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치는 폴란드의 극작가, 소설가, 화가, 사진작가이자 철학자이다. 그는 바르샤바에서 태어나 홈스쿨링을 받으며 예술적 재능을 키웠고, 크라쿠프 미술 아카데미에서 유제프 메호페르와 얀 스타니스와프스키에게서 미술을 배웠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부상을 입고 러시아 혁명을 겪은 후, 그는 초상화가로 활동하며 '비트카치'라는 필명으로 순수 형식 이론을 바탕으로 한 회화와 부조리극을 발표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희곡 《미친 기관차》, 소설 《불만족》 등이 있으며, 1939년 폴란드가 침공당하자 자살했다. 그의 작품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재평가되어 국제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에도 소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코파네 출신 - 카밀 스토흐
카밀 스토흐는 올림픽 3관왕, FIS 스키 점프 월드컵 2회 종합 우승, 세계 선수권 금메달 등을 획득하며 폴란드 스키 점프의 위상을 높인 폴란드의 스키 점프 선수이다. - 자코파네 출신 - 크리스티안 두고폴스키
크리스티안 두고폴스키는 폴란드의 스키 점프 선수로,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스키 점프 종목 최연소 출전, 2003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개인전 동메달 및 단체전 동메달, 200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단체전 은메달, 2006년 FIS 컨티넨탈컵 공동 2위를 기록하고 2007년 은퇴했다. - 폴란드의 사진가 - 데이비드 시모어
폴란드 태생의 사진기자 데이비드 시모어(침)는 매그넘 포토스 공동 설립자로서, 스페인 내전, 2차 세계대전, 유니세프 의뢰 촬영 등을 통해 전쟁의 참상과 난민 아동의 고통을 기록하고 사진 저널리즘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작품은 현대 다큐멘터리 사진에 영향을 주고 있다. - 폴란드의 사진가 - 카지미에시 노바크
카지미에시 노바크는 1931년부터 1936년까지 자전거, 도보, 말, 배, 낙타를 이용하여 리비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굴라스 곶까지 약 40,000km를 혼자 여행한 폴란드인이다. - 1939년 자살 - 에른스트 톨러
에른스트 톨러는 독일의 표현주의 극작가이자 정치 운동가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평화주의자와 사회주의자로 전향하여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활동하며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 수립에 참여했고, 전쟁과 노동자 소외 문제를 다룬 대표작을 남겼으며, 나치 정권의 탄압을 피해 망명 생활을 하다 생을 마감했다. - 1939년 자살 - 클로드 길링워터
클로드 길링워터는 미국의 배우로, 1921년 영화 《리틀 로드 파운틀로이》로 데뷔하여 까다로운 성격의 역할을 주로 연기했으며, 《두 도시 이야기》(1935)에서 자비스 로리 역으로 유명하고, 촬영 중 부상과 아내의 죽음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비트카치 |
출생일 | 1885년 2월 24일 |
출생지 | 바르샤바, 폴란드 의회, 러시아 제국 |
사망일 | 1939년 9월 18일 |
사망지 | 벨리키 오제라, 폴란드 |
직업 | 작가, 화가, 극작가, 철학자, 사진가 |
모교 | 크라쿠프 미술 아카데미 |
배우자 | 야드비가 운루크 (1923년 결혼) |
친척 | 아버지: 스타니스와프 비트키에비치 대모: 헬레나 모제예프스카 장인: 율리우시 코사크 |
주요 작품 |
2. 생애
비트카치(Witkacy)라는 필명으로도 알려진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치는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바르샤바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화가이자 건축가, 미술 평론가였던 스타니스와프 비트키에비치였고, 어머니는 마리아 피에트르키에비치 비트키에비치였다. 그의 부모는 모두 리투아니아의 사모기티아 지역 출신이었다. 그는 어린 시절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카롤 시마노프스키 등과 친분을 맺었으며, 크라쿠프 미술 아카데미에서 수학한 후 프랑스 파리에서 유럽 회화의 최신 동향을 배우기도 했다.
