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아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아암은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암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백혈병, 뇌종양, 림프종 등이 흔하며, 신경모세포종, 윌름스 종양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소아암의 증상, 위험 요인, 진단, 치료 방법은 암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수술,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면역 요법 등이 사용된다. 최근 의학 발전에 따라 소아암 생존율이 향상되었지만, 치료 과정과 장기적인 합병증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소아암 환자와 가족을 위한 다양한 지원 단체가 존재하며, 연구 및 치료 발전을 위해 기부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아암 - 골육종
    골육종은 뼈, 특히 장골의 골간단 부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밤에 심해지는 통증, 부종, 병적 골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치료하며, 예후는 병기 및 치료 반응에 따라 달라진다.
  • 소아암 - 망막모세포종
    망막모세포종은 소아에게 주로 나타나는 악성 종양으로, RB1 또는 MYCN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이며, 백색동공, 시력 저하, 사시 등의 증상을 보이고, 안구 적출술,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등으로 치료하며, 종양 위험도 분류 체계를 통해 관리된다.
  • 암 - 피부암
    피부암은 피부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자외선 노출, 유전적 요인, 면역 저하 등이 원인이 되며 기저세포암, 편평상피세포암, 흑색종으로 나뉘고 조기 발견과 자외선 차단이 중요하다.
  • 암 -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주원인인 자궁 경부의 악성 종양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지만 진행 시 질 분비물 증가, 성교통, 골반통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조직 생검 등으로 진단하고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등으로 치료하며, HPV 백신 접종과 정기 검진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소아암
일반 정보
다른 이름소아암
화학 요법 후 착용할 모자를 써보는 소녀
윌름스 종양에 대한 화학 요법 후 착용할 모자를 써보는 소녀
진료 분야소아과학
종양학
증상알 수 없음
합병증알 수 없음
발병 시기알 수 없음
지속 기간알 수 없음
종류알 수 없음
원인알 수 없음
위험 요인알 수 없음
진단알 수 없음
감별 진단알 수 없음
예방알 수 없음
치료알 수 없음
약물알 수 없음
예후알 수 없음
빈도알 수 없음
사망자알 수 없음
통계
유럽 장기 생존 및 완치 비율 추정 (EUROCARE-6)어린이 암
란셋 종양학2022년 12월 23일 12호, 1525–1536쪽
소아암 5년 생존자후기 사망률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
2024년 1월 25일; 130(10):1844–1857
협력적 노력을 통한 모든 어린이 암 치료를 향하여소아 종양학, 세계적인 도전 과제
임상 종양학 저널2015년 9월; 33(27): 3065–3073
1975-1995년 미국 SEER 프로그램어린이 및 청소년 암 발생률 및 생존율
지역 및 전 세계 발생률 추정암 역학
연령 정의, 생식 문제와 관련된 소아 및 청소년 암인간 생식
소아암 기본 정보 및 통계미네소타 보건부

2. 증상 및 징후

소아암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암의 종류와 발생 위치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과 징후가 각기 다르다. 주요 소아암으로는 백혈병, 뇌종양, 신경모세포종, 림프종, 신장 종양(신모세포종, 윌름스 종양) 등이 있으며, 위암이나 폐암과 같은 암은 소아에게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소아암의 초기 증상은 발열, 창백함, 반상출혈, 림프절 비대, 복통, 두통, 구토, 뼈의 통증 등 매우 비특이적인 경우가 많아[9]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흔하다. 예를 들어, 가장 흔한 소아암인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의 초기 증상은 전반적인 불쾌감, 식욕 부진, 미열 등 감기와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다.[9] 따라서 특별한 이유 없이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소아암은 성인에게 발생하는 암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특징적인 차이를 보인다. 백혈병이나 림프종을 제외하면 성인에게는 드문 암종이 많고, 암세포의 증식 속도가 성인 암에 비해 빠른 경향이 있다. 그러나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요법과 같은 치료에 대한 반응률은 성인 암보다 훨씬 높다는 특징이 있다.

각 소아암의 구체적인 증상과 징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해당 암 종류별 섹션 또는 관련 문서를 참고해야 한다.

2. 1. 백혈병

소아암 중 가장 흔한 유형이며,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이 어린이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ALL은 보통 1세에서 10세 사이의 어린이에게서 발병하지만, 어떤 나이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암은 남성과 백인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9]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 초기 증상은 비특이적이어서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잦다.

  • 전반적인 불쾌감
  • 식욕 부진
  • 미열
  • 창백함
  • 점상출혈 (작은 붉은 반점)
  • 반상출혈 (쉽게 멍이 듦)
  • 뼈의 통증
  • 특별한 이유 없이 갑자기 체중이 크게 줄어듦


신체 검사 시 다음과 같은 소견이 나타날 수 있다.

  • 현저한 림프절 비대 (림프절이 눈에 띄게 커짐)
  • 간비종대 (간과 비장이 커짐)는 백혈병을 의심하게 하는 중요한 소견이다.


의심스러운 증상이 나타나면 전혈구 계산 (CBC)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

2. 2. 중추신경계 종양

소아암 중 두 번째로 흔하게 진단되는 악성 종양이다.[10]

주요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운동실조
  • 기타 보행 장애 (뇌수두증은 뇌관 압박으로 인해 발생)
  • 뇌간 압박의 결과로 나타나는 뇌신경 이상

2. 3. 호지킨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발병 가능성은 소아기에 증가하며, 청소년기에 최고조에 달한다.[9][11]
징후 및 증상

  • 목의 통증 없는 덩어리
  • 종격동 덩어리로 인한 지속적인 기침
  • 비장 비대 또는 커진 겨드랑이 또는 서혜부 림프절 (덜 흔함)
  • 간헐적인 열
  • 식은땀
  • 총 체중의 10% 이상 감소
  • 식욕 부진
  • 피로
  • 가려움증
  • 지속적인 통증 없는 덩어리

2. 4. 비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은 나이가 많은 소아에게 더 흔하며, 호지킨 림프종보다 덜 발생한다.[12]

나타나는 징후 및 증상은 영향을 받는 부위에 따라 다르다.

