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리랑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리랑카군은 2,000년 이상의 군사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현대 스리랑카군의 기원은 식민지 시대에 지역 민병대를 설립한 데서 시작되었다. 스리랑카는 1948년 독립 이후 1949년 육군, 1950년 해군, 1951년 공군을 창설하며 정규군을 갖추었다. 1980년대 초부터 타밀족 민병 조직과의 전투를 시작으로 스리랑카 내전이 발발했고, 2009년 내전 종식 이후 군은 다양한 비군사적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스리랑카군은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특수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리랑카군 | |
|---|---|
| 개요 | |
| 국가 | 스리랑카 |
| 명칭 | 스리랑카군 |
| 조직 | |
| 구성군 | 스리랑카 육군 스리랑카 해군 스리랑카 공군 |
| 본부 | 콜롬보 |
| 지휘부 | |
| 최고 사령관 | 아누라 쿠마라 디사나야케(대통령) |
| 국방부 장관 | 아누라 쿠마라 디사나야케(대통령) |
| 국방부 차관 | 에어 바이스 마샬 삼파스 투야콘타 (Retd) |
| 국방 참모 총장 | 제너럴 샤벤드라 실바 |
| 병력 | |
| 징집 연령 | 18세 |
| 징병제 | 없음 |
| 가용 인력 (2010년 추정) | 총 가용 인력: 5,342,147명 여성 가용 인력: 5,466,409명 |
| 복무 적합 인력 | 총 복무 적합 인력: 4,177,432명 여성 복무 적합 인력: 4,574,833명 |
| 연간 징집 가능 인력 | 총 연간 징집 가능 인력: 167,026명 여성 연간 징집 가능 인력: 162,587명 |
| 현역 | 346,000명 |
| 예비군 | 90,000명 |
| 해외 파병 | 18,000명 (UN 평화 유지군) |
| 예산 | |
| 군사 예산 (2023년) | US$ 14억 5천만 달러 |
| GDP 대비 군사비 (2020년) | 1.93% |
| 군수 산업 | |
| 국내 공급 업체 | SLEME 콜롬보 조선소 |
| 해외 공급 업체 | |
| 수출 대상국 | 인도 몰디브 나이지리아 |
| 역사 | |
| 주요 참전 | 보어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콩고 위기 제1차 JVP 반란 제2차 JVP 반란 스리랑카 내전 제1차 엘람 전쟁 제2차 엘람 전쟁 제3차 엘람 전쟁 제4차 엘람 전쟁 |
| 계급 | |
| 군 계급 | 육군 해군 공군 |
2. 역사
스리랑카는 2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는 군사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현대 스리랑카군의 뿌리는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이 지역 왕국과의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 민병대를 설립한 식민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은 캔디 전쟁 동안 실론 소총 연대를 만들었는데, 비록 원주민들이 포함되었지만 주로 말레이인들로 구성되었다. 이 연대는 1873년에 해체되었다.[82]
1881년, 영국은 실론 경보병 자원봉사자라는 이름의 자원봉사 예비군을 만들었다. 외부 위협이 있을 때 실론에 있는 영국 수비대를 보충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 부대는 점차 규모가 커졌다. 1910년에는 실론 국방군(CDF)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여러 연대로 구성되었다. CDF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연합군과 함께 배치되었을 때 국내 방어에 동원되었다. 전쟁이 끝날 때, CDF는 독립적인 여단의 규모로 성장했지만, 1946년에 해산되었고 1949년에 해체되었다. 1937년에 실론 해군 자원봉사대가 설립되었고(나중에 실론 왕립 해군 자원봉사 예비군 (CRNVR)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39년에 전쟁에 동원되어 영국 왕립 해군에 통합되었다.[82]
1948년 영국이 독립을 인정하면서 실론 자치령이 수립된 이후 정규군을 설립하기 위한 작업이 시작되었다. 1949년 육군법 제17호는 1949년 4월 11일 의회에서 통과되었고, 1949년 10월 10일 관보 특설 제10028호로 공식화되었다. 이것은 실론 육군의 창설을 기념했고, CDF와 CRNVR은 정규 해군을 위한 길을 열기 위해 해체되었다. 1950년 12월 9일 실론 왕립 해군(RCyN)이 설립되었다. 마침내 1951년 실론 왕립 공군(RCyAF)이 세 군대 중 가장 어린 군대로 설립되었다. 처음부터 영국은 실론 정부가 군대를 개발하는 것을 돕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82]
실론군은 이웃 인도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영국과 방위 조약을 맺었기 때문에 외국의 위협 부족 때문에 성장이 느렸다. 1950년대에 주로 경찰을 지원하는 내부 보안에 고용되었다. 1962년에 예비군 그룹에 의한 쿠데타 시도가 있었고, 이것은 군비 지출 삭감과 여러 연대의 해체로 이어졌다. 정보 기관의 부족과 함께 1971년 4월 마르크스주의 JVP에 의해 시작된 반란에 대한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게 만들었다.[82]
1971년 JVP 반란으로 스리랑카군(당시 실론군)은 처음으로 전투 작전에 동원되었으며, 그 규모는 빠르게 증가했다. 이 반란은 몇 달 만에 진압되었다.[5]
1972년, 실론은 스리랑카 공화국이 되면서 실론 육군은 스리랑카 육군, 실론 왕립 해군은 스리랑카 해군, 실론 왕립 공군은 스리랑카 공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이들을 통칭하여 스리랑카군으로 부르게 되었다.
1980년대 초부터 스리랑카군은 북부의 타밀족 민병 조직과의 전투에 투입되기 시작했다. 이는 26년간 이어진 스리랑카 내전의 시작이었다. 군대는 급속도로 성장했지만, 내전은 1980년대 중반 타밀엘람 해방의 호랑이(LTTE)와의 정규전에 가까운 양상으로 전개되었다(제1차 이람 전쟁). 인도 개입으로 인도 평화유지군(IPKF)이 파병되어 평화 유지를 시도했다.
1987년에는 남부에서 JVP가 다시 무장 봉기를 일으켜 1989년까지 진압 작전이 수행되었다. 북부에서는 LTTE와 IPKF 간의 교전이 발생했고, 1990년 IPKF 철수 후 스리랑카군은 다시 LTTE와 교전 상태에 돌입했다(제2차 이람 전쟁). 1994년 평화 협상을 위한 휴전이 성립되었으나 LTTE의 공격으로 단기간에 무너졌다. 이후 2002년까지 이어진 전투(제3차 이람 전쟁)에서는 북부와 동부에서의 정규전 외에도 스리랑카 전역에서 테러 공격이 발생했다.