1914년 약혼녀의 자살 이후, 비트키에비치는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의 인류학 탐험에 참여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중단되었다. 이후 러시아 제국군에 입대하여 참전했고, 1917년 러시아 혁명을 목격하기도 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자코파네로 돌아온 그는 '비트카치'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인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1920년대 초에는 "형식주의" 예술가 그룹과 교류하며 자신의 예술 이론을 정립하고, 여러 편의 희곡을 발표했다. 1925년부터는 'S.I. 비트키에비치 초상화 회사'를 설립하여 초상화 제작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1920년대 후반부터는 소설 집필에 집중하여 《가을의 고별》, 《불가항력》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1935년에는 소설로 폴란드 문학 아카데미의 황금 월계관을 수상하기도 했다.[10] 1930년대에는 마약 경험을 바탕으로 한 텍스트를 출판하고 철학 저술에 몰두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비트키에비치는 나치 독일과 소련의 폴란드 침공 소식을 듣고 절망하여 자살했다.
전후 폴란드 인민 공화국 문화부는 비트키에비치의 시신을 자코파네로 이장하여 장례를 치르려 했으나, 유전자 검사 결과 신원 미상의 여성 유골로 밝혀지기도 했다.[34] 비트키에비치의 작품은 마틴 에슬린의 저서 "부조리극"[19]과 한스-티에스 레만의 "Postdramatisches Theater" (1999년, ''포스트드라마 연극'' 2006년)[20]에서 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드라마의 선구자로 논의되었다. 체스와프 밀로시는 자신의 저서 ''사로잡힌 정신''에서 비트키에비치의 소설 ''불만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주장을 펼쳤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바르샤바에서 태어난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치는 화가이자 건축가, 미술 평론가였던 스타니스와프 비트키에비치의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마리아 피에트르키에비치 비트키에비치였으며, 그의 양쪽 부모 모두 리투아니아의 사모기티아 지역 출신이었다. 그의 대모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배우 헬레나 모드제예프스카였다.[1]
비트키에비치는 자코파네에 있는 가족의 집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가 학교 교육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는 홈스쿨링을 받았고, 다양한 창작 분야에서 재능을 개발하도록 격려받았다. 아버지의 바람과는 달리 그는 크라쿠프 미술 아카데미에서 유제프 메호페르와 얀 스타니스와프스키에게서 배웠다.[2]
비트키에비치는 작곡가 카롤 시마노프스키와 친한 친구였으며, 어린 시절부터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와 조피아 로메르와도 친분을 유지했다.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1914년, 약혼녀 :pl:Jadwiga Janczewska가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삶에 대한 회의를 느낀 비트키에비치는 친구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의 제안으로 그의 인류학 탐험에 제도사이자 사진사로 참여하게 되었다.[5] 이 탐험은 실론과 호주를 거쳐 파푸아 뉴기니로 갈 예정이었다.[6]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탐험은 중단되었다.[4] 호주에서 말리노프스키와 다툰 후, 비트키에비치는 러시아 제국 태생이라는 이유로 시드니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당시 페트로그라드)로 이동하여 러시아 제국군 파블로프스키 연대의 장교로 임명되어 참전했다.[4] 그의 아버지이자 폴란드 애국자였던 스타니스와프 비트키에비치는 아들의 결정에 크게 슬퍼했으며, 결국 1915년 아들을 다시 만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7]1916년 7월, 비트키에비치는 현재 우크라이나 영토인 스토히드 강 전투에서 큰 부상을 입고 상트페테르부르크로 후송되었다.[8] 그는 그곳에서 1917년 러시아 혁명을 직접 목격했다. 비트키에비치는 포격 속에서 자신의 철학적 원리를 정립했으며, 혁명 발발 후에는 연대의 정치 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그의 후기 작품들은 사회 혁명과 외세 침략에 대한 두려움을 부조리한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2. 3. 전간기 폴란드에서의 활동
러시아 제국군에서 복무하다가 러시아 혁명 이후 자코파네로 돌아온 비트키에비치는 '비트카치'라는 필명을 사용하며 본격적인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1919년에는 독자적인 미술 이론인 Nowe formy w malarstwie|노베 포르미 브 말라르스트비에|회화의 새로운 형식pl을 발표하며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을 추진했다.[1] 이후 표현주의적 요소를 더욱 강화하여 전간기에 회화와 희곡을 다수 발표했다.[1]2. 4. 죽음
1939년 9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비트키에비치는 연인 체스와바 오크닌스카와 함께 당시 동부 폴란드였던 변경 마을 예지오리로 피신했다.[15] 1939년 9월 17일 소련의 폴란드 침공 소식을 듣고 절망한 비트카체는 9월 18일 약물 과다 복용 후 손목을 그어 자살을 시도했다.[15] 그는 체스와바에게 루미날을 먹여 함께 자살을 시도하도록 설득했지만, 그녀는 살아남았다.[16]3. 작품 세계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치는 회화, 희곡, 소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했다. '순수 형식' 이론을 통해 예술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시도했으며, 부조리하고 기괴한 작품들을 통해 인간 존재와 사회의 모순을 드러냈다.
