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소아청소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소아청소년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소아의 질병을 진료하고 연구하는 의학 분야이다. 19세기 내과학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영역으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세부 전문 분과로 나뉜다. 한국에서는 1960년대 대한소아과학회 창립 이후 발전해왔으며, 신생아, 영아, 유아, 학동 등 연령에 따라 진료 대상을 구분한다. 소아는 성인과 생리학적으로 다르므로, 약물 작용, 질병 진단 및 치료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최근 저출산 고령화, 과도한 업무 부담 등으로 소아청소년과 의사 부족 문제가 심각하며, 의료 인력 확보, 근무 환경 개선, 소아 의료 수가 현실화 등이 과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년기 - 유아
    유아는 출생 후 만 2세까지의 아동을 지칭하며, 신체, 인지, 사회정서적 발달이 급속히 이루어지는 시기로, 운동 및 언어 능력 발달,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성 발달이 이루어지며, 영양 섭취, 안전한 환경, 부모의 양육 태도, 감염병 예방, 건강 관리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유년기 - 신동
    신동은 어린 나이에 특정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 사람을 지칭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연습, 성격, 지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사회적 부적응이나 완벽주의 성향과 같은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 의학 분야 - 산부인과
    산부인과는 임신, 출산, 여성 생식기 질환을 다루는 의학 분야이며, 미국에서는 다양한 세부 전문 분야로, 한국에서는 1920년대에 근대적 산부인과가 등장하여 다양한 시술을 시행하고, 여성의학과로 명칭 변경 움직임이 있었다.
  • 의학 분야 -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는 이온화 방사선을 사용하여 암세포를 파괴하거나 암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는 의료 기술로, 근치적 및 완화적 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암종에 적용되며, 고정밀 방사선 치료 기술을 통해 정상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지만 피로,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치료법과 병행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 소아청소년과 - 신체검사
    신체검사는 건강 상태 평가를 위한 의료 행위로 병력 청취, 신체 진찰, 필요시 추가 검사 등을 포함하며, 정기 건강검진의 효과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 소아청소년과 - 골육종
    골육종은 뼈, 특히 장골의 골간단 부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밤에 심해지는 통증, 부종, 병적 골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치료하며, 예후는 병기 및 치료 반응에 따라 달라진다.
소아청소년과
학문 분야
분야의학
진료 대상영아, 어린이, 청소년, 청년
관련 질병선천성 질환, 감염성 질환, 소아암, 정신 질환
검사https://www.who.int/childgrowth/en/
전문의소아과 의사
관련 용어의학 용어 목록
신생아 검진 (1967년)
소아과 의사가 신생아를 검진하고 있다.
하위 분야

2. 역사

영국 런던에 위치한 그레이트 오몬드 스트리트 병원의 일부로, 영어권 최초의 소아과 병원이다.


소아의학에 대한 초기 언급은 기원전 5세기에 출판된 ''히포크라테스 전집''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소아 뇌전증, 미숙아 출산과 같은 주제를 다루었다. 히포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켈수스, 에페소스의 소라누스, 갈레노스[6]는 성장하는 어린이의 신체적 차이를 이해하고, 이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야 함을 인지했다. ''Ex toto non sic pueri ut viri curari debent|일반적으로 소년은 남자와 같은 방식으로 치료해서는 안 된다la''라는 격언이 이를 보여준다.[7] 고대 인도에서는 어린이 의사를 "쿠마라 브르티야"라고 불렀다.[6]

아유르베다 텍스트인 ''수슈루타 삼히타''(기원전 6세기)와 ''카샤파 삼히타''[9][10]에도 소아과 관련 내용이 있다. 에페소스의 소라누스는 2세기에 신생아 소아과를 다룬 원고를 작성했다.[11] 오리바시우스, 아미다의 아에티우스, 알렉산더 트랄리아누스, 파울루스 아이기네타 등 비잔틴 의사들도 소아의학에 기여했다. 비잔틴인들은 ''브레포트로피아''(보육원)를 건설하기도 했다.[6]

이슬람 황금 시대의 학자들은 그리스-로마 및 비잔틴 의학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할리 아바스, 야흐야 세라피온, 아불카시스, 아비센나, 아베로에스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알 라지 (865–925)는 "어린이 질병"이라는 소아과 단행본을 출판하여 소아과의 아버지로 불린다.[12][13] 1472년에는 이탈리아 소아과 의사 파올로 바젤라르도가 ''Libellus [Opusculum] de aegritudinibus et remediis infantium''(어린이 질병과 치료에 관한 작은 책)을 출판했다.[14][5] 바르톨로메우스 메틀링거, 코르넬리우스 로엘란스, 하인리히 폰 로이펜부르크 등의 저작은 소아의 생리학 및 병리학에 관한 초기 의학 논문인 ''소아과 초판본''을 구성한다.[6]