2002년 노르웨이 중재로 휴전이 성립되어 평화 협상이 시작되었지만, 결국 실패로 끝났다. 2006년 7월 전투가 재개되었고(제4차 이람 전쟁), 중국과 파키스탄의 군사 원조를 받은[76] 스리랑카군은 LTTE에서 분리된 카르나파와 협력하여 동부 지역에서 공세를 펼쳐 2007년 7월 LTTE 세력을 몰아냈다. 2008년부터 북부 공세를 강화하여 12월에는 모든 전선에서 공세를 펼쳤다. 2009년 초 LTTE 본거지 킬리노치를 함락하고, 북동부 무라이티푸 주변으로 LTTE를 몰아붙여, 5월 19일 LTTE를 제압했다.[77] 내전 종식 후, 국방부는 일시적으로 국방·도시개발부로 개칭되었고, 남은 인력은 도로, 다리 등 인프라 정비에 투입되었다.[78]
2. 1. 식민지 시대 이전

스리랑카는 2000년 이상의 군사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현대 스리랑카 군대의 기원은 16세기 이후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 등 식민지 시대에 각국이 현지 왕국들과의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한 현지 민병대들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은 캔디 전쟁 중에 실론 소총 연대를 창설했는데, 이 연대는 현지인들을 포함했지만 대부분 말레이계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1873년에 이 연대는 해산되었다.[5]
2. 2. 식민지 시대
현대 스리랑카군의 뿌리는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이 지역 왕국과의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 민병대를 설립한 식민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82] 영국은 캔디 전쟁 동안 실론 소총 연대를 만들었다. 비록 이 연대의 계급에 원주민들이 있었지만, 주로 말레이인들로 구성되었다. 1873년에 해체되었다.[82]
1881년, 영국은 세일론 경보병 자원군을 창설했다. 이 부대는 외부 위협 발생 시 세일론 주둔 영국군을 보충하기 위해 창설되었으며 점차 규모가 커졌다. 1910년에는 세일론 방위군(CDF)으로 개칭되었고 여러 연대를 포함하게 되었다. CDF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국토 방위를 위해 동원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연합군과 함께 배치되었다. 1937년에는 세일론 해군 자원군(이후 세일론 왕립 해군 자원 준비대로 개칭됨)이 창설되었고, 1939년 전쟁에 동원되어 영국 해군에 편입되었다.[5]
2. 3. 실론 자치령 시대
1948년 영국이 독립을 승인하면서 실론 자치령이 수립된 후, 정규군 창설 작업이 시작되었다. 1949년 4월 11일 의회에서 1949년 제17호 군대법이 통과되었고, 1949년 10월 10일 특별 관보 제10028호에 공식화되었다. 이는 실론 육군의 창설을 의미했으며, 정규 해군을 위한 길을 만들기 위해 실론 국방군(CDF)와 실론 왕립 해군 자원 예비대(CRNVR)가 해산되었다. 1950년 12월 9일 실론 왕립 해군(RCyN)이 창설되었다. 마지막으로 1951년 세 군 중 가장 늦게 실론 왕립 공군(RCyAF)이 창설되었다. 처음부터 영국은 실론 정부가 군대를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82][5]

실론군은 이웃 인도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고 영국과 방위 조약을 맺었기 때문에 외국의 위협이 없어 성장이 느렸다. 1950년대에는 주로 경찰을 지원하는 치안 유지에 투입되었다. 1962년 예비군 일부의 쿠데타 시도가 있었고, 이로 인해 군사비가 삭감되고 여러 연대가 해산되었다. 이와 함께 정보 기관의 부재로 1971년 4월 마르크스주의 JVP가 시작한 반란에 대비하지 못했다.[82][5]
2. 4. 제1차 JVP 반란
1971년 JVP 반란으로 스리랑카군(당시 실론군)은 처음으로 전투 작전에 동원되었으며, 그 규모가 빠르게 증가했다. 이 반란은 몇 달 만에 진압되었다.[5]2. 5. 스리랑카 공화국 시대
1972년, 실론은 스리랑카 공화국이 되면서 실론 육군은 스리랑카 육군, 실론 왕립 해군은 스리랑카 해군, 실론 왕립 공군은 스리랑카 공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이들을 통칭하여 스리랑카군으로 부르게 되었다.[83][6]독립 이후 스리랑카는 이웃 국가인 인도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영국과 방위 조약을 맺어 외부 위협이 적었기 때문에 군사력 성장이 더뎠다. 1950년대에는 주로 경찰을 지원하는 내부 치안 유지 활동에 주력했다. 1962년에는 예비군 그룹에 의한 쿠데타 시도가 있었고, 이로 인해 군비 지출이 삭감되고 여러 연대가 해체되었다.
1971년 마르크스주의를 표방하는 스리랑카 인민해방전선(JVP)의 무장 봉기로 스리랑카군이 처음으로 전투에 투입되었다. 반란은 몇 달 만에 진압되었지만, 이후 군대는 성장을 가속화했다.
1980년대 초부터 스리랑카군은 북부의 타밀족 민병 조직과의 전투에 투입되기 시작했다. 이는 26년간 이어진 스리랑카 내전의 시작이었다. 1980년대에 군대는 급속도로 성장했지만, 내전은 1980년대 중반 타밀엘람 해방의 호랑이(LTTE)와의 정규전에 가까운 양상으로 전개되었다(제1차 이람 전쟁). 인도 개입으로 인도 평화유지군(IPKF)이 파병되어 평화 유지를 시도했다.
1987년에는 남부에서 JVP가 다시 무장 봉기를 일으켜 1989년까지 진압 작전이 수행되었다. 북부에서는 LTTE와 IPKF 간의 교전이 발생했고, 1990년 IPKF 철수 후 스리랑카군은 다시 LTTE와 교전 상태에 돌입했다(제2차 이람 전쟁). 1994년 평화 협상을 위한 휴전이 성립되었으나 LTTE의 공격으로 단기간에 무너졌다. 이후 2002년까지 이어진 전투(제3차 이람 전쟁)에서는 북부와 동부에서의 정규전 외에도 스리랑카 전역에서 테러 공격이 발생했다.