크라쿠프 미술 아카데미에서 유제프 메호페르와 얀 스타니스와프스키에게서 배웠으며,[2] 초상화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제2 폴란드 공화국 자코파네에서 활동했다. 주요 창작 시기에는 《회화의 새로운 형태》, 《극장에서 순수 형식 이론의 소개》를 저술하여 자신의 예술론을 제시했다. 1920년대 초에는 "형식주의" 예술가 그룹과 교류하며 희곡 창작에 집중했다.
1930년대에는 페요테 등 마약을 사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쓰고, 철학 저술에도 몰두하여 《존재의 개념이 함축하는 개념과 원리》(1935)를 썼다.[11] 브루노 슐츠와 같은 신진 작가들을 지원하기도 했다.[14]
아버지에게서 습판 사진술을 배워 지인들의 초상 사진과 자화상을 다수 제작했다.
3. 1. 순수 형식 이론
비트키에비치는 회화와 연극에서 '순수 형식(Czysta Forma)' 이론을 주창했다.[1] 그는 예술 작품이 내용이나 재현보다는 색채, 선, 형태, 구성 등의 형식적인 요소들의 순수한 조합을 통해 미적 경험을 전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 이 이론은 그의 회화와 희곡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1]그의 저서로는 Nowe formy w malarstwie|노베 포르미 브 말라르스트비에pl(1919)(영문 번역: ''New Forms in Painting and the Misunderstandings Arising Therefrom'')와 ''Szkice estetyczne''(미학적 스케치, 1922)가 있다.
3. 2. 희곡
비트키에비치는 40여 편의 희곡을 썼으며, 그중 21편이 남아 있다. 그의 희곡은 부조리하고 기괴한 상황, 등장인물, 언어를 통해 인간 존재의 불안과 고독, 사회의 부조리를 탐구한다.[10] 그의 희곡은 부조리극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마틴 에슬린, 한스-티에스 레만 등의 이론가들에 의해 재조명되었다. 대표작으로는 《미친 기관차》, 《물닭》, 《구두 수선공》, 《어머니》, 《벨제부브 소나타》 등이 있다.