복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복통
  • 구토 또는 설사
  • 만져지는 덩어리 및 장중첩증


종격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머리와 목의 덩어리가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만져지는 덩어리
  • 뇌신경 마비
  • 코 막힘

2. 5. 신경모세포종

신경모세포종은 소아기에 흔히 진단되는 두개외 고형 종양이다.

주요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원발 종양 위치의 기능 장애
  • 식욕 부진
  • 복통
  • 복부 팽만

2. 6. 윌름스 종양

윌름스 종양은 어린이에게 복부 종괴로 나타나는 악성 종양이다.[14]

주요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

2. 7. 근골격계 악성 종양

근골격계에서 발생하는 종양은 종종 덩어리, 통증이 있는 사지, 또는 때때로 병적 골절로 나타난다.[9]

주요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밤에 아이를 깨우는 통증
  • 심각한 사지 기능 장애 (외상이 없는 경우)

3. 위험 요인

위험 요인은 특정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이는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을 의미한다. 나이, 가족력, 환경 노출, 유전적 소인, 경제적 지위 등이 위험 요인의 예시에 해당한다.[23]

소아암 발생에는 가족력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7] 하지만 상당수 사례에서는 명확한 개별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며,[27] 여러 위험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발암 과정이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28]

소아암의 위험 요인은 성인 암과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29] 어린이는 환경 유해 물질에 노출되는 방식이 성인과 다르고, 때로는 독성 물질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성인에게 의존해야 한다. 또한, 유해 물질을 대사하고 제거하는 생리 시스템이 아직 미성숙하며, 성장 및 발달 과정 중 특정 시기("발달의 창")에는 외부 요인에 더욱 취약할 수 있다. 기대 수명이 성인보다 길기 때문에, 잠복기가 긴 암이 발현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더 많다는 점도 소아암 위험 요인의 특징이다.[29]

3. 1. 인구통계학적 위험 요인

소아암은 연령, 성별, 민족 및 인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24] 소아암의 발생률은 영아기에 연간 100만 명당 약 240건으로 가장 높다. 이 비율은 5세에서 9세 사이에 100만 명당 128건으로 감소했다가, 이후 다시 100만 명당 220건으로 증가한다. 대부분의 소아암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3. 2. 환경적 요인

고용량의 전리 방사선 노출과 이전에 받은 화학 요법은 소아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소아암 발병 위험을 4배에서 7배까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5]

3. 3. 유전적 요인

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염색체 질환 및 특정 체질 증후군이 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5] 특히 소아암의 경우, 유전적 소인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소아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주요 암 소인 증후군은 다음과 같다.[26]

  • 리-프라우메니 증후군 (TP53 유전자 변이 관련)
  • 유전성 유방암 난소암 증후군 (BRCA1, BRCA2 유전자 변이 관련)
  • 대장암용종 관련 증후군
  • 가족성 망막모세포종 (RB1 유전자 변이 관련)


이러한 증후군을 포함한 가족력유전적 요인은 전체 소아암 사례의 약 5~15%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보고된다.[27] 반면, 담배 연기 노출, 임신 중 X선 노출, 특정 약물 노출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나 외인성 요인이 확인되는 경우는 5~10% 미만이다.[27] 그러나 대다수인 75~90%의 소아암 사례는 아직 명확한 개별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며,[27] 일반적으로 여러 위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암 과정이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28] 고용량의 이온화 방사선 노출이나 이전의 화학요법 치료 경험 등도 소아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25]

소아암의 위험 요인은 성인 암과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29] 어린이는 환경 유해 물질에 노출되는 방식이 다르고, 이러한 물질을 대사하고 제거하는 생리 시스템이 아직 미성숙하다. 또한, 성장 및 발달 과정 중 특정 시기("발달의 창")에는 외부 요인에 더욱 취약할 수 있다. 기대 수명이 긴 만큼, 잠복기가 긴 암이 발생할 시간적 여유가 더 많다는 점도 소아암의 특징이다.[29]

부모의 나이가 많을수록 자녀의 소아암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관성도 보고되었다.[30] 한편, 예방 가능한 소아암 원인 중 하나로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컴퓨터 단층 촬영(CT) 검사로 인한 이온화 방사선 노출이 지적되기도 한다.[31][32]

4. 진단

소아암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나타나는 증상도 각기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아의 증상과 신체 검사 소견을 바탕으로 다양한 검사를 시행한다.

예를 들어, 백혈병, 특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이 의심될 경우 전반적인 불쾌감, 식욕 부진, 미열, 창백함, 점상출혈, 반상출혈, 뼈의 통증 등의 증상과 함께 신체 검사에서 현저한 림프절 비대나 간비종대가 관찰될 수 있다. 이러한 소견이 보이면 전혈구 계산(CBC)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9]

뇌종양의 경우 운동실조나 기타 보행 장애, 뇌수두증으로 인한 증상, 뇌간 압박으로 인한 뇌신경 이상 등이 중요한 진단 단서가 될 수 있다.[10]

호지킨 림프종은 주로 목의 통증 없는 덩어리나 종격동 덩어리로 인한 지속적인 기침으로 나타나며, 간헐적인 열, 식은땀, 체중 감소, 피로, 가려움증 등을 동반할 수 있다.[9][11] 비호지킨 림프종은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복통, 구토, 설사, 만져지는 덩어리, 호흡 곤란, 상대정맥 증후군, 코 막힘, 뇌신경 마비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다.[12][13]

복부에서 발생하는 신경모세포종은 식욕 부진, 복통, 복부 팽만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윌름스 종양은 복부 종괴 외에도 복통, 육안적 혈뇨, 고혈압, 발열 등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14]

근골격계에서 발생하는 종양(골육종, 유잉육종 등)은 해당 부위의 덩어리나 통증(특히 밤에 심해지는 통증), 사지 기능 장애, 때로는 병적 골절로 발견되기도 한다.[9]

이러한 다양한 초기 증상과 신체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혈액 검사(전혈구 계산 등), 골수 검사, 엑스선, CT, MRI, 초음파 검사와 같은 영상 검사, 그리고 생검을 통한 조직 검사 등을 시행하여 최종적으로 암의 종류, 병기 등을 확정한다. 일부 소아암은 특정 염색체 이상이나 유전적 소인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므로[9][15][26][27], 가족력 확인 및 유전 검사가 진단 과정에 포함되기도 한다.