2002년 노르웨이 중재로 휴전이 성립되어 평화 협상이 시작되었지만, 결국 실패로 끝났다. 2006년 7월 전투가 재개되었고(제4차 이람 전쟁), 중국과 파키스탄의 군사 원조를 받은[76] 스리랑카군은 LTTE에서 분리된 카르나파와 협력하여 동부 지역에서 공세를 펼쳐 2007년 7월 LTTE 세력을 몰아냈다. 2008년부터 북부 공세를 강화하여 12월에는 모든 전선에서 공세를 펼쳤다. 2009년 초 LTTE 본거지 킬리노치를 함락하고, 북동부 무라이티푸 주변으로 LTTE를 몰아붙여, 5월 19일 LTTE를 제압했다.[77] 내전 종식 후, 국방부는 일시적으로 국방·도시개발부로 개칭되었고, 남은 인력은 도로, 다리 등 인프라 정비에 투입되었다.[78]
2. 6. 스리랑카 내전과 제2차 JVP 반란
1980년대 초, 스리랑카 군대는 섬 북부의 타밀 무장 단체의 반란에 맞서 동원되었으며, 이는 스리랑카 내전의 시작이었다. 1980년대 중반, 스리랑카 군대는 당시 가장 강력한 타밀 무장 단체였고 스리랑카에 의해 테러 단체로 규정된 타밀엘람해방호랑이(LTTE)에 대해 재래전과 같은 작전을 시작했다.[7]이로 인해 인도는 식량 공수를 위해 스리랑카 영공에 진입하여 개입하게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인도-스리랑카 협정이 체결되었고, 인도 평화유지군(IPKF)이 평화를 수립하기 위해 스리랑카에 파병되었다.
군대는 기지로 재배치되었지만, 곧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섬 남부에서 JVP에 의한 또 다른 반란(1987~89년 JVP 반란)에 개입하게 되었다. 북부에서는 LTTE와 IPKF 간의 긴장이 고조되어 두 세력 모두 큰 사상자를 낸 전면전으로 이어졌다. 1990년 IPKF가 철수하고 스리랑카 군대와 LTTE 간의 전쟁이 시작되었다.
1994년, 짧은 휴전이 이루어지고 평화 협상이 시작되었으나, LTTE가 SLN 군함 두 척을 공격하면서 휴전은 종식되었다. 그 후의 전쟁 단계는 엘람 전쟁 3차로 알려져 있으며, 섬의 북부와 동부 주에서 재래식 전쟁이 벌어졌고, 여러 차례의 대규모 자살 폭탄 테러를 포함한 다른 지역에서 LTTE의 공격이 있었다.
2002년, 노르웨이의 중재로 새로운 휴전 협정(CFA)이 체결되었고 평화 협상이 시작되었다. 스리랑카 감시단(SLMM)은 휴전을 감시하기 위해 설립되었고, LTTE가 2003년 평화 협상에서 철수할 때까지 일정한 진전이 있었다. 휴전은 계속되었지만 2005년까지 평화 협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06년, 스리랑카 감시단(SLMM)은 휴전 체결 이후 LTTE가 CFA를 3,471번, 스리랑카 보안군이 162번 위반했다고 보고했다.[7]
2006년 4월, 육군 사령관에 대한 자살 폭탄 테러 이후 공습이 시작되었고, 이어서 작은 충돌이 있었지만, 정부와 LTTE 모두 휴전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LTTE가 7월 21일 마빌 아루 저수지의 수문을 닫고 정부 통제 지역의 15,000개 마을에 대한 물 공급을 차단하자 군대의 공세가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동부 주와 북부에서 LTTE의 여러 차례의 대규모 공격이 발생했다. 군대는 공세를 펼쳐 2007년 동부 주에서 LTTE가 장악한 지역을 성공적으로 탈환했다.
2008년 1월 3일 정부는 노르웨이에 휴전을 종식시키기로 한 결정을 통보했으며, 수도에서 여러 차례의 폭탄 테러가 있은 후 2008년 1월 16일에 공식적으로 휴전이 종식되었다. SLMM의 작전도 함께 종료되었다.[11]
2008년에는 스리랑카 군대가 대규모 공세를 펼쳐 만나르 지구, 바부니야 지구의 LTTE 장악 지역을 탈환하고 물라이티부 지구와 킬리노치 지구로 진격한 북부 주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2008년 12월 스리랑카 군대는 모든 전선에서 공세를 펼쳤으며, 킬리노치(LTTE의 본부가 있던 곳)와 물라이티부 근처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2009년 초 군대는 킬리노치와 전략적으로 중요한 코끼리 통로를 잇달아 탈환했다. 따라서 1995년 탈환 이후 10년 이상 해상 및 공중으로 보급되었던 정부 통제 지역인 자프나 반도로 육로를 확보했다. 그 직후 SLA의 59사단이 물라이티부를 탈환했다. 물라이티부 북쪽의 작은 지역에 갇힌 LTTE는 나머지 대원과 지도부와 함께 효과적으로 포위되었고, 2009년 5월까지 이 지역은 점차 축소되었다.
2009년 5월 19일 스리랑카 군대는 도주하려던 LTTE 수장 벨루필라이 프라바카란을 포함한 여러 LTTE 지도자의 사망과 함께 LTTE에 대한 최종 전투에서 승리했다.[12]
2009년 5월 22일 스리랑카 국방부 장관 고타바야 라자팍사는 2006년 7월 이후 엘람 전쟁 4차 동안 스리랑카 군대 6,261명이 사망하고 29,551명이 부상했다고 확인했다.[13]
군대와 LTTE는 전쟁 중, 특히 말기에 전쟁 범죄를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 반기문 UN 사무총장이 임명한 전문가 패널은 내전 말기의 추정 국제 인권 및 인도법 위반과 관련하여 책임 문제에 대해 자문을 구하기 위해 임명되었으며, "신빙성 있는 주장"을 발견했다. 이는 만약 입증된다면, 스리랑카 군대와 LTTE가 전쟁 범죄와 반인도 범죄를 저질렀음을 나타내며, 전쟁 말기 민간인 사상자의 대부분은 스리랑카 군대의 무차별 포격 때문이며, LTTE는 민간인을 인간 방패로 사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14][15][16]
2. 7. 내전 이후
1980년대 초부터 스리랑카군은 북부의 타밀족 민병 조직과의 전투에 투입되기 시작했다. 이것은 26년에 걸친 스리랑카 내전의 시작이었다. 1980년대 중반, 내전은 주요 세력인 타밀엘람 해방의 호랑이(LTTE)와의 정규전에 가까운 상태로 발전했다(제1차 이람 전쟁). 이웃 국가 인도의 개입으로 평화 협상이 진행되었고, 평화 유지를 위해 인도 평화유지군(IPKF)이 파병되었다.1987년에는 남부에서 스리랑카 인민해방전선(JVP)이 다시 무장 봉기를 일으켜, 스리랑카군은 1989년까지 진압 작전에 투입되었다. 북부에서는 LTTE와 IPKF가 교전 상태에 들어갔고, 1990년에 IPKF가 철수하자 스리랑카군은 다시 LTTE와 교전 상태에 들어갔다(제2차 이람 전쟁). 1994년 평화 협상을 위한 휴전이 성립되었지만, LTTE의 공격으로 단기간에 무너졌다. 이후 2002년까지 계속된 전투(제3차 이람 전쟁)에서는 북부와 동부에서의 정규전 외에도 스리랑카 전역에서 테러 공격이 발생했다.