그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 | 폴란드어 원제 | 집필 연도 | 비고 |
---|---|---|---|
마치에이 코르보바와 벨라트릭스 | Maciej Korbowa i Bellatrix | 1918 | |
실용주의자 | Pragmatyści | 1919 | The Pragmatists영어 |
미스터 프라이스, 즉 열대 광기 | Mister Price, czyli Bzik tropikalny | 1920 | Mr Price, or Tropical Madness영어 |
뇌 종양 | Tumor Mózgowicz | 1920 | Tumor Brainiowicz영어 |
새로운 해방 | Nowe wyzwolenie | 1920 | The New Deliverance영어 |
그들 | Oni | 1920 | They영어 |
판나 투틀리-푸틀리 | Panna Tutli-Putli | 1920 | Miss Tootli-Pootli영어 |
작은 저택에서 | W małym dworku | 1921 | Country House영어 |
삼각형의 독립 | Niepodległość trójkątów | 1921 | The Independence of Triangles영어 |
두 머리 송아지의 형이상학 | Metafizyka dwugłowego cielęcia | 1921 | Metaphysics of a Two-Headed Calf영어 |
기우발 와하자르, 혹은 무의 절벽에서 | Gyubal Wahazar, czyli Na przełęczach bezsensu | 1921 | Gyubal Wahazar, or Along the Cliffs of the Absurd: A Non-Euclidean Drama in Four Acts영어 |
물닭 | Kurka Wodna | 1921 | The Water Hen영어 |
무명의 작품 | Bezimienne dzieło | 1921 | The Anonymous Work: Four Acts of a Rather Nasty Nightmare영어 |
문어 | Mątwa | 1922 | The Cuttlefish, or The Hyrcanian World View영어 |
단정한 모습과 털이 많은 유인원, 또는 녹색 알약 | Nadobnisie i koczkodany, czyli Zielona pigułka | 1922 | Dainty Shapes and Hairy Apes, or The Green Pill: A Comedy with Corpses영어 |
얀 마치에이 카롤 브스치에클리카 | Jan Maciej Karol Wścieklica | 1922 | Jan Maciej Karol Hellcat영어 |
광인과 수녀 | Wariat i zakonnica | 1923 | The Madman and the Nun영어 |
미친 기관차 | Szalona lokomotywa | 1923 | The Crazy Locomotive영어 |
야누우카, 피즈데히의 딸 | Janulka, córka Fizdejki | 1923 | Janulka, Daughter of Fizdejko영어 |
어머니 | Matka | 1924 | The Mother영어 |
벨제부브 소나타 | Sonata Belzebuba | 1925 | The Beelzebub Sonata영어 |
구두 수선공 | Szewcy | 1931–34 | The Shoemakers영어 |
《미친 기관차》의 원본 폴란드어 원고는 분실되었으며, 이 희곡은 두 개의 프랑스어 버전을 역번역하여 1962년에 출판되었다. 비트키에비치가 1918년에서 1925년 사이에 쓴 약 40편의 희곡 중 작가 생전에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작품은 《얀 마체이 카롤 헬캣》뿐이었다.[10]
3. 3. 소설
비트키에비치는 1920년대 후반 소설 집필로 전환하여 《Pożegnanie jesienipl》(1927, 부분 번역, 영어 제목은 ''Farewell to Autumn'')와 《불가항력》 두 작품을 썼다. 《불가항력》은 지정학, 정신 활성 약물, 철학 등 다양한 주제를 포괄하는 그의 대표작이다.[10] 1935년 그는 소설로 폴란드 문학 아카데미의 황금 월계관을 수상했다.[10]그의 소설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622 upadki Bunga, czyli Demoniczna kobietapl | 1911 | 부분 번역, 영어 제목은 The 622 Downfalls of Bungo or The Demonic Woman (in The Witkiewicz Reader) |
Pożegnanie jesienipl | 1927 | 부분 번역, 영어 제목은 Farewell to Autumn (in The Witkiewicz Reader) |
Nienasycenie | 1930 | 영어 번역본은 Insatiability (Quartet Encounter, 1985) |
Jedyne wyjściepl | 미완성 |
3. 4. 회화와 사진
비트키에비치는 초상화, 풍경화, 환상적인 구성 등 다양한 주제의 회화를 남겼다. 그의 회화는 '순수 형식' 이론의 영향을 받아 강렬한 색채와 형태, 독특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9] 그는 또한 사진작가로서도 활동했으며, 특히 거울을 이용한 다중 자화상으로 유명하다.[9]비트키에비치는 크라쿠프 미술 아카데미에서 유제프 메호페르와 얀 스타니스와프스키에게서 배웠다.[2] 그는 습판 사진술을 아버지에게 배워, 친밀한 초상 사진을 제작하기 시작했고, 자코파네에서 지인들의 인상적인 초상과 많은 자화상을 제작했다.