5. 종류

소아암은 발생하는 세포의 종류와 암이 시작된 신체 부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분류된다. 크게 혈액암(백혈병, 림프종 등)과 신체 장기나 조직에 덩어리를 형성하는 고형암(뇌종양, 신경모세포종, 윌름스 종양 등)으로 나눌 수 있다.[33][34]

소아 백혈병, 뇌종양, 림프종은 소아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암 종류이다.[33][34] 이 외에도 신경모세포종, 윌름스 종양, 소아 횡문근육종, 망막모세포종, 골육종, 유잉 육종, 생식세포 종양 등 다양한 종류의 암이 소아기에 발생할 수 있다.[35][34]

소아암은 성인에게 발생하는 암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성인에게는 드문 종류의 암이 많고, 암세포의 증식 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와 같은 치료에 대한 반응은 상대적으로 좋은 편이다.

5. 1. 흔한 소아암

소아암 중 가장 흔한 유형은 소아 백혈병(약 32%), 뇌종양(약 18%), 림프종(약 11%) 순이다.[33][34]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두 소녀가 항암 요법을 위한 정맥 주사를 받고 있다.

  • 백혈병: 소아암 중 가장 흔한 유형이며, 특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이 어린이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ALL은 보통 1세에서 10세 사이의 어린이에게서 주로 발병하지만, 어떤 나이에도 발생할 수 있다. 남성과 백인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9] 초기 증상은 불쾌감, 식욕 부진, 미열, 창백함, 점상출혈, 반상출혈, 뼈의 통증, 갑작스러운 체중 감소 등 비특이적인 경우가 많아 진단이 지연될 수 있다. 신체 검사에서 현저한 림프절 비대나 간비종대가 관찰되면 백혈병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전혈구 계산(CBC)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

  • 뇌종양: 소아암 중 두 번째로 흔하게 진단되는 악성 종양이다.[10] 증상으로는 운동실조나 기타 보행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뇌수두증으로 인한 뇌간 압박으로 발생할 수 있다. 뇌간 압박은 뇌신경 이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주요 아형으로는 별세포종, 뇌간 신경교종, 두개인두종, 증식성 유아 신경교종, 뇌실막종, 고등급 신경교종, 수모세포종, 비정형 기형성 횡문근양 종양 등이 있다.[35]

  •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과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나뉜다.
  • 호지킨 림프종: 발병 가능성은 소아기에 증가하여 청소년기에 최고조에 달한다.[9][11] 주로 목에 통증 없는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종격동 덩어리로 인해 지속적인 기침이 나타날 수 있다. 드물게 비장 비대 또는 커진 겨드랑이나 서혜부 림프절이 발견되기도 한다. 그 외 간헐적인 열, 식은땀, 총 체중의 10% 이상 감소, 식욕 부진, 피로, 가려움증, 지속적인 통증 없는 덩어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비호지킨 림프종: 나이가 많은 소아에게 더 흔하며, 호지킨 림프종보다 발생 빈도는 낮다.[12] 복부에 발생하면 복통, 구토 또는 설사, 만져지는 덩어리, 장중첩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종격동에 영향을 미치면 심한 호흡 곤란이나 상대정맥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으며[13], 머리와 목에 덩어리가 생기면 뇌신경 마비나 코 막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그 외 덜 흔한 소아암 유형으로는 신경모세포종(6%, 신경계), 윌름스 종양(5%, 신장), 소아 횡문근육종(3%, 여러 부위), 망막모세포종(3%, 눈), 골육종(3%, 뼈암), 유잉 육종(1%, 여러 부위), 생식세포 종양(5%, 여러 부위) 등이 있다.[35][34] 폐흉막 모세포종(폐 또는 흉강), 간아세포종 및 간세포암(간암) 등도 소아에게 발생할 수 있다.[35]

2005년 미국 통계에 따르면, 20세 미만 인구 10만 명당 4.1명이 백혈병 진단을 받았고, 10만 명당 0.8명이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발생률은 1~4세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지만, 사망자 수는 10~14세 연령대에서 가장 많았다.[62] 같은 해, 0~19세 인구 10만 명당 2.9명이 뇌 또는 중추신경계 암 진단을 받았고, 10만 명당 0.7명이 이로 인해 사망했다. 이러한 암은 1~4세 어린이에게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었지만, 사망은 5~9세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62]

소아암은 백혈병이나 림프종을 제외하면 성인에게는 드문 경우가 많고 종류가 다양하다. 성인 암에 비해 암세포 증식이 빠르지만,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요법의 효과가 매우 높다는 특징이 있다.