2002년 노르웨이의 중재로 휴전이 성립되어 평화 협상이 시작되었으나,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2006년 7월, 전투가 재개되었고(제4차 이람 전쟁), 중국과 파키스탄으로부터 군사 원조를 받은 스리랑카군[76]은 LTTE에서 분리된 민병 조직 카르나파와 협력하여 동부 지역에서 공세에 성공, 2007년 7월에는 이 지역의 LTTE 세력을 몰아냈다. 2008년 스리랑카군은 북부에서도 공세를 강화하여 12월에는 모든 전선에서 공세에 나섰다. 2009년 초에는 LTTE의 본거지 킬리노치를 함락하고, 북동부 무라이티푸 주변으로 LTTE를 몰아붙여, 결국 같은 해 5월 19일 LTTE를 제압했다.[77] 내전 종식 후, 국방부는 일시적으로 국방·도시개발부로 개칭되었고, 남은 인력이 도로와 다리 등 인프라 정비에도 투입되었다.[78]
3. 구성
스리랑카군은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된 삼군 체제이며, 이 외에도 국방부 산하에 여러 준군사조직이 있다.
- 육군: 1949년 실론 왕립군으로 창설되었으며, 1972년 스리랑카 공화국이 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약 203,000명의 정규군 및 예비군으로 구성되어 육상 작전과 인도주의적 임무를 수행한다.
- 해군: 1950년 실론 왕립 해군으로 창설되었으며, 1972년 스리랑카 해군으로 개칭되었다. 약 48,0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해상 작전을 수행하며, 스리랑카 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 공군: 1951년 실론 왕립 공군으로 창설되었으며, 영국 공군의 지원을 받았다. 약 28,7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리랑카 내전에서 지상군 지원 및 공습 임무를 수행했다.
스리랑카군은 1881년 창설된 실론 경보병 자원군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1910년 세일론 방위군(CDF)으로 확대되었다. CDF는 제1,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1949년 해체되었다. 1937년에는 세일론 해군 자원군이 창설되어 영국 해군에 편입되었다.
1948년 독립 이후, 1949년 육군법에 따라 실론 육군이 창설되었고, 1950년에는 실론 왕립 해군, 1951년에는 실론 왕립 공군이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영국의 지원을 받았으나, 1971년 JVP 반란을 겪으면서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72년 스리랑카 공화국 수립과 함께 군의 명칭이 변경되었고, 1980년대부터 스리랑카 내전에 본격적으로 개입하면서 군사력이 급격히 증강되었다. 특히 타밀엘람해방호랑이(LTTE)와의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2009년 내전 종식 이후에도 평화 유지 활동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조직 | 현역 |
|---|---|
이 외에도 국방부 산하에는 스리랑카 경찰 특수임무부대(Special Task Force)와 스리랑카 민방위대(Sri Lanka Civil Defence Force)가 있으며, 법무부 산하에는 스리랑카 교도소 비상대응 및 전술부대(Sri Lanka Prisons Emergency Action and Tactical Force)가 있다.
3. 1. 육군

스리랑카 육군은 스리랑카의 세 군 중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군대이다. 1949년 로열 실론 육군으로 창설되었으며, 1972년 스리랑카가 공화국이 되면서 이름이 바뀌었다. 약 25만 명의 정규군과 예비군(9만 명의 국가경비대원 포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육상 군사 작전과 인도주의적 작전을 감독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현재 육군은 12개 사단을 배치하고 있으며, 전투 작전을 수행하면서 4개 사단을 더 편성하고 있다. 2004년 이후 스리랑카 육군은 국제연합 평화유지 작전에 약 1,000명의 병력과 지원 부대를 파병하고 있다.
스리랑카 육군은 17만 7천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다.[74] 육군의 주요 임무는 국방과 치안 유지이며, 2009년까지 지속된 스리랑카 내전에서 타밀엘람해방호랑이(LTTE) 소탕 작전에도 투입되었다. 보유 무기는 창설 당시에는 구 종주국인 영국제가 많았지만, 이후 소비에트 연방(러시아)제 T-55와 BMP-3 등으로 교체되었고, 최근에는 중국제가 증가하고 있다.[79]
콩고 내전, 1971년 스리랑카 인민해방전선 반란, 1987년-1989년 스리랑카 인민해방전선 반란, 그리고 그 이후의 스리랑카 내전에 참전하여 풍부한 전투 경험을 가지고 있다. 국제연합의 평화유지활동 참여도 매우 적극적이며, 2004년에는 아이티에서 평화유지활동에 파병했다.
3. 2. 해군

약 4만 8천 명의 인원으로 구성된 스리랑카 해군은 스리랑카 군대의 핵심 해양 부대이며, 스리랑카에서 가장 중요한 방위군으로 분류된다. 스리랑카 국가와 그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해상에서 해상 작전을 수행한다. 전문적인 해군 수장은 콜롬보에 있는 해군 본부로부터 그의 지휘권을 행사하는 해군 사령관이다. 1950년 로열 실론 해군으로 설립되었으며 1972년 스리랑카 해군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스리랑카 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심해, 연안 및 연안 순찰, 상륙 및 보급 작전을 수행했다. 해군은 정예 해군 특수부대 부대인 특수정 부대와 해병대를 보유하고 있다. 스리랑카 해군은 스카냐급 순찰함을 포함한 182척의 함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잠수함이나 대잠초계기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74]
3. 3. 공군

스리랑카 공군(Sri Lanka Air Force)은 약 28,70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리랑카 삼군 중 가장 최근에 설립된 공중 방어 부대이다. 1951년 왕립 실론 공군(Royal Ceylon Air Force)으로 창설되었으며, 초기 장비, 훈련 및 지휘는 영국 왕립 공군(British Royal Air Force)에 의존했다. 스리랑카 공군은 타밀 분리주의자들과의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스리랑카가 작은 섬나라임에도 불구하고, 공군은 매우 유능하고 효율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최근에는 지상군에 대한 공중 지원, 병력 수송, 북부 및 동부 주의 반군 점령 지역에 대한 공습을 주로 수행하는 부대로 확장되었다.[74]
4. 준군사조직
스리랑카에는 국방부 지휘 아래 공식적으로 두 개의 준군사조직이 있으며, 사법부 장관 소속으로 한 개의 조직이 더 있다.