1925년 이후, 그는 '비트카치'라는 이름으로, 경제적 생계를 제공하는 자신의 초상화를 아이러니하게도 'S.I. 비트키에비치 초상화 회사'로 브랜드화했으며, "고객은 항상 만족해야 한다"는 익살스러운 모토를 내걸었다. 단순히 묘사적인 것부터 더 표현주의적이고 마약의 도움을 받은 것까지, 여러 등급의 소위 초상화가 제공되었다. 그의 그림 중 많은 작품에는 특정 그림을 그리는 동안 복용한 약물 목록이 적힌 메모가 적혀 있었고, 심지어 이것이 커피 한 잔에 불과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또한 자신의 이름 철자를 다양하게 바꾸어 'Witkac, Witkatze, Witkacjusz, Vitkacius' 및 'Vitecasse'로 서명했는데, 마지막은 "빨리 부서진다"는 뜻의 프랑스어였다.
다음은 비트키에비치의 주요 작품들이다.
연도 | 작품명 | 소장처 |
---|---|---|
1907년 | 검은 호수 | 자코파네 타트라 박물관 |
1913년 | 야드비가 얀체프스카 | |
1918년 | 브로니스와바 비에니아와-두고쇼프스카 | |
1918년 | 노바 아우리가에 | 바르샤바 아담 미츠키에비치 문학 박물관 |
1922년 | 구성 | 크라쿠프 국립 박물관 |
1922년 | 환상 - 동화 | 바르샤바 국립 박물관 |
1927년 | 마릴라 그로스마노바 부인과 자화상 | 바르샤바 국립 박물관 |
1930년 이후 | 자코파네의 겨울 풍경 | 부다페스트 세페뮤베세티 박물관 |
1934년 | 소년의 초상 | 실롱스크 박물관(카토비체) |
1935년 | 조피아 로머 | |
1938년 | 자화상 | 실롱스크 박물관(카토비체) |
4. 유산 및 영향
비트키에비치는 생전에 폴란드 내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사후 그의 작품은 폴란드와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콘스탄티 푸지나는 1962년 "Dramaty" (드라마)라는 두 권의 책으로 그의 희곡 작품을 출판하여 폴란드에서 그의 연극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19] 타데우시 칸토르는 크라쿠프에서 비트키에비치가 마지막 연극을 선보였던 ''크리코트'' 그룹에서 영감을 받아 ''오징어'' (1956)와 ''물닭'' (1969) 등 그의 많은 연극들을 폴란드와 국제적으로 부활시켰다.[21]
마틴 에슬린은 《부조리극》에서 비트키에비치를 부조리극의 선구자로 언급했다.[19] 한스-티에스 레만은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비트키에비치의 작품을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선구적인 예로 분석했다.[20] 다니엘 게룰드는 번역과 학문적 업적을 통해 영어권 독자들에게 비트키에비치의 작품을 소개했다.
체스와프 미워시는 《사로잡힌 정신》에서 비트키에비치의 소설 《불가항력》을 논했다. 파울리나 올로프스카는 2015년 테이트 모던에서 비트키에비치의 《어머니: 불쾌한 2막과 에필로그의 연극》을 제작했다.[21]
비트키에비치를 주제로 한 영화로는 ''Tumor Witkacego'' (1985)[22], ''미스티피케이션'' (2010)[23], ''Witkacy and Malinowski: a cinematic séance in 23 scenes'' (2018)[24]가 있다. 그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영화로는 ''Ludiot i kalugericata'' (1968)[25], ''가을에의 작별'' (1990)[26], ''불만족'' (2003)[27], ''마담 튜틀리-푸틀리'' (2007)[28], ''미치광이의 자장가'' (2017)[26]가 있다.
비트키에비치의 회화 및 파스텔 드로잉 작품은 바르샤바 국립 박물관[29], 크라쿠프 국립 박물관, 바르샤바 문학 박물관과 슬루프스크 성에 125점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중앙 포메라니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30]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31]과 현대 미술관, 시드니의 뉴사우스웨일스 미술관[33]은 그의 사진 작품의 중요한 예시들을 소장하고 있다. 자코파네의 타트라 박물관 20세기 미술관인 빌라 옥샤 갤러리에는 그의 사진과 파스텔 드로잉의 중요한 예시들이 소장되어 있다.