5. 2. 덜 흔한 소아암

6. 치료

소아암 치료는 환자 개인의 상태, 암의 종류와 심각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된다.[37] 일반적인 치료 방법에는 수술,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면역 요법 등이 있으며,[38][39][40][41] 최근 의학 발전으로 소아암의 유전적 기초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정밀 의학을 포함한 새로운 치료 접근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42]

치료 과정이나 암 자체의 영향으로 다양한 인지 또는 학습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16] 이는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요법 등의 부작용과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인지 기능 저하 문제는 '화학 요법 후 인지 장애(PCCI)' 또는 '케모 브레인'이라고도 불리며,[17] 암 치료 후 수년 뒤에 나타나기도 해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8] 따라서 소아암 환자는 치료 중 및 치료 후에 신경 심리학적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평가가 필요하다.[19] 특히 뇌종양 환자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인지 장애 위험이 더 높을 수 있다.[20][21] 필요한 경우, 부모는 학교에 특별 교육 서비스를 신청하여 자녀의 학업을 지원할 수 있다.[22]

한편, 화학 요법의 부작용은 즉각적이거나 장기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43] 고위험 암 치료를 받는 어린이의 상당수가 심각한 독성을 경험하기도 한다.[44] 따라서 신체적 치료와 더불어 심리사회적 지원 역시 매우 중요하며,[45]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를 위한 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36][46]

6. 1. 치료 방법

소아암 치료는 환자 개인의 상태, 암의 종류와 심각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이루어진다.[37] 일반적인 치료 방법에는 수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하는 방법,[38] 화학 요법,[39] 방사선 치료,[40] 그리고 면역 요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41]

최근 의학의 발전으로 소아암을 유발하는 유전적 요인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치료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소아암 분야에서 정밀 의학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연구 영역이다.[42]

화학 요법은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만, 부작용으로 인해 즉각적이거나 장기적인 치료 관련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43] 고위험 암 치료를 받는 어린이의 경우, 80% 이상이 치료 과정에서 생명을 위협하거나 심각한 독성을 경험할 수 있다.[44]

암 치료 과정에서는 신체적인 치료와 더불어 심리 사회적 돌봄 역시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심리학자나 정신과 의사와의 상담, 사회 복지사 연계, 또는 목회 상담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36] 환자뿐만 아니라 부모와 모든 간병인을 지원하는 가족 중심의 심리 사회적 돌봄 접근 방식도 활용될 수 있다.[46] 하지만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심리 사회적 지원 프로그램의 보급은 아직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45]

6. 2. 의료 전문 분야

소아암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치료사 및 기타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 구성된 다학제 팀이 필요하다. 소아암 치료를 담당하는 주요 의료 전문가는 다음과 같다.

  • 소아 종양 전문의: 소아암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이다.
  • 소아 혈액종양 전문의: 소아의 혈액 질환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이다.
  • 소아 외과 의사: 소아를 대상으로 수술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의사이다.
  • 청소년 및 젊은 성인 종양학(AYA): AYA는 13세에서 30세 사이의 환자를 대상으로 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암 예방, 진단 및 치료를 다루는 의학 분야이다. 연구에 따르면 소아암 생존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생존율은 정체 상태에 머물러 있다. 또한 AYA는 대학 문제, 생식 능력 및 고독감과 관련된 환자를 돕는다. 연구 결과, 소아 치료에 사용되는 동일한 프로토콜로 젊은 성인을 치료하는 것이 성인 중심 치료보다 더 효과적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치료 과정에는 방사선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정신과 및 내분비학 등 다양한 전문 분야의 협력이 이루어진다.

7. 예후

일반적으로 소아암 환자의 삶의 질은 진단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고형 종양 및 혈액 종양을 앓는 어린이에게서 이러한 개선이 두드러진다. 반면, 중추신경계 종양을 앓는 어린이는 시간이 지나도 삶의 질이 거의 또는 전혀 개선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55] 삶의 질은 치료 중과 치료 후에 모두 측정되지만, 다양한 측정 방법이 사용되어 결과 및 예측 인자에 대한 국제적인 비교를 어렵게 만드는 측면이 있었다.[56] 최근에는 소아암 생존자의 삶의 질 측정을 위한 최초의 국제 공동 합의문이 발표되기도 하였다.[57]

7. 1. 장기적인 영향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소아암 생존율은 크게 향상되었다. 1970년대 중반에는 5년 이상 생존하는 소아암 환자가 58%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85% 이상이 5년 이상 생존한다.[47] 그러나 이러한 생존율은 암의 종류, 발병 연령, 암의 위치, 병기, 유전적 요인 유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48] 또한 사회경제적 지위와 치료 과정에서의 자원 접근성도 생존율에 영향을 미친다.[48]

소아암 생존자의 생존 기간이 길어지면서, 암 치료와 관련된 장기적인 합병증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49] 소아암 생존자는 치료 후 수년이 지나서도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후유증을 경험할 수 있다.

=== 신경인지 기능 문제 ===

치료, 특히 뇌종양이나 중추신경계 전이가 있었던 경우, 또는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해 다양한 인지 또는 학습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16] 연구에 따르면 화학 요법과 방사선 요법은 뇌의 백질을 손상시키고 뇌 활동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인지 문제는 화학 요법 후 인지 장애(PCCI) 또는 흔히 "케모 브레인"이라고 불리며, 암 생존자들이 치료 후 겪는 사고력 및 기억력 문제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17] 케모 브레인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암 자체나 치료, 또는 이에 대한 정서적 반응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이러한 인지 장애는 치료 후 몇 년이 지나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소아암 생존자가 학교로 돌아갔을 때, 낮은 시험 점수, 기억력 및 주의력 저하, 행동 문제, 손과 눈의 협응력 부족, 발달 지연 등을 경험할 수 있다.[18] 따라서 암 치료 중 및 치료 후에 신경 심리학적 결손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19] 특히 뇌종양 환자는 치료 전부터 인지 장애를 겪을 수 있으며,[20] 방사선 요법은 인지 장애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21] 부모는 자녀의 인지 및 학습 장애가 학업에 영향을 미칠 경우, 학교에 특수교육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22]

=== 주요 장기 손상 ===

소아암 생존자는 심장, 신장, 등 주요 장기에 대한 부작용 위험을 안고 살아간다.