5. 특수 부대
다음 부대들은 특수 작전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지휘 체계
국가원수인 스리랑카 대통령은 명목상 스리랑카 군 최고 사령관이다. 대통령이 의장인 스리랑카 국가안보회의는 국가 방위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 1978년 이후 대부분 스리랑카 국방부가 최고 군사 본부였으며, 몇몇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대통령이 국방부 장관직을 맡았다. 이 기간 동안 국방부와 군은 국무장관, 국방부 차관, 그리고 최근에는 국방부 상임차관에 의해 통제되었다. 1978년 이전에는 스리랑카 총리가 국방 및 외교부 장관직을 맡았으며, 국방 및 외교부 의회 비서관의 지원을 받았다.[1]
국방부는 군의 관리를 담당하며, 합동 작전 계획 및 실행은 합동 작전 사령부(JOC)의 책임이다. JOC는 군 최고위 장교인 스리랑카 합참의장이 이끌고 있으며, 합참의장은 육군 대장, 해군 제독, 또는 공군 원수가 될 수 있다. 세 군은 각각 스리랑카 육군 사령관, 스리랑카 해군 사령관, 스리랑카 공군 사령관 등 자체적인 전문 지휘관을 두고 있으며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1]
7. 국방 예산



스리랑카군의 국방 예산은 1980년대 내전이 시작되면서 급격히 증가했다. 2009년 내전이 종식된 이후에도 국방 예산은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연도 | 배정된 기금 (10억 Rs) | 추가 기금 (10억 Rs) | 누적 지출 (10억 Rs) |
|---|---|---|---|
| 1988 | 50억스리랑카 루피 | - | 50억스리랑카 루피 |
| 1989 | 40억스리랑카 루피 | - | 90억스리랑카 루피 |
| 1990 | 70억스리랑카 루피 | - | 160억스리랑카 루피 |
| 1991 | 110억스리랑카 루피 | - | 270억스리랑카 루피 |
| 1992 | 140억스리랑카 루피 | - | 410억스리랑카 루피 |
| 1993 | 170억스리랑카 루피 | - | 580억스리랑카 루피 |
| 1994 | 210억스리랑카 루피 | - | 790억스리랑카 루피 |
| 1995 | 390억스리랑카 루피 | - | 1180억스리랑카 루피 |
| 1996 | 420억스리랑카 루피 | - | 1600억스리랑카 루피 |
| 1997 | 410억스리랑카 루피 | - | 2010억스리랑카 루피 |
| 1998 | 470억스리랑카 루피 | - | 2480억스리랑카 루피 |
| 1999 | 440억스리랑카 루피 | - | 2920억스리랑카 루피 |
| 2000 | 630억스리랑카 루피 | - | 3550억스리랑카 루피 |
| 2001 | 600억스리랑카 루피 | - | 4150억스리랑카 루피 |
| 2002 | 540억스리랑카 루피 | - | 4690억스리랑카 루피 |
| 2003 | 520억스리랑카 루피 | - | 5210억스리랑카 루피 |
| 2004 | 620억스리랑카 루피 | - | 5830억스리랑카 루피 |
| 2005 | 640억스리랑카 루피 | - | 6470억스리랑카 루피 |
| 2006 | 820억스리랑카 루피 | - | 7290억스리랑카 루피 |
| 2007 | 1400억스리랑카 루피[19] | - | 8690억스리랑카 루피 |
| 2008 | 1660억스리랑카 루피[20] | - | 1.035조스리랑카 루피 |
| 2009 | 1750억스리랑카 루피 | 390억스리랑카 루피 | 1.249조스리랑카 루피 |
| 2010 | 2730억스리랑카 루피 | 없음 | 1.552조스리랑카 루피 |
| 2011 | 2140억스리랑카 루피 | 200억스리랑카 루피 | 1.756조스리랑카 루피 |
| 2012 | 2300억스리랑카 루피 | 없음 | 1.986조스리랑카 루피 |
| 2013 | 2900억스리랑카 루피 | 없음 | 2.276조스리랑카 루피 |
| 2014 | 2530억스리랑카 루피 | 없음 | 2.529조스리랑카 루피 |
| 2015 | 2850억스리랑카 루피[21] | 없음 | 2.814조스리랑카 루피 |
| 2016 | 3070억스리랑카 루피[22] | 없음 | 3.121조스리랑카 루피 |
| 2017 | 2840억스리랑카 루피[23] | 없음 | 3.405조스리랑카 루피 |
| 2018 | 2900억스리랑카 루피 | 없음 | 3.695조스리랑카 루피 |
| 2019 | 3920억스리랑카 루피 | 없음 | 4.087조스리랑카 루피 |
8. 국제 평화 유지 활동

스리랑카(당시 실론)는 1957년 수에즈 위기 이후 유엔 총회가 유엔 긴급군(UNEF) 배치 계획을 위한 자문위원회를 구성했을 때, 자문위원회 회원으로 참여하여 평화유지군 파병을 제안하며 유엔 평화유지 활동에 처음 참여했다.[24]
1960년, 실론은 비상임이사국으로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영연방 의석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유엔콩고작전에 6명의 평화유지군을 파견했다.[25][26] 1961년에는 두 번째 파병이 이루어졌다.[27]
2004년, 스리랑카는 유엔아이티안정화임무(MINUSTAH)에 보병대대를 파병하며 유엔 평화유지 활동에 다시 참여하기 시작했고, 2017년까지 16,292명 이상의 인원을 파병했다.[28] 그러나 스리랑카 평화유지군은 아이티 아동 성학대 스캔들에 연루되어,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최소 134명의 군인이 9명의 아동을 성폭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28]
MINUSTAH 이후, 스리랑카는 유엔 레바논 임시군(UNIFIL)에 기계화보병 중대를, 유엔 남수단 임무(UNMISS)에 야전병원과 헬리콥터 비행대를, 유엔 말리 다차원 통합 안정화 임무(MINUSMA)에 전투 차량 중대를, 유엔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임무(MINURCA)에 헬리콥터 비행대를, 유엔 서사하라 자치결정 임무(MINURSO)에 군사 관측원을 파병했다. 뉴욕 유엔 본부에 참모 장교도 파견했다. 스리랑카 평화유지 지원 작전 훈련 연구소(IPSOTSL)는 스리랑카에서 유엔 평화유지군을 훈련하고 있다.[29] [30][31]
| 국가 | 육군 | 해군 | 공군 |
|---|---|---|---|
| 레바논 (UNIFIL) | 149 | - | - |
| 콩고민주공화국 (MONUSCO) | 4 | - | - |
| 말리 (MINUSMA) | 203 | - | - |
| 아베이 (UNISFA) | 6 | - | - |
| 남수단 (UNMISS) | 71 | - | 102 |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MINUSCA) | 7 | - | 109 |
| 서사하라 (MINURSO) | 4 | - | - |
| 뉴욕 임무 | 3 | - | - |
| 총계 | 443 | 0 | 211 |
9. 훈련
오늘날 스리랑카에서는 모든 군 종류의 훈련이 실시된다. 국방대학교, 참모대학교, 3군에 대한 군사학교 3곳, 그리고 여러 특수 훈련학교와 센터를 통해 스리랑카 군대는 높은 수준의 훈련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 존 코텔라왈라 장군 국방대학교, 콜롬보