17세기와 18세기에 이르러서야 의료 전문가들이 어린이를 전문적으로 진료하기 시작했다.[5] 스웨덴 의사 닐스 로센 폰 로젠슈타인 (1706–1773)은 현대 소아과의 창시자로 여겨지며,[16][17] 그의 저서 ''어린이 질병과 그 치료법''(1764)은 이 주제에 대한 최초의 현대 교과서로 평가받는다.[18] 19세기가 되어서야 소아과는 별도의 의학 분야로 인정받기 시작했으며, 1790년대에서 1920년대 사이에 소아과 전용 출판물이 등장했다.[19]

에이브러햄 재코비(Abraham Jacobi)는 1859년에 "Pediatrics(소아청소년과)"라는 용어를 처음 소개했고, 1860년에 세계 최초의 소아청소년과 전담 교수가 되었다.[20] 독일에서 의학 훈련을 받고 뉴욕 시에서 진료한 그는 ''미국 소아청소년과의 아버지''로 불린다.[21][22]

최초의 소아청소년과 병원은 1802년 파리에 개원한 ''Hôpital des Enfants Malades''(어린이 병원)이다.[24] 이 병원은 15세까지의 환자를 받았으며, 현재 네케-엉팡 말라드 병원의 소아청소년과 부서로 운영되고 있다.[26]

다른 유럽 국가에서는 베를린의 샤리테 병원(1710년 설립)이 1830년에 소아청소년과 병동을 설립했고, 상트페테르부르크, , 브레슬라우(현재 브로츠와프)에도 유사한 기관이 설립되었다. 1852년 영국 최초의 소아청소년과 병원인 그레이트 오르몬드 스트리트 병원이 찰스 웨스트(의사)에 의해 설립되었다.[24] 스코틀랜드 최초의 어린이 병원은 1860년 에든버러에 개원했다.[27] 미국에서는 1855년 필라델피아 어린이 병원, 1869년 보스턴 어린이 병원이 설립되었다.[28] 존스 홉킨스 병원의 해리엇 레인 홈에서는 에드워드 A. 파크(의사)에 의해 소아청소년과의 세부 전문 분야가 만들어졌다.[29]

20세기 초에는 각국에서 학회가 설립되면서 소아청소년과는 독립된 의학 영역으로 확립되었다. 현재는 소아외과, 소아순환기외과(소아심장혈관외과), 소아정형외과, 소아안과, 소아이비인후과, 소아비뇨기과 등 소아 질환을 다루는 전문 분과를 갖춘 병원들이 존재한다.

3. 세부 전문 분과

소아청소년과는 다양한 세부 전문 분야로 나뉜다. 신생아학, 예방의학, 소아 심장학, 소아 신장학, 소아 감염학, 소아 내분비학, 소아 위장학, 소아 신경학 등이 있다.

소아청소년과의 분과에는 다음이 포함된다(완전한 목록은 아님).

분야
중독 의학 (다학제)
청소년 의학
아동 학대 소아과
임상 유전학
임상 정보학
발달 행동 소아과
두통 의학
입원 의학
의학 독성학
대사 의학
신생아학/주산기학
통증 의학 (다학제)
완화 치료 (다학제)
소아 알레르기 및 면역학
소아 심장학
소아 중환자 관리
소아 응급 의학
소아 내분비학
소아 소화기병학
소아 혈액학
소아 감염성 질환
소아 신장학
소아 종양학
소아 폐병학
일차 진료
소아 류마티스학
수면 의학 (다학제)
사회 소아과
스포츠 의학



일본에서는 2008년 시점에서 다음과 같은 소아청소년과 분과 전문의가 존재한다.


  • 일본 소아신경학회 전문의
  • 일본 소아 순환기 학회 전문의
  • 일본 주산기・신생아 의학회 전문의

4. 소아 관련 학과

소아 수술은 외과의 하부 세부 전문 과목으로, 외과 의사가 주로 담당한다. 소아 정신 질환은 정신건강의학과 의사가 주로 진료하며, 소아청소년과와 협진한다.[31] 소아 신경 질환은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주로 진료한다.[30]


  • 소아신경과
  • * 간질
  • * 두통 의학
  • * 신경근 의학
  • * 소아 신경 종양학
  • 소아 청소년 정신 의학
  • 신경 발달 장애
  • 소아 마취과
  • 소아 치과
  • 소아 피부과
  • 소아 부인과
  • 소아 신경 외과
  • 소아 안과
  • 소아 정형외과
  • 소아 이비인후과
  • 소아 성형 외과
  • 소아 방사선과
  • 소아 재활 의학
  • 소아 외과
  • 소아 비뇨기과

5. 대상 연령 구분

명칭시기
신생아출생 후 28일 미만
영아생후 28일부터 1세 미만
유아만 1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
학동초등학생



이후에는 "중학생"이나 연령 자체로 구분하거나, 성장에 맞춰 사춘기 등의 구분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의무 교육이 끝나는 중학교 3학년까지를 소아청소년과 진료 대상으로 본다.