  • '''심장병''': 조기 심장병은 소아암 생존 성인에게 나타나는 주요 장기 합병증 중 하나이다.[51] 소아암 생존자는 일반인보다 심장병으로 사망할 확률이 8배 높으며, 암 치료를 받은 어린이의 최대 4분의 1이 심장 이상, 특히 좌심실 수축 기능 장애를 겪는 것으로 보고된다.[52] 이러한 이상은 증상이 없거나 임상적인 심장병 진단 기준에 미치지 못할 수도 있다.[51]
  • '''신장 손상''':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과 같은 특정 항암제나 방사선 요법은 신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53]
  • ''' 손상''': 간 부위에 방사선 요법을 받았거나, 체질량 지수(BMI)가 높거나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과 같은 다른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간 손상 위험이 증가한다.[54] 특정 치료법이나 간 수술 역시 간 부작용 위험을 높일 수 있다.[54]


=== 만기 합병증 ===

소아기에 방사선 요법이나 항암 화학 요법을 받으면, 치료 종료 시점에는 문제가 없더라도 성장 과정이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만기 합병증"이라고 한다.[89] 만기 합병증은 신체 여러 부분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영향 분야주요 합병증[89]
성장 및 발달저신장, 골격·근육·연부 조직 이상, 지능·인지 능력 발달 이상, 학습 장애, 심리적·사회적 성숙 이상
생식 기능사춘기 조발증, 사춘기 지연, 무월경, 불임, 자손에 대한 영향
중추신경계백질 뇌병증, 뇌전증
주요 장기 기능심장 기능 이상, 호흡 기능 이상, 간 기능 장애 (간염), 신장 기능 장애, 내분비 기능 장애, 소화기 기능 장애, 시력·청력 이상, 면역 기능 이상
이차 암 (속발 종양)백혈병, 뇌종양, 갑상선암, 기타 ·종양
기타비만, 마름, 당뇨병



=== 장기 추적 관찰 ===

이러한 장기적인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기 위해 소아암 생존자에 대한 지속적인 "장기 추적 관찰"이 필수적이다.[89] 소아, 청소년, 젊은 성인 암 생존자를 위한 장기 추적 관리 지침이 마련되어 있으며,[50] 이는 의료 전문가가 생존자에게 필요한 후속 진료와 적절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지침은 의료 전문가가 종양 전문의와 협력하여 각 환자에게 최적화된 후속 관리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준다.[50]

8. 역학

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염색체 질환 및 특정 체질적 증후군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5] 소아암은 연령, 성별, 민족 및 인종에 따라 발생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24] 소아암의 발생률은 영아기에 연간 100만 명당 약 240건으로 가장 높으며, 5세에서 9세 사이에는 100만 명당 128건으로 감소했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여 100만 명당 220건에 이른다. 대부분의 소아암에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약간 더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

역학은 특정 인구 집단에서 질병 발생 빈도의 분포와 결정 요인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 문제를 관리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학문이다.[58] 국제적으로 소아 암 발생률의 가장 큰 격차는 고소득 국가와 저소득 국가를 비교할 때 나타난다.[59] 이러한 차이는 암 진단 능력의 격차, 민족 또는 인종 집단 간의 암 발생 위험 차이, 그리고 위험 요소 노출 정도의 차이 등에서 비롯될 수 있다.[59] 예를 들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특정 감염성 질환(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 말라리아)과 관련된 버킷 림프종의 발생률이 높지만,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연관성이 뚜렷하지 않아 지역별 위험 요소의 차이를 보여준다.[59][60][61] 또한 거주 지역 역시 중요한 건강 결정 요인으로 작용하여 질병 발생 및 의료 서비스 접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영국에서는 소아암이 드물게 발생하여 매년 평균 1,800건 정도 진단되지만, 전체 암 관련 사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 미만이다.[70]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영국에서는 매년 약 230명의 어린이가 암으로 사망했으며, 뇌 및 중추신경계 암이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이었다.

8. 1. 대한민국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대한민국'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주로 소아암의 일반적인 종류와 증상, 미국의 소아암 통계, 일본의 소아암 특징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침에 따라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8. 2. 미국

미국에서 암은 1세에서 14세 사이 어린이의 사망 원인 중 의도하지 않은 부상 다음으로 두 번째로 흔하다.[62][63] 미국에서는 매년 어린이와 청소년 10만 명당 16명 이상이 암 진단을 받으며, 10만 명당 약 3명이 암으로 사망한다.[62] 2012년 미국에서는 0세에서 14세 사이 어린이에게서 약 12,000건의 새로운 암 사례가 발생하고 1,3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64] 암은 미국에서 20세 미만 남성의 두 번째, 여성의 네 번째 주요 사망 원인이다.

소아암 생존율은 치료법 개선과 공중 보건 정책의 영향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향상되었다. 진단 후 5년 생존율은 1990년대 77.8%에서 2000년대 82.7%, 2010년–2016년에는 85.4%로 증가했다.[65] 그러나 비히스패닉 백인 어린이는 다른 인종 및 민족 집단에 비해 생존 가능성이 더 높은 경향이 나타난다.

2014년 미국 암 학회 보고서에 따른 통계는 다음과 같다.

출생부터 14세까지[66]
성별발생률 (100만 명당)사망률 (100만 명당)관찰된 생존율 (%)
남성178.023.381.3
여성160.121.182.0



15세에서 19세까지[66]
성별발생률 (100만 명당)사망률 (100만 명당)관찰된 생존율 (%)
남성237.734.580.0
여성235.524.785.4



''참고: 발생률과 사망률은 100만 명당 수치이며, 2000년 미국 표준 인구를 기준으로 연령 조정됨. 관찰된 생존율은 2003년–2009년 자료 기준.''