- 국방대학교, 콜롬보
- 국방군 사령부 및 참모대학교
- 스리랑카 육군사관학교, 디야탈라와
- 해군 및 해양사관학교, 트린코말리
- 공군사관학교, SLAF 차이나 베이, 트린코말리
스리랑카 군대는 중국, 파키스탄,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이스라엘, 미국,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같은 다른 국가들로부터 특수 훈련 지원을 받았다.[36]
스리랑카에 제공된 해외 군사 훈련과 관련하여 미국 정부의 기여는 더욱 높은 수준이다. '외국 군사 재정 지원(FMF)' 및 '국제 군사 교육 훈련(IMET)' 프로그램은 국가 군대의 표준화와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37]
10. 개발
현재 스리랑카군이 사용하는 군사 장비의 상당 부분은 중국, 파키스탄, 이스라엘, 인도, 러시아 및 미국에서 도입하지만, 스리랑카의 요구 사항에 맞는 자체 무기 체계도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무기 체계 대부분은 군 당국이 생산해왔다. 1992년에 설립된 병기 공장(Ordnance Factory)은 스리랑카에서 포병 및 탄약(트립 플레어 포함) 생산을 시작했다. 스리랑카 전기 기계 기술병(Sri Lanka Electrical and Mechanical Engineers, SLEME)은 군대에 장갑차 및 기타 장비를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유니버펠(Unibuffel)과 같은 여러 MRAP 차량을 생산했다. 해군의 스리랑카 해군 조선소(Naval Boat Building Yard, NBBY)는 세드릭(Cedric)급 및 웨이브 라이더(Wave Rider)급과 같은 소형 함정을 생산하며, Solas Marine Lanka와 같은 민간 기업들도 함께 참여하고 있다. 콜롬보 조선소(Colombo Dockyard)는 더 큰 함선을 공급한다.[38][39][40][41]
스리랑카 연구 개발 센터(Centre for Research & Development, CRD)는 스리랑카 국방부(Ministry of Defence)의 연구 개발 기관으로, 군대를 위해 무인 항공기(UAV), 전자전 장비, 무기 체계, 다양한 시뮬레이터 및 네트워크 중심 전투 시스템을 개발했다.[42][43][44][45][46][47] 육·해·공군은 각자 연구 개발 기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스리랑카 육군에는 연구 분석 예측 및 개발 부서(Research Analysis Projection & Development Branch, RAP&D), 스리랑카 해군에는 연구 개발 부대, 스리랑카 공군에는 연구 개발 부서가 있다.[48][49][50]
11. 비군사적 활동
2009년 5월 내전 종식 이후, 스리랑카군은 군사 활동 이외의 다양한 분야로 활동 범위를 넓혀왔다. 이로 인해 군사화 및 군부 통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51][52][53] 군은 대규모 부동산 개발부터 길가 카페 운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업에 관여하고 있으며, 도로, 다리, 주택, 경기장 건설에도 참여하고 있다.[51][54]
2010년, 연간 수천억 루피를 사용하는 도시 개발청(Urban Development Authority)이 국방부(Ministry of Defence) 관할로 변경되었고,[55][56] 1년 후 국방부는 국방 및 도시 개발부(Ministry of Defence and Urban Development)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7] 2012년, 이 부처는 2,299억 루피(21억달러)의 예산을 배정받아 정부 부처 중 가장 많은 예산을 확보했다.[58]
2011년 초, 식량 가격이 급등하자 군은 농민들로부터 채소를 구매하여 시장 가격보다 저렴하게 판매했다.[51][54][59] 일부 채소는 군 농장에서 직접 생산한 것이었다.[51] 군은 또한 'Air Travel Services (Pvt) Ltd'라는 여행사를 운영하며 항공권과 해외 패키지 여행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51][54][56]
북부 지역은 분쟁 종식 후에도 군사력이 다른 지역보다 훨씬 강하게 유지되고 있는데, 군은 이 지역에서 주로 남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수많은 작은 식당과 상점을 운영하고 있다.[56][60] A9 고속도로변의 길가 카페 대부분은 군이 소유 및 운영한다.[51] 군은 1990년대 초 주민들이 강제 추방되고 내전이 끝났음에도 재정착이 허용되지 않은 발리카맘 북부 고위험 지역(Valikamam North High Security Zone) 내 칸케산투라이 근처에 ''Thalsevana''라는 고급 휴양지를 운영하고 있다.[51][54][56][61][62] 이 외에도 군은 쿠쿨레강가(Kukuleganga)와 와두와(Wadduwa)에 휴양지를 운영하고 있다.[51][62] 2011년 11월에는 군이 콜롬보에 5성급 호텔을 건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3]
2010-11년, 콜롬보에서 긴급 규정이 발효되어 지방 정부가 정지된 동안 군은 쓰레기 수거 감독, 저소득 주택 철거, 축제 기간 거리 장식 등 콜롬보 시의회(Colombo Municipal Council)의 여러 기능을 인수했다.[51][54][64]
해군은 'Jetliner'(A542) 여객선을 레크리에이션 크루즈선으로 활용하여 선상 결혼식, 피로연, 기업 행사, 파티 등 다양한 사교 행사를 제공한다.[67] 또한, 해군의 A543 선박은 관광객을 위한 고래 및 돌고래 관찰 서비스를 제공한다.[51][54][56][62][65] 해군은 웰라와타(Wellawatta)에서 나왈라(Nawala)까지 콜롬보 운하 보트 서비스, 관광객을 위한 아담의 다리 보트 서비스, 채소 가게도 운영한다.[51][54][62]
헬리투어스(Helitours)는 1970년대에 설립된 공군의 상업 부문이다.[66] 내전 기간 동안 활동이 중단되었으나, 종전 후 급증하는 관광 수요에 발맞춰 사업을 재개했다.[52][67]
2011년부터 모든 대학생은 의무 리더십 훈련에 참여해야 하며, 정부는 군이 이 훈련을 제공하도록 했다.[51][52][54][69][70] 2011년 11월, 군은 재정난을 겪고 있는 국가 크리켓 위원회로부터 국가의 3개 국제 크리켓 경기장 유지 보수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52][71] 이에 따라 군은 함반토타 크리켓 경기장(Hambantota Cricket Stadium), 해군 팔레켈레 크리켓 경기장(Pallekele Cricket Stadium), 공군 프레마다사 경기장(Premadasa Stadium)을 인수했다.[52][72]
많은 고위 군 지휘관들이 외교 및 민간 부처의 고위직에 임명되었다.