6. 성인 의학과의 차이점

영아나 신생아는 성인과 신체 크기뿐만 아니라 생리학적으로도 큰 차이를 보인다. 선천성 결함, 유전적 변이, 발달 문제는 성인보다 소아청소년과 의사에게 더 큰 관심사이다. "아이들은 단순히 작은 성인이 아니다."라는 격언처럼, 임상의는 아이들의 미성숙한 생리를 고려하여 증상을 평가하고, 약물을 처방하며, 질병을 진단해야 한다.[30]

소아의 생리학적 특징은 약물의 약동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약물의 흡수, 분포, 약물 대사, 약물 배설은 성장하는 어린이와 성인 간에 차이가 있다.[30][31][32] 이러한 요소들이 소아 환자에게 약물을 처방하고 투여할 때 의료진의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30]

약물 배설은 주로 간과 신장을 통해 이루어진다.[31] 영아 및 어린이는 신장의 상대적인 크기가 더 커서 소변으로 배설되는 약물의 신장 청소율이 증가한다.[32] 미숙아 및 영아는 신장이 덜 발달되어 완전하게 발달된 신장만큼 약물을 제거할 수 없다. 이는 원치 않는 약물 축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 환자군에 대해서는 더 낮은 용량과 더 긴 투약 간격을 고려해야 한다.[30][31] 신장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질병 또한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므로 유사한 고려가 필요하다.[31]

소아의 성장과 발달은 형태적, 기능적 변화를 모두 포함한다. 성장은 신장, 체중 증가, 2차 성징 출현과 같은 형태적 변화를 의미하고, 발달은 운동, 지능 발달과 같은 기능적 변화를 의미한다.[42]

소아 발달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43]


  • 방향성: 머리에서 꼬리, 몸통에서 팔다리, 큰 동작에서 미세한 동작 순으로 발달한다.
  • 연속성과 불연속성: 어휘 증가처럼 지속적인 변화와 두 발로 걷기 시작하는 것과 같은 갑작스러운 변화가 함께 나타난다.
  • 결정적 시기가 존재한다.
  • 순서성이 있다.
  • 민감성: 급속한 발달 시기에는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소아 발달은 신경계 성숙, 정동, 사회성, 인지, 운동(대근육 운동과 소근육 운동), 신변 자립(식사, 배설, 옷 갈아입기) 등 다양한 측면을 포함한다.

장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에 따르면, 생후 4개월경 깊이 지각과 눈과 손의 협응 운동이 발달한다. 아이들은 탐색 행동을 통해 외부 세계에 대한 지식을 얻고, 물건을 입에 넣어 탐색하거나, 손에 쥔 것을 흔들고 두드리는 등 감각 운동적 조작을 즐긴다. 인지 기능은 감각 운동 단계, 전조작 단계, 구체적 조작 단계, 형식적 조작 단계 순으로 발달한다.

언어 발달은 발성 및 구음 기관, 지능, 환경, 청각 및 시각 기능이 정상적이어야 가능하다. 아이는 의미 있는 단어를 습득하기 전, 가까운 어른과 시선, 표정, 움직임, 발성 등으로 소통한다. 생후 6개월경(대략 3개월)까지는 이름을 부르면 돌아보거나 까꿍 놀이에 반응하고, 8개월까지는 낯가림과 옹알이를 한다. 10개월경에는 간단한 지시 행동이 가능해지고, 1세에는 의미 있는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며, 1세 6개월쯤에는 감정 표현과 두 단어 문장이 나타나고, 2세에는 이러한 것들이 완성된다.

행동 발달 평가에는 덴버 II 발달 선별 검사(Denver II Developmental Screening Test)가 널리 사용된다.