8. 3.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제적으로 소아 암 발생률은 고소득 국가와 저소득 국가 간에 큰 차이를 보인다.[59] 이는 암 진단 능력의 차이, 서로 다른 민족 또는 인종 집단 간의 위험 차이, 그리고 위험 요소 노출의 차이에서 기인할 수 있다.[59] 예를 들어, 소아 버킷 림프종은 비호지킨 림프종의 한 형태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매년 10만 명당 6~7명의 어린이가 이 병에 걸린다. 이는 해당 지역의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과 말라리아 유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59][60][61] 반면, 선진국에서는 버킷 림프종과 이러한 감염성 질환과의 관련성이 뚜렷하지 않다.[59]

아프리카의 많은 어린이는 암 예방 또는 치료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적인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 살고 있다. 아프리카의 5세 미만 사망률(U5MR)은 출생아 1,000명당 109명으로, 이는 아프리카의 아동 건강 및 영양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67] 아프리카의 소아암 비율은 4.8%로 선진국보다 높게 나타나지만[68], 이는 단순히 암 발생률이 높다기보다는 열악한 의료 환경과 관련이 깊다. 암에 걸린 아이들은 선진국의 아이들에 비해 여러 면에서 불리한 상황에 놓여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암 관련 통계가 더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실제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5세 미만 어린이 사망의 주요 원인이 암보다는 말라리아, 콜레라와 같은 전염병이다.[69] 암을 앓는 어린이들조차 이러한 예방 가능한 감염병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아프리카 지역의 종양 등록은 전체 인구의 11%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망 등록 시스템 역시 미비하여 사망률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제한적인 자금과 정보 부족으로 인해 이 지역 소아암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9. 치료 후 삶의 질

소아암 생존율이 높아짐에 따라, 완치 후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도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암 진단 후 시간이 지나면서 삶의 질은 점차 개선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고형 종양이나 혈액 종양을 앓았던 어린이들에게서 이러한 개선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중추신경계 종양을 앓았던 어린이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도 삶의 질 개선이 거의 없거나 미미한 경우도 있다.[55]

치료 중은 물론 치료 후에도 삶의 질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측정 방법이 다양하여 국가 간 결과를 비교하거나 예측 인자를 명확히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56]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소아암 생존자의 삶의 질 측정을 위한 최초의 국제 공동 합의문이 발표되기도 했다.[57]

9. 1. 병원학교

소아암은 학령기에 발병하여 장기간 입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학업 지속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병원학교는 이러한 소아암 환자들이 학업을 계속 이어가고, 퇴원 후 학교 복귀나 사회 진출 시 겪을 어려움을 줄일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한다. 병원학교에서의 교육은 미래 준비뿐만 아니라, 단조롭고 고통스러울 수 있는 입원 생활에 즐거움을 더하고 치료 의욕을 유지·향상시키는 목적도 가진다. 많은 병원학교는 특수학교의 분교 형태로 설치되어 운영된다.

9. 2. 만기 합병증 관리

소아는 발육 과정 중에 있기 때문에 방사선 치료나 항암 화학 요법을 시행하는 경우, 암 치료가 종료된 시점에는 특별한 영향이 없어 보이더라도 이후 성장 과정이나 시간 경과에 따라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만기 합병증(만기 장애)이라고 부른다.[89] 이러한 만기 합병증에 대응하기 위해 암 치료 후에도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한데, 이를 장기 추적 관찰이라고 한다.[89]

주요 만기 합병증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89]

영향 영역구체적 합병증
성장 및 발달저신장, 골격·근육·연부 조직의 이상, 지능·인지 능력의 발달 이상, 학습 장애, 심리적·사회적 성숙의 이상
생식 기능사춘기 조발증, 사춘기 지연, 무월경, 불임, 자손에 대한 영향
중추 신경계백질 뇌병증, 뇌전증
장기 기능심장 기능 이상, 호흡 기능 이상, 간 기능 장애 (간염), 신장 기능 장애, 내분비 기능 장애, 소화기 기능 장애, 시력·청력 이상, 면역 기능 이상
이차 암(속발성 종양)백혈병, 뇌종양, 갑상선암, 기타 ·종양
기타 이상비만, 마름, 당뇨병


9. 3. 생식력 보존

방사선 치료나 화학 요법은 고환이나 난소와 같은 생식 기관 또는 생식 능력 발달과 관련된 뇌하수체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88] 따라서 환자가 미래에 결혼하거나 자녀를 갖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암 치료를 시작하기 전이나 치료 중에 생식 능력을 보존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도 한다.[90]

10. 연구 및 지원 단체

소아암 연구와 치료법 개발, 그리고 환자와 그 가족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단체들의 활동이 국내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단체들은 소아암 연구 기금을 마련하고, 환자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자원을 제공하며, 경제적 및 정서적 지원을 통해 소아암 극복 과정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의 노력은 소아암 생존율을 높이고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10. 1. 주요 단체

소아암 퇴치를 위해 활동하는 주요 단체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 암 연구나 지원 프로그램에 중점을 두는 단체로는 어린이 암 캐나다, 영 라이브스 vs 암, 어린이 암 및 백혈병 그룹(영국), 어린이 암 재단(뉴질랜드), 어린이 암 회복 재단(미국)[71], 미국 어린이 암 기구(미국)[72], 어린이 암 지원(호주) 및 하임 협회(이스라엘)[73] 등이 있다.