| 직책 | 이름 |
|---|---|
| 파키스탄 고등판무관 | 자얄라스 위라코디(Jayalath Weerakkody) 공군참모총장 |
| 이스라엘 대사 | 도널드 페레라(Donald Perera) 공군참모총장 |
| 인도네시아 대사 | 난다 말라와라치(Nanda Mallawaarachchi) 소장 |
| 말레이시아 부고등판무관 | 우다야 페레라(Udaya Perera) 소장 |
| 독일, 스위스, 바티칸 부대사 | 자가스 디아스(Jagath Dias) 소장 |
| UN 부상임대표 | 샤벤드라 실바(Shavendra Silva) 소장 |
| 일본 대사 | 와산타 카라나고다(Wasantha Karannagoda) 제독 |
| 호주 고등판무관 | 티사라 사마라싱헤(Thisara Samarasinghe) 제독 |
| 에리트레아 대리대사 | 아말 카루나세카라(Amal Karunasekara) 소장 |
| 북부 주지사 | G. A. 찬드라시리(G. A. Chandrasiri) 소장 |
| 동부 주지사 | 모한 위제위크레마(Mohan Wijewickrema) |
| 국가 보석 및 귀금속 당국 회장 | 로한 달루와테(Rohan Daluwatte) |
| 워터스 엣지 콤플렉스(Water's Edge Complex) 이사회 이사 | 자가스 자야수리아(Jagath Jayasuriya) 중장과 로샨 구네틸레케(Roshan Goonetilleke) 공군참모총장 |
참조
[1]
웹사이트
In Defense of Sri Lanka's Defense Budget
https://thediplomat.[...]
2023-11-20
[2]
웹사이트
'Pak played key role in Lanka's victory over Tamil Tigers' - Indian Express
http://archive.india[...]
2019-03-05
[3]
웹사이트
India signs Rs 300 crore deal with Sri Lankan firm, IBN Live News
https://archive.toda[...]
2013-06-30
[4]
웹사이트
SL Navy exports 9 Patrol Craft to Nigeria
http://www.dailymirr[...]
2019-02-19
[5]
서적
The military history of Ceylon : an outline
South Asia Books
1987-11-20
[6]
뉴스
Ceylon Becomes the Socialist Republic of Sri Lanka
https://www.nytimes.[...]
Ney York Times
1972-05-23
[7]
웹사이트
Sri Lanka News - Geneva talks must focus on SLMM rulings on violations? Military
http://www.lankanews[...]
[8]
간행물
Security System Reform and Governance, A DAC Reference Document
OECD DAC
2004
[9]
뉴스
Suicide Bomber Kills President of Sri Lanka
https://www.nytimes.[...]
1993-05-02
[10]
뉴스
Sri Lanka hails record military deployment as toll hits 213
https://www.yahoo.co[...]
2017-06-05
[11]
웹사이트
CFA, SLMM cease to operate by Jan 16, Defence.lk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The Last Day of Prabhakaran, D.B.S. Jeyaraj, Daily Mirror
https://web.archive.[...]
2009-05-23
[13]
뉴스
Last phase of Sri Lanka war killed 6,200 troops - govt
https://www.reuters.[...]
2009-05-22
[14]
뉴스
Report of the UNSG's panel of experts on accountability in SL
http://www.island.lk[...]
2011-04-16
[15]
뉴스
UN panel admits international failure in Vanni war, calls for investigations
http://www.tamilnet.[...]
2011-04-16
[16]
뉴스
Summary of UN Panel report
https://web.archive.[...]
2011-04-16
[17]
웹사이트
Report of the OHCHR Investigation on Sri Lanka (OISL)
https://www.refworld[...]
2015-09-16
[18]
서적
Connecting the Egregious and the Everyday: Addressing Impunity for Sexual Violence in Sri Lank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2-08
[19]
웹사이트
South Asia | Sri Lanka defence budget to soar
http://news.bbc.co.u[...]
BBC News
2007-10-10
[20]
웹사이트
Sri Lanka earmarks record amount for defence spending
http://www.livemint.[...]
Livemint
2008-10-09
[21]
웹사이트
Sri Lanka hikes defense spending to record high
http://www.arabnews.[...]
2014-09-28
[22]
웹사이트
Defence allocation rises, education up four-fold, President's budget slashed
http://www.sundaytim[...]
[23]
웹사이트
Allocation for defense remains at top in Sri Lanka's appropriation bill
https://www.newindia[...]
[24]
웹사이트
Background of the UNEF 1
https://peacekeeping[...]
United Nations
[25]
서적
The United Nations, intra-state peacekeeping and normative change
https://www.jstor.o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3
[26]
웹사이트
SRI LANKA (CEYLON) FIRST PARTICIPATED IN A UNITED NATIONS PEACEKEEPING MISSION
https://mfa.gov.lk/c[...]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ri Lanka
[27]
서적
Peace Operations: Trends, Progress, and Prospects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8-07-30
[28]
웹사이트
AP Investigation: UN troops lured kids into Haiti sex ring
https://apnews.com/a[...]
2017-04-12
[29]
웹사이트
UN PEACE KEEPING OPERATIONS
https://www.army.lk/[...]