개월 수대근육 운동 (체간)미세 운동 (사지)언어사회성
1얼굴 좌우로 돌리기
3목 가누기, 엎드린 자세에서 얼굴 들기손을 입으로 가져가기, 딸랑이 쥐기소리 내어 웃기, 소리 나는 쪽으로 돌아보기, 추시하기엄마 얼굴 뚫어지게 보기
6뒤집기, 앉기물건을 손에서 손으로 옮기기, 얼굴에 천 덮으면 잡기옹알이 반복엄마 인식, 낯가림
10기어 다니기, 붙잡고 일어서기엄지, 검지로 집기, 상자에서 쌓기 나무 꺼내기이름 부르면 돌아보기, 흉내 내기엄마 따라다니기
1혼자서 일어서기상자 안에 쌓기 나무 넣기의미 있는 단어 두 개 이상 말하기, 바이바이 동작
1.5손 잡고 계단 걷기쌓기 나무 두 개 쌓기, 낙서하기단어 표현, 신체 부위 가리키기컵 사용해서 마시기
2계단 걷기, 평지 뛰기쌓기 나무 4개 쌓기두 단어 문장으로 말하기숟가락 사용
3한 발로 서기, 세발자전거 타기원 그리기, 신발, 겉옷 벗기물어보면 이름 말하기젓가락 사용, 잠옷 입기
4한 발로 뛰기네모 그리기, 가위 사용자기 이름 읽기숨바꼭질, 가위바위보
5스킵, 그네 서서 타기삼각형 그리기, 가위로 선 따라 자르기끝말잇기친구와 경쟁


6. 1. 소아 환자의 자율성

대부분의 국가에서 어린이는 스스로 의료 결정을 내릴 수 없다. 따라서 후견인, 프라이버시, 법적 책임, 설명된 동의 문제는 모든 소아과 시술에서 항상 고려해야 한다.[33] 소아과 의사는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 때로는 가족 전체를 치료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은 특정 상황에서 자신의 건강 관리 결정에 대한 권리를 가지며, 그들만의 법적 지위를 갖는다. 치료 옵션을 고려할 때, 특히 예후가 좋지 않거나 복잡하고 고통스러운 시술/수술을 앞둔 상황에서 법적 동의와 아동의 비법적 동의(동의)를 결합하는 개념은 소아과 의사가 환자 외에도 여러 사람의 바람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7. 현대 소아 의료의 과제

현대 소아 의료는 저출산 고령화라는 사회적 변화와 함께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 저출산으로 인해 소아 환자가 감소하면서 소아청소년과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병원이 늘고 있다. 또한, 소아청소년과는 시간 외 진료가 많고 업무 부담이 커서 의사들이 소아청소년과를 기피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의사 부족 문제로 이어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

7. 1. 한국 소아 의료의 현황과 과제

최근 저출산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과 더불어, 시간 외 진료가 다른 진료과에 비해 많고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업무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소아과 의사를 지망하는 의사가 줄어들고 있어, 일부에서는 사회 문제(의사 부족)로 대두되고 있다. 소아과 의사를 희망하는 신규 의과대학생도 임상 수련을 받으면서 혹독한 근무를 목격하고 전향하는 경우가 많다.

소아과 의사가 소아과 업무에서 가장 힘들다고 느끼는 것은 당직 업무이다. 시내 응급 병원의 야간 진료는 소아과가 가장 많다. 최근까지 대부분의 병원에서 적은 수의 소아과 당직 의사가 모든 진료를 담당했다. 최근에는 재검토가 시작되어 소아과 의사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내과나 과를 결정하기 전의 연수 의사가 진료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가와사키병, 장 중첩, 세기관지염 등 소아 특유의 질환은 소아과 전문의가 아니면 진단이나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고, 또한 환자가 직접 호소하지 않기 때문에 소아과 의사의 경험에 기반한 독자적인 감각이 필요하다. 부족한 소아과 의사를 대신하여 연수 의사나 내과 의사가 진찰하는 경우도 있는 오늘날의 상황을 문제시하는 목소리도 있다.

소아암 등 치료 기간이 길어지는 질환의 경우, 소아과에 입원하는 환자는 의무 교육을 받아야 하는 연령층도 많아 기초적인 교육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병원 내에 초등학교 분교를 설치하여 일시적으로 전학시키고, 병원 내에서 교육을 실시하는 병원도 있다(자세한 내용은 병설 학급 항목 참조).