Alex's Lemonade Stand Foundation은 미국 전역의 사람들이 레모네이드 가판대를 열어 소아암 연구 기금을 모으는 활동을 지원한다.[74] 국립 소아암 재단은 소아암에 대해 독성이 적고 더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는 데 집중하며, 이를 위해 미국 내 24개 병원과 협력하고 있다.[75] 국제 어린이 암 재단은 세계에서 가장 큰 소아암 관련 재단으로, 환자 지원과 권리 옹호에 힘쓰며 소아암 조기 치료 접근성을 높이는 데 주력한다.[76]

소아암 분야 전문가들은 2020년까지 암 연구 및 치료에 연간 1.58억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는데, 이는 2010년 이후 27% 증가한 수치이다.[77] 이러한 재단을 돕는 방법은 다양하다. 수표 기부, 잔돈 모으기, 빵이나 레모네이드 판매 수익 기부, 상점이나 식당 구매 금액의 일부 기부, 유급 휴가 기증[78], 경매 참여, 자전거 타기 행사, 댄스 경연 대회 참여 등이 있다. 또한, 많은 주요 재단 웹사이트에는 직접 기부할 수 있는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재단들은 암 연구 발전뿐만 아니라, 질병으로 고통받는 어린이와 그 가족을 지원하는 역할도 한다. 암에 걸린 어린이 한 명에게 드는 총 예상 비용(의료비 및 부모의 임금 손실 포함)은 83.3만달러에 달한다.[79] 국립 어린이 암 협회나 백혈병 및 림프종 협회 같은 단체는 의료비, 가정 간호 비용, 보육비, 교통비 등 소아암 치료와 관련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재정 지원을 제공하기도 한다.

10. 2. 가족 지원

소아암 진단은 환아뿐 아니라 가족 전체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막대한 치료 비용과 간병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그리고 극심한 정서적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암에 걸린 한 아이를 돌보는 데 드는 총 예상 비용(의료비 및 부모의 임금 손실 포함)은 약 83.3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79] 이러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국립 어린이 암 협회(National Children's Cancer Society)나 백혈병 및 림프종 협회(Leukemia and Lymphoma Society)와 같은 단체들은 의료비, 가정 간호, 보육, 교통비 등 소아암 치료와 관련된 비용에 대한 재정 지원을 제공하기도 한다.

경제적 어려움 외에도 부모가 겪는 정서적 고통은 자녀의 치료 과정을 방해하고, 아픈 아이와 다른 형제자매를 돌보는 일, 나아가 가족 전체의 안정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정서적 지지 체계를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러 지원 단체에서는 부모와 가족이 힘든 과정을 헤쳐나갈 수 있도록 병원 내 지원 그룹이나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을 지원한다.[80]

특히 소아암 환자의 형제자매 역시 심리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세심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각 가족의 상황, 아이의 나이와 성별 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은 형제자매가 암이라는 상황과 관련된 복잡한 감정을 이해하고 건강하게 대처하도록 도울 수 있다.[81] 이러한 지원은 가족 구성원 간의 긍정적인 활동을 장려하고 정상적인 가족 기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며, 장기적으로 가족 전체의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81][82][83]