한국에는 폴란드 문학 고전 총서 제6권으로 세키구치 도키마사 역의 《비트카치의 희곡 4편》이 2015년에 출간되어 소개되었다.[1]
4. 1. 폴란드에서의 재평가
비트키에비치는 사망 당시에는 잊혀졌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에서 그의 명성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콘스탄티 푸지나는 1962년 "Dramaty" (드라마)라는 두 권의 책으로 그의 희곡 작품을 수집하여 출판함으로써 폴란드에서 그의 연극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19] 예술가이자 연극 연출가인 타데우시 칸토르는 비트키에비치가 크라쿠프에서 마지막 연극을 선보였던 ''크리코트'' 그룹에서 영감을 받았다. 칸토르는 ''오징어'' (1956)와 ''물닭'' (1969) 등 그의 많은 연극들을 폴란드에서 먼저, 그리고 국제적으로 부활시켰다.[21]4. 2. 국제적인 영향
마틴 에슬린은 그의 저서 《부조리극》에서 비트키에비치를 부조리극의 선구자로 언급했다.[19] 한스-티에스 레만은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비트키에비치의 작품을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선구적인 예로 분석했다.[20] 다니엘 게룰드는 그의 번역과 학문적 업적을 통해 영어권 독자들에게 비트키에비치의 작품을 소개했다.체스와프 미워시는 자신의 저서 《사로잡힌 정신》에서 비트키에비치의 소설 《불가항력》을 논했다. 예술가이자 연극 연출가인 타데우시 칸토르는 크라쿠프에서 비트키에비치가 마지막 연극을 선보였던 ''크리코트'' 그룹에서 영감을 받았다. 칸토르는 《오징어》 (1956)와 《물닭》 (1969)을 포함하여 많은 연극들을 폴란드에서 먼저, 그리고 국제적으로 부활시켰다. 시각 예술가 파울리나 올로프스카는 2015년 테이트 모던에서 비트키에비치의 《어머니: 불쾌한 2막과 에필로그의 연극》을 제작했다.[21]
비트키에비치를 주제로 한 영화로는 ''Tumor Witkacego'' (1985)[22], ''미스티피케이션'' (2010)[23], ''Witkacy and Malinowski: a cinematic séance in 23 scenes'' (2018)[24]가 있다. 그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영화로는 ''Ludiot i kalugericata'' (1968)[25], ''가을에의 작별'' (1990)[26], ''불만족'' (2003)[27], ''마담 튜틀리-푸틀리'' (2007)[28], ''미치광이의 자장가'' (2017)[26]가 있다.
비트키에비치의 회화 및 파스텔 드로잉 작품은 바르샤바 국립 박물관[29], 크라쿠프 국립 박물관, 바르샤바 문학 박물관과 슬루프스크 성에 125점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중앙 포메라니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30]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31]과 현대 미술관, 시드니의 뉴사우스웨일스 미술관[33]은 그의 사진 작품의 중요한 예시들을 소장하고 있다. 자코파네의 타트라 박물관 20세기 미술관인 빌라 옥샤 갤러리에는 그의 사진과 파스텔 드로잉의 중요한 예시들이 소장되어 있다.
4. 3. 한국에의 소개
폴란드 문학 고전 총서 제6권으로 세키구치 도키마사 역의 《비트카치의 희곡 4편》이 2015년에 출간되었다.[1]5. 작품 목록
비트키에비치는 희곡, 소설,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주요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분야 | 작품 (발표 연도) |
---|---|
희곡 | |
소설 | |
철학 저술 |
5. 1. 희곡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치는 많은 희곡을 남겼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 《마치에이 코르보바와 벨라트릭스》 (1918)
- 《실용주의자》 (1919)
- 《뇌종양》 (1920)
- 《미스터 프라이스, 즉 열대성 광기》 (1920)
- 《새로운 해방》 (1920)
- 《그들》 (1920)
- 《판나 투틀리-푸틀리》 (1920)
- 《작은 저택에서》 (1921)
- 《삼각형의 독립》 (1921)
- 《두 머리 송아지의 형이상학》 (1921)
- 《기우발 와하자르, 혹은 무의 절벽에서》 (1921)
- 《물닭》 (1921)
- 《무명의 작품》 (1921)
- 《문어》 (1922)
- 《단정한 모습과 털이 많은 유인원, 또는 녹색 알약》 (1922)
- 《얀 마치에이 카롤 브스치에클리카》 (1922)
- 《광인과 수녀》 (1923)
- 《미친 기관차》 (1923)
- 《야누우카, 피즈데히의 딸》 (1923)
- 《어머니》 (1924)
- 《벨제부브 소나타》 (1925)
- 《구두 수선공》 (1931–34)


몇몇 작품들은 해외에서도 공연되었다.