Sri Lanka Army
[3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ISSION FOR THE REFERENDUM IN WESTERN SAHARA
https://alt.army.lk/[...]
Sri Lanka Army
[31]
웹사이트
List of Member State pledges
https://peacekeeping[...]
United Nations
[3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parliame[...]
[33]
웹사이트
Task Force, Sri Lanka Police Service
http://www.police.lk[...]
2018-05
[34]
웹사이트
Home Guard Service, Ministry of Defence
http://www.defence.l[...]
[35]
웹사이트
Press briefing of Cabinet Decision taken on 2021-02-01
http://www.cabinetof[...]
Cabinet Office
[36]
웹사이트
Sri Lanka, PRIMARY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http://lcweb2.loc.go[...]
2015-02-06
[37]
웹사이트
Sri Lanka: Security Assistance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2017-06-25
[38]
웹사이트
Sri Lanka Ordnance Corps
https://alt.army.lk/[...]
2019-02-04
[39]
웹사이트
Our Customers - Solas Marine Lanka Pvt. Ltd.
https://www.solasmar[...]
2020-07-24
[40]
웹사이트
Army-Manufactured Mali-bound Unibuffels Ready for Shipment
https://www.newsfirs[...]
2020-07-24
[41]
웹사이트
Sri Lanka Navy
https://news.navy.lk[...]
2020-07-24
[42]
웹사이트
First ever missile & multi-barrel rocket launcher produced in SL on display today
https://www.newsfirs[...]
2019-01-26
[43]
웹사이트
SL to manufacture a 20-barrel MBRL
http://www.dailymirr[...]
2019-02-06
[44]
웹사이트
First locally-made MBRL takes pride of place at parade
http://www.sundaytim[...]
2019-02-24
[4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efence.l[...]
2019-02-24
[46]
웹사이트
Impressed Commander Wants CRD to Begin Mass Production for Tri-Services Sri Lanka Army
https://www.army.lk/[...]
2019-03-10
[47]
웹사이트
Military boffins now into R&D to meet peacetime situations The Sunday Times Sri Lanka
http://www.sundaytim[...]
2019-04-07
[48]
웹사이트
Army's RAP&D Branch Introduces New Technical & Non-Technical Innovations to the Army Sri Lanka Army
https://www.army.lk/[...]
2020-07-25
[49]
웹사이트
Sri Lanka Air Force Modifies Helicopters to Spray Disinfectant by Air if Required Sri Lanka Air Force
http://www.airforce.[...]
2020-07-25
[50]
웹사이트
Sri Lanka Navy
https://news.navy.lk[...]
2020-07-25
[51]
뉴스
In bigger barracks
http://www.economist[...]
2011-06-02
[52]
뉴스
Lanka hands over upkeep of stadiums to military
https://web.archive.[...]
2011-11-05
[53]
뉴스
Rewarding Illegality; Enthroning Injustice
https://web.archive.[...]
2011-11-06
[54]
뉴스
Armed, dangerous and building their own empires
http://www.nzherald.[...]
2011-11-06
[55]
뉴스
Government May Borrow More!
https://web.archive.[...]
2011-10-23
[56]
뉴스
Sri Lanka army opens travel wing
http://www.bbc.co.uk[...]
2011-03-14
[57]
뉴스
Defence Ministry adds UD to its name
https://web.archive.[...]
2011-10-17
[58]
뉴스
Estimated income - Rs. 1115 b., expenditure –Rs. 2220 b.
http://sundaytimes.l[...]
2011-10-16
[59]
뉴스
Sri Lanka army becomes vegetable vendor as prices rise
https://www.bbc.co.u[...]
2011-01-07
[60]
논문
The Continued Militarization of Sri Lanka
https://web.archive.[...]
2011-10-22
[61]
뉴스
SLA opens 'luxury' resort in occupied Tamil land
http://www.tamilnet.[...]
2011-10-05
[62]
뉴스
Army's new civilian role - is this a good signal?
https://web.archive.[...]
[63]
뉴스
Army to build a five star hotel in Colombo
http://www.dailymirr[...]
2011-11-06
[64]
웹사이트
RESTORE CIVIL ADMINISTRATION IN ALL ASPECTS TO ENSURE DEMOCRACY
https://web.archive.[...]
The National Peace Council of Sri Lanka
2011-06-01
[65]
뉴스
Ripples as Navy sails into whale-watching business
http://sundaytimes.l[...]
2011-01-30
[66]
뉴스
Helitours dressed up; ready to go as a commercial venture
http://sundaytimes.l[...]
2010-07-18
[67]
뉴스
Military Tourism
http://www.thesunday[...]
2010-04-04
[68]
뉴스
University Students To Be Trained By Military
http://www.thesunday[...]
2011-04-24
[69]
뉴스
Sri Lanka students fight military training scheme
https://www.bbc.co.u[...]
2011-05-19
[70]
뉴스
Sri Lankan universities are no place for the army
https://www.theguard[...]
2011-06-14
[71]
뉴스
Sri Lanka army to run cricket stadiums
https://www.bbc.co.u[...]
2011-11-03
[72]
뉴스
Three Test venues handed to military for maintenance, confirms Sports Ministry
http://www.sundaytim[...]
2011-11-05
[73]
뉴스
The Militarisation Of Sri Lanka's Diplomatic And Administrative Services
http://www.thesunday[...]
2011-01-23
[74]
웹사이트
스리랑카 기초 데이터
https://www.mofa.go.[...]
외무성
2024-07-20
[75]
웹사이트
스리랑카 기초 데이터
https://www.mofa.go.[...]
외무성
2024-07-20
[76]
웹사이트
스리랑카의 내전을 둘러싼 중국과 인도
http://www.ide.go.jp[...]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2012-03-00
[77]
웹사이트
The Last Day of Prabhakaran
http://www.dailymirr[...]
[78]
뉴스
In bigger barracks
http://www.economist[...]
2011-06-02
[79]
서적
이것이 세계의 육군력이다! (만물도감 시리즈)
갓후라 출판
2014-11-09
[80]
웹인용
Military Spending by Country 2022
https://worldpopulat[...]
[81]
웹인용
'Pak played key role in Lanka's victory over Tamil Tigers' - Indian Express
http://archive.india[...]
2019-03-05
[82]
서적
The military history of Ceylon : an outline
South Asia Books
[83]
뉴스
Ceylon Becomes the Socialist Republic of Sri Lanka
https://www.nytimes.[...]
Ney York Times
1972-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