참조

[1] 웹사이트 EBSCO database http://www.mountsina[...]
[2] 논문 Long-term survival and cure fraction estimates for childhood cancer in Europe (EUROCARE-6): results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2022-12
[3] 논문 Late mortality among 5-year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4-01-25
[4] 논문 Toward the Cure of All Children With Cancer Through Collaborative Efforts: Pediatric Oncology As a Global Challenge 2015-09
[5] 논문 Cancer Incidence and Survival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United States SEER Program 1975-1995 http://dx.doi.org/10[...] 2022-09-17
[6] 논문 Childhood cancer: Estimating regional and global incidence https://eprints.whit[...] 2021-04
[7] 논문 Age definitions,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s in relation to reproductive issues 2000-01
[8] 웹사이트 Childhood Cancers: Basic Facts & Figures https://apps.health.[...] 2012-12-01
[9] 논문 Translocation (11;15;19): a highly specific chromosome rearrangement associated with poorly differentiated thymic carcinoma in young patients 2003-06
[10] 논문 Brain tumors in children 1994-12
[11] 웹사이트 Hodgkin's disease https://www.mayoclin[...]
[12] 웹사이트 Non-Hodgkin's lymphoma https://www.mayoclin[...]
[13] 서적 StatPearls [Internet].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09-26
[14] 웹사이트 Wilms tumor: MedlinePlus Genetics https://medlineplus.[...] 2023-09-20
[15] 논문 Childhood cancer predisposition: applications of molecular testing and future implications 1998-03
[16] 웹사이트 Children Diagnosed With Cancer: Returning to School http://www.cancer.or[...] 2012-12-18
[17] 웹사이트 Chemo Brain https://www.mayocli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19-03-19
[18] 웹사이트 Late Effects of Childhood Cancer Treatment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Inc 2019-03-19
[19] 논문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Neuropsychological Outcomes as a Standard of Care in Pediatric Oncology 2015-12
[20] 논문 Pretreatment Cognition in Patients Diagnosed With Pediatric Brain Tumors 2018-02
[21] 논문 Mechanisms of radiotherapy-associated cognitive disability in patients with brain tumours 2017-01
[22] 웹사이트 Learning Problem After Treatment https://www.children[...] The Children's Oncology Group 2019-03-19
[23] 웹사이트 Risk factor https://www.cancer.g[...]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4] 논문 Dose reconstruction for therapeutic and diagnostic radiation exposures: use in epidemiological studies 2006-07
[25] 논문 Acute myeloid leukemia in children treated with epipodophyllotoxins for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1991-12
[26] 논문 Concise handbook of familial cancer susceptibility syndromes - second edition 2008-06-01
[27] 서적 Children's Health and the Environm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8] 서적 Children's Health and the Environment, a WHO Training Package for the Health Sector World Health Organization
[29] 서적 Children's Health and the Environm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30] 논문 Parental age and risk of childhood cancer: a pooled analysis 2009-07
[31] 웹사이트 Radiology Safety - What can I do? http://www.imagegent[...] Alliance for Radiation Safety in Pediatric Imaging 2016-02-08
[32] 논문 An appeal for safe and appropriate imaging of children 2014-09
[33] 논문 Epidemiology of childhood cancer 2010-06
[34] 웹사이트 The most common malignancies in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s://www.uptodate[...] National Cancer Institute, DCCPS, Surveillance Research Program 2019-04
[35] 웹사이트 Childhood Cancer overview http://www.cancer.ne[...] 2013-01-01
[36] 웹사이트 Who Treats Children with Cancer? https://www.cancer.o[...] 2022-09-12
[37] 웹사이트 Treating Childhood Cancer https://www.cancer.g[...]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5-05-13
[38] 웹사이트 Cancer Surgery https://www.cancer.o[...]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39] 웹사이트 Chemotherapy https://www.cancer.o[...]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40] 웹사이트 Radiation Therapy https://www.cancer.o[...]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41] 웹사이트 How Immunotherapy Is Used to Treat Cancer https://www.cancer.o[...]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42] 논문 The genomic landscape of pediatric cancers: Implication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2019-03
[43] 논문 Immune-Based Approaches for the Treatment of Pediatric Malignancies 2020-03
[44] 논문 Improving the outcome for children with cancer: Development of targeted new agents 2015
[45] 논문 Advances in pediatric psychooncology 2020-02
[46] 논문 Standards of Psychosocial Care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2015-12
[47] 웹사이트 Key Statistics for Childhood Cancers https://www.cancer.o[...] 2022-09-18
[48] 논문 Childhood cancer: Survival, treatment modalities, late effects and improvements over time https://boris.unibe.[...] 2021-04
[49] 논문 The cumulative burden of surviving childhood cancer: an initial report from the St Jude Lifetime Cohort Study (SJLIFE) 2017-12
[50] 논문 Long-term Follow-up Care for Childhood, Adolescent, and Young Adult Cancer Survivors 2021-09
[51] 논문 Cardiovascular disease in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2015-01
[52] 논문 Automated Global Longitudinal Strain Assessment in Long-Term Survivors of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2022-03-15
[53] 논문 Early and late adverse renal effects after potentially nephrotoxic treatment for childhood cancer 2019-03
[54] 논문 Hepatic late adverse effects after antineoplastic treatment for childhood cancer 2019-04
[55] 논문 The cours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the diagnosis of childhood cancer: a national cohort study 2023-09
[56]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uring treatment for cancer 2023-12
[57] 논문 A joint international consensus statement for measuring quality of survival for patients with childhood cancer 2023-06
[58] 서적 Essentials of Epidemiology in Public Health Jones & Bartlett Learning 2020
[59] 서적 Children's Health and the Environment https://www.who.int/[...]
[60] 웹사이트 Viral Cancers: Epstein-Barr viru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Initiative for Vaccine Research 2013-01-28
[61] 논문 The company malaria keeps: how co-infection with Epstein-Barr virus leads to endemic Burkitt lymphoma 2011-10
[62] 웹사이트 Cancer in Children https://www.cdc.gov/[...] 2017-09-09
[63] 웹사이트 WISQARS Leading Causes of Death Reports https://wisqars.cdc.[...] 2022-12-12
[64] 웹사이트 Cancer Facts & Figures http://www.cancer.or[...] 2011
[65] 서적 Childhood Cancer and Functional Impacts Across the Care Continuum https://www.ncbi.nlm[...] National Academies Press (US) 2020-12-09
[66] 논문 Childhood and adolescent cancer statistics, 2014 2014-03
[67] 논문 Paediatric cancer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2013-03
[68] 논문 Paediatric cancer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2013-03
[69] 보고서 Committing to childhood survival: A promise renewed. Progress Report http://www.unicef.or[...] 2022-12-12
[70] 웹사이트 Childhood cancer statistics http://www.cancerres[...] 2014-10-27
[71] 웹사이트 Children's Cancer Recovery Foundation http://childrenscanc[...] 2018-05-04
[72] 웹사이트 Homepage http://www.acco.org/
[73] 웹사이트 Hayim Association http://www.hayim.org[...] 2016-03-31
[74] 웹사이트 About ALSF https://www.alexslem[...] 2018-05-02
[75] 웹사이트 About NPCF https://nationalpcf.[...] 2018-05-02
[76] 웹사이트 Who We Are http://childhoodcanc[...] 2018-05-02
[77] 웹사이트 Cancer costs projected to reach at least $158 billion in 2020 https://www.nih.gov/[...]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8-05-02
[78] 웹사이트 Fundraising Ideas https://curechildhoo[...] 2018-05-02
[79] 간행물 NIEHS/EPA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Research Centers Impact Report: Protecting children's health where they live, learn, and play https://www.epa.gov/[...]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7
[80] 웹사이트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https://www.acco.org[...] 2018-05-02
[81] 논문 Siblings Dealing with Pediatric Cancer: A Family- and Context-oriented Approach https://biblio.ugent[...] 2021-05
[82] 논문 Support for families at home during childhood cancer treatment: a pilot study with Mr.V the Spaceman, a family-based activities tool 2021-08
[83] 논문 Family Adjustment When Facing Pediatric Cancer: The Role of Parental Psychological Flexibility, Dyadic Coping, and Network Support 2019
[84] 웹사이트 Exemption Requirements - 501(c)(3) Organizations https://www.irs.gov/[...] 2018-05-02
[8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ildhood Cancer Day http://www.education[...] 2012-12-01
[86] 웹사이트 February 15th is International Childhood Cancer Awareness Day!!! http://www.childrenw[...] 2012-12-01
[87] 웹사이트 小児がんとは:[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小児がん情報サービス] https://ganjoho.jp/c[...] 2018-03-21
[88] 웹사이트 子供とがん あなたのお子様の妊孕性と健康な思春期を守ること http://oncofertility[...] 2018-03-21
[89] 웹사이트 長期フォローアップと晩期合併症:[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小児がん情報サービス] https://ganjoho.jp/c[...] 2018-03-21
[90] 웹사이트 がんと診断されたお子様のための妊孕性温存療法 http://oncofertility[...] 2018-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