- 《미친 기관차》는 1977년 첼시 극장에서 데스 맥어너프의 연출로 뉴욕 초연을 가졌으며, 오비상을 수상했다.[36] [37] [38]
- 1979년 폴 버먼 연출의 《광인과 수녀》와 브래드 메이스 연출의 《물닭》이 1983년 극장 오프-파크에서 상연되었다.[39] [40] 《물닭》은 빌리 로즈 극장 컬렉션에 영구 보존되었다.[42]
- 《그들》은 1984년 런던의 폴란드 극장 해머스미스에서 POSK가 폴 브라이트웰의 연출로 영국 초연을 가졌다.
- 《구두 수선공》의 뉴욕 초연은 1987년 장 콕토 레퍼토리에서 상연되었다.[43]
- 《광인과 수녀》는 1989년 코스믹 바이시클 극장에 의해 공연되었다.[44]
- 비트키에비치의 《투모 브레이니오비치》와 《어머니》는 La MaMa ETC에서 브룩 오하라의 연출로 공연되었다.[45]
- 2019년에는 《비트키/두 머리 송아지》가 나탈리아 코르착코프스카의 연출로 공연되었다.[46]
5. 2. 소설
- 622 upadki Bunga, czyli Demoniczna kobieta|방고의 622번의 쇠퇴 또는 악마의 여자pl (1911) 부분 번역, 영어 제목은 ''The 622 Downfalls of Bungo or The Demonic Woman'' (in ''The Witkiewicz Reader'')
- Pożegnanie jesieni|가을의 고별pl (1927) 부분 번역, 영어 제목은 ''Farewell to Autumn'' (in ''The Witkiewicz Reader'')
- Nienasycenie (1930) 영어 번역본은 ''Insatiability'' (Quartet Encounter, 1985)
- Jedyne wyjście|유일한 출구pl (미완성)
5. 3. 철학 저술
- 《존재의 개념이 함축하는 개념과 명제》 (1935)
참조
[1]
뉴스
Helena Modrzejewska "Modjeska", czyli jak polska aktorka podbiła Amerykę
https://niezlasztuka[...]
2022-07-16
[2]
뉴스
Stanisław Ignacy Witkiewicz (Witkacy)
https://culture.pl/e[...]
2018-09-22
[3]
웹사이트
Stanisław Ignacy Witkiewicz (Witkacy)
https://culture.pl/e[...]
2019-04-09
[4]
서적
The Witkiewicz reader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92
[5]
서적
Witkacy-Stanisław Ignacy Witkiewicz : life and work
Interpress
1990
[6]
웹사이트
John Gillies "Tracking down Witkacy in Australasia: sources, race, productions, context and speculation"
https://witkacy.eu/w[...]
2021-12-05
[7]
웹사이트
Witkacy - biografia – Witkacy – Zinterpretuj.pl
https://zinterpretuj[...]
2022-08-31
[8]
웹사이트
Witkacy's Theater of Life/The Search for Self
http://info-poland.i[...]
2018-09-22
[9]
간행물
Przeciw nicości : fotografie Stanisława Ignacego Witkiewicza
Wydawnictwo Literackie
1986
[10]
웹사이트
Stanisław Ignacy Witkiewicz
http://literat.ug.ed[...]
Virtual Library of Polish Literature
2011-12-13
[11]
웹사이트
Witkacy's Theater of Life/The Search for Self
http://info-poland.i[...]
2018-10-09
[12]
웹사이트
Witkacy - biografia - LekcjaPolskiego.pl
https://lekcjapolski[...]
2021-09-14
[13]
웹사이트
Witkacy - biografia – Witkacy – Zinterpretuj.pl
https://zinterpretuj[...]