참조

[1] 웹사이트 Paediatrics https://www.england.[...] 2020-07-02
[2] 웹사이트 Choosing a Pediatrician for Your New Baby (for Parents) - Nemours KidsHealth https://kidshealth.o[...] 2020-07-13
[3] 논문 Age limits of pediatrics http://pediatrics.aa[...] 1988-05
[4] 논문 The age of paediatrics https://www.thelance[...] 2019-11-01
[5] 서적 History of Medicine, Second Edition: A Scandalously Short Introduc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6] 서적 Nurturing children: a history of pediatric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999-01
[7] 문서 Celsus, ''De Medicina'', Book 3, Chapter 7, § 1.
[8] 서적 Children's Surgery: A Worldwide History McFarland
[9]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Asia Charles Scribner's Sons
[10] 서적 Textbook Of Paediatrics Orient blackswan
[11] 논문 Soranus of Ephesus (Circa AD 98-138) and perinatal care in Roman times
[12] 서적 A Medical History of Persia and The Eastern Caliphate Cambridge 2010
[13] 웹사이트 "Islamic Culture and the Medical Arts, Al-Razi, the Clinician" https://www.nlm.nih.[...]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14] 서적 Achar S Textbook Of Pediatrics (Third Edition) A. B. Desai (ed.)
[15] 서적 Formative Years: Children's Health in the United States, 1880-2000 https://www.fulcru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2
[16]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companion to medicin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1
[17] 서적 The Age of Liberty: Sweden 1719–177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8] 웹사이트 Classics of Child Care http://www.rcpe.ac.u[...]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Edinburgh
[19] 서적 History of Medicine, Second Edition: A Scandalously Short Introduc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0-05-29
[20] 서적 Formative Years: Children's Health in the United States, 1880-2000 https://www.fulcru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2
[21] 서적 Broadribb's Introductory Pediatric Nursing Nancy T. Hatfield
[22] 웹사이트 Jacobi Medical Center - General Information http://www.nyc.gov/h[...]
[23] 논문 Abraham Jacobi (1830–1919) and his transition from political to medical activist https://onlinelibrar[...] 2021-04-08
[24] 서적 History of Paediatrics 1850–1950 Raven Press 1991
[25] 웹사이트 official history site (in French) of nineteenth century paediatric hospitals in Paris http://www.aphp.fr/s[...]
[26] 웹사이트 Introducing the Necker-Enfants Malades Hospital https://hopital-neck[...]
[27] 논문 The Mason Brown Lecture: Scots and paediatric surgery http://www.rcsed.ac.[...] 1999-08
[28] 서적 History of Paediatrics 1850–1950 Raven Press 1991
[29] 논문 Commentaries: Edwards A Park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30] 논문 Paediatric pharmacokinetics and drug doses 2016
[31] 논문 Pediatric pharmacokinetics 2013
[32] 논문 Paediatric pharmacokinetics: key considerations 2015
[33] 논문 Informed Consent in Decision-Making in Pediatric Practice 2016-08-01
[34] 서적 Ethical Issues in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https://doi.org/10.1[...] 2020
[35] 서적 Formative Years: Children's Health in the United States, 1880-2000 https://www.fulcru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2
[36] 서적 Children, families, and health care decision making http://worldcat.org/[...] Clarendon Press 2004
[37] 논문 Developing child autonomy in pediatric healthcare: towards an ethical model 2018-06-01
[38] 논문 What Is a Child? https://www.journals[...] 2021-11-30
[39] 논문 'We Should View Him as an Individual': The Role of the Child's Future Autonomy in Shared Decision-Making About Unsolicited Findings in Pediatric Exome Sequencing https://doi.org/10.1[...] 2021-09-01
[40] 뉴스 What Education Is Required to Be a Pediatrician? http://learn.org/art[...] 2017-06-14
[41] 웹사이트 CoPS http://www.pedsubs.o[...] 2015-08-14
[42] 서적 『標準理学療法学・作業療法学 専門基礎分野 小児科学 第5版』冨田豊編集 医学書院(2019)「小児科学概論」冨田豊p2
[43] 서적 『標準理学療法学・作業療法学 専門基礎分野 小児科学 第5版』冨田豊編集 医学書院(2019)「小児科学概論」冨田豊p10
[44] 서적 『標準言語聴覚障害学 言語発達障害学 第3版』 藤田郁代監修 深浦順一ら編集 医学書院 (2021)「前言語期」大伴潔p4
[45] 서적 『標準言語聴覚障害学 言語発達障害学 第3版』 藤田郁代監修 深浦順一ら編集 医学書院 (2021)「前言語期」大伴潔p5
[46] 서적 『標準理学療法学・作業療法学 専門基礎分野 小児科学 第5版』冨田豊編集 医学書院(2019)「小児科学概論」冨田豊p18
[47] 간행물 Fit Mind, Fit Job - From Evidence to Practice in Mental Health and Work OECD 2015-03
[48] 간행물 10 FACTS ON MENTAL HEALTH - Mental health: a state of well-being http://www.who.int/f[...] WHO 2014-08
[49] 문서 대체로 10~18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