2012-09-06
[19]
논문
A single arm phase II study of a Far-Eastern traditional herbal formulation (sho-sai-ko-to or xiao-chai-hu-tang) in chronic hepatitis C patients
[20]
논문
TJ-9ツムラ小柴胡湯の感冒に対するPlacebo対照二重盲検群間比較試験
http://www.meteo-int[...]
2009-12-30
[21]
논문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of Shosaiko-to in chronic active hepatitis.
[22]
논문
多施設二重盲検試験による慢性活動性肝炎に対する小柴胡湯の臨庆効果
null
[23]
논문
芍薬甘草湯と小柴胡湯の連用が血清カリウム値に及ぼす影響
https://doi.org/10.1[...]
2006
[24]
웹사이트
쯔 무라 기업 보고서 고시胡湯사건 1996년 3월
http://www.tsumura-k[...]
[25]
논문
芍薬甘草湯と小柴胡湯の連用が血清カリウム値に及ぼす影響
https://doi.org/10.1[...]
2006
[26]
웹사이트
쯔 무라 기업 보고서 고시胡湯사건 1996년 3월
http://www.tsumura-k[...]
[27]
간행물
보물섬 30
타카라 지 마사
199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