2022-08-31
[14]
웹사이트
Stanisław Ignacy Witkiewicz (Witkacy)
https://culture.pl/e[...]
2022-07-16
[15]
웹사이트
Stanisław Ignacy Witkiewicz
https://web.archive.[...]
2009-04-16
[16]
서적
The Witkiewicz Reader
https://books.google[...]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92
[17]
웹사이트
Mystification
https://www.imdb.com[...]
2018-10-09
[18]
웹사이트
Mystification
https://cineuropa.or[...]
2010-03-22
[19]
서적
The theatre of the absurd
Vintage Books
2004
[20]
서적
Postdramatic theatre
2006
[21]
웹사이트
BMW Tate Live: Paulina Olowska: 'The Mother An Unsavoury Play in Two Acts and an Epilogue' – Performance at Tate Modern
https://www.tate.org[...]
2018-09-23
[22]
웹사이트
Tumor Witkacego
https://www.imdb.com[...]
2018-10-18
[23]
웹사이트
Mystification
https://www.imdb.com[...]
2018-10-18
[24]
웹사이트
Witkacy & Malinowski: a cinematic séance in 23 scenes — Sydney Film Festival
https://web.archive.[...]
[25]
웹사이트
Ludiot i kalugericata
https://www.imdb.com[...]
2018-10-18
[26]
웹사이트
Pozegnanie jesieni
https://www.imdb.com[...]
2018-10-18
[27]
웹사이트
Insatiability
https://www.imdb.com[...]
2018-10-18
[28]
웹사이트
Madame Tutli-Putli
https://www.imdb.com[...]
2018-10-18
[29]
웹사이트
Muzeum Cyfrowe / Digital Museum
http://www.cyfrowe.m[...]
2018-09-22
[30]
웹사이트
Strona główna
http://www.muzeum.sl[...]
2018-09-22
[31]
웹사이트
Witkiewicz
https://www.metmuseu[...]
2018-09-22
[32]
웹사이트
Anna Oderfeld, Zakopane
https://www.moma.org[...]
2018-09-22
[33]
웹사이트
Works by Stanisław Ignacy Witkiewicz :: The Collection :: Art Gallery NSW
https://www.artgalle[...]
2018-09-22
[34]
웹사이트
Maciej Pinkwart, "Wygraliśmy"
https://web.archive.[...]
2015-01-28
[35]
웹사이트
Rekonstrukcja
https://web.archive.[...]
[36]
웹사이트
The Crazy Locomotive Original Off-Broadway Cast 1977 | Off-Broadway World
https://www.broadway[...]
2023-06-19
[3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8-10-31
[38]
웹사이트
The San Diego Union-Tribune - San Diego, California & National News
http://www.signonsan[...]
[39]
뉴스
Editorial Notebook;Small Theater
https://query.nytime[...]
1996-01-06
[40]
웹사이트
The Water Hen, NYC Production - 1983
http://www.bradmays.[...]
2015-07-21
[41]
뉴스
No Headline
https://query.nytime[...]
1983-10-31
[42]
논문
Water Hen – (review)
http://bradmays.com/[...]
[43]
뉴스
The Shoemakers by Stanislaw I. Witkiewicz, Poland's greatest modern playwright; first English-language performance by the Jean Cocteau Repertory
https://www.nytimes.[...]
1987-03-24
[44]
웹사이트
The Cosmic Bicycle Theatre, Carroll Gardens, New ClockWorks~Puppet Theatre - South Brooklyn Post - News & Culture in Carroll Gardens, Cobble Hill, Boerum Hill, Gowanus, Red Hook and Points Nearby
http://southbrooklyn[...]
2018-08-09
[45]
웹사이트
THE MOTHER
http://www.lamama.or[...]
2018-08-09
[46]
웹사이트
CalArts Center for New Performance - » WITKACY / Two-Headed CalfCalArts Center for New Performance
https://centerfornew[...]
2019-10-29
[47]
웹사이트
Stanisław Ignacy Witkiewicz
https://culture.pl/e[...]
[48]
웹사이트
The Theater of Life or The Search for Self
http://info-polan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